KR20070022199A -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 - Google Patents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199A
KR20070022199A KR1020067011267A KR20067011267A KR20070022199A KR 20070022199 A KR20070022199 A KR 20070022199A KR 1020067011267 A KR1020067011267 A KR 1020067011267A KR 20067011267 A KR20067011267 A KR 20067011267A KR 20070022199 A KR20070022199 A KR 2007002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
tetrapeptide
glu
trp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609B1 (ko
Inventor
블라디미르 카츠켈레비치 카빈슨
블라디미르 비크토로비치 말리닌
예브게니 로시포비치 그리고리예프
가리나 아나톨리에베나 리자크
Original Assignee
상크트-페테브르그스카야 오브쉐테베나야 오거니제시아 “상크트-페테브르그스키 인스티튜트 비오레귤라티시 아이 게론톨로지 스조 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크트-페테브르그스카야 오브쉐테베나야 오거니제시아 “상크트-페테브르그스키 인스티튜트 비오레귤라티시 아이 게론톨로지 스조 람” filed Critical 상크트-페테브르그스카야 오브쉐테베나야 오거니제시아 “상크트-페테브르그스키 인스티튜트 비오레귤라티시 아이 게론톨로지 스조 람”
Publication of KR2007002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19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bas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당뇨병 (diabetes mellitus)을 치료 및 예방하면서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서열식 Lys-Glu-Asp-Trp-NH2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신규한 테트라펩티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및 상기 서열식의 유효량의 테트라펩티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을 포함하는 약리학적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활성 펩티드제로서 유효량의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약리학적 물질을 당뇨병의 치료 효과를 얻기에 필요한 기간 동안 1일 1회 이상 체중 kg 당 0.1 내지 30 μg/k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뇨병, 테트라펩티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Description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Tetrapeptide regulating blood glucose level in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글루코즈 농도를 조절하는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가장 근접한 징후의 동족체 중에는, 제 1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인슐린 제제가 공지되어 있다. 선택 제제는 재조합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단기간에 작용하는 사람 인슐린 제제: 악트라피드 (Actrapid), 후물린 R (Humulin R), 인수만 R (Insuman R), 바이오술린 R (Biosulin R), 및 장기간 효과의 사람 인슐린 제제: 프로토판 (Protophane), 후물린 N (Humulin N), 인수만-바살 uman-Basal) 및 바이오술린 N (Biosulin N) - 단기간 및 장기간 효과의 사람 인슐린 동족체이다. 제제 후말로그 (Humalog) 및 노보라피드 (Novorapid)는 초단기간 효과 군의 제제이며, 이들은 단기간 효과의 인슐린과 비교해 신속한 개시 효과 및 약간의 짧은 기간의 피크 효과가 주목할 만하고, 식후 글루코즈 수준의 감소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인슐린 치료가 대체 치료일 수 있으나, 이는 다소간의 합병증, 예를 들어 알러지 반응, 저혈당 상태, 인슐린 내성 및 인슐린-처리 후 지방-이영양증을 이끌 수 있다. 또한, 제 2형 당뇨병의 의학적 치료는, 단기 효과 제제, 예를 들어 노보노름 (Novonorm) 또는 레파글리니드 (Repaglinid) 및 스타를릭스 (Starlix)을 임상 실시에 도입함에 따라 변화되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술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글리벤클라미드 (Glibenclamide) 군, 글리피지드 (Glipizide), 글릭클라지드 (Gliklazide) 군, 글릭비돈 (Glikvidon) 및 아마릴 (Amaril) (Glimepirid)이 있으며, 이들은 장기간 효과 제제이고 이러한 군의 다른 제제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 디아베톤 (Diabeton) MR 및 글리베네즈-리타드 (Glibenese-retard)는 장기간 효과의 제제이다. 당뇨병을 앓는 환자는 종종, 잔류 인슐린 분비의 상승에 의해 유발되는, 소위 술포닐우레아에 대한 2차 내성을 나타낸다. 술포니트릴우레아는 상당한 부작용을 갖는다: 소화불량 장애, 알러지 반응, 골수 기능 억제, 간 및 신장에 대한 독성 효과, 저혈당증. 또한, 비구아니드,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metformin) (Glucophage, Siofor e.t.c.), 글리타존 (Glitazone) 또는 인슐린 감작화제: 악토즈 (Actose) 및 아반디아 (Avandia) 및 알파-글리코시다제 억제제: 아카르보즈 (Acarbose) 및 메글리톨 (Meglitol)이 사용된다. 이들 경구 제제는 인슐린에 대한 조직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탄수화물 대사에 긍정적인 표준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적용은 저효율성 또는 부작용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Balabolkin M. 1., Diabetology. - M.: Meditzina, 2000. - 672 p.: Register of Pharmaceutical Substances of Russia. Edition 10. - RLS-2003, Moscow. - 2003. 1438 pp.). 인슐린의 생물학적 활성과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데카펩티드 인슐린 단편 (러시아 연방 특허 제2078769호 "Peptide fragment, possessing biological insulin similar activity", 발명의 국제 분류 (ICI) A61 K 38/28, 1997)이 공지되어 있다.
펩티드 p277 (사람 히트 쇽 단백질 (hsp 60) 동족체의 에피토프)이 공지되어 있다 (러시아 연방 특허 제2159250호 "Peptide p277 analogues and pharmacological substances on its basis for treatment and diagnostics of diabetes mellitus", 발명의 국제 분류 (ICI) A61 K 39/OO, 38/00, 2000).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허에 기술된 생물학적 활성은 이들 펩티드의 인슐린 유사 효과를 나타내며, 제 1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펩티드 물질을 발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뇨병을 위한 제약학적 제제 및 예방 또는/및 치료 방법을 위한 원형으로서 받아들여진, 특허 문헌 (EP 제1268518호 "Insulin potentiating peptides", 발명의 국제 분류 (ICI) C07K5/10; A61K38/07; A61K38/08, 2001)에 기술된 작은 인슐린-효능 강화 펩티드가 있다. 이러한 작은 펩티드는 펩티드성 제약학적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어,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제안된 펩티드 화합물은 구조적 동족체가 없는 테트라펩티드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안된 발명은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을 앓는 환자에서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펩티드성의 신규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을 수득하도록 고안된다.
본 발명은 서열식 Lys-Glu-Asp-Trp-NH2 (서열 번호: 1)의 테트라펩티드인 신규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를 기술한다. 상기 테트라펩티드는 통상의 펩티드 합성법에 의해 용액 상으로 수득된다 (Yakubke Kh. D., Eshkeit Kh.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Translated from German. - Mir, Moscow. - 1985. - 456pp.)
본 발명은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즉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서열식 Lys-Glu-Asp-Trp-NH2 (서열 번호: 1)의 테트라펩티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를 기술한다.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조절 효과는 알록산 당뇨병에서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알록산 당뇨병은 췌장의 β-세포의 손상과 관련되며 인슐린 결핍 및 글리코네오제네시스 (glyconeogenesis) 활성화 때문에 현저한 고혈당증을 수반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는 실험적으로 무독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물질은 이의 활성 펩티드제로서 유효량의 서열식 Lys-Glu-Asp-Trp-NH2 (서열 번호: 1)의 테트라펩티드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를 포함하며, 당뇨병의 경우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한다.
본원에서 용어 "제약학적 물질"은 당뇨병의 경우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물질로서 의학 분야에서 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사용을 발견할 수 있는 유효량의 서열식 Lys-Glu-Asp-Trp-NH2의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약물 형태의 사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활성 펩티드제의 양이, 이의 활성 및 독성에 대한 정량 지수에 부합하며 이용가능한 특정 지식과 관련되도록, 약물 형태에서 유효하도록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부합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제안된 테트라펩티드는 활성 성분으로서의 제약학에서 허용되는 혼합 방법에 따라 제약학적 담체와 함께 블렌딩된다.
담체는 예를 들어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와 같이 신체에 도입하기에 바람직한 물질의 약물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바람직한 투여 형태의 약물 조성물의 제조하기 위해 모든 공지된 제약학적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담체는 통상 멸균수를 포함하며, 안정성 또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른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약학적 물질이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를 위해 처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 펩티드제로서 유효량의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약리학적 물질을 치료 효과를 얻기에 필요한 기간 동안 1일 1회 이상으로 체중 kg 당 0.1 내지 30 μg/k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의 방법은 환자에게 약리학적 물질을 예방적 또 는 치료적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는 체중 kg 당 0.1 내지 30 μg/kg의 용량으로 도입될 때 활성을 나타내며, 처리되는 병적 진행의 특징 및 중증도에 따라 보다 소용량/고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처리에 따라,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고 인슐린에 대한 조직 민감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글루코즈 수준이 조절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여 목적하는 기술적 결과를 얻을 가능성은 이러한 과학 기술 분야에서 확립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신뢰성 있는 실험 및 임상 자료로 확인된다.
본 발명은 표로 설명된다.
표 1은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영향 (치료)을 나타낸다.
표 2는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영향 (예방 및 치료)을 나타낸다.
표 3은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상이한 용량의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영향을 나타낸다.
표 4는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혈중 인슐린 수준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영향을 나타낸다.
표 5는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글루코즈 내성 시험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과정 완료 후 44일째)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6은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과정 완료 후 28일째)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다.
표 7은 조사 동안 당뇨병을 앓는 환자의 분포를 나타낸다.
표 8은 인슐린으로 치료되었던 제 1형 및 제2형 당뇨병을 앓는 환자들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비경구 투여의 유효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합성 실시예 (실시예 1),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의 생물학적 활성 실시예 (실시예 2, 3, 4, 5, 6, 7), 및 테트라펩티드 Lys-Glu-Asp Trp-NH2의 임상 적용 결과 실시예 (이의 약리학적 특성을 입증하고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가능성을 확인) (실시예 8)로 설명된다.
실시예 1: Lys - GIu - Asp - Trp - NH 2 테트라펩티드의 합성
1. 생성물명: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2. 구조식: H-Lys-Glu-Asp-Trp-NH2
Figure 112006040296551-PCT00001
3. 이온쌍이 없는 분자식: C26H37N7O8
4. 이온쌍이 없는 분자량: 575.62
5. 이온쌍: 없음.
6. 외양: 냄새가 없는 백색 무정형 분말.
7. 합성법: 하기 도식에 따라 용액 상에서의 통상의 합성법으로 수득:
Figure 112006040296551-PCT00002
Z - 벤질옥시카보닐기;
BOC - 3급-부틸옥시카보닐기;
OSu - N-숙신이미드 에스테르;
OBzl - 벤질 에스테르;
DCC -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HOBT - N-옥시벤조트리아졸.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아스파트산을 가하는 경우, α-COOH기는 트리에틸아민으로 비누화하여 보호하였다. BOC-보호기는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TFA) 용액으로 제거하고 Z-보호기는 촉매적 수소화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추출하고 표준 상 컬럼 (실리카겔) 상에서 분취용 (preparative)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최종 생성물의 특징:
ㆍ 아미노산 분석
Lys Glu Asp Trp
0.95 1.00 1.06 0.90
ㆍ 펩티드 함량 97.48 % (HPLC, 220 nm);
ㆍ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 각각, Rf=O.64 (플레이트 PTSX-P-V-W Sorbfil, 실리카겔 STX-IVE 8-12 μm 아세토니트릴: 물 3:1);
ㆍ 수분 함량: 7 %;
ㆍ 0.01 %-용액의 pH: 4.05;
ㆍ UV-스펙트럼: 280 nm에서 최고점 - 트립토판 인돌 환
ㆍ 비회전력 (specific rotary power): [α]D23: -26.53° (c=1.0; H2O), "Polamat A", Carl Zeiss Jena
합성 실시예
1. BOC-Glu(OBzl)-Asp(OBzl)-OH(I), N-3급-부틸옥시카보닐-(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테이트
N-3급-부틸옥시카보닐-(γ-벤질)글루탐의 N-숙신이미드 에스테르산 (BOC-Glu(OBzl)-OSu) 4.34 g (0.0100 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72 ml (0.0125 mol) 및 β-벤질 아스파테이트 2.80 g (0.0125 mol)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5 N 황산 용액 (150 ml)으로 침전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3x30 ml)로 추출하고, 0.5 N 황산 용액 (2x20 ml), 물, 5 % 중탄산나트륨 용액 (lx20 ml), 물, 0.5 N 황산 용액 (2x20 ml), 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40 ℃에서 진공 하에 여과 및 제거시킨 후, 잔사를 P2O5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오일 5.68 g (약 100 %)을 수득하였다. Rf=0.42 (벤젠-아세톤 2:1, Sorbfil 플레이트, 실리카겔 - 8-12 μm, UV 및 염소/벤지딘으로 전개).
2. TFA H- Glu(OBzl)-Asp(OBzl)-OH (II), (γ-벤질)글루타밀-(β-벤질) 아스파테이 트 트리플루오르아세테이트
N-3급-부틸옥시카보닐-(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테이트 (I) 5.68 g (약 0.01 mol)를 디클로로메탄-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혼합물 (3:1)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2시간 후, 용매를 40 ℃에서 진공 하에 제거시켰다. 또 다른 부분의 디클로로메탄 (2x10 ml)를 가해 제거를 반복하였다. 잔사를 NaOH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오일 5.80 g (약 100 %)을 수득하였다. Rf=0.63 (n-부탄올-피리딘-아세트산-물, 15:10:3:12).
3. Z-Lys(Z)-Glu(OBzl)-Asp(OBzl)-OH (III), N,NE-디벤질옥시카보닐리실-(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테이트
(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II) 5.65 g (0.01 mol)를 디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2.80 ml (0.02 mol) 및 N,NE-디벤질옥시카보닐리신의 N-숙신이미드 에스테르 6.64 g (0.013 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0.5 N 황산 용액 (150 ml)으로 침전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30 ml)로 세척한 후, 0.5 N 황산 용액 (2x20 ml), 물, 5 % 중탄산나트륨 용액 (lx20 ml), 물, 0.5 N 황산 용액 (2x20 ml),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여과시키고, 40 ℃에서 진공 하에 제거시켰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시스템에서 재결정화하였다.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P2O5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6.04 g (72 %)을 수득하였다. 융점 (Tmi)은 142 ℃였다. Rf=0.60 (벤젠-아세톤, 1:1).
4. Lys(Z)-Glu(OBzl)-Asp(OBzl)-Pro-OBzl (IV), 1024,15 N,NE-디벤질옥시카보닐리실-(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트립토판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HCl·H-Trp-NH2) 1.8 g (7.2 μ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에 현탁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0 ml (7.2 mmol)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5분 후 N,NE-디벤질옥시카보닐리실-(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테이트 (III) 4.0 g (4.8 mmol) 및 N-옥시벤조트리아졸 0.8 g (5.8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그 후, 0 ℃로 냉각된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용액 1.2 g (5.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이러한 온도에서 교반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 (150 ml)에 붓고, 잔사를 분쇄한 후, 여과시켰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현탁시키고, 생성된 겔을 물 중의 1 N H2SO4 (2x100 ml), 5% NaHCO3 (2x100 ml), 물 중의 1 N H2SO4 (2x100 ml), 포화된 NaCl 용액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이소프로필 알콜 중에서 2회 결정화시켰다. 4.9 g (95 %)을 수득하였다. Rf=0.67 (벤젠-아세톤, 2:1).
5. H-Lys-Glu-Asp-Trp-NH2 (V),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575,62
N,NE-디카보벤젠옥시리실-(γ-벤질)글루타밀-(-β-벤질)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IV) 4.7 g을 Pd/C 촉매 상의 메탄올/물 (5:1) 시스템에서 수소화시켰다. 탈보호 반응의 완결을 벤젠/아세톤 (2:1) 및 아세토니트릴/물 (1:3) 시스템에서 TLC 방법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결 후, 촉매를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제거한 후, 잔사를 물/메탄올 시스템에서 재결정화하였다. 생성물을 KOH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2.6 g (90 %)을 수득하였다. Rf=0.64 (아세토니트릴/물, 1:1).
정제하기 위하여, 생성물 2.6 mg을f 아세토니트릴-물 혼합물 (1:3) 5 ml에 용해시키고, 컬럼 (21x4.5 cm, "Sigma" 실리카겔, 230-400 백 (40-63 μ))에 로딩하였다. 아세토니트릴-물 (1:3) 시스템으로 용출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적으로 균일한 물질 1 g을 수득하였다.
6. 최종 생성물의 분석
ㆍ 펩티드 함량은 Nucleosil 컬럼 C18 4.6x250 mm 상에서 HPLC로 측정하였다. A: 0.1% TEA; B: MeCN; B의 구배 0->30 %, 30분 내. 유동 속도: 1 ml/min. 검출: 220 nm. 스캐닝: 190-600 nm. 샘플 용적: 20 μ. 펩티드 함량 - 97.48 %.
ㆍ 아미노산 분석은 AAA "T-339" 테스터 (Prague) 상에서 수행하였다.
Lys Glu Asp Trp
0.95 1.00 1.06 0.90
ㆍ TLC: 각각 Rf=0.64 (아세토니트릴/물, 3:1, Sorbfil 플레이트, 8-12 μm 실리카겔, UV 및 염소/벤지딘으로 전개).
ㆍ 수분 함량: 7 % (중력측정법, 건조에 의한 질량 손실에 따름 - 100 ℃에서 20 mg).
ㆍ 0.01 % 용액의 pH: 4.05 (전위차법)
ㆍ 비회전력: [α]D23: -26.53 ℃ (c=1.0 H2O), "Polamat A", Carl Zeip Jena.
ㆍ UV-스펙트럼: 280 nm에서 피크 - 트립토판의 인돌 환, "Beckman DU 650", 0.001 % 물 용액.
실시예 2: 래트의 알록산 당뇨병 진행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 - Glu - Asp - Trp - NH 2 의 영향 (치료 변형)
본 조사에는 평균 체중이 375±35 g인 21 마리의 화이트 몽그렐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혈중 글루코즈 농도를 평가한 후, 모든 동물을 2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이어서, 모든 동물을 단일 정맥 투여로 알록산 용액 ("Spofa") 1 ml에 35 mg/kg의 용량으로 노출시켰다. 15일 후, 대조군 동물에는 1일 1회에 걸쳐 복강 내로 0.9% NaCl 용액 0.3 ml을 투여하고, 주요군의 래트에는 11일 동안 Lys-Glu- Asp-Trp-NH2를 래트 당 3 μg (0.9 % NaCl 용액 0.3 ml 중)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표 1은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가 동물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전체 조사 동안 38.4% (30-47.7 %)로 확실히 감소시키는 것에 기여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관련 글루코즈 수준의 감소는 주요군의 동물에서 치사율의 감소와 상호 관계를 가졌다. 이로써, 조사의 말기 (알록산 투여 후 84일)에 대조군의 동물에서는 치사율이 70 %였으나,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투여한 래트에서는 36.4 %였다. 따라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는 알록산 당뇨병 동물에서 2배의 치사율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래트의 알록산 당뇨병의 진행에 대한 Lys - Glu - Asp - Trp - NH 2 영향 (예방 및 치료 변형)
본 조사에는 평균 체중이 375±35 g인 15 마리의 화이트 몽그렐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동물을 2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대조군 동물에는 1일 1회에 걸쳐 정맥 내로 0.9% NaCl 용액 0.3 ml을 투여하고, 주요군의 동물에는 7일 동안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래트 당 3 μg (0.9 % NaCl 용액 0.3 ml 중)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을 단일 정맥 투여로 알록산 용액 ("Spofa") 1 ml에 35 mg/kg의 용량으로 노출시킨 후, 알록산을 투여한 후 3일 동안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투여하였다. 이 후, 대조군 래트는 18일 부터 28일까지 (총 11일) 동일 용량으로 제 2의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과정을 밟게 하였다.
조사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우선적으로, 건강한 동물에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투여는 혈중 글루코즈 수준의 감소를 이끌지 않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알록산 투여 후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대조군 동물은 초기 수준과 비교해 혈중 글루코즈 농도가 1.9 내지 4.9배 증가한 당뇨병 진행을 나타내었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제 1 과정을 밟은 래트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22 내지 30 %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이 감소하였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제 2 과정 후 이들 동물은 모든 실험 기간에 (28일째, 33일째, 40일째) 완전히 정상화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대조군 동물에서는 혈중 글루코즈 수준이 상응하게 2; 4.2; 3.8배 증가하였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로 처리된 8 마리 중 단지 2마리 만이 심각한 형태의 당뇨병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7 마리 중 5 마리가 심각한 형태의 당뇨병을 가져 2.9배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조사를 완결했을 때 (알록산 투여 후 40일째), 대조군은 57.1 %가 생존하고,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로 처리된 동물은 75 %가 생존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는 알록산 당뇨병 래트 에서 글루코즈 수준의 정상화에 기여하여 치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래트의 알록산 당뇨병에 대한 상이한 용량의 Lys - Glu - Asp - Trp - NH 2 테트라 펩티드의 영향
본 조사에는 평균 체중이 375±35 g인 23 마리의 화이트 몽그렐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을 단일 정맥 투여로 알록산 용액 ("Spofa") 1 ml에 35 mg/kg의 용량으로 노출시켰다.
이어서, 동물을 3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대조군 동물에는 1일 1회에 걸쳐 복강 내로 0.9% NaCl 용액 0.3 ml을 투여하고, 제 2 및 제 3군의 래트에는 7일 동안 Lys-Glu-Asp-Trp-NH2를 래트 당 1 μg (0.9 % NaCl 용액 0.1 ml 중) 및 10 μg (0.9 % NaCl 용액 1.0 ml 중)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표 3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래트에 테트라펩티드 Lys Glu-Asp-Trp-NH2를 l μg의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테트라펩티드 과정을 완결한 지 1일째 및 4일째에 17.3 % 및 12.3 %로 상응하게 혈중 글루코즈 수준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래트에 테트라펩티드 Lys Glu-Asp-Trp-NH2를 l0 μg의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테트라펩티드 과정을 완결한 지 1, 4, 7, 17일째에 30 %; 23.8 %; 26 %; 12.7 %로 상응하게 혈중 글루코즈 수준이 훨씬 더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5: 알록산 당뇨병 래트의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 -Glu-Asp-Trp-NH 2 의 영향
본 실험에는 평균 체중이 375±35 g인 18 마리의 화이트 몽그렐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평가한 후, 모든 동물을 2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이어서, 모든 동물을 단일 정맥 투여로 알록산 용액 ("Spofa") 1 ml에 35 mg/kg의 용량으로 노출시켰다. 15일 후, 대조군 동물에는 1일 1회에 걸쳐 복강 내로 0.9% NaCl 용액 0.3 ml을 투여하고, 주요군의 래트에는 11일 동안 테트라펩티드 Lys Glu-Asp-Trp-NH2를 래트 당 3 μg (0.9 % NaCl 용액 0.3 ml 중)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이는 동물에 알록산을 투여한 후 15일째에 당뇨병이 나타났다는 것을 입증한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된 래트에서 이의 투여 후 8일 동안 혈중 인슐린 함량이 대조군의 래트에 비해 3.9배 증가하였다. 실험 동안 수행된 모든 평가에서 혈중 인슐린이 관측되었으나 (13-18%)), 대조군 동물의 혈액 중에는 인슐린이 전혀 없었다. 실험을 완결하였을 때 (알록산 투여한지 70일째), 대조군의 동물은 62.5 %가 생존하고,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투여된 동물은 70 % 생존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테트라펩티드 Lys Glu-Asp-Trp-NH2를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인슐린 혈중 수준을 유지시키며, 이는 인 슐린 생성 세포 구조 및 기능을 부분적으로 회복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알록산 당뇨병 래트의 슈가 곡선 지수에 대한 테트라펩티드 Lys - Glu -Asp-Trp-NH 2 의 영향 (치료 변형)
본 조사에는 이전 시험에서 등록된 13 마리의 수컷 래트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투여를 완결한 지 44일째의 치료 변형)가 사용되었다. 동일한 체중을 갖는 7 마리의 건강한 래트를 별개 군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동물의 혈중 글루코즈 농도를 평가한 후, 이들 동물에게 2 % 글루코즈 용액 1 ml를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표 5는 이러한 시도의 결과를 나타낸다. 건강한 래트에서는 글루코즈 투여 후 이의 농도가 초기 수준 (100 %)과 비교하여 5분 후-203.9 %, 30분 후-156.3 %, 60분 후-124.6 %, 120분 후-114.5 %였다. 대조군 동물에서는, 동일한 지표가 상응하게 129.8; 127.5; 123.5; 121.1 %였다. 이들 자료는 알록산 상해 후 췌장 기능의 강한 억제를 나타낸다. Lys 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가 투여된 래트에서는 동일한 지표가 상응하게 142.9; 97.3; 95.6; 77.9 %였다. 이러한 결과는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래트에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가 췌장 기능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 Lys - Glu - Asp - Trp - NH 2 테트라펩티드 투여 후 알록산 당뇨병 래트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에 대한 인슐린의 영향
본 조사에는 이전 시험에서 등록된 13 마리의 수컷 래트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투여를 완결한 지 28일째의 치료 변형)가 사용되었다. 동일한 체중을 갖는 8 마리의 건강한 래트를 별개 군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동물들에 인슐린 (0.3 단위)를 정맥 내로 투여한 후, 이들의 혈중 글루코즈 농도를 평가하였다.
조사의 결과가 표 6에 나타나 있다. 건강한 동물은 글루코즈 수준에 있어 강력한 생리적 감소를 나타내나, (알록산 당뇨병을 앓는) 대조군 동물은 이 지수가 2.8배 낮았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로 처리된 알록산 당뇨병 동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슐린 투여 후 글루코즈 수준을 신뢰성 있게 약 2배 감소시켰다. 이들 자료는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가 인슐린에 대한 조직 민감성을 상당한 정도로 유지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조사 동안 나타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특성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물질로서 예방적 및 치료적 적용에의 사용을 권장한다.
하기 나타낸 제시된 테트라펩티드의 임상적 조사의 결과는, 이의 약리학적 특성을 입증하며, 본 발명의 실현 가능성을 확실하게 한다.
실시예 8: 당뇨병을 앓는 환자에서 Lys - Glu - Asp - Trp - NH 2 테트라펩티드의 적용 효능
본 조사는 16 내지 83세의 36명의 환자 (남성: 7명, 여성: 29명)에 대해 수행하였다. 23명의 환자는 제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었으며, 13명의 환자는 제 2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었다. 질병 지속 기간은 1년부터 30년까지 다양하였다. 32명의 환자는 인슐린을 투여받았다. 당뇨병을 앓는 대부분의 환자는 보상 작용의 상실로 입원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공복 시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은 9.5 to 27 μm/l로 변화되었으며, 글리코실화된 헤모글로빈은 7.8 내지 12.7 %였다. 모든 환자는 엄격한 규정식으로 처방되었다. 모든 환자는 나이, 성별, 질병의 지속 기간 및 상태와 관련하여 2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표 7). 치료의 표준 방식에 따라, 16명의 환자는 10일 동안 1일 1회에 걸쳐 근육 내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10 μg (0.9 % NaCl 용액 1 ml 중)의 용량으로 처방되었다. 제 2형 당뇨병을 앓는 4명의 환자는 10일 동안 식사를 하기 전에 하루에 2회에 걸쳐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100 μg (1 정제)의 용량으로 표준 치료 과정에 따라 처방되었다. 대조군의 환자는 동일한 계획에 따라 위약으로서 0.9 % NaCl 용액 1 ml을 투여하였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효능이 연구 결과가 표 8에 나타나 있다. (인슐린 처리되는 16명 중) 8명의 환자에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과정으로 인슐린 1일 용량이 평균 8 단위 감소하였으며, 보상 작용을 달성하였다.
6명의 환자는 인슐린 용량이 변화되지 않았으며 보상 작용이 기록되었다. 단지 2명의 환자는 보상 작용을 얻기 위해 인슐린 용량이 증가되었다: 제 1 환자는 4 단위, 제 2 환자는 14 단위. 동시에, 대조군 (16명의 인슐린 투여 환자)에서는 단지 2명의 환자만이 인슐린 용량이 변화되지 않았으며, 14명의 환자에서는 인슐린 용량을 4 내지 8 단위 증가시켜 보상 작용을 얻었다.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가 매일 정제로 투여된, 제 2형 당뇨병 (1명의 환자) 및 제 1형 당뇨병 (3명의 환자)을 앓는 환자에서 인슐린 용량은 25 단위 감소하였고, 경구로 항-당뇨 약물로 처리된 환자에서는 완전한 보상 작용을 얻었으며 제제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2배 감소되었다.
따라서, 당뇨병을 앓는 환자에서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적용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췌장 기능을 상당한 정도로 회복시켰다. 주요군의 환자 중 50 %에서 인슐린 용량의 감소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의 상당히 높은 효율성이 기록되었으며, 대조군의 환자에서는 전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한 결과를 확신시키기 위해 개인 병력 기록으로부터 3개의 짧은 발췌를 제시한다.
개인 병력 기록으로부터 발췌 1
환자 K., 69세, 제 2군 환자. 17년 동안 당뇨병 앓음. 1986년 이래로, 정 제 형태의 항-당뇨 약물을 투여받음. 1996년 이래로 이들 약물을 인슐린으로 대체함, 환자의 검사 결과 후기 당뇨 합병증을 나타냄.
진단: 제 2형 당뇨병, 인슐린에 대해 2차 내성, 당뇨 망막증, 다신경장애, 당뇨 신장질환, 증상을 나타내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입원 시: 혈중 글루코즈 수준 - 10 μmol/l, 식사 후 2시간 - 14 μmol/l, 혈액 임상 분석 - 정상, 단백뇨 - 0.66 g/l 이하, ECG - 좌심실 이상비대, 1일 인슐린 용량 - 82 단위.
처방: 규정식, B군의 비타민, 베를리티온 (berlition),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비경구 형태의 제약학적 조성물 10 μg을 10일 동안 근육 내로 투여.
18일째에 퇴원: 공복 시 혈중 글루코즈 수준 - 5.9 μmol/l. 1일 인슐린 용량 - 56 단위 (초기 수준과 비교해 26 단위 감소). 응고도 지수가 현저히 개선됨.
개인 병력 기록으로부터 발췌 2
환자 M., 40세, 제 2군 환자. 13년 동안 당뇨병 앓음. 당뇨병 발병이래 바로 인슐린 치료.
진단: 제 1형 당뇨병, 평균 단계, 당뇨 망막증, 다신경장애, 뇌질환.
치료를 위해 입원 시: 공복 시 혈중 글루코즈 수준 - 17.8 μmol/l. 혈액 및 소변 임상 분석 - 정상. 1일 인슐린 용량 - 40 단위.
처방: 규정식, B군의 비타민,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비경구 형태의 제약학적 조성물 10 μg을 10일 동안 근육 내로 투여.
15일째에 퇴원: 공복 시 혈중 글루코즈 수준 - 3.4 μmol/l. 1일 인슐린 용량 - 32 단위 (초기 수준과 비교해 8 단위 감소).
개인 병력 기록으로부터 발췌 3
환자 L., 83세. 25년 동안 당뇨병 앓음. 상이한 항당뇨 환약으로 치료됨. 엄격한 규정식을 따름. 환자의 최근 상태는 만족스러움.
진단: 제 2형 당뇨병. 당뇨 망막증.
치료를 위해 입원 시: 공복 시 혈중 글루코즈 수준 - 11 μmol/l. 혈액 및 소변 임상 분석 - 정상. 1일 2개의 디아베톤 정제를 투약. 환자가 복용하는 항당뇨 환약에 대해 내성을 보였으므로, 인슐린 투여가 권장됨. 환자가 인슐린 처리를 거절하므로, 2개의 디아베톤 정제와 함께 10일 동안 식사 전에 1일 2회에 걸쳐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을 포함하는 경구 형태의 제약학적 조성물 100 μg (1 정제)으로 처방됨. 2일 째, 공복 시 글루코즈 수준이 6 μmol/l이었으며, 이후 디아베톤 용량을 2배 감소시킴.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사용한 치료 과정이 끝난 후, 혈중 글루코즈 수준은 정상 범위 내임. 환자의 현상태는 만족스러움.
동물군 혈중 글루코즈 농도 (mg %)
초기 수준 알록산 투여 후 15일 Lys-Gl-Asp-Trp-NH2 투여 개시 후 8일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 완료 후 (일)
1 9 8 28 44 58
대조군 (NaCl) 84.0±5.7 345.0±15.4 360.0±12.3 342.5±17.3 351.4±11.2 368.3±8.1 375.7±11.2 347.2±12.8 332.1±13.7
n 10 10 9 8 7 6 5 5 3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81.1±3.8 333.6±12.4 254.5±16.2* 222.5±10.3* 183.9±10.5* 236.7±10.3* 221.5±11.2* 210.8±9.3* 198.9±11.5*
n 11 11 11 10 9 9 8 8 7
* P < 0.001, 대조군과 비교.
동물군 혈중 글루코즈 농도 (mg %)
초기 수준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 개시 후 7일 (경로 1) 알록산 투여 후 (일)
5 14 21 28 33 40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의 제 2 과정 (18일째부터 28일째까지)
대조군 (NaCl) 82.7±0.9 96.4±1.0 351.7±19.4* 333.7±55.8* 345.6±57.8* 156.4±26.4* 383.0±89.3* 405.0±89.8*
n 7 7 7 6 5 5 4 4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76.8±1.1 94.0±0.8 247.3±17.2*# 261.5±39.5*# 159.0±32.6*# 77.3±1.3# 90.7±5.2# 107.7±6.4#
n 8 8 8 8 6 6 6 6
* P < 0.001, 대조군과 비교;
# P < 0.02, 대조군과 비교.
동물군 혈중 글루코즈 농도 (mg %)
초기 수준 알록산 투여 후 (일)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 후(일)
7 14 1 4 7 14 21
대조군 (NaCl) 78.6±4.2 276.4±0.9 272.1±9.8 275.7±9.7 278.6±9.8 277.9±11.1 275.O±10.5 285.0±12.9
n 7 7 7 7 7 7 6 8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1 mkg) 80.6±2.8 245.6±12.3 261.7±12.3 228.3±10.7* 244.4±12.2* 269.4±8.6 268.8±12.4 272.5±9.9
n 9 9 9 9 8 8 8 8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10 mkg) 83.9±3.4 247.2±14.0 252.2±7.9 193.3±6.7* 212.2±7.3* 205.6±8.4* 240.0±7.9* 248.3±13.5
n 7 7 7 7 7 7 6 6
* P < 0.05, 대조군과 비교.
동물군 혈중 인슐린 함량 (mkIU/ml)
초기 수준 알록산 투여 후 15일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 투여 개시 후 8일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투여 완료 후(일)
1 9 18 28 44
대조군 (NaCl) 24.3±2.1 2.0±0.7 0.8±0.25 0 0 0 0 0
n 8 8 8 7 6 5 5 5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23.8±2.8 1.5±0.4 3.1±1.1* 3.6±0.7# 3.2±0.5# 4.3±0.5# 4.1±0.6# 3.9±1.1#
n 10 10 10 8 7 7 7 7
* P < 0.05, 대조군과 비교;
# P < 0.001, 대조군과 비교.
동물군 초기 수준 글루코즈 투여 후 시간 (분)
5 30 60 120
건강군 84.5±4.2 172.3±8.1 132.1±9.1 105.3±6.2 96.8±5.3
n 7 7 7 7 7
대조군 (NaCl) 347.2±12.8* 450.5±15.2* 442.7±14.3* 428.9±14.1* 420.5±16.5*
n 5 5 5 5 5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210.8±9.3# 301.2±10.5# 205.1±11.8# 201.5±13.2# 164.2±12.8#
n 8 8 8 8 8
* P < 0.001, 건강한 동물과 비교;
# P < 0.05, 대조군과 비교.
동물군 혈중 글루코즈 농도 (mg %) 초기 수준에 대한 글루코즈 함량의 감소
초기 수준 인슐린 투여 30분 후
건강군 83.5±3.2 29.4±2.2 64.8
n 8 8
대조군 (NaCl) 375.7±11.2* 287.8±12.5* 23.4
n 5 5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221.5±11.2# 123.6±8.3# 44.2
n 8 8
* P < 0.001, 건강한 동물과 비교;
# P < 0.05, 대조군과 비교.
색인 환자군
대조군 (위약) 주요군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환자의 수 16 20
남자 3 4
여자 13 16
Number of patients with type 1 당뇨병 11 12
Number of patients with type 2 당뇨병 5 8
색인 환자군
대조군 (위약) 주요군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
환자의 수 16 16
보상 작용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인슐린 용량이 감소 0 8
보상 작용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인슐린 용량이 동일 2 6
보상 작용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인슐린 용량이 증가 14 2
<110> Sankt-Peterburgskaya Obschestvennaya Organizatsiya "Sankt-Peterburgskiy Institut Bioregulyatsii i Gerontologii Szo Ramn" <120> Tetrapeptide regulating blood glucose level in diabetes mellitus <130> IBG/09/04 <150> RU2003135605 <151> 2003-12-10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e tetrapeptide Lys-Glu-Asp-Trp-NH2 regulates blood level in organism, suffering from diabetes melitus, due to increasing of insulin secretion and increasing of tissue sensivity to insulin. <400> 1 Lys Glu Asp Trp 1

Claims (9)

  1. 서열식 Lys-Glu-Asp-Trp-NH2 (서열 번호: 1)의 테트라펩티드인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2.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서열식 Lys-Glu-Asp-Trp-NH2 (서열 번호: 1)의 테트라펩티드인 리실-글루타밀-아스파틸-트립토판 아미드.
  3. 활성 펩티드제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며, 활성 기재로서 유효량의 테트라펩티드 Lys-Glu-Asp-Trp-NH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펩티드성의 제약학적 물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되는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되는 조성물.
  6. 활성 펩티드제로서 유효량의 Lys-Glu-Asp-Trp-NH2 테트라펩티드를 포함하는 약리학적 물질을 치료 효과를 얻기에 필요한 기간 동안 1일 1회 이상으로 체중 kg 당 0.1 내지 30 μg/k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리학적 물질이 비경구 투여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리학적 물질이 경구 투여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기술된 약리학적 물질이 체중 kg 당 0.1 내지 30 μg/kg의 용량으로 투여되었을 때 활성인 방법.
KR1020067011267A 2003-12-10 2004-08-09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 KR101106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3135605 2003-12-10
RU2003135605/15A RU2242241C1 (ru) 2003-12-10 2003-12-10 Тетрапептид, регулирующий уровень глюкозы при сахарном диабете,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PCT/RU2004/000318 WO2005056580A1 (en) 2003-12-10 2004-08-09 Tetrapeptide regulating blood glucose level in diabetes melli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199A true KR20070022199A (ko) 2007-02-26
KR101106609B1 KR101106609B1 (ko) 2012-01-20

Family

ID=3438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267A KR101106609B1 (ko) 2003-12-10 2004-08-09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91703B2 (ko)
EP (1) EP1697401B1 (ko)
JP (1) JP2007537140A (ko)
KR (1) KR101106609B1 (ko)
AT (1) ATE454397T1 (ko)
AU (1) AU2004296269B2 (ko)
CA (1) CA2547873C (ko)
DE (1) DE602004025040D1 (ko)
DK (1) DK1697401T3 (ko)
EA (1) EA008541B1 (ko)
LT (1) LT5421B (ko)
LV (1) LV13462B (ko)
RU (1) RU2242241C1 (ko)
UA (1) UA85204C2 (ko)
WO (1) WO2005056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95970C1 (ru) * 2006-05-23 2007-03-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 Пептайдс" Пептид, повышающий резистентность капилляров,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304444C1 (ru) 2006-05-23 2007-08-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 Пептайдс" Пептид, обладающий стресспротекторным действием,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301074C1 (ru) 2006-05-30 2007-06-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 Пептайдс" Пептид, обладающий иммуногеропротекторным действием,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301678C1 (ru) 2006-05-30 2007-06-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 Пептайдс" Пептид, стимулирующий регенерацию нейронов центрально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613314C2 (ru) * 2013-06-28 2017-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армакологии имени В.В. Закусова" Малые молекулы с NGF-подоб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обладающие антидиабе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1284A1 (de) * 1984-03-27 1985-10-10 Wacker-Chemie GmbH, 8000 München Organo(poly)siloxane und derartige organo(poly)siloxane enthaltende, durch bestrahlung mit licht vernetzbare massen
IL112094A0 (en) 1994-12-21 1995-03-15 Yeda Res & Dev Novel pept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6180103B1 (en) 1994-12-21 2001-01-30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Peptide p277 analog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for treatment or diagnosis of diabetes
RU2078769C1 (ru) 1995-08-18 1997-05-1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иомедицинской химии РАМН Пептидный фрагмент, обладающи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нсулина
AUPQ661800A0 (en) * 2000-03-31 2000-05-04 Metabolic Pharmaceuticals Limited Insulin-potentiating compounds
RU2166957C1 (ru) * 2000-10-09 2001-05-20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ая Обществен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Институт Биорегуляции И Геронтологии Сзо Рамн" Тетрапептид, стимулирующий функциональную активность гепатоцитов,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EP1499350A4 (en) * 2001-08-31 2006-02-08 Agensys Inc NUCLEIC ACID AND ASSOCIATED PROTEIN HAVING NAME 205P1B5 FOR USE IN THE TREATMENT AND DETECTION OF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47873C (en) 2011-11-22
ATE454397T1 (de) 2010-01-15
US20070142298A1 (en) 2007-06-21
JP2007537140A (ja) 2007-12-20
DK1697401T3 (da) 2010-05-03
LV13462B (en) 2007-02-20
LT2006024A (en) 2007-02-26
EP1697401A1 (en) 2006-09-06
UA85204C2 (uk) 2009-01-12
EA008541B1 (ru) 2007-06-29
AU2004296269B2 (en) 2010-06-03
AU2004296269A1 (en) 2005-06-23
CA2547873A1 (en) 2005-06-23
WO2005056580A1 (en) 2005-06-23
EP1697401B1 (en) 2010-01-06
RU2242241C1 (ru) 2004-12-20
US7491703B2 (en) 2009-02-17
LT5421B (lt) 2007-05-25
KR101106609B1 (ko) 2012-01-20
DE602004025040D1 (de) 2010-02-25
EA200600757A1 (ru)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7949B1 (en) Exendin-4 derivatives as selective glucagon receptor agonists
EP0309100B1 (en) Use of amylin or CGRP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EP1179008B1 (en) Tetrapeptide revealing geroprotective effect, pharmacological substance on its basis, and the method of its application
EP3825324A1 (en) Co-agonists of the glucagon and glp-1 receptors
JP2002516318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の新規エフェクター
US20080076714A1 (en) Administration of gene-regulatory peptides
DE10150203A1 (de) Peptidylketone als Inhibitoren der DPIV
DE10154689A1 (de) Substituierte Aminoketonverbindungen
CN114349828A (zh) Glp-1/胰高血糖素受体双重激动剂及其应用
JPH06504794A (ja) 新規アミリン作動薬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RU2362579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ептида, обладающего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ым действием
EP0914827B1 (en) Ophthalmic drug compositions
KR101106609B1 (ko) 당뇨병에서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조절하는 테트라펩티드
JPH0242026A (ja) 関節炎の処置
US4390528A (en) Tuftsinyl-tuftsin
CN112608378A (zh) 一类glp-1/胆囊收缩素-1受体双重激动剂及其应用
EP1325026B1 (en) Tetrapeptide stimulating functional activity of hepatocytes and its therapeutical use
EP1353939B1 (en) Tetrapeptide regulating prostate functions and its compositions and uses
EP1758922B1 (en) Peptide substance restoring function of respiratory organs
JP2022177648A (ja) 血糖降下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血糖降下薬剤
RU2422461C1 (ru) Аналоги эксенатида
EP1466613A1 (en) Compositions for mucosal and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hCG fragments
JPWO2005092363A1 (ja) オリゴペプチドを用いた糖尿病合併症の予防・治療剤
HU183636B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peptides with anorexigen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