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082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082A
KR20070022082A KR1020067026206A KR20067026206A KR20070022082A KR 20070022082 A KR20070022082 A KR 20070022082A KR 1020067026206 A KR1020067026206 A KR 1020067026206A KR 20067026206 A KR20067026206 A KR 20067026206A KR 20070022082 A KR20070022082 A KR 2007002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evating member
main body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6702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082A/ko
Publication of KR2007002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65D41/30Deformable caps combined with resilient stoppers to permit re-use as temporary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커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용기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승강부재의 배출통로를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상 청결함으로 유지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상 청결하고 용기입구에 실링부재를 실링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개봉 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의 뚜껑은 실링 부재(2)로 밀봉 처리된 용기(1)의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4)와, 상기 본체(3)의 상측부에 씌워진 커버(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 속에 들어 있는 음료를 마실 때에는 상기 본체(3)를 음료 용기(1)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용기(1)의 입구를 막고 있는 실링 부재(2)를 제거한다. 이후 다시 상기 본체(3)를 음료 용기(1)와 입구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커버(5)를 열고 상기 승강 부재(4)를 손으로 잡아서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뚜껑 본체의 헤드부(3')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4)의 상측면(4')이 이격되어 음료 용기(1)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 용기(1)를 기울여서 음료를 배출시켜 마실 수 있게 된다.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 부재(4)를 손으로 압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용기(1)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마개는 용기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용기(1)로부터 본체(3)를 분리시킨 후 용기입구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2)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2)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2)와 용기의 입구 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2)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하게 되어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용기마개는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 부재(4)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서 용기입구를 개방시켜야 하고, 음료를 마시고 난 다음에는 다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 부재(4)를 원위치로 밀어 넣어야 함으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부재를 용기마개의 내부에 설치하여 용기입구에 실링부재를 실링할 필요가 없어 용기입구에서 실링부재를 뜯어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커버를 돌려서 열면 자동으로 승강부재가 하강하면서 용기입구를 개방하기 때문에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승강부재를 손으로 잡아 당겨야 되는 종래의 용기마개가 가지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승강부재를 손을 잡을 필요가 없어 위생상 청결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승강부재를 입에 물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마실 때 승강부재와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용기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마시기 편리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이 밀착되어 실링되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중앙이 개방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그 바깥쪽 부위는 상기 용기입구가 밀착되고, 그 안쪽 부위는 상기 승강부재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실링부재의 안쪽 부위에 밀착되어 밀봉 작용을 하는 개폐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통로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리브와,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삽입되는 걸림 그루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그 외주면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작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커버의 안쪽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그 내주면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최상측으로 도달하였을 때 상기 걸림턱과 걸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유지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이탈 방지턱을 통과하였을 때 상기 걸림유지턱과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걸림돌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실링부재가 용기마개의 내부에 배치되어 용기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입구를 밀봉시키고 승강부재의 개폐판이 밀착되어 용기마개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용기입구에 실링부재를 실링할 필요가 없어 용기 입구에서 실링부재를 뜯어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용기입구에서 실링부재를 뜯을 때 손이 용기입구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씌워진 커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용기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승강부재의 배출통로를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상 청결함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부재의 배출통로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때 승강부재와 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도 2의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된 도 2의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용기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2의 용기마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내측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된 도 2의 용기마개의 상승부재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18은 도 14에서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와 사시도이고, 도 3은 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도 2의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된 도 2의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용기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2의 용기마개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내측 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된 도 2의 용기마개의 상승부재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는 본체(16)와, 상기 본체(16)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 역할을 하며 본체(16)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용기입구(12)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18)와, 상기 본체(16)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재(18)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 부위를 보호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18)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6)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4)와, 상기 장착부(24)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24)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18)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24)는 그 외주면에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들(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0)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마개와 용기입구(12)사이의 결합 형태는 암나사부(28)와 수나사부(30)형태 이외에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떠한 결합 형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6)가 용기(10)와 결합될 때 휨모멘트의 발생에 의하여 본체 (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가 승강부재(18)를 누름으로써 승강부재(18)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6)는 용기(10)와 결합될 때 발생되는 휨모멘트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6)에 형성되는 보강리브(23)는 승강부재 가이드부(26)와 동심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23a)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4)의 상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용기 입구(12)의 상면이 밀착되어 실링되는 실링부재(32)가 장착된다. 상기 실링부재(32)는 중앙이 개방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6)의 장착부(24)를 용기입구(12)에 체결하면 상기 용기 입구(12)의 상면이 밀착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 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32)가 용기마개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입구(12)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실링할 필요가 없어 용기입구(12)에서 실링부재를 뜯어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32)는 그 바깥쪽 부분이 상기 용기입구(12)가 밀착되고, 그 안쪽 부분이 상기 승강부재(18)가 밀착되어 용기(1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26)는 상기 장착부(24)의 상측에 상기 장착부(24)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승강부재(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18)가 하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36)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20)가 걸림 작용되는 걸림리브(40)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18)는 상기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42)가 형성되며, 그 하면에 상기 실링부재(32)의 안쪽 부위에 밀착되어 밀봉작용을 하도록 직경이 넓어지는 원판 형태의 개폐판(4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부재(18)의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승강부재(18)가 하강했을 때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통로(42)로 유입되는 유입구(46)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18)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승강부재(18)의 외주면을 이빨 또는 입술로 물기 편리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부(4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승강부재(18)의 중앙측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36)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8)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돌기(38)가 이탈 방지턱(36)에 걸림되어 상기 승강부재(18)가 본체(16)에서 하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부재(18)의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승강부재(18)와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60)가 마련되어 승강부재(18)의 배출통로(42)를 통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될 때 상기 승강부재(18)와 승강부재 가이드부(26) 사이의 틈새(60)로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배출될 때의 울 컥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8)의 내주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46)의 형성된 부분에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5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5)는 승강부재(18)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특히 유입구(46)보다 높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형또는 '+'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18)의 외주면과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1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5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18)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54)와,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4)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 그루브(5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18)를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돌기(54)가 상기 걸림 그루브(5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1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되는 것은 방지된다. 물론 상기 회전 방지부(50)는 승강부재(18)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경우에는 승강부재(18) 자체가 회전 방지부(5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18)에 대응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은 승강부재(18)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외주면과 결합되 어 상기 승강부재(18)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4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62)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40)에 걸림되는 걸림턱(6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20)의 걸림턱(64)은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4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하면 걸림리브(40)에서 이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는 그 하단에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연결부재(66a)로 연결된 스커트부(66)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커버(20)를 일정 힘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커트부(66)가 뜯겨지면서 상기 커버(20)가 본체(16)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커버(20)와 상기 승강부재(18) 사이에는 상기 커버(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18)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작동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70)는 상기 승강부재(18)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72)와, 상기 커버(20)의 안쪽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18)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76)와, 상기 지지부(7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72)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7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7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승강부재(18)는 상기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에 회전 방지부(5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 록 지지된 상태이고, 상기 커버(20)는 걸림턱(64)가 본체(16)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40)에 걸림된 상태이고, 상기 승강부재(18)의 암나사부(72)와 커버(20)의 수나사부(74) 사이가 나사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커버(20)를 회전시키면 커버(20)는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서 공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18)의 암나사부(72)가 커버(20)의 수나사부(74)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부(7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승강부재(18)의 외주면의 상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용기입구(12)에 용기마개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장착된 실링부재(32)의 바깥쪽 부위에 용기 입구(12)의 상면이 밀착되어 용기(10)를 밀봉시키고 상기 실링부재(32)의 안쪽 부위에 승강부재(18)의 개폐판(44)이 밀착되어 밀봉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먼저, 커버(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20)는 스커트부(66)가 뜯겨지면서 본체(16)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커버(20)는 걸림턱(64)이 본체(16)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40)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20)가 회전되면 상기 커버(20)와 승강부재(18) 사이에 형성된 작동부(70)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18)가 하강하면서 승강부재(18)의 개폐판(44)이 실링부재(32)에서 분리되면서 용기(10)를 개방한다. 즉, 승강부재(18)의 걸림돌기(54)가 상기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에 형성된 걸림 그루브(52)에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커버(20)가 회전되면 상기 승강부재(18)에 형성된 암나사부(72)가 상기 커버(20)의 수나사부(74)에서 풀리면서 승강부재(18)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18)가 계속 하강하여 승강부재(1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8)가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36)에 접촉되면 상기 승강부재(18)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가 더 회전되면 상대적으로 커버(20)에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커버(20)의 걸림턱(64)이 본체(16)에 형성된 걸림리브(40)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20)를 본체(16)에서 벗겨낸 후 용기(10)를 기울이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승강부재(18)의 유입구(46)를 통해 배출통로(42)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통로(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부재(18)의 끝부분에는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승강부재(18)를 물고 빨기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이 배출통로(42)를 통해 배출될 때 상기 승강부재(18)와 승강부재 가이드부(26) 사이의 틈새(60)를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배출통로(42)를 통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다시 용기(10)를 밀봉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20)를 본체(16)에 씌운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20)의 수나사부(74)가 승강부재(18)의 암나사부(72)에 조여지면서 승강부재(18)가 상승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부재(18)의 개폐판(44)이 실링부재(32)에 밀착되어 용기(10)가 밀봉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판(44)이 실링부재(32)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상기 승강부재(18)는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커버(20)가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18)가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기 때문에 커버(20)의 수나사부(74)에 승강부재(18)의 암나사부(72)가 조여지면 상기 커버(20)가 하강하면서 커버(20)의 걸림턱(64)이 본체(16)의 걸림리브(40)를 타고 넘어가 걸림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들이고, 도 18은 도 14에서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커버(20)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승강부재(18)가 하강 상태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의 경우에는 승강부재(18)가 상승 상태를 유지하여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에는 상기 승강부재(18)에 형성된 걸림돌기(38)와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걸림유지턱(37)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유지턱(37)은 승강부재(18)가 최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승강부재(18)에 형성된 걸림돌기(38)와의 걸림에 의하여 실링부재(32)가 바깥쪽 부분이 상기 용기입구(12)가 밀착되고, 안쪽 부분이 상기 승강부재(18)가 밀착되어 용기(10)를 밀폐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38) 및 걸림유지턱(37)의 걸림 상태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였을 때 그 걸림 상태가 해제될 정도이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38)가 상기 이탈 방지턱(36)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승강부재(18)의 하강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승강부재(18)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8)에는 걸림돌기(28)의 상측에 제 2 걸림돌기(39)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돌기(39)는 걸림돌기(28)가 이탈 방지턱(36)을 통과하여 이탈 방지턱(36)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에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돌기(28)가 이탈 방지턱(36)을 통과하였을 때 상기 걸림유지턱(37)에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승강부재(18)가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승강부재(18)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6)가 용기(10)와 결합될 때 휨모멘트의 발생에 의하여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가 승강부재(18)를 누름으로써 승강부재(18)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8) 및 제 2 걸림돌기(39)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지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8)의 외주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39a)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8) 및 제 2 걸림돌기(39)가 복수개의 돌기부(39a)들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16)가 용기(10)와 결합될 때 휨모멘트의 발생에 의하여 본체(16)의 승강부재 가이드부(26)가 승강부재(18)를 누르게 되더라도 보다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턱(36) 및 걸림유지턱(37) 또한 승강부재 가이드부(26)의 내주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작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승강부재(18)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8)가 이탈 방지턱(36)을 통과하여 걸림돌기(38)와 이탈 방지턱(36)이 걸림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걸림돌기(39)가 걸림유지턱(37)과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승강부재(18)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용기(10)를 기울이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승강부재(18)의 유입구(46)를 통해 배출통로(42)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통로(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8)는 커버(20)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 또는 입에 의하여 인발되거나 눌림으로써 용기(10)를 밀폐 또는 개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부재(18)가 최상측으로 인발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28)는 상기 걸림유지턱(37)을 통과하여 걸림유지턱(37)과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승강부재(18)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20)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승강부재(18)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용기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Claims (25)

  1. 용기 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 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이 밀착되어 실링되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중앙이 개방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이 밀착되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밀봉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중앙이 개방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그 바깥쪽 부위는 상기 용기 입구가 밀착되고, 그 안쪽 부위는 상기 승강부재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그 하면 에는 실링부재의 안쪽 부위에 밀착되어 밀봉 작용을 하는 개폐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하측에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배출통로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통로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리브와,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리브가 삽입되는 걸림 그루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과 승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외주면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하단에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커버를 일정 힘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커트부가 뜯겨지면서 상기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화전시키면 승강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작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용기마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커버의 안쪽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8. 용기 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승강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그 내주면에 보강리브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턱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부재 가이드부의 최상측으로 도달하였을 때 상기 걸림턱과 걸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유지턱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이탈 방지턱을 통과하였을 때 상기 걸림유지턱과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걸림돌기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1020067026206A 2004-06-12 2005-06-10 용기마개 KR20070022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206A KR20070022082A (ko) 2004-06-12 2005-06-10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364 2004-06-12
KR1020067026206A KR20070022082A (ko) 2004-06-12 2005-06-10 용기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866A Division KR20080035705A (ko) 2004-06-12 2005-06-10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082A true KR20070022082A (ko) 2007-02-23

Family

ID=4365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206A KR20070022082A (ko) 2004-06-12 2005-06-10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294A (en) * 2010-07-26 2012-02-01 Ltg Designs Ltd Suction released drinking vessel closure
KR101229101B1 (ko) * 2007-10-22 2013-02-01 르네 빌헬름 용기 마개 및 용기 마개용 시트재 천공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01B1 (ko) * 2007-10-22 2013-02-01 르네 빌헬름 용기 마개 및 용기 마개용 시트재 천공구
GB2482294A (en) * 2010-07-26 2012-02-01 Ltg Designs Ltd Suction released drinking vessel closure
GB2482294B (en) * 2010-07-26 2013-08-07 Ltg Designs Ltd A closure for a drinking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5705A (ko) 용기마개
ES2372657T3 (es) Tapa de recipiente para líquidos con mecanismo dispensador y cierre estanco.
US4966300A (en) Insulated drinking container
KR20070022082A (ko) 용기마개
KR100799504B1 (ko) 포장용 안전용기
JP2006306414A (ja) 中栓付きキャップ
JP2012030872A (ja) 注出器
KR100844160B1 (ko) 음료용기의 개폐장치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JP2537703Y2 (ja) スポイト付き蓋
US5056171A (en) Waterbed mattress air bleeder valve
KR100860834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KR101791813B1 (ko) 디스펜서 기능을 구비하는 음료 혼합 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930003777Y1 (ko) 진공식품 용기 및 진공용 공기 압출기구
JPS5939954Y2 (ja) 繰出し容器の中皿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JP2002264961A (ja) プッシュプル式複合容器蓋
KR101946422B1 (ko) 액체흘림방지 및 유량조절 장치
WO2021155868A1 (zh) 一种自动开闭盖组件
KR200453481Y1 (ko) 액상인출용기
KR100814483B1 (ko) 씰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JPH11342965A (ja) ノズル付安全キャップ
JPH04112048U (ja) 容 器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