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223A - 유압식 수동 공구 - Google Patents

유압식 수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223A
KR20070020223A KR1020067019084A KR20067019084A KR20070020223A KR 20070020223 A KR20070020223 A KR 20070020223A KR 1020067019084 A KR1020067019084 A KR 1020067019084A KR 20067019084 A KR20067019084 A KR 20067019084A KR 20070020223 A KR20070020223 A KR 2007002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ston
pump
chamber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543B1 (ko
Inventor
알버트 에이. 맥캐이
Original Assignee
록링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링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록링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2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10T29/49902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by manipulating alig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98Work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67Coupling to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09Means comprising hand manipulatable tool
    • Y10T29/53913Aligner or center

Abstract

피팅(F)을 상기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유체관(C)이 상기 커넥터 본체(CB) 안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피팅의 스웨이지 링(SR)을 상기 피팅의 커넥터 본체(CB) 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는 펌프 챔버(94, 334)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된 피스톤 챔버(38, 238)를 형성하고 있는 클램핑 조립체(22, 22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 222)는 상기 하나의 커넥터 본체(CB)와 상기 스웨이지 링(SR)과 결합하는데 적합한 고정 조오(30, 230) 및 또 다른 커넥터 본체(CB)와 상기 스웨이지 링(SR)과 결합하는데 적합한 가동 조오(34, 2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28, 228)은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8, 228)과 가동 조오(34, 234)는 상기 조오들(30, 34, 230, 234)들이 상기 커넥터 본체(CB)와 상기 스웨이지 링(SR)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1 방향으로의 피스톤의 운동은 상기 가동 조오(34, 234)를 상기 고정 조오(30, 230)를 향하여 움직이게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CB)를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CB)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다. 펌프 본체(16, 216)는 상기 펌프 챔버(94, 334)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에 연결된다. 유조(14, 214)는 펌프 챔버(94, 334)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된다. 수동 펌프 피스톤(92, 332)은 상기 피스톤(28, 228)을 제1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상기 유조(114, 214) 로부터 유체를 유출시키고 상기 유출된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유압식 수동 공구{HYDRAULIC HAND TOOL}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설치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웨이지 링 피팅(swage ring fitting)을 설치하기 위한 휴대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은 스웨이지 링 피팅을 위한 원격의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을 요하지 아니하는 휴대용 설치 공구로서 특정 분야에 응용되고 특정 참고자료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유사한 작업환경 및 응용분야와 관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발명의 배경
튜브나 파이프와 같은 유체관에 관련된 한 유형의 피팅은 유체관 위에 느슨하게 설치된 커넥터 본체,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seal)을 제공하고 강한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유체관의 외부면에 대해 상기 커넥터 본체를 물리적으로 압축 및/또는 변형하는 스웨이지 링(swage ring)을 포함한다.
유체관에 피팅을 조립하기 위한 종래의 공구는 때때로 고정 조오(fixed jaw), 가동 조오(movable jaw) 및 상기 가동 조오를 상기 고정 조오로 이동시키지 위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조오는 상기 스웨이지 링과 커넥터 본체를 죄 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작용 과정에서 상기 조오는 커넥터 본체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을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 본체를 압축하거나 상기 유체관 안으로 이동하게 하여 실과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게 한다. 상기 스웨이징이 완료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 안의 유압은 제거되고 리턴 스프링은 상기 공구가 상기 피팅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가동 조오를 그것의 본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종래 공구들은 유압식 호스 조립체(hydraulic hose assembly)를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유압 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된 유압액을 통해 유압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유압 공급장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운전자는 단지 공구의 일부분만 운반할 수 있고 상기 유압식 호스의 길이에 의해 이동성이 제한된다.
종래의 설치 공구들의 구체예는 미국특허번호 제4,189,817호("관연결구를 위한 유압식 조립 공구"); 제5,305,510호("관연결구를 위한 개량된 로드 베어링 배열을 가진 유압식 조립 공구"); 제5,694,670호("안전한 스웨이징 공구"); 제6,434,808호("소형 설치 공구"); 및 제6,618,919호("설치 공구 펌프의 원격 작동")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 공급장치와 호스와의 연결의 필요성에 기인한 제한된 이동성과 상기 유압 공급장치의 상대적 비이동성은 이러한 유형의 설치 공구들의 단점 중 하나이다. 더욱이, 종래의 설치 공구들이 때때로 부피가 크거나 무겁기 때문에 원격에서나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설치 공구는 비교적 이동성이 있 고 원격에 그리고/또는 한정된 장소에 도달되어 사용할 수 있는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설치 공구가 다양한 작업 공간에서 다양한 피팅과 함께 사용되거나, 혹은 최소한 더욱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개선점들이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한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유압식 조립 공구는 피팅의 커넥터 본체 위로 피팅의 스웨이지 링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지고, 한편 상기 유체관에 상기 피팅을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유체관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용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유압식 조립 공구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펌프 챔버에 연결된 피스톤 챔버를 형성하고 있는 클램핑 조립체(clamping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는 상기 하나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스웨이지 링을 결합하는데 적합한 고정 조오 및 다른 커넥터 본체와 스웨이지 링을 결합하는데 적합한 가동 조오를 갖고 있다.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챔버 안에 설치된다.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피스톤의 운동은 상기 가동 조오가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하여 움직이게 하고, 그로 인하여 커넥터 본체 위로 스웨이지 링을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조오가 커넥터 본체와 상기 스웨이지 링에 결합되어졌을 때, 그 안에 수용된 상기 유체관에 커넥터 본체를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과 상기 가동 조오가 형성되어진다. 펌프 본체는 상기 펌프 챔버를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조립체에 연결된다. 유조(fluid reservoir)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펌프 챔버에 연결되어 있다. 수동으로 작동되는 펌프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을 제1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유조로부터 유체를 유출시키고 유출된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 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펌프 챔버 안에 설치된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유압식 조립 공구를 사용하는 유체관에 피팅을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유압식 조립 공구의 고정 조오와 가동 조오는 커넥팅 본체 안에 수용되어진 유체관과 함께 상기 피팅의 스웨이지 링과 상기 피팅의 커넥터 본체에 결합된다. 유압식 조립 공구의 펌프 챔버 내에 설치된 펌프 피스톤은 수동으로 작동된다. 상기 펌프 피스톤이 제1 방향으로 운동할 때, 유체는 상기 유압식 조립 공구의 유조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펌프 챔버 안으로 유입된다. 상기 펌프 피스톤이 제2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펌프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진 유체는 상기 유압식 조립 공구의 피스톤 챔버 안으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유조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 안으로 유체를 유출시키는 과정과 상기 펌프 챔버 안의 유출된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 안으로의 유입시키는 과정은 반복된다. 상기 피스톤 챔버 안에 설치된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챔버 안으로 유입된 상기 유체와 함께 움직여진다. 상기 피스톤과 함께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을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커넥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유체관에 커넥터 본체를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게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하나의 휴대용 유압식 조립 공구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관점에서 보면, 상기 공구는 피스톤 챔버를 형성하는 클램프 본 체(clamp body)를 포함한다. 고정 조오는 상기 클램프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 중 하나이거나 상기 클램프 본체에 고정된 것이다. 가동 조오는 클램프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에 대하여 가동적이다.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챔버 안에 설치된다.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피스톤의 운동은 상기 가동 조오를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하여 이동하게 한다. 공구 본체는 상기 피스톤 챔버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펌프 챔버를 형성한다. 유조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펌프 챔버에 연결된다. 펌프 피스톤은 상기 펌프 챔버 안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을 제1 방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그로 인하여 상기 가동 조오를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조로부터 유체를 유출하고 상기 피스톤 챔버 안으로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데 적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설치 공구의 측면도(음선 안에 도시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음)이다.
제2도는 도 1의 설치 공구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3도는 도 2의 선 3-3에 따라 도시한 설치 공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유체관에 연결된 피팅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설치 공구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도 1의 선 5-5에 따라 도시한 설치 공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6도는 두 번째 구체예에 따른 설치 공구의 측면도(은선 안에 도시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있음)이다.
제7도는 도 6의 설치 공구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8도는 도 7의 선 8-8에 따라 도시한 도 6의 설치 공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9도는 도 8의 선 9-9에 따라 도시한 도 6의 설치 공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설치 공구의 공구 본체에 대해 부분적으로 관절이 펴진 클램핑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도 6의 설치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설치 공구의 공구 본체에 대해 완전하게 관절이 펴진 클램핑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도 6의 설치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구체예를 제한하는 목적이 아닌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되는 휴대용 유압식 설치 공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 공구(10)는 스웨이지 링 피팅을 설치하기 위한 완벽한 설치 공구이다. 상기 공구(10)는 전체를 휴대할 수 있고 유압식 혹은 기타의 원격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상기 공구(10)는 피팅과 유체관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관(C)에 상기 커넥터 본체(CB)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유체관(C)의 외부면(600) 안으로 상기 커넥터 본체(CB)를 압축하거나 소성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 유체관(C)이 상기 커넥터 본 체(CB) 안에 삽입되거나 수용되어져 있는 경우에, 상기 공구(10)는 피팅(F)의 피팅 커넥터 본체(CB) 위로 피팅의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전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 공구(10)는 그 안에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유조 혹은 블래더(bladder)(14)를 수용하는 제1 핸들(handle)(12)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12)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블래더(14)는 유체가 블래더로부터 유출되었을 때 찌그러지는 탄력적인 고무와 같은 물질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1 핸들(12)은 상기 핸들(12)의 전단부에 인접해 있는 펌프 본체(16)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펌프 본체에 연결되어진다. 제2 핸들(18)은 회전 핀(20)에 의해 상기 본체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핸들(12)에 대하여 가동적이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높인 보스(boss) 혹은 부재(member)(48)는 상기 본체(16)에 결합된다. 상기 높인 부재(48)는 상기 핀(20)이 수용되는 관통구멍(48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20)은 상기 핸들(18)이 상기 본체(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핸들(18)의 관통구멍(48a) 안에 수용된다.
상기 설치 공구(10)는 커넥터 본체(CB)와 스웨이지 링(SR)을 포함하는 피팅(F)을 결합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클램핑 혹은 결합 조립체(22)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본체(22)는 상기 펌프 본체(16)에 연결된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는 그 안에서 기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용된 피스톤(28)을 가진 근위 보어(proximal bore)(26)를 형성하는 클램프 본체(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는 원위 단부(32)에 인접한 상기 클램프 본체(24)에 고정되어 연결된 고정 조오(30)와 커넥팅 부재(36)에 의해 피스톤과 함께 작동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가동 조오(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오(30)는 상기 클램프 본체(24)에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조오(30)는 상기 커넥터 본체(CB) 혹은 상기 스웨이지 링(SR)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가동 조오(34)는 다른 커넥터 본체와 스웨이지 링을 결합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클램핑 본체(24)와 상기 고정 조오(30)는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의 공구 고정부(24, 30)를 함께 형성한다. 상기 가동 조오 부재(34), 상기 피스톤(28) 및 상기 커넥팅 부재(36)는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의 공구 가동부(28, 34, 36)를 함께 형성한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는 상기 피스톤(28)이 설치된 피스톤 챔버(38)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어(26)의 일부분은 상기 펌프 본체(16)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서 상기 챔버(38)를 형성한다. 상기 챔버(38)는 상기 보어(26)와 상기 피스톤(28)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본체(24)의 일부 사이에서 형성된다. 가능한 다른 선택적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8)과 상기 가동 조오(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8)과 가동 조오(34)는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피스톤의 운동으로 상기 가동 조오(34)가 상기 고정 조오(3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오들(30, 34)이 각각 상기 커넥터 본체(CB)와 상기 스웨이지 링(SR)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고정 조오(30)를 향한 상기 가동 조오(34)의 움직임은 상기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본체(CB) 위로 이동시켜서, 커넥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유체관(C)에 상기 커넥터 본체를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24)는 근위 단부(44)에 인접한 상기 본체(24)의 유체 포트부(fluid port portion)(42)에 의해 형성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보어(26)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38)에 연결된 유체 포트(fluid port)(40)를 더 포함한다. 하기에 더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상기 유체 포트부(42)는 상기 펌프 본체(16)로부터 가압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펌프 본체(16)에 나사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포트(40)는 가압된 유체를 상기 챔버(38) 내부와 상기 피스톤(28)에 전달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원위 단부(32)를 향하여 상기 유압력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가동 조오(34)를 움직인다.
압축 스프링(50)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28)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커넥팅 부재(36)와 상기 원위 단부(32)에 인접한 상기 본체(24)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피스톤(28) 위에 압축력을 작용하여 그로 인하여 상기 유압력과 반대 방향인 처음 위치(도 3에 도시됨)를 향하여, 즉, 상기 근위 단부(44)를 향하여 상기 피스톤(28)과 상기 커넥팅 부재(36)를 밀어낸다. 유압력이 상기 피스톤(28)에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스프링(50)은 가동부(28, 34, 36)를 상기 고정 조오(30)와 떨어져 상기 근위 단부(44) 를 향하여 밀어내거나 움직이게 하거나 또는 상기 근위 단부에 인접한 상기 공구 가동부를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50)의 밀어내는 힘을 극복하는데 충분한 유압력이 유체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28)에 적용될 때, 상기 공구 가동부(28, 34, 36)는 상기 원위 단부(32)와 상기 고정 조오(30)를 향하여 밀려지고 움직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 스프링(50)은 상기 본체(24)의 원위 단부(32)에서 제공되는 고정 시트(52)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 시트(52)는 그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상기 스프링(50)을 중앙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중심 돌기(5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시트(52)는 쇄정 고리(lock ring)(56)에 의해 상기 본체(24)의 원위 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 부재(36)는 상기 피스톤(28)을 상기 가동 조오(34)에 연결한다. 상기 커넥팅 부재(36)는 상기 압축 스프링(5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나사산 없는 내부 보어(58)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보어(58)는 상기 압축 스프링(50)이 놓여 있는 가동 시트(6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24)는 부가적으로 원위 단부(32)에 인접한 원위 보어(62)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 부재(36)는 상기 공구 가동부(28, 34, 36)를 보호하고 상기 가동 조오(34) 위의 모멘트로드(moment load)에 반응하기 위하여 상기 원위 보어(62)와 슬라이드하게 연결된다. 상기 원위 보어(62)는 상기 보어(26)와 같은 중심선상에 있고 실질적으로 상기 보어(26)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4)는 부가적으로 상기 원위 보어(62)와 상기 보어(26) 사이에 있는 틈새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구간(6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 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원통 구간(64)은 상기 원위 보어(62)와 보어(2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틈새 공간은 상기 가동 조오(34)와 상기 본체(24)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 조오(34)는 상기 피스톤(28)의 표면(66)과 연결된 제1 조오와 상기 커넥팅 부재(36)의 표면(68)과 연결된 제2 조오 사이에 끼워진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피스톤(28), 상기 가동 조오(34) 및 상 커넥팅 부재(36)(일괄하여, 상기 공구 가동부)가 견고한 장치 혹은 단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커넥팅 부재(36)는 상기 피스톤(28) 안에 형성된 나사 보어(threaded bore)(72)와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수나사(male thread)(70)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28)은 상기 커넥팅 부재(36)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 상기 피스톤(28)의 상대 순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 조오(3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팅 부재(36)는 상기 커넥팅 부재(36)를 순환시키고 상기 커넥팅 부재를 상기 피스톤(28)에 나사식으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조립공구(도시되지 않음)와의 연결을 위한 공구 결합면(74)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근위 단부(44)에 인접한 한 단부의 위에 있는 중심돌기(76)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돌기(76)와 상기 본체(24)는 상기 챔버(38)를 형성한다. 유압식 실(80)은 상기 보어(26) 안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포트(4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어(26)를 형성하는 상기 공구 본체(24)의 외벽과 상기 피스톤(28) 사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80)은 상기 보어(26)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한(혹은 그보다 조금 작은) 외부면(84)의 직경 내에 형성된 원주 홈(82) 안에 설치된 T자형 실이지만, 상기 피스톤(28)이 상기 보어(26) 안으로 미끄러지듯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펌프 본체(16)는 펌프 보어 안에 설치되고 수용된 수동으로 작동되는 펌프 피스톤(92)이 설치되어 있는 펌프 보어(90)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 본체(16) 및,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 피스톤(92)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보어(90)는 펌프 챔버(94)를 형성한다. 상기 펌프 챔버(94)는 그로부터 유체를 유입 혹은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피스톤 챔버(38)와 상기 블래더(1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펌프 피스톤(92)은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안으로 유체를 이동 혹은 유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92)은 제1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28)을 이동시키기 위해 펌프 챔버(94)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38) 안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실(96)은 유체가 상기 피스톤을 통과하고 상기 펌프 본체(16)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92) 위의 홈(98) 안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 챔버(94)는 상기 피스톤 챔버(38)와 상기 블래더(14)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된다.
제1 유체 통로(100)는 상기 블래더(14)를 상기 펌프 챔버(9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블래더(14)에 인접한 관통 플러그(through plug)(102)는 상기 펌프 본체(16)의 나사 보어(104) 안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 플러그(102)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펌프 본체(16)에 나사식으로 연결하는 나사산(106)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 플러그(102)는 상기 블래 더(14)를 상기 펌프 챔버(9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러그 통로(108)를 포함한다. 실(110)은 유체가 상기 플러그(102)의 외부면과 상기 펌프 본체(16)의 상기 보어(104)를 형성하는 표면 사이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 플러그(102) 주위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110)은 상기 관통 플러그(102)의 방사상 플렌지(radial flange)(112)와 상기 펌프 본체(16)의 테이퍼 표면(tapered surface)(11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볼 밸브(ball valve)와 같은 제1 밸브(116)는 상기 유조(14)와 상기 펌프 챔버(94)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 체크밸브(116)는 상기 제1 통로 안에 설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래더(114)와 펌프 챔버(94) 사이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102)의 내부 단부에 설치된다. 밀폐부(closed position)에서, 상기 밸브(116)는 상기 플러그(102)(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의 경사면(102a))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116)는 유체가 상기 펌프 챔버(94)로부터 상기 플러그 통로(108)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지만,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안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은 허용한다. 특히, 유체가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상기 챔버(94)를 통과할 때 상기 밸브(116)는 상기 플러그(102)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고 밸브 용기(116a)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유체가 상기 챔버(94)에서 상기 블래더(114)로 돌아가려할 때, 상기 밸브(116)는 상기 플러그(102)로 돌아와 이러한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펌프 본체(16)는 상기 블래더(14)의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되 는 블래더 연결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8)는 상기 블래더(14)가 결합되어지는 플렌지(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래더(14)는 상기 플렌지(120)에 대해 당겨지어 상기 연결부(118)에 놓인다. O-링(ring)(122)은 상기 블래더(14)에 상기 본체(16)를 더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블래더(14)와 상기 연결부(118) 근처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핸들(12)은 커넥터(124)에 의해 상기 본체(16)에 결합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24)는 상기 핸들(12)(용접(W)으로 개략적으로 설명됨)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리하여 상기 핸들(12)을 상기 본체(16)에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24)는 결합되어진 상기 핸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124a)와 상기 본체(16)의 나사부(16b)와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124b)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 챔버(94) 내부에 수용된 단부와 반대방향의 상기 펌프 피스톤(92)의 단부에서, 외부 요크(external yoke)(126)는 형성되고 강제 전환핀(force transfer pin)(128)에 결합된다. 상기 강제 전환핀(128)은 상기 핸들(18)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작동(18)으로 상기 강제 전환핀(128)이 상기 펌프 챔버(94) 안에서 피스톤(92)을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12)과 관련된 상기 핸들의 작동(18)(도 1에서 화살표(130)로 표시됨)은 상기 공구(10)를 통해 유체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상기 챔버(94) 내에서 상기 피스톤(92)의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위해서,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12)은 상기 회전핀(20) 근처의 가선으로 도시된 상기 설명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작동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위치 이상으로의 작동은 상기 강제 전환핀(128)과 상기 높인 부재(4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1 핸들(12)로부터의 상기 핸들의 작동(18)은 유체를 유조(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로 유출시키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펌프 피스톤(92)을 움직이게 하고 이에 이어서 제1 핸들을 향하여 제2 핸들을 작동하여 상기 펌프 챔버(94)안으로 유출된 상기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38) 안으로 이동시킨다.
제2 통로(132)는 상기 펌프 챔버(94)를 상기 챔버(38)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제2 통로(132)는 상기 펌프 본체(16)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커넥터(136) 내부에 설치된 관통구멍(134)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36)는 상기 펌프 본체(16)를 상기 클램핑 조립체(22)에 기계적이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6)는 상기 클램핑 본체(24)의 나사산(46)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138)을 포함한다. 실(140)은 상기 커넥터(136)와 상기 클램핑 본체(24) 사이에 설치되고 나사 부재(142)는 상기 커넥터(136)와 상기 펌프 본체(16) 사이의 나사 연결부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공구 본체(24)와 상기 실(14)을 고정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쇄정 고리(144)는 상기 나사 부재(142)와 상기 클램핑 본체의 결합면(14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실(140)은 쇄정 고리(144)와 상기 결합면(146)의 경사모서리(148)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136)는 상기 펌프 본체(16)의 보어(154)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내부 나사산(13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클램핑 조립체(22)와 나사식으로 결합된 상기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나사산(150)을 부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36)는 상기 펌프 본체의 돌출부(16a)에 설치되는 방사상 플렌지(136a)를 포함한다. 실(156)은 상기 커넥터(136)(및,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플렌지(136a))와 상기 보어(154)를 형성하는 펌프 본체(16)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제2 밸브(158)는 상기 펌프 챔버(94)와 상기 피스톤 챔버(38)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158)는 상기 펌프 챔버(94)와 상기 피스톤 챔버(38) 사이에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통로(132) 안에 설치된다. 상기 밸브(158)는 상기 챔버(38)에서 상기 챔버(94)로의 유체 흐름을 저지할 때 스프링(160)에 의해 밀폐부까지 밀려진다; 한편, 상기 밸브(158)는 상기 챔버(94)로부터 상기 챔버(39)까지의 유체 흐름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 볼 밸브인 상기 밸브(158)는 유체가 상기 챔버(38)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까지 흐를 때, 상기 보어(154) 내부에 있는 표면(162)을 밀봉하여 제2 통로(132)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펌프 본체(16)에 형성되어진 통로(164)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 본체(16)는 유체가 수동 작동으로 상기 피스톤 챔버(38)로부터 다시 상기 유조(14)까지 이동하고 제1 및 제2 밸브(116, 158)를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감압 조립체(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압 조립체(170)는 상기 본체(16) 안의 보어(174)에 형성되어진 우회 통로(172)를 포함한다. 상기 우회 통로(172)는 상기 챔버(38)(도 3)에 연결된 제2 통로(132)를 상기 블래더(1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회 통로(172)는 상기 제2 통로(132)에 비해 약간 중심에서 벗어나 있고, 상기 우회 통 로(172)와 상기 제2 통로(132)와 대하여 대략 수직을 이루는 연결 통로(176)는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제2 통로(132)를 상기 우회 통로(172)에 연결한다. 밸브(178)는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우회 통로 안에 설치된다.
상기 보어(180)는 상기 본체를 통해 우회 통로(172)로부터 외부 벽면(182)까지 연장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보어(relief bore)(180)는 상기 연결 통로(176)와 같은 중심선상에 있다. 나사식 카운터보어(184)는 상기 외부면(182)에 인접한 상기 릴리프 보어(180)를 따라 제공된다. 밸브 작동기(186)는 상기 릴리프 보어(180) 안에 설치되고 작동되도록 한쪽 단부를 상기 밸브(178)에 연결한다. 상기 작동기(186)의 반대편 단부는 상기 본체(16)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밸브(178)를 수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188)를 포함한다. 밸브 작동기(186)는 상기 본체(16)의 상기 나사식 카운터보어(184)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진 나사부(190)를 포함한다. 실(192)은 상기 릴리프 보어(180)를 통해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 작동기(186)의 외부 홈(194) 안에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178)는 상기 나사부(190)와 상기 나사식 카운터보어(184) 사이의 나사 결합으로 밀폐되어진다. 상기 밸브(178)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188)는 제1 방향(상기 설명된 구체예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진다. 상기 밸브(178)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188)는 제2 방향(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돌려지고 상기 작동기(186)와 상기 본체(16) 사이의 나사식 결합은 상기 통로(176)와 상기 통로(172) 사이에 있는 상 기 경사면(196)에 대해 상기 밸브(178)가 밀폐되도록 하여준다. 상기 손잡이(188)는 상기 본체(16)의 표면(182)으로부터 연장된 핀(198)과 결합하는 플렌지부(188a)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88)와 상기 핀 사이의 결합은 상기 작동기(186)의 상대 회전(relative rotation)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결합은 손잡이의 회전을 대략 한 바퀴(실질적으로 한 바퀴가 조금 안됨)로 제한한다. 다른 선택적 구체예에 있어서,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스 기구 혹은 메카니즘(biasing means or mechanism)은 상기 밸브(178)가 상기 통로(176)와 상기 통로(172)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저지하는 밀폐부를 향해 상기 작동기를 밀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186)는 상기 바이어스 메커니즘의 미는 힘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움직여질 것이 요구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14)는 상기 블래더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고, 또한 진공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유체가 상기 블래더에 입출입할 수 있도록 탄력적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블래더(14)는 상기 블래더를 채울 수 있는 개구(opening)(200)를 포함한다. 플러그(202)는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2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200)는 상기 블래더(14)의 초기 충전의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202)는 상기 개구(200)의 밀폐를 위해 상기 블래더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래더(14)가 초기에 채워지거나 유체로 채워질 때 상기 공구(10)의 다른 챔버와 마찬가지로, 블래더 안의 모든 공기는 제거되어진다.
작동과정에서, 상기 밀폐된 밸브(178)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2 핸들은 상기 챔버(94)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주는 제1 핸들로부터 떨어져 움직여진다. 그 결과,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유체가 상기 통로(100)를 지나서 상기 챔버(94)로 유입된다. 발생된 상기 진공력은 여기서 상기 제1 밸브로서 언급한 상기 공급 체크밸브(116)로 유체를 통과시키기에 충분하다. 상기 챔버(94) 안에서, 상기 밸브(116)는 상기 유체가 상기 블래더(14)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작동한다. 이 때 제2 핸들(18)은 상기 챔버(94) 안의 유체를 가압하는 상기 제1 핸들을 향해 움직인다. 상기 가압된 유체는 상기 체크밸브(116)에 의해 상기 블래더(14)로 유입되는 것은 여전히 저지되어지고, 대신 여기서 제2 밸브로 언급한 상기 밸브(158)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프링(16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힘을 가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압 유체는 상기 제2 통로(132)를 통한 힘의 작용으로 상기 챔버(38)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158)는 상기 피스톤 챔버(38) 안의 유체가 직접적으로 상기 펌프 챔버(94)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 즉, 상기 펌프 피스톤(92)의 운동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더욱 많은 유체가 상기 챔버(38) 안으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피스톤(92)이 올려지면, 상기 밸브(158)는 상기 챔버(38) 안의 유체가 기 펌프 챔버(94)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작동하여, 유체가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상기 챔버(94) 안으로 유입되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하여, 더욱더 많은 유체가 피스톤의 각각의 왕복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유출될 수 있고 상기 클램핑 조립체(22)의 상기 피스톤(28)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상기 챔버(38) 내부로 유입되어질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8)의 운동으로 화살표(204)(도 1)가 나타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가동 조오(34)가 상기 고정 조오(30)를 향하여 이동되어진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오(30, 34)는 상기 본체(CB)를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피팅 혹은 커넥터 위로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적합하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오(30)는 상기 커넥터 본체(CB)의 방사성 플렌지(602)와 결합하고 상기 가동 조오(34)는 상기 스웨이지 링(SR)의 단면(604)과 결합한다. 상기 조오들이 피팅(F)을 유체관(C)에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 본체(CB) 위로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사용될 때, 상기 고정 및 가동 조오(30, 34)는 상기 커넥터 본체(CB) 내에 수용된 유체관(C)과 함께 상기 스웨이지 링(SR)과 상기 커넥터 본체(CB)에 우선 연결된다. 상기 핸들(12, 18)을 사용하여, 상기 피스톤(92)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유체를 상기 유조(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피스톤(92)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 챔버(38) 내로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펌프 피스톤은 수동적으로 작동되어진다. 더욱더 많은 유체를 상기 블래더(14)로부터 유출시켜 상기 피스톤 챔버(38) 안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이러한 단계들은 반복된다. 이러한 단계는 상기 피스톤 챔버(38) 안으로 유입된 유체와 함께 상기 피스톤(28)이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피스톤(28)의 운동은 상기 가동 조오(34)를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유체관에 상기 커넥터 본체(CB)(및 상기 피팅(F))를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상기 커넥터 본체(CB) 위로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오들(30, 34)을 피팅(F)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가동 조오(34)를 상기 고정 조오(30)와 떨어져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손잡이(188)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기(186)와 상기 나사식 카운터보어(184) 사이의 나사 연결부의 나사선으로 인하여 상기 작동기(186), 및 궁극적으로는 상기 밸브(178)를 상기 릴리프 보어(180)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챔버(38) 안의 상기 가압 유체가 상기 블래더(14)로 되돌아가기 위한 통로, 즉, 우회통로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상기 손잡이(188)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졌을 때, 상기 밸브(178)는 개방되고 상기 챔버(38) 안의 유체는 상기 블래더(14)로 되돌아간다. 상기 유체가 상기 블래더(14)로 되돌아갈 때,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고정 조오(30)로부터 떨어져 곳으로 상기 피스톤(50)을 밀어내고 상기 고정 조오(30)부터 떨어져 상기 가동 조오(34)를 이동할 수 있게 하여준다. 상기 조오들을 다시 근접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방 손잡이(188)를 상기 밸브(178)를 밀폐시키는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핸들(18)은 상기 펌프 피스톤(92)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할 수 있고 유체를 상기 블래더(14)에서 상기 피스톤 챔버(38)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치 공구 조립체는 두 번째 구체예에 따라 도시되었고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210으로 표시되어졌다.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상기 설치 공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설치 공구(210)는 스웨이지 링 피팅을 설치하기 위한 완벽한 장치이다. 상기 공구(210)는 전체를 휴대할 수 있고 유압식 또는 기타의 원격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적용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구체예 및 도 4에서 도시된 공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구(210)는 피팅(F)과 상기 유체관(C)를 상호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관(C)에 상기 커넥터 본체(CB)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유체관(C)의 외부면 안쪽으로 상기 커넥터 본체(CB)를 압축하거나 소성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 유체관(C)이 상기 커넥터 본체(CB) 안에 삽입되어질 때 , 상기 공구(210)는 상기 피팅(F)의 커넥터 본체(CB) 위로 피팅의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설치 공구(210)는 상기 설치 공구(1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 공구(210)는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첫 번째 구체예의 상기 블래더(14)와 유사한, 유조 혹은 블래더(214)를 수용하고 있는 제1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핸들(212)은 상기 핸들(212)의 전단부에 인접한 펌프 본체(216)의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212)은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설치 공구(10)의 경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본체(16)에 연결된다. 제2 핸들(218)은 회전핀(220)에 의해 펌프 본체(216)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설치 공구(210)는 부가적으로 커넥터 본체(CB)와 스웨이지 링(SR)을 포함하는 피팅(F)과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 또는 결합 조립체(222)를 더 포함한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는 상기 펌프 본체(216)에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을 부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는 그 안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진 피스톤(28)이 있는 근위 보어(226)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본체(224)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는 상기 본체(2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224)의 원위 단부(232)에 인접하여 있는 고정 조오(230) 및 함께 움직이기 위해 상기 피스톤(228)에 연결된 가동 조오(234)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오(234)는 함께 움직이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에 상기 조오 부재(234)를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기 피스톤(228) 위의 압착 피트(press fit)(즉, 죔쇠 연결(interference fit connection)))이다. 상기 본체(224)와 상기 고정 조오(230)는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의 고정부(224, 230)를 함께 형성한다. 상기 가동 조오(234)와 상기 피스톤(228)은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의 가동부(228, 234)를 함께 형성한다. 상기 보어(226)의 일부분은 상기 펌프 본체(226)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서 챔버(238)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238)는 상기 보어(226)와 상기 피스톤(228)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224)의 일부분 사이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본체(224)는 근위 단부(244)에 인접하여 있는 상기 본체(224)의 유체 포트부(242)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어(226)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238)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유체 포트(240)를 포함한다.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유체 포트부(242)는 상기 펌프 본체(216)로부터 가압 유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펌프 본체에 나사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246)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포트(240)는 가압 유 체를 상기 챔버(238)와 상기 피스톤(228)에 수송하여 상기 피스톤을 움직이고, 그리하여 유압력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상기 원위 단부(232)를 향하여 가동 조오(234)가 움직인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근위 보어(248)는 유체 포트(240)를 상기 피스톤 챔버(238)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250)은 피스톤(228)을 제2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228)과 상기 근위 단부(244)에 인접한 상기 클램핑 본체(224) 사이에 있는 상기 보어(226) 내에 설치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250)은 상기 피스톤(228) 위에 인장력을 작용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유압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즉 상기 근위 단부(244)를 향한 방향인 제1 위치(도 8에 도시됨)를 향하여 상기 피스톤(228)을 밀어낸다. 유압력이 상기 피스톤(228)에 작용되지 않을 때, 상기 스프링(250)은 상기 공구 가동부(228, 234)를 상기 고정 조오(230)와 떨어져 상기 근위 단부를 향하여 밀어내거나 움직이게 하고, 또는 상기 근위 단부에 인접한 상기 공구 가동부를 고정시킨다. 상기 스프링(250)의 밀어내는 힘보다 강한 유압력이 유체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228)에 작용할 때, 상기 공구 가동부(228, 234)는 상기 원위 단부(232)와 상기 고정 조오(230)를 향하여 밀려지고 이동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의 제1 단부(252)는 나사 패스너(threaded fastener)(254)에 의해 상기 근위 단부(244)에 인접한 상기 본체(224)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너(254)는 상기 본체(224)에 형성된 나사 보어(256) 안에 나사식으로 수용되어지고 그 위에 상기 스프링(250)을 지탱하는 머리부(258)를 포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너는 상기 보어(248)에 형성된 근위 챔 버(26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체 포트(240)와 상기 피스톤 챔버(238)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250)의 제2 단부(262)는 제2 나사 패스너(266)의 머리부(264) 주위에 감겨있다. 상기 패스너(266)는 상기 제2 단부(260)를 상기 피스톤(228)에 연결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피스톤(228)에 형성된 나사 보어(268) 안에 나사식으로 수용되어진다. 상기 스프링(250)을 상기 피스톤(228)에 대하여 방사상의 중심부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250)을 상기 피스톤(228)에 형성된 나사산 없는 내부 보어(270) 안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용되어진다.
상기 피스톤(228)은 상기 보어(226)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224)에 슬라이드하게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 외부면(274)을 갖는 근위부(proximal portion)(272)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8)과 상기 본체(224)의 형상은 상기 가동부(228, 234)가 보호되어질 수 있고 상기 가동 조오(234)에 적용되는 모멘트로드에 반응할 수 있게 하여준다. 유압식 실(276)은 상기 보어(226) 안에 수용된 유체가 포트(240)를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피스톤(228)과 상기 보어(226) 사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272)은 상기 피스톤 근위부(272)의 외부면(274)에 형성된 원주 홈(278) 안에 설치된 T-자형의 실이다.
상기 클램프 본체(224)는 부가적으로 상기 보어(226)와 연결되고 상기 원위 단부(232)의 방향으로 상기 보어(226)와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 중간 보어(intermediate bore)(280)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 보어(280)는 상기 근위 보 어(226)와 같은 중심선상에 있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원위 단부(232)를 향해 움직여질 때 상기 피스톤(228)을 위해 약간의 틈새를 제공하는 상기 근위 보어(226)보다 직경면에서 약간 더 크다.
상기 피스톤(228)은 상기 근위부(272)로부터 돌출된 원위부(282)를 포함한다. 상기 원위부(282)는 근위부(272)와 같은 중심선상에 있으나 직경면에서 더 작다. 상기 원위부(282)는 캡 보어(cap bore)(286)에 결합시키거나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외부면(28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캡 보어(286)는 상기 클램핑 본체(224)의 상기 원위 단부(232) 안에 연결된 캡(288) 내에 형성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 본체(224)는 상기 중간 보어(280)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 보어와 상기 원위 단부(232) 모두에 직접 인접하여 있는 원위 보어(290)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위 보어(290)는 상기 중간 보어(280)와 같은 중심선상에 있고 직경면에서 그보다 약간 크다. 상기 캡(288)은 상기 원위 보어(290) 안에 안전하게 수용된다. 상기 캡(288)은 상기 보어(290) 내로 상기 캡의 축방향 삽입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224) 안에 형성된 숄더(shoulder)(294)에 결합되는 방사상 플렌지(292)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캡(288)의 외부 직경은 상기 보어(290)에 죔쇠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224)로부터 상기 캡(288)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방사상 플렌지(292)는 상기 원위 단부(232)에 인접한 카운터보어(296) 안에 수용되어진다.
상기 고정 조오(230)는 고정 나사(302)를 통해 상기 클램핑 본체(224)에 설치된 분리가능한 고정 조오 인서트(insert)(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나사(302) 는 주로 상기 클램핑 본체(224) 위에 상기 인서트(300)를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어진다. 상기 인서트(300) 위의 축하중(axial load)은 상기 클램핑 본체(224)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인서트(300)의 리세스(300a) 안에 수용되어지는 숄더(244a)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지지되어진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조오 인서트(300)는 하나의 스웨이지 링(도 3의 스웨이지 링(SR)과 같은 것임)과 피팅 또는 커넥터 본체(도 4의 커넥터 본체(CB)와 같은 것임)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300)는 상기 고정 나사(302)에 의해 상기 본체(22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인서트는 쉽게 제거되고 다른 인서트(도시되지 않음)로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300)를 교체하거나 특정 피팅 및/또는 스웨이지 링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 인서트를 설치하기 위한 경우에는 제2 인서트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동 조오는 상기 피스톤 원위부(282)에 고리형으로 설치되는 결합 부재(304)와 고정 나사(308)를 통해 상기 결합 부재에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가동 조오 인서트(30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나사(302)와 유사하게, 상기 고정 나사(308)는 주로 결합 부재(304) 위에 상기 인서트(306)를 설치하는데 제공되어진다. 상기 인서트(306) 위에 축하중은 상기 결합 부재(304)의 일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306)의 리세스(306a) 안에 수용되어지는 숄더(244a)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지지되어진다.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 조오 인서트(306)는 다른 스웨이지 링(SR)과 상기 피팅 본체(CB)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하 여, 상기 가동 조오(234)와 상기 고정 조오(230)는 상기 가동 조오가 상기 고정 조오를 향해 이동되거나 근접하여질 때 상기 스웨이지 링을 상기 피팅 본체 위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상기 스웨이지 링(SR)과 상기 피팅 본체(CB)에 서로 결합한다. 상기 고정 조오 인서트(300)와 유사하게, 상기 가동 조오 인서트(306)는 상기 고정 나사(308)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30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가동 조오 인서트는 다른 가동 조오 인서트(도시되지 않음)로 쉽게 분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인서트를 교체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피팅과 함께 사용되는 상기 공구(210)를 사용할 때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04)는 그 안에 상기 피스톤 원위부(282)를 수용하고 있는 관통구멍(310)을 포함한다. 상기 원위부(282)의 외부면(284)은 상기 피스톤(228) 위에 상기 결합 부재(304)를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압착 피트 또는 죔쇠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관통구멍(310)의 직경에 비해 직경면에서 약간 더 크다. 숄더(312)는 상기 근위부(272)와 원위부(282) 사이의 상기 피스톤 위에(282) 형성된다. 상기 숄더(312)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챔버(238) 안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결합 부재(304)를 접합시키거나 결합시키고 상기 원위부(232)를 향해 상기 결합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가동 조오 인서트(306)는 상기 결합 부재(30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 부재(304)를 강제적으로 움직이는 상기 피스톤(228)의 운동은 상기 고정 조오 인서트(300)를 향하여 상기 가동 조오 인서트(306)를 움직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베어링 패드(bearing pad)(314)는 상기 클램핑 본체(224)와 클램핑 본체(224)의 외부면(224b)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결합 부재(304)의 일부(304b) 사이에서 설치된다. 특히, 상기 베어링 패드(314)는 상기 결합 부재부(304b) 안에 형성된 리세스(316) 내에 수용되어진다. 상기 베어링 부재(314)는 상기 가동 조오(234)가 상기 고정 조오(230)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기 표면(224b)을 따라 미끄러지며 움직이는데 적합하다. 베어링 패드(314)는 상기 피스톤(228)의 중심이 상기 인서트(300, 306)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피팅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옮겨졌음에도 불구하고 피스톤의 힘이 지속되는 경우 발생하는 모멘트 힘에 반응한다. 상기 모멘트 힘을 흡수하거나 이에 반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패드(314)는 상기 가동 조오(234)와 상기 피스톤(228) 사이의 접촉 또는 연결이 축력을 지탱할 수 있게 하여준다.
상기 펌프 본체(216)는 그 안에 수용된 펌프 피스톤(332)을 갖는 펌프 보어(3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어(330)와 상기 펌프 피스톤(332)은 상기 블래더(214)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서 펌프 챔버(334)를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332)은 유체가 상기 챔버(334)를 통해 상기 블래더(214)로부터 유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챔버(238) 안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336)은 상기 유체가 상기 피스톤을 통과하고 상기 펌프 본체(21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332) 안에 형성된 홈(338) 내부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제1 통로는 상기 블래더(214)를 상기 펌프 챔버(33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제1 통로를 통한 상기 블래더(214)와 상기 펌프 챔버(334) 사이의 유체 흐름은 상기 설치 공구(10)와 관련된 상기 첫 번째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하며 상기 설치 공구(210)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설치 공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설치 공구(210)는 상기 블래더(214)와 상기 펌프 챔버(334) 사이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통로 내에 설치된 볼 밸브와 같은, 공급 체크밸브(342)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342)는 상기 블래더(214)로부터 상기 챔버(334)로의 유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단방향 체크밸브이고, 반면에 상기 챔버(334)로부터 상기 블래더(214)로 유체가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첫 번째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펌프 본체(216)는 커넥터(344)에 의해 상기 핸들(212)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 챔버(334) 내부에 수용된 단부와 반대방향인 상기 펌프 피스톤(92)의 단부에서, 외부 요크(external yoke)(346)는 형성되고 강제 전환핀(348)에 결합된다. 상기 강제 전환핀(348)은 상기 핸들(218)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작동(218)에 따라 상기 강제 전환핀(348)은 상기 펌프 챔버(334) 안에서 상기 펌프 피스톤(332)을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212)(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냄)과 관련된 상기 핸들의 작동(218)은 상기 공구(210)를 통하여 유체를 움직이기 위해서 상기 챔버(334) 내에서 상기 피스톤(332)의 상호 운동을 일으킨다. 상기 핸들(212)로부터 떨어져 핸들의 작동(218)시키는 것은 상기 본체(216) 위에 설치된 강제 전환핀(348)과 보스(354) 사이에 결합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보스 또는 높인 부재(354)는 본체와 일체를 이루기 위해서 상기 본체(216)에 접합되어진다. 핀(220)은 핸들을 통해 관통구멍(218a)과 보스 부재 관통구멍(354a)에 수용되어진다.
제2 통로(360)는 상기 펌프 챔버(334)를 상기 챔버(238)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통로(360)는 상기 펌프 본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관절 조립체(364) 내에 형성된 관통구멍(362)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펌프 본체(216)를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에 기계적이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 조립체는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상기 펌프 본체(216)에 연결한다.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펌프 본체(216)에 형성된 나사 보어(372)의 나사부(370)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나사산(368)을 갖는 제1 부재(366)를 포함한다. 실(374)은 상기 제1 부재(366)와 상기 보어(372)를 형성하는 상기 펌프 본체(216)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374)은 상기 보어(372) 근처의 상기 펌프 본체 내에 형성된 카운터보어 구간(37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펌프 챔버(334)와 피스톤 챔버(238) 사이에 설치된 제2 밸브(378)는 상기 챔버(234)와 상기 챔버(238)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통로 안에 설치된다. 상기 밸브(378)는 상기 챔버(238)에서 상기 챔버(334)까지의 유체 흐름을 저지하기 위해서 스프링(380)에 의해 밀폐부까지 밀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서 볼 밸브인, 상기 밸브(378)는 표면(382)을 밀봉하고 상기 챔버(238)로부터 상기 챔버(334)까지의 유체 흐름을 저지한다. 상기 제2 통 로(360)는 상기 챔버(334)에 직접적이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좁은 통로(384)를 더 포함한다. 보어(386)는 상기 좁은 통로를 상기 보어(372)에 직접적이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볼 밸브(378)는 상기 보어(386) 안에 설치되고 밀폐부에 있을 때, 상기 좁은 통로(384)를 상기 보어(386)에 연결하는 상기 표면(382)에 접하여 있다. 상기 스프링(380)은 상기 볼 밸브(378)와 상기 관절 조립체(364)의 제1 부재(366) 사이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380)의 한쪽 단부는 상기 볼 밸브(378)를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 부재(366) 내의 관통 통로(362) 부근에 형성된 카운터보어(388) 내에 수용되어진다.
나사 부재(392)는 상기 펌프 본체(216)와 관련하여 제1 부재(366)의 방향을 고정한다. 쇄정 고리는 상기 나사 부재(392)와 상피 펌프 본체(216) 사이에 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유체 포트부(242)의 내부 나사산(246)을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나사산(400)을 갖는 제2 부재(398)를 더 포함한다. 실(402)은 상기 포트(240) 내부로 연장되어진 상기 제2 부재(398)의 일부와 상기 유체 포트부(242)의 경사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진다. 상기 실(402)은 유체가 상기 클램핑 본체(224)와 상기 제2 부재(398)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공구(21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부재(398)는 상기 클램핑 본체(224)의 외부면(410)에 접하여 있는 숄더(408)를 갖는 플렌지부(40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재(398)와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 사이의 나사 결합은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클 램핑 조립체에 고정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근접한 작업공간이나 다른 제한된 공간을 포함한 다양한 작업 공간에서 상기 공구(210)가 사용되어질 수 있거나, 최소한 보다 간편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펌프 본체(216)와 상기 핸들(212, 218)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최소한 두 개의 축에 따라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펌프 본체(216)와 상기 핸들(212, 218)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제1 축(412) 주변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펌프 본체(216)와 상기 핸들(212, 218)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제2 축(414) 주변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여준다. 그리하여, 상기 펌프 본체(216)와 핸들(212, 218)이 상기 핸들(212, 218)의 작동을 방해하는 다른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근처로 움직여지는 동안,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는 구부려져서 피팅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와 그로부터 연장되어진 상기 핸들(212, 218)과 연결되어 있는 펌프 본체(216)는 두 축(412, 414)을 중심으로 상호 관련되어 가동적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축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되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와 상기 펌프 본체(216)가 상호 관련하여 움직여질 수 있고 상호 관련하여 임의의 위치에서도 특정 방향에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축(412)은 제2 축(414)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이룬다. 상기 두 축(412, 414)을 중심으로 한 작동 을 위하여,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여기서 첫 번째 또는 최초의 스위블(swivel)로 언급되고, 상기 제1 부재(366)를 상기 제2 부재(398)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3 부재(416)를 포함한다.
도 9를 연속하여 참조하면, 상기 제1 스위블(416)은 제 1축(412)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펌프 본체(216)에 대하여 제1 축 주변에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두 번째 스위블로 언급되는 상기 제2 부재(398)는 상기 제2 축(414)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핸들(212, 218)의 축 길이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2 축 주변에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축(412, 414)을 중심으로 한 작동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또한 도 8에서도 도시되는, 관통구멍(362) 사이에서 유체가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준다.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축(412) 주변에서의 회전은 다수의 예정된 위치에서 나타내어진다. 상기 제1 스위블(416)은 상기 제1 부재(366)에 형성된 관통구멍(420) 안에 수용된 샤프트부(shaft portion)(418)를 포함한다. 제1 스위블(416)의 외부면(426) 안에 형성된 원주 홈(424) 안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링(retaining ring)(422)은 상기 관통구멍(420)으로부터 제1 스위블(416)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할 플레이트(indexing plate)(430)는 상기 제1 스위블(416)에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블(416)은 상기 샤프트부(418)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4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는 상기 스위블(416),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부(418)와 상기 머리부(43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스위블(416)의 방사상 숄더(434) 주변에 고리형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는 머리부(432)가 수용되어 있는 관통구멍(436)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는 상기 제1 스위블(416)에 방사상 구조로 그리고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30)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블에 회전되지 않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스위블(416) 위에 통합적으로 형성된 플랫(flat) 또는 키(key)(440)를 수용하는 슬롯(slot) 또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키(440)는 상기 머리부(432)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숄더(434)를 형성한다. 각각의 키(440)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숄더(434)는 분할 플레이트(430)와 제1 부재(366) 안으로 상기 제1 스위블(416)이 축방향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와 상기 제1 부재(366)는 상기 숄더(434)와 상기 지지링(422) 사이의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서 상기 분할 플레이트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혹은 관통구멍(442)인 다수의 구멍이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에 형성된다. 상기 슬롯(442)은 상기 관통구멍(436)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호 관련되어 주변에 배치된다. 핀 조립체(pin assembly)(444)는 상기 제1 부재(366)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366)에 대하여 상기 제2 부재(416)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 조립체(444)는 결합위치(engaged position)와 상기 부재(366, 416)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한 분 리위치(disengaged position) 사이에서 가동적이면서, 상기 부재들(366, 416) 사이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하나의 관통구멍(442) 안에 수용되어 있는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핀(446)은 머리부(448), 샤프트부(450) 및 나사부(452)를 갖는다. 상기 머리부(448)는 상기 제1 부재(366)에 형성되고 그 안에 상기 핀(446)이 수용되어 있는 관통구멍(454)보다 더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 부재(366) 안으로 상기 핀(446)의 축방향 삽입이 제한된다. 스프링(456)은 상기 샤프트부(450) 주변에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관통구멍(454)의 카운터보어부(458) 내에 연결된다. 나사 캡(threaded cap)(460)은 상기 카운터보어부(458)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작고, 상기 관통구멍(44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캡(460)은 상기 핀(446)의 나사부(452)에 나사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캡(460)의 직경은 상기 관통구멍(454)의 직경보다 크고 이로써 상기 제1 부재(366)로부터 상기 핀 조립체(444)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스프링(456)은 상기 캡(460)을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 안으로 밀어냄으로서 상기 관통구멍(442) 중의 하나가 상기 핀 조립체(444)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핀(446)은 상기 결합위치를 향하여 밀려지고, 여기서 상기 캡(460)은 결합된 관통구멍(442) 내에 수용되어진다. 상기 머리부(448)는 가선으로 도시되고, 상기 캡(460)이 상기 관통구멍(442)으로부터 제거되고 제1 부재와 관련된 상기 스위블(416)의 회전이 허용되는 상기 분리위치로 상기 핀 조립체(444)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링(462)을 포함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는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고(즉, 어떠한 상대 회전도 허용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스위블(416) 근처에 원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식 연결부는 키(440)와 슬롯(438)의 배합이나, 예를 들어, 널링 결합(knurled engagement)에 사용되는 죔쇠와 같은 임의의 널리 알려진 비순환식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블(398)은 상기 제1 스위블(416)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위블(416)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스위블(398)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이다. 상기 제2 스위블(398)은 머리부(466)와 상기 제1 스위블(416) 내에 형성된 관통구멍(470) 안에 수용되어 있는 연장부 혹은 샤프트부(468)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466)는 상기 관통구멍(470) 안으로 상기 제2 스위블(398)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스위블(398)의 외부면(476) 내에 형성된 원주 홈(474)의 안에 고리형으로 수용되어 있는 지지링(472)은 상기 제1 스위블로부터 상기 제2 스위블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여 준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스위블(416)과 상기 제2 스위블(398)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은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부재(366)와 제1 스위블(416)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대적 움직임 혹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스위블(398, 416)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나타내어지지 않는 상대적 움직임은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반면에 나타내어지는 상대적 움직임은 하나의 부재를 또 다른 부재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블(416)과 상기 제1 부재(366) 사이의 움직임만이 나타내어진다. 그러나, 다른 선택적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과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기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양 스위블의 움직임은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부재(366)(상기 제2 통로(360)의 일부를 형성하는)의 상기 통로(362)와 상기 유체 포트(240) 사이에서의 유체의 흐름은 상기 제1 부재(366)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위블의 위치와 상기 제1 스위블(416)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위블(398)의 위치에 관계없이 유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상기 제1 스위블(416)은 샤프트부(418)에 축 길이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470)까지 상기 머리부(432)를 따라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통로(478)를 갖는다. 플러그(480)는 상기 통로의 단부를 밀폐하거나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스위블(416)의 원위 단부(482)에 인접하여 있는 상기 관통구멍(478) 내에 설치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공구 리세스(484)와 상기 원위 단부(482)에 인접하여 있는 상기 리세스 내에 제공되는 해당 나사산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480)와 상기 제1 스위블(416) 사이의 상기 나사식 연결로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매우 유동적인 것으로 잘 알려진 테이퍼 나사 시스템(tapered thread system)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통로(486)는 상기 통로(478)를 상기 제1 스위블(416)의 외부면(426) 내에 형성된 원주 홈(490)에 형성된 원형 챔버(488)에 유체 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홈(490)은 상기 제1 부재(366)를 통해 연장된 통로(362)에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스위블(416)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통로(478)는 상기 원형 챔버(488)를 통해 상기 통로(362)와 상기 방사상 통로(486)에 항상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다. O-링 실(492)은 상기 제1 부재(366)와 상기 제1 스위블(416) 사이의 유체 흐름을 밀봉하기 위해서 상기 원주 홈(490)의 측면에 있는 원주 홈(494)들에 연결된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스위블(398)은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의 상기 유체 포트(240)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통로(496)를 포함한다. O-링 실(402)은 상기 제2 스위블(398)과 상기 유체 포트(240)를 형성하는 상기 유체 포트부(242) 사이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저지한다. 특별히 도 9를 참조하면, 다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통로(498)는 상기 통로(496)를 상기 제2 스위블(398)의 외부면(476) 내에 형성된 원주 홈(502)에 형성된 원형 챔버(500)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홈(502)은 상기 제1 스위블(416)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통로(478)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스위블(398)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통로(496)는 상기 원형 챔버(500)와 상기 방사상 통로(498)를 통해 상기 통로(478)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다. O-링 실(504)은 상기 제1 스위블(416)과 상기 제2 스위블(398) 사이의 유체 흐름을 밀봉하기 위해서 축방향으로 상기 원주 홈(502)의 측면에 있는 원주 홈(506) 내에 수용되어진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설치 공구(210)는 여기서 설명 된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상기 감압 조립체(17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감압 조립체(510)를 포함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기 감압 조립체(510)는 상기 제2 통로(360)를 상기 블래더(214)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우회 통로를 포함한다. 밸브는 그 안을 통과하는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우회 통로 안에 설치된다. 밸브 작동기(512)는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의 한쪽 단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 손잡이(5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밸브의 작동은 상기 설치 공구(10)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력적인 블래더(214)는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상기 설치 공구(10)의 블래더(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를 채우는데 적합하고 진공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유체가 상기 블래더(214)를 입출입할 수 있게 한다. 플러그(516)는 상기 블래더를 초기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블래더를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진다. 상기 블래더(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래더(214)가 유체로 채워질 경우에, 상기 블래더로부터 모든 공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다른 챔버, 유체 통로 및 상기 공구(210)의 이와 유사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작동과정에서, 상기 설치 공구(210)는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설치 공구(10)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핸들(218)은 제1 핸들(212)로부터 떨어져 움직여지고, 이는 상기 챔버(334) 내에 진공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유체는 상기 블래더(214)로부터 상기 챔버(334)로 유입된다. 발생된 진공력 은 상기 유체를 상기 공급 체크밸브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챔버(334) 내에서, 상기 밸브(342)는 일단 상기 유체가 상기 블래더(214)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 상기 제2 핸들(218)이 상기 제1 핸들(212)을 향하여 이동되어지고, 이로써 상기 챔버(334) 내에서 상기 유체가 가압되어진다. 상기 가압된 유체는 상기 체크밸브(342)에 의해 상기 블래더(214)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어지고 그 대신 상기 스프링(380)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378)를 개방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한다. 그리하여, 상기 유체는 밀려져서 상기 제2 통로(360)와 상기 관절 조립체의 통로(486, 478, 498, 496)를 통과하여,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의 상기 피스톤 챔버(238) 안으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피스톤(332)의 운동과 같은 이러한 작용은 반복되어져 더욱 많은 가압 유체를 상기 챔버(238) 안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피스톤(332)이 올려질 때, 상기 밸브(378)는 상기 챔버(238) 내에 있는 유체가 상기 펌프 챔버(334)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블래더(214)로부터 상기 챔버(334)로 유체가 유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의 상기 피스톤(228)이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332)의 각각의 왕복 운동으로 더 많은 유체가 상기 블래더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챔버(238)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28)의 운동은 화살표(518)(도 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조오(230)를 향하여 가동 조오(234)를 움직이게 한다. 이미 아는 바와 같이, 상기 조오(230, 234)는 상기 피팅 본체(CB)를 상기 유체관(C)에 밀봉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피팅 본체(CB)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설치 공구(10)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공구(210)의 감압 조립체(510)는 상기 피스톤(228)에 작용하는 유체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유체를 상기 챔버(238)로부터 상기 블래더(214)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유체가 상기 챔버(238)로부터 상기 블래더(214)로 되돌아감으로써, 상기 클램핑 조립체 스프링(250)은 연결되어 있는 가동 조오(234)와 함께 상기 피스톤을 상기 고정 조오로부터 떨어져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조오(230, 234)들을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상기 감압 조립체(510)는 닫혀질 수 있고 상기 핸들(218)은 다시 상기 펌프 피스톤(332), 궁극적으로는 상기 피스톤(228)을 상호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움직여진다.
상기 설치 공구(21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가 상기 펌프 본체 및 상기 핸들(212, 218)에 대하여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와 상기 펌프 본체(216)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축(412, 414)에 따라 일어난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서 나타낸 첫 번째 움직임 혹은 관절의 접힘은 상기 축(412) 주변에서 이루어지고, 그리고 두 번째 움직임 혹은 관절의 접힘은 상기 축(414) 주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212, 218)이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축(412) 주변에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움직이기 위해서, 상기 링(462)은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로부터 상기 핀 또는 로킹 조립체(pin or locking assembly)(444)를 제거하기 위해 서 조여지거나 당겨진다. 상기 핀 조립체(444)가 제거됨으로서, 상기 제1 스위블(416)은 상기 제1 부재(36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체 클램핑 조립체(222)는 상기 제1 축(412)의 주변에서 상기 펌프 본체(216)와 핸들(212, 21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블(416)과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가 표시된 위치(즉, 다수의 표시된 관통구멍(442) 중 하나와 상기 핀 조립체(444)가 결합되어 있는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링(462)은 풀려질 수 있어 상기 펌프 본체(216)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조립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핀 조립체(444)는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와 함께 결합 위치로 되돌아간다(즉, 상기 핀 조립체(444)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된 관통구멍(442) 안으로 밀려진다).
상기 설명된 구체예에 있어서, 관통구멍(442)은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 안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는 상기 펌프 본체(216)와 관련된 초기 위치(도 6에 도시됨)에서 최소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가 상기 펌프 본체에 대하여 대략 45° 기울어진 위치(도 10에서 도시됨)인 제1 위치와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가 상기 펌프 본체에 대하여 대략 90° 기울어진 위치(도 11에서 도시됨)인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할 플레이트(430) 내에 임의개의 분할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할 관통구멍은 상기 펌프 본체(216)와 관련된 임의개의 해당 위치에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분할 플레이트 위에 다양하게 원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구(210)는 분리가능한 인서트(300, 306)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인서트는 제거되거나 다른 인서트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피팅과 함께 상기 공구(210)를 사용할 때 필요로 될 수 있는 경우에, 대체가능한 인서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 나사(302, 308)를 단순히 풀어서 상기 인서트(300, 306)를 상기 본체(224)와 상기 결합 부재(304)로부터 각각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300, 306)가 제거되고, 다른 인서트가 고정 나사(302, 308)와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피팅과 함께 상기 공구(210)를 사용할 때 다른 인서트의 사용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는 특정 크기의 피팅 혹은 일정 범위의 크기에 해당하는 피팅에 맞추어 제공되어지고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많은 시간에 걸쳐 사용되어진 후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300, 306)의 분리가능성으로 인하여 상기 인서트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상기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청구항으로 보호하려는 모든 수정과 변경을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하나의 커넥터 본체(CB) 혹은 스웨이지 링(SR)과 결합하는데 적합한 고정 조오(30, 230) 및 이와 다른 커넥터 본체(CB) 혹은 스웨이지 링(SR)과 결합하는데 적합한 가동 조오(34, 234)를 포함하고, 펌프 챔버(94, 334)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된 피스톤 챔버(38, 238)를 형성하는 클램핑 조립체(22, 222);
    상기 조오들(30, 34, 230, 234)들이 상기 커넥터 본체(CB)와 상기 스웨이지 링(SR)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1 방향으로의 피스톤의 운동은 상기 가동 조오(34, 234)를 상기 고정 조오(30, 230)를 향하여 움직이게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CB)를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CB)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조오(34, 234)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에 설치된 상기 피스톤(28, 228);
    상기 펌프 챔버(94, 334)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 조립체(22, 222)에 연결된 펌프 본체(16, 216);
    상기 펌프 챔버(94, 334)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된 유조(14, 214); 및
    상기 피스톤(28, 228)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운동하게 하기 위해서 유체를 상기 유조(14, 214)로부터 유출시키고 상기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상기 펌프 챔버(94, 334) 내에 설치된 수동 펌프 피스톤(92, 33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팅(F)을 상기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유체관(C)이 상기 커넥터 본체(CB) 안에 수용되어져 있을 때 상기 피팅의 스웨이지 링(SR)을 상기 피팅의 커넥터 본체(CB) 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16, 216)에 연결되고 그 안에 상기 유조(14, 214)를 수용하는 제1 핸들(12, 212); 및
    상기 펌프 피스톤(92, 332)에 연결되어 제2 핸들의 작동으로 상기 펌프 피스톤(92, 332)을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 핸들에 대해 가동적이고 상기 펌프 본체(16, 21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 핸들(18, 218);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12, 212)로부터 떨어진 곳으로의 상기 제2 핸들의 작동은 상기 펌프 챔버(94, 334)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펌프 피스톤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유체를 상기 유조(14, 2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으로 유입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1 핸들(12, 212)을 향한 상기 제2 핸들의 후속 작동은 상기 펌프 챔버(94, 334)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펌프 피스톤(92, 332)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를 상기 펌프 챔버(94, 334)로부터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상기 펌프 본체(2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관절 조립체(3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5. 제4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관절 조립체(364)는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상기 펌프 본체(216)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212, 218)에 대하여 제1 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조립체(222)를 상기 펌프 본체(216)와 상기 제1 및 제2 핸들(212, 218)에 대하여 제2 축(4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6. 제5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제1 축(412)은 상기 제2 축(414)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412)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다수의 예정된 위치(442)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피스톤(28, 228)에 대해 스프링의 미는 힘을 극복하는데 충분한 유압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28, 228)을 밀어내어 상기 고정 조오(30, 230)로부터 떨어져 상기 가동 조오(34, 234)를 움직이게 하는 상기 스프링(50, 2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9. 제8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스프링(50, 250)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을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28, 228) 위에 인장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250)이거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을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28, 228) 위에 압축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50)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조(14, 214)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펌프 챔버(94, 334)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의 유체가 상기 유조(14, 214)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상기 유조(14, 214)와 상기 펌프 챔버(94, 334) 사이에 있는 제1 밸브(116, 378); 및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에 있는 유체가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의 유체가 상기 펌프 챔버(94, 334)로 직접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제2 밸브(158, 378);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수동 작업 중에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로부터 상기 유조(14, 214)로 되돌아가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116, 378, 158, 378)를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해서 감압 조립체(170, 5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조오(34, 234)는 상기 피스톤(28, 228)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 립공구(10, 2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오(30, 230)와 상기 가동 조오(34, 234)의 최소한 하나는 분리가능한 조오 인서트(300, 3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
  14. 유압시 조립공구의 고정 및 가동 조오(30, 230, 34, 234)를 상기 커넥터 본체(CB) 내에 수용된 유체관(C)과 함께 상기 피팅(F)의 스웨이지 링(SR)과 상기 피팅(F)의 커넥터 본체(CB)에 결합하고;
    상기 유압식 조립공구(10, 210)의 펌프 챔버 내에 설치된 펌프 피스톤(92, 332)을 수동으로 작동하고;
    상기 펌프 피스톤(92, 332)이 제1 방향으로 움직여질 때 유체를 상기 유압식 조립공구(10, 210)의 유조(14, 2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펌프 피스톤(92, 332)이 제2 방향으로 움직여질 때 상기 펌프 챔버(94, 334) 내로 유입된 상기 유체를 상기 유압식 조립공구(10, 210)의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조(14, 214)로부터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으로 유체를 유입시키 고 상기 펌프 챔버(94, 334) 안의 유체를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안으로 유입된 상기 유체와 함께 상기 피스톤 챔버(38, 238) 내에 설치된 피스톤(28, 228)을 움직이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 본체(CB)를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CB) 위로 상기 스웨이지 링(SR)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28, 228)과 함께 상기 가동 조오(34, 234)를 고정 조오(30, 230)를 향하여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유압식 조립공구(10, 210)를 사용하여 피팅(F)을 유체관(C)에 기계적으로 밀봉되도록 연결하는 방법.
KR1020067019084A 2004-02-24 2005-02-24 유압식 수동 공구 KR101246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731904P 2004-02-24 2004-02-24
US60/547,319 2004-02-24
US58854104P 2004-07-16 2004-07-16
US60/588,541 2004-07-16
PCT/IB2005/001053 WO2005081620A2 (en) 2004-02-24 2005-02-24 Hydraulic hand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223A true KR20070020223A (ko) 2007-02-20
KR101246543B1 KR101246543B1 (ko) 2013-04-01

Family

ID=3491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084A KR101246543B1 (ko) 2004-02-24 2005-02-24 유압식 수동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37514B2 (ko)
EP (1) EP1750907B1 (ko)
JP (1) JP2007526831A (ko)
KR (1) KR101246543B1 (ko)
CN (1) CN101124069B (ko)
CA (1) CA2556907C (ko)
WO (1) WO20050816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9229B1 (en) * 2004-09-17 2013-03-13 Lokring Technology, LLC Installation tool assembly
GB2466098B (en) * 2005-02-25 2010-12-15 Parker Hannifin Plc A coupling
DE102006003044B4 (de) 2006-01-23 2015-10-08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angetriebenes Verpressgerät sowie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Fittings
IT1395470B1 (it) * 2009-07-31 2012-09-21 Mollificio Apuano S R L Utensile manuale per l'applicazione di un dispositivo di messa in posa di piastrelle e simili articoli su una superficie da rivestire
US7874881B1 (en) 2009-08-14 2011-01-25 Designed Metal Connections, Inc. Full tension swaged connector
CN101797740A (zh) * 2010-01-20 2010-08-11 浙江世进水控股份有限公司 滑紧管件用手动液压工具
US8458876B2 (en) * 2010-08-09 2013-06-11 Designed Metal Connections, Inc. Axial swage tool
US9278441B2 (en) * 2011-01-31 2016-03-08 Lokring Technology, Llc Installation tool for pipe fittings
US9199389B2 (en) 2011-04-11 2015-12-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ydraulic hand-held knockout punch driver
US9166303B2 (en) 2011-08-15 2015-10-20 Dmc Power, Inc. Full tension swaged connector for reinforced cable
CA2850536C (en) 2011-10-18 2017-03-28 American Grease Stick Company Tool for coupling fluid lines
US9016317B2 (en) 2012-07-31 2015-04-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ulti-operational valve
DE202012104763U1 (de) * 2012-12-07 2014-03-11 Rehau Ag + Co. Werkzeug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s Kunststoffrohres oder eines Metall-Kunststoff-Verbundrohres an einen Fitting mit einer Schiebe- oder Presshülse
JP6227667B2 (ja) * 2013-12-10 2017-11-08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油圧工具
US9862137B2 (en) 2015-04-20 2018-01-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EX expanding tool
US10000007B2 (en) 2015-06-10 2018-06-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EX expanding tool
US10400921B2 (en) * 2015-05-05 2019-09-03 Aerofit, Llc Axial swage tool
EP3538323B1 (en) 2016-11-09 2022-07-13 Aerofit LLC Axial swage tool
CN106881685B (zh) * 2017-03-20 2018-07-06 小原(上海)有限公司 一种焊钳拆帽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6526A (en) * 1964-10-02 1967-10-11 Parker Hannifin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errule setting tools
US3299496A (en) * 1965-03-17 1967-01-24 James B Christensen Tool for coupling hydraulic hoses
GB1179872A (en) * 1967-03-23 1970-02-04 Mastabar Mining Equip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resses
US4257135A (en) * 1977-12-01 1981-03-24 Hackforth Gmbh & Co. Kg Assembly tool for tube fittings
US4189817A (en) * 1978-03-03 1980-02-26 Moebius Kurt Otto Hydraulic assembly tool for tube fittings
CH672088A5 (ko) 1987-02-19 1989-10-31 Abnox Ag
US5069058A (en) * 1988-12-27 1991-12-03 Deutsch Metal Components Swaging tool
CA1320653C (en) * 1988-12-27 1993-07-27 Arthur J. Hyatt Swagging tool
US4942757A (en) * 1989-03-31 1990-07-24 Burndy Corporation Hydraulic press with infinite head rotation
WO1991015331A1 (en) * 1990-04-06 1991-10-17 Lokring Corporation Hydraulic assembly tool with improved load bearing arrangement for tube fittings
CA2127119C (en) * 1992-01-31 1999-05-04 Arthur J. Hyatt Swaging tool for axially swaged fittings
CN1078195A (zh) * 1992-05-07 1993-11-10 赖晓威 手持式多用途电动液压机及专用模夹具
US5297325A (en) * 1993-03-11 1994-03-29 Aeroquip Corporation Hydraulic tool
US5483731A (en) * 1994-01-26 1996-01-16 Aeroquip Corporation Universal hydraulic tool
US5694670A (en) * 1995-05-26 1997-12-09 Hosseinian; Amir P. Secure swaging tool
US5782128A (en) * 1997-04-18 1998-07-21 Mastercool, Inc. Hand tool for flaring a tube
DE29713844U1 (de) * 1997-08-02 1997-11-13 Knipping Daniel Vorrichtung zum Verpressen von Rohrendbereichen
AU7608400A (en) * 1999-09-22 2001-04-24 Swagelok Company Apparatus for swaging ferrules
US6618919B1 (en) * 2000-10-03 2003-09-16 Mckay Albert A. Remote actuation of installation tooling pump
US6434808B1 (en) * 2000-11-02 2002-08-2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act installation tool
US6564610B2 (en) * 2001-06-18 2003-05-20 Fci Usa, Inc. Hydraulic tool having mechanical actuator with internal bypass valve
US6823573B2 (en) * 2002-01-25 2004-11-30 Eaton Corporation Swaging tool including system to determine when connector is in a proper position for assembly
US6662420B1 (en) * 2002-09-04 2003-12-16 Huck International, Inc. Hydraulic installation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0907A4 (en) 2010-01-06
CA2556907A1 (en) 2005-09-09
JP2007526831A (ja) 2007-09-20
KR101246543B1 (ko) 2013-04-01
WO2005081620B1 (en) 2008-01-24
EP1750907B1 (en) 2014-04-30
US7337514B2 (en) 2008-03-04
CA2556907C (en) 2013-10-29
EP1750907A2 (en) 2007-02-14
US20050183258A1 (en) 2005-08-25
CN101124069A (zh) 2008-02-13
WO2005081620A3 (en) 2007-11-08
WO2005081620A2 (en) 2005-09-09
CN101124069B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543B1 (ko) 유압식 수동 공구
JP3894578B2 (ja) 迅速連結式継手
KR100248787B1 (ko) 축방향 스웨이징 장치와 그의 조립방법,및 스웨이징 시스템
US6666064B2 (en) Portable hydraulic crimping tool
KR100522754B1 (ko) 안전밸브와 압력 해제 밸브를 가진 신속 결합 파이프 피팅
US20090051161A1 (en) Multiconnector For a Conduit
EP1339509A1 (en) Hand-held portable crimping tool
US8684035B2 (en) Quick connect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lines, especially in earth moving machines, and the interchangeable add-on devices and tools thereof
TW201812185A (zh) 具增力機構的流體壓力缸
KR20020038515A (ko) 유압 장치
JP4454662B2 (ja) 同軸継ぎ手
US7155790B2 (en) Axial swage tool
JP3359973B2 (ja) 急速継手
JPH0152639B2 (ko)
JP2019537518A (ja) 軸のカシメ工具
JPH01158286A (ja) 抗圧力連結形カップリング
CA1131545A (en) Hydraulic actuator
JP2501392Y2 (ja) 管圧縮復元機
JPH02108467A (ja) パイプの抵抗突合せ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