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323A -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323A
KR20070018323A KR1020050072935A KR20050072935A KR20070018323A KR 20070018323 A KR20070018323 A KR 20070018323A KR 1020050072935 A KR1020050072935 A KR 1020050072935A KR 20050072935 A KR20050072935 A KR 20050072935A KR 20070018323 A KR20070018323 A KR 2007001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dye
dyeing
dye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590B1 (ko
Inventor
박윤점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7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북 꼬리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염모제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화학 염모제와 비교하여서도 그 성능이 전혀 뒤지지 않는다.
갈색, 천연 염모제, 거북꼬리. 사스레피나무,

Description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Natural brown hair-dye and manufacturing method it that use Boehmeria tricuspis Makino extract}
도 1은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L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a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b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E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기존 화학 염색제와 비교 시험에 있어서 모발의 세정에 따른 L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존 화학 염색제와 비교 시험에 있어서 모발의 세정에 따른 a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기존 화학 염색제와 비교 시험에 있어서 모발의 세정에 따른 b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기존 화학 염색제와 비교 시험에 있어서 모발의 세정에 따른 △E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염색 시간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L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염색 시간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a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염색 시간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b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염색 시간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E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염색 조건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L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염색 조건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a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염색 조건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b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염색 조건을 달리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E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갈색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갈색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모발을 다양하게 염색하는 조성물로 화학약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헤나 등을 이용한 천연물 염색제도 출시가 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화학약품의 경우 피부에 대한 자극 등으로 유해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헤나의 경우 그 재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학물질로 구성된 염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수입 염모제의 대체효과를 얻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천연 식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 갈색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북 꼬리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열수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는 사스레피 잿물, 두즙(豆汁), 밀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취한 거북 꼬리를 추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수의 온도는 90 ~ 100℃, 추출 시간이 30 내지 9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열수 추출 단계의 결과물을 농축하고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연 갈색 염모제를 찾는 연구를 지속하던 중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인 거북 꼬리의 추출물이 갈색 염모제로서 사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거북 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 )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쐐기풀목 쐐기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제주, 전남, 경남, 강원, 경기, 평남, 함남 등에서 자생하며, 잎은 마주나고 계란모양이며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가운데의 갈라진 조각은 길이 2 ∼ 5cm로 거북꼬리처럼 되며, 계곡의 숲 가장자리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약 1m 정도 자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거북 꼬리를 이용하여 천연 갈색 염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5∼10월경에 채취한 거북꼬리를 추출조에 넣고 거북꼬리 중량의 10 ~ 40배에 해당되는 pH 7 정도의 물을 부어 침지시킨 다음 90 ~ 100℃에서 30 내지 90 분간 열수 추출한다.
상기 열수 추출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자에 의해 최적의 천연 염모제가 추출될 수 있는 조건으로 나올 수 있는 조건으로, 많은 시험을 통하여 결정된 것이다.
또한 열수로 추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열수 추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추출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감압농축기 또는 열탕처리를 하여 10% 내외로 농축시킨 다음 농축액을 130-160℃에서 스프레이건조시켜 분말화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의 완료된다. 스프레이 온도를 한정하는 이유는 온도가 130℃이하가 되면 건조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160℃이상이 되면 분말이 타버리는 비율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는 열수 추출물의 형태, 농축물, 분말 형태 어떤 것으로도 하여 사용 가능하며, 유통 및 보관을 고려하면 분말 형태로 제조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는 열수 추출물, 농축액, 분말 형태의 것을 물과 혼합하여 적정한 농도로 하여 염모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견뢰도의 향상을 위하여 사스레피 잿물, 두즙, 밀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
먼저 5월에 채취한 거북꼬리를 10kg를 거북꼬리 중량의 20배에 해당되는 순수가 약 100℃로 가열되어 있는 추출조에 넣고 100℃를 약 50분간 유지하면서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약 10%로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150℃에서 스프레이 건조하고 이를 고운 가루로 분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갈색 염모제의 염색 실험>
밝은 노랑색을 나타내는 탈색된 머리 150 내지 200개의 머리카락을 묶은 머리카락 묶음 5개(총 무게 : 6g)을 랩 위에 놓고 염모제를 스프레이로 4회 뿌린 후 칫솔로 3분간 골고루 묻힌 다음 약 60분간 염색하고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어주고 그 후 샴푸(라이스, CJ)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 드라이기로 물기를 제거한 후 마른 상태일 때 Hunter colormeter(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L값(lightness : 0 = black, 100 = white), a값(red - green : +80 = red, -80 = green), b값(yellow - blue : +80 = yellow, -80 = blue)을 측정하였으며, H V/C 값은 Munsell 표색계 변환법에 의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와 도면으로 나타냈었다.
시험에 사용된 염모제 중 총 4가지로서, 첫째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분말 천연 갈색 염모제 5g에 물 3ml를 넣은 무처리 염모제, 둘째는 분말 5g과 밀가루 2g의 혼합물에 물 3ml를 넣은 밀가루 처리 염모제, 세째는 분말 5g에 두즙과 물의 혼합 물(여기서는 베지밀을 사용함) 3ml를 넣은 베지밀 처리 염모제, 네째는 사스레피 나무의 잿물 3ml에 분말 5g을 넣은 사스레피 매염 처리 염모제였다.
하기 표 1은 4가지의 염모제로 염색한 직후의 결과 데이타로서, 표 1은 보면 4가지 모두 갈색으로 잘 염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염색 정도는 무처리 매염제가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색방법 Hunter value ΔE Munsell value
L a b H V C
탈색된 머리 64.89 a 5.95 g 24.67 a 0.00 d 9.13 YR a 6.40 a 3.90 c
무매염 40.73 f 15.73 a 24.10 a 14.62 b 4.20 YR f 4.00 e 4.93 a
밀가루 52.85 b 8.79 f 21.85 b 12.01 c 7.20 YR b 5.20 b 3.76 c
베지밀 45.28 de 13.80 c 24.77 a 11.67 c 5.27 YR d 4.43 d 4.76 a
사스래피잿물 45.79 d 12.10 d 22.10 b 15.52 a 5.47 YR d 4.50 d 4.20 a
이어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L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인 도 1을 보면 염색 전 탈색된 머리의 밝기는 64.58로 염색 당시의 머리색은 무처리가 가장 어두운 색으로 나타났고 밀가루가 가장 밝은색으로 나타나 염색이 가장 잘 된 것은 무처리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그리고 세탁 후의 머리색은 처음 염색 당시보다 점점 밝아지나 그 차이가 작을수록 좋은 것으로 무처리보다는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스레피 처리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a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인 도 2를 보면 염색 전 탈색된 머리의 a는 5.93으로 염색이 갈색이므로 a값이 +로 갈수록 붉은 계열로 나타나 염색이 잘된 것으로 이 역시 염색이 가장 잘 된 것은 무처리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그리고 세탁 후의 머리색은 처음 염색 당시보다 점점 밝아지나 그 차이가 작을수록 좋은 것으로 무처리보다는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스레피 처리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b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인 도 3을 보면 b는 +로 갈수록 Yellow계열이므로 사스레피 잿물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염색 방법별 모발의 세정에 따른 △E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인 도 4를 보면, △E값은 처음 염색 당시는 그 값의 차이가 염색이 잘 된 것으로 나타나며 세탁 횟수가 증가할수록 처음 값과 차이가 적은 것은 우수하게 염색된 것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비교 시험>
실시예 2중 사스레피 매염 처리 염모제를 이용한 염색과 기존 화학 약품 염모제(와인색 : R5 퍼플와인, 소망화장품) 를 이용한 염색에 대하여 비교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2와 도 5 내지 도 8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염모제 역시 종래의 화학 약품 염모제에 전혀 뒤지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색방법 Hunter value ΔE Munsell value
L a b H V C
탈색된 머리 64.89 a 5.95 c 24.67 a 0.00 c 9.13 YR a 6.40 a 3.90 c
사스래피잿물 45.79 b 12.10 b 22.10 b 15.52 b 5.47 YR b 4.50 b 4.20 b
화학염모제 (퍼플와인) 37.37c 22.67a 4.92c 30.55a 0.67 Rc 3.60 c 5.40 a
종래의 화학 염모제는 염색 후 처음 모발 색상은 퍼플와인으로 나타나 있으며 물빠짐 후 모발색상은 붉은 갈색으로 사용설명서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4: 염색 조건에 따른 시험>
염색 조건으로 염색시간은 40, 60, 80분으로, 이 때는 캡2회(습도와 열)로 하며 또한 다른 염색 조건으로서 염색조건은 상온, 캡 1회(습도유지), 캡 2회(습도와 열)처리로 하여 이때 시간은 60분으로 하여 그 결과를 표 3과 표 4 및 도 9 내지 16으로 나타냈는데 염색 시간은 60분, 염색 조건은 캡 2회가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염색방법 Hunter value ΔE Munsell value
L a b H V C
탈색된 머리 64.89 a 5.95 c 24.67 a 0.00 c 9.13 YR a 6.40 a 3.90 c
40분 43.13 c 14.06 a 23.47 ab 17.21 a 4.80 YR c 4.20 c 4.20 a
60분 45.78 b 12.10 b 22.10 b 15.52 b 5.47 YR b 4.50 b 4.20 a
80분 43.42 c 12.58 b 22.30 d 14.80 b 5.47 YR b 4.23 c 4.23 a
염색방법 Hunter value ΔE Munsell value
L a b H V C
탈색된 머리 64.89 a 5.95 d 24.67 a 0.00 c 9.13 YR a 6.40 a 3.90 b
캡 2회 45.78 b 12.10 b 22.10 c 15.52 b 5.47 YR c 4.50 c 4.20 b
상온 44.64 d 14.01 a 23.86 ab 12.99 c 4.93 YR d 4.40 d 4.70 a
캡 1회 50.22 c 10.98 d 22.52 bc 22.52 d 6.10 YR b 4.90 b 4.1 b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갈색 염모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염모제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화학 염모제와 비교하여서도 그 성능이 전혀 뒤지지 않는다.

Claims (7)

  1. 거북 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 꼬리 추출물이 열수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스레피 잿물, 두즙, 밀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
  4. 채취한 거북 꼬리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가 열수에 의한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의 온도가 90 ~ 100℃이며, 추출 시간이 30 내지 9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
  7. 제 4항,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단계의 결 과물을 농축하고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갈색 염모제의 제조방법.
KR1020050072935A 2005-08-09 2005-08-09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KR100698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935A KR100698590B1 (ko) 2005-08-09 2005-08-09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935A KR100698590B1 (ko) 2005-08-09 2005-08-09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323A true KR20070018323A (ko) 2007-02-14
KR100698590B1 KR100698590B1 (ko) 2007-03-22

Family

ID=4156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935A KR100698590B1 (ko) 2005-08-09 2005-08-09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64B1 (ko) * 2010-11-26 2013-11-28 김용수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64B1 (ko) * 2010-11-26 2013-11-28 김용수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590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7476B (zh) 一种基于植物染料的拼色上染工艺
Hosseinnezhad et al. Green dyeing of silk fabrics in the presence of pomegranate extract as natural mordant
KR101045353B1 (ko) 천연재 염료를 이용한 염색 방법
KR100698590B1 (ko) 거북꼬리의 추출물 이용한 천연 갈색 염모제 및 그제조방법
JP3720000B2 (ja) 染毛料及び染毛方法
KR101272457B1 (ko) 천연 염색용 단백질분해물 매염제 및 그 단백질분해물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 염색 방법
CN111671714A (zh) 一种养发护发的植物染发剂及其染发方法
KR20090089032A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JP2008523051A (ja) 毛髪美化に使用される植物性黒色素およびその適用
KR20050026759A (ko) 천연 식물성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와 그를 이용한 모발염색방법
CN109247507A (zh) 一种七彩粽子及其制备方法
KR101039217B1 (ko) 탄닌으로 기능성을 강화시킨 무늬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540B1 (ko) 천연 홍화에서 추출한 황색, 홍색 분말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7871A (ko) 가공된 허브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12494385A (zh) 一种植物酵素染发剂及其应用
Choi et al. Evaluation of hair-dyeing by using Rubus coreanus Miquel sludge
KR20050116552A (ko)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WO2007007936A1 (en) Composition for hairdye comprising mulberry, mulberry leaves or mori radicis cortex
KR20150137730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천연 염료 제조방법
KR20150109784A (ko) 천연복합물을 함유한 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케어용 조성물
CN107693474A (zh) 一种天然植物染发剂
KR102098660B1 (ko) 옻나무 추출물 또는 헛개나무 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천연염색제 조성물
KR102435992B1 (ko) 검은콩 종피 추출물 및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염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503925B1 (ko) 쪽염색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5448B1 (ko) 인디칸을 함유하는 인디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디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