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552A -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552A
KR20050116552A KR1020040041653A KR20040041653A KR20050116552A KR 20050116552 A KR20050116552 A KR 20050116552A KR 1020040041653 A KR1020040041653 A KR 1020040041653A KR 20040041653 A KR20040041653 A KR 20040041653A KR 20050116552 A KR20050116552 A KR 20050116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s
fermentation
dye
indigo
pi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642B1 (ko
Inventor
최옥자
Original Assignee
최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옥자 filed Critical 최옥자
Priority to KR102004004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7/00Indigoid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염색의 한 종류로 사용되어온 쪽염료를 소정의 조건에서 발효 및 산화시켜 쪽염료에 함유되어 있는 알카리성분을 분리되게 하여 천연적인 청색색소(indigo) 만을 추출함으로써 쪽 식물이 가진 살충, 살균 및 항균기능을 이용하여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의 공산품과 과자 등의 식용제품에 첨가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한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즉, 쪽을 채취하여 통상적인 침전법과 두엄발효법 및 용액법 등의 적어도 어느 한 방법으로 쪽염료를 얻은 후 이 염료를 독에 담아 바닥면의 접촉부 온도가 80~95℃를 유지하는 온열장치에 안착되게 하여 여러 회에 걸쳐 발효와 숙성을 반복하며, 숙성된 쪽염료를 약 100℃의 고온에서 부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일카리성분이 분리된 청색의 쪽색소를 얻어 각종 공산품이나 식용품의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쪽색소의 살충, 살균 및 항균기능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산업분야에 사용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Extraction method of indigo coloring matter from indigo dyes}
본 발명은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염색의 한 종류로 사용되어온 쪽염료를 소정의 조건에서 발효 및 산화시켜 쪽염료에 함유되어 있는 알카리성분을 분리되게 하여 천연적인 청색색소(indigo) 만을 추출함으로써 쪽 식물이 가진 살충, 살균 및 항균기능을 이용하여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의 공산품은 물론 과자 등의 식용제품에 첨가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한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쪽은 마디풀과 한해살이 풀로서 수세기 이전부터 남빛 색채를 띤 물감을 만들어 섬유나 종이 등의 염색에 사용되어 왔으며, 쪽염색은 오랜세월 동안 원상태를 유지하는 보존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쪽으로부터 물감을 얻기 위한 이른바 쪽염료의 제조법은, 쪽잎을 우려낸 물에 침전제로서 일상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알카리성 성분인 조갯가루를 적량 투입하여 쪽죽을 만든 후 침전시켜 염료를 얻게된 침전법과, 쪽잎을 다량으로 적당온도에서 쌓아둠으로써 두엄 상태와 같이 발효시켜 염료를 얻게된 두엄발효법(스꾸모법), 쪽물앙금에 잿물을 용해시켜 염료를 얻게 된 용액법 등의 여러 방법이 전래되어 왔다.
쪽염료를 이용한 염색의 보존성과 견뢰도는 수 백년 이전으로 추측되는 출토품의 복식으로부터 염색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오히려 고색창연한 모습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점과, 고서중 남색물로 염색된 책자가 곰팡이나 좀 등의 유해요인에 대해 염색되지 않은 고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위의 사실로부터 미뤄 볼 때 쪽염료에는 인체에 전혀 해를 주지않는 살충, 살균 및 항균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상기와 같이 쪽염료가 지닌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염색에 이용하는 것 외에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던 요인은 쪽염료에 함유된 알카리성 성분 때문에 착색이 이루어짐으로써 착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염색을 동반하게 되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쪽염료에서 색소에 결합되어 바인더 역할을 하는 알카리성분을 제거하여 색소 성분만을 추출하여 사용하면 착색기능이 결여되므로 착색을 요구하지 않는 분야에 쪽색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쪽염료의 산업상 사용범위의 제약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쪽염료에 함유되어 있는 알카리성분을 분리되게 하여 천연적인 청색색소(indigo) 만을 추출하는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쪽을 채취하여 통상적인 침전법과 두엄발효법 및 용액법 등의 적어도 어느 한 방법으로 쪽염료를 얻은 후 이 염료를 독에 담아 바닥면의 접촉부 온도가 80~95℃를 유지하는 온열장치에 안착되게 하여 여러 회에 걸쳐 발효와 숙성을 반복하며, 숙성된 쪽염료를 약 100℃의 고온에서 부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일카리성분이 분리된 청색의 쪽색소를 얻어 각종 공산품이나 식용품의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쪽 식물이 가진 살충, 살균 및 항균기능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산업분야에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쪽염료는, 쪽을 채취하여 얻은 쪽물에 적당량의 조갯가루를 투여하여 침전에 의해 염료를 얻게된 침전법과, 쪽잎을 적당온도에서 두엄 상태로 발효시키게 된 두엄발효법(스꾸모법), 쪽물앙금에 잿물을 용해시켜 염료를 얻게된 용액법 등의 적어도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쪽염료의 제조법들은 비법으로 간주되어 전수형태로 천여년의 세월에 걸쳐 오늘날 까지 계승되어 왔다.
쪽 식물은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균, 살충 및 항균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염료로서 사용할 때에도 염색상태에 대한 보존성과 견뢰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각종 유물이나 출토품들로부터 확인되고 있다.
쪽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중 전구체를 이루고 있는 인디칸(indican)은 수용성 포도당 배당체로서 물에 잘 녹아 추출이 용이하며, 이를 조갯가루 또는 잿물 등의 천연 알카리(pH : 11)와 혼합함으로써 포도당 성분의 융화로 인해 가수분해 되면서 맑은 남색으로 채색되는 염료를 얻게된다.
즉, 청색 색소를 띠는 인디칸이 천연 알카리와 발효되는 과정에서 알카리를 껴안게 되어 산소에 접촉됨에 따라 남색을 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화 인디칸을 천연 알카리에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준비된 쪽염료로부터 산화 인디칸을 분리하기 위해 액상의 염료를 독(W)에 담아 바닥면 접촉부의 온도가 80~95℃를 유지하는 온열장치(10) 위에 안치시켜 수일간 동안 발효와 숙성을 반복하여 산화되게 하며, 상기 발효와 산화를 거쳐 숙성된 염료는 약 100℃의 고온에서 부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일카리성분이 분리된 청색의 쪽색소를 얻게 되며, 상기 쪽색소는 쪽 식물이 가진 살균, 살충 및 항균성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쪽염료의 발효와 숙성과정에서 발효상태의 곡물을 적당량 첨가함으로써 알카리의 분리를 촉진시키게 된다.
온열장치(10)는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11)와 배수시키는 배출구(12) 및 적정온도를 유지되도록 계측이 가능한 온도계(13)가 구비되어 탱크내에 주입되어 있는 물을 직열로 가열하여 80~95℃ 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그 상부면에 놓인 독에 온열을 전달하여 독에 담겨있는 염료가 최적으로 발효 및 숙성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쪽염료로부터 얻어진 으므로 쪽색소는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의 공산품을 제조할 때 중량비로 3~9% 범위의 함량이 함유되게 제조하여 사용하여 본 결과 피부질환의 일종인 아토피성 질환 및 두피에 나타나는 비듬 등에 상당한 억제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쪽색소를 사탕 또는 건과 등을 제조할 때 색소제로 사용한 결과 색상이 매우 미려함은 물론 쪽의 고유 성분인 살균, 살충 및 항균성 등의 기능성 작용을 가지게 되어 변질이나 부패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예는 세제 및 식품에 쪽색소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위에 거론되지 않은 여러 일상용품 및 공산품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은 쪽 식물에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염료를 만든 후 그 염료로부터 염색기능이 제거된 천연적인 청색색소만을 추출해 내어 쪽 식물이 가진 인체에 유익한 살충, 살균 및 항균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공산품 및 식품 등의 첨가제로 응용함으로써, 각종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억제력을 가지면서 미려한 색상의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료가 담긴 독에 온열을 가하기 위한 온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온열장치 11 : 주입구
12 : 배출구 13 : 온도계
W : 독

Claims (2)

  1. 쪽에 함유되어 있는 청색 색소를 띠는 인디칸(indican)이 천연 알카리와 발효되는 과정에서 천연 알카리(pH : 11)를 껴안은 상태에서 산소에 접촉됨에 따라 남색으로 채색되는 쪽염료에 있어서,
    준비된 쪽염료로부터 산화 인디칸을 분리하기 위해 액상의 염료를 독(W)에 담아 바닥면 접촉부의 온도가 80~95℃를 유지하는 온열장치(10) 위에 안치시켜 수일간 동안 발효와 숙성을 반복하여 산화되게 하고, 상기 발효와 산화를 거쳐 숙성된 염료는 약 100℃의 고온에서 부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일카리 성분이 분리된 청색의 쪽색소를 얻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쪽염료의 발효와 숙성과정에서 알카리의 분리를 촉진시키도록 발효된 곡물을 적당량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KR1020040041653A 2004-06-08 2004-06-08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KR10054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53A KR100540642B1 (ko) 2004-06-08 2004-06-08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53A KR100540642B1 (ko) 2004-06-08 2004-06-08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552A true KR20050116552A (ko) 2005-12-13
KR100540642B1 KR100540642B1 (ko) 2006-01-12

Family

ID=3729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53A KR100540642B1 (ko) 2004-06-08 2004-06-08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3167A (zh) * 2012-12-25 2013-04-03 郭瑞 天然植物靛蓝染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401B1 (ko) 2009-11-17 2012-01-06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쪽풀을 이용하는 분말 형태의 천연인디고 제조방법
KR101249252B1 (ko) 2011-04-01 2013-04-01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인디고 환원 능력을 가지는 세균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71797B1 (ko) 2012-09-11 2014-03-07 하태일 인도람을 이용한 천연염색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1581135B1 (ko) 2014-10-29 2015-12-29 장수주 상온 발효 방법으로 쪽 염료에서 순수 쪽 색소 분리 추출 장치
KR102072379B1 (ko) 2017-07-18 2020-02-07 정재만 쪽 염료 추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3167A (zh) * 2012-12-25 2013-04-03 郭瑞 天然植物靛蓝染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642B1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9519C (en) Dyeing method for raising blue color
CN105434234B (zh) 一种纯天然植物洗护剂及制备方法
Hamdy et al. Various natural dyes using plant palette in coloration of natural fabrics
KR100540642B1 (ko)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CN105400232A (zh) 一种菊花植物染料的制备方法
KR101292977B1 (ko) 쪽 염료로부터 쪽 색소의 추출방법, 이 방법에 의해 추출된 쪽 색소 및 이들 쪽 색소의 용도
KR101322804B1 (ko) 쪽을 이용한 천연염료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1039217B1 (ko) 탄닌으로 기능성을 강화시킨 무늬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4623A (ko) 가자열매를 이용한 고기능성 천연염색방법
CN113512305A (zh) 一种利用化学试剂制作传统染料红花饼的方法
JPH0479387B2 (ko)
CN105232444A (zh) 一种补水面膜
KR101929260B1 (ko) 락 염료 및 가자 염료를 이용한 천연 염색 방법
KR20220005284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형광 염색 방법
CN1803933A (zh) 紫甘薯天然红色素的乙醇提取方法
Wisniak Dyes from antiquity to synthesis
JPH0413611A (ja) 天然染毛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5323A (ko) 갈변을 이용한 제1모수, 제2모수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231840B1 (ko) 황칠나무 추출 염료를 이용한 천연 염색방법
KR102181406B1 (ko) 버블티용 타피오카 펄의 제조방법
CN107693474A (zh) 一种天然植物染发剂
Chet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of pitaya peels by water extraction
Begum A study of Natural Dyes and Dye Yielding Plants and its application on Textile in Ancient India
Janani et al. Extraction of Eco-Friendly Natural Dye from Variety of Vegetables
CN114009673A (zh) 一种三色饭粽子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