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068A -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068A
KR20070016068A KR1020060071864A KR20060071864A KR20070016068A KR 20070016068 A KR20070016068 A KR 20070016068A KR 1020060071864 A KR1020060071864 A KR 1020060071864A KR 20060071864 A KR20060071864 A KR 20060071864A KR 20070016068 A KR20070016068 A KR 2007001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ating
phase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야마다
유이치로 구나이
도루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6068A/ko
Publication of KR2007001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Abstract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액정 셀 유리에 페이스트되는 경우 높은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이 제조된다.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경우,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고, 공정동안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면 위상차가 있는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코팅액을 베이스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제조하고, 접착층(12)을 갖는 편광 플레이트(11)를,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층 면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노출면과 접촉하도록, 이송 베이스(20)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에 페이스트시킨 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로부터 이송 베이스(20)를 제거하여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한다.

Description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ATING LIQUID FOR PLATE WITH COATING HAVING PHASE RETARD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PLATE WITH COATING HAVING PHASE RETARD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UND POLARIZING PLATE}
도 1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에 페이스트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에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를 페이스트하는 단계까지를 예시하는 롤 형태의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에 제 2 접착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로부터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각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코팅액의 제조 방법,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상에 편광 플레이트가 적층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최근, 전력 소모가 작아 저전압에서 구동하는 얇은 광중량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휴대폰, 휴대가 간편한 정보 단말장치, 컴퓨터 모니터 및 텔레비전 세트 등의 정보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액정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각종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제안된 바 있고, 이에 따라 저속 반응, 낮은 콘트라스트 및 좁은 시각과 관련한 문제들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브라운관(CRT)에 비해 시각이 여전히 좁은 것이 지적되고 있고, 시각을 넓히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수직 배향 모드(VA-LCD)의 네마틱(nematic)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이들 시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2548979호에 개시되었다. 이러한 수직 배향 모드에서, 액정 분자는 비구동 상태에서 기판으로부터 수직하여 배향되고, 따라서 광은 편광 변화없이 액정층을 통과한다. 따라서, 편광축이 상호 수직 교차하도록 액정 판넬의 상부 및 하부에 선형 편광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전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완벽한 블랙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으며, 고 콘트라스트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 플레이트만이 상술된 방식으로 액정 셀에 구비된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비스듬히 보았을 때 배치된 편광 플레이트 축 사이의 각이 90o를 벗어나며 셀내 막대형의 액정 분자가 복굴절(birefringence)을 나타냄으로써 광 누설을 야기함에 따라 콘트라스트비를 상당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 누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셀과 선형 편광 플레이트 사이에 광 보상 필름을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하나의 이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액정 셀과 상 하부 편광 플레이트 사이 각 갭에 위치하고, 하나의 일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 및 하나의 완전 이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액정 셀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두 플레이트가 액정 셀의 한 면에 위치하는 통상적인 설계가 채택된다. 예컨대, JP 2001-10900A(청구항 15 및 0036번째 문단)에서는, a-플레이트(즉, 포지티브(positive) 일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 및 c-플레이트(즉, 완전 이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각각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상부 및 하부 편광 플레이트와 액정 셀 사이에 배치된 형태가 기술되었다.
포지티브 일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는 면내 위상 지연값 R0 대 두께 방향으로의 위상 지연값 R'의 R0/R' 비가 약 2인 필름이며, 완전 이축의 위상 지연 플레이트는 면내 위상 지연값이 약 0인 필름이다. 이때, 필름면내 지연 위상 축의 방향으로 굴절율이 nx이고, 필름면내 고속 위상의 방향으로의 굴절율(지연 위상 축의 방향에 수직 방향)이 ny이며,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의 굴절율이 nz이고, 필름 두께가 d인 경우, 면내 위상 지연값 R0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상 지연값 R'는 각각 하기 식 (1) 및 (2)로 나타내어진다:
R0=(nx-ny)×d
R'=[(nx+ny)/2-nz]×d
포지티브 일축 필름의 경우, nz~ny, 따라서 R0/R'~2이다. 일축 필름의 경우에 조차도, 연신 조건의 변동으로 인해 R0/R'가 약 1.8 내지 2.2로 변한다. 완전 이축 필름의 경우, nx~ny, 따라서 R0~0 이다. 완전 이축 필름에서는, 두께 방향으로만 굴절율이 상이하며(더 작다), 따라서 네거티브(negative) 일축성을 갖고, 광축이 정상 방향에 있는 필름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된 c-플레이트로 분류될 수 있다. 이축 필름에서는 nx>ny>nz이다.
JP 10-104428A(= USP 6,060,183)에서는 상술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완전 이축 위상 지연 플레이트로서 유기 용매에 분산될 수 있는 유기 데코레이팅 점토 복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위상 지연 플레이트의 형성에 대해 개시하였다. 상술 된 바와 같은 코팅층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소정 형태로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구조는 단순하며, 이러한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액정 디스플레이에 도포되는 경우, 시각성 및 단순성 양자 모두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아직 심사되지 않은 일본 특허 공보 제 2004-294983호는 유기 용매에 분산될 수 있는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메트)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층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편광기 한 측에 구비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와 통합된 편광 플레이트 형태를 개시하였다.
상술된 바와 같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형성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 또는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접착제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셀 유리상에 페이스트되는 경우, 액정 셀에 대한 플레이트의 접착성은 위상 지연 플레이트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단히 연구한 결과,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유기 용매에서 혼합하고, 공정동안 혼합물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할 수 있는 첨가제를 첨가하면 상술된 코팅액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상에 페이스트되어도 접착제의 접착성이 경시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액정 셀 유리상에 페이스트되는 경우 고도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코팅액을 사용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와 같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코팅액에서는,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결합제 수지의 중량비가 0.5를 초과하나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한 우레탄 수지, 예컨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한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사급 암모늄 화합물과 스멕타이트(smectite)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의 복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복합물 및 음이온 교환 수지가 코팅액에 첨가되는 흡착제의 일례로 언급될 수 있다. 공정동안 유기 용매에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에 흡착제를 첨가한 후, 용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입자 직경이 큰 고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수득한 코팅액을 베이스에 도포하는 단계, 및 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수득한 코팅액을 이송 베이스에 도포하는 단계, 이를 건조시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접착층을 갖는 편광 플레이트를 접착층 면의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노출면에 페이스트하는 단계,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송 베이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된다. 먼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을 설명하기로 하겠다.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에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는 유기 용매내에 함유된다. 이 코팅액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유기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0.5를 초과하나 4 이하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내 두 성분의 중량비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헤이즈값(haze value)을 소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혼합물내 두 성분의 중량비가 1을 초과하나 3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코팅액내 고체 함량의 농도는 제조후 코팅액이 젤로 변하거나 혼탁해져 실용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의 총 고체 함량이 약 3 내지 18 중량%인 코팅액이 사용된다. 고체 함량의 최적 농도는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의 각 형태 및 두 성분의 조성비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각 화합물마다 설정되나, 보통 농도가 6 내지 14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종 첨가제, 예컨대 필름이 베이스에 형성되었을 때 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도 조절제 및 소수성 및/또는 내구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한 가교결합제가 이 코팅액에 첨가될 수 있다.
코탕액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에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저극성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및 또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을 비롯한 고극성 용매, 저급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 및 탄화수소 할라이드, 예를 들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디클로로에탄이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분산시키고 결합제 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으며, 코팅액이 젤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임의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한, 결합제 수지에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결합제 수지는 적절한 내열성 및 취급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틸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부티랄 및 폴리비닐 포르말, 셀룰로즈 수지, 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수지, 예컨대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한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바람직한 결합제 수지의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한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한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한 우레탄 수지는 분자내에 다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기와 분자내에 하이드록실기와 같이 다수의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을 추가 반응시켜 형성시킨다.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보넨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분자내에 다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화합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도, 특히 베이스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이 분자내에 다수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화합물은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사이클릭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메틸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a-메틸 트리메틸렌 옥사이드, 3,3-디메틸 트리메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옥산의 개환 중합 또는 공중합으로 제조되며, 또한 폴리에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옥시 알킬렌 글리콜로도 지칭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다염기성 유기산, 특히 디카복실산 및 폴리올의 축합 중합으로 제조된다. 포화 지방족 산, 이를테면 옥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및 이소세바신산, 불포화 지방족 산, 이를테면 말레산 및 푸마르산 뿐 아니라 방향족 카복실산, 이를테면 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이 디카복실산의 일례로 언급될 수 있다. 디올, 이를테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 트리올, 이를테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헥산트리올 및 글리세린, 및 헥사올, 이를테면 소르비톨이 폴리올의 일례로 언급될 수 있으나, 폴리올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 수지가 20 ℃ 이하의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전이 온도가 -20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높은 경우, 러버 탄성이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위상 지연 플레이트 및 이러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성 및 유연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은 유기 화합물 및 점토 광물의 복합물이며, 구체적으로 말해, 적층 구조를 갖는 점토 광물과 유기 화합물의 복합물이다. 스멕타이트 군 및 팽윤 운모가 적층 구조를 갖는 점토 광물로 언급될 수 있으며, 그의 양이온 교환 능력으로 인해 유기 화합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중에서, 스멕타이트 군이 투명성 면에서 뛰어나며, 따라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헥토라이트(hectorite),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치환체, 유도체 및 혼합물이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것이 소량의 불순물을 갖고 투명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가시광빔 산란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인 직경을 작게 제어시킨 합성 헥토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환가능한 양이온과 교환될 수 있는 이온성 화합물 및 점토 광물내 하이드록실기 또는 산소 원자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이 점토 광물과 배합되는 유기 화합물로 언급될 수 있으며, 유기 화합물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유기 용매내에 팽윤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이 없고, 질소 함유 화합물이 일례로 언급될 수 있다.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 사차 암모늄 화합물, 우레아, 히드라진 등이 질소 함유 화합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사차 암모늄 화합물이 양이온 교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및 알킬 에테르 사슬을 갖는 화합물이 사차 암모늄 화합물의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CH3CH(CH3)O)nH기(여기에서, n은 1 내지 50이다) 또는 -(CH2CH2CH2O)nH기를 갖는 사차 암모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사차 암모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이 유기 화합물 및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로 형성되는 경우,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이 점토 광물은 점토 광물이 유기 화합물과 복합물을 형성하는 상태로 유기 용매내에서 팽윤 또는 분산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이 없으나, 교환가능한 양이온이 이온성 유기 화합물과 교환하는 것이 곤란한 점토 물질의 경우에는, 점토 광물이 유기 용매에 분산되기 어렵다. 많은 경우, 마그네슘 화합물, 이를테면 수산화마그네슘이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의 합성 생성물 표면에 부착되며, 이러한 수산화마그네슘의 양이 많아지면 교환가능한 양이온 부위가 봉쇄된다. 따라서, 표면상의 마그네슘 화합물을 산에 의한 세척으로 제거하여 존재하는 마그네슘의 비를 낮추는 경우,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대 실리콘 네 원자의 원자비(Mg/Si4)가 2.73 미만으로 되면, 유기 용매에 용이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헥토라이트는 전형적으로 일본 화학편집 위원회의 대사전에 의해 편집된 화학대사전(KyoritsuShuppan Co., Ltd., 1962년 2월 28일 초판 발행)에 예시된 바와 같이 Na0.66(Mg5.34Li0.66)Si6O20(OH)4·nH2O 또는 Na1/3(Mg8/3Li1/3)Si4O10(OH)2·mH2O의 조성식으로 나타내어지며, 이 상태에서 Mg/Si4의 원자비는 2.67인 반면, 합성 헥토라이트의 Mg/Si4의 원자비는 상술된 표면상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화합물로 인해 2.67 보다 다소 크다. 상술된 표면상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화합물을 산 등에 의한 세척으로 제거하여 Mg/Si4의 원자비를 가 능한 2.67에 가까워지도록 제거한 생성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나트륨은 헥토라이트 또는 합성 헥토라이트를 비롯한 스멕타이트 군의 점토 광물에서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 되고, 이들 양이온은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사급 암모늄 화합물과 교환되어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질 전후 Mg/Si4의 원자비는 변하지 않는다.
2종 이상의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이 배합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의 시판 제품은 CO-OP Chemical Co., Ltd에 의해 "Lucentite STN" 또는 "Lucentite SPN"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합성 헥토라이트와 사급 암모늄 화합물의 복합물을 포함한다.
상술된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을 제공하고, 이 코팅액을 편평한 베이스에 그 자체로 도포시키고 건조시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제공한 경우, 이 플레이트가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에 페이스트되면, 액정 셀 유리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접착성은, 주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각종 부재료로부터 야기되는 불순물 존재의 영향으로 상기와 같이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코팅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공정동안 추가로 첨가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사용된 흡착제는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접착제 수지의 혼합물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 하는 능력이 있는 한,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내에 포함된 방출 성분을 흡착 또는 이온 교환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언급된 예로서 유기 물질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로 개질되지 않은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흡착제의 양은 코팅액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양 및 흡착제의 흡착 능력 또는 이온 교환 능력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코팅액내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3 내지 300 중량부이다. 흡착제는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의 혼합물에 첨가되며, 이러한 상태의 액체 혼합물은 흡착제로 처리되도록 교반된다. 흡착제는 코팅액을 제조하는 동안 임의 단계에, 예를 들자면 결합제 수지 및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경우 또는 분산 및 여과 정제후 첨가될 수 있다.
수득한 코팅액에 대형 입경의 고체가 존재하는 경우,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거나, 코팅액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에서 광산란으로 편광 분리 기능이 야기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플레이트를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코팅액을 교반하여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을 입경이 작아지도록 분해시키는 경우, 일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이 불충분하게 분해되어 대형 직경의 입자, 예컨대 직경이 1 ㎛ 이상인 입자가 존재함에 따라 여전히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광 성능 저하가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팅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존재할 수 있는 이들 고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 여과 공정에서, 코팅액내 분해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은 제거되지 않아 야 한다. 필터는 입경이 1 ㎛ 이상인 대부분의 고체를 제거하여야 하며, 따라서 필터 막힘으로 여과될 수 있는 입경이 변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공 직경이 약 0.5 내지 10 ㎛인 필터중에서 입경이 1 ㎛ 이상인 대부분의 고체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분해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의 입경은 약 10 내지 200 nm이다.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이 흡착제로 사용되는 경우, 점토 광물은 유기 데코레이팅 점토 화합물과 혼합된 상태의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입경 1 ㎛ 이하로 분해된 점토 광물이 특별한 문제 없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자체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음이온 교환 수지가 흡착제로 사용된 경우에는 가공후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하, 위상 지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흡착제를 사용하여 공정동안 불순물을 제거한 상술된 유기 개질 점토 광물, 결합제 수지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편평한 베이스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상술된 코팅액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조성물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로 된다. 이러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는 상술된 조성물로 제조된 단일 필름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 조성물이 지지 베이스상에 코팅된 필름 형태로 제공된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에서 단위 결정층의 층 구조는 편평한 베이스의 표면과 평행하며, 상술된 도포 및 건조의 결과 면내에 랜덤하게 배향된다. 따라서, 특 정 배향 공정없이 필름 표면내 굴절율이 두께 방향으로의 필름 굴절율보다 큰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코팅액이 도포되는 베이스는 특별히 한정이 없으나, 이형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일례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코팅 필름의 건조 온도 및 시간은 사용된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에 충분하기만 하다면 특별히 한정이 없으며, 적절한 온도는 예를 들어 약 50 내지 150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적절한 시간은 약 30 초 내지 30 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술된 방법으로 수득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면내 위상 지연값 R0이 0 내지 1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 방향에서 위상 지연값 R'는 40 내지 35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면내 위상 지연값 R0가 10 nm를 초과하게 되면, 두께 방향으로의 적절한 네거티브 일축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이 값은 무시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에서 위상 지연값 R'는 위상 지연 플레이트의 응용, 특히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페이스트 사용되는 액정 셀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며, 두께가 50 내지 3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에서 위상 지연값 R'는 도포시에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코팅액의 두께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지연을 나타내는 건조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 두께는 특별히 한정이 없으며, 위상 지연 플레이트에 필요한 위상 지연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두께일 수 있다.
두께 방향에서 굴절율의 비등방성은 상술된 식 (2)로 정의된 두께 방향에서의 위상 지연값 R'로 표시되며, 이 값은 면내 후 위상축을 40o로 기울여 면내에 경 사축 및 위상 지연 R0를 형성하여 측정되는 위상 지연값 R40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면내 위상 지연값 R0를 이용하여 하기 식 (3) 내지 (5)로부터 수치 계산을 통해 nx, ny 및 nz를 구하고, 후 위상축을 40o로 기울여 경사축을 형성하여 측정된 위상 지연값 R40, 필름 두께 d 및 필름의 평균 굴절율 n0, 및 nx, ny 및 nz의 값을 상술된 식 (2)에 대입하여 R'를 계산할 수 있다.
R0=(nx-ny)×d
R40=(nx-ny')×d/cos(f)
(nx+ny+nz)/3=n0
상기 식에서,
f=sin-1[sin(40o)/n0]
ny'=nx×nz/[ny 2×sin2(f)+nz 2×cos2(f)]1/2
이어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대상인 복합 편광 플레이트에는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편광 플레이 트(11), 접착층(12) 및 상술된 바와 같은 위상 지연 플레이트(15)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편광 플레이트(11) 및 접착층(12)은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의 형태로 제조된다. 위상 지연 플레이트(15)는 상술된 바와 같은 이등방성 굴절율을 갖는 코팅층으로 형성되며, 이 코팅층은 일층이거나, 다중, 즉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 편광 플레이트(10)는 일반적으로 그의 위상 지연 플레이트(15)가 액정 셀 측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즉 편광 플레이트(11)가 바깥쪽에 위치한 상태로 액정 셀에 페이스트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제 2 접착층(17)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셀에 페이스트되기 위하여 위상 지연 플레이트의 바깥쪽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 필름(18)이 제 2 접착층(17)의 외면에 제공되며, 이 이형 필름(18)은 제 2 접착층(17) 면이 액정 셀에 페이스트될 수 있도록 페이스트전에 제거된다. 접착층(17)이 이형 필름(18)상에 제공된 접착제를 갖는 필름(19)이 제조되고, 이 필름은 접착층(17) 면상에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를 이송 베이스상에 형성하고, 그후, 플레이트를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의 접착층(12) 표면으로 옮기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을 도 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2)이 편광 플레이트(11) 표면상에 형성된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이 제조된다. 별도로, 도 2(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상술된 방법에 따라 이송 베이스(20)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도 2(A)에 도시된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 및 도 2(B)에 도시된 이송 베이스(20)가 함께 페이스트되어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의 접착층(12)과 이송 베이스(20) 상의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편광 플레이트(11)/접착층(12)/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이송 베이스(20) 구조의 반제품(25)이 수득된다. 그후, 이송 베이스(20)가 제거되는 경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상태의 복합 편광 플레이트(10)가 제공된다. 또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베이스 제거후, 제 2 접착층(17) 및 이형 필름(18)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상태의 접착층(17)을 갖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10)가 제공된다.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에 접착제를 직접 도포하여 제 2 접착층(17)을 제공할 수 있거나, 먼저 접착제를 이형 필름(18)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시키고 필름의 접착층(17) 면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에 페이스트하여 접착제를 갖는 필름(19)을 제조함으로써 제 2 접착층(17)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2) 또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의 표면, 또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또는 제 2 접착층(17)에 코로나 공법을 수행하여 둘 사이에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 편광 플레이트로서 사용된 편광 플레이트(11)의 타입은 선형 편광을 특정 진동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 있기만 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 는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 알콜을 기본으로 한 수지와 같은 수지 필름이 베이스로 사용되고 이색성 안료가 베이스에 흡착되어 배향되는 타입이 있다. 전형적으로,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색성 안료로 사용된다. 요오드 분자가 흡착되어 배향된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 알콜의 플레이트, 아조를 기본으로 한 이색성 염료가 흡착되어 배향된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 알콜의 플레이트 등이 편광 플레이트의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색성 안료가 흡착되어 배향된 폴리비닐 알콜 기제 편광기는 이색성 안료의 배향 방향으로 진동면을 갖는 선형 편광을 흡착하고, 이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진동면을 갖는 선형 편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들 편광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과 같은 폴리머 필름으로 제조된 보호층이 폴리비닐 알콜을 기본으로 한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된 형태로 사용된다. 보호층이 편광기의 한쪽에만 제공되는 경우, 이 보호층은 이 보호층이 액정 셀에 페이스트되는 바깥쪽에 위치하고, 보호층을 갖지 않는 표면이 접착층(12) 쪽에 위치한다.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폴리머,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등이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 언급될 수 있는 베이스 폴리머로 사용된다. 이들중에서, 광 투명도가 높고, 적절한 습윤성 및 응집성을 유지하며, 베이스에 대한 접착성 뿐만 아니라 내후성 및 내열성이 강하고, 열 및 수분이 적용되는 조건하에서 리프팅(lifting) 또는 필링(peeling)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접착제, 이를테면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접착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이고, 탄소수 20 이하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으로 구성된 작용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모노머를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이하의 유리전이 온도에서 혼합하고 중합시킨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코폴리머가 아크릴을 기본으로 한 접착제에 대한 베이스 폴리머로 효과적이다. 각 접착층 (12) 및 (17)의 두께는 보통 15 내지 30 ㎛이다.
이때,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굴절율에 이방성을 갖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먼저 이송 베이스(20) 상에 형성된 후, 이를 편광 플레이트(11) 상의 접착층(12)으로 옮기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편광 플레이트상의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불필요해 지며, 따라서 편광기의 열화를 야기하는 가열 및 불충분한 건조로 인해 코팅층에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없이,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송 베이스(20)는 표면상에 형성된 층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처리된 필름이며, 일반적으로 시판 필름으로서, 이형 공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 필름의 표면에 불소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와 같은 이형제를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는 이송 베이스(20) 상에 형성되며, 따라서 이송 베이스(20)가 물과 접촉하는 각이 90 내지 130o인 것이 바람 직하며, 물과의 접촉각이 100 내지 120o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송 베이스(20)가 물과 접촉하는 각이 90o 미만이면, 이송 베이스(20)의 필링성이 불량해지며, 불규칙한 상 지연과 같은 결함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에 발생한다. 또한, 이송 베이스(20)가 물과 접촉하는 각이 130o를 초과하면, 코팅액이 건조전에 이송 베이스(20)에 의해 쉽게 방출되며, 일부의 경우에는, 점 형태의 불규칙성이 면내 위상 지연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물과의 접촉각은 물이 액체로 사용되었을 때 액체와 접촉하는 각을 말하며, 값이 클수록 재료가 물로 습윤되기 어렵다. 이때, 물과의 접촉각의 상한은 180o이다.
도 2(A) 내지 2(E), 특히 도 2(E)를 참조로 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의 외면에 제 2 접착층(17)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17)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를 이송 베이스(20) 상에 형성한 후, 이와 같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의 노출면을 편광 플레이트(11)의 접착층(12) 상에 적층하는 일차 공정 및 이송 베이스가 제거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상에 제 2 접착층(17)을 형성시키고,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로부터 이송 베이스(20)를 제거한 후,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시키는 이차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된 일차 공정의 개요 및 이차 공정의 개요는 각각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롤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의 측면도에 예시되었다.
일차 공정에서, 이방성 굴절율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이송 베이스상에 형성되고, 공기에 노출되는 상기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면이 페이스트되어 감겨진다. 이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을 코터(32)를 사용하여 이송 베이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롤(30)로부터 공급되는 이송 베이스(20)의 표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이송 베이스를 건조 존(34)에 통과시켜 건조시킨 후,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에 페이스트한다.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는 보통 제거가능한 이형 필름이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층 표면에 페이스트되는 형태로 공급되며, 따라서 먼저 이형 필름(14)이 편광 플레이트를 공급하기 위해 롤(36)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로부터 제거된 후, 이형 필름을 감기 위해 롤(38) 주변에 감겨진다. 또한, 상술된 이송 베이스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 표면에 접착층이 노출된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의 표면이 페이스트되어,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이송 베이스를 구비한 층 구조를 갖는 반제품(25)이 제공되며, 이는 반제품을 위한 롤(40) 주변에 감겨진다.
공기에 노출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이 페이스트되고 감겨지며, 추가 공급후, 보호 필름이 제거되면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에 페이스트되는 통상의 방법에 비해, 상기 일차 공정은 보다 적은 수의 단계를 가짐에 따라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또한 보호 필름 제거 실패에 따른 결함 또는 보호 필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부 물질로 야기되는 결함이 생기기 어렵고, 따라서 매우 양질의 반제품(25)이 얻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반제품이 감겨지는 경우, 감겨질 때 이송 베이스(20)의 이형제가 압력으로 인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표면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부차적인 테이프를 사용하고 반제품을 감는 것이 기술적으로 효과적이다.
일차 공정에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팅 시스템은 특별히 한정이 없으며, 익히 알려진 다양한 코팅 방법, 예컨대 직접 그라비야(gravure) 방법, 역 그라비야 방법, 건조 코팅 방법, 콤마(comma) 코팅 방법 및 바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두께 정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콤마 코팅 방법, 백업(backup) 롤을 사용하지 않는 건조 코팅 방법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 이차 공정에서는, 일차 공정에서 수득한 반제품으로부터 이송 베이스를 제거하는 동시에, 이송 베이스 제거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접착층이 형성되며, 즉 접착 공정이 실시된다. 이를 도 4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일차 공정에서 반제품을 위한 롤(40) 주변에 감겨진 반제품(25)이 동일 롤(40)로부터 공급되고, 이송 베이스 제거를 위해 이송 베이스(21)가 롤(43)에 의해 제거되며, 그후, 접착제를 갖는 필름(19)이 공급 롤(45)로부터 이송 베이스의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공급되어 함께 페이스트됨으로써 필름의 접착층 면이 플레이트 표면에 페이스트되고, 이는 제품을 위한 롤(50) 주변에 감겨진다. 이송 베이스를 감기 위 해 반제품(25)으로부터 제거된 이송 베이스(21)가 롤(44) 주변에 감겨진다. 여기에서는, 접착제를 갖는 필름(19)이 제 2 접착층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형태가 예시되지만, 접착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이들 공정을 통해,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접착층 순서로 배열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일차 공정 및 도 4에 도시된 이차 공정은 연속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의 일례가 도 5의 개략 측면도에 예시된다. 도 5에서, 도 3 및 4의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부호가 적용되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락하겠다. 이 구체예에서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이 코터(32)를 사용하여 이송 베이스를 공급하기 위해 롤(30)로부터 공급되는 이송 베이스(20)의 표면에 도포되며, 이어서 건조 존(34)을 통과하여 건조된 후, 접착제를 갖는 편광 플레이트(13)의 접착층이 편광 플레이트를 공급하기 위해 롤(36)로부터 공급되고 이형 필름(14)이 제거된 후에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면에 페이스트되며, 따라서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이송 베이스를 구비한 층 구조를 갖는 반제품(25)이 제공되며, 이때까지의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일차 공정과 동일하다.
그후, 반제품에 있어서 반제품(25)은 롤 주변에 감기는 일 없이 롤(41)을 통과하고, 이송 베이스 제거를 위해 이송 베이스가 롤에 의해 제거된 후, 제거후 이송 베이스(21)가 회전 롤(44) 주변에 감겨진다. 한편, 접착 코터(46)를 사용하여 이송 베이스(21)가 제거된 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에 접착제가 도포되 고, 접착제 건조 존(47)을 통과하여 건조된 다음, 이형 필름용 롤(48)로부터 공급되는 이형 필름(18)이 플레이트의 코팅면에 패이스트되고, 제품이 롤(50) 주변에 감겨진다. 이 구체예에서는 접착제 코터(46) 및 건조 존(47)이 제 2 접착층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직접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갖는 필름이 사용되는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장시간동안 이송 베이스(20)와 접촉 상태로 남겨지는 경우, 이송 베이스(20) 상의 이형제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로 이동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표면과 물의 접촉각이 이송 베이스(20) 제거후((21) 제거후) 증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송 베이스(21)의 제거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표면과 제 2 접착층(17) 사이의 접착성을 고려하여,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이송 베이스(20) 상에 형성된 경우, 이송 베이스를 제거하고, 이송 베이스(20) 제거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표면과 물의 접촉각이 공기에 노출된 표면과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접촉하는 각 보다 15o 이하 또는 10o 이하로 커지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이차 공정의 접착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B) 참조]. 이를 위해, 일차 공정 완료후 가능한 빨리 이차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공정이 이송 베이스(21) 제거후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에 대해 수행된 경우,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 또는 제 2 접착층(17)의 표면에 코로나 공법을 수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효과적이다.
이때, 도 3 내지 5의 둥글린 화살표는 롤이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지연 플레이트 또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는 일례로 도 6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배열되고, 여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복합 편광 플레이트(10)는 일반적으로 제 2 접착층(17)이 삽입된 채로 액정 셀(60)의 한 표면상에 위치하여,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위상 지연 플레이트(15) 면이 제 2 접착층과 접촉하여 있고, 위상 지연을 나타내는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2 편광 플레이트(64)는 순서대로 액정 셀(60)의 다른 면에 위치하여 있다.
액정 셀(60)과 제 2 편광 플레이트(64) 사이에 위치한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는 면내에 30 내지 300 nm의 위상 지연값 R0를 가지며, 구조물에서 면내 위상 지연값 R0 대 두께 방향으로의 위상 지연값 R'의 비 R0/R' 비가 0을 초과하고 2 미만, 즉 0<R0/R'<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상 지연성을 나타내는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상술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와 조합되며, 그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각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지연성을 제공하는 위상 지연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텐터(tenter)를 사용하여 한 단부를 고정시킨 롤로부터 폴리머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한 단부를 고정하여 필름을 옆으로 일축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가 한 단부가 고정된 채 일축 연신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에 도포시 광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R0/R' 비가 0.8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 하다.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용 재료는 특별히 한정이 없으며, 이들 재료의 예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모노머가 폴리사이클릭 올레핀, 예컨대 노보넨인 사이클릭 올레핀을 기본으로 한 수지, 셀룰로즈 군, 폴리올레핀 군 및 이들 폴리머 화합물을 형성하는 2종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되는 코폴리머가 언급될 수 있다. 고온의 열 조건 및 다습하에서 광학 성질의 안정성 및 인장 상태를 고려하여 광탄성 계수값이 작은 사이클릭 올레핀을 기본으로 한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에서 위상 지연값의 파장에 대한 의존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외관상 색 제어를 고려하여, 플레이트가 파장이 짧고 위강 지연값이 작은 위상 지연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편광 플레이트(64)는 이색성 안료가 흡착되어 배향된 폴리비닐 기제 편광기일 수 있으며, 이때 폴리머 필름으로 제조된 보호층은 도 1과 관련하여 상술된 편광 플레이트(11)와 유사한 방식으로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다.
보호층이 존재하고 적어도 제 2 편광 플레이트(64)의 노출면(도 6에서 하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편광 플레이트(64)의 한면에 보호층을 갖는 대신 접착제 또는 아교를 사용하여 제 2 편광 플레이트(64)의 편광기와 직접 접촉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편광 플레이트(64)는 선형 편광기의 한면에만 보호층을 가지며,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는 보호층을 갖지 않는 편광기쪽에 적층된다.
제 2 편광 플레이트(64) 및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는 전자의 흡착축 및 후자의 지연 위상축이 80 내지 100o의 각으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비의 증가 및 색 비균일성의 감소라는 면을 고려할 때 두 축 사이의 각이 85 내지 95o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두 플레이트는 두 축 사이의 각이 89 내지 91o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컨대 아크릴 베이스를 갖는 것과 같은 접착제가 액정 셀(60) 및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를 함께 페이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예컨대 아크릴 베이스를 갖는 접착제가 특히, 제 2 편광 플레이트가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경우,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2 편광 플레이트(64)를 함께 페이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송형 디스플레이가 도 6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경우, 후광이 디스플레이의 복합 편광 플레이트(10) 외면 또는 제 2 편광 플레이트(64) 외면에 배치된다. 후광은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 1 모드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편광 플레이트(10)가 액정 셀(60)의 전면(디스플레이가 보여지는 면)에 위치하며,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2 편광 플레이트(64)는 후면(전송형의 경우 후광측)에 위치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 2 모드에서, 복합 편광 플레이트(10)가 액정 셀(60)의 후면에 위치하며,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2 편광 플레이트(64)가 전면에 배치된다. 각 층의 축각은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 및 제 2 편광 플레이트의 배열에서 시각성이 최적이 되도록 설정된다.
액정 셀(60)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15)가 함께 페이스트되도록 배치된 제 2 접착층(7)이 경시적으로 저하되지 않는 액정 셀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은 접착 시트의 접착면과 접착될 물체 표면 사이에서 접촉을 통해 생기는 힘이며, 그의 시험 방법은 JIS Z 0237에 준한다. 통상적인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가 혼합된 상태의 코팅액으로부터 제조된 일부 위상 지연 플레이트에서, 접착성은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와 페이스트된 직후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약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흡착제 첨가후 코팅액을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되는 코팅액이 사용되며, 그에 따라 상술된 접착성의 경시적인 감소가 약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에 페이스트된 상태, 또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가 편광 플레이트상에 적층되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가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와 접착제가 접촉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에 페이스트된 상태로 23 ℃에서 1 주간 저장후, 페이스트 직후의 접착성에 대해 접착력의 50% 이상 및 80% 이상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함량 및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중량에 기초한다. 하기 실시예에 다음과 같은 물질이 사용된다.
(A)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상품명 "Lucentite STN": CO-OP Chemical Co., Ltd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합성 헥토라이트와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이온의 복합물.
(B) 결합제 수지
상품명 "SBU Lacquer 0866": Sumika Bayer Urethane Co., Ltd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한 우레탄 수지 광택제: 30%.
(C) 흡착제
상품명 "Lucentite SWN": CO-OP Chemical Co., Ltd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합성 헥토라이트(유기 물질로 개질되지 않은 점토 광물).
상품명 "DuoliteA161TRS04": Sumika Chemtex Co., Ltd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 교환 수지.
또한, 샘플의 평가 및 특성 값은 하기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1) 면내 위상 지연값 R0
이송 베이스상에 형성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4 ㎝의 정사각형 유리 플레이트로 옮겼다. Oji Scientific Instruments Co., Ltd.에 의해 제작된 측정 기계 "KOBRA-21ADH"를 사용하여 회전 분석기 방법에 따라 559 nm의 파장을 갖는 단색광에 의해, 유리 플레이트에 위상 지연 플레이트가 페이스트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에 대해 면내 위상 지연값 R0를 측정하였다. 연신 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의 면내 위상 지연값 R0를 상술된 "KOBRA- 21AD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두께 방향으로 위상 지연값 R'
면내 위상 지연값 R0, 지연 위상축을 40o로 기울여 경사축으로 측정된 위상 지연값 R40, 코팅층의 두께 d 및 코팅층의 평균 굴절율 n0을 사용하여 상술된 방법에 따라 nx, ny 및 nz를 구한 후, 상술된 식 (2)에 대입하여 두께 방향에서 위상 지연값 R'를 계산하였다.
(3) 접착성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장축으로 편광기의 광 전달축을 가지며 너비 25 nm 및 길이 약 250 ㎜인 크기로 절단하고, 액정 셀 유리에 페이스트시킨 후,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5 kgf/㎠의 압력하 및 50 ℃의 온도에서 20 분간 압축 공정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Shimadzu Corporation에 의해 제작된 측정 장치 "Autograph AG-1"을 사용하여 300 ㎜/분의 견인 속도 및 180o의 제거 조건하에서 접착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a)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공 직경 6 ㎛의 막 필터로 여과하였다.
우레탄 수지 광택제 "SBU Lacquer 0866": 7.5 부,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Lucentite STN": 6.8 부, 톨루엔: 85.7 부.
점토 광물로 개질되지 않은 0.3 부의 "Lucentite SWN"을 흡착제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분동안 교반한 후, 기공 직경 6 ㎛의 막 필터로 여과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코팅액의 농도 함량은 9%이고,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우레탄 수지의 고체 중량비는 3/1이다. 이 코팅액을 두께 38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형 처리된 포면과 물의 접촉각은 110o)에 도포하고, 어플리케이터로 이형 공정을 수행한 후, 50 ℃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90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필름상에 코팅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코팅층의 위상 지연값은 R0 = 0 nm이고 R' = 123 nm이었다.
(b)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폴리비닐 알콜-요오도 기제 편광기의 양면에 보호층을 갖고 한면에 접착층을 갖는 편광 플레이트(상품명: "Sumikalan SRW842A", Sumitomo Chemical Co., Ltd.에서 시판)를 상기 (a)에서 수득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에 페이스트하여 편광기의 접착면을 코팅층의 노출면과 접촉시켜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또한, 접착제가 이형 가공된 표면에 도포된 별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형 필름 제거후, 필름 접착면이 코팅층과 접촉하도록 코팅층 표면에 페이스트하여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c)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및 평가
상기 (b)에서 수득한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 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이형 필름 및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층을 통해 VA 타입의 액정 셀(시판 제품)의 상부면에 적층하고, 면내 위상값 R0이 100 nm이고, 두께 방향으로의 위상값 R'가 130 nm인 사이클릭 폴리올레핀의 연신 필름으로 제조된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를 접착층에 의해 액정 셀의 하부면에 적층한 후, 그 아래에 폴리비닐 알콜/요오드 기제 편광기의 한면에 보호층을 갖는 제 2 편광 플레이트(상품명: "Sumikalan SQ0642A", Sumitomo Chemical Co., Ltd.에서 시판)를 접착제에 의해 하부면의 바닥층이 제 2 편광 플레이트에 대한 보호층이 되도록 적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였다. 이때, 복합 편광 플레이트와 제 2 편광 플레이트의 흡광축 사이에 형성된 각은 90o이고, 제 2 편광 플레이트의 흡광축과 위상 지연 제 2 플레이트의 지연 위상축 사이에 형성된 각은 90o이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부면에 페이스트된 직후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력은 6.91 N/25 ㎜이었고, 23 ℃에서 1 주간 저장후 접착력은 6.66 N/25 ㎜이었으며, 따라서 페이스트 직후 접착성의 96%가 보존되었다.
실시예 2
(a)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우레탄 수지 광택제 "SBU Lacquer 0866",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Lucentite STN" 및 톨루엔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혼합하고, 기공 직경 6 ㎛의 막 필터로 여과하였다. 흡착제 여과후, 혼합 용액에 음이온 교환 수지인 "Duolite A161TRS04" 12.0 부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기공 직 경 6 ㎛의 막 필터로 여과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여과 결과, 음이온 교환 수지가 코팅액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 코팅액을 두께 38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이형 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시켜 필름상에 코팅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코팅층의 위상 지연값은 R0 = 0 nm이고 R' = 113 nm이었다.
(b)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상기 (a)에서 수득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 및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반제품을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고,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c)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및 평가
상기 (b)에서 수득한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c)와 동일한 방식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였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부면에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적층한 직후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력은 7.08 N/25 ㎜이었고, 23 ℃에서 1 주간 저장후 접착력은 6.07 N/25 ㎜이었으며, 따라서 페이스트 직후 접착성의 86%가 보존되었다.
비교 실시예 1
(a)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우레탄 수지 광택제 "SBU Lacquer 0866",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Lucentite STN" 및 톨루엔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혼합하고, 기공 직경 6 ㎛의 막 필터로 여과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흡착제를 사용한 공정이 수행되지 않았다. 이 코팅액을 두께 38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이형 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시켜 필름상에 코팅된 위상 지연 플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코팅층의 위상 지연값은 R0 = 0.1 nm이고 R' = 126 nm이었다.
(b)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상기 (a)에서 수득한 위상 지연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반제품을 실시예 1의 (b)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한 후,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c)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및 평가
상기 (b)에서 수득한 편광 플레이트/접착층/코팅층/접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c)와 동일한 방식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였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부면에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페이스트한 직후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접착력은 8.96 N/25 ㎜이었고, 23 ℃에서 1 주간 저장후 접착력은 3.01 N/25 ㎜이었으며, 따라서 접착력이 페이스트 직후 접착성의 34% 까지 저하되었다.
상술된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팅액을 본 발명에 따른 점토 광물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게 되면 공정후 코팅액으로부터 수득한 위상 지연 코팅이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에 도포되었을 때 뛰어난 접착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 또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상에 편광 플레이트가 적층된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접착제에 의해 액정 셀 유리에 도포하였을 때 접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액정 셀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약간 저하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이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코팅액을 사용하여 복합 편광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액정 셀 유리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불순물의 함량을 감소시킨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이 제조될 수 있다.

Claims (8)

  1.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내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결합제 수지의 중량비는 0.5 이상 4 이하인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 수지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base)로 하는 우레탄 수지인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갖는 사급 암모늄 화합물과 스멕타이트(smectite)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의 복합물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는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광물 및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공정 동안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후, 필터를 사용하여 여 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수득한 코팅액을 베이스에 도포하는 단계, 및 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8. 유기 용매, 유기 개질 점토 복합물 및 결합제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수득한 코팅액을 이송 베이스에 도포하는 단계, 이를 건조시켜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접착층을 갖는 편광 플레이트를 접착층 면상에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노출면에 페이스트하는 단계, 및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송 베이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편광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1020060071864A 2005-08-02 2006-07-31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20070016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64A KR20070016068A (ko) 2005-08-02 2006-07-31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3773 2005-08-02
KR1020060071864A KR20070016068A (ko) 2005-08-02 2006-07-31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068A true KR20070016068A (ko) 2007-02-07

Family

ID=4365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64A KR20070016068A (ko) 2005-08-02 2006-07-31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60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4396B2 (en) 2010-08-13 2013-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foldable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CN110945414A (zh) * 2019-11-15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操作显示装置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4396B2 (en) 2010-08-13 2013-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foldable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CN110945414A (zh) * 2019-11-15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操作显示装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2293C (zh) 相位延迟器、层压起偏振片、它们的制法及液晶显示器
CN101533119B (zh) 生产叠层起偏振片的方法
US20070056682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lex phase retarder and complex optical member
US2005026902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member using thereof
JP4858005B2 (ja) 複合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TWI519829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2005070096A (ja) 位相差板一体型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4640025B2 (ja) コーティング位相差板用塗工液、それを用いた位相差板の製造方法及び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US20090290104A1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mposit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178238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ating liquid for plate with coating having phase retard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plate with coating having phase retard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und polarizing plate
WO2008016093A1 (fr) Plaque de retard composite et son procédé de production, élément optique composite et 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KR20070016068A (ko) 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용 코팅액의 제조 방법,위상 지연 코팅을 갖는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편광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JPH0830766B2 (ja) 複合位相板
JP2008026352A (ja) 複合偏光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26438A (ja) 複合偏光板、その製造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76816A (ja) 複合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31797A (ko) 복합 위상 지연층 및 복합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JP2008052089A (ja)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