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858A -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 - Google Patents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858A
KR20070012858A KR1020067026385A KR20067026385A KR20070012858A KR 20070012858 A KR20070012858 A KR 20070012858A KR 1020067026385 A KR1020067026385 A KR 1020067026385A KR 20067026385 A KR20067026385 A KR 20067026385A KR 20070012858 A KR20070012858 A KR 2007001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transmission
sector
blank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165B1 (ko
Inventor
에드워드 해리슨 티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1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2001/7154Interference-related aspects with mean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섹터 내의 타겟 사용자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은 그 송신이 상충할 때마다 인접 섹터 내의 간섭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선택적으로 블랭킹 또는 감쇠함으로써 제어될 수도 있다. 섹터는 타겟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 호핑 (FH) 시퀀스 또는 서브밴드 이용을 인접 섹터에 제공한다. 각 인접 섹터는 타겟 사용자의 FH 시퀀스를 이용하여 블랭킹 패턴을 형성한다. 각 인접 섹터는 블랭킹 패턴으로 각 서브밴드에 대한 송신 전력을 블랭킹하거나 감소시킨다. 각 인접 섹터 내의 각 사용자는 (1) 블랭킹이 수행되면,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에 대한 펑처링된 심볼 또는 (2) 감쇠가 수행되면, 이들 서브밴드에 대한 더 낮은 에너지 심볼을 수신한다. 임의의 경우에, 타겟 사용자 및 각 인접 사용자는 표준 방법으로 수신 심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고, 블랭킹/감쇠를 통지할 필요도 없다.
송신 스팬,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전력

Description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INTERFERENCE CONTROL VIA SELECTIVE BLANKING/ATTENUATION OF INTERFERING TRANSMISSIONS}
배경기술
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Ⅱ. 배경기술
주파수 호핑 (frequency hopping; FH) 통신 시스템에서는, "홉 주기"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상이한 시간 간격의 상이한 주파수 서브밴드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들 서브밴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다른 멀티-캐리어 변조 기술, 또는 다른 구성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여, 의사 랜덤 (pseudo-random) 방식으로 서브밴드로부터 서브밴드로 데이터 송신이 호핑한다. 이러한 호핑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데이터 송신으로 하여금 협대역 간섭, 재밍 (jamming), 페이딩 등과 같은 해로운 경로 효과를 더 잘 견뎌내도록 한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은 OFDM을 이용하고 다수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 OFDMA (FH-OFDMA) 시스템의 경우, 각 사용자는 각 홉 주기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하는 특정 서브밴드(들)을 나타내는 특정 FH 시퀀스가 할당될 수도 있다.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다중 데이터 송신은 서로 직교하는 상이한 FH 시퀀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어, 오직 하나의 데이터 송신이 각 홉 주기로 각 서브밴드를 이용하도록 한다. 직교 FH 시퀀스를 이용하면서, 다중 데이터 송신은 주파수 다이버시트의 이익을 향유하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FH-OFDMA 시스템은, 용어 "섹터"가 그 용어가 이용되는 문서에 따라 기지국 트랜시버 서브시스템 (BTS) 및/또는 BTS의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많은 섹터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동일한 섹터와 통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송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섹터"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직교 FH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이한 섹터 내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송신은 통상적으로 직교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다른 섹터 내의 사용자로부터 "인터-섹터" 간섭을 관찰한다. 인터-섹터 간섭의 불리한 효과는 각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를 주변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에 대하여 의사-랜덤이거나 독립적이라고 정의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의사-랜덤 FH 시퀀스의 이용은 인터-섹터 간섭을 랜덤화하여, 각 사용자가 다른 섹터 내의 사용자로부터 평균 간섭을 관찰하도록 한다. 그러나, 랜덤화된 인터-섹터 간섭은 높은 레벨의 간섭을 관찰하는 몇몇 불리한 사용자에 대한 성능을 상당히 열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불리한 사용자에 대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터-섹터 간섭을 감소시키는 기술의 필요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개요
높은 간섭 레벨을 관찰하는 불리한 (또는 "타겟") 사용자에 대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들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리버스 링크뿐만 아니라 포워드 링크에 이용될 수도 있다.
소정의 섹터 내의 타겟 사용자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은, 이들 사용자의 송신이 타겟 사용자의 송신과 오버랩할 때마다 인접 섹터 내의 간섭 사용자에 대해 송신 전력을 선택적으로 턴-오프 (즉, 블랭킹) 또는 감소 (즉, 감쇠) 함으로써, 제어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랭킹/감쇠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섹터는 타겟 사용자와 통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고 그 어려움을 인접 섹터에 통지하고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 또는 서브밴드 사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 인접 섹터는 타겟 사용자의 FH 시퀀스를 획득하고 그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이용한다. 각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은 그 섹터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서브밴드를 포함한다. 이후, 각 인접 섹터는 블랭킹 패턴으로 각 서브밴드에 대한 송신 전력을 블랭킹하거나 감소시킬 수도 있다.
각 인접 섹터 내의 각 사용자 (즉, 각 인접 사용자) 는 그 섹터에 대해 블랭킹 패턴으로 각 서브밴드에 대해 송신물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감소된 전력을 갖는 송신물을 수신한다. 각 센터에 대한 FH 시퀀스가 주변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에 대하여 의사-랜덤이면, 각 인접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은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와 상관하지 않는다. 블랭킹이 수행되지 않으면, 각 인접 사용자는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 심볼의 랜덤화된 펑처링 (즉 삭제) 을 경험한다. 감쇠가 수행되면, 각 인접 사용자는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낮은 에너지 심볼을 수신한다. 임의의 경우에, 타겟 사용자 및 각 인접 사용자는 표준 방법으로 수신된 심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고, 선택적인 블랭킹/감쇠가 수행된다고 통지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본질은, 동일한 참조 부호는 상응하여 식별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시간-주파수 평면상에서 주파수 호핑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3c 는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이 없는 경우 및 있는 경우의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 는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이 있고 인접 섹터에 의해 블랭킹된 서브밴드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도 5a 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b 는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 은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을 도시한다.
도 7 은 무선 단말기를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단어 "예시적인"은 여기서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예시적인"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 또는 디자인은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 또는 디자인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 (100) 을 도시한다. 그 시스템 (100) 은 다수의 무선 단말기 (120) 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 (110) 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기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고정국이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기 (120) 는 시스템에 걸쳐 통상적으로 분산되고, 각 단말기는 고정 또는 이동성이다. 또한, 단말기는 이동국, 사용자 장비 (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 단말기는 임의의 소정의 순간에 포워드 및 리버스 링크상에서 하나 또는 가능하면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포워드 링크 (또는 다운링크) 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리버스 링크 (또는 업링크) 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시스템 제어기 (130) 는 기지국 (110) 에 결합되고, 이들 기지국에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하며, 또한, 이들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한다.
각 기지국 (110) 은 각각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기지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은 그 용어가 이용되는 문헌에 따라 "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커패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 (예를 들어, 3) 의 섹터 (112) 로 구획될 수도 있다. 각 섹터는 BTS에 의해 서빙된다. 섹터화된 셀의 경우, 그 셀에 대한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그 셀의 모든 섹터에 대한 BTS를 포함한다. 단순화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 "기지국"은 셀로 기능하는 고정국 및 섹터로 기능하는 고정국 모두에 대해 총칭하여 이용된다. "서빙" 기지국 또는 "서빙" 섹터와 단말기가 통신한다. 또한, 용어 "사용자" 및 "단말기"는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된다.
여기에 설명된 간섭 제어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OF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TDMA 시스템은 시분할 다중화 (TDM) 를 이용하고, 상이한 단말기에 대한 송신은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송신함으로써 직교화된다. FDMA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를 이용하고, 상이한 단말기에 대한 송신은 상이한 주파수 서브밴드로 송신함으로써 직교화된다. OFDMA 시스템은 총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 (N) 의 직교 주파수 서브밴드로 효율적으로 구획하는 OFDM을 이용한다. 또한, 이들 서브밴드는 톤, 서브-캐리어, 빈, 주파수 채널 등으로 지칭된다. 각 서브밴드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와 관련된다. OFDMA 시스템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간섭 제어 기술은 리버스 링크뿐만 아니라 포워드 링크에 이용될 수도 있다. 명확화를 위해, 이들 기술을 FH-OFDMA 시스템에서의 포워드 링크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이러한 FH-OFDMA 시스템의 경우, 다중 "트래픽" 채널은 (1) 각 서브밴드가 임의의 소정 홉 주기로 오직 하나의 트래픽 채널에 이용되고 (2) 각 트래픽 채널이 각 홉 주기로 0, 1 또는 다수의 서브밴드가 할당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 는 FH-OFDMA 시스템에 대한 시간-주파수 평면 (200) 상의 주파수 호핑을 도시한다. 주파수 호핑으로, 각 트래픽 채널은 각 홉 주기로 트래픽 채널에 이용하기 위한 개별 서브밴드를 나타내는 특정 FH 시퀀스와 관련된다. 각 섹터 내의 상이한 트래픽 채널에 대한 FH 시퀀스는 서로 직교하여, 2 개의 트래픽 채널이 임의의 소정의 홉 주기로 동일한 서브밴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각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는 주변 섹터에 대한 FH 시퀀스에 대하여 의사-랜덤이다. 이들 특성은 인트라-섹터 간섭을 최소화하고 인터-섹터 간섭을 랜덤화환다. 2 개의 섹터 내의 2 개의 트래픽 채널 사이의 간섭은 이들 트래픽 채널이 동일한 홉 주기로 동일한 서브밴드를 이용할 때마다 발생한다. 그러나, 인터-섹터 간섭은 상이한 섹터에 이용되는 FH 시퀀스의 의사-랜덤 본질로 인해 랜덤화된다.
주파수 호핑이 데이터 송신상의 인터-섹터 간섭을 랜덤화할 수 있더라도, 그 간섭은 여전히 높을 수도 있고 몇몇 사용자에 대한 성능을 상당히 열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섹터의 에지에 위치한 사용자 (예를 들어, 도 1 의 단말기 (120a, 120b 및 120e)) 는 서빙 기지국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낮은 전력 레벨로 데이터 송신을 통상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이들 섹터-에지 사용자는 간섭 기지국에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더 높은 레벨의 간섭을 수신할 수도 있다. 간섭은 버스티 (bursty) 할 수도 있고, 인접 섹터 내의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가 섹터-에지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와 상충할 때마다 많은 양의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다른 섹터 내의 간섭 사용자로 인해 타겟 사용자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소된 인터-섹터 간섭은 타겟 사용자를 구한다. 간섭 사용자는 타겟 사용자와 간섭하도록 간주된다. 타겟 및 간섭 사용자는 상술한 주파수 호핑으로 상이한 섹터 내에 있다. 간섭 섹터뿐만 아니라 타겟 및 간섭 사용자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식별될 수도 있다. 인터-섹터 간섭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하는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은 그 송신이 타겟 사용자에 대한 송신과 상충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블랭킹 또는 감쇠된다.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도 있다. 섹터가 개별 사용자와 통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이러한 섹터는 인접 섹터에게 그 어려움을 통지하고, 이러한 타겟 사용자에 FH 시퀀스 또는 서브밴드 사용을 제공한다. 각 인접 섹터는 그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타겟 사용자의 FH 시퀀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각 인접 섹터는 블랭킹 패턴으로 각 서브밴드에 대한 송신 전력을 블랭킹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요컨대, 각 인접 섹터 내의 각 사용자는 타겟 사용자에 대해 간섭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간섭 사용자도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각 인접 섹터 내의 각 사용자는 그 섹터에 대해 블랭킹 패턴으로 각 서브밴 드를 통해 송신물을 수신하지 않거나 감소된 전력으로 송신물을 수신한다. 블랭킹이 수행되면, 각 인접 사용자는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 심볼의 랜덤화된 펑처링을 경험한다. 펑처링 레이트는 간섭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가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와 상충하는 레이트에 의해 결정된다. 펑처링 레이트는 비교적 낮아서, 인접 사용자는 성능의 하찮은 열화를 경험하도록 한다. 감쇠가 수행되면, 각 인접 사용자는 이들 서브밴드에 대해 더 낮은 송신 전력의 이용으로 인해,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더 낮은 에너지 심볼을 수신한다. 그러나, 이들 수신 심볼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디코딩에 이롭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 (감쇠는 아님) 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 이하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사용자는 사용자를 서빙하기 위한 후보인 모든 섹터를 포함하는 "활성 세트"를 유지한다. 각 사용자는 다양한 섹터로부터 파일럿을 수신하고, 각 섹터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전력을 측정하며, 섹터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전력이 소정의 추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활성 세트 내의 일 섹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각 사용자는 임의의 소정의 시간에 활성 세트 내의 오직 하나의 섹터와 통신하며, 이를 서빙 섹터라 지칭한다. 각 사용자는 활성 세트 내의 섹터로부터의 파일럿을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파일럿 측정치에 기초하여 서빙 섹터로서 지정하기 위해 하나의 섹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사용자는 다른 섹터로부터 파일럿을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이들 파일럿을 측정하며, 활성 세트 내의 섹터를 업데이트/변경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각 사용자는, 예를 들어, 콜의 시작시에 그리고 활성 세트가 변경될 때마다 활성 세트를 서빙 섹터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각 섹터는 섹터와 통신하는 각 사용자에 대한 활성 세트 정보를 가진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단말기 (120a 내지 120h) 에 대한 8개의 사용자 (a 내지 h) 는 각각 섹터 1 및 2를 통해 분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각 사용자에 대한 활성 세트는 괄호 안에 도시되고, 서빙 섹터는 볼드체의 언더라인된 텍스트로 나타내며, (있다면) 비-서빙 섹터는 보통의 텍스트로 나타낸다. 섹터 1은 사용자 a, b, c 및 d에 대한 서빙 섹터이고, 섹터 2는 사용자 e, f, g 및 h에 대한 서빙 섹터이다.
도 3a는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이 없는 섹터 1 및 2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섹터는 4 세트의 서브밴드를 가지며, 1 내지 4의 인덱스로 주어진다. 각 서브밴드 세트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사각형 박스는 FH-OFDMA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홉 주기 내의 하나의 서브밴드 세트인 하나의 "송신 스팬 (span)"에 대응한다. 또한, 각 섹터는 그 섹터에 의해 서빙되는 4 명의 사용자에 할당되는 4개의 FH 시퀀스를 가진다. 각 섹터는 할당된 FH 시퀀스에 의해 나타내는 서브밴드를 통해 4 명의 사용자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블랭킹 없이, 각 섹터는 각 홉 주기로 4 명의 사용자에게 모든 4 개의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한다. 각 섹터 내의 4 명의 사용자에 대한 송신은 사각형 박스 내에 이탤릭체 로 라벨링된다.
도 1 를 다시 참조하면, 섹터 1은 사용자 a 및 b에 송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타겟 사용자의 활성 세트 내의 모든 비-서빙 섹터는 간섭 섹터로 간주된다. 사용자 a 및 b 모두가 활성 세트 내의 오직 비-서빙 섹터로서 섹터 2를 가지기 때문에, 섹터 1은 섹터 2 에게 사용자 a 및 b에의 송신의 어려움을 통지하고, 사용자 a 및 b에게 FH 시퀀스를 제공한다. 섹터 2는 4명의 사용자 e 내지 h에 대한 송신이 사용자 a 및 b와 간섭할 때마다 이들 송신을 블랭킹한다. 유사하게, 섹터 2는 사용자 e로 송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 e가 활성 세트 내의 오직 비-서빙 섹터로서 섹터 1을 가지기 때문에, 섹터 2는 섹터 1에게 사용자 e로 송신하는 어려움을 통지하고, 또한, 사용자 e에게 FH 시퀀스를 제공한다. 섹터 1은 4명의 사용자 a 내지 d에 대한 송신이 사용자 e와 간섭할 때마다 이들 송신을 블랭킹한다.
도 3b는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이 있는 섹터 1 및 2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섹터 1은 사용자 e에 대한 FH 시퀀스에 의해 형성되는 블랭킹 패턴을 이용하고, 블랭킹 패턴과의 상충이 있을 때마다 그 사용자 a 내지 d에 대한 송신을 블랭킹한다. 따라서, 섹터 1은 사용자 e에 이용되는, 홉 주기 1로 서브밴드 세트 3을 통한 송신, 홉 주기 2로 서브밴드 세트 4를 통한 송신, 홉 주기 3으로 서브밴드 세트 2를 통한 송신 등을 블랭킹한다. 블랭킹된 송신은 음영 박스로 도시된다. 섹터 1에 의한 선택적인 블랭킹 때문에, 섹터 2 내의 사용자 e는 섹터 1로부터의 어떠한 간섭도 관찰하지 않고, 더 훌륭한 성능을 향유할 수도 있 다.
섹터 2는 사용자 a 및 b에 대한 FH 시퀀스에 의해 형성되는 블랭킹 패턴을 이용하고 블랭킹 패턴과의 상충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 e 내지 h에 대한 송신을 블랭킹한다. 따라서, 섹터 2는 사용자 a 및 b에 이용되는, 홉 주기 1로 서브밴드 세트 1 및 4를 통한 송신, 홉 주기 2로 서브밴드 세트 2 및 3을 통한 송신, 홉 주기 3으로 서브밴드 세트 1 및 2을 통한 송신 등을 블랭킹한다. 섹터 2에 의한 선택적인 블랭킹 때문에, 섹터 1 내의 사용자 a 및 b는 섹터 2로부터의 어떠한 간섭도 관찰하지 않고, 또한, 더 훌륭한 성능을 향유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섹터는 공통되지 않는 활성 세트 (즉, 활성 세트 내의 상이한 멤버) 를 가지는 사용자에게만 동일한 홉 주기로 동일한 서브밴드를 통해 동시에 송신한다. 이들 사용자는 서로 강하게 간섭하지 않도록 가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고 이들 사용자에 대한 동시 송신이 가능하다.
도 3c는 선택적인 블랭킹이 있는 섹터 1 및 2 내의 각 사용자에 대한 수신된 심볼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섹터 2 내의 사용자 e에 대한 섹터 1에 의한 선택적인 블랭킹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 a 내지 d는 섹터 1 에 의해 이용되는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서브밴드를 통해 펑처링된 심볼을 가진다. 사용자 a 내지 d에 대한 FH 시퀀스가 섹터 1 에 대한 블랭킹 패턴으로서 이용되는, 사용자 e에 대한 FH 시퀀스에 대하여 의사-랜덤이기 때문에, 펑처링된 심볼은 의사-랜덤하게 분배된다. 유사하게, 섹터 1 내의 사용자 a 및 b에 대한 섹터 2에 의한 선택적인 블 랭킹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 e 내지 h는 섹터 2 에 의해 이용되는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서브밴드를 통해 펑처링된 심볼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 e 내지 h에 대한 펑처링된 심볼은 의사-랜덤하게 분배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펑처링된 심볼은 다른 섹터로부터의 간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사용자는 서빙 섹터에 의해 이용되는 블랭킹 패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후, 각 사용자는 블랭킹 패턴에 기초하여 블랭킹된 심볼을 식별할 수도 있고,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어떠한 무게도 주어지지 않는, (인터-섹터 간섭을 포함할 수도 있는) 이들 블랭킹된 심볼을 이레이저 (erasure) 로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인 블랭킹으로 인한 데이터 심볼의 펑처링은 디코딩 성능을 열화시킨다. 소정의 섹터에 의한 펑처링이 과도하면, 그 섹터 내의 각 사용자는 다른 섹터로부터의 간섭이 감소되었더라도 신뢰성 있는 디코딩을 위한 상당히 다수의 심볼을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는 펑처링의 단점과 간섭 감소의 장점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총 성능의 가장 훌륭한 이득이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에 대한 펑처링 레이트는 사용자에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의 총 수의 소정의 퍼센트 내로 제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각 타겟 사용자는 활성 세트 내에 오직 하나의 간섭 섹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각 사용자에 대한 활성 세트는 임의의 수의 섹터를 포함하고, 각 타겟 사용자는 임의의 수의 간섭 섹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는 단말기에서 임의의 변화를 요청하지 않고 포워드 링크상의 인터-섹터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타겟 및 간섭 사용자는 수행되는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오버-더-에어 시그널링 (over-the-air signaling) 은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지원할 필요가 없다. 타겟 및 간섭 사용자는 선택적인 블랭킹/감쇠가 수행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및 디코딩)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는 섹터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섹터는 데이터 심볼을 획득하는 표준 방법으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코딩 및 변조) 할 수도 있다. 각 섹터는 서브밴드로의 데이터 심볼의 매핑 동안 또는 이후에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섹터 사이의 오직 작은 양의 시그널링이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구현하는데 필요하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각 섹터는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을 블랭킹한다. 이 실시형태는 다수의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으로 된 서브밴드를 통한 임의의 섹터에 의한 송신이 없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어떠한 데이터 심볼도 홉 주기 3으로 서브밴드 2를 통해 또는 홉 주기 5로 서브밴드 세트 3을 통하는 등 섹터 1 또는 2에 의해 송신되지 않는다. 하나의 섹터가 이들 서브밴드의 각각을 통해 송신되도록 하고 더 많은 시그널링의 비용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에서 블랭킹을 수행함으로써 개선된 성능이 달성될 수도 있다.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하는 제 2 실시형태에서, 간섭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은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블랭킹 또는 감쇠되지만, 하나 이상의 섹터는 다수의 섹터의 블랭킹 패턴에 공통되는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섹터는 인접 섹터 내의 모든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에 기초하여 자신의 블랭킹 패턴을 결정한다. 지정된 섹터는 인접 섹터에 의해 이용되는 블랭킹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고, 그 블랭킹 패턴 및 인접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의 교차점에 기초하여 "오버랩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후, 지정된 섹터는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각 섹터는 인접 섹터에 의해 이용되는 블랭킹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고, 그 블랭킹 패턴 및 인접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에 기초하여 오버랩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수의 섹터는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을 공유하는 것이 허용될 수도 있다. 공유는 예를 들어, 소정의 방법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오버랩 패턴으로의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에 의해 영향받는 각 사용자는 서빙 섹터에 대해 블랭킹 패턴일 수도 있는 펑처링 패턴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각 영향받는 사용자는 펑처링 패턴으로 서브밴드에 대한 수신된 심볼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3a 내지 3c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섹터 1 및 2 에 대한 블랭킹 패턴을 도시한다. 또한, 도 4a는 섹터 1 및 2 에 대한 블랭킹 패턴의 교차점에 의해 발생되는 오버랩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오버랩 패턴은 홉 주기 3 으로 서브밴드 세트 2, 홉 주기 5 로 서브밴드 세트 3 등을 포함한다. 오버랩 패턴은 섹터 1 및 2 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송신되지 않는 서브밴드를 포함한다. 섹터 1 또는 2 는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도 4b 는 섹터 1 내의 사용자 a 및 b 에 대한 선택적인 블랭킹, 및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인 오버랩 송신이 있는, 섹터 2 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섹터 2 에 대한 블랭킹 패턴은 사용자 a 및 b 에 대한 FH 시퀀스에 의해 형성되지만,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제외한다.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 때문에, 사용자 a 및 b는 이들 서브밴드를 통한 간섭을 관찰한다. 그러나, 사용자 a 및 b는 섹터 2에 의해 이용되는 오버랩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들 사용자의 각각은 이들 서브밴드에 대해 수신된 심볼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a 및 b는, 송신기 대신에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펑처링에도 불구하고, 도 3c 에 도시된 동일한 수신 심볼을 획득한다.
도 4c는 선택적인 블랭킹 및 오버랩 송신이 있는 섹터 2 내의 각 사용자에 대한 수신 심볼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섹터 2가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되기 때문에, 섹터 2 내의 사용자 e는 수신된 심볼의 모두를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e의 성능은 개선될 수도 있다. 이는, 섹터 2가 사용자 e와 통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사용자 e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도 4a 내지 4c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섹터는 오버랩 패턴으로 서 브밴드를 통해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섹터는 이들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을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섹터 1은 홀수 홉 주기 동안 대한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고, 섹터 2는 짝수 홉 주기 동안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해 송신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이는 오버랩 패턴으로 평균하여 서브밴드의 반을 통해 송신하는 각각의 섹터 1 및 2 를 발생시킨다. 오버랩 패턴으로의 서브밴드의 할당은 각 섹터 내의 타겟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섹터 1이 2 명의 타겟 사용자 a 및 b를 가진 반면, 섹터 2는 오직 하나의 타겟 사용자 e만을 가지기 때문에, 섹터 1은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의 3분의 2를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될 수도 있고, 섹터 2는 서브밴드의 잔여 3분의 1을 통해 송신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이는 평균 펑처링된 심볼의 동일한 퍼센트를 가진 섹터 1 및 2에 대한 각 타겟 사용자를 발생시킨다.
다수의 섹터가 오버랩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을 공유하면, "오버랩 서브패턴"은 각 섹터에 대해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섹터에 할당되는 오버랩 패턴으로 모든 서브밴드를 포함한다. 각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은, 인접 섹터 내의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 마이너스 그 섹터에 대한 오버랩 서브패턴의 서브밴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섹터 내의 각 사용자는 그 섹터에 대한 블랭킹 패턴에 따라 펑처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순화를 위해, 선택적인 블랭킹은 도 3a 내지 4c 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다. 블랭킹은, 이들 사용자가 타겟 사용자와 실질적으로 간섭할 합리 적인 가능성을 가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간섭 사용자에 대한 펑처링 심볼의 효과를 가진다.
선택적인 감쇠 (블랭킹은 아님) 는 간섭 사용자에 대한 성능을 개선하면서 타겟 사용자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인접 섹터 내의 상이한 사용자는 소정의 타겟 사용자에게 상이한 양의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또한, 타겟 사용자에 대한 인터-섹터 간섭의 충분한 감소는 단지 간섭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을 감쇠시킴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인 감쇠는 일정 간섭 사용자에 대해 및/또는 일정 상황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선택적인 감쇠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감쇠를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서, 블랭킹 패턴의 서브밴드에 대한 송신 전력은 소정의 양 (예를 들어, 3, 6, 또는 10 dB) 만큼 감소된다. 간섭 사용자는 이들 서브밴드를 통해 디코딩에 대해 유용할 수도 있는 낮은 에너지 심볼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블랭킹 패턴의 서브밴드에 대한 송신 전력은 소정의 전력 레벨 Pcap으로 제한된다. 서빙 기지국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인접 섹터 내의 사용자는 더 적은 송신 전력을 요청할 수도 있고, 감소되거나 제한된 송신 전력을 갖는 훌륭한 성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이 전력-제어되어 원하는 레벨의 성능을 달성하면, 각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소정의 전력 레벨 Pcap내로 제한하는 것은 이미 이 전력 레벨 이하로 송신하는 강력한 사용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적인 블랭킹 및 감쇠는 모두 섹터 내의 상이한 사용자에 대한 섹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섹터는 타겟 사용자에 큰 간섭을 야기할 것 같은 사용자에 대한 블랭킹 및 큰 간섭을 야기할 것 같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감쇠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랭킹은 활성 세트 내의 타겟 사용자의 서빙 섹터를 가지는 사용자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고, 감쇠는 활성 세트 내의 서빙 섹터를 가지지 않는 사용자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송신이 섹터 1 에 대한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경우, 섹터 1 은 사용자 a 및 b에 대한 송신을 블랭킹할 수도 있고, 사용자 c 및 d에 대한 송신을 감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송신이 섹터 2 에 대한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경우, 섹터 2 는 사용자 e에 대한 송신을 블랭킹할 수도 있고, 사용자 f, g 및 h에 대한 송신을 감쇠할 수도 있다. 블랭킹과 감쇠의 이러한 조합은 포워드 링크에 이용될 수도 있고, 리버스 링크에 대해 더욱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타겟 사용자의 이득을 위해 간섭 사용자에 대한 송신에 선택적인 블랭킹/감쇠가 수행될 수도 있다. 타겟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세트 내의 다수의 섹터가 있는 사용자는 도 3a 내지 3c 에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겟 사용자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섹터가 통신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예를 들어, 소정의 수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는 타겟 사용자로 간주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접 섹터에 대한 높은 수신 파일럿 전력을 측정하고 인접 섹터로부터 강한 간섭을 관찰하는 사용자는 타겟 사용자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또한, 간섭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3c 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겟 사용자의 활성 세트 내의 모든 비-서빙 섹터는 간섭 섹터로서 간주될 수도 있고, 이들 섹터 내의 모든 사용자는 간섭 사용자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인접 섹터가 섹터를 활성 세트에 추가하는데 이용되는 조건(들)을 만족하면, 이러한 섹터는 간섭 섹터로 간주된다. 섹터에 대한 수신 파일럿 전력이 타겟 사용자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추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섹터는 통상적으로 활성 세트에 추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이한 조건(들)(예를 들어, 더 높은 파일럿 전력 임계값) 은 인접 섹터가 간섭하는지 또는 간섭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간섭 섹터 내의 모든 사용자는 간섭 사용자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이들 방법으로 간섭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은 선택적인 블랭킹/감쇠의 구현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인접 섹터 내의 각 사용자 (또는 단순히, 각 인접 사용자) 는 다양한 인자에 기초하여 타겟 사용자에 간섭 또는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인자는 타겟 사용자의 서빙 섹터에 대해 인접 사용자에 의해 측정된 수신 파일럿 전력, 인접 사용자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접 사용자가 타겟 사용자의 서빙 섹터로부터 멀리 위치하면, 및/또는 인접 사용자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이 낮으면, 인접 사용자는 타겟 사용자에 너무 많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도 있고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a 는 인터-섹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 (500) 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500) 는 서빙 기지국 역할의 각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처음에,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감소된 인터-섹터 간섭이 구해지는 사용자 (즉, 타겟 사용자) 가 식별된다 (블록 512). 타겟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 세트 내의 다수의 섹터가 있는 사용자일 수도 있고, 몇몇 다른 방법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이후, 각 타겟 사용자에 대한 간섭 기지국 또는 간섭 사용자가 식별된다 (블록 514). 각 타겟 사용자에 대한 간섭 기지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겟 사용자의 활성 세트 내의 비-서빙 섹터일 수도 있거나, 몇몇 다른 방법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이후, 각 간섭 기지국에 대한 간섭 정보는 타겟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활성 세트 및 FH 시퀀스) 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블록 516). 각 간섭 기지국에 대한 간섭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특정 송신 스팬 (또는 특정 서브밴드 및 홉 주기) 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 간섭 기지국에 대한 간섭 정보는 활성 세트 내에서 비-서빙 섹터로서 기지국을 가지는 모든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간섭 정보는 상이한 간섭 기지국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상이하다. 각 간섭 기지국에 대한 간섭 정보는 기지국에 전송된다 (블록 518).
도 5b 는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550) 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550) 는 간섭 기지국의 역할의 각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처음에, 간섭 정보는 각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블록 552). 블랭킹 패턴은 모든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블록 554). 블랭킹 패턴은 인접 섹터 내의 타겟 사용자에 대한 모든 FH 시퀀스에 대한 모든 서브밴드를 단순히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블랭킹 패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오버랩 패턴으로 된 서브밴드를 제외할 수도 있다. 이후,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은 블랭킹/감쇠된다 (블록 556). 예를 들어, 블랭킹 패턴과 상충하는 모든 송신에 대해 블랭킹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몇몇 사용자 (예를 들어, 활성 세트 내의 인접 섹터를 가진 자) 의 송신에 대해 블랭킹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 (예를 들어, 활성 세트 내에 인접 섹터를 가지지 않은 자) 에 대해 감쇠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섹터 1 내의 단말기에 대한 서빙 기지국 (110a) 및 간섭 기지국 (110b) 의 실시형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기지국 (110a 및 110b) 의 오직 송신기 부분만 도 6에 도시한다.
기지국 (110a) 내에서, 인코더/변조기 (614a) 는 기지국 (110a)(L≥1) 에 의해 서빙되는 L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소스 (612a) 로부터의 트래픽/패킷 데이터 및 제어기 (630a) 로부터의 제어/오버헤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코더/변조기 (614a) 는 사용자에 대해 선택된 코딩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트래픽/패킷 데이터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포맷,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 하고, 데이터에 대한 변조 심볼인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각 변조 심볼은 변조 심볼에 이용되는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신호 배열에서 특정 포인트에 대한 복소수 값이다.
심볼 투 서브밴드 매핑 유닛 (symbol-to-subband mapping unit; 616a) 은 모든 L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심볼을 수신하고, 이들 사용자에 할당되는, FH 발생기 (640a) 에 의해 발생되는 FH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는 적당한 서브밴드에 이들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또한, 매핑 유닛 (616a) 은 파일럿 송신에 이용되는 서브밴드를 통한 파일럿 심볼 및 파일럿 또는 데이터 송신에 이용되지 않는 각 서브밴드에 대한 0의 신호 값을 제공한다. 각 OFDM 심볼 주기의 경우, 매핑 유닛 (616a) 은, 각 송신 심볼이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0-신호 값인, N 개의 총 서브밴드에 대한 N 개의 송신 심볼을 제공한다. 블랭킹/감쇠 유닛 (618a) 은 매핑 유닛 (616a) 으로부터의 송신 심볼을 수신하고, 기지국 (110a) 에 대한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수행한다.
OFDM 변조기 (620a) 는 각 OFDM 심볼 주기에 대해 N개의 송신 심볼 (블랭킹/감쇠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 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OFDM 심볼을 발생시킨다. OFDM 변조기 (620a) 는 통상적으로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유닛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 발생기를 포함한다. 각 OFDM 심볼 주기의 경우, IFFT 유닛은 N개의 타임-도메인 칩을 포함하는 "변환된" 심볼을 획득하기 위해 N-포인트 인버스 FFT를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N개의 송신 심볼을 변환한다. 각 칩은 하나의 칩 주기로 송신되는 복소수 값이다. 주기 프리픽스 발생기는 N+C 칩을 포함하는 OFDM 심볼을 형성하기 위해 각 변환된 심볼의 부분을 반복하며, C는 반복되는 칩의 수이다. 반복된 부분은 종종 사이 클릭 프리픽스로 지칭되고 주파수 선택적인 페이징에 의해 야기되는 심볼 간 간섭 (ISI) 을 물리치는데 이용된다. OFDM 심볼 주기는 N+C 칩 주기인 하나의 OFDM 심볼의 지속시간에 대응한다. OFDM 변조기 (620a) 는 OFDM 심볼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송신기 유닛 (TMTR; 622a) 은 OFDM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컨버트,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업컨버트) 하여, 변조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변조된 신호는 안테나 (624a) 로부터 섹터 1 내의 단말기로 송신된다.
기지국 (110b) 은 기지국 (110b) 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에 대한 트래픽 및 제어 데이터를 유사하게 프로세싱한다. 그러나, 심볼 투 서브밴드 매핑 유닛 (616b) 은 섹터 2 내의 사용자에 할당되고 FH 발생기 (640b) 에 의해 발생되는 FH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는 적당한 서브밴드에 섹터 2 내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제어기 (630a 및 630b) 는 기지국 (110a 및 110b) 각각에서의 동작을 지시한다. 제어기 (630a 및 630b) 는 포워드 링크상에서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로세스 (500 및 550) 를 각각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 (632a 및 632b) 은 제어기 (630a 및 630b) 각각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위한 저장을 제공한다.
선택적인 블랭킹/감쇠의 경우, 기지국 (110a) 은 기지국 (110b) 으로부터의 감소된 인터-섹터 간섭이 구해지는 특정 서브밴드를 나타내는 간섭 정보를 결정한다. 이러한 간섭 정보는 기지국 (110b) 에 전송된다. 또한, 기지국 (110b) 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10b) 내에서, 블랭킹 패턴 발생기 (642b) 는 모든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110b) 에 대해 블랭킹 패턴을 발생시킨다. 발생기 (642b) 는 수신된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인접 섹터 내의 각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를 발생시키고, 모든 인접 섹터 내의 모든 타겟 사용자에 대한 FH 시퀀스를 조합하여 기지국 (110b) 에 대한 블랭킹 패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블랭킹/감쇠 유닛 (618b) 은 매핑 유닛 (616b) 으로부터 송신 심볼을 수신하고, 발생기 (642b) 에 의해 제공되는 블랭킹 패턴에 기초하여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수행한다. 유닛 (618b) 은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에 매핑되고 서브밴드와 상충하는 송신 심볼을 블랭킹/감쇠할 수도 있다.
도 7 은 시스템 (100) 내의 단말기 중 하나인 단말기 (120x) 의 실시형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오직 단말기 (120x) 의 수신기 부분이 도 7 에 도시된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변조된 신호는 안테나 (712) 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 유닛 (RCVR; 714) 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샘플을 획득한다. 하나의 OFDM 심볼 주기에 대한 샘플 세트는 하나의 수신된 OFDM 심볼을 나타낸다. OFDM 복조기 (demod; 716) 는 샘플을 프로세싱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송신 심볼의 노이지 추정치인 수신 심볼을 제공한다. OFDM 복조기 (716) 는 통상적으로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 유닛 및 FFT 유닛을 포함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 유닛은 각 수신된 OFDM 심볼 내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하여, 수신되어 변환된 심볼을 획득한다. FFT 유닛은 N-포인트 FFT 를 이용하여 각 수신되어 변환된 심볼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N 개의 서브밴드에 대한 N 개의 수신된 심볼을 획득한다. 서브밴드 투 심볼 디매핑 유닛 (718) 은 각 OFDM 심볼 주기 동안 N개의 수신 심볼을 획득하고, 단말기 (120x) 에 할당된 서브밴드에 대한 수신 심볼을 제공한다. 이들 서브밴드는 단말기 (120x) 에 할당된, FH 발생기 (740) 에 의해 발생되는 FH 시퀀스에 의해 결정된다. 복조기/디코더 (720) 는 펑처링 패턴을 수신할 수도 있고, 서빙 기지국의 블랭킹 패턴으로 서브밴드에 대한 수신된 심볼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복조기/디코더 (720) 는 단말기 (120x) 에 대한 수신된 심볼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디코딩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 (722) 에 제공한다.
제어기 (730) 는 단말기 (120x) 에서의 동작을 지시한다. 메모리 유닛 (732) 은 제어기 (730) 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한다. 제어기 (730) 는 리버스 링크상에 단말기 (120x) 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로세스 (550) 를 구현할 수도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포워드 링크에 대해 간섭 제어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이들 기술은 리버스 링크상에 인터-섹터 간섭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각 사용자에 대한 서빙 섹터는 그 사용자가 리버스 링크 상에서 과도한 간섭을 야기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각 사용자가 과도한 간섭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서빙 섹터는 간섭이 감소되어야 하는 서브밴드를 결정하고, 이러한 간섭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각 간섭 사용자는 서빙 섹터로부터 간섭 정보를 수신하고, 간섭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의 블랭킹/감쇠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 를 참조하면, 섹터 1 내의 사용자 a 및 b는 활성 세트 내의 다수의 섹터를 가지고, 섹터 1을 활성 세트 내의 비-서빙 섹터로서 갖는 사용자 e에 과도한 간섭을 야기한다고 간주될 수도 있다. 사용자 a 및 b는 사용자 e에 대한 FH 시퀀스가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e에 대한 FH 시퀀스와 상충하는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을 블랭킹/감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e는 섹터 1 내의 사용자 a 및 b에 과도한 간섭을 야기한다고 간주되며, 이들 모두는 섹터 2를활성 세트 내의 비-서빙 섹터로서 가진다. 사용자 e는 사용자 a 및 b에 대한 FH 시퀀스가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a 및 b에 대한 FH 시퀀스와 상충하는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을 블랭킹/감쇠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FDMA 및 TDMA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기반 시스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송신 스팬이 시간 및/또는 주파수 디멘션을 커버할 수도 있는 송신 스팬상에 선택적인 블랭킹/감쇠가 수행될 수도 있다. FDMA 시스템의 경우, 송신 스팬은 소정의 시간 주기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서브밴드에 대응할 수도 있고, 과도한 간섭을 갖는 주파수 서브밴드를 통한 송신이 선택적으로 블랭킹/감쇠될 수도 있다. TDMA 시스템의 경우, 송신 스팬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응할 수도 있고, 과도한 간섭을 갖는 시간 간격의 송신은 선택적으로 블랭킹/감쇠될 수도 있다. OFDM-기반 (예를 들어, OFDMA) 시스템의 경우, 송신 스팬은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주기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한 세트에 대응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간섭 제어 기술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간섭 제어 기술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모듈 (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예를 들어, 도 6의 메모리 유닛 (632) 또는 도 7의 메모리 유닛 (732)) 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도 6의 제어기 (630) 또는 도 7의 제어기 (730))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당업계에서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제한될 의도가 아니며, 여기에 개시된 신규한 특징 및 원리에 일관된 최광의 범위 에 따른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엔티티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송신물에 대한 송신 전력을 턴-오프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를 이용하고,
    상기 시스템의 각각의 송신 스팬은 특정 시간 간격의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특정 세트에 대응하는, 간섭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호핑 (FH)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이한 시간 간격의 서브밴드의 상이한 세트를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상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이용가능한 모든 송신 스팬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가지는 현재 기지국인, 간섭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할당되고 상기 현재 기지국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송신 스팬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기지국은, 상기 현재 기지국에 대한 수신 파일럿 전력이 상기 단말기에서 측정될 때에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 대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간섭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각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통신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활성 세트를 유지하고,
    상기 현재 기지국은, 상기 현재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대해 상기 활성 세트에 나타나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간섭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에 의해 블랭킹되거나 감소된 송신물을 가지는 송신 스팬을 제외하는, 간섭 제어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기지국과 통신하고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각각의 식별된 단말기에 간섭을 야기하는 인접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인접 기지국에 대해,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상기 식별된 단말기에 대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은,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한 수신 파일럿 전력이 상기 단말기에서 측정될 때에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현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에 대한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간섭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기지국과 통신하는 각각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통신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활성 세트를 유지하고,
    인접 기지국은, 상기 인접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대해 상기 활성 세트에서 나타나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간섭 제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엔티티는 단말기인, 간섭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상기 단말기가 통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되는, 간섭 제어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송신물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은 소정의 양만큼 감소되는, 간섭 제어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송신물에 대한 상기 송신 전력은 소정의 전력 레벨 내로 제한되는, 간섭 제어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높은 간섭을 야기할 것으로 간주될 경우에 턴-오프되고, 높은 간섭을 야기할 것 같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경우에 감소되는, 간섭 제어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을 획득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 및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송신물에 대한 송신 전력을 턴-오프 또는 감소하도록 동작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가지는 현재 기지국인, 간섭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할당되고 상기 현재 기지국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송신 스팬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현재 기지국과 통신하고,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단말기를 식별하고,
    각각의 식별된 단말기에 간섭을 야기하는 인접 기지국을 식별하며,
    각각의 인접 기지국에 대해,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상기 식별된 단말기에 대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간섭 제어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인, 간섭 제어 장치.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송신 엔티티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을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송신물에 대한 송신 전력을 턴-오프 또는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가지는 현재 기지국인, 간섭 제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할당되고 상기 현재 기지국이 간섭 기지국으로 간주되는 송신 스팬을 포함하는, 간섭 제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기지국과 통신하고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수단;
    각각의 식별된 단말기에 간섭을 야기하는 인접 기지국을 식별하는 수단; 및
    각각의 인접 기지국에 대해,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상기 식별된 단말기에 대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어 장치.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송신물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상기 송신 스팬의 서브세트는 상기 블랭킹 패턴에 포함되며, 상기 기지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심볼에 대해 턴-오프 또는 감소되는, 상기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 심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를 이용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각각의 송신 스팬은 특정 시간 간격의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특정 세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및
    디코딩 이전에, 상기 블랭킹 패턴의 및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이레이저 (erasure) 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획득하도록 동작하는 디매핑 유닛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송신 스팬의 서브세트는 블랭킹 패턴에 포함되며, 상기 기지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블랭킹 패턴으로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신볼에 대해 턴-오프 또는 감소되는, 상기 디매핑 유닛;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 심볼을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장치.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로서,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상기 송신 스팬의 서브세트는 상기 블랭킹 패턴에 포함되며, 상기 기지국에 대한 송신 전력은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심볼에 대해 턴-오프 또는 감소되는, 상기 획득 수단;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 심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장치.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송신물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감소된 간섭이 구해지는 송신 스팬을 나타내는 블랭킹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상기 송신 스팬의 서브세트는 상기 블랭킹 패턴에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송신 전력은 상기 블랭킹 패턴으로 상기 송신 스팬상에서 전송되는 심볼에 대해 턴-오프 또는 감소되는, 상기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심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를 이용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각각의 송신 스팬은 특정 시간 간격의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특정 세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디코딩 이전에, 상기 블랭킹 패턴의 상기 송신 스팬에 대한 수신 심볼을 이레이저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물의 수신 방법.
KR1020067026385A 2004-05-17 2005-04-08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 KR100845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48,023 US8085831B2 (en) 2004-05-17 2004-05-17 Interference control via selective blanking/attenuation of interfering transmissions
US10/848,023 200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858A true KR20070012858A (ko) 2007-01-29
KR100845165B1 KR100845165B1 (ko) 2008-07-09

Family

ID=3497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385A KR100845165B1 (ko) 2004-05-17 2005-04-08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85831B2 (ko)
EP (2) EP2375577B1 (ko)
JP (1) JP4564059B2 (ko)
KR (1) KR100845165B1 (ko)
CN (2) CN1985447B (ko)
AR (1) AR049338A1 (ko)
CA (1) CA2566558C (ko)
HK (1) HK1103873A1 (ko)
TW (1) TW200620856A (ko)
WO (1) WO20051172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2857B2 (en) 2002-10-29 2006-05-09 Qualcom, Incorporated Uplink pilot and signaling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11283B2 (en) 2004-01-28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single channel to provide acknowledgement and assignment messages
US20050163194A1 (en) * 2004-01-28 2005-07-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12167B2 (ja) * 2004-03-31 2007-11-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
JP4181093B2 (ja) * 2004-07-16 2008-11-12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
US8891349B2 (en) 2004-07-23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optimizing portions of a frame
US8831115B2 (en) 2004-12-22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C-CDMA multiplexing in an orthogonal uplink
US7477914B2 (en) 2005-12-22 2009-01-13 Rehan Jalil Real-time spectrum management to increase frequency reuse
US8780936B2 (en) * 2006-05-22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753369B1 (ko) 2006-08-30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KR100765892B1 (ko) 2006-08-30 2007-10-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US8588054B2 (en) * 2006-10-26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ilenc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634233B2 (en) * 2006-11-27 2009-12-15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ransmission system with interference avoidance capability and method thereof
KR100987327B1 (ko) * 2007-02-07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도약 다중화 방법 및 장치
TWI433514B (zh) * 2007-03-13 2014-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用於多輸入多輸出多頻帶正交分頻多工技術通信系統之交錯之方法及系統
US8798665B2 (en) * 2007-11-15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Beacon-based control channels
US9326253B2 (en) * 2007-11-15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US8761032B2 (en) * 2007-11-16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reuse based control channels
EP2219302B1 (en) * 2007-12-03 2016-04-06 Fujitsu Limite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power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09573B2 (en) * 2008-02-0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catenated codes for beacon channels
US8675537B2 (en) *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US9107239B2 (en) * 2008-04-07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define control channels using reserved resource blocks
US8559879B2 (en) 2008-04-22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Null pilots for interference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521206B2 (en) 2008-04-22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with reduce interference requests and interference indicators
US8009782B2 (en) * 2008-05-21 2011-08-30 Nokia Siemens Networks Oy Downscaling system bandwidth
US9974065B2 (en) * 2008-06-25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trol blank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867203B2 (en) 2008-07-11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ous TDM-based communication in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s
US9042479B2 (en) * 2008-10-16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coexisting wireless systems
US8483149B2 (en) * 2008-12-05 2013-07-09 Nokia Siemens Networks Oy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blanking
US8412243B2 (en) * 2008-12-05 2013-04-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interference removal
KR101673497B1 (ko) 2009-01-05 2016-11-07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Mimo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프리코딩 코드북들
US8385441B2 (en) 2009-01-06 2013-02-26 Marvell World Trade Ltd. Efficient MIMO transmission schemes
US8982750B2 (en) * 2009-01-1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verload indicator over the air
US8238483B2 (en) 2009-02-27 2012-08-07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of dedicated reference signal (DRS) precoding granularity
US20100220651A1 (en) * 2009-03-02 2010-09-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OFDMA systems
US8660600B2 (en) * 2009-03-12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Over-the-air overload indicator
US8543063B2 (en) 2009-04-21 2013-09-24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point opportunistic beamforming with selective beam attenuation
US9253651B2 (en) * 2009-05-01 2016-02-02 Qualco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detection of overhead channels and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US9106378B2 (en) 2009-06-10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ownlink information
US9144037B2 (en) * 2009-08-1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by puncturing transmission of interfering cells
US8724563B2 (en) * 2009-08-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detecting system information blocks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77566B2 (en) 2009-09-14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ross-subframe control channel design
US8942192B2 (en) 2009-09-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675794B1 (en) 2009-10-13 2014-03-18 Marvell International Ltd. Efficient estimation of feedback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selection
US8917796B1 (en) 2009-10-19 2014-12-23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mission-mode-aware rate matching in MIMO signal generation
US8325860B2 (en) 2009-11-09 2012-12-04 Marvell World Trade Ltd. Asymmetrical feedback for coordinated transmission systems
WO2011073876A2 (en) 2009-12-17 2011-06-23 Marvell World Trade Ltd Mimo feedback schemes for cross-polarized antennas
US9048993B2 (en) * 2009-12-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EP2522099A4 (en) 2010-01-07 2014-12-31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OF DEDICATED REFERENCE SIGNAL PRECODING GRANULARITY (DRS)
JP5415310B2 (ja) * 2010-01-29 2014-02-1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5258002B2 (ja) 2010-02-10 2013-08-0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移動通信端末、チップセット、およびその方法
JP2011205177A (ja) * 2010-03-24 2011-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基地局装置
US8687741B1 (en) 2010-03-29 2014-04-01 Marvell International Ltd. Scoring hypotheses in LTE cell search
JP5411782B2 (ja) * 2010-04-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392608B2 (en) 2010-04-1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271167B2 (en) 2010-04-13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radio link failure with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cancellation
US9609536B2 (en) 2010-04-13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of received power and received qu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25072B2 (en) 2010-04-1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Heterogeneous network (HetNet) user equipment (UE)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US9226288B2 (en) 2010-04-1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heterogeneous network
WO2012019366A1 (zh) * 2010-08-13 2012-02-16 富士通株式会社 基于正交频分复用方案的基站及其中的干扰协调方法
JP2012100254A (ja) 2010-10-06 2012-05-24 Marvell World Trade Ltd Pucch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コードブックサブサンプリング
US8886190B2 (en) 2010-10-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s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US9277447B2 (en) * 2010-10-20 2016-03-01 Nokia Technologies Oy Shortened subframe format for FDD
US9048970B1 (en) 2011-01-14 2015-06-02 Marvell International Ltd.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s
US9331737B2 (en) 2012-02-08 2016-05-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cancelling interference using multiple attenuation delays
US10230419B2 (en) 2011-02-03 2019-03-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daptive technique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10284356B2 (en) 2011-02-03 2019-05-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42147B2 (en) * 2011-02-14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number of protected active users based on QoS requirements, throughput and traffic
US8638131B2 (en) 2011-02-23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feedback-controlled output driver with minimum slew rate variation from process, temperature and supply
US8861391B1 (en) 2011-03-02 2014-10-14 Marvell International Ltd. Channel feedback for TDM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having multiple cell classes
CN103548284B (zh) 2011-03-31 2017-07-2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协作多点传输的信道反馈
US8923427B2 (en) 2011-11-07 2014-12-30 Marvell World Trade Ltd. Codebook sub-sampling for frequency-selective precoding feedback
US9020058B2 (en) 2011-11-07 2015-04-28 Marvell World Trade Ltd. Precoding feedback for cross-polarized antennas based on signal-component magnitude difference
US10243719B2 (en) 2011-11-09 2019-03-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MIMO radios
WO2013068974A1 (en) 2011-11-10 2013-05-16 Marvell World Trade Ltd. Differential cqi encoding for cooperative multipoint feedback
CN102437865B (zh) * 2011-12-06 2012-11-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提高直扩跳频混合扩频系统频域抗干扰性能的方法
US9220087B1 (en) 2011-12-08 2015-12-22 Marvell International Ltd. Dynamic point selection with combined PUCCH/PUSCH feedback
US8902842B1 (en) 2012-01-11 2014-1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 signaling and resource mapping for coordinated transmission
US9325432B2 (en) 2012-02-08 2016-04-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full-duplex signal shaping
CN104521269B (zh) 2012-04-27 2018-05-1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基站和移动通信终端之间的多点协作(CoMP)通信方法和装置
US9490963B2 (en) 2013-02-04 2016-11-08 Kumu Networks, Inc. Signal cancellation using feedforward and feedback paths
EP3031141B8 (en) 2013-08-09 2018-05-16 Kumu Networks, Inc. Cancellation of non-linear digital self-interferences
WO2015021463A2 (en) 2013-08-09 2015-02-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independent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163050B2 (en) 2013-08-09 2021-11-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estimation using progressive self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98860B2 (en) 2013-08-09 2017-07-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interference canceller tuning
US9054795B2 (en) 2013-08-14 2015-06-0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US10673519B2 (en) 2013-08-29 2020-06-02 Kuma Networks, Inc. Optically enhanc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15031830A1 (en) 2013-08-29 2015-03-05 Kumu Networks, Inc. Full-duplex relays
US9520983B2 (en) 2013-09-11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delay-match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22B2 (en) 2013-12-12 2019-03-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ied frequency-isolatio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77421B1 (en) 2013-12-12 2015-07-07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74405B2 (en) 2013-12-12 2017-09-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isol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12312B2 (en) 2014-03-26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b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1209536B2 (en) 2014-05-02 2021-12-2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tion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WO2015179874A1 (en) 2014-05-23 2015-11-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rate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CA2953323A1 (en) 2014-08-28 2016-03-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521023B2 (en) 2014-10-17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analog phase shifting
US9712313B2 (en) 2014-11-03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multi-peak-filter-bas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73854B2 (en) 2015-01-29 2017-06-06 Kumu Networks, Inc. Method for pilot signal based self-inteference cancellation tuning
US9634823B1 (en) 2015-10-13 2017-04-25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integr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EP3391459B1 (en) 2015-12-16 2022-06-15 Kumu Networks, Inc. Time delay filters
US10666305B2 (en) 2015-12-16 2020-05-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earized-mixer out-of-band interference mitigation
US9800275B2 (en) 2015-12-16 2017-10-2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 band-interference mitigation
US9742593B2 (en) 2015-12-16 2017-08-2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tun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CN107222826B (zh) * 2016-03-21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NB-IoT的信道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2458074B1 (ko) * 2016-03-31 2022-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454444B2 (en) 2016-04-25 2019-10-2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US9979374B2 (en) 2016-04-25 2018-05-2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US10338205B2 (en) 2016-08-12 2019-07-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 communication among commodity WiFi radios
US10931415B2 (en) * 2016-08-17 2021-02-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8081319A1 (en) 2016-10-25 2018-05-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ackscattering ambient ism band signals
US10103774B1 (en) 2017-03-27 2018-10-1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tun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JP6837573B2 (ja) 2017-03-27 2021-03-03 クム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umu Networks, Inc. 線形性強化ミキサ
CN110463047B (zh) 2017-03-27 2021-08-27 库姆网络公司 用于可调谐带外干扰抑制的系统和方法
US10200076B1 (en) 2017-08-01 2019-02-05 Kumu Networks, Inc.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s for CMTS
US11153006B2 (en) 2018-02-14 2021-10-19 Apple Inc. Uplink transmission puncturing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services
CN111771345B (zh) 2018-02-27 2021-08-31 库姆网络公司 用于可配置混合自干扰消除的系统和方法
US10868661B2 (en) 2019-03-14 2020-12-15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transform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EP4228176A1 (en) * 2022-02-09 2023-08-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jamming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838C (fi) * 1992-05-06 1997-02-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lukkoverkkojärjestelmä
IL114366A0 (en) * 1995-06-27 1995-10-31 Powerspectrum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the fringe areas of communication systems
US5867478A (en)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JPH11178050A (ja) * 1997-12-10 1999-07-02 Sony Corp 制御情報伝送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送受信装置
JP4409639B2 (ja) 1998-06-10 2010-02-03 日本放送協会 回り込みキャンセラ
KR100322024B1 (ko) * 1998-06-13 2002-06-24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US6519236B1 (en) * 1998-09-18 2003-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power control in uncoordinated frequency-hopping radio systems
DE19844666C1 (de) 1998-09-29 2000-03-30 Siemens Ag Decoderelement zur Erzeugung eines Ausgangssignals mit drei unterschiedlichen Potentialen und Betriebsverfahren für das Decoderelement
FI108268B (fi) * 1998-11-12 2001-12-14 Nokia Corp Lisälaiterajapinta monikanavaisessa radiolaitteessa
US6473418B1 (en) 1999-03-11 2002-10-29 Flarion Technologies, Inc.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GB2350750B (en) * 1999-06-01 2003-08-13 Motorola Ireland Ltd Interference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493331B1 (en) * 2000-03-30 2002-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f a communications systems
JP3913447B2 (ja) 2000-06-14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周波数ホッピング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7440484B2 (en) 2000-08-09 2008-10-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duced hopping sequences for a frequency hopping system
JP4067755B2 (ja) 2000-10-24 2008-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の受信機
SE0004081D0 (sv) 2000-11-02 2000-11-02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related to cell allocation management in a mobile radio network
US20020085641A1 (en) * 2000-12-29 2002-07-0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aver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40827B2 (en) * 2001-03-09 2005-09-06 Adaptix, Inc.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for one direction and DSSS for another direction
US6987955B1 (en) * 2001-04-27 2006-01-17 Bandspeed, Inc. Approach for managing power for communications channels based on performance
US6751444B1 (en) * 2001-07-02 2004-06-15 Broadstorm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arrier allocation and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JP2003053009A (ja) 2001-08-21 2003-02-25 Takao:Kk 弾球遊技機
US20030039226A1 (en) 2001-08-24 2003-02-27 Kwak Joseph A. Physical layer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US7551546B2 (en) * 2002-06-27 2009-06-23 Nortel Networks Limited Dual-mode shared OFDM methods/transmitters, receivers and systems
US6788963B2 (en) * 2002-08-08 2004-09-07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a states
US6961595B2 (en) *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7151755B2 (en) * 2002-08-23 2006-12-19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cell interference redu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85498B2 (en) * 2002-08-26 2006-01-10 Flarion Technologies, Inc. Beacon signaling in a wireless system
KR100933155B1 (ko) * 2002-09-30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상 셀의 자원할당장치 및 방법
US7068977B1 (en) 2002-10-11 2006-06-27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assessment and redu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44860B2 (en) * 2003-02-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JP4185385B2 (ja) 2003-03-06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US7016319B2 (en) * 2003-03-24 2006-03-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4304267A (ja) 2003-03-28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fdm受信装置及びofdm受信方法
JP3697521B2 (ja) 2003-04-21 2005-09-21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受信装置、受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146765B2 (ja) 2003-06-12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AU2003265480A1 (en) * 2003-08-13 2005-03-10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421005B2 (en) * 2003-10-09 2008-09-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equency offset hopping for telecommunications
US20050163194A1 (en) * 2004-01-28 2005-07-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66723B2 (en) * 2004-03-11 2007-09-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to maintain desired frame error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594260B1 (en) * 2004-05-04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with power planning for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48749B2 (en) * 2005-01-31 2006-12-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with high dynamic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5577A3 (en) 2012-05-30
WO2005117283A3 (en) 2006-03-09
AR049338A1 (es) 2006-07-19
US8085831B2 (en) 2011-12-27
JP2007538462A (ja) 2007-12-27
WO2005117283A2 (en) 2005-12-08
EP1749350A2 (en) 2007-02-07
CA2566558A1 (en) 2005-12-08
US20050254555A1 (en) 2005-11-17
CN1985447A (zh) 2007-06-20
KR100845165B1 (ko) 2008-07-09
CN101714881A (zh) 2010-05-26
TW200620856A (en) 2006-06-16
CN1985447B (zh) 2010-06-02
CA2566558C (en) 2010-05-25
CN101714881B (zh) 2013-08-14
EP1749350B1 (en) 2013-02-27
JP4564059B2 (ja) 2010-10-20
WO2005117283B1 (en) 2006-06-08
EP2375577B1 (en) 2014-10-08
HK1103873A1 (en) 2007-12-28
EP2375577A2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165B1 (ko) 간섭 송신의 선택적인 블랭킹/감쇠를 통한 간섭 제어
KR1008938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추정
ES2523221T3 (es) Control de interferencia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JP4908492B2 (ja) 準直交ofdmシステムにおける重複係数に基づく電力制御
US8014781B2 (en) Intra-cell common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132899B1 (ko) 비-제한 재사용 집합에 대한 품질 표시자 및 다른 재사용 집합들에 대한 벡터화된 품질 표시자를 전송함으로써 피드백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853392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干渉制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