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007A -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007A
KR20070010007A KR1020067019224A KR20067019224A KR20070010007A KR 20070010007 A KR20070010007 A KR 20070010007A KR 1020067019224 A KR1020067019224 A KR 1020067019224A KR 20067019224 A KR20067019224 A KR 20067019224A KR 20070010007 A KR20070010007 A KR 2007001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r
content data
uni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손
Original Assignee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단말(1)로부터 통신 단말(2)에 대해 발호를 실행할 때, 컨텐츠 서버(4)에 있어서, 통신 단말(1)로부터 통신 단말(2)에 대한 발호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2)의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참조하여, 착호 식별자에 관련지어진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 단말(1)로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 처리하는 동안 통신 단말(1)측에서 출력 표시시킨다. 이로 인해, 착신측의 수신 상황이나 사용 상태에 관계없이 발신측의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처리 동안에 착신측의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 데이터를 발신측의 단말기로 출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 방법{Call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발신측의 통신 단말로부터 착호(着號)측의 통신 단말에 대해 발호 처리를 하기 위한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PHS 등의 이동 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기기는 발신측의 단말기에서 발호 처리를 행하고, 착신측의 단말기를 호출하여, 그 호출에 따른 착호 처리를 착신측의 단말기에서 행함으로써 통신이 확립된다. 이렇게 호출하는 동안, 발신측의 단말기에서는 호출음 등에 의해 발호 처리의 진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는 착신측에서 호출을 하고 있는 동안, 발신측의 단말기에 대해, 착신측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등에 의해 착신측의 상황을 전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4-23367호 공보 참조).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착신측의 사용자가 그 착신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등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방에 대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이유 등의 상황을 전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착신측의 단말기로부터 발신측의 단말기에 대해 음성 등의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므로, 메시지 데이터를 미리 단말기내에 보존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메모리 장치를 내장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메시지 데이터가 영화 등의 데이터 형식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 사이즈가 증대하고 메모리 소비량이 과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호출 처리시에 착신측의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에서는 발신측에서 발호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착신측에서 착신 처리가 개시된 후, 착신측의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발신측의 단말기에 대해 송신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방식으로는 발신측의 단말에 있어서의 발호 조작부터 메시지 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방식으로는 착신측에서 착호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야 메시지 데이터가 반신되므로, 예를 들어 착신측의 단말기가 전파가 미치지 않는 장소에 있거나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가 반신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신측의 수신 상황이나 사용 상태에 관계 없이 발신측의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처리 동안에 착신측의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 데이터를 발신측의 단말기에 출력시킬 수 있는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통신 단말(발호측 단말)에서 제 2 통신 단말(착호측)에 대해 발호를 실행할 때, 통신 서버에 있어서, 제 1 통신 단말에서 제 2 통신 단말에 대한 발호 신호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의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와 컨텐츠 데이터를 관련 짓는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여, 착호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 1 통신 단말에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 처리 동안 제 1 통신 단말측에서 출력 표시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호측 단말에서 발호 처리를 개시하고, 착호측 단말과의 접속 처리가 확립되기 전 단계부터, 발호측 단말에 착호측 단말의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동화(動畵) 등의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호측 단말이 전파가 미치지 않는 장소나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경우, 로밍 등에 의해 신속한 호출 처리를 개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발호측 단말에서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테이블 데이터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가 추가로 관련되며, 발호 신호에 따라 발호에 관한 제 1 통신 단말의 발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에 따라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단말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여,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발호측의 단말마다 다른 컨텐츠를 출력 표시시킬 수 있고, 다양한 대응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를 계측하고, 송출 빈도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의 이용자에게 과금(課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해당 발호 처리 서비스의 이용 빈도에 따라 착호측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사용량을 징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판매하고, 상기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서버상에서 구입한 컨텐츠를 그대로 발호 처리용 컨텐츠로서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데이터의 업로드 등을 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착호측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휴대 단말에 장비된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컨텐츠를 발호 처리용 컨텐츠로서 업로드하고 통신 서버에 축적할 수 있으며, 착호측 사용자 독자의 착호 대응이 가능해지는 등, 컨텐츠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착호측 단말의 사용자가 발호측 단말마다 출력시키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발호측 사용자에 따른 컨텐츠를 출력 표시시켜, 다양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착호측 식별자는 제 2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는 제 1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전화번호와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키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여, 취득한 전화번호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취득함과 동시에,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하여 제 1 통신 단말 및 제 2 통신 단말간에서 중계하고,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를 IP 어드레스로 하여 취득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하여 발호측의 IP 어드레스에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발호 처리 서비스를, 이를 테면 인터넷 전화에서도 이용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인터넷 전화에 대한 접속 처리에 따라 통신 상대의 호출이 지연되는 경우라도 신속하게 발호측 단말에 컨텐츠를 출력 표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호 처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호 처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발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통신 단말(1)에서 제 2 통신 단말(2)에 대해 발호 처리를 행한다. 이들 통신 단말(1 및 2)은 무선 통신에 의해 기지국(31 및 32)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지국(31 및 32)은 통신 네트워크(3)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통신 단말(1 및 2)은 이들 기지국(31, 32) 및 통신 네트워크(3)를 통해 음성 통화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상기 기지국(31, 32)에는 컨텐츠 서버(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4)는 기지국(31,32)에서 발호 처리가 개시된 때, 그러한 통지를 기지국(31,32)으로부터 받아, 발신측의 단말기(여기서는 통신 단말1)에 대해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한다.
(컨텐츠 서버의 구성)
도 2는 상기 컨텐츠 서버(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서버(4)는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와,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저장하는 테이블 데이터 저장부(5)를 구비하고 있다.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는, 사용자가 구입 혹은 업로드한 동화상이나 정지화상, 음성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며, 각 컨텐츠 데이터에는 "C-1" 등의 컨텐츠 ID가 부여된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는 컨텐츠 서버(4)내의 컨텐츠 관리부(411)에 의해 데이터의 독출 및 기록이 이루어진다.
테이블 데이터 저장부(5)는 각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전화번호나 IP 어드레스 등)와 컨텐츠 데이터를 관련 짓는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저장하고, 컨텐츠 서버(4)의 테이블 데이터 참조부(410)의 요구에 따라 참조된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 등록부(409)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의 신규 등록이나 갱신을 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장치이다.
컨텐츠 관리부(411)는 테이블 데이터 참조부(410)나 컨텐츠 판매부(406), 사용자 관리부(405)의 지시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와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 이터의 독출이나 기록을 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테이블 데이터 저장부(5)에 저장되는 테이블 데이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여기서는 통신 단말2)의 전화번호나 IP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상위 테이블 데이터(T1)와, 각 사용자의 레코드에 대응하여, 발호측 번호나 지정시간, 및 컨텐츠 ID를 등록하는 하위 테이블 데이터(T2)로 구성된다. 하위 테이블 데이터(T2)에 있어서, 발호측의 전화번호마다 컨텐츠 ID를 등록함으로써, 발호측의 전화번호마다 다른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더욱이 지정 시간을 등록함으로써 시간대에 따라 다른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테이블 데이터 참조부(410)는, 단말 식별자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테이블 데이터(T1, T2)를 참조하고, 참조 결과를 컨텐츠 관리부(411)에 출력하고, 착호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부(411)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에서 취득시켜, 컨텐츠 송출부(408)에 송출시킨다.
데이터 등록부(409)는 테이블 데이터(T1, T2)상에 레코드를 신규로 추가하거나, 이미 등록된 레코드를 갱신하는 모듈이며, 컨텐츠 판매부(406)에서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나 업로드부(407)에서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등록부(409)는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T1, T2)에 등록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4)는, 각 기지국(32,32)에 대 해 컨텐츠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401)와, 통신 단말의 식별자를 취득하는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와, 단말 식별자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403)를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01)는, 기지국(31,32)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로 송출하는 모듈이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401)에는 업 로드부(407)나 컨텐츠 송출부(408)가 접속되며, 컨텐츠 송출부(408)에 의한 컨텐츠의 배신(配信)이나 업로드부(407)에 의한 컨텐츠의 업로드시에 각 단말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는 발호 처리시에 발호측의 무선 기지국(여기서는 기지국(31))에서 발호측(여기서는 통신 단말(1)) 및 착호측(여기서는 통신 단말(2))의 식별자인 발호측 식별자 및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는 모듈이다. 또한,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는, 컨텐츠 판매나 컨텐츠의 업로드, 테이블 데이터로의 등록·갱신시에도 액세스(access)한 단말의 식별자를 취득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에서 취득된 단말 식별자는 인증부(403)에 송출된다.
인증부(403)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억하고,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에서 취득된 식별자에 따라 사용자 인식을 행하며, 컨텐츠의 배신이나 구입·업로드 등의 허가를 행한다. 상기 인증부(403)에 의한 인증 결과는 사용자 관리부(405)에 송출된다. 사용자 관리부(405)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관리하는 모듈이며, 상기 서비스 이용 이력에 따라 과금부(404)에 과금시킨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405)는 테이블 데이터 저장부(5)에서의 데이터 관리나 컨텐츠 관리부(411)에서의 컨텐츠의 입출을 관리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컨텐츠 송출부(408)는, 컨텐츠 관리부(411)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에서 읽어낸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401)를 통해 송출하는 모듈이다. 업로드부(407)는, 통신 인터페이스(401)를 통해 통신 단말에서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부(411)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6)에 저장하는 모듈이다. 데이터 등록부(409)는, 상기 업로드부(407)에서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T2)에 등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4)는, 컨텐츠 송출부(408)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를 계측하고, 송출 빈도에 따라 이용자에게 과금을 행하는 과금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과금부(404)는 사용자 관리부(405)에 접속되며, 사용자 관리부(405)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거나, 판매된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산출한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4)는, 통신 단말(여기서는 통신 단말(2))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부(40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판매부(406)는, 통신 단말로부터 구입 요구를 접수하여, 그 요구에 따라 데이터 등록부(409)에,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테이블 데이터(T2)에 등록시킨다.
(통신 단말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단말(1 및 2)은 공통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동 도에 있어서 통신 단말(1 및 2)은 동화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하는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17)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8)와, 음성을 취득하여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마이크(19)와, 키패드 등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 단말(1 및 2)은 신호 처리부(16) 및 컨텐츠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16)는 마이크(19)나 조작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 등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접속 처리부(14)나 컨텐츠 취득부(12)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컨텐츠 출력부는 신호 처리부(16)에 의해 변환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17)나 스피커(18)에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추가로, 통신 단말(1 및 2)은 송수신부(11)와 컨텐츠 취득부(12)와, 접속 처리부(14)와 병행 처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부(11)는 소정의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31이나32)에 대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모듈이며, 상기 송수신부(11)를 통해 음성 통화나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행한다. 컨텐츠 취득부(12)는 송수신부(11)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모듈이며, 상기 컨텐츠 취득부(12)에서 다운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는 신호 처리부(16)에 의해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17)나 스피커(18)에서 출력된다. 접속 처리부(14)는 자기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 자인 전화번호나 IP 어드레스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발호처리시에 자기의 단말 식별자를 송수신부(11)를 통해 기지국(31이나32)에 송출하고, 통신 상대의 단말과 통신을 확립시키는 모듈이다.
병행 처리부(13)는 발호 처리시에 접속 처리부(14)의 동작과 컨텐츠 취득부(12)의 동작을 병행시켜 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접속 처리부(14)에 의한 발호 처리 및 통신 확립을 위한 처리와 동시에, 컨텐츠 취득부(12)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고, 발호 처리로 통신 상대를 호출하고 있는 동안에 컨텐츠 서버(4)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디스플레이(17)나 스피커(18)에서 출력한다.
(발호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발호 처리 방법)
이상 설명한 발호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발호 처리 방법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통신 단말(1)에서 통신 단말(2)에 대해 발호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1)에 "090-yyyy-yyyy" 가 부여되고, 통신 단말(2)에 "090-xxxx-xxxx" 가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통신 단말(1)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호 처리가 개시된다. 상기 발호 처리에서는 접속 처리부(14)에 의해 통신 단말(1)의 식별자인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통신 단말(2)의 식별자인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발호측 기지국인 기지국(31)에 발호 신호로서 송신한다.
기지국(31)에서는 수신한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착호측 기지국인 기지국(32)에 전송하고, 기지국(32)에서 통신 단말(2)의 호출을 개시한다(S101 및 S109).
또한, 발호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31)은, 발호 신호에 포함된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컨텐츠 서버(4)에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4)에서는, 상기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수신하고,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참조한다(S102~S105).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서버(4)에서,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에 의해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취득하고, 취득한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에 따라 인증부(403)에 의해 인증하고, 통신 단말(2)이 해당 발호 처리 서비스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 관리부(405) 및 테이블 데이터 참조부(410)에 의해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에 관련된 컨텐츠 ID를 읽어낸다.
상기 테이블 데이터의 참조에 관해 상술하면, 우선, 착호측 번호 "090-xxxx-xxxx" 에 따라 상위 테이블 데이터(T1)를 참조하고, 착호측 번호 "090-xxxx-xxxx" 과 일치하는 레코드를 추출하고 추가로 추출된 레코드에 대응된 하위 테이블 데이터(T2)에 있어서,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추출하여 컨텐츠 ID를 선택한다.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와 일치하는 레코드가 없는 경우, 디폴트로서 "everyone" 에 대응된 컨텐츠 ID를 선택하고, 일치하는 레 코드가 있는 경우는, 지정 시간 등의 부가적인 추출 조건이 있는지 없는지를 참조하여, 레코드의 추출을 계속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된 컨텐츠 ID를 컨텐츠 관리부(411)에 출력하고, 컨텐츠 관리부(411)에서 컨텐츠 ID에 일치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낸다.
이어서, 컨텐츠 관리부(411)에 의해 읽혀진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송출부(408)에 의해 송출한다(S106).
컨텐츠 서버(4)에서 송출된 컨텐츠 데이터는 기지국(31)을 통해 통신 단말(1)에서 수신된다(S107). 통신 단말(1)에서는, 접속 처리부(14)에 의한 발호 처리와 컨텐츠 취득부(12)에 의한 컨텐츠 취득 처리가 병행 처리부(13)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며, 통신 단말(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S110)까지,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디스플레이(17)에 의한 영상 표시 및 스피커(18)에 의한 음성 출력)이 이루어진다(S108).
(발호 처리 시스템 및 발호 처리 방법에 의한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시스템 및 발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통신 단말(1)에서 발호 처리를 개시하고, 통신 단말(2)와의 접속 처리가 확립되기 전의 단계부터, 통신 단말(1)에 통신 단말(2)의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동화 등의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단말(2)가 전파가 미치지 않는 장소나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로밍 등에 의해 신속한 호출 처리를 개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통신 단말(1)로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블 데이터(T1 및 T2)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에 대 해 통신 단말(2)를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가 추가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발호측 식별자에 따라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참조하여, 컨텐츠를 계속 출력할 수 있으므로, 발호측의 단말마다 다른 컨텐츠를 출력 표시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금부(404)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를 계측하고, 송출 빈도에 따라 통신 단말(2)의 이용자에게 과금을 행할 수 있으므로, 해당 발호 처리 서비스의 이용 빈도에 따라 착호측의 서버로부터 컨텐츠 사용량을 징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 판매부(406)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를 판매하고, 상기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테이블 데이터(T1 및 T2)에 등록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서버(4)상에서 구입한 컨텐츠를 그대로 발호 처리용 컨텐츠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데이터의 업로드 등을 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업로드부(407)에 의해 통신 단말(2)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2)로부터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테이블 데이터(T1 및 T2)에 등록하기 때문에, 착호측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통신 단말(2)에 장비된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컨텐츠를 발호 처리용 컨텐츠로서 업로드하여 사용자 독자의 착호 대응이 가능해지는 등, 컨텐츠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호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방식이 소위 IP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1)과 통신 단말(2)가 VOIP 기술을 이용한 IP 패킷 통신에 의해 통화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31 및 32)이 게이트웨이(71,72)를 통해 IP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으며, IP네트워크(7)상에 상술한 컨텐츠 서버(4)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IP 전화통신을 확립시키기 위한 접속 서버(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서버(8)는, 각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와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키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전화 번호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취득한 전화번호에서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참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단말(1 및 2)에는, 그 단말 식별자로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에 따라, 통신 단말(1 및 2)은 음성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서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접속 서버(8)에 구비된 VOIP 중계부를 통해 IP 패킷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컨텐츠 서버(4)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는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를 IP 어드레스 "x.x.x.x" 및 "y.y.y.y" 로서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송출부(408)는 컨텐츠 데이터를 IP 패킷으 로 하여 발호측의 IP 어드레스 "y.y.y.y" 로 송출한다.
이상의 특징을 갖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발호 처리 방법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행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우선, 통신 단말(1)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호 처리가 개시된다. 상기 발호 처리에서는 접속 처리부(14)에 의해 통신 단말(1)의 식별자인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통신 단말(2)의 식별자인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발호측 기지국인 기지국(31)에 발호 신호로서 송신한다.
기지국(31)에서는 수신한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및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를 게이트웨이(71)를 통해 접속 서버(8)에 송신한다(S201).
접속 서버(8)에서는, 착호측 전화번호 "090-xxxx-xxxx" 에 따라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고, 통신 단말(2)의 IP 어드레스 "xxxx" 를 취득함과 동시에, 발호측 전화번호 "090-yyyy-yyyy" 에 따라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고, 통신 단말(1)의 IP 어드레스 "y.y.y.y" 를 취득한다. 접속 서버(8)는, 이들 IP 어드레스 "x.x.x.x" 및 "y.y.y.y" 에 따라 IP 패킷을 중계하고, 기지국(32)을 통해 통신 단말(2)의 호출을 개시한다(S203 및 S211).
또한, 접속 서버(8)에서는, 발호측 IP 어드레스 "y.y.y.y" 및 착호측 IP 어드레스 "x.x.x.x" 를 컨텐츠 서버(4)로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4)에서는 상기 발호측 IP 어드레스 "y.y.y.y" 착호측 IP 어드레스 "x.x.x.x" 를 수신하고, 테이블 데이터(T1 및 T2)를 참조한다(S205~S207).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서버(4)에 있어서, 단말 식별자 취득부(402)에 의해 발호측 IP 어드레스 "y.y.y.y" 및 착호측 IP 어드레스 "x.x.x.x" 를 취득하고, 취득한 착호측 IP 어드레스 "x.x.x.x" 에 따라 인증부(403)에 의해 인증하고, 통신 단말(2)이 해당 발호 처리 서비스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 관리부(405) 및 테이블 데이터 참조부(410)에 의해 발호측 IP 어드레스 "y.y.y.y" 및 착호측 IP 어드레스 "x.x.x.x" 에 관련된 컨텐츠 ID를 읽어낸다.
이어서, 컨텐츠 관리부(411)에 의해 읽혀진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송출부(408)에 의해 송출한다(S209).
컨텐츠 서버(4)에서 송출된 컨텐츠 데이터는 기지국(31)을 통해 통신 단말(1)에서 수신되고, 접속 처리부(14)에 의한 발호 처리와 컨텐츠 취득부(12)에 의한 컨텐츠 취득 처리가 병행 처리부(13)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며, 통신 단말(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S212)될 때까지,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디스플레이(17)에 의한 영상 표시 및 스피커(18)에 의한 음성 출력)이 이루어진다(S210).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호 처리 시스템 및 발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발호 처리 서비스를, 이를테면 인터넷 전화에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인터넷 전화에 대한 접속 처리에 따라 통신 상대의 호출이 지연되는 경우라도 신속하게 발호측 단말에 컨텐츠를 출력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착신측의 수신 상황이나 사용 상태에 관계 없이, 발 신측의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처리 동안에 착신측의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발신측의 단말기에 출력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해 발호 처리를 실행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으로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와 컨텐츠 데이터를 관련짓는 테이블 데이터와,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한 발호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는 단말 식별자 취득부와,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착호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송출하는 컨텐츠 송출부와,
    송출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발호 처리 동안 상기 제 1 통신 단말측에 서 출력 표시시키는 발호측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가 추가로 관련 지어지고,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는, 상기 발호 신호에 따라 발호에 관한 제 1 통신 단말의 발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송출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송출부에 의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를 계측하고, 상기 송출 빈도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이용자에게 과금을 행하는 과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판매하는 컨텐츠 판매부와,
    상기 컨텐츠 판매부에서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상기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는 업로드부와,
    상기 업로드부에서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상기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등록부는,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와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키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여 취득한 전화번호에서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참조부와,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 및 제 2 통신 단말간에서 중계하는 VOIP 중계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착호측 식별자는, 제 2 통신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는, 제 1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는, 상기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를 IP 어드레스로서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송출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하여 발호측의 상기 IP 어드레스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시스템.
  8.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해 발호하는 통신 서버로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와,
    상기 제 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와 컨텐츠 데이터를 관련짓는 테이블 데이터와,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한 발호 신호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의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는 단말 식별자 취득부와,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착호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컨텐츠 송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가 추가로 관련지어지고,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는 상기 발호 신호에 따라 발호에 관한 제 1 통신 단말의 발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송출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키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여 취득한 전화번호에서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참조부와,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 및 제 2 통신 단말간에서 중계하는 VOIP 중계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착호측 식별자는 제 2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는 제 1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상기 단말 식별자 취득부는 상기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를 IP 어드레스로서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송출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하여 발호측의 상기 IP 어드레스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1. 발호 처리시에, 착호측의 다른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를 송출하고, 상기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취득하는 동화상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발호 처리 동안 출력 표시시키는 발호측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2.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해 발호를 실행할 때의 발호 처리 방법으로서,
    (1)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단말에 대한 발호 신호에 따라, 제 2 통신 단말의 착호측 식별자를 취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착호측 식별자와 컨텐츠 데이터를 관련 짓는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착호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및,
    (3) 송출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발호 처리 동안 상기 제 1 통신 단말측에서 출력 표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가 추가로 관련지어지고,
    상기 단계(1)에서는 상기 발호 신호에 따라 발호에 관한 제 1 통신 단말의 발호측 식별자를 취득하고,
    상기 단계(2)에서는 상기 단계(1)에 의해 취득된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축적부에서 취득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송출 빈도를 계측하고, 상기 송출 빈도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이용자에게 과금을 행하는 단계(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 선행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판매하고, 상기 판매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상기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 선행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에서 컨텐츠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를 신규 컨텐츠 데이터로 하여, 상기 착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에 관련지어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호측 식별자는 제 2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발호측인 제 1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발호측 식별자는 제 1 통신 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및 IP 어드레스이며,
    상기 단계(1)에 선행하여,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키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참조하여 취득한 전화번호에서 IP 어드레스를 취득함과 동시에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 및 제 2 통신 단말간에서 중계하고,
    상기 단계(1)에서는 상기 착호측 식별자 및 발호측 식별자를 IP 어드레스로 하여 취득하고,
    상기 단계(2)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하여 발호측의 상기 IP 어드레스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호 처리 방법.
KR1020067019224A 2004-02-19 2005-02-18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방법 KR200700100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3618 2004-02-19
JPJP-P-2004-00043618 2004-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007A true KR20070010007A (ko) 2007-01-19

Family

ID=3487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224A KR20070010007A (ko) 2004-02-19 2005-02-18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49371A1 (ko)
EP (1) EP1720268A1 (ko)
JP (1) JPWO2005081429A1 (ko)
KR (1) KR20070010007A (ko)
CN (1) CN1922804A (ko)
RU (1) RU2006133382A (ko)
TW (1) TW200541308A (ko)
WO (1) WO2005081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7912B2 (en) 2006-03-13 2013-07-02 Alcatel Lucent Content sharing through multimedia ringback tones
JP2007274365A (ja) * 2006-03-31 2007-10-18 Kyocera Mita Corp 通信装置
JP4943197B2 (ja) * 2007-03-19 2012-05-30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Web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202059A1 (en) * 2008-02-12 2009-08-13 Ranjan Sharma Memo Service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4993918A (zh) * 2008-03-05 2015-10-21 Idtp控股公司 一种由无线站执行的方法以及无线站
WO2012116613A1 (zh) * 2011-03-01 2012-09-0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通知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3116971A1 (en) * 2012-02-06 2013-08-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a network node involved in handling of call connections, whereby mutual call connection requests are receive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72289T1 (de) * 1999-07-19 2004-08-15 Ringfree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rückruftons bestehend aus sprache/text/bild kommerzielle information im wartezustand einer kommunikation
JP2002163386A (ja) * 2000-11-29 2002-06-07 Sony Corp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3766279B2 (ja) * 2001-02-09 2006-04-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顧客サポート実施方法、情報提供方法、広告提供方法および情報登録方法
JP3883104B2 (ja) * 2001-08-06 2007-0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JP3857907B2 (ja) * 2001-11-13 2006-1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挿入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挿入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
JP2003274016A (ja) * 2002-03-19 2003-09-26 Hideo Matsuo 回線交換装置、リングバックトーン管理システム、及び該リングバックトーン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2804A (zh) 2007-02-28
JPWO2005081429A1 (ja) 2007-10-25
US20070249371A1 (en) 2007-10-25
EP1720268A1 (en) 2006-11-08
TW200541308A (en) 2005-12-16
RU2006133382A (ru) 2008-03-27
WO2005081429A1 (ja)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9424C2 (ru) Видео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телевизионная абонентская приставка и способ виде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US8379073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of video telephony call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CN101180876B (zh) 用于通信系统的电子设备
KR20070010007A (ko) 발호 처리 시스템, 통신 서버, 통신 단말 및 발호 처리방법
US20060258388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CN110896521A (zh) 数据处理方法、可穿戴智能设备以及智能终端
JP412090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端末機器、情報管理方法及び端末機器の登録方法
KR100979393B1 (ko) 발/착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101207A (ja) 通信端末、その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6645608B1 (ja) 電話端末、内線電話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付きドアホンからの着信通知方法
JP2006222856A (ja) 音声通信システム
KR100646061B1 (ko) 이동전화에서 통화중 영상촬영 및 전송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30081593A1 (en) Method for charging internet phone network
JP4120907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84041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정지 영상 서비스 방법
JP3972024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ゲートキーパ装置
JP2004289669A (ja) 画像配信カメラ及び画像配信カメラの設定制御方法
EP2461557A1 (en) Private branch exchange
JP2002152249A (ja) 接続方法および電話装置
JP2002171363A (ja) 電話システム
JP2004015794A (ja) 異種端末間通信方式
WO2007004646A1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KR100458456B1 (ko)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