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456B1 -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456B1
KR100458456B1 KR10-2004-0034021A KR20040034021A KR100458456B1 KR 100458456 B1 KR100458456 B1 KR 100458456B1 KR 20040034021 A KR20040034021 A KR 20040034021A KR 100458456 B1 KR100458456 B1 KR 10045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er
call
called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제
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티엔씨테크날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씨테크날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엔씨테크날로지
Priority to KR10-2004-003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456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사용자로 등록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에 있어서, 등록 사용자에 관한 신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로부터 착신자의 착신 번호를 수신해 상기 착신 번호에 접속하고, 상기 착신자의 해당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전송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전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번호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계속적으로 타인과 통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Caller's Number Request system and the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이동전화 서비스를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존 이동 전화번호를 유지하여 계속적으로 타인과 통신할 수 있는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CID)는 발신한 단말기의 번호를 수신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신자가 발신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단말기에 발신자의 연락처가 기록되므로 별도로 연락처를 기록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이때 수신자의 단말기에 번호가 표시되는 발신 단말기는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통신 사업자에 가입된 고유 번호를 가진 단말기로 한정되며, 고유 번호를 가지지 않은 공중전화, 구내 통신등의 경우에는 발신자의 번호가 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신자가 공중전화, 구내 통신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신원 파악이 어렵고, 발신자의 연락처를 별도로 기록해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사업자의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가입자가 자신의 사용하였던 전화번호를 계속 유지하는 서비스로 단지 제공되는 서비스는 변경된 전화번호를 통보하는 서비스이다. 물론 기술적으로 본 전화번호에 대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을 연결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한 사람이나 상기 가입자가 음성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기거나, 남겨진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는 동전이나 전화카드가 없을 때 수신자가 요금을 부담케하는 서비스로 시내, 시외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를 이용하면 콜렉트콜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상기의 콜렉트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발신자는 유선전화 또는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사에 전화를 한다. 그 후 음성안내에 따라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교환을 거쳐 수신자의 단말(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로 연결된다.
이때, 수신자는 발신자의 신원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 상대적으로 요금 수수료가 저렴한 국내 전화의 경우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었고, 해외 전화의 경우에는 교환을 통해 발신자의 신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따라서 국내 전화의 경우 수신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불편 및 해외 전화의 경우 추가적인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존 이동 전화번호를 유지하여 계속적으로 타인과 통신할 수 있는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등록 모듈 20: 인증 모듈
30: 접속 모듈 40: 음성사서함 모듈
60: 저장부 62: 사용자 DB
64: 접속대기자 DB
100: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200: 이동 통신망 300: 유선 전화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사용자로 등록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에 있어서, 등록 사용자에 관한 신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로부터 착신자의 착신 번호를 수신해 상기 착신 번호에 접속하고, 상기 착신자의 해당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전송하는 접속 모듈; 상기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신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유효한 사용자로 등록시키는 등록 모듈; 상기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음성사서함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번호 지정 서비스 방법은 (a)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등록 사용자에 관한 신상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가 특정번호(Access 번호)로 전화하면 발신자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유효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사용자가 등록된 유효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착신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의 호를 착신자에게 연결하며, 착신자의 단말에 상기 사용자 이동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e)발신자와 착신자중 어느 누구로부터 종료신호가 송출되면 호는 자동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착신 번호 입력, 대기 등을 지시하는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유효사용자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통화연결 선택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연결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착신번호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착신 번호 입력, 대기 등을 지시하는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200) 및 유선전화망(300)과 연결되고, 등록 모듈(10), 인증 모듈(20), 접속 모듈(30), 음성사서함 모듈(40)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부(50)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2)와 접속대기자 데이터베이스(64)를 포함하는 저장부(6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이동통신망(200)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즉 셀룰러폰 사업자, 개인휴대통신(PCS)사업자, 주파수 공용통신(TRS) 사업자 등을 총칭하고, 상기 유선전화망(300)은 시내,시외,국제 전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의 프로세스부(50)는 일반적인 CTI교환기 구성에 따르며 저장부(60)는 상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된다.
본 발명은 군입대 등의 사유로 이동통신 가입자가 해당 서비스를 더 이상 받을 수 없을 때에도 기존 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타인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2)에 등록해야 한다. 이 때, 사용자는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등록 모듈(10)을 통해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2)에 직접 등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에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의 등록 의사를 표명하면, 이동 통신사에서 해당되는 가입자의 신상정보 및 이동통신 번호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본 시스템의 등록 모듈(10)에 전송하여 일괄적으로 사용자 등록이 이뤄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사 이외의 서비스 제휴 업체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전송받아 사용자 등록이 이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이 때 본 발신자가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 등록의사를 표명한 가입자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상기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연결 요청이 있을 시, 이동전화 통신망의 자동 호 전환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번호 지정 시스템의 접속모듈로 호 전환이 이루어 지도록 호 전환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에 알려진 호 전환 기술로써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을 다른 단말기로 연결시킴으로써 또는 음성사서함과 같은 부가서비스 장비로 호 전환 연결하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등록한 사용자는 유선 전화망(300)을 이용하여 특정 전화번호(Access 번호,예를들면 1588-0000)로 전화를 한 후,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 접속된다. 먼저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치는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2)와 연계된 인증 모듈(20)에서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인지 인증하게 되고, 유효한 사용자임이 인증되면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효한 사용자임이 인증된 경우, 음성사서함 모듈(40)은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중의 하나인 단문메시지를 접속 모듈(30)을 통해 보낸다. 이 때, 단문 메세지 외에 착신자와의 직접 통화 또는 음성 메세지 등의 여러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직접 통화 또는 메세지 송출시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2)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이동전화 번호를 독출하여 그 이동전화 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을 이용해 상대방에서 전화를 하고, 접속 모듈(30)에 의해 통화를 대기중인 상태에서는 접속대기자 데이터베이스(64)에 사용자(발신자)의 이동전화 번호와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착신자가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통해 발신자를 인식하고, 착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send)버튼을 눌러 표시된 발신자 번호로 전화를 하면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한 서비스를 하는 전화사업자에게 연결된 후, 이미 등록된 호 전환기능에 의하여 발신자 지정시스템의 접속모듈로 호 전환시키면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의 접속모듈(30)이 접속대기자 데이터베이스(64)로부터 사용자가 발신한 착신번호를 독출하고, 이를 착신자가 발신한 발신번호와 비교해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일치할 때, 대기 상태인 사용자와 착신자를 연결시켜 새로운 통화를 생성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휴지 상태의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기존 이동통신번호로 발신자 번호의 지정이 가능하며, 또한 착신자의 콜백 기능에 의해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에서 새로운 통화를 연결해줌으로써 발신자가 기존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해 착신자와 통화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지정 시스템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불특정 다수의 서비스 가입자가 특정번호(Access 번호)로 전화하면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안내메시지가 송출되며(s510),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입력하게 된다(s520).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인증 모듈(20)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된 유효 사용자인지 판단한 후(s530), 유효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530의 'N')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불가메시지와 종료메시지를 송출하여 자동해제 시킨다(s590).
한편, 인증과정에서 유효 사용자로 판단되면(s530의 'Y')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통화연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 입력을 기다린다(s540). 만약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선택하지 않으면 (s540의 'N') 음성사서함 모드(s545)로 서비스가 진행되며(S545), 통화연결을 선택할 경우(s540의 'Y') 착신번호 입력을 기다린다(s550). 이 때,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s550의 'N')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종료메시지와 종료신호를 송출하여 호를 자동해제 시킨다(s590).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착신자의 번호가 수신되면(s550의 'Y')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서비스 중 하나인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자에게 통화의사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이용하여 착신자에게 통화의사를 알리고 사용자는 대기하게 된다(S560). 이 과정에서 착신자의 단말에는 사용자가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 등록한 자신의 이동전화번호가 표시된다.
한편, 통화의사를 발신한 후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착신자의 발신 호를 기다리게 되는데(s560), 기 설정된 시간동안 착신자로부터 발신 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560의 'N') 그에 상응하는 종료메시지와 종료신호를 발신자에 송신하고 호를 자동 해제 시키며(s590),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발신호가 수신되면(s560의 'Y') 발신자의 호와 착신자의 발신 호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s570). 다만, 발신자와 착신자중 어느 누구로부터 종료신호가 송출되면(s590) 호는 자동 해제된다.
상기의 설명 중 음성 사서함 모드(s545)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내용과 거의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들 녹음 서비스의 수행(음성사서함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지정 시스템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착신자와 발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도 2와는 달리, 발신자가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바로 착신자에게 호를 연결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불특정 다수의 서비스 가입자가 특정번호(Access 번호)로 전화하면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안내메시지가 송출되며(s610),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입력하게 된다(s620).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인증 모듈(20)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된 유효 사용자인지 판단한 후(s630), 유효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630의 'N')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종료메시지와 종료신호를 송출하여 자동해제 시킨다(s690).
한편, 인증과정에서 유효 사용자로 판단되면(s630의 'Y')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통화연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 입력을 기다린다(640). 만약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선택하지 않으면 (s640의 'N') 음성사서함 모드(s645)로 서비스가 진행되며, 통화연결을 선택할 경우(s640의 'Y') 착신번호 입력을 기다린다(s650). 이 때,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s650의 'N')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종료메시지와 종료신호를 송출하여 호를 자동해제 시킨다(s690).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착신자의 번호가 수신되면(s650의 'Y')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은 단문메시지, 음성메시지가 아니라 접속 모듈(30)을 통해 발신자의 호를 착신자에게 연결한다. 이 때, 착신자의 단말기에는 발신자가 본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100)에 등록한 이동전화 번호가 표시된다. 발신자는 착신자의 발신 호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통화를 하게 되고(s670), 발신자와 착신자중 어느 누구로부터 종료신호가 송출되면(s690) 호는 자동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특정 사유에 의하여 해당 서비스를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전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번호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계속적으로 타인과 통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특정 사유가 해소될 경우 재가입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등록 사용자에 관한 신상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가 특정번호(Access 번호)로 전화하면 발신자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유효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사용자가 등록된 유효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착신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의 호를 착신자에게 연결하며, 착신자의 단말에 상기 사용자 이동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e)발신자와 착신자중 어느 누구로부터 종료신호가 송출되면 호는 자동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착신 번호 입력, 대기 등을 지시하는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서비스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유효사용자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통화연결 선택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연결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착신번호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착신 번호 입력, 대기 등을 지시하는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지정 서비스 방법.
KR10-2004-0034021A 2004-05-13 2004-05-13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45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21A KR100458456B1 (ko) 2004-05-13 2004-05-13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21A KR100458456B1 (ko) 2004-05-13 2004-05-13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2158A Division KR100458455B1 (ko) 2003-09-05 2003-09-05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456B1 true KR100458456B1 (ko) 2004-11-26

Family

ID=4951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21A KR100458456B1 (ko) 2004-05-13 2004-05-13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4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357B1 (en) System and method of registering the identity of a telephon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ty of a computer terminal
KR100303990B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KR100458456B1 (ko)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458455B1 (ko)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2000312258A (ja) 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H11275236A (ja) 通信システム
KR10049200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공중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0605833B1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메시지 데이터 서버, 응답 서비스 센터 및 전화기
JP3266196B2 (ja) 電話加入者情報通知サービス方式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88975A (ko) 개인비서 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64976B1 (ko) 사서함 직접 접속 서비스 방법
KR100545081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위한 원격 구내 교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집단고객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30043888A (ko) PSTN 겸용 VoIP전화를 이용한 VoIP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100924423B1 (ko) 발신번호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10045535A (ko) 발신 가입자 정보 표시 방지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177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341510B1 (ko) 사설용 무선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6070A (ko)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36091A (ja) 電話接続サービス装置
KR20050026678A (ko) 수신자단말기의 상태정보의 제공기능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그리고, 수신자단말기의 상태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286697B1 (ko) 무선호출교환장치및이를이용한음성통화방법
KR101106326B1 (ko)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칭된 서브 착신 단말기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