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621A -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621A
KR20070003621A KR1020060059192A KR20060059192A KR20070003621A KR 20070003621 A KR20070003621 A KR 20070003621A KR 1020060059192 A KR1020060059192 A KR 1020060059192A KR 20060059192 A KR20060059192 A KR 20060059192A KR 20070003621 A KR20070003621 A KR 2007000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tream
audio
decod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0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정보 재생 장치는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1, 2)이 입력되는 입력 유닛(261, 262)과; 입력된 복수의 스트림(1, 2)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선택하는 선택 유닛(17, 21, 23)과;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을 마스터로서 이용하여, 선택 스트림의 음성 및 비선택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 재생하는 동기 재생 유닛(27 내지 4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상세한 디코딩 처리 유닛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럭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스트림이 전환되는 경우의 예시적인 표시 영상을 각각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동기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주스트림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예컨대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광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단일 스트림을 판독하고 그 스트림을 재생하는 축적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미리 설정된 STC(system time c1ock)를 마스터로서 사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동기시켜 재생하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는, 각각이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입력 가능하게 하여, 그 입력된 각 스트림으로부터 선택된 주스트림의 영상 및 음성에 대하여, 다른 스트림의 영상 및 음성의 동기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재생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다른 스트림을 동기시키는 주스트림에 따라서 마스터 역할을 하는 STC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표시되는 주스트림의 영상이 스킵되거나 또는 음성이 끊기기도 하여,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81445호 공보에는 다음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그 구성에 따르면, 영상 및 음성의 각 디코딩된 데이터의 재생 시각 관리 정보(PTS)를 미리 설정된 STC와 비교하여 동기 및 비동기 상태를 검출하고, 동기 상태에서는 디코딩 허가를 전송하고, 비동기 상태에서는 디코딩 불허가를 디코딩 처리부에 전송한다. 그럼으로써, 전송로 오류에 기인한 영상과 음성 간의 동기 어긋남이나 재생 도중의 끊김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 및 다른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및 음성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복수의 스트림의 동기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에 입력된 복수의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을 마스터로서 이용하여, 그 선택된 스트림의 영상 및 비선택된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동기 재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정보 재생 방법은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의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선택하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을 마스터로서 이용하여, 그 선택된 스트림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 재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정보 재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상세하게는, 정보 재생 장치(11)는 복수의 입력 단자(121 내지 12n)를 갖추고 있다.
입력 단자(121 내지 12n)에는, 예컨대, DVD 등의 저장 매체로부터 재생된 스트림, 방송을 수신하여 얻은 스트림, 네트워크를 통해 얻은 스트림과 같은,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스트림이 입력된다.
입력 단자(121 내지 12n)에 입력된 스트림은, 각각 데이터 처리 유닛(131 내지 13n)에 공급되어, 포멧 조정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하여, 이후 처리된 스트림을 디코딩 처리 유닛(14)에 공급한다.
디코딩 처리 유닛(14)은 입력된 각각의 스트림을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이후, 디코딩 처리 유닛(14)은 분리된 각각의 영상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 유닛(15)에 출력한다.
영상 처리 유닛(15)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영상 표시 형태에 따라 입력된 영상 신호와 조합하고, 조합된 영상 신호와 출력 단자(16)를 통해 외부의 영상 표시 유닛(17)에 공급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디코딩 처리 유닛(14)은 분리된 각각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하여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 유닛(18)에 출력한다. 음성 처리 유닛(18)은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음성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음성 신호를 출력 단자(19)를 통해 외부 스피커(20)에 공급함으로써, 음성을 재생한다.
정보 재생 장치(11)에서, 상기한 각종 재생 동작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동작은 제어 유닛(21)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된다. 제어 유닛(2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등을 내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 유닛(21)은 조작 유닛(22)으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하거나, 원격 제어부(23)로부터 송신된 동작 정보를 수광 유닛(24)을 통해 수신하고, 그럼으로써, 조작 내용이 반영되도록 각 유닛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서, 제어 유닛(21)은 메모리 유닛(25)을 사용한다. 이 메모리 유 닛(25)은 그 CPU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과; 해당 CPU에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각종 설정 정보 및 제어 정보 등이 저장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디코딩 처리 유닛(14)의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간략히 하기 위해, 도 2의 디코딩 처리 유닛(14)은 2개의 스트림이 입력가능한 것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코딩 처리 유닛(14)은 제1 입력 단자(261)와 제2 입력 단자(262)를 갖고 있다.
제1 입력 단자(261)와 제2 입력 단자(262)에 각각 입력되는 스트림 1과 스트림 2는 디멀티플렉서(27)에 공급되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된다. 디멀티플렉서(27)는, 이들 신호의 재생 시각을 관리하는 정보인 PTS(presentation time stamp)를 부가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형식으로, 스트림 1과 스트림 2로부터 분리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 중에서, 스트림1로부터 분리된 영상 신호가 입력 버퍼(28)를 통해 영상 디코더(29)로 공급되고, 그럼으로써 영상 신호의 디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이후, 영상 디코더(29)는 STC 발생 유닛(30)으로부터 시스템 관리를 위해 재생되는 시각 정보인 STC와 PES 형식의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PTS를 비교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후 영상 디코더(29)는 출력 단자(31)를 통해 영상 처리 유닛(15)에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스트림 1로부터 분리된 음성 신호는 입력 버퍼(32)를 통해 음성 디코더(33)에 공급되고, 이 음성 신호의 디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이후, 음성 디코더(33)는 STC 발생 유닛(34)으로부터 출력되는 STC와 PES 형식의 입력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PTS를 비교하여,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후 음성 디코더(33)는 음성 신호를 출력 단자(35)를 통해 음성 처리 유닛(18)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33)에 의해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PTS와 STC 발생 유닛(34)으로부터 출력되는 STC는 차분 연산 유닛(36)에 공급되어, PTS와 STC 간의 차분 Δstc1이 연산된다. 차분 Δstc1은 디멀티플렉서(27)에 내장된 선택기(37) 중 하나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스트림 2로부터 분리되는 영상 신호는 입력 버퍼(38)를 통해 영상 디코더(39)로 공급되어, 영상 신호의 디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이후, 영상 디코더(39)는 STC 발생 유닛(40)으로부터 출력된 STC와 PES 형식의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PTS를 비교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후 영상 디코더(39)는 영상 신호를 출력 단자(41)를 통해 영상 처리 유닛(15)에 출력한다.
스트림 2로부터 분리된 음성 신호는 입력 버퍼(42)를 통해 음성 디코더(43)에 공급되어, 음성 신호의 디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이후, 음성 디코더(43)는 STC 발생부(44)로부터 출력된 STC와 PES 형식의 입력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PTS를 비교하여,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후 음성 디코더(43)는 음성 신호를 출력 단자(45)를 통해 음성 처리 유닛(18)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43)에 의해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PTS 및 STC 발생 유닛(34)으로부터 출력되는 STC는 차분 연산 유닛(36)에 공급되어, PTS와 STC 사이의 차분 Δstc2를 연산한다. 차분 Δstc2는 디멀티플렉서(27)에 내장된 선택기(37) 중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제어 단부(47)를 통해 제어부(21)로부터 공급되는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기(37)는 2개의 입력단에 공급된 차분 Δstc1, Δstc2 중 어느 하나를 STC 발생 유닛(30, 34, 40, 44) 각각에 공급한다.
STC 발생 유닛(30, 34, 40, 44)은 각각, 선택기(37)로부터 공급되는 차분 Δstc1, Δstc2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자체로부터 발생되는 STC에 오프셋으로서 부여하는 기능을 각각 한다.
이제, 스트림 1, 2의 동기 재생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스트림 1이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되고, 스트림 2가 스트림 1에 동기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 1의 영상이 주영상이고 스트림 2의 영상이 부영상이 되도록 영상 표시 유닛(17)에 멀티 화면 표시가 된다. 이 때, 스피커(20)는 스트림 1의 음성을 재생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스트림 2가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되고, 스트림 1이 스트림 2에 동기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 2의 영상이 주영상이고 스트림 1의 영상이 부영상이 되도록 영상 표시 유닛(17)에 멀티 화면 표시가 된다. 이 때, 스피커(20)는 스트림 2의 음성을 재생한다.
스트림 1과 2중 어느 하나를 주스트림으로서 사용할지의 선택 즉, 주스트림의 선택은, 원격 제어부(23)의 전환 키 등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된 스트림 1과 2중 어느 하나의 음성에 대한 STC는 마스터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 1이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된 경우, 스트림 1의 음성에 대한 STC가 마스터 역할을 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 2가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된 경우, 스트림 2의 음성에 대한 STC가 마스터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스트림 2가 주스트림으로서 선택된 경우, 차분 연산부(46)로부터 출력된 차분 Δstc2가 STC 발생 유닛(30, 34, 40, 44)에 공급되도록 제어 유닛(21)은 선택기(37)를 조정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STC 발생 유닛(30, 34, 40, 44)은 선택기(37)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차분 Δstc2를 오프셋으로서 자체로부터 발생되는 STC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29)는 차분 Δstc2가 오프셋으로서 제공되고 STC 발생부(30)로부터 얻은 STC의 값과 다음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PTS를 비교한다. STC가 PTS를 앞서는 경우에는, 비참조 영상 신호의 디코딩 처리를 스킵한다. STC가 PTS에 대하여 지연된 경우에는, PTS의 값은 현재 출력 영상을 반복함으로써 STC에 맞춰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1의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스트림 2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영상 디코더(39)는 차분 Δstc2가 오프셋으로서 제공되고 STC 발생 유닛(40)으로부터 얻은 STC의 값과 다음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PTS를 비교한다. STC가 PTS를 앞서는 경우에는, 비참조 영상 신호의 디코딩 처리를 스킵한다. STC가 PTS에 대하여 지연된 경우에는, PTS의 값은 현재 출력 영상을 반복함으로써 STC에 맞춰질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림 2의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스트림 2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음성 디코더(33)는 차분 Δstc2가 오프셋으로서 제공되고 STC 발생 유닛(34)으로부터 얻은 STC의 값과 다음에 출력되는 음성 프레임의 PTS를 비교한다. STC가 PTS를 앞서는 경우에는, 음성 프레임의 디코딩 처리를 스킵한다. STC가 PTS에 대하여 지연된 경우에는, PTS의 값은 디코딩 처리를 중지함으로써 STC에 맞춰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림 1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스트림 2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동기 재생 동작을 개괄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즉, 처리가 시작되면(단계 S1), 제어 유닛(21)은 단계 S2에서 주스트림의 전환 상태를 검출하여 단계 S3에서 주스트림이 스트림 1인지 스트림 2인지를 판별한다.
주스트림이 스트림 2라고 판별된 경우, 단계 S 4에서 제어 유닛(21)은 차분 연산 유닛(46)으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Δstc2가 STC 발생 유닛(30, 34, 40, 44)에 공급되도록 선택기(37)를 제어한다.
이후에, 단계 S5에서, 스트림 2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디코더(43)를 제외한 영상 디코더(29, 39)와 음성 디코더(33)는 각각, 차분 Δstc2가 오프셋으로서 제공되는 STC의 값과 다음에 출력되는 신호의 PTS를 비교하여, PTS의 값이 STC에 맞춰질 수 있도록, 동작을 수행하고, 그럼으로써, 처리는 종료된다(단계 S6).
결과적으로, 주스트림인 스트림 2의 음성 재생 시간 동안, 스트림 2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인 스트림 1의 영상과 음성이 동기하도록 동기 재생이 수행된다.
단계 S3에서, 주스트림이 스트림 1이라고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21)은 단 계 S7에서 차분 연산부(36)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Δstc1이 STC 발생 유닛(30, 34, 40, 44)에 공급되도록 선택기(37)를 제어한다.
이후에, 단계 S8에서, 스트림 1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디코더(33)을 제외한 영상 디코더(29, 39)와 음성 디코더(43)는 차분 Δstc1이 오프셋으로서 제공되는 STC의 값과 다음에 출력되는 신호의 PTS를 비교하여, PTS의 값이 STC에 맞춰질 수 있도록 동작을 수행하고, 그럼으로써, 처리는 종료된다(단계 S6).
결과적으로, 주스트림인 스트림 1의 음성의 재생 시간 동안, 스트림 1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인 스트림 2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하도록 동기 재생이 수행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림 1과 스트림 2가 동기 재생되는 경우, STC 마스터는 주스트림의 음성으로부터 획득된다. 따라서, 스트림 1과 스트림 2가 시청시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동기 재생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스트림 1, 2가 동기 재생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스트림이 동기하는 경우에도 주스트림의 음성으로부터 STC 마스터를 획득함으로써 동기 재생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3개 이상의 스트림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부(23)를 조작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스트림 선택 화면을 영상 표시 유닛(17)에 표시한다. 이후, 원격 제어기(23)를 조작하여, 주스트림 선택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스트림으로부터 원하는 스트림을 선택하여 결정함으로써, 주스트림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단계에서 그 요지를 일탈하지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여러가지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표시되는 전구성요소로부터 일부의 구성요소를 삭제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적절하게조합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 및 방법에 따르면,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 동안 마스터로서 선택된 스트림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켜 재생하도록 하여, 시청시 영상 및 음성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복수의 스트림의 동기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과;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상기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을 마스터로서 이용하여, 상기 선택 스트림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동기 재생 유닛
    을 포함하는 정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재생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에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과;
    상기 비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 중 하나의 음성 디코딩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와 상기 복 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과,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서 선택되는 상기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다른 하나의 음성 디코딩 유닛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동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동기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정보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은, 입력될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각각의 상기 영상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은, 입력될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각각의 상기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각각 구성되고,
    상기 동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스트림의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그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 사이의 차분을,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하여 발생되는 시각 정보에 오프셋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정보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각각 제공되고, 대응하는 음성 디코딩 유닛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상기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상기 시각 정보 사이의 차분을 연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산 유닛과;
    상기 복수의 연산 유닛으로부터 얻은 차분들 중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상기 스트림의 상기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상기 음성 디코딩 유닛에 제공되는 연산 유닛으로부터 얻은 차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차분을 오프셋으로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제공하는 상기 시각 정보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차분 선택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정보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시각 관리 정보는 PTS이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상기 시각 정보는 STC인 것인 정보 재생 장치.
  6. 영상 및 음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림을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선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스트림의 음성 재생 시간을 마스터로서 이용하여, 상기 선택 스트림의 영상 및 비선택 스트림의 영상과 음성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3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는 영상 디코딩 유닛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스트림에 각각 제공되는 음성 디코딩 유닛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제5 단계와;
    상기 비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 중 하나의 음성 디코딩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와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과,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되는 상기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다른 하나의 음성 디코딩 유닛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은 입력될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각각의 상기 영상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은 입력될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각각의 상기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6 단계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되는 상기 스트림의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그 선택된 스트림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 사이의 차분을,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하여 발생되는 시각 정보에 오프셋으로서 제공하는 것인 정보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각각 제공되는 연산 유닛에 의해, 대응하는 음성 디코딩 유닛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시각 관리 정보와, 상기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상기 시각 정보 간의 차분을 연산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연산 유닛으로부터 얻어지는 차분들 중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스트림의 음성 신호의 디코딩 처리를신호에 디코딩 처리를코딩 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연산 유닛으로부터 획득되는 차분을 선택하여, 오프셋으로서 상기 선택된 차분을 각각의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음성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상기 시각 정보에 제공하는 제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재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시각 관리 정보는 PTS이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영상 디코딩 유닛과 상기 복수의 음성 신호 디코딩 유닛에 대해 시스템 관리를 위해 발생되는 상기 시각 정보는 STC인 것인 정보 재생 방법.
KR1020060059192A 2005-06-30 2006-06-29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KR20070003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2982 2005-06-30
JP2005192982A JP2007013714A (ja) 2005-06-30 2005-06-30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621A true KR20070003621A (ko) 2007-01-05

Family

ID=3707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92A KR20070003621A (ko) 2005-06-30 2006-06-29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03253A1 (ko)
EP (1) EP1739963A1 (ko)
JP (1) JP2007013714A (ko)
KR (1) KR20070003621A (ko)
CN (1) CN18936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6473B2 (ja) * 2010-09-06 2014-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037630B2 (ja) 2012-03-16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再生装置並びに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313704B2 (ja) * 2012-06-22 2018-04-18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およびその同期処理方法
US9438193B2 (en) * 2013-06-05 2016-09-06 Sonos, Inc. Satellite volume control
CN105323596B (zh) * 2014-06-30 2019-04-05 惠州市伟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ts流节目内多数据重同步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548B2 (ja) * 1996-10-25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2001231035A (ja) * 2000-02-14 2001-08-24 Nec Corp 復号同期制御装置、復号装置、及び復号同期制御方法
JP4380930B2 (ja) * 2001-03-19 2009-12-09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ビデオ復号再生装置とその同期再生方法
EP1274236A1 (en) * 2001-07-05 2003-01-08 Thomson Licensing S.A. Video apparatus with picture-in-picture ability
US7502073B2 (en) * 2003-04-04 2009-03-10 Panasonic Corporation Signal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609A (zh) 2007-01-10
JP2007013714A (ja) 2007-01-18
US20070003253A1 (en) 2007-01-04
EP1739963A1 (en)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895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0912212B1 (ko) Av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238716B2 (en) Reproducing device
KR101027381B1 (ko)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678938B1 (ko) 영상과 자막의 동기화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70003621A (ko)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JP200604188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4188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2384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629097B1 (ko) 정보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JP2009296604A (ja) 映像データ再生装置、映像データ生成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9022059A (ja) Av装置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方式
JP2007235519A (ja)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映像音声同期システム
US20100166382A1 (en) Video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distribution device, and synchronization adjustment method
JP2001231035A (ja) 復号同期制御装置、復号装置、及び復号同期制御方法
KR20030067898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출력 타이밍 조절방법
JPH0945007A (ja) 記録媒体、メニューストリーム作成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1186529A (ja) Mpegデコード回路並列駆動システム
JP200520383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装置
JP2006180091A (ja) コンテンツ合成装置及び方法
JP5248663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方式
JP2007274161A (ja) リップシンク装置
JP201123416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87807A (ko) 프리젠테이션 정보 저장 및 재생방법 및 장치
JP2009282273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