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599A - 광원 장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장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599A
KR20070003599A KR1020060058598A KR20060058598A KR20070003599A KR 20070003599 A KR20070003599 A KR 20070003599A KR 1020060058598 A KR1020060058598 A KR 1020060058598A KR 20060058598 A KR20060058598 A KR 20060058598A KR 20070003599 A KR20070003599 A KR 200700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olor
light source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요미 후지노
카즈야스 오노우치
히사타카 이자와
마사유키 오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9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color mixing, e.g. whi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색도(色度; brightness) 얼룩(unevenness)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광원(光源) 장치를 제공한다.
적어도 2종류 이상(以上)의 발광색(發光色)의 발광 소자(素子)(R, G, B)를 근접(近接; closely)시켜, 하나의 발광 소자군(素子群)(1)을 구성하고, 각 발광 소자군(1)에서,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G)가 복수개(複數個)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R, G, B)의 중심 위치(C)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원 장치(2)를 구성한다.
발광 다이오드 유닛, 광원 장치, 컬러 액정 표시 패널, 컬러 필터, 백라이트 장치,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부재,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발광 다이오드, 중심 위치.

Description

광원 장치, 표시 장치{LIGHT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한 광원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광원 장치를 백 라이트 광원으로서 구비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1형태의 개략 구성도(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광원 장치의 형태를 변형한 1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7은 도 5의 광원 장치의 형태를 변형한 다른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9a∼도 9c는 도 8의 광원 장치의 형태를 변형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광원 장치의 형태를 변형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11a는 도 10의 S-S에서의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T-T에서의 단면도, 도 11c는 도 10의 U-U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도 9a의 광원 장치의 형태를 또 변형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5 실시 형태의 요부 평면도,
도 14a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을 델타형으로 배열한 경우의 평면도, 도 14b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을 인라인형으로 배열한 경우의 평면도,
도 15a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 1조에 대해서, 1개의 대략 원추형 반사면을 배치한 경우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A로부터 본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의 B로부터 본 평면도,
도 16은 각 색의 중심 위치가 전체의 중심 위치와는 일치하지 않는 비교예의 광원 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17은 3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2개씩 같은 칩 면적으로 한 비교예의 광원 장치의 요부 평면도.
<부호의 설명>
1, 3, 4, 5, 6, 7: 발광 다이오드 유닛, 2: 광원 장치, 10: 컬러 액정 표시 패널, 19: 컬러 필터, 20: 백라이트 장치, 21: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부재, 100: 컬러 액정 표시 장치, R: 적색 발광 다이오드, G: 녹색 발광 다이오드, B: 청색 발광 다이오드, C: 중심 위치.
본 발명은 발광(發光)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素子)를 광원(光源)으로서 구비한 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균등하게 확산 발광시켜 백색(白色)의 면광원(面光源)을 얻는 조명용(照明用) 광원 장치에 적응(適應; application)해 매우 적합(好適; suitable)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표시부를 배면(背面)으로부터 조명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용도로서, 복수(複數)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와,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다른 색(他色)의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組合; combining)하여, 백색광으로 하는 백색 LED 광원이 알려져 있다.
근년(近年; recent years)에, 발광 다이오드의 고출력화(高出力化)가 진행된 것에 의해, 이 백색 LED 광원의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고휘도(高輝度)가 요구되는 조명용이나, 프로젝터 광원, 및 대형(大型)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백라이트(backlight)에의 응용이 생각되고 있다. 이들 용도에서, 수은 프리(free from mercury)에 의한 환경 부하(環境負荷)가 작은 것, 색 재현성(色再現性; color reproducibility)이 양호한 것, 응답성(應答性; responsiveness)이 양호한 것, 휘도의 가변성(可變性; variability)을 가지는 것, 수명이 긴 것 등의 발광 다이오드의 특장(特長)으로 인해, 백색 LED 광원이, 종래의 형광관(螢光管)(열음극관(熱陰極管) 및 냉음극관(冷陰極管))을 대신하는 백색 광원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상술한, 조명용, 프로젝터 광원, 및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백라이트에, 백색 LED 광원을 응용할 때에는, 현상(現狀)에서는, 요구 휘도를 달성하여 면광원 으로 하기 위해서, 점광원(点光源)인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多數; large number) 사용할 필요가 있고, 또 면광원 전체의 휘도 얼룩(unevenness) 및 색도(色度; brightness) 얼룩을 소정(所定; predetermined)의 범위내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백라이트의 구조로서는, 에지 라이트(edge-light) 방식 및 직하(直下; direct) 방식의 2개의 방식이 대표적인 것이다.
에지 라이트 방식은, 확산판(擴散板)의 하면(下面)에 설치된 도광판(導光板; light guide plate)의 단면(端面)에, 조명 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부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면광원으로 하는 것이다.
직하 방식은, 확산판의 바로 아래(直下; just under)에 매트릭스 모양(狀)으로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확산판에 연직(鉛直; vertical)인 방향으로 발광시키는 것이다.
에지 라이트 방식에서는, 화면의 횡방향에 배치한 광원으로부터 도광판에 도광한 광을, 확산 시트나 반사 시트에 의해 화면 앞면(前面)으로 방향 변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향 변환 과정에서의 광량(光量) 로스(loss)에 의해서, 발광 효율이 낮아지기 쉽고, 광원으로부터 먼 위치에서의 휘도가 저하하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에지 라이트 방식은 비교적 소형(小型)의 백라이트에 채용되고 있다.
한편, 직하 방식은 비교적 대형의 백라이트용에 매우 적합하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백라이트의 두께(厚)가 제한된 조건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확산판까지의 광로 길이(光路長)가 에지 라이트 방식보다도 짧아지기 때문에, 각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면내(面內)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그리고, 직하 방식은 휘도를 올리기 쉬운 이점이 있지만, 휘도 얼룩 및 색도 얼룩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직하 방식에서, 제한된 백라이트 두께의 범위내에서, 각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면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1) 확산판의 확산율을 올리고, (2) 소형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배치하고, (3) 각 발광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 출사(出射; emit)한 광을 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학 부재(光學部材)를 각 발광 다이오드 상(上)에 배치하는,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1)의 확산판의 확산율을 올리는 방법을 채용하면, 확산판의 투과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나빠지고, 소정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전력(電力)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 휘도 얼룩이나 색도 얼룩에 대한 개선(改善) 효과에 한계가 있다.
그 때문에, (2) 소형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배치하는 방법, 또는 (3) 각 발광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의 출사한 광을 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학 부재를 각 발광 다이오드 상에 배치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3)의 어느(any) 방법에서도, R, G, B 3색 또는 다른 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백색의 광원으로 할 때에는, 각 색이 백라이트의 패널 전면(全面)에서 소정의 시야각 범위내에서 휘도 얼룩 및 색도 얼룩이 없는 백색의 면광원으로 되도록, 각 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나 광학적 방사(放射; radiation)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3)의 발광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出射光; emitted light)을 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학 부재를, 각 발광 다이오드 상에 배치하는 방법을 채용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렌즈나 대략 원추형(圓錐型) 반사면을 이용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히, 대략 원추형 반사면을 이용한 구성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발광광을, 대략 횡방향으로 변환하여 광로 길이를 늘리고, 확산판이나 휘도 상승(上昇) 필름 등으로 발광 방향을 재차(再度) 백라이트 패널 방향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각 발광 다이오드의 칩 사이(間)의 휘도 얼룩이나 색도 얼룩을 양호하게 분산시킬 수가 있다.
또, 발광 다이오드와 대략 원추형 반사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의 패키지(LED 패키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구성의 패키지를,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색 광원에 응용한 LED 패키지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런데, 예를 들면,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백색광원에 의해서,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소망(所望; desired)의 색 온도의 백색이 얻어지도록,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각 발광색 다이오드를, 그의 발광 파장으로 결정되는 소정의 휘도비(輝度比)에 합치(合致)한 휘도로 발광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이 각 발광색에서 상위(相違; differ)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휘도에 대한 정격(定格) 발광 휘도비가 가장 낮은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에 맞추어, 다른(他; other)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는 출력을 저감시켜 발광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발광 효율이 양호한 발광색을 정격 이하(以下)로 발광시키게 되어, 소비(消費) 전력 효율의 악화, 소망의 백색 휘도값으로 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수(數)가 증가하는 것에 의한 코스트업(cost up)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그래서, 각 색을 효율 좋게 발광시키면서 소망의 백색 색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R, G, B의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면적을 다르게 한 구성(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또,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를, R, G, B의 1조(組; set)마다 다르게 하여, 수(數; several) 조의 그룹에서 각 색의 색도 분포를 균질화(均質化)하는 것에 의해, 색도의 비대칭성(非對稱性)을 개선하는 구성(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개평(實開平) 7-315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特開) 2004-14032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特開平) 11-162233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 11-3051호 공보
예를 들면,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배치를,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델타형(形)(delta fashion)으로 배치한 경우나,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라인형(形)(in-line fashion)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소형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배치해도, 각 칩을 근접(近接; closely) 배치하고 있으면, 용이하게 3색을 혼색(混色; color mixing)하여 백색광으로 할 수 있어,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서, 도 15a∼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 1조에 대해서, 1개(個)의 대략 원추형 반사면을 배치한 경우에는, 원추의 중심축으로 대해서, 횡방사(橫放射) 방향의 소정의 각도 범위가, R, G, B 각 색의 반사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반사광의 색 분열(色割; unevenness in brightness or chromaticity; 색도 얼룩 또는 휘도 얼룩)이 강조되기 쉽게 된다.
즉,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델타형으로 배치한 R, G, B의 칩의 중심 위치 상에, 표면이 반사면으로 된 대략 원추형의 부재(51)를 배치하면, 도 15b에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칩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한 광이,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중심 위치로부터 떨어지도록(離; move away from) 횡방향으로 향한다.
이 때문에, 도 15c에 평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R, G, B의 칩 주변이, R 주발광(主發光; main light-emitting) 영역과, G 주발광 영역과, B주발광 영역과의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이들 주발광 영역에서는, 각각의 발광색이 특히 강해져 있기 때문에, 확산판을 통과시켜도, 충분히 혼색해서 백색광으로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대략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와,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칩 면적을 다르게 하는 구성)이나 특허 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1조마다 각 발광색의 배치를 바꾸는 구성)을, 단순하게 조합한 경우에는, 색도 얼룩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원 장치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를 근접시켜, 하나의 발광 소자군(素子群)을 구성하고, 각 발광 소자군에서,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복수개(複數個)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의 중심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상(畵像)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를 배면측으로부터 조명 광원 장치를 구비하고, 이 광원 장치가 상기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구성인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각 발광 소자군에서,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의 중심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중심 위치에 대해서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대략 대칭(對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발광 소자군에서, 각 발광색을 용이하게 혼색할 수 있어,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휘도 얼룩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표시부를 배면측으로부터 조명하는 광원 장치가 상기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구성인 것에 의해, 광원 장치의 색도 얼룩이나 휘도 얼룩이 저감되기 때문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도나 휘도의 분포가 양호한 분포로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實施形態; embodiment)로서, 광원 장치의 요부(要部) 평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색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 즉 적색(赤色) 발광 다이오드(R)와, 녹색(綠色) 발광 다이오드(G)와, 청색(靑色) 발광 다이오드(B)를 구비하여, 1조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이 구성되어 있다.
또, 3색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 중, 적색 발광 다이오드(R)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B)를 2개씩(R1, R2 및 B1, B2) 가지고, 발광 다이오드 유닛(1) 이 구성되어 있다.
또, 소망의 백색 색도를 각 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효율 좋게 구동하면서 달성하기 위해서, 발광 휘도가 부족한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 즉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발광 다이오드 유닛(1)에 대해서, 각 발광색(R, G, B)의 발광 다이오드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또한 각 발광색(R, G, B)의 발광 다이오드가 중심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1, R2)는 각각의 중심 위치(CR1, CR2)로부터,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전체의 중심 위치가, 도 1 중(中)의 C의 위치로 된다. 또,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1, R2)는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1, B2)는 각각의 중심 위치(CB1, CB2)로부터, 2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전체의 중심 위치가, 도 1 중의 C의 위치로 된다. 또, 2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1, B2)는,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1개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는 그의 중심 위치가 도 1 중의 C의 위치에 있고,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각 발광색(R, G, B)의 발광 다이오드의 중심 위치가 도 1 중의 점(点) C에서 일치하고 있고, 또한 각 발광색(R, G, B)의 발광 다이오드가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1) 내(內)에서, 광학적 대칭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치수나 배치는, 예를 들면 녹색 발광 다이오드(G)를 1변(一邊) 1㎜의 정방형(正方形; square),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B)를 1변 0. 35㎜의 정방형, 중심 위치(C)로부터 주위의 발광 다이오드(R1, R2, B1, B2)의 중심 위치(CR1, CR2, CB1, CB2)까지의 거리를 약 0. 35㎜로 할 수가 있다.
이들 치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중심 위치(C)로부터 주위의 발광 다이오드(R1, R2, B1, B2)의 중심 위치(CR1, CR2, CB1, CB2)까지의 거리는 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을 매트릭스 배치한 광원 장치의 1형태(形態; example)의 평면도를 도 2에 도시한다.
이 광원 장치(2)는 도 1에 도시한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이, 종횡(縱橫)으로 매트릭스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2)의 구성에 따르면, 각 발광 다이오드 유닛(1)에서,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1, R2)와, 2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1, B2)를 가지고,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가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1) 내에서, 광학적 대칭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색도 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릭스 배치해서 구성한 광원 장치(2)에서, 각 유닛(1) 사이에서의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2)의 두께를 얇게 해도 양호한 색도 분포를 얻을 수 있어, 광원 장치(2)를 얇게 하여 소형화(小型化)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前述)한 치수·배치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을 이용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의 중심 위치(C)의 간격을 20㎜ 정도로 해서 광원 장치(2)를 구성한 경우에는, 20㎜ 정도의 두께로, 혼색에 의해 백색광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2)의 구성에 따르면, 발광 휘도가 부족하고, 발광 효율이 낮은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1) 전체에서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광원 장치(2)에서 소망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2)에서의 칩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광원 장치(2)는 조명용, 프로젝터 광원, 컬러 액정(液晶)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광원 장치(2)는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 있어, 양호한 백색 광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광원 장치(2)를 백라이트 장치에 적용하여, 도 3에 개략 구성도(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컬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는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과, 이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의 배면측에 설치된 백라이트 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은 유리(glass) 등으로 구성된 2매(枚)의 투명한 기판(TFT 기판(11), 대향 전극 기판(12))을 서로 대향 배치시키고, 그의 간극(間隙)에, 예를 들면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TN) 액정을 봉입(封入; include)한 액정층(13)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FT 기판(11)에는,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스위칭 소자로서의 박막(薄膜) 트랜지스터(TFT)(16)와, 화소 전극(17)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6)는 주사선(走査線)(15)에 의해, 순차(順次) 선택됨과 동시에, 신호선(14)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映像) 신호를, 대응하는 화소 전극(17)에 기록입력(書入; write)한다.
대향 전극 기판(12)은 그의 내표면(內表面)에, 대향 전극(18) 및 컬러 필터(19)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19)는 도시하지 않지만, 각 화소에 대응한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고 있다. 예를 들면, 3원색(原色)인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의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다.
이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의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을 2매의 편광판(31, 32) 사이에 두고, 백라이트 유닛(40)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백색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의 풀컬러(full color) 영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백라이트 유닛(40)은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을 배면측으로부터 조명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0)은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혼색한 백색광을 광 조사면(光照射面; light irradiation surface)(20a)로부터 면발광(面發光; surface-emit)하는 백라이트 장치(20)와, 이 백라이트 장치(20)의 광 조사면(20a) 상에 적층된 확산판(41)으로 구성되어 있다.
확산판(41)은 광 조사면(20a)으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을 확산시키는 것에 의해, 면발광에서의 휘도의 균일화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백라이트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색(R, G, B)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이 매트릭스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 발광 다이오드 유닛(1)에서 색도 얼룩이나 휘도 얼룩이 저감되고 있으므로, 컬러 액정 표시 패널(10)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해서, 백라이트 장치(20)의 휘도 얼룩이나 색도 얼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하여, 화상의 휘도나 색도의 분포를 양호한 분포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표시해야 할 화상을, 양호한 화질로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시의 온도 상승에 의한 파장 변화가 커서, 투입 전류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발광 면적을 크게 하여, 적은 전류에서도 충분한 휘도를 얻는 것이 생각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발광 다이오드 유닛(1)의 구성을 변형해서, 적색 발광 다이오드(R)를 청색 발광 다이오드(B)보다도 칩 면적이 더욱더 크고, 발광 면적이 큰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 다이오드 유닛에서의 각 발광색의 칩 면적의 관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G>(R, B) 외에도, 여러가지 관계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 발광 다이오드(R)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B)보다도 칩 면적이 큰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G, R)>B, G>R>B, R>G>B 등이 생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광원 장치의 개략 구성도(요부 사시도)를 도 4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추형 반사면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R, G, B)로부터 출사한 광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색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가, 도 1에 도시한 발광 다이오드 유닛(1)과 마찬가지로 배치되고, 또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C)의 위쪽에, 정점(頂点)을 하향(下向)으로 해서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21)가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을 다수,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광원 장치를 구성한다.
도 4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90도(度)의 RGB 혼색 영역에서는, 각각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1/4, 적색 발광 다이오드(R)의 1/2, 청색 발광 다이오드(B)의 1/2의 각 면적이 걸려(share) 있다. 이 때문에, 각 발광색(R, G, B)이 밸런스(balance) 좋게 혼합되게 되고, 도 15c에 도시한 주발광 영역과 같이 특정(特定; particular)의 발광색이 강하게 발생하는(색 분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확보해서,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의 구성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한 발광 다이오드 유닛(1)과 마찬가지로, 3색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가 중심(C)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3) 내에서, 광학적 대칭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을, 매트릭스 배치해서 구성한 광원 장치에서, 각 유닛(3) 사이에서의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발광 효율이 낮은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보다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 유닛(3) 전체에서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장치에서 소망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에서의 칩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C)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각 발광색(R, G, B)이 밸런스 좋게 혼합되기 때문에,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확보하여, 이 점에 의해서도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를 얇게 해도 양호한 색도 분포를 얻을 수 있고, 광원 장치를 얇게 해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광학 부재(21)의 원추형 반사면에 의해서, 기판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출사광을, 기판에 대략 평행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환해서 방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 의해서도 광원 장치를 얇게 해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의 칩 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의 개수(個數)를 2개씩 배치하여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을 구성했지만,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구성하는 칩 면적 및 칩 개수는, 그 밖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발광 효율이 낮은 발광색이나 필요 휘도가 높은 발광색에 대해서, 다른 발광색보다도 칩 면적을 크게 하거나, 칩수를 많게 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유닛 전체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에 필요한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수를 저감하여, 광원 장치 전체의 칩 수를 삭감하고, 광원 장치의 코스트다운(cost down)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3)을 다수,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조명용, 프로젝터 광 원,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원 장치가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 있어, 양호한 백색 광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백라이트 장치(2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21)를 이용한 것에 의해 광원 장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에 적용한 경우에, 직하형(直下型)의 백라이트 장치(20)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 광원 장치의 개략 구성도(요부 평면도)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와, 2개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와, 1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가, 각 발광색(R, G, B)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또한 이 중심 위치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 유닛(4)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중앙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의 칩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의 반사면에 의해, 도 5 중에 도시하는 90도의 RGB 혼색 영역에서, 3색을 혼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확보해서,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적색 발광 다이오드(R)도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적은 전류에서도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고, 적색 발광 다이오드(R)에의 투입 전류를 억제하여, 발광시의 온도 상승에 의한 파장 변화를 저감할 수가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4)을 다수,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조명용, 프로젝터 광원,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원 장치가 색도 얼룩을 저감할 수 있어, 양호한 백색 광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백라이트 장치(2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실시 형태를 변형한 형태를 도 6과 도 7에 각각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만을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적색 발광 다이오드(R)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B)와 같은(同) 면적으로 해서, 발광 다이오드 유닛(5)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만을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작용이 얻 어진다고 생각된다.
도 7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면적을 크게 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G)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를, 중심 위치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배치하여, 발광 다이오드 유닛(6)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구성과 비교하면, 4개의 RGB 혼색 영역의 경계가 경사 방향으로 바뀌었을 뿐이며, 작용 효과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5∼도 7에 도시한 각 형태의 3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배치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원추형 반사재(反射材)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칩 면적을 크게 한 발광색에서, 각각 칩 면적을 크게 한 것에 의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로서, 광원 장치의 개략 구성도(요부 평면도)를 도 8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효율 좋게 구동하면서, 소망의 백색의 색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면적을 바꾸지 않고 칩수를 증가시켜, RGB 혼색 영역에서의 각 발광색의 휘도 밸런스를 확보하여 색도 얼룩을 저감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와, 4개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와, 2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B)가 각 발광색(R, G, B)의 중심 위치(C)가 일치하고, 또한 이 중심 위치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 드(R, G, B)의 중심 위치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 유닛(7)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칩 면적이 동일(同一)하게 되어 있다.
또, 녹색 발광 다이오드(G)가,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의 2배(倍)의 개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90도의 각 RGB 혼색 영역에서는, 각각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1배, 적색 발광 다이오드(R)의 1/2, 청색 발광 다이오드(B)의 1/2의 각 면적이 걸려 있고,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면적이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의 2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발광색(R, G, B)이 밸런스 좋게 혼합되게 되고,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확보하여, 색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C)를 일치시키고 있지만, 중심 위치(C)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원추형 반사면의 중심축이 배치되는 중심 위치(C)에 발광 다이오드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원추형 반사면의 중심축이 배치되는 위치에 발광 다이오드가 존재하는 배치와 비교하여,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와 원추형 반사면과의 상대(相對) 위치의 차(差)가 적어짐과 동시에,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로부터의 출사광을 원추형 반사면에서 반사시킨 후의 방사각을 거의 일치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더 효과적으로 색도 얼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다.
도 8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7)을 다수,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조명용, 프로젝터 광원,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원 장치가, 색도 얼룩을 저감 할 수 있어 양호한 백색 광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백라이트장치(2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실시 형태를 변형하여, 녹색 발광 다이오드(G)를 다른 발광색의 발광다이오드(R, B)보다도 칩 면적을 크게 한 형태를, 도 9a∼도 9c에 각각 도시한다. 어느 경우에도,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C)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도 8과 공통하고 있다.
또, 이들 9a∼도 9c에 도시하는 각 형태에서도, 도시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 유닛이 구성된다.
도 9a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를 4개, 녹색 발광 다이오드(G)를 2개로 하고, 이들의 위치를 도 8의 위치로부터 교체(入替; replace)하여,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 유닛 전체 및 90도의 RGB 혼색 영역에서, 칩 면적이 G>R>B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9b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B)를 4개씩, 녹색 발 광 다이오드(G)를 2개로 하고, 이들의 위치를 도 9a의 위치로부터 조금 바꾸어,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B)는 수(數)와 칩 면적이 동일하게 되어 있고, 발광 다이오드 유닛 전체 및 90도의 RGB 혼색 영역에서, 칩 면적이 G>(R, B)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9c는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의 개수는 도 8과 동일하게 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위치 관계를 도 8로부터 조금 바꾸어,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칩 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90도의 RGB 혼색영역에서, 녹색 발광 다이오드(G)와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B)와의 칩 면적의 차가 도 8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실시 형태를 변형해서, 각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중심 위치(C)로부터 등거리(等距離)에 배치한 형태를 도 10에 도시한다.
이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중심 위치(C)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고 있다.
또,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C)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중심 위치(C)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한 것에 의해, 광학 부재의 원추형 반사면과의 상대 위치가 동등(同等)하게 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색도 얼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의 S-S에서의 단면도를 도 11a에 도시하고, 도 10의 T-T에서의 단면도 를 도 11b에 도시하고, 도 10의 U-U에서의 단면도를 도 11c에 도시한다. 도 11a∼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로부터의 출사광이, 광학 부재(21)의 원추형 반사면에 의해서, 거의 마찬가지로 반사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 도 9a에 도시한 형태를 또 변형해서, 각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중심 위치(C)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한 형태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도시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9a에 도시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면적을 크게 한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중심 위치(C)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한 것에 의해, 원추형 반사면과의 상대 위치가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색도 얼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구성으로서,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로 되지 않지만,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한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하는 구성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B)를 1개씩, 녹색발광 다이오드(G)를 4개 설치하고 있으며, 전체의 중심 위치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녹색 발광 다이오드(G)의 중심 위치는 전체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한편, 적색 발광 다이오드(R)는 중심 위치의 상측(上側)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B)는 중심 위치의 하측(下側)에 배치되며, 각 색의 중심 위치가 전체의 중심 위치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 도 16에 도시하는 배치로 했을 때에는,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혼색이 가능하지만,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한 경우에는, 충분히 혼색을 행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즉, 청색 발광 다이오드(B)로부터의 출사광이 원추형 반사면으로 차단되어, 도면 중(圖中) 상측으로 방사되기 어렵게 된다. 마찬가지로, 적색 발광 다이오드(R)로부터의 출사광이 원추형 반사면으로 차단되어, 도면 중 하측으로 방사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원추형 반사면으로 차단된 발광색이 약하게 되어, 혼색의 밸런스가 나빠지고, 색도 얼룩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구성은 3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를, 2개씩 같은 칩 면적으로 하고 있다. 또, 전체의 중심 위치로부터 각 발광 다이오드(R, G, B)를 등거리에, 또한 같은(等)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RGB 혼색 영역은 120도로 된다.
이 도 17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했을 때에는,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혼색이 가능하지만, 원추형 반사면과 조합한 경우에는, 충분히 혼색을 행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즉, 3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를 완전히 등가(等價)로 배치하고 있기 때 문에, 120도의 RGB 혼색 영역에서의 각 발광색(R, G, B)의 칩 면적의 비(比)가, 3개의 RGB 혼색 영역에서 다르다(異). 오른쪽 위(右上)의 RGB 혼색 영역에서는 파랑(靑)(B)이, 왼쪽 위(左上)의 RGB 혼색 영역에서는 초록(綠)(G)이, 아래(下)의 RGB 혼색 영역에서는 빨강(赤)(R)이 각각 다른 발광색보다도 면적비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에서, 구동 전류를 같게 하면, RGB 혼색 영역마다 휘도 밸런스가 달라져 버려, 면적비의 큰 발광색이 강하게 나와, 혼색이 어렵게 된다.
도 17에 도시하는 구성에서, RGB 혼색 영역에서의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동등하게 하기 위해서는, 같은 발광색의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를 다른 것으로 할 필요가 있어, 구동 회로가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도 17의 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의 광원 장치의 요부 평면도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같은 발광색의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를 같게 하기 위해서, 같은 발광색의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면적을 달리하여, 각 발광색(R, G, B)의 칩 면적의 비가, 3개의 RGB 혼색 영역에서 거의 같아지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발광색의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면적의 비를 약 2:1로 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발광 다이오드(R, G, B)의 중심 위치의 위쪽에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같은 발광색의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면적을 달리하여, 각 발광색(R, G, B)의 칩 면적의 비가, 3개의 RGB 혼색 영역에서 거의 같아지도록 하고 있는 것에 의해, 각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를 동일하게 해도, RGB 혼색 영역에서의 각 발광색(R, G, B)의 휘도 밸런스를 동등하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를 동일하게 해도, 각 발광색(R, G, B)을 용이하게 혼색해서, 색도 얼룩이 없는 백색광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동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다수, 예를 들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조명용, 프로젝터 광원,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광원 장치가, 양호한 백색 광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백라이트장치(2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수평 방향(기판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한 광을, 또 확산판이나 휘도 상승 필름 등에 의해서, 재차 표시 패널이 있는 기판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변환시킨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3색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R, G, B)에 의해 광원 장치를 구성했지만, 본 발명에서, 백색 광원을 구성하는 색수(色數)는 3색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색 이상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다만,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R, G, B 3색 이상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빨강(R), 초록(G), 파랑(B) 이외의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와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해도 좋다.
또,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칩 수나, 칩 면적의 대소(大小)는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특성이나, 필요로 되는 조명 휘도 및 백색 색도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출사광을 기판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변환하는 광학 부품으로서는, 대략 원추형 반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21)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면의 형상(形狀)은 대략 원추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면(球面)이나 타원(楕圓) 구면, 원통면(圓筒面), 오목면(凹面) 등도 가능하다.
또, 반사면을 가지는 부재 대신에,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굴절시켜, 기판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환하는 광학 부품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프레넬(Fresnel) 렌즈 등의 각종 형상의 광학 부품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직하형의 백라이트 장치나 조명 장치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매트릭스 배열해서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발광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LED 패키지 단체(單體; only)로 광원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밖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광원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등을 발광 소자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에 상당(相當)하는 발광 소자군을 구성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의 표시 장치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문자만의 화상도 포함한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백라이트를 구비한 구성이면, 표시부가 액정 표시 패널 이외인 구성이라도 좋다.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백라이트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구성 이외에, 표시부가 자발적으로 발광하는 구성이라도, 예를 들면 휘도를 올리기 위한 보조(補助)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要旨)를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여러가지 구성을 취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에 따르면, 색도 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에 의해, 2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혼색해서, 양호한 백색 광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도나 휘도의 분포가 양호한 분포로 되는 것에 의해, 표시해야 할 화상을 양호한 화질로 표시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2종류 이상(以上)의 발광색(發光色)의 발광 소자(素子)를 근접(近接; closely)시켜, 하나의 발광 소자군(素子群)을 구성하고, 상기 발광 소자군으로 이루어지는 광원(光源) 장치로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상기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복수개(複數個)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의 중심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발광 소자군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상기 중심 위치 상(上)에,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出射光; emitted light)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방사(放射) 방향을 변환하는 부재(部材)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상기 중심 위치에는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각 상기 발광 소자가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등거리(等距離)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이, 적색(赤色)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와, 녹색(綠色)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와, 청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를 적어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녹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적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 및 녹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상기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일부(一部)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다른(他; other) 발광색의 발광 소자보다도 발광 소자의 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녹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다른 발광색의 발광 소자보다도 발광 소자의 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녹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와 적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청색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보다도 발광 소자의 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3. 화상(畵像)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배면측(背面側)으로부터 조명(照明)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광원 장치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를 근접시켜, 하나의 발광 소자군을 구성하고, 각 상기 발광 소자군에서, 상기 2종류 이상의 발광색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가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색의 발광 소자의 중심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컬러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60058598A 2005-07-01 2006-06-28 광원 장치, 표시 장치 KR200700035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4220 2005-07-01
JP2005194220A JP4935004B2 (ja) 2005-07-01 2005-07-01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99A true KR20070003599A (ko) 2007-01-05

Family

ID=3760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598A KR20070003599A (ko) 2005-07-01 2006-06-28 광원 장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83018B2 (ko)
JP (1) JP4935004B2 (ko)
KR (1) KR20070003599A (ko)
CN (1) CN1897073B (ko)
TW (1) TW2007078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280B2 (en) 2009-11-23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illuminations automatic white balance digital cameras
US11237428B2 (en) 2019-07-22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40B1 (ko) * 2006-09-30 2007-10-09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서로 다른 크기의 발광셀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TWI467283B (zh) 2007-05-20 2015-0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具有半反射鏡組件之再循環背光
CN101681597A (zh) * 2007-05-20 2010-03-24 3M创新有限公司 有效利用有色led光源的白光背光源等
KR101464795B1 (ko) 2007-05-20 2014-1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재순환 중공 공동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TWI458918B (zh) 2007-05-20 2014-1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具有有利設計特性之薄形中空背光
TWI439641B (zh) * 2007-05-20 2014-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用於側面發光型背光之準直光注入器
DE102007027615B4 (de) * 2007-06-12 2012-02-16 Schott Ag Vorrichtung zur Einkopplung von Licht in einen faseroptischen Lichtleiter
CN101939675A (zh) * 2008-02-07 2011-01-05 3M创新有限公司 具有结构化膜的中空背光源
EP2252828A1 (en) * 2008-02-22 2010-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lights having selected output light flux distributions and display systems using same
KR20110019388A (ko) * 2008-06-04 2011-02-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사형 광원을 갖는 중공 백라이트
BRPI1005425B1 (pt) * 2009-02-05 2019-11-05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JP5182231B2 (ja) * 2009-06-09 2013-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Ledランプ
CN102128360A (zh) * 2010-01-18 2011-07-20 奥斯兰姆有限公司 照明装置
CN103620455B (zh) 2011-06-24 2017-05-10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具有用于混合来自多个led的光输出的光学部件的基于led的照明单元
JP2014170842A (ja) * 2013-03-04 2014-09-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DE102013211525A1 (de) 2013-06-19 2014-12-24 Osram Gmbh LED-Modul mit LED-Chips
JP6091559B2 (ja) 2014-10-20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6152562A1 (ja) * 2015-03-24 2016-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パッケージ
WO2017209437A1 (en) * 2016-05-31 2017-12-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6736784B2 (ja) * 2017-03-21 2020-08-05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発光アセンブリ、スポットランプ、及び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A (ja) 1993-06-16 1995-01-06 Tomoegawa Paper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
JP3203907B2 (ja) * 1993-10-29 2001-09-04 豊田合成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916105A (ja) * 1995-06-29 1997-01-17 Sharp Corp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JP3292133B2 (ja) 1997-04-14 2002-06-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Led表示器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627478B2 (ja) * 1997-11-25 2005-03-09 松下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
US6200002B1 (en) * 1999-03-26 2001-03-1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Luminaire having a reflector for mixing light from a multi-color array of leds
US6637921B2 (en) * 2001-09-28 2003-10-28 Osram Sylvania Inc. Replaceable LED bulb with interchangeable lens optic
JP3715635B2 (ja) 2002-08-21 2005-11-09 日本ライツ株式会社 光源および導光体ならびに平面発光装置
US6867549B2 (en) * 2002-12-10 2005-03-15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having repeated patterns of colored light emitting elements
JP4222098B2 (ja) * 2003-05-14 2009-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280B2 (en) 2009-11-23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illuminations automatic white balance digital cameras
US11237428B2 (en) 2019-07-22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7073B (zh) 2010-10-13
US7583018B2 (en) 2009-09-01
CN1897073A (zh) 2007-01-17
JP4935004B2 (ja) 2012-05-23
JP2007013007A (ja) 2007-01-18
TWI310993B (ko) 2009-06-11
TW200707808A (en) 2007-02-16
US20070008722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3599A (ko) 광원 장치, 표시 장치
KR101237326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표시장치
KR101113236B1 (ko) 다이나믹한 영상을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디스플레이 장치
US7188987B2 (en) Display module
US7447416B2 (en) Light emitting assembly, backlight unit and display having the same
US10394077B2 (en) Backlight module
US20060181866A1 (en) Multi-chip light emitting diode unit,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US8203665B2 (en) Bl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tantially white 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245204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810979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primary color LED and fluorescent light sour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987593A (zh) 面状照明装置及以面状照明装置为背光源的液晶显示装置
CN102597604B (zh)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KR101797669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2087438B (zh) 包括具有led阵列的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US7503672B2 (en) Back light module and light mixing apparatus thereof
TWI358580B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32855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7266590A (ja) 光源モジュール、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203384791U (zh) 一种背光源模块
JP200622742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04110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11205142A (ja) 表示装置
JP2007184493A (ja) 光源装置、表示装置
WO201107441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800945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lack/whi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