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222A - 잭 장치 - Google Patents
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3222A KR20070003222A KR1020050059009A KR20050059009A KR20070003222A KR 20070003222 A KR20070003222 A KR 20070003222A KR 1020050059009 A KR1020050059009 A KR 1020050059009A KR 20050059009 A KR20050059009 A KR 20050059009A KR 20070003222 A KR20070003222 A KR 200700032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shaft
- hydraulic cylinder
- stroke
- jack device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버팀보 등을 지지하는 잭 장치로서, 장치의 무게가 크기 않으며, 양측 부재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및 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 로드(9)가 하면에 맞닿게 되어 유압실린더(8)의 신장력을 받게 되어 나사축(3)을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상부판(2); 상기 상부판(2)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3); 상기 나사축(3)이 그 내부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축(3)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홀더(4); 상기 축 홀더(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5); 상기 축 홀더(4)의 주변에 배치되어 신축하게 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8); 및 상기 나사축(3)이 상기 축 홀더(4)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잭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나사축(3)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가 제공된다.
잭 장치, 지지, 반력대, 유압실린더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따른 잭 장치의 신장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및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잭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잭 장치 2 : 상부판
3 : 나사축 4 : 축 홀더
5 : 하부판 6 : 나사축 멈춤 부재
8 :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버팀보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흙막이 가시설, 토류벽 등을 건설할 때 버팀보를 토류벽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해서 버팀보와 토류벽의 띠장 사이, 또는 버팀보와 버팀보 사이에는, 잭 장치를 설치하여 잭 장치를 신장함으로써 버팀보를 지지하게 된다.
도 6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종래의 잭 장치(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잭 장치(10)는 하부 및 상부판(10a, 10b), 하부판(10a)과 결합된 유압실린더 수납부(13), 나사축(11), 그리고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12)로 구성된다. 유압실린더 수납부(13) 내에 유압실린더(14)를 위치하고 유압을 가하여 유압실린더(14)를 신장시키게 되면 나사축(11)이 신장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판(10a, 10b)이 각각 부착되어 있는 부재 사이의 간격을 벌려준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축(11)이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12)를 회전시켜 유압실린더 수납부(13)에 닿도록 하면 나사축(11)의 수축이 방지되어 지지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잭 장치(10)에서는, 유압실린더(14)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부판(10a)과 일체로 제작된 유압실린더 수납부(13)가 필요한데, 이러한 유압실린더 수납부(13)의 존재로 인하여 전체 잭 장치의 무게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잭 장치(10)는 취급이 어려우며 작업시 장치의 낙하 등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부품이 사용되므로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유 압실린더의 크기와 유압실린더 수납부(13)의 크기가 서로 대응되어야 하므로 유압실린더의 호환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잭 장치가 가지고 있던 단점과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장치의 무게가 크기 않으며, 양측 부재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및 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로드가 하면에 맞닿게 되어 유압실린더의 신장력을 받게 되어 나사축을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이 그 내부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축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홀더; 상기 축 홀더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압실린더가 놓여지는 하부판; 상기 축 홀더의 주변에 배치되어 신축하게 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나사축이 상기 축 홀더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잭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잭 장치의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판의 하면 또는 하부판 상면에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스트로크 축소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잭 장치에서,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가 상부판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는 상기 축 홀더의 외측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를 올려놓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므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잭 장치(1)의 개략적인 결합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f에는 본 발명의 따른 잭 장치(1)의 신장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1)는 상부판(2), 상기 상부판(2)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3), 상기 나사축(3)이 그 내부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축(3)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홀더(4), 및 상기 축 홀더(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3)에는, 나사축(3)이 상기 축 홀더(4)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잭 장치(1)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축 홀더(4)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나사축(3)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축 홀더(4)의 상부 중앙에는 나사축(3)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 주위에는 상기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가 놓여지는 턱(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 홀더(4)의 하단부에는 하부판(5)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5)에는 유압실린더(8)가 놓여지게 된다.
상기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는 상기 나사축(3)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것처럼 나사축(3)이 축 홀더(4)로부터 외부로 진출하였을 때 상기 축 홀더(4)의 턱(41)에 밀착되어 상기 나사축(3)이 다시 축 홀더(4)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부판(2) 및 하부판(5)은 양측의 부재에 맞닿아 지지하게 되는데, 볼트 등의 체결수단 등에 의하여 각각 지지하는 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2)은 후술하는 것처럼 그 하면이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 로드(9)와 맞닿게 되어 유압실린더(8)의 신장력을 받게 된다. 유압실린더(8)가 신장되면 그 신장력은 상부판(2)에 가해지고, 그에 따라 상부판(2)과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3)이 신장력에 의하여 축 홀더(4) 외부로 진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서는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잭 장치(1)가 완전히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완전히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상부판(2)이 지지하려는 부재에 맞닿도록 상기 상부판(2)을 잡아당긴다. 상기 나사축(3)은 축 홀더(4)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부판(2)을 잡아당기면 쉽게 나사축(3)이 축 홀더(4)로부터 진출하게 된다. 나사축(3)이 진출하여 상부판(2)이 일측 부재에 닿게 되면 상부판(2)을 일측 부재에 고정하고, 축 홀더(4) 주위로 하부판(5) 위에 유압실린더(8)를 배치한다(도 3c). 유압실린더(8)를 신장시켜 스트로크 로드(9)가 상부판(2)의 하면에 닿게 한 후 계속하여 유압실린더(8)를 신장하면 도 3e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축(3)이 축 홀더(4)로부터 더욱더 외측으로 진출하게 된다. 원하는 정도의 부재 간격이 되도록 나사축(3)이 진출한 후에는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를 나사 이동시켜 상기 축 홀더(4)의 상부 턱(41)에 놓여지도록 하여 나사축(3)의 신장상태를 유지하여 양측 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도 3f).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잭 장치(1)에서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유압실린더가 안쪽에 놓여지는 수납부가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수납부 존재로 인한 잭 장치의 무게 증가, 그에 따른 취급 어려움, 제작비 상승 등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아니하며, 수납부의 크기에 유압실린더를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유압실린더의 호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1)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3f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판(2)과 나사축(3)이 일체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판(2)과 나사축(3)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요컨대 본 발명의 잭 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판(2)과 나사축(3)을 각각 분리된 부재로 제작하여 서로 나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부판(2)과 나사축(3)을 별도로 운송할 수 있으며 상부판(2)을 일측 부재에 남겨둔 채로 나사축(3)을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부판(2)을 회전시켜 상부판(2)을 일측 부재에 닿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잭 장치(1)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단면도이고 도 5d는 결합단면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가 작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상부판(2)의 하부에 더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상부판(2)의 하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유압실린더(8)가 신장하게 되면 스트로크 로드(9)는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의 하면에 닿은 채로 신장하여 신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돌출 길이만큼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가 작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기둥형태의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하부판(5)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부판(2) 또는 하부판(5)에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변형하여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상기 상부판(2) 또는 하부판(5)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 로드(9)가 길어질 경우, 좌굴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바,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 (7)를 통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스트로크 로드(9)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축 홀더(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판부재 등과 같이 유압실린더(8)를 올려놓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축 홀더(4)의 측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축 홀더(4)의 외측에 스트로크 축소부재(7)를 설치하고 그 위에 유압실린더(8)를 올려놓게 되면, 유압실린더(8)와 상부판(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소용량 유압실린더(8)를 사용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c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를 장착함에 있어서 축 홀더(4)에 일체로 부착시킬 수도 있으나, 축 홀더(4)의 외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를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기타 다른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를 축 홀더(4) 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도 5c의 실시예에 더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d에는 또다른 실시예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7a)와, 상기 연결부(7a)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형부(7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7a)가 상부판(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 로드(9)가 상기 판형부(7b)의 하면에 닿은 상태에서 신장하게 되어 신장력을 가함으로써 상부판(2)과 나사축(3)이 축 홀더(4)의 외측으로 진출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트로크 축소부 재(7)의 돌출 설치 높이만큼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가 작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면 전체에서 부재번호 31은 나사축(3)이 축 홀더(4)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31)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잭 장치에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수납부가 필요한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압실린더 수납부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유압실린더 수납부의 존재로 인한 장치의 무게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각각의 부품을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취급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며, 작업시 장치가 낙하되는 등의 위험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트로크 축소부재 및/또는 유압실린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은 크기의 스트로크를 가지는 소용량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 로드(9)가 하면에 맞닿게 되어 유압실린더(8)의 신장력을 받게 되어 나사축(3)을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상부판(2);상기 상부판(2)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3);상기 나사축(3)이 그 내부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축(3)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홀더(4);상기 축 홀더(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5);상기 축 홀더(4)의 주변에 배치되어 신축하게 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8); 및상기 나사축(3)이 상기 축 홀더(4)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잭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나사축(3)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 밀림방지 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판(2)의 하면 또는 하부판(5)의 상면에는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판(2)의 하면에는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구비되어 있는데,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7a)와, 상기 연결부(7a)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판형부(7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7a)가 상부판(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축 홀더(4)의 측면에는 유압실린더(8)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로크 축소부재(7)가 구비되어 있는데,상기 스트로크 축소부재(7)는, 상기 유압실린더(8)를 소정 높이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축 홀더(4)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009A KR101276656B1 (ko) | 2005-07-01 | 2005-07-01 | 잭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009A KR101276656B1 (ko) | 2005-07-01 | 2005-07-01 | 잭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3222A true KR20070003222A (ko) | 2007-01-05 |
KR101276656B1 KR101276656B1 (ko) | 2013-06-19 |
Family
ID=3787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9009A KR101276656B1 (ko) | 2005-07-01 | 2005-07-01 | 잭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665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808B1 (ko) * | 2008-05-26 | 2011-02-14 | 주식회사 대한 | 하중잭 |
KR101425089B1 (ko) * | 2012-12-31 | 2014-08-01 | 정광순 | 유압 잭 |
KR101459733B1 (ko) * | 2013-05-22 | 2014-11-13 | 주식회사 포스코 | 충격시험기용 나이프 교환 장치 |
KR101674663B1 (ko) * | 2016-02-22 | 2016-11-11 | (주)범양이엔씨 | 대형강관지보재 선행하중 재하 장치 |
FR3074204A1 (fr) * | 2017-11-27 | 2019-05-31 | Alti-Fers et Metaux Rigaudy et Fils | Dispositif d'etaiement et procede de deploiement et de retraction dudit dispositif d'etai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387B1 (ko) | 2023-04-18 | 2023-08-28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한 쌍의 신축실린더 동시 거치 구조의 흙막이 벽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흙막이 벽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57318A (ja) * | 1988-12-08 | 1990-06-18 | Mitsui Constr Co Ltd | 山留め用支保工 |
KR100415768B1 (ko) * | 2001-04-25 | 2004-01-16 | 코벡주식회사 | 철도교의 강교를 슬래브교로 치환하는 공법 및 그 가설구조 |
-
2005
- 2005-07-01 KR KR1020050059009A patent/KR101276656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808B1 (ko) * | 2008-05-26 | 2011-02-14 | 주식회사 대한 | 하중잭 |
KR101425089B1 (ko) * | 2012-12-31 | 2014-08-01 | 정광순 | 유압 잭 |
KR101459733B1 (ko) * | 2013-05-22 | 2014-11-13 | 주식회사 포스코 | 충격시험기용 나이프 교환 장치 |
KR101674663B1 (ko) * | 2016-02-22 | 2016-11-11 | (주)범양이엔씨 | 대형강관지보재 선행하중 재하 장치 |
WO2017146428A1 (ko) * | 2016-02-22 | 2017-08-31 | (주)범양이엔씨 | 대형강관지보재 선행하중 재하 장치 |
FR3074204A1 (fr) * | 2017-11-27 | 2019-05-31 | Alti-Fers et Metaux Rigaudy et Fils | Dispositif d'etaiement et procede de deploiement et de retraction dudit dispositif d'etai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6656B1 (ko) | 201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6656B1 (ko) | 잭 장치 | |
KR200445213Y1 (ko) | 거푸집 지지장치 | |
US20190169832A1 (en) | Light steel connecting structure for house and mounting method | |
JP2010013279A (ja) |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 |
CN209891208U (zh) | 一种钢支撑防坠落装置 | |
KR100634097B1 (ko) | 반력부재를 구비한 잭 장치 | |
KR101547915B1 (ko) |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 |
KR100586144B1 (ko) |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 |
JP6125934B2 (ja) | 棚 | |
KR101568411B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CN210032730U (zh) | 建筑结构钢架的支撑装置 | |
JP2018009346A (ja) | 免震装置設置工法 | |
KR102486335B1 (ko) |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 |
JP6063621B2 (ja) | 制振間仕切パネル装置 | |
KR200397519Y1 (ko) | 반력부재를 구비한 잭 장치 | |
JP2003321890A (ja) | 支柱の取付構造 | |
CN209959653U (zh) | 一种自锁连接结构 | |
CN104244663A (zh) | 用于快速安装服务器的导轨 | |
CN210751309U (zh) | 钢管舞表演装置 | |
CN217353714U (zh) | 防倾覆建筑结构 | |
CN221577306U (zh) | 一种电动床框架连接结构 | |
JP3243033U (ja) | 型枠支持具 | |
CN115467512B (zh) | 一种便于安装的混凝土模板支撑装置及其使用方法 | |
JP3235759U (ja) | 無段階昇降式テレビスタンド | |
CN218028489U (zh) | 定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