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664U -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0664U KR20070000664U KR2020070007442U KR20070007442U KR20070000664U KR 20070000664 U KR20070000664 U KR 20070000664U KR 2020070007442 U KR2020070007442 U KR 2020070007442U KR 20070007442 U KR20070007442 U KR 20070007442U KR 20070000664 U KR20070000664 U KR 2007000066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vegetation
- masonry
- wall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토나 절개지등의 수직면에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식생 블럭에 관한 것으로, 식생을 통해 자연을 가미한 옹벽을 축조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적식 블록으로서 자연석 무늬 모양을 형성한 전면의 돌출부에 원형, 반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여러 형태의 구멍을 블록 전면의 돌출부에서 블록 후면 하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뚫어, 토사의 유출을 억제하고,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 할 수 있는 조적식용벽 구조로서, 식물의 자생 부위가 전면에 돌출되어 내무토사에까지 뿌리를 활착시켜, 양분과 수분을 식물 스스로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that can grow plants on vertical surfaces such as fills and incisions, and is intended to build retaining walls that add nature through vegeta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masonry block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block in the bottom of the block from the protrusions of the block, round, semicircle, oval, triangle, square, etc. It is a masonry edible wall structure that can penetrate, suppress the outflow of soil, and continuously supply the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The native part of the plant protrudes to the front to make roots stick to internal soil. It is composed of one configur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obtained by oneself.
옹벽,조적,축조,블럭,돌출,보강토,구멍,옹벽 축조용 블록 Retaining wall, masonry, construction, block, protrusion, reinforced soil, ho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Description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측단면 조적 상태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를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masonry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110. 블록몸체100.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120. 앙카 130. 앙카브럭120.
140. 돌출부 150. 식생구140.
160. 결합홈 170. 결합홈160.
180. 중간벽 190. 앙카걸이홈180.
본 고안은 식생 블록의 새로운 구조에 착안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 구조체의 정면에 돌출부를 만들어 돌출부에서 블록 후면 하단 방향으로 구멍을 뚫고 식물을 식재하여 자연 환경을 고려하면서, 식물의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해 주고자 고안한 옹벽축조용 식생 블록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new structure of the vegetation block, and more specifically, to make a protrusion in the front of the block structure, drill the hol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block from the protrusion to plant the plant to consider the natural environment, It is a vegeta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designed to create favorable conditions for growth.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은 도로절성토부, 아파트 부지 조성, 경사면의 안정성 확보, 수로 및 제방공사등에 지반 지지용으로 많이 활용 된다. 하지만, 많은 콘크리트 부위의 노출이 주는 인공적인 색채에 의해, 도시화 산업화등의 느낌을 현대인들에게 주어 또 다른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에 일반적인 식생 블록은 블록과 블록에 층을 두어 뒤로 물려가면서 식생을 하여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거나 면의 노출이 많아 수분이 빨리 증발하거나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식생블록으로 이 문제를 개선해 보고자 한다.The general masonry retaining wall is widely used for supporting the ground for road cutting soil, apartment site construction, securing the stability of slopes, and waterways and embankments. However, due to the artificial colors given by the exposure of many concrete parts, it gives modern people a feeling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causes another side effect. In general, the vegetation block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e use of land efficiently by vegetation with a layer on the block and the block, or the moisture evaporates quickly due to the high surface exposure. We will try to improve this problem with a new vegetation block.
상기 문제를 해결 하고자 수직으로 쌓으면서 토지를 넓게활용할 수 있고 자연의 미를 느낄 수 있는식생 블록을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getation block that can be widely used in land and feel the beauty of nature while being stacked vertical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일정크기로 이루어져 축조시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몸체(110), 블록몸체(110)를지지 할 수 있는 안카(120)와 안카블록 (130)으로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 조성,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수로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100)블록에 있어서, 블록 전면에 돌출부(140)를 형성하여 식물류의 뿌리가 내려 생장할 수 있도록, 구멍을 블록 후면 하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뚫어 식물에 필요한 양·수분을 원활히 공급하고자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브록 내부에 빗물의 유입이 쉽지 않으나 한번 유입된 수분은 브록의 노출 면이 많지 않기 때문에 브록내에 많은 토사를 이용 다음 강수시 까지 식물 스스로 살아 갈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100) 블록을 보인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anical 100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을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을 보인 측단면 조적 상태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를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의 그 주된 기술적 요지는, 조적식 용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의 조적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여, 성 ·토지나 절개지등을 보호하는 한편 조적된 각각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록(100)에 초·목류를 심어 조경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옹벽과 주위의 환경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조적을 통해 옹벽을 형성는 블록몸체(110)와, 앙카(120), 앙카블록(1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과 다름없다.First, the main technical gist of the masonry retaining wall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블록 몸체의 전면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부위가 돌출 형성되어 블록의 내부공간과 빗각으로 통공되어, 블록 자체 내의 흙을 많이 이용하여 식물의 뿌리를 원활히 활착시키고자 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기술과 다른 점이다.However, the vegetation block 100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for planting grasses and trees on the front of the block body is formed to protrude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block and the oblique angle, so that the soil within the block itself The method of smoothly rooting the roots of plants using a lot of different from the general technique.
즉,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 블록 몸체(110) 전면에는 초본식물이나 목본식물과 같은 조목류를 심을 수 있는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40)의 역할은 식재 공간 이외에 우천시 빗물을 보광토의 내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한편 각각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의 식생공간구(150)에 흙을 채워 초·목류를 식재 및 자생케 함으로써, 조경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을 통한 인공적인 구조물에 조경을 통한 자연미를 가미시켜 친환경적인 주위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vegetation block for mason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100)의 식생공간구(15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10)의 전면에 식생토를 채워 그 상부로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상향이 개방된 형태로 블록의 전면 돌출부(140)에서 블록의 후면 하단 방향으로 관통된 모양으로 관통 모양은 유동적이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식생공간구(150)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도 다르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식생공간구(150)의 구멍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기타의 모양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블록 앞면의 돌출부(140) 구멍의 모양 또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처럼 식생공간구(150)의 모양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의 축조 형태나 사용처 등에 따라 선택의 폭을 넓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도면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블록 상단부에 수분의 유입을 촉진 할 수 있는 여러 모양의 홈을 팔 수 있고 또한 상하부의 블록끼리 서로 조합할수 있도록 홈과 돌기를 구성할수 있다On the other hand, masonry retaining wall
식생공간구(150)의 구성과 함께 블록 몸체(110)의 양측면과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홈(170)과 결합 돌기(160)가 구성돼어있다 즉, 블록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홈(170)이 형성되고, 블록몸체(110)의 타측면에 이를 수용 하는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옹벽의 축조시 상하 및 좌우로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상호의 대향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70)과 결합돌기(160)가 결합 되어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The coupling groove 17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 allowing the neighboring masonry retaining wall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10)의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170)과 결합돌기(160)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을 통한 옹벽의 축조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의 연결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중간 벽을 종방향 횡방향 으로 설치 할수 있어 블록의 내구성을 높이고 옹벽의 축조 후에는 전체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을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뒤채움 보강토의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록의 수직 및 수평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더구나, 본 고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은 주위의 환경에 동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록몸체(110의 전면 상에 자연석의 질감이 있도록 하는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 및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onry retaining wall
즉, 본 고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을 보다 자연석에 가깝게 하는 경우에는 그 전면을 자연석의 질감이 나타나도록 하는 모양으로 하거나 숲을 연상시킬 수 있는 색상 및 전통적인 질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하는 전통 문양과 현대적 문양 등을 블록몸체(110)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asonry retaining wall
이상에서와 같이 블록몸체의 전면에 식생토를 채워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구(150)의 구성을 통해 옹벽 주위의 환경을 한층 자연과 가깝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100)에 의하면 블록의 전면에 특정부위를 경사지게 뚫어 식물이 블록 자체 내의 흙을 이용해 생육케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분 및 양분을 이용하여 뿌리의 활착을 촉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줄기나 잎의 생육속도도 외부에 면에 노출이 많은 기존의 식생블록에 비해 빠를 것으로 예상 된다. 아울러 성토나 절개지에 있어 식생불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블록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taining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442U KR20070000664U (en) | 2007-05-07 | 2007-05-07 |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442U KR20070000664U (en) | 2007-05-07 | 2007-05-07 |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664U true KR20070000664U (en) | 2007-06-08 |
Family
ID=4929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7442U KR20070000664U (en) | 2007-05-07 | 2007-05-07 |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0664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713B1 (en) * | 2008-02-05 | 2010-08-12 | 안정희 | Retaining Wall Blocks for Moving an Animal |
WO2012030087A2 (en) * | 2010-08-29 | 2012-03-08 | Koo Ja Sun | Eco-friendly wall and fence |
-
2007
- 2007-05-07 KR KR2020070007442U patent/KR20070000664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713B1 (en) * | 2008-02-05 | 2010-08-12 | 안정희 | Retaining Wall Blocks for Moving an Animal |
WO2012030087A2 (en) * | 2010-08-29 | 2012-03-08 | Koo Ja Sun | Eco-friendly wall and fence |
WO2012030087A3 (en) * | 2010-08-29 | 2012-05-03 | Koo Ja Sun | Eco-friendly wall and fe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627178U (en) | Biological building block | |
KR200408102Y1 (en) | Gab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lants matrix | |
KR20070000664U (en) | Vegetation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 |
CN206844059U (en) | A kind of modularization slope protection device and modularization protective slope structure | |
CN110800538A (en) | Reservoir hydro-fluctuation belt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reservoir hydro-fluctuation belt slope vegetation recovery method | |
KR20110009351A (en) | The shore protection block for reveting wall | |
KR200324520Y1 (en) | Retaining well Block | |
CN101769036B (en) | Ecological building block | |
CN105393865B (en) | Slope surface pressure zone greening method | |
CN103828573A (en) | Liaoning northwest low hilly area fruit garden water and soil conservation method | |
CN209652901U (en) | A kind of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structure for building stones mining area | |
KR200386231Y1 (en) | Concrete block for vegetation | |
KR100466007B1 (en) | Seed bed Gabion | |
CN202577237U (en) | Plant ecological ditch | |
KR20040052702A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 |
KR100496118B1 (en) | Method to keep a green slope surface | |
CN105386449A (en) | Gully ecological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18676Y1 (en) | colony block with coir roll | |
CN104081969A (en) | Water and soil conservation method for orchard in hilly area in northwest Liaoning | |
KR100531213B1 (en) | Method of reinforceing stone wall construction having a possible planting trees | |
CN109644765A (en) | A method of transplanting sweet osmanthus in salt-soda soil | |
KR101335543B1 (en) | Plantable gab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25457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box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335073Y1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 |
KR102684571B1 (en) | Gaebion for the creation and restoration of an artificial habitat for rock-epithelial p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