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793A -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793A
KR20060135793A KR1020067017603A KR20067017603A KR20060135793A KR 20060135793 A KR20060135793 A KR 20060135793A KR 1020067017603 A KR1020067017603 A KR 1020067017603A KR 20067017603 A KR20067017603 A KR 20067017603A KR 20060135793 A KR20060135793 A KR 2006013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imaging
constant
focu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까에 오까자끼
마끼비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포커스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촬상 센서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도 7의 A)에 동기하여, 노광(ex11, ex12)을 행한다(도 7의 C). 카메라 신호 처리부는, 노광(ex11, ex1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12, VR21)에서 각각 판독한다(도 7의 D). AF 검파부는, AF 검파 축소 게이트 틀(이하, 간단히 게이트 틀라고 함)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그것을 정류 검파하고, 초점 평가값을,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AF 모듈은, 복수의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2)의 타이밍에서 취득하고(도 7의 F),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3)를 생성하고(도 7의 G), 그것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렌즈 블록, 줌 렌즈, 포커스 렌즈, 촬상 센서, AF 검파부, 카메라 콘트롤러, 렌즈 드라이버, 모터, 촬상 소자 드라이버, 입력부, 고속 노광·고속 워블링 AF 모듈,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

Description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AUTOFOCU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특히, 고속 노광 및 고속 워블링 합초 구동함으로써, 오토포커스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줌 렌즈(2) 및 포커스 렌즈(3)를 포함하는 렌즈 블록(1)은, 광(즉,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 센서(4)에 입사시킨다. 촬상 센서(4)는, CCD(Charge Coupled Devices) 이미지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전 변환을 행하는 광전 변환 소자가 2차원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그 전면에는, R, G 및 B가 모자이크 형상으로 배열된 원색 필터(도시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즉, 촬상 소자(4)는, 렌즈 블록(1) 및 원색 필터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상을 광전 변환해서 촬상 신호(전하)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상 신호를 래스터 스캔 방식으로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출력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촬상 센서(4)로부터 입력된 촬상 신호에 대하여, 샘플링 처리나 YC 분리 처리 등을 행하여, 휘도 신호(Y)를 게이트부(6)에 출력하고, 휘도 신호(Y) 및 색 신호(C)(색차 신호나 원색 신호 등)를 메모리 콘트롤러(13)에 출력한다.
게이트부(6)는, 입력된 영상 신호 중,미리 설정된 화면 내의 합초 검출 영역에 상당하는 신호만을 추출해서 AF(오토포커스) 검파부(7)에 출력한다. AF 검파부(7)는, 입력된 합초 검출 영역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그것을 정류 검파해서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생성하여,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8a)에 출력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는, 입력부(14)로부터 입력되는 메뉴얼 포커스 지시 신호, 줌 지시 신호, 및 메뉴얼/오토포커스 절환 신호 등에 기초하여, 렌즈 드라이버(9) 및 촬상 소자 드라이버(1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8a)은, 상이한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노광된 영상 신호로부터 얻어진 2개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 구동시키도록 렌즈 드라이버(9)를 제어한다.
렌즈 드라이버(9)는, 카메라 콘트롤러(8)의 제어 하에서, 줌 렌즈(2)를 구동하는 모터(10) 및 포커스 렌즈(3)를 구동하는 모터(11)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모터(10, 11)는, 렌즈 드라이버(9)의 제어 하에서, 줌 렌즈(2) 또는 포커스 렌즈(3)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촬상 센서(4)를 제어하여, 렌즈 블록(1) 및 원색 필터(도시 생략)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상을 광전 변환해서 촬상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하거나, 전자 셔터(도시 생략)의 구동을 제어한다.
메모리 콘트롤러(13)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메모리(13a)에 일시 기억함과 함께,다음으로 그것을 판독하고,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출력하여, 영상으로서 표시시키거나, 혹은, 리무버블 미디어(도시 생략)에 출력하여, 거기에 기록시킨다. 입력부(14)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고, 유저로부터의 각종 지시 신호를 카메라 콘트롤러(8)에 입력한다.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서는,촬상 센서(4)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초점 평가값로 하고, 이 초점 평가값이 커지도록 포커스 렌즈(3)를 구동시키는, 소위 등산 오토포커스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오토포커스를 실현하고 있다.
여기서, 오토포커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F 검파부(7)로부터 출력되는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의 변화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횡축(x축)은,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표시하고, 종축(y축)은, 초점 평가값을 표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far 방향으로부터 near 방향, 또는 near 방향으로부터 far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 소정의 위치에서 초점 평가값은, 최대값 a를 취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을 「평가값의 산」이라고 하고, 초점 평가값이 최대값 a를 취하는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가, 그 피사체에서의 합초 위치(Q)로 된다.
따라서, AF 모듈(8a)은, AF 검파부(7)로부터 입력되는 초점 평가값을 취득하 고, 이 평가값이 최대로 되도록, 포커스 렌즈(3)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등산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 AF 모듈(8a)은, 현재의 포커스 위치로부터 합초 위치가 어느 방향에 있을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미소 진동시켜, 그때에 얻어지는 평가값의 미분 성분 dy/dx의 양음에 의해, 합초 위치로의 방향을 추측한다. 일반적으로, 이 포커스 위치의 미소 진동을, 워블링이라고 한다.
다음으로,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AF 모듈(8a)에 의한 포커스 렌즈(3)의 이동 제어 처리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또한,이 이동 제어 처리는, 1 필드 주기로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스텝 S1에서,AF 모듈(8a)은, AF 검파부(7)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취득하고, 스텝 S2에서,초점 평가값의 미분 성분 dy/dx를 추출하여, 합초 위치 방향을 추측한다. 스텝 S3에서,AF 모듈(8a)은,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Q)(도 2)에 근접시키기 위해서, 즉 핀트 맞춤을 위한 포커스 렌즈(3)의 이동량(포커스 이동량)을 산출한다.
스텝 S4에서,AF 모듈(8a)은, 워블링에 관련하는 포커스 위치의 이동이 행해지는 필드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워블링에 관련하는 포커스 위치의 이동이 행해지는 필드라고 판정했을 경우, 스텝 S5로 진행하여, 워블링에 관련하는 포커스 렌즈(3)의 이동량(워블링 이동량)을 산출한다.
스텝 S4에서,워블링에 관련하는 포커스 위치의 이동이 행해지는 필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으로 진행하고, AF 모듈(8a)은, 워블링양을 0으로 설 정한다.
스텝 S5 또는 스텝 S6의 처리 후, 스텝 S7에서,AF 모듈(8a)은, 스텝 S3의 처리에서 산출된 포커스 이동량과 스텝 S5 또는 스텝 S6의 처리에서 산출된 워블링양의 합을 산출하고, 그것을 포커스 렌즈(3)의 이동량으로 한다. AF 모듈(8a)은, 산출된 포커스 렌즈(3)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렌즈 드라이버(9)를 제어한다. 렌즈 드라이버(9)는, AF 모듈(8a)의 제어 하에서, 모터(11)를 통해 포커스 렌즈(3)를 소정의 포커스 렌즈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AF 모듈(8a)은, 포커스 렌즈(3)를 워블링시킴으로써 얻어진 초점 평가값의 미분 성분 dy/dx를 조사하여,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포커스 렌즈(3)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스를 실현하고 있다.
다음으로,도 4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 필드에 1회씩 촬상 센서(4)에 의한 노광이 행해지고, 4 필드 주기로 워블링 구동이 행해질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는,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를 촬상 소자 드라이버(12)에 각각 출력한다(도 4의 A). 이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각 기간은, 1 필드의 기간을 표시하고 있다.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는, 필드 단위로 제어되고 있으며, 워블링에 의한 포커스 위치(W)는, 1 필드의 정지 기간을 사이에 두고,1 필드 간격으로 far 방향 및 near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도록 제어되어 있다(도 4의 B).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고, 시각 t12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3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4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5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노광(ex1 내지 ex4)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도 4의 C).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1)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타이밍(VR2)에서 판독한다(도 4의 D). 마찬가지로,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2 내지 ex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각각의 타이밍(VR3 내지 VR5)(타이밍(VR5)은 도시하지 않음)에서 판독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각 타이밍에서 판독된 영상 신호(V1 내지 V4)를 얻는다(도 4의 E).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V1 내지 V4)는, 게이트부(6)에 출력된다.
여기에서는,도시는 생략하지만, 게이트부(6)에서,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중,미리 설정된 화면 내의 합초 검출 영역인 AF 검파 게이트 틀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만이 추출되고, 그것이 AF 검파부(7)에 출력된다.
AF 검파부(7)는, 입력된 영상 신호(V1)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만이 추출되는 타이밍(이하,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이라고 함)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AF 검파부(7)는, 입력된 영상 신호(V2 내지 V4)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각각 추 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AF 검파부(7)에 의해 생성된 초점 평가값은,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8a)에 출력된다.
AF 모듈(8a)은,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된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2)의 타이밍에서 취득함과 함께,상이한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서 생성된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4)의 타이밍에서 취득한다(도 4의 F). 그리고,AF 모듈(8a)은, 취득한 2개의 초점 평가값을 비교 연산하여,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5)를 생성하고, 그것을 렌즈 드라이버(9)에 출력한다(도 4의 G).
렌즈 드라이버(9)는, 입력된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1 내지 LD5)에 기초하여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여, 포커스 렌즈(3)를 소정의 포커스 렌즈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를 실현한다.
다음으로,도 5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다른 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 필드에 1회씩 촬상 센서(4)에 의한 노광이 행해지고, 2 필드 주기로 워블링 구동이 행해질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는,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를 촬상 소자 드라이버(12)에 각각 출력 한다(도 5의 A). 이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각 기간은, 1 필드의 기간을 표시하고 있다.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는, 필드 단위로 제어되고 있고, 워블링에 의한 포커스 위치(W)는, 1/2 필드의 정지 기간을 사이에 두고,1/2 필드 간격으로 far 방향 및 near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있다(도 5의 B).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여, 시각 t12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3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4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5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노광(ex1) 내지 노광(ex4)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도 5의 C).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1)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타이밍(VR2)에서 판독한다(도 5의 D). 마찬가지로,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2 내지 ex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각각의 타이밍(VR3 내지 VR5)(타이밍(VR5)은 도시하지 않음)에서 판독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각 타이밍에서 판독된 영상 신호(V1 내지 V4)를 얻는다(도 5의 E).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V1 내지 V4)는, 게이트부(6)에 출력된다.
여기에서는,도시는 생략하지만, 게이트부(6)에서,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중,미리 설정된 화면 내의 합초 검출 영역인 AF 검파 게이트 틀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만이 추출되고, 그것이 AF 검파부(7)에 출력된다.
AF 검파부(7)는, 입력된 영상 신호(V1)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 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AF 검파부(7)는, 입력된 영상 신호(V2 내지 V4)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각각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AF 검파부(7)에 의해 생성된 초점 평가값은,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8a)에 출력된다.
AF 모듈(8a)은,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된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3)의 타이밍에서 취득함과 함께,다른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서 생성된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4)의 타이밍에서 취득한다(도 5의 F). 그리고,AF 모듈(8a)은, 취득된 2개의 초점 평가값을 비교 연산하여,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5)를 생성하고, 그것을 렌즈 드라이버(9)에 출력한다(도 5의 G).
렌즈 드라이버(9)는, 입력된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1 내지 LD5)에 기초하여,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고, 포커스 렌즈(3)를 소정의 포커스 렌즈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를 실현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는, 촬상 센서(4)로부터 얻어지는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그것을 정류 검파해서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생성하고, 이 평가값이 커지도록 포커스 렌즈(3)를 구동시킴과 함께,촬상 화상상, 눈에 띄지 않는 정도로 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해서 포커스 렌즈(3)와 촬상 센서(4)의 거리를 변경하고, 초점 평가값의 미소 변화로부터 등산 제어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등산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등)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는,오토포커스에 관한 기술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239579호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초점 평가값은,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1회 출력될 때마다 1회씩 생성되기 때문에, 초점 평가값의 미소 변화로부터 등산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렌즈 위치가 상이한 수직 신호 사이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미소 워블링 구동하여, 포커스 렌즈(3)와 촬상 센서(4)의 거리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2배(도 4) 또는 4배(도 5)의 주기로 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해야만 하여, 워블링 구동에 의한 진폭에서, 화상의 미소 변화가 눈에 띄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화상의 미소 변화가 눈에 띄기 때문에, 워블링 구동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없어, 등산 제어에 관한 정보를 안정되게 얻을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해서 포커스 렌즈(3)와 촬상 센서(4)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한 상 고변화율을 작게 해야만 하여, 렌즈의 설계 및 제조가 곤란한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의 미소 변화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함과 함께,오토포커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는,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변경 수단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출 수단은, 촬상 신호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촬상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더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촬상 신호 중,어느 1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토포커스 제어 방법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 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을 포함하고,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변경 스텝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변경 스텝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 는 경우, 변경 스텝은,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가 촬상되고,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이 산출되고, 산출된 복수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이때,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거리가 변경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포커스를 실현할 수 있다.특히, 화상의 미소 변화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함과 함께,오토포커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의 변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포커스 렌즈의 이동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5는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다른 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6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8은 도 6의 비디오 카메라의 다른 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9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1: 렌즈 블록
2 : 줌 렌즈
3 : 포커스 렌즈
4 : 촬상 센서
5 : 카메라 신호 처리부
6 : 게이트부
7 : AF 검파부
8 : 카메라 컨트롤러
9 : 렌즈 드라이버
10, 11 : 모터
12 : 촬상 소자 드라이버
14 : 입력부
13 : 메모리 컨트롤러
21 : 고속 노광·고속 워블링 AF 모듈
22 : 합성/선택 메모리 컨트롤러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종래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기입하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AF 검파부(7)는, 상이한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고속 노광된 복수의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각각 추출하고, 그들을 정류 검파해서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생성하여, 카메라 콘트롤러(8)의 고속 노광·고속 워블링 AF 모듈(21)(이하, 단순히 AF 모듈(21)이라고 함)에 출력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21)은, 상이한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고속 노광된 복수의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된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 구동시키도록 렌즈 드라이버(9)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AF 모듈(21)은, 1 필드의 기간마다,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W)를, far 방향 및 near 방향으로 교대로 고속 워블링 합초 구동시키도록 렌즈 드라이버(9)를 제어한다. 또한 AF 모듈(21)은, 영상 수직 동기 신호가 1회 출력될 때마다(1 필드에 대해서), 촬상 센서(4)를 1보다 많은 촬상 횟수로 고속 노광시키도록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를 제어한다. 또한,도 7 및 도 8의 타이밍차트를 이용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 필드에 대하여, 2회 또는 4회씩 고속 노광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1 필드에 대해서 복수 회의 노광으로 얻어진 영상 신호를 메모리(22a)에 일시 기억함과 함께,축차적으로 그것을 판독하여, 필요에 따라, 1 필드의 영상 신호에 합성한 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영상으로서 표시시키거나, 혹은, 리무버블 미디어에 출력하여, 거기에 기록시킨다. 또한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복수 회의 노광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1 필드의 영상 신호로 합성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어느 1개의 영상 신호(예를 들면, 해당 필드의 1회째의 노광으로 얻어진 영상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도 7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도 6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 필드에 2회씩 촬상 센서(4)에 의한 노광이 행해지고, 1 필드 주기로 워블링 구동이 행해질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는,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를 촬상 소자 드라이버(12)에 각각 출력한다(도 7의 A). 이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각 기간은, 1 필드의 기간을 표시하고 있다.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는, 필드 단위로 제어되고 있고, 워블링에 의한 포커스 위치(W)는, 1/4 필드의 정지 기간을 사이에 두고,1/4 필드 간격으로 far 방향 및 near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있다(도 7의 B).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고, 시각 t11부터 시각 t12까지의 기간, 및 시각 t13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노광(ex11, ex12)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도 7의 C).
마찬가지로,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2 내지 VP4)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고, 시각 t21부터 시각 t22까지의 기 간, 및 시각 t23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노광(ex21, ex22)을 각각 행하도록 하고, 시각 t31부터 시각 t32까지의 기간, 및 시각 t33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노광(ex31, ex32)을 각각 행하도록 하고, 시각 t41부터 시각 t42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3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노광(ex41, ex42)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11)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12부터 시각 t2까지의 타이밍(VR12)에서 판독하고, 노광(ex1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2부터 시각 t22까지의 타이밍(VR21)에서 판독한다(도 7의 D). 마찬가지로,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21, ex2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22, VR31)에서 각각 판독하고, 노광(ex31, ex3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32, VR41)에서 각각 판독하고, 및 노광(ex41, ex4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42, VR51)(타이밍(VR51)은 도시하지 않음)에서 각각 판독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는,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의 메모리(22a)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되어 메모리(22a)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2개의 영상 신호를, 1 필드의 영상 신호로 합성 하거나,혹은, 어느 한쪽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신호(V1 내지 V4)를 얻는다(도 7의 E). 예를 들면,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타이밍(VR12)에서 판독된 영상 신호와 타이밍(VR21)에서 판독된 영상 신호를 합성하거나,혹은, 어느 한쪽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신호(V2)를 얻는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는, 게이트부(6)에도 출력된 다. 여기에서는,도시는 생략하지만, 게이트부(6)에서,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중,미리 설정된 화면 내의 합초 검출 영역인 AF 검파 게이트 틀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만이 추출되고, 그것이 AF 검파부(7)에 출력된다.
AF 검파부(7)는, 타이밍(VR12, VR21)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AF 검파부(7)는, 타이밍(VR22, VR31, VR32, VR41, VR42)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AF 검파부(7)에 의해 생성된 초점 평가값은,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21)에 출력된다.
AF 모듈(21)은, 상이한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생성된 2개의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2)의 타이밍에서 취득한다(도 7의 F). 그리고,AF 모듈(21)은, 취득한 2개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3)를 생성하고, 그것을 렌즈 드라이버(9)에 출력한다(도 7의 G).
렌즈 드라이버(9)는, 입력된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1 내지 LD4)에 기초하여,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고, 포커스 렌즈(3)를 소정의 포커스 렌즈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를 실현한다.
다음으로,도 8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도 6의 비디오 카메라의 다른 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 필드에 4회씩 촬상 센서(4)에 의한 노광이 행해지고, 1/2 필드 주기로 워블링 구동이 행해질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콘트롤러(8)는,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시각 t3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 내지 VP4)를 촬상 소자 드라이버(12)에 각각 출력한다(도 8의 A). 이 영상 수직 동기 신호의 각 기간은, 1 필드의 기간을 표시하고 있다.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는, 필드 단위로 제어되고 있고, 워블링에 의한 포커스 위치(W)는, 1/8 필드의 정지 기간을 사이에 두고,1/8 필드 간격으로 far 방향 및 near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있다(도 8의 B).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1)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고, 시각 t11부터 시각 t12까지의 기간, 시각 t13부터 시각 t14까지의 기간, 시각 t15부터 시각 t16까지의 기간, 및 시각 t17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노광(ex11 내지 ex14)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도 8의 C).
마찬가지로, 촬상 소자 드라이버(12)는, 입력되는 영상 수직 동기 신호(VP2 내지 VP4)에 동기하여, 촬상 센서(4)를 제어하고, 시각 t21부터 시각 t22까지의 기간, 시각 t23부터 시각 t24까지의 기간, 시각 t25부터 시각 t26까지의 기간, 및 시각 t27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노광(ex21 내지 ex24)을 각각 행하도록 하고, 시 각 t31부터 시각 t32까지의 기간, 시각 t33부터 시각 t34까지의 기간, 시각 t35부터 시각 t36까지의 기간, 및 시각 t37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 노광(ex31 내지 ex34)을 각각 행하도록 하고, 시각 t41부터 시각 t42까지의 기간, 시각 t43부터 시각 t44까지의 기간, 시각 t45부터 시각 t46까지의 기간, 및 시각 t47부터 시각 t5까지의 기간, 노광(ex41 내지 ex44)을 각각 행하도록 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11)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12부터 시각 t14까지의 타이밍(VR12)에서 판독하고, 노광(ex12)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14부터 시각 t16까지의 타이밍(VR13)에서 판독하고, 노광(ex13)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16부터 시각 t2까지의 타이밍(VR14)에서 판독하고, 노광(ex1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시각 t2부터 시각 t22까지의 타이밍(VR21)에서 판독한다(도 8의 D). 마찬가지로, 카메라 신호 처리부(5)는, 노광(ex21 내지 ex2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22 내지 VR24, VR31)에서 각각 판독하고, 노광(ex31 내지 ex3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32 내지 VR34, VR41)에서 각각 판독하고, 및 노광(ex41 내지 ex44)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타이밍(VR42 내지 VR44, VR51)(타이밍(VR51)은 도시하지 않음)에서 각각 판독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는,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의 메모리(22a)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되어 메모리(22a)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4개의 영상 신호를, 1 필드의 영상 신호로 합성 하거나,미리 결정된 몇 개의 영상 신호(예를 들면, 해당 필드의 1회째 및 2회째의 노광으로 얻어진 영상 신호)를, 1 필드의 영상 신호로 합성하거나,혹은, 어느 1개의 영상 신호(예를 들면, 해당 필드의 1회째의 노광으로 얻어진 영상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영상 신호(V1 내지 V4)를 얻는다(도 8의 E).
예를 들면, 합성/선택 메모리 콘트롤러(22)는, 타이밍(VR12 내지 VR14, VR21)에서 각각 판독된 4개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거나,혹은, 어느 2개의 영상 신호(예를 들면, 타이밍(VR12, VR13)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 신호(V2)를 얻는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어느 3개의 영상 신호(예를 들면, 타이밍(VR12 내지 VR14)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를 합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타이밍(VR12 내지 VR14, VR21)에서 각각 판독된 4개의 영상 신호 중,어느 1개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에 의해 판독된 영상 신호는, 게이트부(6)에도 출력된다. 여기에서는,도시는 생략하지만, 게이트부(6)에서,카메라 신호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중,미리 설정된 화면 내의 합초 검출 영역인 AF 검파 게이트 틀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만이 추출되고, 그것이 AF 검파부(7)에 출력된다.
AF 검파부(7)는, 타이밍(VR12 내지 VR14, VR21)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AF 검파부(7)는, 타이밍(VR22 내지 VR24, VR31 내지 VR34, VR41 내지 VR44)에서 각각 판독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에서 추출해서 정류 검파하고, 오토포커스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AF 검파 게이트 틀의 타이밍의 직후에 생성한다.
AF 검파부(7)에 의해 생성된 초점 평가값은, 카메라 콘트롤러(8)의 AF 모듈(21)에 출력된다.
AF 모듈(21)은, 상이한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생성된 4개의 초점 평가값을, AF 모듈(AF2)의 타이밍에서 취득한다(도 8의 F). 그리고,AF 모듈(21)은, 취득한 4개의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3)의 포커스 위치를 합초 위치에 근접시키도록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3)를 생성하고, 그것을 렌즈 드라이버(9)에 출력한다(도 8의 G).
렌즈 드라이버(9)는, 입력된 오토포커스 제어 신호(LD1 내지 LD4)에 기초하여,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고, 포커스 렌즈(3)를 소정의 포커스 렌즈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포커스를 실현한다.
이상에서는,1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2회 또는 4회의 초점 평가값을 산출시키도록 하거나, 1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1회 또는 2회의 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1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정수 N회의 초점 평가값을 산출시켜, 정수 A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정수 B회의 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1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3회의 초점 평가값을 산출시키고, 4회의 영상 수직 동기 신호에 대하여, 3회의 미소 워블링 합초 구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1 필드의 영상 신호 내에서 고속 노광 및 고속 워블링 합초 구동을 행함으로써, 워블링 진폭에 의한 화상의 미소 변화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블링 구동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등산 제어에 관한 정보를 안정되게 또한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오토포커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렌즈 상 고변화율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져, 제조 규격도 완화할 수 있다.
또한,워블링 주기가 짧아짐으로서, 초점 평가값을 생성하는 타이밍이 빨라져, 오토포커스 응답 특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초점 평가값이, 고속 노광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오토포커스를 위한 초점 평가값의 비교 연산이 불필요해지고, 이 때문에도 오토포커스 응답 특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이상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디지털 스틸카메라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고,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에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컴퓨터가 포함된다.
도 9에서,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은, ROM(Read Only Memory)(1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0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03)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03)에는 또한 CPU(10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측면에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당하게 기억된다.
CPU(101), ROM(102), 및 RAM(103)은, 버스(10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 (10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0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08), 모뎀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10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0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10)가 접속되고,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111)가 적당하게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108)에 인스톨된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 프로그램을 배신하기 위해 배포되는,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디스크(등록 상표)를 포함함), 광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디스크(MD(Mini-Disk)(등록 상표)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 디어(111)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유저에 배신되는,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02)이나, 기억부(10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본 명세서에서,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7)

  1.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를 갖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상기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을 구비하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상기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촬상 신호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상기 촬상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상기 촬상 신호 중,어느 1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5.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를 갖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상기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
    을 포함하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변경 스텝은,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상기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 방법.
  6.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를 갖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 처리용 프로그램으로서,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상기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
    을 포함하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변경 스텝은,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상기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7.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를 갖는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의 오토포커스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1/정수N)배의 주기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 스텝의 처리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산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상기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 및 촬상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변경 스텝
    을 포함하고,
    정수 A와 정수 B가 2×B>A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변경 스텝은, 상기 화상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정수 A배와, 워블링 주기의 정수 B배가 동기하도록 상기 거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7017603A 2004-03-02 2005-02-01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KR20060135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7298A JP4029296B2 (ja) 2004-03-02 2004-03-02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4-00057298 2004-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793A true KR20060135793A (ko) 2006-12-29

Family

ID=3491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603A KR20060135793A (ko) 2004-03-02 2005-02-01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73783A1 (ko)
EP (1) EP1722259A1 (ko)
JP (1) JP4029296B2 (ko)
KR (1) KR20060135793A (ko)
CN (1) CN100427988C (ko)
TW (1) TW200530650A (ko)
WO (1) WO2005085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8072B2 (ja) * 2005-09-21 2011-01-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US7547867B2 (en) * 2007-03-01 2009-06-16 Konica Minolta Opto, Inc.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ioning method
CN101458389B (zh) * 2007-12-14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对焦装置
US8570428B2 (en) 2008-05-16 2013-10-29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system having autofocus function for capturing a moving image
JP5339954B2 (ja) * 2009-02-17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5537186B2 (ja) * 2010-02-24 2014-07-0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レン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791285B2 (ja) * 2011-02-02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焦点調整方法、プログラム
JP5951211B2 (ja) * 2011-10-04 2016-07-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合焦制御装置及び内視鏡装置
EP3015893A4 (en) * 2013-10-04 2017-02-08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482A (ja) * 1983-08-02 1985-02-19 Canon Inc 撮像装置
JP2763428B2 (ja) * 1991-10-18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5614951A (en) * 1992-11-30 1997-03-25 Goldsta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a slope for automatically focusing an object in a video camera
US6222588B1 (en) * 1993-05-28 2001-04-24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with driving direction control
JPH06339059A (ja) * 1993-05-31 1994-12-06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
US5786853A (en) * 1994-04-12 1998-07-28 Canon Kabushiki Kaisha Lens control device
JP3270253B2 (ja) * 1994-09-12 2002-04-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3270262B2 (ja) * 1994-11-07 2002-04-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H08265619A (ja) * 1995-03-27 1996-10-11 Canon Inc ビデオカメラおよびレンズシステムのズーム方法
JP3866844B2 (ja) * 1997-11-19 2007-01-10 株式会社リコー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カメラ
JP2000333072A (ja) * 1999-05-19 2000-11-30 Hitachi Ltd 制御信号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1004914A (ja) * 1999-06-24 2001-01-12 Canon Inc 合焦制御装置
JP2001086389A (ja) * 1999-09-09 2001-03-30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データの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の信号処理方法
JP2002350716A (ja) * 2001-05-30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搭載したビデオカメラ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193647B2 (en) * 2002-11-27 2007-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tering still image data from a multimode 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85927A1 (ja) 2005-09-15
EP1722259A1 (en) 2006-11-15
US20070273783A1 (en) 2007-11-29
CN100427988C (zh) 2008-10-22
TW200530650A (en) 2005-09-16
CN1947047A (zh) 2007-04-11
JP4029296B2 (ja) 2008-01-09
TWI303331B (ko) 2008-11-21
JP2005252436A (ja)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9422A (ko)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KR20060135793A (ko) 오토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와 프로그램
JP4674471B2 (ja) デジタルカメラ
EP2168005B1 (en) Focus control apparatus,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334176B2 (en) Imaging apparatus
JP2005283750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231118A (j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システム及び画像合成方法
US20070058049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228942B2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駆動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9815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106682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302794A (ja) 撮像装置
JP650892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152805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81417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15283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907564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858022B2 (ja) 焦点検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202212446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700994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3108236A (ja) 撮像装置、撮像素子、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素子の制御方法
KR101581219B1 (ko) 오토 포커싱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436838B1 (ko) 오토포커싱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JP534987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H10170816A (ja) ピント合わせ情報検出装置及び焦点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