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056A -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056A
KR20060135056A KR1020067022971A KR20067022971A KR20060135056A KR 20060135056 A KR20060135056 A KR 20060135056A KR 1020067022971 A KR1020067022971 A KR 1020067022971A KR 20067022971 A KR20067022971 A KR 20067022971A KR 20060135056 A KR20060135056 A KR 2006013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range
area
start area
user
sub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010B1 (ko
Inventor
왕 콩치아오
리우 잉
조우 옌밍
가오 이푸
자리 에이. 칸가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2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0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Abstract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270)을 제공하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포함하는 필기 인식 장치(100)가 제공된다. 필기 인식 장치는 또한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처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필기 입력 영역(270)은 제1 2차원 범위(282) 및 제2 2차원 범위(282')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쓰기 개시 영역(280)을 포함하고, 제2 2차원 범위(282')는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다. 처리 장치(300)는 사용자 필기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동작에 관련된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 또는 필기에 관련된 논리적 펜 이벤트 중 하나로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쓰기 개시 영역으로 하여금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한다.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252)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 중 한 심볼(254)로서 해석하도록 야기한다.

Description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본 발명은 전자 필기 인식 장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을 가지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필기 입력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한 심볼로 해석하도록 구현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 인식 방법에 관련된다.
전자적 필기 장비에는 휴대형/개인 디지털 단말기(PDA), 팜톱 컴퓨터 및 이동식 전기 통신 단말기(이동전화기)가 포함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스타일러스 및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키패드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비교할 때 향상된 사용 기능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이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사용자 입력을 위하여 주로 스타일러스 및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지하는 장치에서, 스타일러스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것은 가끔 필기를 위한 일반적인 펜으로서 동작하고, 가끔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크롤하기 위한 마우스와 같이 동작한다. 펜이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은 정확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 및 이용 용이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 명세서에서, 실제의 물리적 스타일러스가 일반 상태로서 작동할 때는 펜은 "논리적 펜(logical pen)" 모드라고 불린다. 반대로, 스타일러스가 컴퓨터화된 사 인터페이스에서 일반적인 마우스와 같이 동작할 때, 펜은 "논리적 마우스" 모드라고 불린다.
스타일러스에 기반을 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적 스타일러스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이벤트들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것은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세 가지 이벤트는 펜 다운(pen down), 펜 이동(pen move), 및 펜 업(pen up) 이벤트들이다. 각 이벤트는 두 가지 공통 특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발생 위치 및 이벤트의 시점이다. 이러한 세 가지 종류의 이벤트들은 "펜 다운-> 펜 이동(들) -> 펜 업"과 같은 이벤트 서클을 형성한다. 이벤트 서클의 개시 시점에 하나의 펜 다운이 존재하고, 서클의 끝에 펜 업이 존재한다. 그러나, 펜 이동의 개수는 0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무한대까지 존재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가 논리적 펜으로서 작동할 때, 펜 이벤트 서클의 그래픽 펜 궤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에서 제공된다. 펜 궤적은 그들이 완성되고 완전한 심볼로서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삭제된다.
스타일러스가 논리적 마우스로 동작하면, 어떤 궤적도 스크린 위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버튼, 아이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메뉴 옵션과 같은 객체 또는 제어 요소는 스타일러스에 의하여 선택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벤트 서클이 논리적 펜 모드 또는 논리적 마우스 모드에 속하는지를 구별 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다음 두 가지 상이한 방법으로 구현되었다.
첫번째 솔루션은 도 4에 예시되는데, 이는 공간적 정보에 기초를 둔다. 기본적 규칙은 다음과 같다.
o 펜이 특정 영역에서 동작할 때에는, 이 이벤트는 논리적 펜의 이벤트로서 인식된다.
o 그렇지 않으면, 이 이벤트는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인식된다.
특정 영역은 일반적으로 필기 영역이라고 불리고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체 유효 영역과 비교할 때 제한된 크기를 가진다.
미국 특허 번호 제 6,567,549호는 도 7에 예시되는데, 이는 팜탑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7에서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한정된 필기 영역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문자 입력 박스(710, 760, 750)로 표시된다. 이러한 솔루션의 중요한 단점은 장애는 그것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부분을 특정한 필기 영역으로서 확보한다는 것이며, 이 영역은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이러한 특정 영역은 문자 및 심볼의 필기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너무 작을 수는 없다. 특히, 이동 전화기 및 다른 유사한 소형화된 기기에서, 이것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동 전화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보통 매우 작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필기를 수신하는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들을 위하여도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목적에는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요소들과 같은 객체들 모두를 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두 번째 솔루션은 도 5에 예시되는데, 이것은 시간적 정보에 기반한다. 기 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케이스에서 스타일러스는 논리적 펜으로서 식별될 것이다:
o 스크린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펜 궤적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510).
o 스크린 상에 펜 궤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벤트 서클은 적어도 하나의 펜 이동 이벤트를 포함하며(단계 520), 펜 다운 이벤트 및 첫 번째 펜 이동 이벤트 간의 시간 차 Te는 문턱치 Ts보다 작을 경우(단계 530).
다른 케이스들에 대해서는, 스타일러스는 논리적 마우스로 간주된다. 이러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어질 수 있다:
o 스크린 상에 펜 궤적이 존재하지 않고 이벤트 서클이 펜 이동 이벤트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o 스크린 상에 펜 궤적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벤트 서클이 적어도 하나의 펜 이동 이벤트를 포함하지만, 펜 다운 이벤트 및 첫 번째 펜 이동 이벤트 간의 시간 차 Te가 문턱치 Ts보다 작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문턱치 Ts는 매우 작으며 예를 들면 0.5 초이다.
이러한 솔루션의 중요한 단점은 이 솔루션이 사용자에게 특히 친근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손이 조금이라도 불안정하게 움직이면 이벤트의 의미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잘못된 동작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며, 특히 차량에 탑승한 경우와 같이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의도된 펜 다운 이벤트(논리적 마우스)를 매우 짧은 필기 이벤트(논리적 펜)와 구별하는 것은 특히 어려운데, 그 이유는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스타일러스가 펜 다운 이벤트를 입력할 때 다소간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매우 짧은 필기 입력과 유사해지기 때문이 다.
공지된 전자식 필기 장치의 다른 문제점은 어떻게 상이한 심볼 집합(또는 문자 집합)을 처리하느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 인식의 정밀도는 더 적은 개수의 심볼들을 가지는 제한된 심볼 집합들을 처리하는 경우가 더 많은 개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심볼 집합을 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양호하다. 그러므로, 라틴 문자는 일반적으로 한 문자 집합에 포함되고(또는 두 개의 문자 집합에 포함되기도 한다), 아라비아 숫자는 다른 문자 집합에 포함되고, 한자는 또 다른 문자 집합에 포함되는 등으로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은 필기 인식을 위하여 원하는 심볼 집합을 선택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이한 방법을 제공한다.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메뉴 옵션을 선택한다.
2. 심볼 집합 모드 아이콘을 선택/태핑(tapping)한다.
3. 특정 심볼 집합 제어 스트로크를 입력하여, 후속(또는 사전) 스타일러스 스트로크에 대한 해석을 특정 심볼 집합에 한정시킨다.
이미 언급된 바 있는 미국 특허번호 제 6,567,549호는 솔루션 2의 일 예이다. 최좌측 문자 입력 박스(710)는 일본어 간지 심볼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최우측의 박스(750)는 아라비아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 박스(760)는 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일본아 카타카나 문자, 또는 웨스턴 로만(Western Roman)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통합형 입력 박스인데, 이러한 문자들은 현재 입력 모드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중앙 박스(760)의 현재 입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응하 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또는 로만 모드 박스를 스타일러스로 태핑함에 의하여 선택되는데, 이러한 모드 박스들은 문자 입력 박스에 인접한 그래픽 아이콘으로서 제공된다.
상기의 솔루션의 세 개 모두는, 그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심볼 집합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부수적인 동작을 요구한다는 공통적인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기 입력 속도를 저하시킨다.
이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논리적 마우스의 펜-다운 이벤트를 짧은 논리적-펜의 필기 이벤트와 혼동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논리적 팬 및 논리적 마우스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논리적 마우스목표는 위에 논의된 문제를 풀거나, 적어도 축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하는 환경에서 더 향상된 정확도를 가지고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기 인식을 위한 상이한 심볼 집합들 간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목적 및 목표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 따른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다.
발명의 제1 태양은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이며, 이 장치는: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을 제공하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입력 영역은 제1 2차원 범위 및 제2 2차원 범위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쓰기 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2차원 범위는 상기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필기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동작에 관련된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 또는 필기에 관련된 논리적 펜 이벤트 중 하나로서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으로 하여금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하며,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 중 한 심볼로서 해석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필기 입력(hand-made user input)"은 스트로크, 또는 짧은 시간 간격 내에 입력된 연속적인 스트로크의 시퀀스(sequence)로서, 펜, 스타일러스,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다른 신체 일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펜과 유사한 객체에 의하여 터치-감응식 상에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트로크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펜 스트로크(pen stroke)"라고 불린다. 펜 스트로크는 펜 다운 이벤트 이후의 펜 이동 이벤트 및 펜 업 이벤트를 포함하거나, 단지 펜 다운 이벤트 이후의 펜 업 이벤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기 입력을 계속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쓰기 개시 영역 내 어느 위치에서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태핑함으로써 쓰기 개시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쓰기 개시 영역은 자신의 더 큰 제2 2차원 범위(two-dimensional scope)로 스위칭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각 심볼을 입력 시작할 수 있는 더 큰 영역(즉, 확장된 쓰기 개시 영역)을 가지게 된다. 특히, 이것은 장치가 흔들림 또는 다른 움직임에 노출될 수 있는 불안정한 환경의 경우에 대해서 더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2차원 범위는 주어진 기하학적 형상 및 주어진 크기(즉 사각형 또는 정방형 박스)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2차원 범위는 확장되거나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이 더 큰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펜 스트로크 또는 연속적인 스트로크 중 첫 번째 펜 스트로크가 해당 쓰기 개시 영역 내에서 개시되면, 처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심볼로서 해석할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은 논리적-펜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펜 스트로크 또는 연속적 스트로크의 시퀀스가 해당 쓰기 개시 영역 내에서 완료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그와 반대로 필기 입력 영역 내의 어느 지점에서도 완결될 수 있는데, 필기 입력 영역은 쓰기 개시 영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거의 전체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논리적-펜 모드 및 논리적 마우스 모드를 더욱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입력 동작이 오직 쓰기 개시 영역에서 시작되기만 하면 되고 쓰기 개시 영역 내에서 종결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넓은 동작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 결과로서, 사용 용이성은 향상되고 필기 입력은 더욱 용이하게 고속화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입력이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의 외부에서 개시된다면, 처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 동작으로서 해석할 것인데, 이러한 동작의 예를 들면 메뉴 아이템의 선택 및 클릭 가능한 버튼, 체크 박스, 또는 팝업/풀-다운 필드, 이러한 객체를 위한 이동 동작과 같은 그래픽 객체의 선택 등이 있다. 그러므로, 필기 입력 영역은 쓰기 개시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선택 가능한 제어 요소들이 접근될 수 있는 영역 및 필기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 모두로서 동작 가능하다. 그러므로, 해당 디스플레이의 사용 가능한 표시 영역을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포함하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쓰기 개시 영역으로 하여금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하도록 야기하는 사용자 입력에는 펜 다운 이벤트 이후의 펜업 이벤트(즉, 사용자는 스타일러스를 태핑하고 들어올림으로써 우선 쓰기 개시 영역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이벤트가 이루어지면 쓰기 개시 영역은 확장되며, 스타일러스를 다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적용함으로써 필기가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2차원 범위로의 스위칭을 야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은 단지 펜 다운 이벤트만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쓰기 개시 영역은 직접 확장되고 필기는 스타일러스를 들어올리지 않은 채 바로 개시될 수 있다(즉, 사용자는 쓰기 개시 영역을 지시하고, 해당 스타일러스가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스트로크를 직접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제1 심볼 집합 및 제2 심볼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은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하부 영역 각각은 제1 2차원 범위 및 제2 2차원 범위 간에 스위칭할 수 있으며, 제2 2차원 범위는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자신의 개별적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한다. 상기 제1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2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2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부 영역 또는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는 동작은, 상기 제1 하부 영역 또는 제2 하부 영역 중 다른 하나가 이미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영역들 중 최대 하나만이 주어진 임의의 시점에서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심볼 집합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필기 인식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쓰기 개시 영역은 제3 하부 영역 또는 더 이상의 하부 영역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제3 심볼 집합 및 더 이상의 하부 영역들에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쓰기 개시 영역은 필기 입력 영역보다 현저히 작으며, 상기 필기 입력 영역 내에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쓰기 개시 영역은 배경/필기 입력 영역의 시각적 모습과는 상이한 작은 정방형 또는 사각형 박스의 형태로서 도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각적 모습에는 상이한 색, 계조, 또는 패턴 등이 있다. 이러한 작은 박스는 메뉴 또는 상태 바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태 정보 및/또는 메뉴 및 메뉴 옵션들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과 같은 다른 목적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된다.
또는,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은 상기 필기 입력 영역 내에 적응적 위치(adaptive location)를 가지고, 상기 처리 장치는 현재 커서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적응적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법에서 쓰기 개시 영역은 매 시점에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디스플레이 위치에 근접한 위치를 가지거나, 사용자의 스타일러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적응적 위치는 장치의 사용자에 의하여 조정됨으로써, 예를 들자면 사용자의 선호하는 설정에 따라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펜 스트로크가 해석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그래픽 궤적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심볼이 해석되면, 상기 심볼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라틴 문자, 대문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 구두점 심볼, 키릴 문자(cyrillic characters), 한자, 일어 간지 심볼, 일어 하라가나 문자, 일어 가타카나 문자, 및 사용자 정의된 심볼들을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심볼 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필기인식 엔진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엔진과 협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GSM, UMTS, D-AMPS, CDMA 2000, 또는 휴대형/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또 다른 종류의 유사한 기기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은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을 가지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의 필기 인식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필기 입력 영역 내에, 제1 2차원 범위 및 제2 2차원 범위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쓰기 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2차원 범위는 상기 제1 2차원 범위보다 큰 단계;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을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쓰기 개시 영역에서 시작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 중 한 심볼로서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동일한 특징 및 장점들을 가진다.
서술된 것과 다른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첨부된 종속항들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개념적인 예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일 예시인, 이동국의 형태를 가지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국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펜, 스타일러스, 또는 이와 유사한 도구의 동작을 위한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2b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어떻게 필기가 수행되고 상이한 심볼 집합들이 선택되는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이동국의 하드웨어의 개념적인 블록도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필기 인식 과정에서 논리적 마우스 모드 및 논리적-펜 모드를 구별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6은 필기 인식 과정에서 논리적 마우스 모드 및 논리적-펜 모드를 구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자세한 사항들이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전기 통신 서비스, 이를테면 음성 통화, 데이터 콜, 팩시밀리 전송, 음악 전송, 정지 영상 전송, 비디오 전송, 전자 메시지 전송, 및 전자 상거래와 같은 서비스가 휴대용의 통신 장치 또는 이동국(1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장치(100)는 이동 통신망(110)에 무선 주파수 링크(102)를 통하여 기지국(104)을 경유하여 접속하게 되는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 있다. 이동 통신망(110)은 시판되는 모든 이동식 통신 시스템, 이를테면 GSM, UMTS, D-AMPS 또는 CDMA2000 일 수 있다. 장치(100)는 이동(셀룰러)전화기로서 도시되지만, 그 대신에 또 다른 종류의 휴대형 기기, 이를테면 휴대형/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또는 통신기일 수 있다. 도 2에 관련하여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치(100)는 스타일러스에 의하여 작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필기 정보를 입력하고 스타일러스, 펜, 또는 이와 유사한 도구를 이용하여 동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다른 기기의 사용자와의 음성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성은 일반 가입 전화망(PSTN)(130) 및 이동 통신망(110)을 통하여 고정 전화기(132)의 사용자로 통신되며, 무선 통신 링크(102')를 통하여 이동 통신망(110)에 연결된 다른 이동국(100')의 사용자에게로 통신된다.
이동 통신망(110)은 광대역 네트워크(120)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광대역 네트워크(120)는 인터넷이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그러므로, 장치(100)는 특정 프로토콜(이를테면 TCP, IP 및 HTTP) 및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이를테면 WAP 또는 www 브라우저, 이메일 또는 SMS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거하여 광대역 네트워크(120)에 연결된 컴퓨터(122)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시스템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 것일 뿐이다.
도 2a는 도 1의 장치(1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장치(100)는 장치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100)의 전면부(220)는 스피커(230), 마이크로폰(232) 및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가진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은 시각화 정보를 사용자에 제출하기 위한 출력 장치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장치도 구성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서 스타일러스(250)를 포인팅, 태핑, 및 드래깅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타일러스(25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논리적 마우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예를 들면 상이한 다른 메뉴들(260, 262, 264) 및 이들의 메뉴 옵션들에서 내에서 스크롤하거나 선택하는 동작, 커서(256)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서 설정하는 동작, 아이콘 또는 클릭 버튼(266,268)과 같은 상이한 선택 가능 요소들을 선택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스타일러스(250)는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서 손으로 쓴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논리적 펜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기 입력 영역(270)은 빗금쳐진 사각형으로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의 이용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손으로 쓴 정보는 이를테면 메시지 송신 어플리케이션(이메일, SMS, MMS), 달력 어플리케이션, 약속 어플리케이션(contact application)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손으로 쓴 입력은 필기 시작 영역(280) 내에서 개시되어야 필기 인식 엔진에 의하여 소정의 심볼 집합 외의 심볼인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g는 어떻게 심볼(252)이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 형태로 스타일러스(2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씌여지는지를 도시한다. 그래픽의 궤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공되어 손으로 쓴 입력을 표시한다. 펜 스트로크가 완료되거나, 짧은 시간 간격으로 씌여지는 일련의 펜 스트로크가 입력되면, 장치(100)의 필기 인식 엔진은 손으로 쓴 입력을 해독하기 시작하여 사전 결정된 심볼 집합으로부터 손으로 쓴 입력과 가장 일치하는 심볼을 식별한다. 해석 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식별된 심볼은 커서(256) 위치의 "평문(plain text)" 내에 제공되고 그래픽 궤적(252)을 대체한다.
도 2a에서, 장치(100)는 자신의 논리적 마우스 모드에 있고, 오직 마우스 이벤트만을 수용하는데, 즉, 모든 사용자 필기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 동작인 것으로 해석되고, 심볼을 나타내는 필기 동작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개시 영역(280)은 네 개의 하부 영역(282-288)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다음과 같은 개별 심볼 집합을 나타낸다: 대문자 라틴 문자, 소문자 라틴 문자, 아라비아 숫자, 및 한자. 도 2a에서, 모든 하위 영역(282-288)은 그들의 첫 번째 작은 범위를 작은 박스 형태로서 가진다.
사용자가 필기를 개시하고 싶어할 때, 그는 상응하는 하부 영역(282-288) 중 하나 내에서 태핑함으로써 원하는 심볼 집합을 선택할 수 있는데, 즉, 논리적 마우스 펜-다운 동작을 적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도 2a에서, 사용자는 그러므로 대문자 라틴 문자를 위한 하부 영역(282)을 선택하였으며, 여기서 이 하부 영역은 자신의 제2 범위로서 더 큰 범위(282')로 확장되는데,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제, 장치(100)는 자신의 논리적-펜 모드에 있으며, 여기서 쓰기 개시 영역(280) 내의 확장된 하부 영역(282')은 쓰기 이벤트만을 수용하는데 반하여, 다른 하부 영역들(284-288)을 포함하는 필기 입력 영역(270)의 다른 부분들은 마우스 이벤트 및 쓰기 이벤트 모두를 수용한다. 도 2c 및 도 2d에서 더욱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100)는 확장된 하부 영역(282') 내에서 개시되지만 이 영역 외부에서 종결되는 펜 스트로크(252)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필기 인식 엔진이 호출되어 펜 스트로크(252)를 심볼(254)로서 해석하는데, 여기서 대문자 "W"가 도 2d에 인식된다.
다음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소문자 라틴 문자를 쓰고 싶어하고, 그러므로 쓰기 개시 영역(280)의 상응하는 하부 영역(284)을 선택한다. 장치는 논리적 펜 모드로 유지되지만, 이전에 선택된 하부 영역(282')은 자신의 작은 크기(282)로 축소되고, 이에 반하여 현재 선택된 하부 영역(284)이 확장되는데, 이것은 도 2e의 하부 영역(284')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제, 하부 영역(284')은 쓰기 이벤트만을 수용할 것이며, 이에 반하여 다른 하부 영역(282, 286, 288)을 포함하는 필기 입력 영역(270)의 다른 부분은 마우스 이벤트 및 쓰기 이벤트 모두를 수용할 것이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문자 "e"를 입력한 뒤에, 사용자가 필기를 중지하고 논리적 마우스 모드로 돌아가고 싶으면, 사용자는 쓰기 개시 영역(280) 외부 및 필기 입력 영역(270) 내부의 아무 지점에서 펜 다운 동작을 적용함으로써 논리적 마우스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6은 논리적 마우스 모드 및 논리적 펜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입력을 논리적 펜으로서 다음 경우에서 신뢰할 수 있도록 식별한다:
o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적어도 하나의 펜 궤적(252)이 존재할 경우(단계 610). 이 경우 스트로크들이 비연속적이었을 경우라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심볼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일련의 스트로크 입력이 허용된다.
o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펜 궤적(252)이 존재하지 않으면 펜 다운 이벤트가 쓰기 개시 영역(280) 내에서 이루어졌을 경우(단계 620). 장치가 이미 논리적-펜 모드에 있다면, 사용자 입력은 필기 인식의 대상이 된다. 만일 장치가 논리 적 마우스 모드에 있다면, 선택된 하부 영역(282-288)은 확장되고, 장치는 후속하는 사용자 입력을 필기로서 처리하도록 준비된다.
스타일러스가 논리적 마우스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는:
o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펜 궤적(252)이 없으며, 펜 다운 이벤트가 쓰기 개시 영역(280)의 외부에서 이루어진 경우(단계 630).
도 3은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제어기(300)는 장치의 전체 동작을 총괄하고, 바람직하게는 시판되는 CPU("중앙 처리 유닛"),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 또는 다른 모든 전자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300)는 전자 메모리(302), 이를테면 RAM 메모리, 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것들의 모든 조합과 같은 전자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302)는 제어기(300)에 의하여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이용되는데, 이러한 목적 중 하나는 휴대용 통신 장치 내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실시간 운영 체제(320), 기계-인간 인터페이스(MMI) 드라이버(334), 어플리케이션 핸들러(332)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송신 어플리케이션(340), 달력 어플리케이션(342), 노트 어플리케이션(344) 및 약속 어플리케이션(346), 및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MMI 드라이버(334)는 다양한 MMI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40)과 같은 입출력(I/O) 장치(338)와 협동하는데, 다른 입출력 장치(338)는 이를테면 카메라, 키패드, 마이크로폰(232), 스피커(230), 바이브레이터(vibrator), 조이 스틱, 벨소리 발생기, LED 표시기 등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맨-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
필기 인식 엔진은 MMI 드라이버(334)의 상기 집합에 포함될 수 있거나, 제어기(300)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별도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현존하는 필기 인식 알고리즘 및 필기 인식 제품, 소프트웨어 기반 및/또는 하드에ㅜ어 기반의 제품 들이 필기 인식 엔진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현된다.
소프트웨어 또한 다양한 모듈, 프로토콜 스택, 및 드라이버 등으로서, 부재번호 330으로 공통적으로 표시되고 RF 인터페이스(306),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8) 및 IrDA 인터페이스(310)에 통신 서비스(전송, 네트워크, 및 연결성 서비스) 제공한다. RF 인터페이스(306)는 적합한 무선 회로뿐만 아니라 내부 또는 외부 안테나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의 무선 링크(예컨대 도 1에서의 기지국(104)으로의 링크(102))를 설정 및 유지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무선 회로는 일련의 무선 수신기 및 송신기로서 상호 결합되어 무선 수신기 및 송신기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들에는, 예를 들어 대역 통과 필터, 증폭기, 믹서, 국부 발진기, 저역 통과 필터, AD/DA 변환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장치(100)는 SIM 카드(304) 및 관련된 리더를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SIM 카드(304)는 프로세서 및 국부 동작 및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술된 필기 입력은 수신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는 전술된 메시지 송신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 이션, 및 약속 어플리케이션들(340, 342, 344, 346)은 물론 예를 들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www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WAP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영상 저장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저장 어플리케이션, 오거나이저(organizer)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게임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음성 메모 어플리케이션, 알람 시계 어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암호 저장 어플리케이션, 음악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판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문자, 또는 심볼 입력을 위한 필드를 포함하는 다른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쓰기 개시 영역(280)은 다양한 상이한 방법에 따라서 설계될 수 있다. 쓰기 개시 영역(280)은 임의의 개수의 하부 영역들로(도 2a 에서처럼 2, 3, 4개 이거나, 또는 5, 6개 이상일 수 있다)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은 개별 심볼 집합을 나타낸다. 그러나 쓰기 개시 영역(280)은 오직 하나의 영역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영역은 특정 심볼 집합 또는 단일 범용 심볼 콜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이용가능한 심볼들을 상이한 집합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경우).
더욱이, 쓰기 개시 영역(28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고정된 위치(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것처럼) 또는 적응적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쓰기 개시 영역(280)이 고정 위치를 가지면, 몇 가지 실시예에서는 쓰기 개시 영역(280)은 상태 또는 메뉴 바 내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 또는 메뉴 바도 상태 정보, 이 를테면 배터리 레벨, RSSI(신호 강도 지시자), 날짜, 시간, 어플리케이션 명칭, 문서명, 문서 내의 문자 개수, 등 및/또는 선택 가능한 메뉴들을 포함한다.
만일 쓰기 개시 영역(280)이 적응적 위치를 가지면, 그 위치는 예를 들면 현재의 커서 위치를 추종함으로써, 쓰기 개시 영역이 언제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스크린 위치에 근접하도록 편리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쓰기 개시 영역(280)은 반드시 수평 바의 형태로 설계될 필요가 없으며,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 예를 들면 세로 막대, 원 또는 정방형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쓰기 개시 영역(280)이 정방형 박스이고 하부 영역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하부 영역들은 좌표계에서의 사분면들과 같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들이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의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필기 인식 장비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을 가지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필기 입력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로부터 선택된 한 심볼로 해석하도록 구현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 인식 방법에도 적용된다.

Claims (26)

  1.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270)을 제공하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및 상기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처리 장치(300)를 포함하는 필기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은 제1 2차원 범위(2-dimensional scope)(282) 및 제2 2차원 범위(282')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쓰기 개시 영역(28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2차원 범위(282')는 상기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며,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사용자 필기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동작에 관련된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 또는 필기에 관련된 논리적 펜 이벤트 중 하나로서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으로 하여금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하며,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252)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 중 한 심볼(254)로서 해석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제1 심볼 집합 및 제2 심볼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제1 하부 영역(282) 및 제2 하부 영역(28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하부 영역 각각은 제1 2차원 범위(282, 284) 및 제2 2차원 범위(282', 284') 간에 스위칭할 수 있으며, 제2 2차원 범위는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자신의 개별적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하며,
    상기 제1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2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2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적어도 제3 심볼 집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제1 및 제2 하부 영역들(282, 284)의 동작과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하부 영역(2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영역(282) 또는 제2 하부 영역(284) 중 하나가 제2 2차원 범위(282', 284')로 스위칭되는 동작은,
    상기 제1 하부 영역(282) 또는 제2 하부 영역(284) 중 다른 하나가 이미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영역들 중 최대 하나만이 주어진 임의의 시점에서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의 시각적 지시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에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보다 현저히 작으며,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보다 현저히 작으며,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적응적 위치(adaptive location)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300)는 현재 커서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적응적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위치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용가능한 프리젠테이션 영역(240의 거의 전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용가능한 프리젠테이션 영역(240)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펜 스트로크가 해석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그래픽 궤적(252)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심볼(254)이 해석되면, 상기 심볼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라틴 문자, 대문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 구두점 심볼, 키릴 문자(cyrillic characters), 한자, 일어 간지 심볼, 일어 하라가나 문자, 일어 가타카나 문자, 및 사용자 정의된 심볼들을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심볼 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 장치는 이동 원격 통신 시스템(110)용 이동국(100)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 장치는 휴대용/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장치.
  17. 사용자 필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필기 입력 영역(270)을 제공하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을 포함하는 장치(100)의 필기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제1 2차원 범위(282) 및 제2 2차원 범 위(282') 간에 스위칭할 수 있는 쓰기 개시 영역(280)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2차원 범위(282')는 상기 제1 2차원 범위보다 큰 단계;
    상기 쓰기 개시 영역 내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을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쓰기 개시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쓰기 개시 영역에서 시작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252)을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 중 한 심볼(254)로서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제1 심볼 집합 및 제2 심볼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제1 하부 영역(282) 및 제2 하부 영역(28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하부 영역 각각은 제1 2차원 범위(282, 284) 및 제2 2차원 범위(282', 284') 간에 스위칭할 수 있으며, 제2 2차원 범위는 제1 2차원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가 자신의 개별적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 내의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마우스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상기 제1 하부 영역 및 제2 하부 영역 중 하나를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하며,
    상기 제1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1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2 하부 영역이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지면, 상기 제2 하부 영역 내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입력은 논리적 펜 이벤트로서 처리되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심볼 집합 중 한 심볼로서 해석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적어도 제3 심볼 집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은,
    제1 및 제2 하부 영역들(282, 284)의 동작과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하부 영역(2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영역(282) 또는 제2 하부 영역(284) 중 하나가 제2 2차원 범 위(282', 284')로 스위칭되는 동작은,
    상기 제1 하부 영역(282) 또는 제2 하부 영역(284) 중 다른 하나가 이미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자신의 제1 2차원 범위로 스위칭되도록 야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영역들 중 최대 하나만이 주어진 임의의 시점에서 자신의 제2 2차원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에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커서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의 위치를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에 의존하여 상기 쓰기 개시 영역(280)의 위치를 상기 필기 입력 영역(270) 내에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펜 스트로크가 해석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그래픽 궤적(252)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심볼(254)이 해석되면, 상기 심볼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40)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전 정의된 심볼들은,
    라틴 문자, 대문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 구두점 심볼, 키릴 문자, 한자, 일어 간지 심볼, 일어 하라가나 문자, 일어 가타카나 문자, 및 사용자 정의된 심볼들을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심볼 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방법.
KR1020067022971A 2006-11-01 2004-04-02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5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971A KR100859010B1 (ko) 2006-11-01 2004-04-02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971A KR100859010B1 (ko) 2006-11-01 2004-04-02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056A true KR20060135056A (ko) 2006-12-28
KR100859010B1 KR100859010B1 (ko) 2008-09-18

Family

ID=3781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971A KR100859010B1 (ko) 2006-11-01 2004-04-02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0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19B1 (ko) * 2010-02-11 2011-02-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3594A (ko) * 2011-11-15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80097790A (ko) * 2013-06-09 2018-08-31 애플 인크. 실시간 필기 인식 관리
US10466895B2 (en) 2016-06-12 2019-11-05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US10579257B2 (en) 2013-06-09 2020-03-03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592B1 (de) 2012-03-12 2017-07-15 Isiqiri Interface Tech Gmbh Computeranlage und ein Steuerungsverfahren dafür
KR101969349B1 (ko) * 2012-06-29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376A (ja) * 1982-10-25 1984-04-28 Oki Electric Ind Co Ltd オンライン手書文字認識装置
JP3188039B2 (ja) 1993-05-11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書き文字記入枠の制御方法
JPH0816313A (ja) 1994-07-04 1996-01-19 Sanyo Electric Co Ltd 手書き入力方法及び装置
JP2944439B2 (ja) 1994-12-27 1999-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19B1 (ko) * 2010-02-11 2011-02-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3594A (ko) * 2011-11-15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921744B2 (en) 2011-11-15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042291B2 (en) 2011-11-15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459626B2 (en) 2011-11-15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016658B2 (en) 2013-06-09 2021-05-25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10579257B2 (en) 2013-06-09 2020-03-03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KR20180097790A (ko) * 2013-06-09 2018-08-31 애플 인크. 실시간 필기 인식 관리
US11182069B2 (en) 2013-06-09 2021-11-23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11816326B2 (en) 2013-06-09 2023-11-14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10884617B2 (en) 2016-06-12 2021-01-05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US10466895B2 (en) 2016-06-12 2019-11-05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US11640237B2 (en) 2016-06-12 2023-05-02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US11941243B2 (en) 2016-06-12 2024-03-26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screens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620046B2 (en) 2019-06-01 2023-04-04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842044B2 (en) 2019-06-01 2023-12-12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010B1 (ko)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9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US7580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US20060279559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US20200192568A1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6944472B1 (en) Cellular phone allowing a hand-written character to be entered on the back
KR10061782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FI114175B (fi) Navigointimenetelmä, ohjelmatuote ja laite tiedon esittämiseksi käyttöliittymässä
US86106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oke based graphic input
KR10163907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및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EP1914623A1 (en) Text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20100088628A1 (en) Live preview of open windows
US20100107067A1 (en) Input on touch based user interfaces
KR20030019619A (ko)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0004080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US9690391B2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US20120086663A1 (en) Mobile terminal, language setting program and language setting method
JP2002062973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US694377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user interface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KR100859010B1 (ko)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2741194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KR20140131070A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327966A1 (en) Entering an object into a mobile terminal
CA2854753C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CN101286102B (zh) 一种用于手写识别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