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219B1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219B1
KR101013219B1 KR1020100012999A KR20100012999A KR101013219B1 KR 101013219 B1 KR101013219 B1 KR 101013219B1 KR 1020100012999 A KR1020100012999 A KR 1020100012999A KR 20100012999 A KR20100012999 A KR 20100012999A KR 101013219 B1 KR101013219 B1 KR 10101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character
point
touch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호
Original Assignee
라오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오넥스(주) filed Critical 라오넥스(주)
Priority to KR102010001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지점이 문자 인식 영역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문자 인식 영역 내라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빠르게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전환해가며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put Controlling by Using Touch Type}
본 발명은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전환해가며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등의 모바일 장치는 점차 그 기능이 복합화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기기들 간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는 추세로 발전해가고 있다. 따라서, 소형 모바일 장치라 하더라도 문자 입력을 통해 메모나 일정 관리 내용을 입력하거나 메시지를 입력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기존의 모바일 장치의 경우 문자 입력을 위해 기계식 버튼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소형 모바일 장치의 공간상 한계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2 ~ 3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버튼의 크기도 작게 만들 수밖에 없어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이 큰 입력화면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가 출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장치가 더욱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수단임과 동시에 입력 수단이기도 하므로 별도의 기계식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만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모바일 장치의 제어와 입력을 가능케 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다양한 메뉴 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메뉴 버튼을 통해 터치 입력을 받음으로써 해당 명령을 인식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 터치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손가락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를 좀더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키보드 입력을 하거나 마우스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려는 입력 모드에 따라 일일이 해당 입력 모드를 활성화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실행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입력 모드에 따라 일일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번거로움 없이 쉽고 빠르게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서 별도의 입력 모드 전환 조작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전환해가며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지점이 문자 인식 영역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문자 인식 영역 내라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지점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와 터치 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지점의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생성된 터치 정보를 전송하는 터치 입력부; 및 터치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 상태와 터치 지점의 좌표를 분석하는 터치 정보 분석 모듈, 터치 정보 분석 모듈을 통해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빠르게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전환해가며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에 터치가 입력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해 키보드 입력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해 마우스 입력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터치 입력부(110), 컴퓨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 입력부(110)와 컴퓨팅부(130)는 하나의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개의 장치로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단일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부(110)는 터치 감지부(113)와 터치 정보 생성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된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팅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터치 입력부(110)는 좌표 생성과 터치 정보를 아주 짧은 시간 단위로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입력부(110)는 터치 감지부(113)를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새로운 터치 입력받아 해당 터치 정보를 컴퓨팅부(1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저점의 좌측에 더블 터치를 입력받아 해당 터치 정보를 컴퓨팅부(1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감지부(113)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며,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좌표를 터치 정보 생성부(115)로 전송한다. 또한, 터치 감지부(113)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터치패드 형태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구비한 터치스크린의 형태일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13)를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할 경우 터치 입력부(110)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어 분리하여 휴대하기 용이한 리모컨 형태로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113)를 컴퓨팅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터치 정보 생성부(115)는 터치 감지부(113)로부터 전송받은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생성한다.
컴퓨팅부(130)는 제어 모듈(131), 임시 저장 모듈(133), 터치 정보 분석 모듈(13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 감지부(113)로부터 수신된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 제어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컴퓨팅부(130)는 일반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프로세서를 탑재한 전자기기라면 어느 것에도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MP3, PMP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컴퓨팅부(130)는 유선 전송, 무선 전송 및 내부 라인을 통한 데이터 입출력 중 어느 하나의 규격에 따라 터치 입력부(110)와 정보 전송 경로를 형성하여,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터치 지점의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컴퓨팅부(130)와 터치 입력부(110) 간의 전송 규격은 USB와 같은 유선 라인에 관한 규격일 수도 있고, RF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규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부(110)와 컴퓨팅부(130)가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된 경우에는 단순히 두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경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31)은 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마이컴 등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31)은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임시 저장 모듈(133)에 저장하고 터치 지점의 좌표가 사전에 설정된 영역 내에서 터치가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50)에 임시 저장 모듈(133)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31)은 터치 지점의 좌표가 사전에 설정된 영역 내에서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벗어나면 마우스 입력으로 인식하여 터치 지점의 좌표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다는 터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의 좌측 터치 입력, 우측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마우스 입력의 좌클릭, 우클릭 또는 더블 클릭으로 인식하고 해당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터치 입력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모듈(131)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4]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임시 저장 모듈(133)은 터치 정보에 포함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임시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임시 저장 모듈(133)에 문자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자를 지시하는 주소가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정보 분석 모듈(135)은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에서 터치 지점의 좌표를 분석하여 제어 모듈(131)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에 터치가 입력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해 키보드 입력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해 마우스 입력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110) 상에 표시된 키보드 모양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특정 키를 손으로 터치 입력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가 'A' 영역의 문자키 'D'를 손가락으로 터치 입력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손가락이 실제 터치 입력부(110)에 접촉되는 부분인 터치 지점 'b'는 문자 'D' 입력 인식 가능한 범위인 'a' 영역인 문자 인식 영역 내에 위치해야만 제어 모듈(131)은 기본적으로 터치 지점이 문자 'D'에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터치 지점 'b'는 사전에 설정된 범위인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내에서 터치 해제 없이 움직인 경우에만 문자 'D' 입력 인식이 허용된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110)를 통해 손가락으로 터치한 지점 'b'의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는 컴퓨팅부(130)로 전송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자 인식 영역 'a'를 터치 입력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터치 감지부(110)에서 떼어 터치 입력을 해제하는 경우 제어 모듈(131)은 문자 'D'가 터치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50)에 문자 'D'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입력부(113)는 문자 인식 영역 'a'에서 손가락의 터치 입력의 해제로 인해 변화된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컴퓨팅부(130)로 전송하고, 제어 모듈(131)은 문자 'D'를 지시하고 있던 문자 인식 영역 'a'에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것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문자 'D'가 최종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150)에 문자 'D'를 출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자 인식 영역 'a'를 터치 입력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해제 없이 터치 지점 'b'를 문자 입력 허용 범위 'c'의 밖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 모듈(131)은 터치 지점 'b'가 문자 입력 허용 범위 'c'를 이탈하는 지점(d)부터 마우스 입력으로 인식하여 터치 지점 'b'에서 새로운 터치 지점인 'b''로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때, 터치 입력부(113)는 문자 인식 영역 'a'에서 손가락의 터치 입력의 이동으로 인하여 변화된 터치 정보를 컴퓨팅부(130)로 전송하고 제어 모듈(131)은 문자 'D'를 지시하고 있던 문자 입력 허용 범위 'c'에서 터치 입력이 이탈하는 것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마우스 입력이 있다고 판단 후 터치 지점의 좌표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110)에 표시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한 문자를 터치 입력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터치 입력할 터치 입력부(110)에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S510),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부(1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520).
만일, 단계 S520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정보 분석 모듈(135)에서 분석한 터치 지점의 좌표를 확인하여 터치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문자 인식 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S530).
만일, 단계 S530에서 터치 입력이 문자 인식 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임시 저장 모듈(133)에 저장한다(S540).
이어서,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의해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한다(S550).
만일, 단계 S550에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지 판단한다(S560).
만일, 단계 S560에서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 판단한다(S570).
만일, 단계 S570에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임시 저장 모듈(133)에 저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한다(S580).
만일, 단계 S530에서 터치 입력이 문자 인식 영역 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의해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한다(S565).
만일, 단계 S565에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고(S561),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 판단한다(S563).
만일, 단계 S563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위의 과정을 종료한다.
만일, 단계 S560에서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단계 S561을 수행한다.
만일, 단계 S565에서 터치 지점의 이동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 모듈(131)은 단계 S563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빠르게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전환해가며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터치 입력부 113 : 터치 감지부
115 : 터치 정보 생성부 130 : 컴퓨팅부
131 : 제어 모듈 133 : 임시 저장 모듈
135 : 터치 정보 분석 모듈 1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A)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 영역('a')이 설정된 다수의 문자키가 배열된 키보드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된 터치 지점('b')이 문자 인식 영역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터치 지점이 문자 인식 영역 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문자키에 매칭된 문자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C-1)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C-1-1) 상기 단계 (C-1)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C-2)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c')의 밖(문자 입력 허용 범위 'c'를 이탈한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2-1)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1)는,
    상기 터치 지점이 상기 문자 입력 허용 범위에서 벗어나는 지점부터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내지 단계 (C-2-1) 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다는 터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의 좌측 터치 입력, 우측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이 추가로 수신되면 마우스 입력의 좌클릭, 우클릭 또는 더블 클릭으로 인식하고 해당 터치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문자 인식 영역은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기된 각각의 문자들이 터치 되었을 때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서 선택된 문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입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에서,
    상기 문자 입력 허용 범위는 상기 문자 인식 영역에 처음 터치 입력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 정상적인 문자 입력으로 인식되도록 사전에 설정된 범위인 것을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8.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인식하는 문자 인식 영역('a')이 설정된 다수의 문자키가 배열된 키보드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지점('b')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지점의 좌표가 포함된 터치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터치 정보를 전송하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 상태와 터치 지점의 좌표를 분석하는 터치 정보 분석 모듈, 상기 터치 정보 분석 모듈을 통해 상기 터치 지점이 문자 입력 허용 범위('c')의 밖(문자 입력 허용 범위를 이탈한 영역)으로 이동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는 제어 모듈, 상기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지점의 좌표가 문자 인식 영역('a') 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상기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하고, 상기 터치 정보 분석 모듈을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문자 인식 영역 내에서 터치가 해제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저장된 상기 터치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다는 터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터치 지점의 좌측 터치 입력, 우측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이 추가로 수신되면 마우스 입력의 좌클릭, 우클릭 또는 더블 클릭으로 인식하고 해당 터치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영역은,
    상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기된 각각의 문자들이 터치 되었을 때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문자가 정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입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허용 범위는,
    상기 문자 인식 영역에 처음 터치 입력된 상태에서 이동될 때 정상적인 문자 입력으로 인식되도록 사전에 설정된 범위인 것을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시스템.
KR1020100012999A 2010-02-11 2010-02-11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1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99A KR101013219B1 (ko) 2010-02-11 2010-02-11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99A KR101013219B1 (ko) 2010-02-11 2010-02-11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219B1 true KR101013219B1 (ko) 2011-02-14

Family

ID=4377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99A KR101013219B1 (ko) 2010-02-11 2010-02-11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2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0B1 (ko) 2012-03-20 2012-06-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5016434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큐키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US10725608B2 (en) 2014-08-28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blo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339A (ja) 1996-12-25 1998-07-14 Nec Corp キーボード機能付スライドパッド
KR20060135056A (ko) * 2006-11-01 2006-1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97563A (ko) * 2007-05-02 2008-11-06 오종구 키보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18435A (ko) * 2007-08-17 200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339A (ja) 1996-12-25 1998-07-14 Nec Corp キーボード機能付スライドパッド
KR20060135056A (ko) * 2006-11-01 2006-1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97563A (ko) * 2007-05-02 2008-11-06 오종구 키보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18435A (ko) * 2007-08-17 200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0B1 (ko) 2012-03-20 2012-06-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3141464A1 (ko) * 2012-03-20 2013-09-26 라오넥스 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제어 방법
WO2015016434A1 (ko) * 2013-08-02 2015-02-05 주식회사 큐키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US10725608B2 (en) 2014-08-28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CN105630327B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US20140152585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US20130201131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US20140325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US201203041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4002575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TWI659353B (zh) 電子設備以及電子設備的工作方法
JP2011170603A (ja) 携帯端末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3207759A (zh) 使用触摸的键盘布局方法和装置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EP3211510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WO2018112803A1 (zh) 触摸屏手势识别的方法及装置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EP2741194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KR20200019426A (ko) 스마트 터치패드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
JP20141677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681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US88667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selection
JP5624662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3246796A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