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754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754A
KR20140025754A KR1020120091826A KR20120091826A KR20140025754A KR 20140025754 A KR20140025754 A KR 20140025754A KR 1020120091826 A KR1020120091826 A KR 1020120091826A KR 20120091826 A KR20120091826 A KR 20120091826A KR 20140025754 A KR20140025754 A KR 2014002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me screen
touch
ite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345B1 (ko
Inventor
육형민
김준석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345B1/ko
Priority to US13/964,589 priority patent/US9766739B2/en
Priority to EP13181031.9A priority patent/EP2701054B1/en
Priority to CN201310369704.1A priority patent/CN103631511B/zh
Publication of KR2014002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최근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 예컨대, 동영상 재생, 문서 작성 등의 새로운 기능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에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개별 메뉴 실행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구분되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렉션도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단말의 운영 모드를 화면 구성 모드 즉, 편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홈 화면에서 변경되는 편집 모드는 아이콘 삭제 이동을 위한 편집 모드, 아이콘 추가를 위한 편집 모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도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의 이동 삭제를 위해서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롱 프레스(long press)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홈 화면을 멀티 탭(예,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홈 화면을 재구성하기 위한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개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최근 홈 화면을 구성화기 위한 기능들 예컨대, 폴더 생성, 페이지 추가 등의 기능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을 보다 쉽고 빠르게 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홈 화면에서 기능 별 인터렉션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인터렉션을 통해 홈 화면에서 화면 구성 모드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기능 항목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항목을 계층적으로 선택하여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화면에서 하나의 터치 제스처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들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에 대한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 모드로 변경하여 홈 화면을 구성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 위에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목 리스트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 추가 항목,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도록 제어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이동, 삭제, 추가, 폴더 생성, 페이지 추가, 바탕화면 설정 기능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고, 기능 항목 리스트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집 기능 별 사용자 인터렉션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인터렉션에 의해 홈 화면과 관련된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구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단말기의 기능 실행과 관련된 객체로서, 기능 실행 아이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홈 화면에 표시된 앱 실행 아이콘, 위젯 실행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은 홈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오브젝트 추가 기능, 오브젝트 이동 및 삭제 기능, 오브젝트 폴더 생성 기능, 페이지 생성 기능, 바탕화면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터치패널(111)과 표시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접촉점을 인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110)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110)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멀티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멀티 터치 제스처는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멀티 터치가 접촉해서 터치 해제까지의 터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2)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그의 수행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 할 수 있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에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하나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2)은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시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 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리스트는 오브젝트 이동 삭제 , 오브젝트 추가 , 폴더 생성 , 페이지 추가 , 바탕 화면 설정 등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백그라운드로 하여 홈 화면 위에 팝업창으로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화면들은 오브젝트이동 삭제를 위한 편집 화면, 오브젝트 추가를 위한 편집 화면, 홈 화면에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 페이지를 추가하기 위한 편집 화면, 바탕 화면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편집 화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 패널(112)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복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방송 시청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50)는 터치 제스처와 같은 입력 제스처를 저장하고, 각각의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는 사용자 설정 또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롱 프레스 제스처 또는 멀티 탭 제스처가 검출된 경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 제스처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홈 화면에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롱 프레스 제스처가 검출된 경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 제스처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 간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터치 제스처,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에서 롱 프레스 제스처가 발생되면,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가 표시됨에 따라,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항목 리스트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하나의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항목 리스트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용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해당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항목 리스트를 통해 원하는 기능의 항목을 선택하고, 홈 화면의 구성과 관련된 다수의 기능을 보다 용이하고 쉽게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의 기능은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일 수 있다. 이러한 대기 모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위젯의 실행 아이콘 등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10)에 오브젝트의 배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다수 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나의 페이지 화면을 홈 화면 전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인 경우, 홈 화면을 표시한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메뉴 화면 등 다수의 오브젝트들이 배열된 화면에도 해당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 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지점에서 터치 접촉점들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를 통해 터치 접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제스처는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제스처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위치 정보와 오브젝트 배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터치 지점이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검출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리스트 표시"를 위해 기 설정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스처는 홈 화면에서 아이콘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을 롱 프레스(long press)하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으며, 멀티 탭 제스처와 같이 다른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롱 프레스 터치 제스처가 검출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터치 접촉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시간이 예를 들어, 적어도 500ms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리스트 표시를 위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검출되면, 터치스크린(110)에 홈 화면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리스트는 홈 화면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모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취사선택하고,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용이하게 진입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팝업 창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항목 리스트에는 홈 화면 구성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항목 예컨대,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60)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리스트에 표시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 즉, 탭 또는 터치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탭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하나의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능 항목이 선택되면, 터치스크린에 선택된 기능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아이콘 이동, 삭제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운영 모드가 오브젝트의 이동 삭제를 위한 편집 모드로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편집 모드에서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들이 편집이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진동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운영 모드의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은 편집 모드에서 바탕화면의 색상 또는 화면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운용 모드가 편집 모드로 변경됐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3의 3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3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320)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3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을 롱 프레스(long press)(330)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롱 프레스(330)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검출 시점을 시작으로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의 터치가 위치 변동 없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10)에 <도 3의 302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를 홈 화면(310) 위에 팝업 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홈 화면(310)과 관련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 모드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리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 예를 들어,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350)을 터치 또는 탭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35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3의 3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36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운영 모드가 대기 모드에서 이동 삭제 모드로 변경됐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의 아이콘(320)을 진동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거나, 바탕화면의 색상 변경, 화면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110)은 도 3의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삭제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에서 삭제 키(370) 또는 삭제 기능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콘의 이동 삭제가 가능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을 이동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시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킬 오브젝트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선택된 아이콘(320)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터치 움직임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아이콘의 움직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320)은 터치 해제된 곳의 홈 화면에 고정(fix)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 도 3의 304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해제된 곳의 홈 화면(310)에 선택된 아이콘(32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을 삭제 키 도는 삭제 기능 아이콘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선택된 아이콘이 삭제 키 또는 삭제 기능 아이콘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된 후, 터치 해제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홈 화면(3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일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4의 4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4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420)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4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을 롱 프레스(long press)(430)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검출 시점을 시작으로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위치 변동 없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어부(160)는 <도 4의 402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는 홈 화면 위에 팝업 창으로 중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는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 예를 들어,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가 표시된 상태에서 아이콘 추가 항목(450)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아이콘 추가 항목(45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추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4의 4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추가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411)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아이콘 추가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410)에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440)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화면(420) 상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440)들이 표시됨에 따라, 운영 모드가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추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변경됐음을 인식하고,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콘 추가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41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 화면에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홈 화면에 추가시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441)를 홈 화면에 추가시킬 오브젝트로 결정하고, <도 4의 404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410)에 결정된 오브젝트(411)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에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무선 통신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Claims (9)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 위에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리스트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 추가 항목,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6.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도록 제어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상기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 추가 항목,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91826A 2012-08-22 2012-08-22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02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ko) 2012-08-22 2012-08-22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13/964,589 US9766739B2 (en) 2012-08-22 2013-08-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13181031.9A EP2701054B1 (en) 2012-08-22 2013-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N201310369704.1A CN103631511B (zh) 2012-08-22 2013-08-22 用于在具有触摸屏的终端中构造主屏幕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ko) 2012-08-22 2012-08-22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754A true KR20140025754A (ko) 2014-03-05
KR102020345B1 KR102020345B1 (ko) 2019-11-04

Family

ID=490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ko) 2012-08-22 2012-08-22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66739B2 (ko)
EP (1) EP2701054B1 (ko)
KR (1) KR102020345B1 (ko)
CN (1) CN1036315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3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18026059A1 (ko) * 2016-08-05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1052A (zh) * 2014-03-24 2015-09-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281141A1 (en) * 2014-03-31 2015-10-01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of messaging and method thereof
AU2015279544B2 (en) 2014-06-27 2018-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US10135905B2 (en) 2014-07-21 2018-11-20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CN104133651B (zh) * 2014-07-28 2017-12-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230042141A (ko) 2014-08-02 2023-03-27 애플 인크. 상황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US9787812B2 (en) 2014-08-28 2017-10-10 Honda Motor Co., Ltd. Privacy management
EP4050467A1 (en)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JP2017527033A (ja) 2014-09-02 2017-09-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入力を受信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10254948B2 (en) *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KR102319803B1 (ko) * 2014-11-26 2021-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CN104820566B (zh) * 2015-04-22 2018-03-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小型智能触摸终端返回主屏幕的方法及装置
CN104765552B (zh) * 2015-04-28 2019-04-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权限管理方法和装置
KR20170006557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53110B2 (en) * 2016-05-06 2018-08-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KR20170129372A (ko) * 2016-05-17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521107B2 (en) 2016-09-24 2019-12-3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nd interacting with different device modes
DK201870335A1 (en) 2018-05-07 2019-12-0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ACTIVE MANAGEMENT OF NOTIFICATIONS
CN110007800B (zh) * 2019-04-10 2020-11-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操作模式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U2020233622B2 (en) 2020-05-11 2022-03-10 Apple Inc.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scheduled mode changes on electronic devices
US20220365640A1 (en) * 2021-05-12 2022-11-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the Provision of Notifications
JP2024005360A (ja) * 2022-06-30 2024-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27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74490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7852A (en) * 1996-06-12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y selection on a graphical interface
DE202004009752U1 (de) * 2003-06-20 2004-11-11 Apple Computer Inc., Cupertino Computersystem mit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atenträger und Signalfolge
US20050190971A1 (en) * 2004-02-26 2005-09-01 Brubacher-Cressman Dale K.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help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JP2007249863A (ja) * 2006-03-17 2007-09-27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画面カスタマイズ方法、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画面カスタマイズプログラム
EP1956472A1 (en) * 2007-01-31 2008-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cons for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KR20090023957A (ko) 2007-09-03 200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US9619143B2 (en) *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KR100900295B1 (ko)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EP2431870B1 (en) *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83961B1 (ko) * 2010-11-17 201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64756A (ko) 2010-12-10 201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27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74490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3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18026059A1 (ko) * 2016-08-05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81359B2 (en) 2016-08-05 2022-03-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5388A1 (en) 2014-02-27
CN103631511A (zh) 2014-03-12
EP2701054A3 (en) 2014-05-14
KR102020345B1 (ko) 2019-11-04
EP2701054B1 (en) 2020-04-22
CN103631511B (zh) 2019-06-28
US9766739B2 (en) 2017-09-19
EP2701054A2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JP7412572B2 (ja) ウィジェット処理方法及び関連する機器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2089447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40115731A (ko)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30097267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050143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3005215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US9690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using key inputs or combination thereof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CA2846482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20150248213A1 (en) Method to enable hard keys of a device from the screen
KR20130097266A (ko) 휴대 단말기의 콘텐츠 뷰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09687A (ko)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는 복합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963787B1 (ko)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19531A (ko) 홈 화면의 오브젝트 메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01652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