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78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783A
KR20060134783A KR1020050125992A KR20050125992A KR20060134783A KR 20060134783 A KR20060134783 A KR 20060134783A KR 1020050125992 A KR1020050125992 A KR 1020050125992A KR 20050125992 A KR20050125992 A KR 20050125992A KR 20060134783 A KR20060134783 A KR 2006013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frame
housing
roll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718B1 (ko
Inventor
노부히로 히로에
노리부미 사토
요시시게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에 걸쳐지고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를 축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상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부(軸部)에 느슨하게 끼워진 고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 2 규제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다.
롤러, 벨트, 축지지, 하우징, 상담지체, 커버, 규제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반송 유닛이 부착된 커버체와 본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반송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체 프레임의 일부 확대 개략 사시도.
도 5는 커버체를 폐쇄하였을 때의 주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커버체를 폐쇄하였을 때의 주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커버체를 폐쇄하였을 때의 주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반송 유닛의 일부 파단 개략 평면도.
도 9는 중간 전사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본체 프레임
14 : 커버체
18 : 반송 유닛
30A : 회전축
34 : 반송 벨트
44 : 배지(排紙) 트레이
46 : 급지 카세트
50 : 하우징
52 : 기어
54, 56 : 고리 형상 부재
58 : 코일 스프링(제 1 가압부)
60 : 오목부(제 1 규제부)
62 : 돌기부(결합부)
64 : 슬릿부(제 2 규제부)
68 : 판 스프링(제 2 가압부)
P : 기록 용지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커버체가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체에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 또는 감광체(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광체(상담지체)나 중간 전사 벨트(벨트 부재)에 형성된 토너 상(toner image)을 기록 용지(기록 매체)에 전사·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나 중간 전사 벨트 등이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커버체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커버체를 개방함으로써 감광체나 중간 전사 벨트 등이 노출되는 구성으로 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1-201982호 참조).
또한, 상기 커버체에 기록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갖는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 용지의 반송 중에 종이 걸림이 발생해도 커버체를 개방시킴으로써, 종이 걸림의 원인이 된 기록 용지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이면 본체 프레임에 대한 커버체의 흔들림(특히, 반송 벨트의 폭 방향 흔들림)에 의해, 반송 벨트의 주행 중에 반송 유닛(반송 벨트)이 주주사 방향(반송 벨트의 폭 방향)에서 어긋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위치 어긋남이, 특히 풀 컬러 인쇄 중에 일어나면 각 색마다 기록 용지의 반송 위치가 미묘하게 어긋나게 되므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에 어긋남이 발생해 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은 커버체에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도 공통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커버체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체에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 송 유닛 또는 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되는 구성이라도, 상기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구동 롤러와 종동(從動) 롤러에 걸쳐지고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를 축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상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부(軸部)에 느슨하게 끼워진 고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 2 규제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제 1 규제부에 의해 반송 유닛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며, 제 2 규제부에 의해 반송 유닛의 축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따라서, 인쇄시에, 예를 들면 커버체를 유저가 누르거나 커버체에 뭔가가 충돌했을 경우에도 커버체에 설치된 반송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구동 롤러와 종동 롤 러에 걸쳐지고 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벨트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를 축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중간 전사 유닛과, 상기 상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부에 느슨하게 끼워진 고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 2 규제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제 1 규제부에 의해 중간 전사 유닛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며, 제 2 규제부에 의해 중간 전사 유닛의 축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따라서, 인쇄시에, 예를 들면 커버체를 유저가 누르거나 커버체에 뭔가가 충돌했을 경우에도 커버체에 설치된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커버체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체에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 또는 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되는 구성이라도, 상기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의 각 색마다 배열 설치된 것에 대해서는, 부호의 뒤에 「Y」,「M」,「 C」,「K」의 영문자가 첨부된 것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담지체(감광체)(20) 및 현상 유닛(16)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12)과, 상기 상담지체(20) 및 현상 유닛(16)을 개방·폐쇄하는 커버체(1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체(14)에 기록 용지(P)를 흡착 반송 가능한 반송 벨트(34)를 구비한 반송 유닛(18)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현상 유닛(16)에는 롤(roll) 형상의 상담지체(2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22)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담지체(20)에 화상광(畵像光)을 조사하여 정전(靜電) 전위의 차이에 의한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광학 박스(24)와, 잠상에 토너를 선택적으로 전이(轉移)하여 가시화하는 현상 롤러(26)와, 토너 상이 전사된 후의 상담지체(20)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상담지체(20)에 잔류한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상담지체(20)는 표면(둘레면)에 감광체층을 갖고, 대전 롤러(22)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학 박스(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화상 광)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노광되며, 상기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감쇠함으로써 정전 잠상(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대전 롤러(22)는 상담지체(20)와 맞닿고, 이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맞닿음부 부근의 미소 간극 내에서 방전이 생김으로써,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을 대략 균일하게 대전한다.
광학 박스(24)는 점멸하는 레이저광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주사시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한다. 또한, 광학 박스(24)로서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배열하고, 이들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멸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현상 롤러(26)는 상담지체(20)와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상 롤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계(電界)가 형성되며, 전하를 갖는 토너가 상담지체(20) 위의 노광된 부분으로 전이하여 가시상(可視像)을 형성한다.
한편, 반송 유닛(18)은 적어도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에 걸쳐진 반송 벨트(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 벨트(34)의 내면 측에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전사 롤러(3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후술하는 각 색에 대응하여 4 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 롤러(36)는 커버체(14)가 패쇄되었을 때(커버체(14)를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회동시켜 상담지체(20) 등을 폐쇄하였을 때),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20)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상담지체(20)와의 사이에 전사 전계(電界)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벨트(34)에 흡착 반송되어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상담지체(20) 표면의 토너 상(미정착 화상)을 전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현상 유닛(16)은 풀 컬러 인쇄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아래로부터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순서대로 연직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 어 있으며, 이들 현상 유닛(16Y 내지 16K)보다도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 측(본체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정착 장치(3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38)는 서로 둘레면이 대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닙, nip)되는 가열 롤러(40)와 가압 롤러(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기록 용지(P) 위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 상을 가열·가압함으로써, 상기 기록 용지(P)에 토너 상을 정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38)(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가열·가압되어 토너 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排紙) 트레이(44) 위로 배출된다. 이후에, 기록 용지(P)로의 토너 상의 전사를 종료한 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어 다음 번의 작상(作像) 처리에 대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의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급지 카세트(4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지 카세트(46)는 기록 용지(P)가 송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적절하게 기록 용지(P)를 급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카세트(46)의 선단부 근방에는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기록 용지(P)를 1 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 쌍(48)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지 롤러 쌍(48)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 쌍(49)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으로 송출되고, 각 색의 토너 상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커버체(14)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반송 유닛(18)에 대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유닛(18)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된 하우징(50)을 갖고, 상기 하우징(50)의 일단부(一端部)(상단부)에 구동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타단부(他端部)(하단부)에 종동 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에 기록 용지(P)를 정전 흡착 가능한 반송 벨트(34)가 권회(券回)·장가(張架)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34)의 내면 측에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에는 각 색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전사 롤러(36Y 내지 36K)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사 롤러(36Y 내지 36K)도 하우징(5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전사 롤러(36Y 내지 36K)는 커버체(14)가 폐쇄될 때에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고 각 상담지체(20Y 내지 20K)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반송 벨트(34)의 주행에 추종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 롤러(30)의 회전축(30A)의 일단부에는 구동 롤러(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52)가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52)보다도 내측이고, 하우징(50)보다도 외측의 회전축(30A)에는 고리 형상 부재(54)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하우징(5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타단부 측의 회전축(30A)에는 고리 형상 부재(56)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한편,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 상부 측의 소정 위치에는 각 고리 형상 부재(54, 56)가 맞닿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60)(제 1 규제부)가 좌우 한 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외면(外面) 측(커버체(14) 측)에는 복수(도면에 나타낸 것은 4 개)의 코일 스프링(58)(제 1 가압부)이 맞닿아 있고, 커버체(14)가 폐쇄될 때에 반송 유닛(18)을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고리 형상 부재(54, 56)는 오목부(60)에 각각 확실하게 맞닿게 되고, 이것에 의해 구동 롤러(30)의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며,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반송 유닛(18)의 위치, 즉 상담지체(20)에 대한 전사 롤러(36)(반송 벨트(34))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규제된다. 또한, 오목부(60)의 형상은 도시한 대략 「U」자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대략 「V」자 형상 등 일수도 있다.
또한, 고리 형상 부재(56)가 부착되어 있는 측(기어(5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타단부 측)의 하우징(50) 에지부에서, 적어도 전사 롤러(36Y)와 전사 롤러(36M) 사이, 및 전사 롤러(36C)와 전사 롤러(36K) 사이는 두껍게 성형되고, 상기 두껍게 형성된 에지부에 평판(平板) 형상의 돌기부(62)(결합부)가 구동 롤러(30)나 종동 롤러(32)의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유닛(18)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 규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 양단 부분에서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는 오목부(60)에 의해 상기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규제하므로, 돌기부(62)의 적어도 1 개는 오목부(60)로부터 가능한 한 격리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62)의 1 개는, 예를 들면 구동 롤러(30)(오목부(60))로부터 가장 먼 전사 롤러(36Y)와 2 번째로 먼 전사 롤러(36M) 사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것에 대응하여 각 현상 유닛(16Y 내지 16K)을 상기 축 방향의 양단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수용 가능하게 하는 본체 프레임(12)의 지지부(66) 중, 현상 유닛(16Y)과 현상 유닛(16M) 사이, 및 현상 유닛(16M)과 현상 유닛(16C) 사이의 지지부(66)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62)가 느슨하게 삽입 가능하게 되는 슬릿부(64)(제 2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릿부(64)의 깊이 D는 돌기부(62)의 돌출 높이 H보다도 크게(D > H) 되어 있으며, 커버체(14)를 폐쇄할 때에 돌기부(62)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50)의 두껍게 된 부분의 결합면(50A)에, 슬릿부(64)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66)의 선단면(66A)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유닛(18)의 구동 롤러(30)의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이 더욱 규제되며,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반송 유닛(18)의 위치, 즉 상담지체(20)에 대한 전사 롤러(36)(반송 벨트(34))의 위치가 더욱 적절한 위치로 규제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66)의 상부(또는 하부)에는 판 스프링(68)(제 2 가압부)이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초부(68A)가 본체 프레임 (12)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도 6, 도 7의 (a) 및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부(64)에 돌기부(62)가 느슨하게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62)의 외측면(또는 내측면)이 판 스프링(68)의 작용부(68B)에 의해 구동 롤러(30)(종동 롤러(32))의 축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유닛(18)이 구동 롤러(30)(종동 롤러(32))의 축 방향 일단부 측(또는 폭 방향 타단부 측)으로 향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므로, 반송 유닛(18)(반송 벨트(34))의 구동 롤러(30)(종동 롤러(32))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인쇄 중에, 예를 들면 유저가 잘못하여 커버체(14)를 누르거나 커버체(14)에 뭔가가 충돌하는 경우에도 커버체(14)에 설치된 반송 유닛(18)(반송 벨트(34))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가압부로서는 도시한 판 스프링(68)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도시하지 않음) 등 일 수도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2) 측에 돌기부(62)와 동등한 것을 형성하고, 하우징(50) 측에 슬릿부(64)와 동등한 것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8에서는 고리 형상 부재(54, 56)가 생략되어 있음) 반송 벨트(34)의 폭 방향 일단부 측(기어(52)가 부착되어 있는 측)의 내면(이면)에는 리브(rib) 형상의 돌기(70)가 반송 벨트(34)의 주행 방향을 따라 1 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브 형상의 돌기(70)가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의 일단부 측(기어(52)가 부착되어 있는 측)에 형성된 오목 홈(72)에 결합( 느슨하게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34)는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의 축 방향으로 사행(蛇行)하기 어렵다.
또한, 이것에 의해,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에 반송 벨트(34)를 걸쳐 놓을 때에는 리브 형상의 돌기(70)가 방해되므로, 상기 오목 홈(72)이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반송 벨트(34)가 각 롤러(30, 32)에 권회된다. 이 때문에, 돌기부(62)는 상기 오목 홈(7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단부 측(기어(52)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각 롤러(30, 32)에 대한 반송 벨트(34)의 일체성(권회·장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돌기부(62)가 방해되지 않고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급지 롤러 쌍(48)에 의해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1 장씩 기록 용지(P)가 꺼내져서, 레지스트 롤러 쌍(49)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반송 벨트(34) 위로 보내진다. 반송 벨트(34) 위로 보내진 기록 용지(P)는 상기 반송 벨트(34)에 의해 정전 흡착되어 각 색의 상담지체(20Y 내지 20K)로 반송된다.
한편, 현상 유닛(16)에서는, 먼저 대전 롤러(22)에 의해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리고, 광학 박스(24)로부터 레이저광(화상 광)이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으로 주사되고,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이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된다. 그 후, 현상 롤러(26)에 의해 토너가 상담지체(20) 위로 전이되고, 상기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가시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가시상이 형성되면, 반송 벨트(34)에 흡착 반송되어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상담지체(20) 표면의 토너 상(미정착 화상)이 상담지체(20)와 전사 롤러(36)에 의해 전사된다. 이것을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순서대로 실행하고, 기록 용지(P) 위에 풀 컬러의 토너 상(미정착 화상)이 전사되면, 기록 용지(P)는 반송 벨트(34)에 의해 정착 장치(38)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38)로 반송된 기록 용지(P)는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거기에 전사되어 있는 미정착의 토너 상이 가열·가압되어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장치(38)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 트레이(44) 위로 배출된다. 또한, 기록 용지(P)로의 토너 상의 전사를 종료한 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어 다음의 작상 처리에 대비한다.
여기서, 기록 용지(P)의 종이 걸림이나 현상 유닛(16)의 메인터넌스(토너 보급) 시에는, 커버체(14)를 본체 프레임(12)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현상 유닛(16)(상담지체(20))을 개방한다. 그리고, 소정의 작업 후 커버체(14)를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회동시켜 현상 유닛(16)(상담지체(20))을 폐쇄한다.
이때, 하우징(50)으로부터 바깥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 롤러(30)의 회전축(30A) 양단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고리 형상 부재(54, 56)가 하우징(50)의 외면 측(커버체(14) 측)에 맞닿아 있는 코일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의해, 본체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60)에 소정의 압력으로 맞닿는다.
또한, 하우징(50)의 한쪽 에지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62)가 본체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64)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슬릿부(64)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66)의 선단면(66A)이 하우징(50)의 결합면(50A)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반송 벨트(34)(전사 롤러(36))와 상담지체(20)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규제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에 부착되어 있는 판 스프링(68)이 돌기부(62)의 외측 면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 유닛(18)은 반송 벨트(34)의 폭 방향 일단부 측(구동 롤러(30)나 종동 롤러(32)의 축 방향 일단부 측)으로 가압된다. 즉, 반송 유닛(18)은 구동 롤러(30)의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구동 롤러(30)나 종동 롤러(32)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된다.
따라서, 인쇄 중에, 예를 들면 커버체(14)에 뭔가가 충돌하거나 하여 커버체(14)가 눌려도 커버체(14)에 설치된 반송 유닛(18)의 반송 벨트(34)가 현상 유닛(16)(상담지체(20))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상기 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풀 컬러 인쇄시에 주주사 방향(상기 축 방향)으로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기록 용지(P)가 두꺼운 종이류일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돌기부(62)가 느슨하게 삽입되는 슬릿부(64)의 적어도 1 개는 구동 롤러(30)의 회전축(30A)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고리 형상 부재(54, 56)가 맞닿는 오목부(60)로부터 가장 먼 상담지체(20Y)와 2 번째로 먼 상담지체(20M)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60)와의 조합에 의해 상하 양단부에서 반 송 유닛(18)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해 반송 유닛(18)의 위치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부(64)를 형성하는 위치가 상담지체(20Y)(현상 유닛(16Y))와 상담지체(20M)(현상 유닛(16M)) 사이, 및 상담지체(20C)(현상 유닛(16C))와 상담지체(20K)(현상 유닛(16K)) 사이의 지지부(66)이므로, 본체 프레임(12)에서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62)를 돌출 설치하는 위치도 전사 롤러(36Y)와 전사 롤러(36M) 사이, 및 전사 롤러(36C)와 전사 롤러(36K)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50)의 에지부이므로, 커버체(14)를 폐쇄할 때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하우징(50)의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62) 및 슬릿부(64)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것과 같은 결점이 없어 화상 형성 장치(1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1)는 중간 전사 유닛(75)이 커버체(14)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르다.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유닛(75)은 커버체(14)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커버체(14)는 급지 롤러 쌍(48)과 동축적(coaxially)으로 형성된 힌지부(13)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80)는 구동 롤러(76)와 종동 롤러(78)에 걸쳐지고, 구동 롤러(76)와 종 동 롤러(78)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는 텐션 롤러(8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롤러(82)로 가압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80)에는 백업 롤러(74)가 맞닿아 있고, 구동 롤러(76)와 종동 롤러(78) 사이에서 텐션 롤러(82)의 반대 측에는 각 색마다의 전사 롤러(36Y 내지 36K)가 적절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색의 상담지체(20Y 내지 20K)와 전사 롤러(36Y 내지 36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80) 위에 전사된 토너 상(미정착 화상)은 텐션 롤러(82)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80)와 백업 롤러(74)의 맞닿음 부위에서, 기록 용지(P)에 전사된다. 그리고,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는 정착 장치(38)로 반송되고, 상기 정착 장치(38)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다.
이러한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1)에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중간 전사 유닛(75)의 구동 롤러(76)의 직경 방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적절하게 규제되므로, 상담지체(20)에 대한 중간 전사 벨트(80)(전사 롤러(36))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규제되는 동시에, 중간 전사 유닛(75)(중간 전사 벨트(80))의 주주사 방향(상기 축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반송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 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르면, 반송 유닛의 위치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시에 반송 유닛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2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르면,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시에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선단면이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르면, 상담지체에 대한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벨트 부재)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내지 제 5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가 적어도 상기 종동 롤러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르면, 제 1 규제부가 구동 롤러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을 양단 측에서 위치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위치 규제로 효과적으로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6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상담지체가 연직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가장 먼 상담지체와 2 번째로 먼 상담지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제 2 규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풀 컬러 인쇄시에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내지 제 7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에 대한 하우징의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8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상기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 을 따라 돌기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 측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에지부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르면, 벨트 부재를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로 권회·장가할 때, 돌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 권회·장가되지만, 상기 벨트 부재를 권회·장가시키는 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벨트 부재의 각 롤러로의 일체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체가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면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 또는 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유닛이 상기 커버체에 부착되는 구성인 경우에도, 상기 반송 유닛 또는 중간 전사 유닛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0)

  1. 적어도 구동 롤러와 종동(從動) 롤러에 걸쳐지고,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를 축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상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부(軸部)에 느슨하게 끼워진 고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 2 규제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 적어도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에 걸쳐지고 상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벨트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를 축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중간 전사 유닛과,
    상기 상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 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상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부에 느슨하게 끼워진 고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제 1 규제부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제 2 규제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반송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반송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중간 전사 유닛을 상기 구동 롤러의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선단면이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선단면이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선단면이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2 규제부의 선단면이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종동 롤러 측에 1 쌍으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 2 규제부는 적어도 상기 종동 롤러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가 연직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가장 먼 상담지체와 2 번째로 먼 상담지체 사이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가 연직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가장 먼 상담지체와 2 번째로 먼 상담지체 사이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에지(edge)부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一端部) 측의 내면에 상기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기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他端部) 측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에지부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상기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기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벨트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 측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에지부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U자 형상의 오목부인 화상 형성 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는 U자 형상의 오목부인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평판(平板) 형상의 돌기부이며, 상기 규제부는 슬릿인 화상 형성 장치.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평판 형상의 돌기부이며, 상기 규제부는 슬릿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25992A 2005-06-23 2005-12-20 화상 형성 장치 KR10069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3401A JP4765431B2 (ja) 2005-06-23 2005-06-23 画像形成装置
JPJP-P-2005-00183401 200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83A true KR20060134783A (ko) 2006-12-28
KR100691718B1 KR100691718B1 (ko) 2007-03-12

Family

ID=3756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992A KR100691718B1 (ko) 2005-06-23 2005-12-2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71917B2 (ko)
JP (1) JP4765431B2 (ko)
KR (1) KR100691718B1 (ko)
CN (1) CN1885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506B2 (ja) * 2005-08-11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49648B2 (en) * 2005-09-21 2008-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cur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module
KR100659271B1 (ko) * 2005-11-14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811103B2 (ja) * 2006-04-27 2011-1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34609B2 (ja) 2007-03-30 2012-09-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72108B2 (ja) * 2011-10-24 2013-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339469B2 (en) 2016-01-13 2022-05-24 Applied Materials, Inc. Vacuum processing system with hold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335A (en) * 1987-08-07 1994-06-14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sheet discharger with stapler method of stapling a group a discharged sheets into sub-groups having up to n sheets
JPH0572831A (ja) * 1991-09-17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53893A (ja) * 1997-11-20 1999-06-0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66839A (ja) * 1999-08-30 2001-03-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01982A (ja) 2000-01-20 2001-07-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EP1331525A3 (en) * 2002-01-25 2004-06-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image quality and maintenance workability
JP2004258199A (ja) * 2003-02-25 2004-09-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70919B2 (ja) * 2003-03-20 2007-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3198B2 (ja) * 2003-05-16 2007-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5018011A (ja) * 2003-06-02 2005-01-20 Seiko Epson Corp 外装カバー、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2289A (ja) * 2004-05-24 2004-09-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1901A1 (en) 2006-12-28
KR100691718B1 (ko) 2007-03-12
US7471917B2 (en) 2008-12-30
JP4765431B2 (ja) 2011-09-07
CN1885196B (zh) 2010-06-09
CN1885196A (zh) 2006-12-27
JP2007003796A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7832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4302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09504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10937B2 (ja)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91718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080138110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5110B2 (en) Cover body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4083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4467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4575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roller bias system
JP456835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1165400A (ja) 画像形成装置
JP5483017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801011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119601A (ja) 画像形成装置
US851530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458446B1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227082B2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48627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566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1074046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5272988B2 (ja) 筐体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66273A (ko) 도어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전사유니트가 착탈되는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