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271B1 -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271B1
KR100659271B1 KR1020050108741A KR20050108741A KR100659271B1 KR 100659271 B1 KR100659271 B1 KR 100659271B1 KR 1020050108741 A KR1020050108741 A KR 1020050108741A KR 20050108741 A KR20050108741 A KR 20050108741A KR 100659271 B1 KR100659271 B1 KR 10065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door
locking
mount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정흥섭
유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271B1/ko
Priority to US11/434,138 priority patent/US7756445B2/en
Priority to CNB200610148607XA priority patent/CN100529990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Abstract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는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고, 전사유닛을 도어에 장착하는 장착위치를 포지셔닝하는 위치고정부, 및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는 위치고정부와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사유닛을 도어에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작, 조립, 및 유지 또는 보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전사유닛, 도어, 일체, 고정, 힌지, 유동, 위치

Description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apparatus for fixing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예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2는 도어가 열렸을 때 도 1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예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가 적용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예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4는 도어가 열렸을 때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예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옐로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도어와 전사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분해 측면도, 및 결합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유닛 고정장치의 상대위치고정부를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린터 107: 전사유닛
138: 메인 프레임 147: 전사유닛 하우징
190: 도어 191: 도어 프레임
200: 전사유닛 고정장치 210: 위치고정부
211a: 고정보스 215a, 215b: 마운트
220: 록킹부 221a, 221b: 훅크걸림부
225a, 225b: 훅크 240: 유동지지부
241, 251: 탄성서포터 242a, 242b: 마운트슬라이더
245a, 245b: 마운트보스 248a: 마운트스프링
252a, 252b: 지지판 254a, 254b: 지지판 슬라이더
257a, 257b: 지지판 보스 277a: 지지판 스프링
260: 상대위치고정부 261a, 261b: 록킹보스
265a: 록킹부재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는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예를들 면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현상유닛, 현상유닛에 의해 각각 다른 색의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광체유닛,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기록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구비한다.
또 다른 형태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 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바로 전사하지 않고 1차 전사화상으로 형성한 후 1차 전사화상을 기록매체에 2차 전사하도록 감광체와 전사유닛 사이에 배치된 전사벨트 또는 전사드럼을 구비하는 중간전사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감광체를 여러번 회전시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칼라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복수의 감광체를 일회전하여 화상을 형성하므로, 고속으로 원하는 칼라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복수의 감광체유닛과 현상유닛을 사용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하여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조립 및 유지 또는 보수가 쉽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감광체유닛과 현상유닛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각각 하나의 감광체유닛(22)과 하나의 현상유닛(28)을 포함하는 단일부품으로 모듈화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로 구성하여, 본체(14)의 카트리지 프레임(29)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전사유닛(17)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9)와 함께 개폐되도록 도어(19)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19)가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닫혀졌 을 때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의 감광체(14)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전사벨트 또는 매체이송벨트(이하 '매체이송벨트'라함)(18)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전사유닛(17)을 도어(19)와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전사유닛(17)을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도어(19)에 고정하므로, 전사유닛(17)과 도어(19)의 조립시 번거로운 고정작업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균일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어(19)가 닫혀질 때 매체이송벨트(18)가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의 감광체(14)와 일정한 압력으로 일정한 닙(nip)을 형성하도록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통상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와 전사유닛(17)가 각각 카트리지 프레임(29)과 도어(19)에 장착되어 도어(19)가 닫혀질 때 서로 접촉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 프레임(29)과 도어(19)가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외력 또는 환경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비틀림을 발생할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의 감광체(14)와 전사유닛(17)의 매체이송벨트(18)가 동작시 서로 일정한 닙과 압력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와 전사유닛(17)의 프로세스 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의 감광체(14)가 전사유닛(17)의 매체이송벨트(18)에 의해 해당하는 칼라 화상을 기록매체(P)에 차례 차례로 중첩적으로 전사할 때, 기록매체(P)에 형성되는 화상에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misregistration), 틀어 짐(skew)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는 전사유닛(17)과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도어(19)를 본체(14)에 록킹하는 록킹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유닛(17)과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사유닛(17)을 장착하는 도어(19), 또는 도어(19)를 본체(14)에 록킹하는 록킹수단이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을 경우, 전사유닛(17)의 고정위치는 바로 영향을 받게 된다. 또, 동작시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도어(19)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전사유닛(17)과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에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도, 전사유닛(17)은 외력 또는 진동에 바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전사유닛(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1M, 11C, 11K)와의 상대적인 고정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록매체(P)에 형성되는 화상에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전사유닛을 도어에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 감광체유닛과 전사유닛을 장착한 카트리지 프레임과 도어가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외력 또는 환경 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비틀림을 발생하더라도, 전사유닛의 매체이송벨트가 감광체유닛의 감광체와 일정한 닙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등이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화상형성동작시 외부 및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외력,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감광체유닛과 전사유닛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고, 전사유닛을 도어에 장착하는 장착위치를 포지셔닝하는 위치고정부; 및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고정부는 전사유닛의 제1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보스, 및 고정보스에 대향하게 도어에 형성되고, 고정보스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mount)로 구성될 수 있다. 마운트는 입구에 고정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힌지홈을 구비한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는 도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훅크, 및 훅크에 대향하게 전사유닛의 제2부분에 형성된 훅크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전사유닛을 도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지지부는, 위치고정부의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되고, 마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서포터, 및 록킹부의 후크 근처에서 도어에 형성되고,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서포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서포터는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된 마운트슬라이더, 도어에 설치되고, 마운트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마운트보스, 및 마운트슬라이더와 마운트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마운트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마운트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운트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1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1커팅슬릿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립(rib)을 구비하는 제1원통부로 구성되고, 마운트보스는 제1탄성립의 제1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2원통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서포터는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 슬라이더, 도어에 설치되고, 지지판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판 보스, 및 지지판 슬라이더와 지지판 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판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 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2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2커팅슬릿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립을 구비하는 제3원통부로 구성되고, 지지판 보스는 제2탄성립의 제2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4원통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도어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감광체유닛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상대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위치고정부는 전사유닛의 제2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보스, 및 도어가 닫혀질 때 위치하는 록킹보스에 대향하게 본체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록킹보스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록킹부재는 록킹보스와 맞물리도록 록킹보스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록킹단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 및 레버가 록킹보스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록킹보스는 외주면에 록킹돌출부를 구비하고, 레버의 록킹단부는 록킹돌출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토너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유닛;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는 전사유닛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고, 전사유닛을 도어에 장착하는 장착위치를 포지셔닝하는 위치고정부, 및 전사 유닛의 제2부분을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고정부는 전사유닛의 제1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보스, 및 고정보스에 대향하게 도어에 형성되고, 고정보스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마운트는 입구에 고정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힌지홈을 구비한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는 도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훅크, 및 훅크에 대향하게 전사유닛의 제2부분에 형성된 훅크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전사유닛을 도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지지부는, 위치고정부의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되고, 마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서포터, 및 록킹부의 후크 근처에서 도어에 형성되고,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서포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서포터는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된 마운트슬라이더, 도어에 설치되고, 마운트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마운트보스, 및 마운트슬라이더와 마운트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마운트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마운트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운트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1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1커팅슬릿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립을 구비하는 제1원통부로 구성되고, 마운트보스는 제1탄성립의 제1슬라이 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2원통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서포터는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 슬라이더, 도어에 설치되고, 지지판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판 보스, 및 지지판 슬라이더와 지지판 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판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 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2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2커팅슬릿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립을 구비하는 제3원통부로 구성되고, 지지판 보스는 제2탄성립의 제2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4원통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도어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과 감광체유닛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상대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위치고정부는 전사유닛의 제2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보스, 및 도어가 닫혀질 때 위치하는 록킹보스에 대향하게 프레임에 설치되고, 록킹보스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록킹부재는 록킹보스와 맞물리도록 록킹보스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록킹단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 및 레버가 록킹보스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록킹보스는 외주면에 록킹돌출부를 구비하고, 레버의 록킹단부는 록킹돌출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PC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00)이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41), 급지유닛(118), 카트리지 프레임(108), 카트리지유닛(110), 전사유닛 고정장치(200), 정착유닛(124), 및 배지유닛(131)을 구비한다.
본체(141)는 메인 프레임(138), 및 유지 또는 보수시 본체(141)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190)를 구비한다.
도어(190)는 회전브라켓(192)에 형성된 회전축(193)에 의해 본체(141)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도어 프레임(191)을 구비한다. 도어 프레임(191)의 외측면에는 도어(190)를 개폐하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191)과 메인 프레임(138) 사이의 적당한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과 같은 도어(191)를 본체(141)에 록킹하는 록킹장치(도시하지않음)가 형성된다.
급지유닛(118)은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P)를 급지하는 것으로, 급지카세트(120), 픽업롤러(121), 및 이송 및 백업롤러(122)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20), 픽업롤러(121), 및 이송 및 백업롤러(122)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트리지 프레임(108)은 카트리지유닛(1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급지유닛(118) 상부에 배치된다.
카트리지 프레임(108)은 카트리지유닛(110)이 배치된 장방형 형태의 함체(151)로 구성된다.
카트리지유닛(110)은 수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는 소정의 칼라, 즉 각각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각각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프로세스 카트리지(110Y)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는 감광체 유닛(182), 현상유닛(188), 및 이들을 단일부품으로 모듈화하는 하우징(190)으로 구성된다.
감광체유닛(182)은 감광체케이스(191)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감광체(104)를 구비한다. 감광체(104)은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으로 구성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104)의 외주에는 감광체(104)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롤러(102)와 감광체(104)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감광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대전롤러 (102)와 감광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유닛(188)는 감광체(104)와 대향하게 일정 갭을 두고 현상케이스(193)내에 배치된 현상롤러(107), 현상롤러(107)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14), 및 현상롤러(107)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토너 규제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현상롤러(107), 공급롤러(114), 및 토너 규제블레이드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90)은 감광체 케이스(191), 및 현상케이스(193)를 구비한다.
감광체 케이스(219)는 감광체 유닛(182)의 각종 부품, 즉 감광체(104), 대전롤러(102) 등의 축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프레임(191a, 191b), 및 제1 측면프레임(191a)의 외측에 설치된 제1구동기어(106)를 밀폐하는 제1측면커버(198)로 구성된다.
현상케이스(193)는 현상유닛(188)의 각종 부품, 즉 현상롤러(107), 공급롤러(114), 동력전달기어(115), 감속기어(117), 및 제2피동기어(119) 등의 축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측면프레임(193a, 193b), 및 제1 측면프레임(193a)의 외측에 설치된 현상롤러기어(107b), 공급롤러기어(114b), 동력전달기어(115), 감속기어(117), 및 제2구동기어(119)를 밀폐하는 제2측면커버(197)로 구성된다.
감광체 케이스(191)와 현상케이스(193)는 현상롤러축(107a)을 수용하도록 감광체 케이스(191)의 제1측면프레임(191a)의 하부(192)에 형성된 긴 슬라이드홀(192a)과 감광체축(105)의 제2단부(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 지하도록 현상케이스(193)의 제2측면프레임(193b)의 뒤쪽(도면의 좌측)에 형성된 고정부의 고정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2, 제3, 및 제4레이저스캐닝유닛(Laser scanning unit;LSU)(103Y, 103M, 103C, 103K; 도 3 및 도 4 참조)은 각각 함체(151)내의 현상 케이스(193)의 앞쪽(도면의 우측)에서 감광체 케이스(191) 및 현상케이스(193)의 중간에 형성된 슬롯(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감광체(104)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LSU(103Y, 103M, 103C, 103K)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에서 대전롤러(102)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104)의 표면에 PC 등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 등에 의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소정의 칼라, 즉 각각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제2, 제3, 및 제4 LSU(103Y, 103M, 103C, 103K)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현상 케이스(193)의 앞쪽에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와 별도로 함체(151)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현상유닛(188)의 현상케이스(193)에 일체로 모듈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사유닛(107)는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 유닛(182)의 감광체(104)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하는 것으로, 도어(190)와 함께 개폐 동작되도록 전사유닛 고정장치 (200)에 의해 도어(19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전사유닛(107)은 매체이송벨트(PTB; paper transper belt)(170), 전사부(155), 및 이들을 일체로 고정하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을 구비한다. 매체이송벨트(170)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에 지지된 복수의 롤러(171)에 회전 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전사부(155)는 매체이송벨트(170) 내측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 유닛(182)의 감광체(104)에 대향하게 전사유닛 하우징(147)에 배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55Y, 155M, 155C, 155K)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55Y, 155M, 155C, 155K)는 감광체 유닛(182)의 감광체(104)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에 전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사전압이 인가된다.
전사유닛 고정장치(200)는 전사유닛(107)을 도어(190)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으로, 위치고정부(210) 및 록킹부(220)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210)는 전사유닛(107)의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제1부분, 예를들면 하단부(147a)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 하나만 도시함)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에 대향하게 도어 프레임(191)의 내측면에는 제1 및 제2 마운트(215a, 21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마운트(215a, 215b)는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으로, 각각 ㄷ자형 부재(216)로 구성된다. ㄷ자형 부재(216)는 입구에 제1 또는 제2고정보스(211a)가 삽입된 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8)이 형성된 힌지홈(217)을 구비 한다.
록킹부(220)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제2부분, 즉 상단부(147b)를 도어 프레임(191)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훅크(225a, 225b), 및 제1 및 제2훅크걸림부(221a, 221b)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훅크(225a, 225b)는 도어 프레임(191)의 내측면 양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및 제2훅크(225a, 225b)는 각각 회전축(22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토션스프링(226)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가압되어 있다(도 6b 및 도 6c 참조).
제1 및 제2훅크걸림부(221a, 221b)는 제1 및 제2후크(225a, 225b)에 대향하게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에 형성된 L자형 부재(223)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고정부(210)와 록킹부(220)를 사용하여 전사유닛(107)을 도어(190)에 일체로 고정하는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는 제1 및 제2마운트(215a, 215b)의 ㄷ자형 부재(216)의 힌지홈(217)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는 이탈방지턱(218)을 통해 힌지홈(217)에 끼워지도록 가압된다. 그 결과, 전사유닛(107)은 도어 프레임(191)에 장착되는 장착위치가 포지셔닝됨과 아울러,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가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와 제1 및 제2마운트(215a, 215b)에 의해 도어 프레임(191)에 힌지식으로 지지된다.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가 도어 프레임(191)에 힌지식으로 고정된 후, 전사유닛 하우징(147)은 하단부(147a)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보스(211a)를 중심으로 도어 프레임(191)쪽으로, 즉 도 6a의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에 위치한 제1 및 제2훅크걸림부(221a, 221b)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2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훅크(225a, 225b)의 선단부를 뒤로 밀면서 제1 및 제2훅크(225a, 225b)의 선단부에 록킹된다.
제1 및 제2훅크걸림부(221a, 221b)가 제1 및 제2훅크(225a, 225b)의 선단부에 록킹되면, 제1 및 제2훅크(225a, 225b)은 토션스프링(226)에 의해 록킹위치에 유지되고, 전사유닛(107)을 도어(190)에 조립하는 작업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사유닛 고정장치(200)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를 도어 프레임((191)에 힌지식으로 지지하는 위치고정부(210)와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를 도어 프레임(191)에 고정하는 록킹부(220)를 구비함으로써, 전사유닛(107)을 도어(190)에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린터(100)의 제작, 조립, 및 유지 또는 보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전사유닛(107)을 도어(19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전사유닛 고정장치(200)는 유동지지부(240)를 더 포함한다.
유동지지부(240)는 제1 및 제2탄성서포터(241, 251)로 구성된다.
제1탄성서포터(241)는 위치고정부(210)의 제1 및 제2마운트(215a, 215b)의 ㄷ자형 부재(216) 아래에서 ㄷ자형 부재(216)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탄성서포터(241)는 제1 및 제2마운트(215a, 215b)의 ㄷ자형 부재(216) 아래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의 각각은 원주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의 제1탄성립(244; 하나만 도시함)을 구비하는 제1원통부(243)로 구성된다. 제1탄성립(244)은 외측면에 제1슬라이딩돌기(244a)를 구비하고, 양측에 형성된 제1커팅슬릿(244b)에 의해 탄력성을 가진다.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는 도어 프레임(191)의 내측면에서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마운트보스(245a, 245b)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 및 제2마운트보스(245a, 245b)의 각각은 제1탄성립(244)의 제1슬라이딩돌기(244a)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두 개의 제1슬라이딩홈(246a; 하나만 도시함)을 구비하는 제2원통부(246)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와 제1 및 제2마운트보스(245a, 245b) 사이에는 제1 및 제2마운트슬라이더(242a, 242b)를 제1 및 제2마운트보스(245a, 245b)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마운트스프링(248a; 도 6b에 하나만 도시함)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마운트스프링(248a)은 압축스프링(249)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마운트스프링(248a)의 탄성력은 전사유닛(107)이 장착된 도어 (190)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107)의 용지이송벨트(170)가 전사롤러, 예를들면 제3 및 제4전사롤러(155C, 155K)에 의해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C, 110K)의 감광체(104)에 대하여 소정의 닙을 형성하면서 선결된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2탄성서포터(251)는 록킹부(220)의 제1 및 제2후크(225a, 225b) 근처에서 도어 프레임(19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2탄성서포터(251)는 제1 및 제2 지지판(252a, 252b)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는 제1 및 제2지지판(252a, 252b)이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의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돌출부(279a, 279b)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돌출부(279a, 279b)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의 각각은 원주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의 제2탄성립(256)을 구비하는 제3원통부(255)로 구성된다. 제2탄성립(256)은 외측면에 제2슬라이딩돌기(256a)를 구비하고, 양측에 형성된 제2커팅슬릿(256b)에 의해 탄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는 도어 프레임(19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판 보스(257a, 257b)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 및 제2지지판보스(257a, 257b)의 각각은 제2탄성립(256)의 제2슬라이딩돌기(256a) 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두 개의 제2슬라이딩홈(259)을 구비하는 제4원통부(258)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와 제1 및 제2지지판 보스(257a, 257) 사이에는 제1 및 제2지지판 슬라이더(254a, 254b)를 제1 및 제2지지판 보스(257a, 257b)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판 스프링(277a; 하나만 도시함)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지지판 스프링(277a)은 압축스프링(278)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지지판스프링(277a)의 탄성력은 전사유닛(107)이 장착된 도어(190)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107)의 매체이송벨트(170)가 전사롤러, 예를들면 제1 및 제2전사롤러(155Y, 155M)에 의해 제1 및 제2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의 감광체(104)에 대하여 소정의 닙을 형성하면서 선결된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유동지지부(240)는 제1 및 제2돌기 마운트(215a, 215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하단부(147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서포터(241)와 제1 및 제2지지판(252a, 25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서포터(251)를 구비함으로써, 도어(190)가 닫혀질 때 도어(19) 및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프레임(108)이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외력 또는 환경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비틀림을 발생하더라도,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유닛(182)의 감광체(104)와 전사유닛(107)의 매체이송벨트(170)가 일정한 닙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감광체(104)와 매체이송벨트(170) 사이의 닙과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 등과 같은 화상결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90)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107)과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유닛(182)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전사유닛 고정장치(200)는 상대위치고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위치고정부(260)는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 도 6a 참조), 및 제1 및 제2록킹부재(265a; 하나만 도시함)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반원형 록킹돌출부(26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록킹부재(265a)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90)가 닫혀질 때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를 수용하여 록킹하도록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에 대향하게 메인 프레임(138)의 좌측벽(도시하지 않음) 및 우측벽(138a; 도 7 참조)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록킹부재(265a)의 각각은 메인 프레임(138)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138a)에 형성된 고정축(139)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록킹레버(271), 및 록킹레버(271)가 제1 또는 제2록킹보스(261a, 또는 261b)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81)으로 구성된다. 록킹레버(271)는 제1 또는 제2록킹보스(261a, 또는 261b)와 맞물리도록 제1 또는 제2록킹보스(261a, 또는 261b)의 반원형 록킹돌출부(263)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요홈(273)을 구비하는 록킹단부(271a)를 구비한다. 탄성스프링(281)은 고정축(139)에 설치되고,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탄성스프링(281)은 일단부는 메인 프레임(138)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138a)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부(28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브라켓(284)을 통과하여 레버(271)의 록킹단부(271a)에 고정된다. 지지브라켓(284)은 탄성스프링(281)의 타단부를 지지하고, 레버(271)를 수평위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어(190)가 도 4에 도시한 위치에서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혀지도록 손잡이에 의해 밀려질 때,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의 록킹돌출부(26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28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레버(271)의 록킹단부(271a)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록킹단부(271a)의 요홈(273)에 삽입되어 록킹된다. 그 결과, 도어(19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위치에 유지되고,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유닛(182)에 대하여 선결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90)가 도 3에 도시한 위치에서 회전축(193)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려지도록 당겨질 때,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의 록킹돌출부(263)는 탄성스프링(28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레버(271)의 록킹단부(271a)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록킹단부(271a)의 요홈(273)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결과, 도어(190)와 도어(190)에 장착된 전사유닛(107)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대위치고정부(260)는 도어(190)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를 감광체유닛(182)에 대하여 선결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프레임(191) 등이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프린터(100)의 화상형성동작시 외부 및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외력,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감광체유닛(182)과 전사유닛(107)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체유닛(182)과 전사유닛(107)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 등과 같은 화상결함이 방지된다.
또한, 상대위치고정부(260)는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에 형성된 제1 및 제2록킹보스(261a, 261b)와 메인 프레임(138)에 형성된 제1 및 제2록킹부재(265a)로 구성되므로, 전사유닛 하우징(147)의 상단부(147b)를 감광체유닛(182)에 대하여 선결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전사유닛 하우징(147)을 장착한 도어 프레임(191)을 메인 프레임(13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100)는 위에서 도어(190)와 본체(141) 사이에 도어( 190)를 본체(141)에 록킹하는 록킹장치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록킹장치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정착유닛(124)은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것으로, 가열롤러(126)와 가압롤러(127)를 구비한다. 가열롤러(126)는 고온의 열에 의해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도시하지 않 음)를 설치하고 있다. 가압롤러(127)는 기록매체(P)를 가압하도록 탄성가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롤러(126)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배지유닛(131)은 토너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P)를 배지트레이(148)로 배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롤러(133)와 백업롤러(135)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유닛(182)의 감광체(104)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와 같은 기록매체(P)에 바로 전사하는 매체이송벨트(170)를 가지는 전사유닛(107)을 포함하는 텐덤형 레이저 프린터(100)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제2, 제3 및 제4프로세스 카트리지(110Y, 110M, 110C, 110K)의 감광체유닛(182)의 감광체(104)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바로 전사하지 않고 1차 전사화상으로 형성한 후 1차 전사화상을 기록매체(P)에 2차 전사하도록 화상전사벨트 또는 드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중간전사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텐덤형 레이저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에서도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텐덤형 칼라 레이저 프린터(100)의 화상형성동작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유닛의 하단부를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는 위치고정 부와 전사유닛의 상단부를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사유닛을 도어에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작, 조립, 및 유지 또는 보수를 간단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유닛을 도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도어가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외력 또는 환경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비틀림을 발생하더라도, 전사유닛의 매체이송벨트가 감광체유닛의 감광체와 일정한 닙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매체이송벨트와 감광체 사이의 닙과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 등과 같은 화상결함을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도어가 닫혀질 때 전사유닛과 감광체유닛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상대위치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등이 제조공차 등에 의해 정확한 수치로 제작되지 않거나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외부 및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외력,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감광체유닛과 전사유닛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감광체유닛과 전사유닛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지터,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등과 같은 화상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6)

  1.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상기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사유닛을 상기 도어에 장착하는 장착위치를 포지셔닝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1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보스; 및
    상기 고정보스에 대향하게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보스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입구에 상기 고정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힌지홈을 구비한 ㄷ자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도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훅크; 및
    상기 훅크에 대향하게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된 훅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을 상기 도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지지부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기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서포터; 및
    상기 록킹부의 상기 후크 근처에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서포터는,
    상기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된 마운트슬라이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마운트보스; 및
    상기 마운트슬라이더와 상기 마운트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마운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1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1커팅슬릿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립을 구비하는 제1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보스는 상기 제1탄성립의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서포터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 슬라이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판 보스; 및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판 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2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2커팅슬릿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립을 구비하는 제3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 보스는 상기 제2탄성립의 상기 제2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4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혀질 때 상기 전사유닛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감광체유닛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상대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고정부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보스; 및
    상기 도어가 닫혀질 때 위치하는 상기 록킹보스에 대향하게 상기 본체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보스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재 k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보스와 맞물리도록 상기 록킹보스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록킹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보스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보스는 외주면에 록킹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상기 록킹단부는 상기 록킹돌출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 고정장치.
  15.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토너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체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을 도어에 일체로 고정하는 전사유닛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 고정장치는,
    상기 전사유닛의 제1부분을 상기 도어에 힌지식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사유 닛을 상기 도어에 장착하는 장착위치를 포지셔닝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전사유닛의 제2부분을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1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보스; 및
    상기 고정보스에 대향하게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보스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도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훅크; 및
    상기 훅크에 대향하게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된 훅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을 상기 도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지지부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기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를 탄성적으 로 지지하여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서포터; 및
    상기 록킹부의 상기 후크 근처에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서포터는,
    상기 마운트의 아래에 형성된 마운트슬라이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마운트보스; 및
    상기 마운트슬라이더와 상기 마운트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마운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1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1커팅슬릿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립을 구비하는 제1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보스는 상기 제1탄성립의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서포터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 슬라이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판 보스; 및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판 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슬라이더는, 외측면에 제2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고 양측에 위치한 제2커팅슬릿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립을 구비하는 제3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 보스는 상기 제2탄성립의 상기 제2슬라이딩돌기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제4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15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혀질 때 상기 전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유닛 사이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는 상대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고정부는,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보스; 및
    상기 도어가 닫혀질 때 위치하는 상기 록킹보스에 대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보스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재 k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보스와 맞물리도록 상기 록킹보스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록킹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보스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108741A 2005-11-14 2005-11-14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5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741A KR100659271B1 (ko) 2005-11-14 2005-11-14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434,138 US7756445B2 (en) 2005-11-14 2006-05-16 Transfer unit-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CNB200610148607XA CN100529990C (zh) 2005-11-14 2006-11-14 转印单元固定机构和具有该转印单元固定机构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741A KR100659271B1 (ko) 2005-11-14 2005-11-14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271B1 true KR100659271B1 (ko) 2006-12-20

Family

ID=3781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741A KR100659271B1 (ko) 2005-11-14 2005-11-14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56445B2 (ko)
KR (1) KR100659271B1 (ko)
CN (1) CN1005299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506B2 (ja) * 2005-08-11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10305B2 (ja) * 2006-05-15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244168B2 (en) * 2007-06-25 2012-08-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transfer device
KR20090006660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JP4868015B2 (ja) * 2009-03-26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外れ防止部材及び外れ防止構造
JP6311637B2 (ja) * 2015-04-06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047A1 (en) 2001-09-13 2003-03-1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77599A (ja) 2002-08-12 2004-03-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7440A (ja) 2003-08-29 2005-03-24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0065A (en) * 1979-03-09 1980-09-16 Ricoh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60113277A (ja) * 1983-11-25 1985-06-19 Ricoh Co Ltd 記録装置
DE4309445B4 (de) * 1992-03-24 2005-01-27 Pentax Corp. Elektrofotografisches Gerät
JPH08137181A (ja) * 1994-11-11 1996-05-3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970062827A (ko) 1996-02-17 1997-09-12 김광호 레이저 빔 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JPH10301462A (ja) * 1997-05-01 1998-11-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70153B2 (ja) 1999-02-10 2005-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062781A (ja) 2000-08-14 2002-02-28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072618A (ja) * 2000-09-04 2002-03-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785492B2 (en) * 2001-09-28 2004-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4020574A (ja) 2002-06-12 2004-01-22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カラー記録装置
JP4239558B2 (ja) * 2002-11-12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89115B2 (ja) * 2003-03-07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33471B2 (ja) * 2003-03-11 2008-08-1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ロック構造
JP3976001B2 (ja) * 2003-11-07 2007-09-12 村田機械株式会社 両面画像形成装置
JP2005172854A (ja) * 2003-12-05 2005-06-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転写材案内装置
JP4765431B2 (ja) * 2005-06-23 2011-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49648B2 (en) * 2005-09-21 2008-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cur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module
JP4974290B2 (ja) * 2007-07-17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047A1 (en) 2001-09-13 2003-03-1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77599A (ja) 2002-08-12 2004-03-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7440A (ja) 2003-08-29 2005-03-24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7409A (zh) 2007-05-23
CN100529990C (zh) 2009-08-19
US7756445B2 (en) 2010-07-13
US20070110476A1 (en)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1673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0922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50591B2 (en)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KR100659271B1 (ko) 전사유닛 고정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04092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cartridge with mounting interval regulation
JP2004004986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618949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KR100608015B1 (ko) 도어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전사유니트가 착탈되는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