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731A -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731A
KR20060134731A KR1020050054654A KR20050054654A KR20060134731A KR 20060134731 A KR20060134731 A KR 20060134731A KR 1020050054654 A KR1020050054654 A KR 1020050054654A KR 20050054654 A KR20050054654 A KR 20050054654A KR 20060134731 A KR20060134731 A KR 2006013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aperture plate
lens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30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30B1/ko
Priority to US11/455,094 priority patent/US7342698B2/en
Priority to CNB2006101061084A priority patent/CN100443948C/zh
Publication of KR2006013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9Details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주사장치는 피노광체 상으로 광빔을 주사하여 라인 형상의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로서, 광빔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으로, 그 마주보는 면에는 만곡부가 개구된 곡면 형상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개구 주위의 반사면으로 입사된 광빔을 입사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어퍼처판, 및 어퍼처판 및 피노광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을 피노광체의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개시된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에 의하면,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된 광원유니트에 의하면, 광빔의 정형 과정에서 배제된 광빔이 광주사장치 내로 재유입됨으로써, 발생되는 광파워 저하나 불필요한 잔상이 제거되면서도 곡면 형상의 반사경을 적용함으로써,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제품불량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Light scanning unit and light source unit for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광주사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도 2에 도시된 광원유니트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유니트의 광학적인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채용 가능한 광원유니트의 광학적인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광원유니트 111 : 발광소자
120 : 베이스 프레임 125 : 제1 렌즈
126 : 렌즈홀더 130 : 어퍼처판
131 : 환형지지부재 135 : 곡면반사경
140 : 빔편향기 150 : 광학주사렌즈
165 : 반사미러 170 : 피노광체
G :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 채널 A : 곡면반사경의 개구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빔을 정형하는 과정에서 배제된 광빔의 간섭이나 광학계로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요소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개선된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 LSU)는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바코드 리더, 팩시밀리 등의 기기에 채용되는 것으로, 빔편향기에 의한 주주사와, 피노광체의 회전에 의한 부주사를 통하여 피노광면에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광주사장치의 주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미도시된 레이저광원에서 출사된 발산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팅 렌즈(미도시)를 거치면서 평행광속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광속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만 통과되도록 어퍼처(32)가 형성된 스로틀 부재(30)를 통과하면서 광빔의 형상이 변형되어 감광체(미도시) 상에 최적의 광스폿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스로틀 부재(30)에 의해 차단된 광빔은 스로틀 부재(30)의 테이퍼면(34)에 의해 반사되어 광축(Lo)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스로틀 부재(30)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면(34)은 반사광(C)이 콜리메이팅 렌즈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그 외측으로 반사하고, 이로써, 레이저광원 측으로 집광되거나, 감광체 상에 불필요한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광파워 및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테이퍼면(34)이 형성된 스로틀 부재(3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양산될 수 있는데, 테이퍼와 같이 각진 형상을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부다이 및 하부다이 사이에 개재된 피가공소재에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소성 흐름이 차단되며, 이로써, 각진 부위가 끊어지거나 두께가 얇아지는 등 가공이 원활하지 않고 제품 불량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빔의 정형을 위해 제거된 광들을 주사광학장치로부터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화상이나 광원의 열화등을 방지하면서도 광빔을 규제하는 광학요소의 불량률이 저하되고, 제품수율이 향상되는 광학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피노광체 상으로 광빔을 주사하여 라인 형상의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로서,
광빔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으로, 그 마주보는 면에는 만곡부가 개구된 곡면 형상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개구 주위의 반사면으로 입사된 광빔을 입사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어퍼처판; 및
상기 어퍼처판 및 피노광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을 상기 피노광체의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 및 어퍼처판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콜리메이팅하는 제1 렌즈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반사면은 그 입사광을 상기 제1 렌즈의 외측으로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 곡면 형상을 갖거나, 상기 광원 측으로 돌출된 제2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개구원의 반경보다 함입원의 반경이 작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개구는 광빔의 주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처판 및 빔편향기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상기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을 상기 빔편향기로 집속하여 결상되게 하는 제2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편향기 및 피노광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주사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배율로 광빔을 집속하여 상기 피노광체 상에 결상되게 하는 주사광학렌즈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원유니트는,
일정하게 정형된 광을 제공하는 광원유니트로서,
광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보게 상기 가이드 채널 상에 안착된 것으로,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면에는 만곡부위가 개구된 곡면 형상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개구로 입사된 광빔은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반사면으로 입사된 나머지 광빔은 입사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어퍼처판; 및
상기 발광소자 및 어퍼처판 사이의 가이드 채널 상에 안착된 것으로, 광빔을 콜리메이팅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는 그 외측을 둘러싸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렌즈홀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 채널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서 이동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가이드 채널이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주된 면 및 제2 부분의 주된 면은 서로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발광소자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 곡면 형상을 갖거나, 상기 발광소자 측으로 돌출된 제2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개구원의 반경보다 함입원의 반경이 작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 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광주사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유니트(100), 이 광원유니트(100)에서 출사된 빔이 피노광체(170) 상에 주사되도록 입사광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140), 편향된 빔이 피노광체(170) 상에 초점을 맺도록 주주사 방향으로 가면서 배율을 조정하는 주사광학렌즈(15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유니트(100)는 일정하게 정형된 형태의 광빔을 조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빔편향기(140)는 광원유니트(100)로부터 조사된 광을 피노광체(170) 상의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원(143) 및 상기 구동원(143)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폴리건 미러(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주사 방향은 빔편향기(140)에 의해 광빔이 주사되는 방향으로, 피노광체(170) 상의 주사선(L) 방향에 해당된다. 이에 대해, 부주사 방향은 피노광체(170)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건 미러(141)는 다각형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반사 미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유니트(100) 및 빔편향기(140) 사이에는 실린드리컬 렌즈로 기능하는 제2 렌즈(139)가 배치되는데, 광원유니트(100)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상기 제2 렌즈(139)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집속되어 빔편향기(140)의 미러면 상에 결상된다.
상기 빔편향기(140)에서 반사되면서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된 광빔은, 소위 에프-세타 렌즈(f-θ lens)로도 불리는 주사광학렌즈(150)를 통하여, 주주사 방향 으로 서로 다른 배율로 집속되고, 이에 따라, 입사광은 피노광체(170) 상에 결상되어서 라인 형상의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사광학렌즈(150)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을 가진 서로 다른 두 매의 광학렌즈들(151,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사광학렌즈(150)를 통해 집속된 광빔은 반사미러(165)에 의해 그 진행 경로가 전환되어 피노광체(170) 상으로 도광된다. 여기서, 잠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주사선(L)과 동기시키기 위하여 주사광학렌즈(150) 및 반사미러(165) 사이에는 동기미러(161) 및 상기 동기미러(161)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163)가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도 2의 광원유니트를 각각 서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광원유니트(100)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 후방에 체결된 회로기판(110), 베이스 프레임(120)에 안착된 어퍼처판(130) 및 렌즈홀더(12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은 회로기판(110)과의 체결면을 제공하는 제1 부분(121) 및 상기 제1 부분(121)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광진행 방향을 따라 반원통 형상의 가이드 채널(G)이 형성된 제2 부분(12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0)은 광원유니트(11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지지구조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프레임(120) 후방에는 회로기판(110)이 장착되는데, 회로기판(110) 상에는 전방으로 광빔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발광소자(111), 및 상기 발광소자(111)에 제어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전장품들이 탑재된다. 상기 발광소자(111)로서는, 공지의 레이저 다이오드(L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11) 로부터 생성된 광빔은 베이스 프레임(120) 상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G)을 따라 출광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G) 상에는 발광소자(111)에서 출사된 광빔을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하는 광학부품들이 안착된다. 즉, 가이드 채널(G)의 전방 출사단 측에는 어퍼처판(130)이 배치되는데, 어퍼처판(130)은 개구(A)가 형성된 곡면반사경(135) 및 상기 곡면반사경(135)을 둘러싸면서 반사경을 베이스 프레임(120) 상에 장착시키는 환형지지부재(131)를 포함한다. 환형지지부재(131)의 주위에는 다수의 체결편(133)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들이 베이스 프레임(120)의 장착슬롯에 결합되면서, 환형지지부재(131)와 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의 결합을 매개한다.
이 곡면반사경(135)은 발광소자(111)로부터 입사된 광빔을 그 일부만 통과시켜서 소정의 빔 형상으로 정형하고, 차단되는 나머지 광빔은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여, 주사광학계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외부로 방출한다. 곡면반사경(135)의 중앙에는 개구(A)가 형성되는데, 주주사 방향으로 장폭을 갖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과하면서 광빔의 형상은 주주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정형된다.
상기 어퍼처판(130) 후방에는 렌즈홀더(126)가 배치된다. 상기 렌즈홀더(126)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하고, 그 내부에는 발광소자(111)에서 발산된 광을 평행광으로 콜리메이팅(collimating)하는 제1 렌즈(125)가 고정된다. 이 제1 렌즈(125)는 렌즈홀더(12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 채널(G) 상에 장착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유니트의 광학적 얼라인을 보인 구조도이다. 도시 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111)로부터 발산된 광빔은 제1 렌즈(125)를 거쳐서 평행빔 형태로 변환되고, 이 평행빔은 어퍼처판(130)으로 입사된다. 여기서, 중앙의 개구(A)를 통과한 광빔은 주주사 방향으로 장폭을 갖는 빔형태로 정형되며 도 2에 도시된 광경로를 거쳐서 피노광체(170) 상의 광스폿을 형성하는 주사빔이 된다.
한편, 개구(A) 주위의 곡면반사경(135)으로 입사된 광빔은 곡면반사경(135)에 의해 제1 렌즈(125)의 외측으로 반사되며, 제1 렌즈(125)로 재입사되지 않는다. 동 도면에 도시된 곡면반사경(135)은 반사경(135)을 지지하고 있는 환형지지부재(131)에 대해 전방 측, 즉 발광소자(111)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 곡면 형상을 갖고, 그 만곡된 부위가 소정의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6에는 곡면반사경(13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어퍼처판(130)으로 입사되는 광빔 중, 중앙의 개구(A)로 입사된 광빔은 그대로 진행되고, 곡면반사경(135)에 의해 차단되는 광빔은 그 반사 작용에 의해 입사 광축(Lo)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외측을 향해 방출된다. 이때, 반사광(Lr)이 제1 렌즈(125)로 재입사되지 않고 외측으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퍼처판(130) 및 제1 렌즈(125) 사이의 이격거리(d)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1 렌즈(125)가 장착된 렌즈홀더(126)가 가이드 채널(G)을 따라 이동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이러한 얼라인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곡면반사경(125)은 입사 광축(Lo)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개구원(Ro)의 반경보다 함입원(Ri)의 반경이 작도록 개구원 중심(O)에서 반사면까지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곡면반사경(135)의 형상에 따라 입사 광축(Lo)에서 멀어지는 각도(θ)가 서로 상이하게 변화되므로, 어퍼처판(130) 및 제1 렌즈(125) 사이의 이격거리(d)는 곡면반사경(135)의 형상에 대응하여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면반사경(135)은 반사율이 우수한 고반사율의 금속소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은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양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입사측의 반사면은 경면처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빔을 차단하는 반사경이 곡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프레스 가공시의 피가공소재의 소성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종래와 같이 에지부의 국부적인 응력집중에 의한 가공불량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채용가능한 광원유니트의 광학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빔을 조사하는 발광소자(211)로부터 광경로 상으로 제1 렌즈(225) 및 어퍼처판(230)이 순차로 배치된다. 발광소자(211)로부터 발산된 광빔은 제1 렌즈(225)에 의해 평행빔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평행빔은 어퍼처판(230)으로 입사된다. 상기 어퍼처판(230)은 곡면반사경(235) 및 상기 곡면반사경(235)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환형지지부재(231)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반사경(235)에는 입사광의 광축(Lo)을 중심으로 주주사 방향으로 장폭을 갖는 개구(A)가 형성되는데, 곡면반사경(235)의 만곡된 부위가 소정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반사경(235)은 후방 측, 즉, 발광소자(211)를 향하여 돌출된 제2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개구(A) 주위의 곡면반사경(235)으로 입사된 광빔(Lr)은 제1 렌즈(225)의 외측으로 반사되어 입사 광축(Lo)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출된다. 한편, 곡면반사경(235)의 개구(A)로 입사된 광빔(Lt)은 그대로 통과되면서 개구(A)의 형상에 따라 정형되고, 도 2에 도시된 광경로를 거쳐서 피노광체 상에 주사된다.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된 광원유니트에 의하면, 광빔의 정형 과정에서 배제된 광빔이 광주사장치 내의 광학요소로 재유입됨으로써 발생되는 광파워 저하나 불필요한 잔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곡면 형상의 반사경을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응력집중 및 이로 인한 제품의 불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피노광체 상으로 광빔을 주사하여 라인 형상의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로서,
    광빔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으로, 그 마주보는 면에는 만곡부가 개구된 곡면 형상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개구 주위의 반사면으로 입사된 광빔을 입사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어퍼처판; 및
    상기 어퍼처판 및 피노광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을 상기 피노광체의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 광주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은 상기 개구의 형상에 따라 정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어퍼처판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콜리메이팅하는 제1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그 입사광을 상기 제1 렌즈의 외측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 측으로 돌출된 제2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개구원의 반경보다 함입원의 반경이 작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광빔의 주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처판 및 빔편향기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상기 어퍼처판을 통과한 광빔을 상기 빔편향기로 집속하여 결상되게 하는 제2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편향기 및 피노광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주사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배율로 광빔을 집속하여 상기 피노광체 상에 결상되게 하는 주사광학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11. 일정하게 정형된 광을 제공하는 광원유니트로서,
    광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보게 상기 가이드 채널 상에 안착된 것으로, 상기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면에는 만곡부위가 개구된 곡면 형상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개구로 입사된 광빔은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반사면으로 입사된 나머지 광빔은 입사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하는 어퍼처판; 및
    상기 발광소자 및 어퍼처판 사이의 가이드 채널 상에 안착된 것으로, 광빔을 콜리메이팅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한 광원유니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그 외측을 둘러싸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렌즈홀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 채널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서 이동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가이드 채널이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주된 면 및 제2 부분의 주된 면은 서로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발광소자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발광소자 측으로 돌출된 제2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개구원의 반경보다 함입원의 반경이 작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광빔의 주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유니트.
KR1020050054654A 2005-06-23 2005-06-23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KR10069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54A KR100694130B1 (ko) 2005-06-23 2005-06-23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US11/455,094 US7342698B2 (en) 2005-06-23 2006-06-19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2006101061084A CN100443948C (zh) 2005-06-23 2006-06-23 光扫描单元及具有该光扫描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54A KR100694130B1 (ko) 2005-06-23 2005-06-23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31A true KR20060134731A (ko) 2006-12-28
KR100694130B1 KR100694130B1 (ko) 2007-03-12

Family

ID=3756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654A KR100694130B1 (ko) 2005-06-23 2005-06-23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42698B2 (ko)
KR (1) KR100694130B1 (ko)
CN (1) CN10044394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97B1 (ko) * 2007-05-02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상렌즈 어셈블리와, 이를 가지는 광주사유닛 및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1696A1 (en) * 2008-08-27 2010-03-04 Symbol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system for a bar code reader
JP5696122B2 (ja) * 2012-10-26 2015-04-08 株式会社東芝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608072A (zh) * 2017-09-30 2018-01-19 天逸瑞狮(苏州)口腔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扫描系统的光学扫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309A (ja) 1985-10-25 1987-05-07 Nec Corp 光フアイバ出射装置
JPS63299535A (ja) 1987-05-29 1988-12-07 Nec Corp 二方向性光通信ユニット
JPH05107643A (ja) * 1991-10-18 1993-04-30 Fujitsu General Ltd 照明装置
JPH0781136A (ja) 1993-06-30 1995-03-28 Canon Inc 光源装置
JPH0764153A (ja) 1993-08-24 1995-03-10 Sony Corp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レンズカバー
JPH08220318A (ja) * 1995-02-10 1996-08-30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機器
JPH0964482A (ja) * 1995-08-22 1997-03-07 Canon Inc レーザビーム発生装置
JP3383171B2 (ja) * 1996-11-08 2003-03-04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光走査装置
JPH11231243A (ja) * 1998-02-18 1999-08-27 Canon Inc 光偏向走査装置
JP3930409B2 (ja) * 2002-09-25 2007-06-13 三星電子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4380445B2 (ja) * 2004-07-22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走査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97B1 (ko) * 2007-05-02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상렌즈 어셈블리와, 이를 가지는 광주사유닛 및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5093A (zh) 2006-12-27
KR100694130B1 (ko) 2007-03-12
US20060291025A1 (en) 2006-12-28
CN100443948C (zh) 2008-12-17
US7342698B2 (en)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9498B2 (ja) 光源ユニットの調整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374271B1 (ko) 다중 빔 주사 광학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040051165A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KR100694130B1 (ko) 광주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광원유니트
JPH0534613A (ja) 複数ビーム走査光学装置
US5808774A (en) Method of correcting curvature of image surface and optical beam scanning apparatus for use with the same
KR100335624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JP3334447B2 (ja) 光走査装置の光軸調整方法、光軸調整装置、及び光走査装置
JP3627453B2 (ja) 光学走査装置
US5859721A (en) Optical device using a point light source
KR20060115451A (ko) 광주사장치용 주사광학렌즈
JP3804256B2 (ja) 光走査装置
US7196848B2 (en) Array refracting element and exposure device
CN220419798U (zh) 一种光学扫描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EP4325269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2811988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光走査装置
JPH1010448A (ja) 光走査装置
JPH10142542A (ja) 走査光学装置
KR100619026B1 (ko) 광주사장치
JP2003057582A (ja) マルチビーム発光装置
JPH0980331A (ja) 複数ビーム走査装置
JP3594821B2 (ja) 走査光学系
KR100601647B1 (ko) 광주사장치
JPH11264952A (ja) 光走査装置
CN116719214A (zh) 一种光学扫描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