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503A -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 Google Patents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503A
KR20060133503A KR1020060110814A KR20060110814A KR20060133503A KR 20060133503 A KR20060133503 A KR 20060133503A KR 1020060110814 A KR1020060110814 A KR 1020060110814A KR 20060110814 A KR20060110814 A KR 20060110814A KR 20060133503 A KR20060133503 A KR 2006013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hone
party
handse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부구
Original Assignee
우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부구 filed Critical 우부구
Priority to KR102006011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503A/ko
Publication of KR2006013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중에 다시 벨 소리를 울리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자 끼리 통화를 계속 하다가, 한쪽 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잠시 멈추고, 수화기를 내려 놓고, 물건을 찾거나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할 정보를 찾거나 하는 일이 생기게 되는데, 이 경우 다른 통화자는 수화기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다리는 통화자가 수화기를 놓고 있더라도 벨 소리를 듣고 다시 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할 수가 있게 하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화중 상태에서 한쪽 전화기에서 다른쪽 전화기에 벨이 울리도록 신호를 보내야만 한다. 신호를 보내는 방법은 전화기 패드에 설치 된 숫자와 특수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그 중 몇 가지 경우의 수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재발신 버튼을 누르던지, 기타 특수버튼과 숫자를 이용하면 된다.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는 직접 상대전화기에 신호를 보내어 상대 전화기를 울리도록 구성하거나, 교환국을 통해서 교환국이 상대전화기를 울리도록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한다.
전화기 , 재발신, 수화기, 통화중, 특수버튼

Description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on the telephone , rering a telephonebell}
도 1은 일반적 통화 연결 경로.
도 2는 본 발명의 통화중 전화벨이 다시 울리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접 상대 전화를 울리도록 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환국을 통한 상대 전화 울리도록 하는 흐름도.
도 5는 열 감지기를 통한 재발신신호를 보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전화 통화중에 다시 벨(진동, 빛, 기타소리 포함하며 이후 편의상 벨소리로 대표함) 소리를 울리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자 끼리 통화를 계속 하다가, 한쪽 통화자가 전화 대화를 잠시 멈추고, 수화기를 내려 놓은 후, 물건을 찾거나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할 정보를 찾거나 하는 업무가 생기게 된다. 이때 다른 통화자는 수화기를 계속 귀에 대고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전화 통화는 끊지 않는 상태에서 수화기를 전화기 옆에 내려 놓고 기다려도 되도록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다시 벨이 울리도록 하여, 수화기를 놓고 있더라도 처음 전화를 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벨 소리를 듣고 다시 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할 수가 있어야 한다.
현재의 통화하는 방법은 두 사람이 통화를 하다가 한 사람에게 업무가 발생 했을 경우, 업무 발생자는 수화기를 내려 놓게 되고, 상대방은 볼일이 끝이 날 때 까지 수화기를 귀에 대고 마냥 기다려야 하는 상태가 된다. 왜냐 하면 상대가 금방 일이 끝날지 조금 더 시간이 걸릴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화 통화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상호 통화중인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전화에 신호를 보내어서 상대방 전화벨이 울리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전화 통화 중 일방 당사자가 잠시 업무가 생겨서 발생한 업무를 처리하는 동안 다른 일방이 수화기를 들고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것으로서, 업무당사자가 업무를 보기 위해 잠시 수화기를 놓고 업무를 보고 있을때 다른 당사자도 수화기를 내려 놓고 자신의 볼일을 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을 하여 보기로 한다
은행 고객 박 사장이 은행창구에 전화를 걸어서 자신의 은행 잔고와 지불해야할 금액이 얼마인지 알려고 한다. 은행의 김 계장은 요구 사항을 듣고 수화기를 사무책상 위에 얹어 두고 컴퓨터를 검색하거나 서류철을 뒤지게 된다. 이때 고객 박 사장은 김계장의 일이 언제 끝이 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계속 수화기를 귀에 대고 기다리게 된다.
이때에 현재 통화를 이어가는 방식은 김계장이 다시 전화기를 들고 "여보세요" 하고 부르게 되고, 수화기를 계속 귀에 대고 있던 박사장이 답을 함으로써 통화가 다시 이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기다리는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려면 고객인 박 사장도 은행 직원 김계장과 마찬가지로 수화기를 귀에서 떼고 손에 그냥 들고 있거나, 전화기 옆에 놓아두게 하여야 한다.
해당 업무를 끝내게 된 김계장이 자신의 전화기에서 특수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의 전화기 벨이 다시 울리게 함으로서 고객인 박사장도 다시 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하였듯이 기존의 전화 통화방식은 통화중 한 사람이 업무가 있을 경우 다른 사람은 마냥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려고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 되어 진다.
단계1. 업무를 마친 당사자가 기다리는 다른 상대방에게 일이 끝 마쳤고 따라서 상대방의 전화 벨이 울리도록 하기 위해서 자신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보내는 단계.
단계2 . 통화중임에도 업무 당사자로부터 오는 신호를 교환국에서 감지하여, 다시 신호를 상대방으로 보내는 것과, 교환국에서 서비스를 하였음을 나타내는 첵킹의 단계.
단계 3 . 업무 당사자측에서 온 신호를 인지하고, 인지된 신호를 자신의 전화기 벨 소리 부분에 조작을 하여 벨이 울리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 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일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통화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유선전화 와 유선전화간의 통화, 무선전화와 무선전화간의 통화, 유선전화와 무선전화간의 통화로 구별 되어 진다. 무선 전화의 경우는 기지국을 거치게 되고 유선 전화의 경우에는 교환국을 거치게 되나 어느 것이던 기본적인 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3가지 단계로 구성이 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유선전화 상호간을 대표로 설정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무선전화 상호간에도 적용 원리는 같게 된다. 그리고 유선과 무선간의 통화 방식도 기지국과 교환국을 상호 거쳐 가면서 신호를 연결 시켜 나감에 있어서는 기존의 통화 기술 방식을 적용 하면 된다.
상대방을 호출에 응답하는 방법은 소리를 통한 방법, 빛을 통한 방법, 진동을 통한 방법과 이들의 결합 방식이 주를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소리를 울리는 방법을 대표로 정하여 설명을 하기로 하며, 다른 방식도 이를 응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통화하는 방식을 먼저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의 방식과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려고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통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고(101) 교환국을 거쳐 상대방 전화를 호출하면(103) 전화가 연결이 되고 벨소리가 울리고 상대방이 유선 전화기 인 경우에는 수화기를 들거나, 휴대폰인 경우에 는 휴대폰을 열거나 통화버튼을 누르면 서로 통화를 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통화중에 한 당사자에게 업무가 생겨서 잠시 통화를 중단하고자 할 때, 그렇다고 전화를 다시 끊고 다시 통화를 연결하고자 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를 때 , 다시 벨이 울리게 함으로서 서로 수화기를 귀에서 떼고 놓고 있더라도 통화연결 시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2 에서는 통화중에 어떻게 전화벨이 다시 울리는지 그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미 상호간에 통화중인 상태에서 일방 한사람에게 업무가 발생(202)하면 보통 귀에 대고 업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수화기를 귀에서 떼고 수화기를 놓게(203) 된다.
이때에 업무 발생 상대방도 전화를 끊지 않는 상태에서 수화기를 귀에서 떼고 수화기를 놓게(204) 된다. 이때 수화기는 업무 발생자와 마찬가지로 손에 쥐거나, 책상위에 놓거나 등으로 귀에서 뗀 상태로 둘 수가 있다.
휴대폰의 경우 계속하여 오래 수화기를 귀에 대고 있으면 머리가 아픈 경우도 있으며, 업무 발생자가 업무를 마칠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이 없이 자신의 업무를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수화기를 내려 놓은 상태에서는 상대방이 업무를 다 마치고 지금처럼 "여보세요" 라고 말을 하면 상대는 수화기에서 흘러 나오는 목소리를 알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때 벨을 다시 울려 주어서 다소 멀리 수화기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알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도 2 에서는 이러한 방안으로 업무 발생자가 업 무를 마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재발신 버튼을 누르게(205) 된다.
재발신 버튼을 누르면 신호가 상대방전화에 전달이 되어 상대방 전하 벨이 울리게 되는데, 직접 상대방 전화를 울리게 하는 방법과 교환국에서 상대방 전화를 호출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도 3과 도 4에서 설명 하기로 한다.
재 발신 신호를 통하여 신호가 업무 발생 상대방 전화기에 전달이 되면, 이 신호를 받은 전화기가 내부 작동을 하여 전화 벨이 다시 울리게 된다(206). 전화벨이 울리면 다시 소리를 없애고 통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전화벨소리를 없애기 위하여 통화버튼이나, 패드위에 있는 통화 버튼 이 외의 아무 버튼을 눌러서 소리를 꺼지게(207) 된다. 꺼지는 방식은 벨 소리가 울리는 상태에서는 전화기에 있는 어떤 버튼을 눌러도 전화기 내부에서는 벨 소리를 끄라는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를 하면 된다. 이렇게 전화 벨 소리를 없앤 다음 다시 수화기를 귀에 대고 통화(208) 하게 된다.
도 2에서는 업무 발생자가 재발신을 눌러서 다시 통화를 이어가는 경로를 설명하였는데,
업무 발생 상대자도 재발신을 눌러서 업무 발생자를 호출하여 대화를 이어 갈 필요가 있게 된다. 이때에도 업무 발생 상대자가 업무 발생자에게 재발신을 눌러 줌으로서 같은 방법으로 업무 발생자의 벨을 울리게 함으로서 통화를 이어 갈 수가 있다. 결국 양 상대방 모두 통화중임에도 상대방을 재 호출 할 수가 있는 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상대를 호출하는 방법을 재 발신 버튼을 누르는 것을 대표로 하였 으나, 전화기 패드에 있는 다른 특수 기호나 문자 숫자를 눌러 주거나 이들의 결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리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부르거나, 음성으로 "재발신" 이라고 말을 하여도 상대방 전화기에 신호가 보내어져서 상대방의 전화벨을 다시 울리도록 한다.
도 3과 도 4는 상대방의 전화벨을 울리는 경로를 설명한 것으로서, 한쪽 전화기에서 상대방 전화기에 직접 신호를 보내어 통화중 상태에서도 전화벨이 울리게 하는 방법과, 교환기를 통하여 교환기가 상대방의 전화기를 울리게 하는 방법을 각각 설명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직접 상대전화기 벨을 울리는 경로를 설명한 것으로서, 한쪽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통화 연결 된 상태에서도 벨을 울릴 수 있도록 신호가 보내어 져야 하고, 다른 쪽 전화기에서는 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자신의 전화기 내부 회로를 조작하여 벨 소리가 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결국 기존의 전화기에 없는 새로운 기능이 전화기에 추가 되어야 하는데, 통화중 상태에서 상대 전화에 신호를 보내고, 또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전화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통화가 연결 된 상태에서도 어느 한쪽의 전화기(휴대폰 포함)에서 다른 전화기로 정보를 보낼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마치 소리로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대 전화기에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원리와 같다. 마찬가지로 집에 있는 전화기에 전화를 해서 전화기를 통해서 집안에 있는 각종 전자 제품을 작동 시키는 원리와도 같은데, 즉 이쪽 전화기에서 저쪽 전화기로 연결된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서 조작을 가하는 방식인 것이다.
도 4는 통화중 재 발신 버튼을 누르면(401) 교환국에서 통화중임에도 새로 들어온 신호를 인식(402)하고 교환국에서 처음 통화를 연결 시켜 주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다시 신호를 보내고(403) 신호를 받은 상대 전화기에서는 신호를 감지(404)하여, 내부 회로를 통해 다시 벨 소리를 울리게(405)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유선전화 상호간, 무선전화 상호간, 무선과 유선 상호간에서도 모두 활용이 가능하며, 통화 경로가 유선이냐 무선이냐의 차이점일 뿐, 신호를 버튼을 눌러서 보내며, 일정 단계를 거치면서 상대 전화를 울린다는 점에서는 동일 하다.
또한 책상 위에 놓았던 전화기를 다시 들면 수화기에서는 열 감지기가 있어서 손에 잡으면 상대전화에 신호를 보내어 벨 소리를 다시 울리도록 한다. 이때에 상대방도 수화기를 들면 곧 바로 벨 소리가 꺼지게 된다.
도 5에서는 통화 중 업무가 발생하여 업무 발생자가 수화기를 놓고 자신의 업무를 다 처리 한 후 다시 수화기를 들고 상대방과 통화를 하려고 할 때, 수화기를 다시 들면(504) 수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열감지기가 작동(505)하여서 이 감지기가 자동으로 상대 전화기에 재 발신신호를 보내어서 상대방의 전화 벨을 울리게(507) 하는 것이다. 벨 소리가 울림으로 인하여 상대방도 놓았던 수화기를 다시 들고 통화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 통화중에 한 상대자가 업무가 발생하여, 특히 은행이나 관공 서의 경우 고객이 어떤 사항을 알려고 전화를 할 경우 은행직원이 해당 업무를 찾아서 알려 주어야 하는데 고객은 은행직원이 해당 업무를 다 수행 할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귀에 수화기를 대고 마냥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통화를 이어감에 있어서, 통화중에 일방 당사자에게 업무가 발생하여 잠시 수화기를 놓고 업무를 보는 경우에, 다른 당사자가 수화기를 귀에 대고 업무 발생자가 업무를 마치고 다시 통화를 시도 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상황이 생길 경우, 기다려야만 하는 상대방도 수화기를 놓고 기다릴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재 발신 버튼을 눌러서 상대측의 전화벨이 다시 울리도록 하는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2. 통화가 연결 된 상태에서 상대방을 다시 호출을 할 경우 , 호출 신호를 교환국에서 받아서 상대방에게 보내면서 , 호출 서비스를 교환국에서 관리를 하고 요금을 부과하는 방법.
  3.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수화기를 내려 놓고 업무를 본 후, 수화기를 다시 들면 수화기에 내장된 영 감지기에 의해서 다시 재 빌신 신호를 보내어서 통화를 연속 시키는 방법
KR1020060110814A 2006-11-10 2006-11-10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KR20060133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14A KR20060133503A (ko) 2006-11-10 2006-11-10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14A KR20060133503A (ko) 2006-11-10 2006-11-10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503A true KR20060133503A (ko) 2006-12-26

Family

ID=3781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814A KR20060133503A (ko) 2006-11-10 2006-11-10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5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4755B (zh) 实现呼叫转移的方法及电话终端
JPH0652914B2 (ja) 発呼者電話番号表示装置
CN102075607A (zh) 在手机与蓝牙耳机之间进行音频切换的方法
CN104602214A (zh) 一种扩展手机无线语音和短信业务的方法
KR19990088105A (ko) 전화장치
Cisco Using Your Cisco IP Phone 7910
KR20060133503A (ko) 통화 중에 다시 벨이 울리는 전화통화
KR20020043478A (ko)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일반전화기 다중통화장치
JP3737273B2 (ja) ボタン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受付方法
JP3251183B2 (ja) 携帯電話機
JP4519047B2 (ja) ボタン電話機によるオープンオフィスシステム
JP4821318B2 (ja) 通話中に着信通知可能な電話システム
JPH11146060A (ja) 迷惑電話防止付電話機
JPS5931090Y2 (ja) ボタン電話機
JP4236984B2 (ja) 電話機の発信システム及び発信方法
KR100590872B1 (ko) 착신 멜로디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814204B2 (ja) 留守モード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システム
JPH1188511A (ja) 多機能電話機着信応答システム
JPH09214599A (ja) 特定者着信方法および特定者着信機能付き電話機
JP2505165Y2 (ja) 電話機付加装置
KR200227531Y1 (ko) 피호자 전화기 상태 검출에 따른 발호자 전화기 표시장치
JP2005184373A (ja) 留守番応答機能付き電話機およびその接続制御方法
JP2008011321A (ja) 電話音声記録機能による伝言送達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通信端末
KR19980084186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걸려온 전화의 자동수신 방법
JPH05259976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