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959A -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959A
KR20060132959A KR1020067020057A KR20067020057A KR20060132959A KR 20060132959 A KR20060132959 A KR 20060132959A KR 1020067020057 A KR1020067020057 A KR 1020067020057A KR 20067020057 A KR20067020057 A KR 20067020057A KR 20060132959 A KR20060132959 A KR 2006013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aft
weaving
cams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224B1 (ko
Inventor
쟝-삐에르 빠쥬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445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3295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06013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2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operated by rotating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Air Ba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기구(20)는, 공통 구동축(20) 상에 장착되며 왕복 레버들 상에 장착되는 캠 종동기구들을 위한 롤러 트랙들(18A, 18B)이 제공되는 복수 개의 캠들(18)을 구비한다. 구동축은 기구(10)의 프레임(16)의 두 개의 일체성형 부분들(16C, 16D)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개구부들(16A, 16B)에 의해 지지된다. 축(20)은 제1 개구부(16A)로부터 제2 개구부(16B)를 향하여 상기 개구부들(16A, 16B)의 사이의 간격(D16)보다 작은 길이(L20)로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편과 지지부를 형성하는 분리 가능한 수단들(40, 50)은 개구부들(16A, 16B)의 사이에 배치되는 축(20)의 단부(20B)를 제2 개구부(16B)에 연결시킨다. 개구부들(16A, 16B) 사이의 간격(D16)과 축(20)이 개구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20)의 사이의 차이(lE)는 캠(18)의 폭(l18) 보다 크다.

Description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 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Cam harness mounting mechanism, weaving machine fitted therewith, method for assembling said mechanism}
본 발명은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와, 이와 같은 기구가 구비된 직조기와, 이와 같은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조기 분야에서 캠 직조 기구는 직조기에 장착되는 잉아(heddle) 프레임들의 수와 같은 개수의 일련의 왕복 레버를 구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왕복 레버는 프레임들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계되며, 공통 축에 의해 회전되는 대응되는 캠의 두 개의 트랙들과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롤러가 설치된다. 기구를 초기 제작하는 동안 또는 직조 기구를 개조하는 동안, 보통 4개에서 5개에 이르는 캠들은 각각의 구동축에 설치되어야 한다. 인접하는 캠들의 트랙들과 캠 종동기구들의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거나 또는 아주 큰 정도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캠들은 고 정밀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어떤 공지의 기구에서 기구의 프레임은 두 개의 절반 베어링(half-bearing)들을 형성한다. 절반 베어링들에는, 캠들이 구비된 공통축이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절반 베어링들에 설치된 후에 다른 베어링들의 절반을 형성하는 칼라들(collars)이 나 플렌지들(flanges)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프레임에 대한 축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부정확함을 수반한다. 그리하여 캠 축과 왕복 레버들의 관절부의 축 사이의 간격의 수치는 정밀도를 보증할 수 없고, 이들 축들의 평행 위치도 마찬가지이다.
기구의 주된 기구적 축들의 훌륭한 위치 결정을 달성하기 위해서, 공통 캠 축을 지지하기 위해 두 개의 오리피스들이 형성되며 베어링들이 삽입된 프레임들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된 방법이다. 이와 같은 경우 다양한 캠들을 기구 외측의 슬리브 상에 또는 원통(barrel) 상에 설치하고, 캠들이 회전되지 않게 장착되며 각도상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 원통을 일체로 성형된 오리피스들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의 두 부분들의 사이에 배치하고, 구동 축을 이들 오리피스들의 하나를 관통하고, 슬리브를 관통하여 제2 오리피스를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원통이 기구 프레임에 삽입될 때 육중하고 부피가 큰 부분들을 취급할 필요가 있다. 캠들은 작업대 위에서 기계 외측의 원통 상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송수단을 필요로 하고 시간이 낭비된다.
본 발명은 특별히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며, 캠들과 상호 작용하는 왕복 레버들과 기구 프레임에 대한 공통 구동 축들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양보하지 않으면서, 캠들이 기계 자체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직조 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한 직조기의 캠 직조 기구에 관련된 것으로, 이와 같은 기구는, 공통 구동축 상에 장착되며 왕복 레버들에 장착되는 캠 종동기구들을 위한 롤러 트랙들이 제공되는 복수 개의 캠들을 구비하고, 이 구동축은 기구 프레임의 두 개의 단일체 부분들에 형성된 두 개의 오리피스들에 의해 지지되고, 오리피스들의 어느 하나는 이 축에 의해 횡단된다. 이 기구는, 상술한 축은 제1 오리피스로부터 제2 오리피스의 방향으로 오리피스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로 연장되고,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분리 가능한 수단들이 오리피스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축의 단부를 제2 오리피스로 연결하고, 오리피스들 사이의 거리와 오리피스들 사이에서 축이 연장되는 길이의 사이의 차이는 캠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축의 단부와 프레임의 부분의 사이에 제2 오리피스가 만들어지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를 형성하는 수단들을 삽입하기 전에 또는 이 수단들을 제거한 후에, 프레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축 상에 캠을 설치하기 위해 이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캠들은 각각의 구동축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캠은 쉽게 취급할 수 있는 무게와 부피를 가지므로 원통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나 필수적이지는 않은 측면에 따르면, 직조 기구는 기술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조합으로 취할 수 있는 이하의 특징들의 하나 이상을 병합할 수 있다.
-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단들은, 두 개의 오리피스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가지거나 형성한다.
-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단들은, 축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이 축에 장착된 캠들에 캠들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캠을 파지하기 위한 축방향 힘(axial force)을 가할 수 있는 단부편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편은 축의 단부에 회전되도록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단부편은 베어링이 개재되며 단부편이 삽입되는 프레임의 제2 오리피스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단들은 제2 오리피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축의 단부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슬리브를 구비한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슬리브가 둘러싸는 이 단부까지 연장된다. 단부편이 제공될 때에는, 슬리브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단부편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직조 기구를 구비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직조기는 공지의 직조기들보다 더 경제적이고, 제조하기가 더 쉬우며, 더 신뢰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직조 기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 공통 캠 구동축을 기구의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 캠의 중앙 구멍을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시킬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캠을 이 축의 길이 방향 중심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축의 자유 단부와 프레임의 일체성형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축을 캠으로 둘러쌀 때까지, 상기 캠을 축의 길이 방향 중심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향해, 그리고 프레임의 상술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단들을 설치하고, 이 단부를 프레임의 상술한 부분에 형성된 오리피스에 연결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직조 기구와, 직조기와, 방법의 두 개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도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시예는 예로써만 주어지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기의 주요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기구의 일부가 절단되었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기구가 조립되고 있을 때의 도 2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개략적인 윤곽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도 2에 유사한 평면에서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직조기(M)는 복수 개의 잉아(heddle) 프레임들을 구비하며, 이들 중 하나만이 도면 상에 도면 부호 1로 표시된다. 직조기(M)의 다양한 프레임들은 이중 화살표 F1에 의해 도시되는 수직 왕복 운동으로 작동하며, 캠 기구(10)로부터 힘을 받는다. 캠 기구(10)의 출력 레버들(11)은 관련된 만곡 레버들(13)과 함께 커넥팅 로드(14)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2)에 각각 작용한다.
레버들(11)은 잉아 프레임들(1)의 수와 같은 수로 제공되고, 기구(10)의 프 레임(16)에 의해 지지되는 공통 축(15)의 길이 방향 중심(X15)을 중심으로 이중 화살표 F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기구(10)는 레버들(11)에 구비되는 롤러들(19A, 19B)이 가압하는 두 개의 트랙들(18A, 18B)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 개의 대응되는 캠들(18)을 구비한다.
캠들(18)은 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되는 공통 축(20)에 끼워지고, 프레임의 제1 단부(20A)는 베벨 피니언(22)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길이 방향 중심(X20)을 중심으로 축(20)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 기어를 형성하는 베벨 기어(21)를 구비한다.
축(20)과 캠들(18)을 지지하기 위해서, 프레임(16)은 원형 단면의 두 개의 오리피스들(16A, 16B)에 의해 관통된다. 오리피스들의 각각의 중심 축은 전체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축(20)이 프레임(16) 내에 위치할 때에 중심(X20)과 정렬된다. 오리피스들(16A, 16B)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의 중간 뼈대(16C)와 측면(16D)에 각각 형성된다.
오리피스(16A) 내에는 베어링(23)이 배치되어 뼈대(16C)의 일측으로 연장하는 축(20)을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축(20)은 오리피스(16A)로부터 오리피스(16B)의 방향으로 오리피스들(16A, 16b)의 사이의 간격(D16), 즉 프레임들(16)의 부분들(16C, 16D)의 반대되는 면들 사이의 간격보다 아주 약간 작은 길이(L20)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간격(D16)과 길이(L20)의 차이와 같은 폭(lE)을 갖는 도 3에서 어 둡게 칠해진 공간(E)이 생성된다.
폭(lE)은 캠들(18)의 폭(l18)보다 크기 때문에 공간(E)은 캠들(18)을 축(20) 상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8)은 화살표 F3 방향, 즉 중심(X2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공간(E)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 캠(18)은 프레임(16)의 측면(16D)과 축(20)의 자유 단부(20B)의 사이에 삽입된다. 캠(18)의 중앙 구멍(18C)이 중심(X20)과 전체적으로 정렬될 때, 캠을 도 3의 화살표 F4 방향, 즉 뼈대(16C)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캠이 축(20)의 단부(20B)를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는 정렬을 위해서 마련된 캠의 축 방향 천공 구멍을, 축(2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캠들의 대응되는 정렬된 오리피스들(20) 내에 미리 설치된 각도 방향의 눈금 로드에 맞추기 위해, 캠(20)의 방향을 각도 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기구(10)에 제공되는 모든 캠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축(20) 상에 설치되면, 축(20)의 단부(20B)는 축(20)과 측면(16D)의 각각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단부편(40)과 슬리브(50)에 의해 프레임(16)의 측면(16D)에 연결된다. 단부편(40)은 오리피스(16B)의 방향으로 축을 연장시키도록 설계되고, 단부편에는 축(20)의 단부(20B)에 마련되는 장부(20C)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그루브(40C)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요소들(20, 40)이 서로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하여 축(20)의 단부편(40)의 각도 방향의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단부편(40)은 축(20)의 단부(20B)를 둘러싸며 이 단부(8)에 가장 가까운 캠(18)을 가압하도록 설계된 스커트(40D)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스커트는 화살표(F5)들로 표시되며 축(20) 상에 설치된 링(25)을 향하는 힘을 캠들(18)의 스택에 가한다. 이 힘은 파지하는 효과에 의해 캠들로 하여금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단부편(40)은 단부편(40)의 천공 구멍들(40E)과 축(20)의 나사구멍(20E)들에 수용되는 나사들(41)에 의해 축(20) 상에서 움직이지 못한다. 그러므로 나사들(41)을 조임으로써 캠들(18)을 파지하여 회전하는 캠들을 축(20)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힘 F5이 가해진다.
슬리브(50)는 프레임(16)의 측면(16D) 상에서 4개의 나사들(51)에 의해 고정된다. 나사들 중의 두 개가 도 2에 도시되었으며, 오리피스(16B)의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나사구멍들을 관통한다. 이 슬리브(50)는 측면(16D)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림(50A)을 구비하며, 축(20)의 단부편(40)과 단부(20B)를 둘러싸도록 뼈대(16C)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련의 롤러들(60)이 단부편(40)의 외측 방사면(40F)과 슬리브(50)의 내측 방사면(50F)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20D)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사들(50J)에 의해 슬리브(50) 상에 고정되는 돌출부들(5G)은 롤러들(60)을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리브(50)의 중앙 개구부에는 스토퍼(50K)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부편(40)과 나사들(41)을 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요소들(40 내지 60)은 축(20)을 연장시킴으로써 축의 단부가 오리피스(16B)에서 측면(16D)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롤러들(60)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이 반드시 단부편(40)의 스커트(40D)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부편(40)의 길이 상의 어느 위치에서나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캠 기구를 조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특별히 특정 캠들을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토퍼(50K)를 분리한 후, 나사(51)를 풀고, 공간(E)을 다시 만들기 위하여 요소들(40, 50)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캠들(18)은 상술한 바와 반대되는 이동에 의해 이 공간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는 새로운 캠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축(20)을 연장시키는 단부편(40)은 구멍(16B)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단부편은 롤러들(60)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구멍 내에 수용된다. 나사들(41)은 단부편(40)을 축(20)의 단부(20B)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와셔(70)와 연결된 이 단부편은 캠들을 파지하고 캠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축방향 힘(F5)을 캠들(18)에 작용한다.
스토퍼(50K)는 단부편(40)과 나사들(41)을 외측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에서, 캠들(18)이 원하는 대로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인해 공간(E)이 또한 만들어진다.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와, 이와 같은 기구가 구비된 직조기와, 이와 같은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로서,
    상기 기구는, 공통 구동축 상에 장착되며 왕복 레버들에 설치되는 캠 종동기구들을 위한 롤러 트랙들이 제공되는 복수 개의 캠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은 기구 프레임의 두 개의 단일체 부분들에 형성된 두 개의 오리피스들에 의해 지지되고, 오리피스들의 어느 하나는 상기 축에 의해 횡단되며, 상기 축(20)은 상기 제1 오리피스(16A)로부터 제2 오리피스(16B)의 방향으로 상기 오리피스들 사이의 간격(D16)보다 작은 길이(L20)로 연장되고,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분리 가능한 수단들(40, 50)이 상기 오리피스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축의 단부(20B)를 제2 오리피스로 연결하고, 상기 오리피스들 사이의 거리(D16)와 상기 오리피스들의 사이에서 상기 축이 연장되는 길이(L20)의 차이(lE)는 캠(18)의 폭(l18)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단들(40, 50)은, 상기 축(20)의 단부(20B)를 지지하는 베어링(60)을 가지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3.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단들(40, 50)은, 상기 축(20)의 단부(20B)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축에 장착된 캠들(18)에 상기 캠들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캠을 파지하기 위한 축방향 힘(axial force, F5)을 가할 수 있는 단부편(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편(20)은 상기 축(20)의 상기 단부(20B)에 회전되도록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편(40)은, 베어링(60)을 개재하여 단부편이 삽입되는 상기 제2 오리피스(16B)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단들(40, 50)은, 상기 제2 오리피스(16B)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축(20)의 상기 단부(20B)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슬리브(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0)는, 베어링(60)을 개재하여 슬리브가 둘러싸는 상기 축(20)의 상기 단부(20B)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8.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0)는, 베어링(60)을 개재하여 슬리브가 둘러싸는 상기 단부편(40)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직조 기구(10)가 설치된 직조기(M).
  10.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캠들은 공통 구동축 상에 장착되며 캠 종동기구들을 위한 롤러 트랙들이 구비되고, 캠들 자체가 왕복 레버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20)을 기구(10)의 프레임(16)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캠의 중앙 구멍(18C)을 상기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시킬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캠(18)을 상기 축의 길이 방향 중심(X20-X'20)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 향으로 상기 축의 자유 단부(20B)와 상기 프레임의 일체성형 부분(16D)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E)으로 이동(F3)시키는 단계;
    상기 축을 상기 캠으로 둘러쌀 때까지, 상기 캠(F4)을 상기 축의 상기 길이 방향 중심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향해,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연장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단들(40, 50)을 설치하고, 상기 단부(20B)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에 형성된 오리피스(16B)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20057A 2004-03-29 2005-03-25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24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3217A FR2868088B1 (fr) 2004-03-29 2004-03-29 Mecanisme d'armure a cames,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et procede d'assemblage d'une telle mecanique
FR0403217 2004-03-29
PCT/FR2005/000730 WO2005098108A1 (fr) 2004-03-29 2005-03-25 Mecanique d'armure a cames,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et procede d'assemblage d'une telle meca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59A true KR20060132959A (ko) 2006-12-22
KR101245224B1 KR101245224B1 (ko) 2013-03-19

Family

ID=3494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057A KR101245224B1 (ko) 2004-03-29 2005-03-25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94358B1 (ko)
JP (1) JP4971976B2 (ko)
KR (1) KR101245224B1 (ko)
CN (1) CN1934301B (ko)
AT (1) ATE417147T1 (ko)
DE (1) DE602005011647D1 (ko)
FR (1) FR2868088B1 (ko)
WO (1) WO2005098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6006342D1 (de) 2006-10-06 2010-04-15 Groz Beckert Kg Schaftgetriebe für eine Webmaschine
JP5410814B2 (ja) * 2009-04-02 2014-02-0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における製織関連装置用の駆動機構
EP2322702B1 (de) 2009-11-13 2013-04-10 Groz-Beckert KG Fachbildemaschine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bauen von Kurvenscheib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60225A (fr) * 1938-09-14 1941-01-09 K C Engineering Company Ltd Mécanisme à cames pour mouvement alternatif
US2637348A (en) * 1951-08-02 1953-05-05 Draper Corp Harness cam and treadle means for looms
CH484305A (it) * 1968-03-06 1970-01-15 Brevitex Ets Dispositivo per comandare l'apertura del passo in un telaino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a nastro
JP3320841B2 (ja) * 1992-07-10 2002-09-03 シュトイブリー・ファベルゲ 織機に使用されるカム機構
JP3167943B2 (ja) * 1996-09-26 2001-05-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位置決め機能付きのカム開口装置
CN2483403Y (zh) * 2001-05-10 2002-03-27 高邮市新型纺机有限公司 喷水织机积极式凸轮开口装置
DE10233017B4 (de) * 2002-07-20 2004-09-30 Dü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CN2592670Y (zh) * 2002-12-17 2003-12-17 承巍 高速无梭织带机的棕框提升机构
KR20040005730A (ko) * 2003-12-02 2004-01-16 박군시 상하 이송 간누이 미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224B1 (ko) 2013-03-19
FR2868088A1 (fr) 2005-09-30
JP4971976B2 (ja) 2012-07-11
EP1794358A1 (fr) 2007-06-13
EP1794358B1 (fr) 2008-12-10
JP2007530816A (ja) 2007-11-01
FR2868088B1 (fr) 2006-05-26
DE602005011647D1 (de) 2009-01-22
CN1934301A (zh) 2007-03-21
CN1934301B (zh) 2010-06-09
ATE417147T1 (de) 2008-12-15
WO2005098108A1 (fr)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24B1 (ko)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구비된 직조 기기와,장착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EP1725373B9 (de) Taumelfingergetriebe
DE10047917B4 (de) Getriebeloser integrierter Spindelantrieb für eine industrielle Bearbeitungsmaschine
DE3040725A1 (de) Schwingungsgedaempfte lagervorrichtung
US7594522B2 (en) Shaft transmission for a weaving machine
KR100350153B1 (ko) 간헐분할장치
US20060231152A1 (en) Cam motion machine, method of assembly of such a machine and weaving loom in which such a machine is installed
DE2838513B2 (de) Federelement für eine geräuschgedämpfte Elektromotor-Zentralaufhängung, insbesondere für Büromaschin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129847B1 (de) Antrieb für Zylinder einer Druckmaschine
US5644982A (en) Printing press
JP2008169539A (ja) 織機のヒ口を形成するカム機構、織機とカム機構のローラからカムを離脱させる方法
US4842080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of a rotation element in a drilling machine
US5873808A (en) Folding blade shaft of a folding cylinder
DE3922914A1 (de) Zentrifuge
DE102013101066B4 (de) Rotationszylinder
JP3660708B2 (ja) 輪転印刷機の補強のための装置
EP0264476B1 (de) Maschine insbesondere zum Drehräumen von Pleuellagern an mehrhübigen Kurbelwellen
DE2102345C (de) Einrichtung zum Erzeugen einer intermittierenden Rotationsbewegung
DE10049454A1 (de) Ölversorgung einer Hohlwelle eines Kraftfahrzeugs
JPS58102612A (ja) マシニングセンタ用多軸ヘツド
DE4337175A1 (de) Spinn- oder Zwirnspindel
SU1181886A1 (ru) Механизм цилиндра печатного аппарата печатной машины
DE102022103814A1 (de) Offenend-Spinnvorrichtung für eine Offenend-Spinnmaschine sowie Offenend-Spinnmaschine
DE3528845A1 (de) Anordnung von zylindern und trommeln in druckmaschinen
US291689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