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449A -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449A
KR20060132449A KR1020060047999A KR20060047999A KR20060132449A KR 20060132449 A KR20060132449 A KR 20060132449A KR 1020060047999 A KR1020060047999 A KR 1020060047999A KR 20060047999 A KR20060047999 A KR 20060047999A KR 20060132449 A KR20060132449 A KR 20060132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ills
banknote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에이 요시오까
Original Assignee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세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7827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349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세다 filed Critical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65H2301/33312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forward reverse rollers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2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지폐 취급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지폐 취급 개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삽입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삽입 상태의 지폐를 다시 지폐 취급 개구로 공급하기 위한 지폐 공급 장치와, 지폐 취급 개구 내로 삽입된 지폐의 유효성을 식별하는 지폐 식별 센서와, 지폐가 삽입 방향을 따른 공급 상태에 있으며 지폐 식별 센서가 지폐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있을 때, 삽입 상태의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장치와, 지폐 공급 장치와 평행하게 제공되어 지폐를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와, 삽입된 지폐가 유효할 때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공급하도록 지폐 공급 장치의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복귀된 지폐를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시켜서 보관하며, 지폐와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한다.
지폐 취급 장치, 지폐 공급 장치, 지폐 식별 센서, 안내 수단, 분리 수단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 {Bill Handl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지폐 취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공급 상태에서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a는 도1 및 도2의 화살표(C)의 방향에서 본, 안내 수단이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4b는 도1 및 도2의 화살표(C)의 방향에서 본,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과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a는 폐쇄된 셔터 기구를 도시하는, 지폐를 배출하는 셔터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b는 개방된 셔터 기구를 도시하는, 지폐를 배출하는 셔터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
도6a는 도5a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6b는 도5b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7은 밀어내기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8a는 지폐들이 배출되기 전의 밀어내기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b는 지폐들이 배출될 때의 밀어내기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지폐들이 지폐 취급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지폐 취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 선도.
도11a 내지 도11f는 지폐가 삽입될 때의 지폐 공급 기구 및 안내 수단의 작동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지폐 취급 개구
7 : 공급 기구
10 : 지폐 보관부
31 : 지폐 식별 센서
35 : 안내 수단
39a, 39b : 안내 플레이트
본 발명은 보관하기 위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빠찡고 머신, 슬롯 머신(이하에서, 전체적으로 "게임기"로 불림) 등이 설치된 게임장 내에 설치되어 게임기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빠찡고 홀과 같은 게임 홀에서, 게임 플레이어의 편의를 위해, 많은 게임기들이 설치된 영역("뱅크"로도 불림) 내에, 수직으로 배향된 게임 매체 대여 장치("샌드위치 장치"로도 불림)가 인접한 게임기들 사이에 설치되어 빠찡고 볼, 코인(게임 매체) 등을 대여한다. 게임 매체 대여 장치는 게임기들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된 프레임에 부착되고, 실제로 게임 매체를 대여하고 그리고/또는 대응하는 삽입 슬롯을 통해 삽입되는 지폐, 코인, 선불 카드 등에 의해 게임 매체를 대여하도록 요구하는 신호를 게임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지폐, 코인, 및 선불 카드를 취급하도록 구성된 게임 매체 대여 장치는 지폐 취급 장치, 코인 취급 장치, 선불 카드, IC 카드 등과 같은 기록 매체를 수취하여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 취급 장치,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며 게임 매체를 대여하도록 요구하는 신호를 게임기에 송신하는 제어기와, 전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폐 취급 장치는 예를 들어 JP H07-237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와, 지폐 식별부 내에서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금고)를 갖는다. 공지된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 삽입 슬롯 내에 삽입된 지폐를 공급 기구에 의해 후방으로 운반하며 센서에 의해 지폐의 유효성을 판독하고,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더욱 후방으로 운반하면서 유효하지 않다고 판정된 지폐를 공급 기구를 역회전으로 구동함으로써 삽입 슬롯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는 후방으로 운반된 지폐의 대향 측면들과 맞물린 한 쌍의 회전 안내 바아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측면에 존재하는 지폐 보관부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통상, 지폐 취급 장치 내에 배치된 지폐 식별부는 삽입되는 지폐에 광선을 방출하고, 반사된 광 및/또는 투과된 광에 의해 얻어진 검출 데이터를 인증된 지폐에 대한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폐를 식별하는데 있어서, 식별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운반되는 지폐의 전체 종방향 영역을 검출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의 지폐 취급 장치가 운반되는 지폐의 전체 종방향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면, 후방의 공간이 장치의 전반적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바꾸어 말하면, 장치는 지폐를 후방으로 운반하면서 지폐에 대한 식별 처리를 수행하고, 전체 종방향 영역이 판독되면 지폐를 측면으로 옮겨서, 지폐 식별 센서의 하류부 내에 적어도 지폐의 길이 이상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통상,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기들 사이에 설치된 게임 매체 대여 장치는 그의 크기를 가능한 한 감소시키도록 요구되고, 대여 장치 내에 통합된 지폐 취급 장치 또한 크기가 작고 제한된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요구된다.
더욱이, 전체 지폐 취급 장치를 작게 만드는데 있어서, 식별을 마친 후에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처리와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처리 사이에서 간섭 및/또는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안정된 상태에서 그러한 지폐들 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처리를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전체 지폐 취급 장치를 작게 만드는데 있어서, 장 치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통합된 다양한 구조 부재들이 효율적으로 배치되고, 지폐의 이송, 보관, 및 배출의 각각의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지폐 식별에 있어서의 정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작게 만들어져서 제한된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지폐들이 안정된 상태에서 취급될 수 있게 하는 지폐 취급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지폐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지폐 취급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지폐 취급 개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삽입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삽입 상태의 지폐를 다시 지폐 취급 개구로 공급하기 위한 지폐 공급 장치와, 지폐 취급 개구 내로 삽입된 지폐의 유효성을 식별하는 지폐 식별 센서와, 지폐가 삽입 방향을 따른 공급 상태에 있으며 지폐 식별 센서가 지폐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있을 때, 삽입 상태의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장치와, 지폐 공급 장치와 평행하게 제공되어 지폐를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와, 삽입된 지폐가 유효할 때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공급하도록 지폐 공급 장치의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복귀된 지폐를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시켜서 보관하며, 지폐와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갖는 지폐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 의 목적 및 장점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지시되는 실시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명세서 내에 통합되어 그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에서 주어지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도4a 및 도4b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1은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공급 상태에서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안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a 및 도4b는 도1 및 도2의 화살표(C)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4a는 안내 수단이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4b는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과 이후에 공급된 지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지폐 취급 장치(1)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빠찡고 머신, 슬롯 머신 등과 같은 게임기들 사이에 설치된 게임 매체 대여 장치 내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게임 매체 대여 장치는 지폐 취급 장치(1) 위 또는 아래에 다른 장치(예를 들어, 코인 식별 장치, 기록 매체 취급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등)를 구비하고, 지폐 취급 장치(1)는 다른 장치와 통합될 수 있거나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지폐 취급 장치(1)는 게임기들 사이 이외의 공간 내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장치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는 게임기 내에 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 지폐가 그러한 지폐 취급 장치(1)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지폐의 유효성이 판정되면, 장치(1)는 지폐의 양에 대응하여, 게임 매체를 대여하는 처리, 기록 매체 내에 기록하는 처리 등을 수행한다.
지폐 취급 장치(1)는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1a)을 갖고, 케이싱(1a)은 도시되지 않은 게임 매체 대여 장치의 맞물림부에 부착된다. 케이싱(1a)의 전면(1b) 상에, 지폐 취급 개구(3A)가 형성되고, 그를 통해 지폐가 삽입되고 배출된다. 지폐 취급 개구(3A)는 단일 지폐가 통과될 수 있게 하는 삽입 영역(슬릿의 형태로 개방된 지폐 삽입 슬롯(3))과,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이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꺼번에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셔터 기구(80)에 의해 차폐되는) 배출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폐(B)는 지폐의 짧은 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직립 상태로) 화살표(A)의 방향을 따라 지폐 삽입 슬롯(3)을 거쳐 내부로 삽입된다.
케이싱(1a) 내에, 삽입되는 지폐의 유효성을 식별하는 지폐 식별부(5)와, 삽입된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기구(7; 지폐 공급 장치, 지폐 공급 수단)와,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10; 지폐 보관 수단)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폐 식별부(5)는 삽입 방향에서 지폐 삽입 슬롯(3) 근방의 위치에 제공되고, 지폐 공급 기구(7)는 지폐 식별부(5)로부터의 삽입 방향(A)을 따른 영역 위에 제공된다. 지폐 보관부(10)는 지폐 공급 기구(7)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삽입 방향(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B)으로, 지 폐들을 직립 상태로 유지하면서 지폐들을 적층시켜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2에서, 지폐들은 시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보관된다).
지폐 식별부(5)는 지폐 삽입 슬롯(3) 내로 삽입된 지폐를 지폐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로 당기도록 공급하는 제1 공급 기구(15; 제1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공급 기구(15)는 지폐 삽입 슬롯(A)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공급 벨트(15a, 15b)를 구비한다. 공급 벨트(15a, 15b)들은 각각 일 단부에서 내부 프레임(1d)에 의해 지폐 삽입 슬롯(3)측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핀들(16)에 부착된 인장 롤러(16a, 16b)들 둘레에 권취되고, 타 단부에서 지폐 식별부(5)의 후방에서 내부 프레임(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핀들(17)에 부착된 인장 롤러(17a, 17b)들 둘레에 권취된다.
스핀들(17)은 내부 프레임(1d) 내에 배치된 공급 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스핀들(17)은 공급 모터(20)의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20G) 및 기어(20G)와 맞물려서 스핀들(17)의 일 단부에 고정된 기어(17G)를 거쳐 회전 구동된다. 공급 모터(20)는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되고, 지폐 공급 기구(7)의 구동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공급 벨트(15a, 15b)들은 종방향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핀치 롤러와 접촉하고, 지폐 삽입 슬롯 내로 삽입된 지폐(B)는 공급 벨트(15a, 15b) 및 공급 벨트와 접촉하는 핀치 롤러에 의해 집혀서 공급된다.
지폐 공급 기구(7)는 제1 공급 기구(15)와 연속적으로 설치된 제2 공급 기구(25; 제2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제2 공급 기구(25)는 지폐 삽입 방향(A)을 따라 연장되며, 제1 공급 기구(15)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급 벨트(15a, 15b)보다 더 넓은 한 쌍의 공급 벨트(25a, 25b)를 갖는다. 공급 벨트(25a, 25b)들은 각각 일 단부에서 스핀들(17)의 인장 롤러(17a, 17b)들의 외부에 부착된 인장 롤러(17c, 17d)들 둘레에 권취되고, 타 단부에서 내부 프레임(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핀들(26)에 부착된 인장 롤러(26a, 26b)들 둘레에 권취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핀들(17, 26) 사이의 길이는 지폐의 길이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또한, 2개의 스핀들(17, 26)은 스핀들(17, 26) 사이 내에서 지폐 공급 방향을 따라 내부 프레임(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공급 벨트(25a, 25b)에 장력을 인가한다. 공급 벨트(25a, 25b)들은 각각 각각의 스핀들에 부착된 인장 롤러(27a, 28a) 및 인장 롤러(27b, 28b) 둘레에 권취된다. 더욱이, 스핀들(27)은 스핀들(17)에 대한 오프셋을 가지고 지지된다 (도4a 및 도4b 참조). 이는 공급되는 지폐의 전방 단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만곡되도록 안내되므로, 만곡된 변위의 양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제2 공급 기구(25)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급 벨트(25a, 25b)들의 쌍은 제1 공급 기구(15)에서와 같이, 스핀들(17)을 회전 구동하는 공급 모터(20)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지폐 식별부(5)는 스핀들(16)보다 지폐 삽입 슬롯(3)에 더 가까이 제공된 지폐 삽입 센서(30)를 갖는다. 지폐 삽입 센서(30)는 예를 들어 광학 센서로 구성되 고, 지폐가 지폐 삽입 슬롯(3) 내로 삽입되는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 지폐 삽입 센서(30)가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면, 후술하는 제어 수단(제어 장치)은 공급 모터(20)를 지폐 공급 방향으로 회전 구동(정회전으로 구동)한다.
지폐 식별부(5)는 스핀들(16, 17) 사이에 설치된 지폐 식별 센서(31; 지폐 식별 수단)를 더 갖는다. 지폐 식별 센서(31)들 각각은 지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공급 기구(7)에 의해 공급될 때 공급되는 지폐에 광선을 방출하는 광학 센서로 구성된다. 지폐 식별 센서(31)들은 지폐 삽입 방향(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부분에 설치된다.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CPU는 지폐로부터 반사된 광 및/또는 투과된 광에 의해 얻어진 검출 데이터를 ROM 내에 미리 저장된 인증된 지폐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고,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그 다음,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는 지폐를 식별하는데 있어서 공급되는 지폐의 전체 종방향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지폐 공급 기구(7)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핀들(26)의 하류에, 공급되는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는 안내 수단(35)이 더 제공된다. 안내 수단(35)은 지폐의 후방 단부가 지폐 식별 센서(31)를 통과할 때 지폐의 전방 단부가 만곡되어 안내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수단(35)은 스핀들(26)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구동 샤프트(36)를 갖는다. 회전 구동 샤프트(36)는 대향 단부들에서 샤프트(36)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형 플레이트(37a, 37b)를 구비하고, 3개의 롤러(38a, 38b, 38c)가 서로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플레이트(37a, 37b)들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들이 각각 롤러(38a, 38b, 38c)들의 외측 원주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지폐가 롤러(38a, 38b, 38c)들의 외측 원주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안내될 정도의 거리)로 샤프트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37a, 37b)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들은 그들의 아치형 외측 원주 표면에 의해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지폐와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여 (적층되어 보관되는 지폐들과 공급되는 지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분리 기능과, 그들의 내측 표면 및 롤러(38a, 38c)들의 외측 원주부에 의해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욱이, 안내 바아(40)가 플레이트(37a, 37b)들 사이에 놓여서, 공급되는 지폐의 전방 단부를 안내 플레이트(39a, 39b)와 롤러(38a, 38c)의 외측 원주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매끄럽게 안내하고, 지폐가 공급 벨트(25a, 25b)와 롤러(38a, 38c)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개재와 같은 걸림의 발생을 방지한다).
회전 구동 샤프트(36)는 내부 프레임(1d) 내에 배치된 분리 모터(4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구동 샤프트(36)는 분리 모터(42)의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42G) 및 회전 구동 샤프트(36)의 일 단부에 고정되어 기어(42G)와 맞물리는 기어(36G)를 거쳐 회전 구동된다. 분리 모터(42)는 공급 모터(20)의 구동과 관련하여 간헐적인 회전 구동으로 제어된다.
지폐 보관부(10)는 (도2에서 시트의 후방에 배치된) 지폐 공급 기구(7)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폐 공급 기구(7) 내에 존재하는 지폐가 그의 상태를 유지하면 서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보관부(10)는 적층되는 소정 매수의 지폐들을 보관하도록 구성되고, 공급 벨트(25a, 25b)와 평행하게 배치된 마운트 플레이트(10b), 및 지폐 공급 기구(7)측을 향해 마운트 플레이트(10b)에 힘을 인가하는 (압박하는) 힘 인가 수단(압박 수단)으로서 힘 인가 스프링(10c; 편위 스프링)을 갖는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는 힘 인가 스프링(10c)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보관된다). 더욱이, 개폐 가능 셔터 기구(80; 도5a 및 도5b 참조)는 지폐 보관부(10)의 지폐 삽입 슬롯측에 배치되어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고, 적층된 지폐들은 후술하는 밀어내기 기구에 의해 변화 없이 배출된다.
또한, 지폐 보관부(10)는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의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지폐 검출 센서(125; 지폐 검출 수단)를 구비할 수 있다 (도10의 블록 선도 참조).
지폐 보관부(10)와 지폐 공급 기구(7) 사이에,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가 지폐 보관부(10) 내에 보관되도록 적층되며 공급 경로가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를 위해 개방되도록 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분리 기구(50; 분리 장치, 분리 수단)가 제공된다. 분리 기구(50)는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순차적으로 마운트 플레이트(10b)와 접촉시키며,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를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와 간섭하지 않도록 분리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분리 기구(50)는 전술한 회전 구동식 아치형 안내 플레이 트(39a, 39b)의 외측 원주 표면과, 스핀들(17)과 지폐 보관부(10) 사이에 배치된 절환 밸브(52)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플레이트(39a, 39b)는 종방향에서 지폐의 일 단부측과 맞물리고, 절환 밸브(52)는 종방향에서 지폐의 타 단부측과 맞물릴 수 있다.
안내 플레이트(39a, 39b)는 회전 구동되는 분리 모터(42)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각각의 외측 원주 표면이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의 단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지폐를 힘 인가 스프링(10c)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마운트 플레이트(10b)를 향해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욱이, 각각의 안내 플레이트(39a, 39b)의 외측 원주 표면의 단부 영역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의 단부와 접촉하여 지폐를 가압하는 기능을 갖고, 각각의 단부 모서리(39e)는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와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 사이의 분리를 수행하도록 다음에 공급되는 지폐의 공급 경로를 개방한다.
한편, 도2 및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절환 밸브(52)는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세 부분, 중심 및 대향 단부 부분들)에서 삽입된 지폐와 접촉할 수 있고, 밸브가 밸브에 인가되는 힘(도4a 및 도4b)에서, 힘은 시계방향으로 인가됨)에 의해 삽입되는 지폐의 삽입 경로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압박된다. 인가되는 힘(압박력)은 지폐가 삽입될 때, 지폐의 공급력이 절환 밸브(52)가 도11a 내지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지폐 보관부(10)측 상의 각각 의 절환 밸브(52)의 표면은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지폐의 단부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삽입되는 지폐와 보관된 지폐 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능을 실시한다.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전술한 지폐들은 지폐 취급 개구(3A) 내의 지폐 삽입 슬롯(3)과 평행하게 배치된 셔터 기구(80)를 구동 및 개방함으로써 그의 적층 상태가 유지된 채로 제거될 수 있다 (도9 참조). 셔터 기구(80)는 기울어져서 지폐 취급 개구(3A)의 배출 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차폐 플레이트(81)와, 차폐 플레이트(81)에 결합된 커플링 부재(82; 회전 아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차폐 플레이트(81)는 일 단부(81a)에서 장치 본체의 프레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 단부(81b)에서 커플링 부재(82)의 일 단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플링 부재(82)의 타 단부(82a)는 지폐 공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한 쌍의 랙(rack) 부재(85; 일측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5a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2)는 차폐 플레이트(81)가 폐쇄된 채로 지폐 적층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5a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도5b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활주하도록 구동되는 (당겨지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랙 부재(85)에 의해, 커플링 부재(82)는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프레임의 벽 사이로 들어가고, 랙 부재(85)가 계속 활주하도록 구동되면, 도5b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부재(85)와 거의 동일한 평면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 커플링 부재(82)의 작동에 의해, 차폐 플레이트(81)는 중심으로서 일 단부(81a)에 대해 장치의 내부를 향해 낙하하도록 회전되어 프레임 벽과 접촉하고, 마지막으로 지폐의 배출 경로를 개방하여 지폐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2 및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랙 부재(85)는 피니언(87, 87)을 거쳐 프레임의 대향 측면들에 설치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기어열(88)과 맞물린다. 그 다음, 각각의 기어열(88)은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배치된 셔터 모터(9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구동 샤프트(89)에 결합된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 모터(90)의 모터 기어(90G)가 회전 구동 샤프트(89)에 고정된 기어(89G)에 결합되면, 회전 구동 샤프트(89)는 회전 구동되고, 랙 부재(85)들의 쌍은 샤프트(89)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된 기어열(88)들 및 피니언(87)들을 거쳐 동시에 활주 구동(당김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차폐 플레이트(81)는 도5a 및 도5b, 및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되도록 구동된다.
그 다음, 차폐 플레이트(8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낙하하여 개방된 후에, 밀어내기 기구(100; 밀어내기 장치, 밀어내기 수단)는 지폐 보관부(10)의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맞물리고, 적층된 지폐들은 개방된 차폐 플레이트(81)측으로 강제로 밀려난다.
그러한 밀어내기 기구는 예를 들어, 도2, 도7, 및 도8a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폐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홈(10e)이 지폐 보관부(10)의 마운트 플레이트(10b) 내에 형성되고, 긴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밀어내기 아암(105)이 배치된다. 밀어내기 아암(105)의 일 단부측 상 에, 지폐의 적층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서 적층된 지폐의 단부 모서리와 접촉하는 접촉편(105a)이 형성되고, 타 단부측 상에, 회전 구동을 가능케 하도록 장치 본체의 프레임 내에서 신장되어 제공된 구동 벨트(110)를 유지하는 유지부(105b)가 형성된다.
구동 벨트(110)는 대향 단부들에서 인장 롤러(111, 112) 위로 신장되고, 장치 본체의 프레임 내에 제공된 밀어내기 모터(120) 및 모터(120)의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 기어열(122)을 거쳐 인장 롤러(111, 112)들 중 하나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밀어내기 아암(105)은 지폐 배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밀어내기 아암(105)을 활주하도록 구동함으로써,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은 변화 없이 활주하도록 구동되고, 개방된 차폐 플레이트(81)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셔터 기구(80)는 셔터 모터(90)를 구동함으로써 개방되고, 밀어내기 모터(120)가 그와 동시에 구동되고,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B)들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셔터 기구(80)는 차폐 플레이트(81)를 로킹시키는 로크 기구(로크 장치, 로크 수단)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크 기구는 차폐 플레이트(81)와 접촉하여 플레이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크 부재(300; 도6a 및 도6b 참조)를 장치 본체의 프레임에 제공하고, 프레임 내에 유지되는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94; 도6a 및 도6b 참조)에 의해 로크 부재(300)를 접촉 상태/비접촉 상태로 구동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로크 기구 내의 로크 부 재(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도10은 전술한 지폐 취급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제어 수단은 전술한 액츄에이터들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며, 공급 모터(20), 분리 모터(42), 밀어내기 모터(120), 셔터 모터(90)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CPU(130)를 구비한 제어 회로 보드(150)와, 다양한 구동 장치의 작동 프로그램, 인증된 지폐에 대한 검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OM(131)과, 제어 RAM(132)으로 구성된다.
CPU(130)는 I/O 포트(135)를 거쳐 공급 모터 구동 회로(140), 분리 모터 구동 회로(141), 밀어내기 모터 구동 회로(142), 및 셔터 모터 구동 회로(143)에 연결되어, 다양한 구동 장치를 구동하고, 각각의 구동 장치의 작동은 작동 프로그램에 따른 CPU(1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이, 지폐 삽입 센서(30)로부터의 검출 신호, 지폐 식별 센서(31)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지폐 검출 센서(125)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I/O 포트(135)를 거쳐 CPU(130)로 입력된다.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 모터(20)는 공급 모터 구동 회로(140)를 거쳐 정회전/역회전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되고, 분리 모터(42)는 분리 모터 구동 회로(141)를 거쳐 회전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더욱이, 지폐의 존재가 지폐 검출 센서(12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차폐 플레이트(81)는 솔레노이드(94)에 의해 로킹된다.
CPU(13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게임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게임 처리를 실 행하는 제어 회로(200)에 연결되어, 삽입된 지폐의 양에 대응하는 게임값 정보를 게임기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로크 기구 내에서 로킹 상태를 해제 (솔레노이드(94)를 구동)하기 위한 해제 신호가 CPU(130)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해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수단(300)이 통신 네트워크(400)를 거쳐 제어 회로 보드(150)에 연결되고, 뱅크 시설들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의 기능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수집을 위한 작업 시에 뱅크 시설들 내의 지폐 취급 장치들의 셔터를 전체적으로 구동 및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1)의 작동이 도1 내지 도4a 및 도4b 및 도11a 내지 도11f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또한, 도11a 내지 도11f는 지폐(B)가 삽입될 때의 지폐 공급 기구(7), 안내 수단(35), 및 분리 기구(50)의 작동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지폐(B)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직립하여 지폐 삽입 슬롯(3) 내로 삽입되면, 지폐 삽입 센서(30)는 삽입을 검출한다. 지폐 삽입 센서(30)가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면, 공급 모터(20)는 정회전으로 구동되고, 지폐 공급 기구(7)의 제1 공급 기구(15) 및 제2 공급 기구(25)는 도11a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지폐 삽입 슬롯(3)을 통해 삽입된 지폐(B)는 이에 의해 내부로 도입된다.
이 때, 안내 수단(35)의 안내 플레이트(39a, 39b)들은 각각의 초기 위치에 위치된다 (안내 플레이트(39b)만이 도11a 내지 도11f의 각각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 음). 여기서, 초기 위치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b)의 전방 단부(39e)가 지폐 삽입 슬롯측을 향하여 공급되는 지폐(B)의 전방 단부가 안내 플레이트(39b)와 롤러(38c)의 외측 원주 표면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하는 위치이다. 더욱이, 초기 위치에서, 안내 바아(40)는 안내 플레이트(39a, 39b)와 롤러(38a, 38c)의 외측 원주 표면 사이의 간극을 개방하며, 공급 벨트(25a, 25b)와 롤러(38a, 38c)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고, 지폐의 전방 단부가 만곡되어 롤러(38a, 38c)의 주연부로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게 하도록 준비된다.
더욱이, 초기 위치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들이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저장될 때,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의 외측 원주 표면은 지폐 공급 기구(7)측 상에 위치된 지폐의 단부 표면과 접촉하고, 따라서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새롭게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한다. 또한, 절환 밸브(52)는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고, 지폐들이 지폐 보관부(10) 내에 적층되어 보관될 때, (삽입되는 지폐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지폐의 단부 표면과 접촉한다.
지폐(B)가 내부로 공급될 때, 지폐 식별 센서(31)는 공급 상태의 지폐를 검출하고, 전술한 제어 수단은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폐 식별 센서(31)는 공급되는 지폐(B)의 전체 종방향을 검출한다 (도11b 참조). 또한, 지폐(B)가 공급될 때, 절환 밸브(52)는 지폐의 공급력에 의해 인가되는 힘(압박력)에 대항하여 도11a 내지 도11f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폐(B)의 후방 단부가 지폐 식별 센서(31)를 통과하고 센서가 지폐의 전체 종방향을 검출하면, 지폐(B)의 전방 단부는 안내 수단(35)의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에 의해 안내되고 만곡된다. 이 때, 지폐(B)의 후방 단부는 후방 단부가 절환 밸브(52)를 통과하지 않은 위치에 있다 (도11c).
그 다음, 제어 수단이 삽입된 지폐(B)가 유효하다고 판정하지 않으면, 공급 모터(20)는 역회전으로 구동된다. 역회전에 의해,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의 지폐(B)는 반송 작용을 받아서, 지폐 삽입 슬롯(3)으로부터 배출된다. 더욱이, 지폐(B)가 유효하다고 판정되면, 공급 모터(20)는 지폐(B)의 후방 단부가 절환 밸브(52)를 통과할 때까지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도11d 참조). 이에 의해, 절환 밸브(52)는 인가되는 힘에 의해 도11a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공급 모터(20)는 지폐(B)의 후방 단부가 절환 밸브(52)를 통과할 때까지 정회전으로 구동되고, 그 다음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복귀시키도록 역회전으로 구동된다 (복귀 제어). 이 때, 지폐(B)의 후방 단부는 절환 밸브(52)에 의해 분리가 되고, 제1 공급 기구(15)측으로 다시 공급되지 않고,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지폐(B)의 전방 단부는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의 안내 도입부 내에 위치되고, 따라서 만곡된 안내 이전의 상태로 위치된다 (도11e). 또한, 복귀 제어는 지폐가 지폐 식별 센서(31)에 의해 유효하다고 판정되면, 지폐의 후방 단부가 절환 밸브(52)를 통과하고 지폐의 전방 단부가 안내 플레이트(39a, 39b)에 의해 안내되어 만곡된 후에, 공급 모터(20)의 구동은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삽입 슬롯측을 향해 공급하도록 (복귀시키도록) 제어된다.
그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 모터(42)가 회전 구동되어, 안내 플레이 트(39a, 39b)를 반시계 방향으로 360°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지폐(B)의 전방 단부는 안내 플레이트(39a, 39b) 상으로 상승되고 (도11f 참조), 마지막으로 플레이트(39a, 39b)가 도11a의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플레이트(39a, 39b)의 외측 원주 표면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10b)와 접촉을 유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복귀된 지폐는 마운트 플레이트(10b)에 대해 가압되면서, 회전 구동되는 안내 플레이트(39a, 39b)에 의해 지폐 보관부(10)를 향해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반된다. 더욱이, 다음에 삽입되는 지폐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 안내 플레이트(39a, 39b)에 의해 적층된 지폐와 간섭하지 않도록 분리되고, 공급 경로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 지폐들이 지폐 삽입 슬롯(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삽입되면, 전술한 작동이 반복되고, 마지막으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수의 지폐들이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적층되어 보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은 전방 단부 내에서 안내 플레이트(39a, 39b)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10b)측에 대해 가압되며, 후방 단부 내에서 절환 밸브(52)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10b)측에 대해 가압된다 (적층된 지폐와 새롭게 삽입되는 지폐 사이의 분리가 안내 플레이트(39) 및 절환 밸브(52)에 의해 달성됨).
이러한 실시예의 지폐 취급 장치(1)에 따르면, 지폐 삽입 슬롯(3)으로 삽입된 지폐는 지폐 공급 기구(7)에 의해 변화 없이 공급되고, 공급 중에 지폐 식별 센서(31)에 의해 그의 유효성에 대해 판정된다. 그 다음, 지폐 식별 센서(31)가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하고 있을 때, 안내 수단(35)은 공급되는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되도록 안내한다. 그러므로, 지폐가 종방향으로 전체 영역이 검출될 때에도, 지폐의 종방향으로의 공급 경로의 길이를 더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지폐의 식별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 지폐 취급 장치(1)의 깊이를 가능한 많이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는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삽입 슬롯(3)측으로 복귀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분리 기구(50)는 지폐를 지폐 공급 기구(7)와 평행하게 배치된 지폐 보관부(10)를 향해 운반한다. 바꾸어 말하면, 지폐 보관부(10)는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반된 지폐를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구조를 갖고, 그러므로 지폐를 폭 방향으로 제한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 다음, 분리 기구(50)는 지폐 공급 기구(7)에 의해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가 간섭하지 않도록 공급 경로를 개방하고, 따라서 보관되어 적층되는 지폐와 삽입되는 지폐 사이에 걸림 및/또는 막힘을 일으키지 않고서 지폐를 안정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안내 수단(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가 지폐를 지폐 보관부(10)를 향해 운반하는 기능 및 보관되어 적층되는 지폐와 삽입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 기능을 가지므로, 전체 구성은 단순화될 수 있다.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39a, 39b)는 지폐를 마운트 플레이트(10b)에 대해 가압하는 기능을 더 갖고, 이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와 같은 부재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성이 제거된다.
그 다음, 지폐 보관부(10) 내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은 로크 기구가 해제 되고 셔터 기구가 구동되어 차폐 플레이트(8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밀어내기 기구(100)에 의해 도8a 및 도8b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보관되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된다. 마운트 플레이트(10b)와 맞물리는 밀어내기 기구(100)를 이렇게 제공함으로써, 지폐 보관부(10) 내의 (마운트 플레이트 상에) 보관된 지폐들은 변화 없이 쉽게 밀려나서 제거될 수 있고, 지폐들을 보관하는 카세트(금고)가 내부로부터 제거되고 지폐들이 종래의 지폐 취급 장치에서와 같이 카세트로부터 제거되는 노력이 감소된다. 더욱이, 전술한 구조로 인해, 장치 내부에 카세트 등을 설치할 필요성이 제거되고, 장치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체 장치를 소형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전술한 셔터 기구(80)에 따르면, 차폐 플레이트(81)의 개폐 작동은 장치 내부에 배치된 커플링 부재(82)를 당김으로써 수행된다. 차폐 플레이트(81)가 이렇게 커플링 부재(82)를 당김으로써만 개폐되므로, 당김 방향을 지폐 공급 방향과 동일하게 만듦으로써, 장치 내부의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2)를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 아래로 당김으로써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지폐들을 수집하는 작업 시에, 지폐 검출 센서(125)가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출하면 (수집 작업이 종료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전술한 처리 절차와 반대인 처리가 실행된다. 바꾸어 말하면, 밀어내기 모터(120)는 역회전으로 구동되고, 밀어내기 아암(105)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셔터 모터(90)는 그 다음 차폐 플레이트(81)를 폐쇄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역회전으로 구동되고, 솔레노이드(94)는 이후에 로크 부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회전되고, 로크 기구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로크 기구는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출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단지 지폐 수집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구되고, 지폐 수집 작업을 고도의 효율성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폐 플레이트(81)의 로킹의 생략(사람의 오류)은 지폐 수집 작업에서 신뢰할 수 있게 방지되고, 이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제어 수단은 로크 기구를 해제하라는 신호의 수신 시에 마운트 플레이트(10b) 상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으면 로크 기구를 해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로크 기구는 밀어내기 아암(105)을 구동하지 않고서 유지되고, 이에 의해 로킹이 생략되는 것 등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크 기구의 해제는 작업자가 지닌 전용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폐 취급 장치는 적외선 수신부(500)를 구비할 수 있고 (도1 및 도10 참조), 적외선 수신부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로킹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로크 기구를 해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많은 수의 지폐 취급 장치 상에서 수집 작동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그러한 해제 작업은 관리 서버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한꺼번에 수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로크 기구들은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에 의해 전체 뱅크 또는 뱅크의 각각의 라인에 대해 한꺼번에 해 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평시에 (지폐가 삽입될 수 있을 때), 차폐 플레이트는 배출 영역을 차폐하고, 지폐가 제거될 때, 차폐 플레이트는 배출 영역을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지폐가 삽입되는 영역 및 지폐가 배출되는 영역이 분할되고 배출 영역은 필요시에 차폐 플레이트에 의해 개방되는 구성이 제공되므로, 지폐 삽입부 및 지폐 배출부는 단일 취급 개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지폐가 제거될 때,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되어 보관된 지폐들은 변화 없이 그들의 상태로 (그들의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 영역으로부터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폐 취급 장치에 따르면, 지폐 수집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상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는 물론, 예를 들어 다음의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이 식별되고 있는 지폐의 공급 시에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며,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복귀시키고, 그 다음 지폐가 지폐 보관부를 향해 운반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요구하고, 분리 기구의 구조 및 보관되어 적층되는 지폐를 분리하는 계획을 적절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지폐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 및 지폐를 지폐 보관부를 향해 운반하고 보관되어 적층되는 지폐와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구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상이한 기능들을 갖는 구조는 물론, 그러한 구조는 각각의 독립된 기능이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지폐를 공급하는 지폐 공급 기구, 지폐 공급 기구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의 구조, 동력 이송 기구 등의 구조를 적절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셔터 기구(80), 밀어내기 기구(100)의 구조 및 작동 방법을 적절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는 예를 들어 다양한 자동 판매기와 같은 장치 외부에서 지폐를 취급하는 다양한 장치 내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게임기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의 장점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의 더 넓은 태양에서,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세부 사항 및 대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기계는 지폐의 식별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형화될 수 있고, 또한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와 새롭게 삽입되는 지폐 사이에 걸림 및/또는 막힘을 일으키지 않고서 지폐를 안정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20)

  1. 지폐 취급 장치이며,
    지폐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지폐 취급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지폐 취급 개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삽입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삽입 상태의 지폐를 다시 지폐 취급 개구로 공급하기 위한 지폐 공급 장치와,
    지폐 취급 개구 내로 삽입된 지폐의 유효성을 식별하는 지폐 식별 센서와,
    지폐가 삽입 방향을 따른 공급 상태에 있으며 지폐 식별 센서가 지폐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있을 때, 삽입 상태의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장치와,
    지폐 공급 장치와 평행하게 제공되어 지폐를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지폐 보관부와,
    삽입된 지폐가 유효할 때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공급하도록 지폐 공급 장치의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복귀된 지폐를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시켜서 보관하며, 지폐와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지폐를 만곡시켜서 안내하는 아치형 안내 플레이트와, 분리 장치의 분리가 안내 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폐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 플레이트는 지폐를 지폐 보관부를 향해 운반하는 지폐 취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지폐 보관부는 적층된 지폐들을 보관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갖고, 안내 플레이트는 지폐를 마운트 플레이트에 대해 가압하는 지폐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폐 취급 개구는 단일 지폐가 통과될 수 있게 하는 삽입 영역과,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이 그들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꺼번에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출 영역으로 분할되고, 배출 영역은 지폐가 삽입될 때 개폐 가능한 차폐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는 지폐 취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차폐 플레이트는 회전 가능한 커플링 부재에 결합되어, 커플링 부재를 지폐 삽입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낙하하고, 이에 의해 배출 영역을 해제하는 지폐 취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지폐가 지폐 보관부 내에 보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지폐 검출 센서와,
    차폐 플레이트를 로킹시키는 로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 장치는 지폐 검출 센서가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 로크 장치에 의해 배출 영역의 개구를 차단하도록 차폐 플레이트를 로킹시키는 지폐 취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지폐 보관부는 적층된 지폐들을 보관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갖고,
    지폐들이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하도록 마운트 플레이트 상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접촉하는 밀어내기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지폐 보관부는 적층된 지폐들을 보관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갖고,
    지폐들이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하도록 마운트 플레이트 상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접촉하는 밀어내기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밀어내기 장치는 차폐 플레이트의 개방 작동과 동기하여 구동되는 지폐 취급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안내 플레이트와 지폐 공급 장치 사이에 배치된 롤러를 갖고, 지폐가 지폐 공급 장치와 롤러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지폐를 안내 플레이트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 바아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안내 바아는 안내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지폐 취급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는 지폐 공급 장치와 지폐 보관부 사이에 배치된 절환 밸브를 갖고,
    절환 밸브는 복귀된 지폐가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위치와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의 삽입을 가능케 하기 위한 위치 사이의 절환에 의해, 분리를 위해 안내 플레이트와 협동하는 지폐 취급 장치.
  14. 지폐 취급 장치이며,
    지폐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지폐 취급 개구를 갖는 케이싱과,
    지폐 취급 개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삽입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삽입 상태의 지폐를 다시 지폐 취급 개구로 공급하기 위한 지폐 공급 수단과,
    지폐 취급 개구 내로 삽입된 지폐의 유효성을 식별하는 지폐 식별 수단과,
    지폐가 삽입 방향을 따른 공급 상태에 있으며 지폐 식별 수단이 지폐의 유효성을 검출하고 있을 때, 삽입 상태의 지폐의 전방 단부를 만곡시켜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지폐 공급 수단과 평행하게 제공되어 지폐를 지폐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보관하는 지폐 보관 수단과,
    삽입된 지폐가 유효할 때 지폐를 소정의 거리만큼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공급하도록 지폐 공급 수단의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복귀된 지폐를 지폐 보관부 내에 적층시켜서 보관하며, 지폐와 이후에 공급되는 지폐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분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지폐 취급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지폐를 지폐 보관 수단을 향해 운반하는 지폐 취급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지폐를 지폐 보관 수단에 대해 가압하는 지폐 취급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지폐 취급 개구는 단일 지폐가 통과될 수 있게 하는 삽입 영역과,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이 그들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꺼번에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출 영역으로 분할되고, 배출 영역은 지폐가 삽입될 때 개폐 가능한 차폐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는 지폐 취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지폐가 지폐 보관 수단 내에 보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지폐 검출 수단과,
    차폐 플레이트를 로킹시키기 위한 로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지폐 검출 수단이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 로크 수단에 의해 배출 영역의 개구를 차단하도록 차폐 플레이트를 로킹시키는 지폐 취급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지폐들이 지폐 취급 개구측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하도록 지폐 보관 수단 상에 보관되어 적층된 지폐들과 접촉하기 위한 밀어내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20060047999A 2005-06-17 2006-05-29 지폐 취급 장치 KR20060132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8271 2005-06-17
JP2005178271A JP4523497B2 (ja) 2004-11-29 2005-06-17 紙幣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49A true KR20060132449A (ko) 2006-12-21

Family

ID=3705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999A KR20060132449A (ko) 2005-06-17 2006-05-29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000822A1 (ko)
EP (1) EP1734487B1 (ko)
KR (1) KR20060132449A (ko)
CN (1) CN1881262A (ko)
AT (1) ATE403200T1 (ko)
AU (1) AU2006202180A1 (ko)
DE (1) DE602006001990D1 (ko)
EA (1) EA008554B1 (ko)
ES (1) ES2311251T3 (ko)
TW (1) TW2007022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2787B2 (ja) * 2005-06-17 2010-11-17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5266918B2 (ja) * 2008-07-10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分離方法および媒体分離構造
JP5277018B2 (ja) * 2009-02-17 2013-08-28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484866B2 (ja) * 2009-11-16 2014-05-07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2505850B (zh) * 2011-11-09 2014-03-1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混凝土泵送单元的安装结构和混凝土泵送设备
KR101266174B1 (ko) * 2012-03-09 2013-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낙하방식의 지폐 수납기구
CN104573700B (zh) * 2015-02-04 2017-12-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褶皱票据鉴别方法及装置
JP6277324B2 (ja) * 2015-03-18 2018-02-07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6520333B2 (ja) * 2015-04-13 2019-05-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CN107301721B (zh) * 2017-07-21 2023-01-17 江苏大学 一种智能型清分机械及其控制方法
KR102030522B1 (ko) * 2018-03-23 2019-10-1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유닛 어셈블리
CN117119117B (zh) * 2023-10-25 2024-01-19 北京华科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票信息识别系统及发票信息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8170A5 (en) * 1989-05-18 1991-08-15 Landis & Gyr Betriebs Ag Arrangement for stacking sheet material such as bank notes - contains dual band and roller transport system with carriage movable above stacking cassette
US5116037A (en) * 1991-04-08 1992-05-26 Landis & Gyr Betriebs Ag Apparatus for receiving and issuing sheets
DE59207330D1 (de) * 1991-09-04 1996-11-14 Mars Inc Kassette für flexible Blätter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3710523B2 (ja) * 1994-09-01 2005-10-26 アルゼ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6367691B1 (en) * 1998-11-23 2002-04-09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mechanism for separating notes
AU2002332277A1 (en) * 2002-08-30 2004-03-29 Fujitsu Frontech Limited Money inpu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11251T3 (es) 2009-02-01
ATE403200T1 (de) 2008-08-15
TW200702269A (en) 2007-01-16
EP1734487A1 (en) 2006-12-20
CN1881262A (zh) 2006-12-20
EA008554B1 (ru) 2007-06-29
AU2006202180A1 (en) 2007-01-11
EA200600861A1 (ru) 2006-12-29
EP1734487B1 (en) 2008-07-30
US20070000822A1 (en) 2007-01-04
DE602006001990D1 (de)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449A (ko) 지폐 취급 장치
EP1736939B1 (en) Bill handl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4454023B2 (ja) 紙幣処理装置
US8100251B2 (en) Bill handling device
JP3631928B2 (ja) 紙葉類繰り出し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取り扱い装置
JP4454025B2 (ja) 紙幣処理装置
US7699154B2 (en) Bill handling device
JP4523497B2 (ja) 紙幣処理装置
JP5005022B2 (ja) 紙幣処理装置
JP5051923B2 (ja) 紙幣処理装置
JP4240483B2 (ja) 紙幣処理装置
JP5448401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装置
JPH08161580A (ja) 紙幣収納装置
JPS61141091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