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267A -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32267A KR20060132267A KR1020050052522A KR20050052522A KR20060132267A KR 20060132267 A KR20060132267 A KR 20060132267A KR 1020050052522 A KR1020050052522 A KR 1020050052522A KR 20050052522 A KR20050052522 A KR 20050052522A KR 20060132267 A KR20060132267 A KR 20060132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 mounting
- lower arm
- vehicle
- mounting portion
- hydraul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워암의 일측에 위치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A점마운팅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기 A점마운팅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제동시 관성발생수단 내부에 위치하는 관성체의 차량전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유압발생수단 내부의 유압피스톤이 동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발생수단과 유로로 연결된 승하강장치에 의해 발생유압에 비례하여 A점마운팅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제동시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기 유압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유압의 소멸과 이에 따른 승하강장치의 상승으로 인하여 A점마운팅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은 소멸되며, 이와 동시에 A점마운팅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A점마운팅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차량의 주행시 승차감이 좋아진다.
또한,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미지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로워암, A점마운팅부, A점마운팅프레임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로워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프레임 12 : A점마운팅프레임
14 : G점마운팅프레임 16 : 볼트
17 : 체결부재 18, 19 : 연결홀부
20 : 로워암 22 : A점마운팅부
24 : G점마운팅부 30 : 너클
36 : 디스크 40 : 유압발생장치
50 : 관성발생수단 54 : 관성체
60 : 유압발생수단 62 : 유압실린더
64 : 유압피스톤 70 : 유로
80 : 승하강장치 81 : 가압실린더
9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A점마운팅부를 승하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동시에는 차량의 하강량을 감소케하여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하고, 주행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A점마운팅부를 원위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며, 로워암은 전방의 현가장치에 사용되고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도 1은 종래 로워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의 결합상태도로서, 종래 로워암(20)의 A점마운팅부(22)와 G점마운팅부(24)는 차체프레임(10)의 A점마운팅프레임(12)과 G점마운팅프레임(14)에 볼트(16)로 고정되며, B점에서는 볼조인트(26)를 통해 차륜의 너클(30)과 연결되어 어퍼암과 함께 차륜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제동시 차량의 무게가 앞쪽으로 집중됨에 따라 차의 전축은 하강하게 되고 후축은 상승하게 되며, 후축의 축중이 가벼워지므로 인해 후축이 먼저 잠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후륜진동선행(REAR WHEEL LOCK PRECEDING)현상이라고 하는 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자세가 불량하게 된다.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역학 측면에서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의 위치를 낮추면 가능하나 이 경우 승차감이 불리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A점마운팅부를 승하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동시에는 차량의 하강량을 감소케하여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하고, 주행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A점마운팅부를 원위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로워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A점마운팅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장치와,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가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A점마운팅부는 상면이 승하강장치와 연결되고, 하면은 하강된 A점마운팅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장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내에 위치하며 발생되는 유압에 비례하여 하강하는 가압피스톤과, 상측으로는 상기 가압피스톤과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A점마운팅부와 연결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점마운팅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홈부는 A점마운팅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방형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점마운팅프레임은 상기 A점마운팅부의 하측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면에 탄성부재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22)와 G점마운팅부 (24)는 차체프레임의 A점마운팅프레임(12)과 G점마운팅프레임(14)에 체결부재(17)로 연결되고, B점은 볼조인트(26)를 통해 차륜의 너클(30)과 연결된다.
상기 A점마운팅부(22)의 상측은 A점마운팅프레임(12)의 상측을 관통하는 승하강장치(8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승하강장치(80)는 유로(70)를 통해 관성발생수단 (50)과 유압발생수단(60)으로 구성된 유압발생장치(40)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발생장치(40)는 관성발생수단(50)과 유압발생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성발생수단(50)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관성체(54)와, 관성체(54)보다 조금 더 큰 직경의 원통형상을 취하며 관성체(54)의 이탈을 막기 위해 관성체(54)를 둘러싸고 있는 가이드부(52)와, 관성체(54)의 원위치 복귀시 가이드부(52)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는 원통형 가이드부(52)의 우측면에 장착되고 타측으로는 관성체(54)와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형성된 유동방지부재 (56)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발생수단(60)은 오일이 들어있는 유압실린더(62)와 관성체(54)의 이동에 따라 오일을 압축하는 유압피스톤(64)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성체(54)는 차량의 제동시 관성의 법칙에 따라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유압피스톤(64)이 오일을 압축하게 되어 유압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유압은 유로(70)를 통해 승하강장치(80)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 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 A점마운팅프레임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장치(80)는 유압발생수단 (60)과 유로(70)에 의해 연결되는 가압실린더(81)와, 가압실린더(81)내에 위치하며 발생하는 유압에 비례하여 하강하는 가압피스톤(82)과, 상측으로는 가압피스톤(81)과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A점마운팅부(22)연결되는 가압판(83)으로 구성된다.
상기 A점마운팅부(22)는 상측으로는 가압판(83)과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유압의 소멸시 A점마운팅부(22)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력을 가진 탄성부재(90)와 연결된다.
상기 A점마운팅프레임(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홈부(19)는 A점마운팅부 (22)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방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승하강장치(80)는 차량의 제동시 유로(70)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따라 가압실린더(81)내의 가압피스톤(82)과 가압판(83)을 하강시킴으로써 가압판(83)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A점마운팅부(22)를 하강하게 되고, A점마운팅프레임(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홈부(19)가 장방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므로 상기 A점마운팅부는 발생된 유압만큼 하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제동시 발생하는 차량의 하강현상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기 관성발생수단(50)에서의 관성체(54)가 차량의 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압피스톤(64)이 후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압피스톤 (64)의 오일 압축에 의해 발생된 유압은 소멸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유압에 비례하여 하강된 가압피스톤(82)과 가압판(83)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A점마운팅부(22)는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90)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에 복귀함으로써 A점마운팅부(22)의 하강에 따른 차량 주행시의 승차감 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제동시 관성발생수단 내부에 위치하는 관성체의 차량전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유압발생수단 내부의 유압피스톤이 이동됨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발생수단과 유로로 연결된 승하강장치에 의해 발생유압에 비례하여 A점마운팅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제동시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기 유압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유압의 소멸과 이에 따른 승하강장치의 상승으로 인하여 A점마운팅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은 소멸되며, 이와 동시에 A점마운팅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A점마운팅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차량의 주행시 승차감이 좋아진다.
또한, 차량의 자세제어를 원활하게 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미지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 전방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로워암에 있어서,로워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와;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A점마운팅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장치와;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로워암의 A점마운팅부가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워암의 A점마운팅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점마운팅부는 상면이 승하강장치와 연결되고, 하면은 하강된 A점마운팅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장치는 가압실린더와;상기 가압실린더내에 위치하며 발생되는 유압에 비례하여 하강하는 가압피스톤과;상측으로는 상기 가압피스톤과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A점마운팅부와 연결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유압발생장치는 관성체의 이동에 의해 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관성발생수단과;관성체의 이동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관성발생수단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관성체와 관성체의 이탈을 막는 가이드부와;관성체의 원위치 복귀시 가이드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유압발생수단은 오일이 들어있는 유압실린더와;관성체의 이동에 따라 오일을 압축하는 유압피스톤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점마운팅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홈부는 A점마운팅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방형 형상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점마운팅프레임은 상기 A점마운팅부의 하측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면에 탄성부재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522A KR20060132267A (ko) | 2005-06-17 | 2005-06-17 |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522A KR20060132267A (ko) | 2005-06-17 | 2005-06-17 |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2267A true KR20060132267A (ko) | 2006-12-21 |
Family
ID=3781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2522A KR20060132267A (ko) | 2005-06-17 | 2005-06-17 |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3226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5261B1 (ko) * | 2008-01-23 | 2009-09-03 | 허장 | 차량의 급제동 평형유지장치 |
-
2005
- 2005-06-17 KR KR1020050052522A patent/KR200601322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5261B1 (ko) * | 2008-01-23 | 2009-09-03 | 허장 | 차량의 급제동 평형유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06871C (en) | Shackle assembly | |
WO1999007593A1 (en) | Leaf spring attachment member | |
CA2384493C (en) | Vehicle cab suspension system | |
CN205149433U (zh) | 车辆的悬架系统及车辆 | |
KR20060132267A (ko) | 차량 로워암의 a점마운팅 구조 | |
KR20070122375A (ko) |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 |
CN115107426A (zh) | 抱罐车的组合式牵引机构 | |
CN214138729U (zh) | 一种驾驶室前悬置装置 | |
CN217381416U (zh) | 减振器和车辆 | |
CN209051493U (zh) | 一种轻型卡车驾驶室后悬置 | |
JP2019069731A (ja) | タンデム車軸懸架装置 | |
KR20070030569A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구조 | |
WO2003061996A1 (en) | Motor vehicle | |
CN112849278A (zh) | 公交车的地板支撑系统及公交车 | |
KR100514855B1 (ko) | 자동차의 안티 다이브 시스템 | |
KR100514856B1 (ko) | 앤티 다이브의 기능을 갖춘 차량 | |
JP2573914Y2 (ja) | 貨物自動車のキャブ・リヤ側支持構造 | |
JP4047145B2 (ja) | 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KR20080028098A (ko) | 차량의 안티 다이브 장치 | |
KR19990056793A (ko) | 자동차 맥퍼슨형 타입의 현가장치 스프링 변형 방지장치 | |
KR200144311Y1 (ko) | 자동차의 시트고정구조 | |
CN115783067A (zh) | 一种轻型货车驾驶室前悬置装置及轻型货车 | |
JPS6137584Y2 (ko) | ||
KR200141970Y1 (ko) | 차량의 차고조정장치 | |
CN112455473A (zh) | 一种升降脚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