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510A -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510A
KR20060130510A KR1020060053380A KR20060053380A KR20060130510A KR 20060130510 A KR20060130510 A KR 20060130510A KR 1020060053380 A KR1020060053380 A KR 1020060053380A KR 20060053380 A KR20060053380 A KR 20060053380A KR 20060130510 A KR20060130510 A KR 2006013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projection lens
light beam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는 프레임과,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과,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스크린 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젝터 유닛은 조명 수단과, 화상 형성에 기초하여 광 비임을 변조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을 스크린으로 투영하는 투사 렌즈를 포함하고, 투영 광 비임의 광축은 투사 렌즈의 광축에 의해 굴곡되고,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은 광원측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은 화상 출사축 유닛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과 화상 출사측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로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화상 회전 조정 기구와, 프레임과 화상 출사측 유닛을 위한 체결 기구가 제공된다.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투사 렌즈, 반사 미러, 프로젝터 유닛, 화상 형성 수단, 조명 수단, 입사 렌즈

Description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도1a 및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2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
도3은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전자 장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4는 프로젝터 유닛(10)의 사시도.
도5는 프로젝터 유닛(10)의 평면도.
도6은 프로젝터 유닛(10)의 정면도.
도7은 프로젝터 유닛(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8은 광원측 유닛(10A)의 평면도.
도9는 광원측 유닛(10A)의 정면도.
도10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사시도.
도11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다른 사시도.
도12는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평면도.
도13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정면도.
도14는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저면도.
도15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
도16은 베이스 부재(28)의 사시도.
도17은 편심 핀(29)의 사시도.
도18은 편심 핀(29)의 평면도.
도19는 편심 핀(29)의 정면도.
도20은 편심 핀(29)의 저면도.
도21은 제2 실시예의 프로젝터 유닛(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22는 종래의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2: 프레임
10: 프로젝터 유닛
12: 조명 수단
14: 화상 형성 수단
17: 입사 렌즈
18: 투사 렌즈
40: 반사 미러
50: 스크린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방면에 부착된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과, 투사 렌즈를 거쳐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의 후방면 상으로 화상 투영 광 비임을 방출하도록 프레임 내에 배치된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젝터 유닛은, 예를 들어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구비되어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은 화상 투영 광 비임을 발생하도록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변조된다.
도22는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의 정면도이다. 프레임(2)의 전방면(4)에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긴 변과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짧은 변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스크린(6)이 위치된다.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대하여 제위치를 벗어나는 프로젝터 유닛으로 인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과하는 광 비임의 대응 광축 주위의 회전 방향으로 제위치를 벗어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인해, 스크린(2)으로 조사된 화상(G)의 4변은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6)의 4변과 평행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G)은 회전 방향으로 스크린(2)으로부터 편이를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 테이블과 이러한 고정 테이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테이블을 구비하는 조정 기구가 제안되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0-10188호). 프로젝터 유닛은 회전 테이블에 부착되 고, 회전 테이블은 이후에 조정용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과 함께 전 프로젝터 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화상(G)에 의해 발생된 회전 방향에서의 편이가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전 프로젝터 유닛이 회전 테이블과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조정 기구가 커지게 되고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구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의 크기와 두께뿐만 아니라 그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고, 그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 방향으로 스크린 상에서 위치를 벗어나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조정할 수 있고, 그 크기, 두께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방면에 부착된 후방 프로젝션 타입의 스크린과, 화상 투영 광 비임을 방출하도록 프레임 내에 배치된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젝터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수단과,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명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비임을 변조하는 것으로 방출용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스크린 상으로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조사하는 투사 렌즈를 포함한다. 화상 투영 광 비임이 이동하는 광로의 광축은 투사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굴곡된다.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에서,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되는 부분은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외한 프로젝터 유 닛의 잔류부인 광원측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되는 부분은 화상 출사측 유닛으로 일체로 결합된 몸체로서 형성된다. 광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에 대하여 화상 출사측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제공된다. 화상 출사측 유닛의,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화상 회전 조정 기구가 제공된다. 프레임에 대하여 화상 출사측 유닛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체결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측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화상 출사측 유닛만이 지지 기구에 의해 투사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고, 화상 출사측 유닛만이 화상 회전 조정 기구에 의하여 조정되어 이동되고, 나아가 화상 출사측 유닛이 체결 기구에 의해 프레임에 대하여 긴장 및 이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 방향으로 제위치를 벗어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큰 크기의 기구를 요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으로 쉽고 신뢰성있게 조정될 수 있고, 크기, 두께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a 및 도1b는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전자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는 프레임(30)을 포함하고, 프레임(30)에는 프로젝터 유닛(10), 반사 미러(40) 및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50)이 제공된다.
프로젝터 유닛(10)은 화상 투영 광 비임을 방출한다.
반사 미러(40)는 프로젝터 유닛(10)의 상부 및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50)의 후방에 배치된 반사면(4002)을 구비하고, 프로젝터 유닛(10)으로부터 스크린(50)의 후방면 상으로 방출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을 반사한다.
스크린(50)은 그 후방면 상으로 프로젝션되고 반사 미러(40)에 의해 반사된 화상 투영 광 비임에 의해 그 전방면 상에 텔레비전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크린(50)은, 예를 들어 영상원측 상에 배치된 프레넬(Fresnel) 렌즈와, 프레넬 렌즈의 하류측에 배치된 렌티큘러(lenticular) 스크린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외부 광으로 인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감소시키고 렌티큘러 스크린을 보호하도록 다른 스크린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은 그 내부에 프로젝터 유닛(10)을 보유하기 위한 바닥 캐비넷(31)과, 바닥 캐비넷(31) 상부에 배치된 직사각 프레임형 스크린 장착부(32)와, 바닥 캐비넷(31) 상부 및 스크린 장착부(32) 후방에 배치된 역 사다리꼴 반사 미러 장착부(33)를 포함한다.
스크린(50)은 상/하/좌/우 장착 부재(5002)를 거쳐 스크린 장착부(32)에 부착되어 나사결합되고, 프레임형 외측 플레이트(5004)는 장착 부재(5002) 및 스크린(50)의 주위를 덮는 방식으로 스크린 장착부(32)에 또한 부착된다.
나아가, 스크린 장착부(32) 하방에 위치되는 프레임(30)의 전방부에 바닥 캐비넷(31)의 전방부(3102)가 위치설정되고, 외측 플레이트(3104)는 전방부(3102)를 덮는 방식으로 프레임형 외측 플레이트(5004) 하방에 부착된다.
반사 미러(40)는 상/하/좌/우 장착 부재(4003)를 거쳐 반사 미러 장착부(33)에 부착되어 나사결합되고, 후방 상부 커버(4004)는 장착 부재(4003) 및 반사 미러(40)를 덮는 방식으로 프레임(30)에 부착된다.
프로젝터 유닛(10)은 바닥 캐비넷(31)의 전방부(3102) 후방에 배치되고, 후방 하부 커버(4006)는 프로젝터 유닛(10) 등을 덮는 방식으로 프레임(30)에 부착된다.
도1a에서 도면 부호 108은 좌우 스피커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4는 프로젝터 유닛(10)의 사시도이고, 도5는 프로젝터 유닛(10)의 평면도이며, 도6은 프로젝터 유닛(10)의 정면도이다.
도7은 프로젝터 유닛(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8은 광원측 유닛(10A)의 평면도이고, 도9는 광원측 유닛(10A)의 정면도이다.
도10 및 도11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사시도이고, 도12는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평면도이고, 도13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정면도이고, 도14는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저면도이다.
도15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베이스 부재(28)의 사시도이다.
도17은 편심 핀(29)의 사시도이고, 도18은 편심 핀(29)의 평면도이고, 도19는 편심 핀(29)의 정면도이고, 도20은 편심 핀(29)의 저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유닛(10)은 조명 수단(12), 화상 형성 수단(14), 반사 미러(16), 입사 렌즈(17), 투사 렌즈(18)를 포함한다.
조명 수단(12)은 화상 형성 수단(14) 상으로 3가지 컬러인 레드(R), 그린(G) 및 블루(B)에 대한 광 비임을 방출하고, 화상 형성 수단(14)은 3가지 컬러에 대응하는 각각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3가지 컬러 광 비임을 변조하고 단일의 화상 투영 광 비임으로 합성한다. 화상 투영 광 비임은 반사 미러(40)에 의해 스크린(50)의 후방면 상으로 투영되도록 반사 미러(40)와 투사 렌즈(18)를 거쳐 반사 미러(40) 상으로 방출되어 컬러 화상이 스크린(50)의 전방면 상에 투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수단(12)은 백색 광을 방출하는 광원(1202), 조명 광학계(1204), 컬러 분광학계(1206)를 포함하고, 광원(1202), 조명 광학계(1204), 컬러 분광학계(1206)는 제1 하우징(20) 내에 수용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측 유닛(10A)은 조명 수단(12)과 제1 하우징(20)으로 형성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광학계(1204)는 광원(1202)의 전방에 선형으로 배치되는 오목 렌즈, UV 컷 필터 및 집광 렌즈를 포함하고, 광원(1202)으로부터의 백색 광이 이러한 부품들을 통과하여 컬러 분광학계(1206)로 입사되도록 구성된다.
컬러 분광학계(1206)는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안내된 광(백색 광)의 비임을 R, G, B 3가지 광 비임으로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컬러 분광학계(1206)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cross dichroic mirror; 1210), 제1 및 제2 미러(1212. 1214) 및 다이크로익 미러(1216)를 포함한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1210)는 90도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 다이크로익 미러(1210A)와 다이크로익 미러(1210B)로 형성된다. 다이크로익 미러(1210A)는 레드(R)와 그린(G) 광 비임을 투과시키고,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안내된 광 비임에 대하여 블루(B) 광 비임을 반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1210B)는 레드(R)와 그린(G) 광 비임을 반사하고,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안내된 광 비임에 대하여 블루(B) 광 비임을 투과시킨다.
다이크로익 미러(1216)는 레드(R) 광 비임을 투과시키고, 그린(G) 광 비임을 반사한다.
따라서,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1210)로 안내된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1210)에 의하여, 2개의 광 비임 그룹, 즉 레드(R)와 그린(G) 광 비임과 블루(B) 광 비임으로 분리된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1210)에 의해 분리된 레드(R)와 그린(G) 광 비임은 제1 미러(1212)를 거쳐 다이크로익 미러(1216)로 안내된다. 다이크로익 미러(1216)는 레드(R) 광 비임을 투과시키고 그린(G) 광 비임을 반사한다.
나아가, 크로스 다이크로익 미러(1210)에 의해 분리된 블루(B) 광 비임은 제2 미러(1214)에 의해 반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컬러 분광학계(1206)에 의해 분리된 R, G, B 광 비임은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 상으로 각각 방출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수단(14)은 제1 내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와, R, G, B 각각에 대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3개의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LC 패널)(1410)(1410R, 1410G, 1410B)과, 대응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대응하는 3개의 컬러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광 비임을 합성하여 단일의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생성하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와,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R, 1410G, 1410B)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은 일체로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 각각은 편광 방향에 따라 광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수단(14)의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와 이러한 3개의 제1 내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에 의해 대면되는 조명 수단(12)의 일부 사이에는 간극(S1, S2, S3)이 각각 존재하여 화상 형성 수단(14)은 조명 수단(12)과 간섭하지 않는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R, 1410G, 1410B) 각각은 직사각 플레이트형이고, 두께 방향으로 볼 때 그 표면들 중 하나 상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직사각형 디스플레이 표면(1412)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표면(1412) 상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구동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가요성 기판(1414)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방출되는 레드(R) 광 비임은 제1 비임 스플리터(1402R)를 통과하여 레드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R)으로 조사되고 이 레드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R)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대응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후 제1 비임 스플리터(1402R)에서 반사되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 안내된다.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방출되는 그린(G) 광 비임은 제2 비임 스플리터(1402G)를 통과하여 그린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G)으로 조사되고 이 그린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G)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대응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후 제2 비임 스플리터(1402G)에서 반사되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 안내된다.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방출되는 블루(B) 광 비임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B)를 통과하여 블루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B)으로 조사되고 이 블루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02B)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화상 정보에 기초 하여 변조된 후 제3 비임 스플리터(1402B)에서 반사되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 안내된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 안내된 3가지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에 의하여 단일의 화상 투영 광 비임으로 합성된다.
화상 형성 수단(14)은 제1 내지 제3 비임 스플리터(1402R, 1402G, 1402B), 3개의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R, 1410G, 1410B)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설명되지만, 화상 형성 수단(14)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알려진 구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미러(16), 입사 렌즈(17) 및 투사 렌즈(18)가 제2 하우징(22) 내에 조립된다.
제2 하우징(22)은 지지 블록(24)과 화상 형성 수단(14)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반사 미러(16), 입사 렌즈(17), 투사 렌즈(18), 제2 하우징(22) 및 화상 형성 수단(14)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을 형성한다. 화상 출사측 유닛(10B)과 광원측 유닛(10A)은 독립적인 부품이다. 전자는 후자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해,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되는 부분은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외한 프로젝터 유닛(10)의 잔류 부분인 광원측 유닛(10A)으로부터 분리되고,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되는 부분에서의 부품들은 일체로 결합되어 화상 출사측 유닛(10B)을 형성한다.
입사 렌즈(17)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부터 안내된 앞서 언급 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이 입사되는 렌즈이다.
반사 미러(16)는 그 반사면(1602)이 입사 렌즈(17)의 광축과 45도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투사 렌즈(18)는 그 광축이 반사면(1602)과 45도를 형성하도록 반사 미러(16) 위에 배치된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되는 화상 투영 광 비임의 광로는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광로(L1), 투사 렌즈(18)의 광축과 정렬된 제2 광로(L2) 및 이러한 광로(L1, L2)를 굴곡시키도록 이러한 광로(L1, L2)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사면(1602)으로 형성된다. 제1 광로(L1)와 제2 광로(L2)가 이루는 각은 90도이다.
따라서,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20)으로부터 안내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은 입사 렌즈(17)를 통과하여 반사면(1602)에 의해 90도 상방으로 굴곡되고 투사 렌즈(18)를 거쳐 반사 미러(40)로 조사된 후, 반사 미러(40)에 의해 스크린(50)의 후방면 상으로 화상 정보에 대하여 투영되어 컬러 화상이 스크린(50)의 전방면 상에 형성된다.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24)은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화상 형성 수단(14)과 제2 하우징(22)은 지지 블록(24)의 상부면(2402)에 부착된다.
지지 블록(24)의 하부면(2404)은 그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2410)을 구비하고, 장착 시트(2406)는 하부면(2404)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베어링 구 멍(2410) 주위의 4개의 하부면(2404)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 시트(2406)의 하부면은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2406A)으로서 형성된다.
장착 시트(2406)에는 베어링 구멍(2410)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408)이 형성된다.
또한, 편심 핀 삽입 구멍(2412)은 베어링 구멍(2410)으로부터 떨어진 지지 블록(24) 위치에 형성된다.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전자 장치부가 설명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는 수신 회로(102),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 스피커(108), 제어 회로(110), 제어 스위치(112) 및 앞서 언급된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R, 1410G, 1410B)을 포함한다.
수신 회로(102)는 제어 회로(110)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채널을 선택하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여 이 신호를 출력용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는 R, G, B에 대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도록 화상 신호에 대하여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고,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10R, 1410G, 1410B) 각각에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는 음성 신호에 대하여 필요한 신호 처리 및 증폭 처리를 행하여 스피커(108)에 공급할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음성이 스피커(108)로부터 출력된다.
제어 스위치(112)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에 의해 방송을 시청하는데 관련되는 다양한 제어와 설정을 행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채널 선택 스위치, 볼륨 제어 스위치, 입력 선택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제어 회로(110)는 대응하는 제어 스위치(112)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수신 회로(102),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및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를 제어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DVD 플레이어나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입력 단자와, 이러한 외부 입력 단자에 공급된 화상 및 음성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 유닛(104)과 음성 신호 처리 유닛(106) 각각으로 절환하여 입력하는 입력 절환 회로가 또한 제공된다.
외부 입력 단자에 공급된 화상 및 음성 신호는 대응하는 제어 스위치(112)에 의한 제어를 통해 입력 절환 회로를 거쳐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와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유닛(100은 베이스 부재(28)를 거쳐 프레임(30)에 부착된다. 특히, 광원측 유닛(10A)과 화상 출사측 유닛(10B)은 베이스 부재(28)에 부착되고, 이러한 베이스 부재(28)를 거쳐 프레임(30)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 제1 하우징(20)과 지지 블록(24)은 베이스 부재(28)를 거쳐 프레임(30)에 부착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8)는 프레임(30)의 하방에 대면하는 바닥면(2802)과, 프레임(30)의 후방 상부와 경사지게 대면하도록 바닥면(2802)에 대하여 경사진 상부면(2804)과, 바닥면(2802)과 상부면(2804)을 연결시키는 전방 면(2803)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28)는 그 전방면(2803)에서 바닥 캐비넷(31)[프레임(30)]에 나사 체결된다.
투사 렌즈(18)의 광축과 동축인 샤프트(2810)는 베이스 부재(28)의 상부면(2804), 즉 프레임(30)측으로부터 돌출된다. 4개의 보스부(2812)는 샤프트(2810) 주위의 4개의 상부면(2804) 위치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보스부(2812)의 상부면은 투사 렌즈(18)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면(2812A)으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 구멍(2814)이 각각의 보스부(2812)의 중심에 형성된다.
또한, 편심 핀 삽입 구멍(2816)은 지지 블록(24)의 편심 핀 삽입 구멍(2412)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재(28)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 블록(24)은 다음과 같이 베이스 부재(28)에 부착된다.
도11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24)의 하부면(2404)은 베이스 부재(28)의 상부면(2804)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28)의 샤프트(2810)를 지지 블록(24)의 베어링 구멍(2410)으로 삽입시키고 또한 베이스 부재(28)의 대응 보스부(2812) 상에 지지 블록(24)의 장착 시트(2406)를 배치한다.
그 결과, 지지 블록(24)의 지지면(2406A)은 베이스 부재(28)의 대응 지지면(2812A) 상에 배치됨으로써 지지 블록(24)의 긴 구멍(2408)들은 각각 베이스 부재(28)의 대응 스크류 구멍(2814)들에 대면한다.
여기서, 편심 핀(29)은 지지 블록(24)의 편심 핀 삽입 구멍(2412)을 통해 베이스 부재(28)의 편심 핀 삽입 구멍(2816)으로 삽입된다.
도17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핀(29)은 제1 샤프트부(2902), 제1 샤프트부(2902)의 축에 대해 편심된 축을 갖고 제1 샤프트부(2902)의 단부에 연결된 제2 샤프트부(2904), 제2 샤프트부(2904)의 단부에 제공되고 필립스 스크류 드라이버, 헥스 렌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결합가능한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부(2906)로 형성된다.
편심 핀(29)은 베이스 부재(28)의 편심 핀 삽입 구멍(2816)으로 삽입된 제1 샤프트부(2902)를 구비함으로써, 제1 샤프트부(2902)는 투사 렌즈(18)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편심 핀 삽입 구멍(2816)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2 샤프트부(2904)는 지지 블록(24)의 편심 핀 삽입 구멍(2412)으로 삽입되어, 제2 샤프트부(2904)는 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편심 삽입 구멍에 의해 지지된다.
편심 핀(29)의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화상 회전 조정이 이루어지고, 화상 회전 조정을 완료한 후에 지지 블록(24)이 볼트(청구범위에서의 나사 부재)를 통해 베이스 부재(28)로 고정되어 각각 대응하는 긴 구멍(2408)을 통과하여 그 말단부에 형성된 수형 스크류 나사부에 의해 대응 스크류 구멍(2814)으로 나사 결합되고 프로젝터 유닛(10)이 프레임(30)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편심 핀(29)을 사용하여 화상 회전 조정이 설명된다.
다시 도22를 참조한다. 프로젝터 유닛(10)에 의해 스크린으로 투영된 화상(G)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6)에 대해 경사져 있을 때, 먼저 스크류 구멍(2814)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긴 구멍(2408)을 통해 삽입된 볼트가 느슨해져서 화상 출사측 유닛(10B)이 회전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편심 핀(29)의 조작부(2906)에 공구를 적절하게 보유함으로써 펴심 핀(29)이 회전된다.
편심 핀(29)이 회전될 때, 편심 핀(29)의 제2 샤프트부(2904)가 제1 샤프트부(2902) 주위로 회전되어, 지지 블록(24)이 각각 베이스 부재(28)의 대응 지지 면(2812A) 상에 미끄러지는 피지지면(2406A)에 대한 지지점으로서의 샤프트(2810) 주위에서 요동함으로써,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의 회전각이 조정된다.
따라서, 편심 핀(29)의 그러한 회전의 결과로써, 도22에서 실선으로 도시되 바와 같이 스크린(6) 상에 더 이상 경사지지 않도록(즉, 화상(G)의 4개의 측면이 스크린(6)의 대응 4개의 측면과 각각 평행하도록)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회전각이 조정된다.
조정 후에, 긴 구멍(2408)을 통해 삽입된 볼트는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회전각을 고정하도록 조여진다.
이 조작에 의해, 화상 회전 조정이 종료된다.
화상 출사측 유닛(10B)을 프레임(30)에 대해서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는 베이스 부재(28) 상에 제공된 샤프트(2810)와 지지 블록(24)에 제공된 베어링 구멍(2410)으로 구성됨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화상 출사측 유닛(10B)의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회전각을 조정하기 위한 화상 회전 조정 기구는 편심 핀(29)과 편심 핀 삽입 구멍(2412, 2816)으로 구성된다.
또한, 화상 출사측 유닛(10B)을 프레임(30)에 대해 느슨하게 하고 조이기 위한 체결 기구는 긴 구멍(2408), 스크류 구멍(2814) 및 볼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측 유닛(10A)으로부터 분리된 화상 출사측 유닛(10B)만이 지지 기구에 의해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30)에 대해서 지지되도록, 그리고 단지 화상 출사측 유닛(10B)만이 화상 회전 조정 기구에 의해 조정되도록 이동되어 화상 출사측 유닛(10B)이 체결 기구에 의해 프레임(30)에 대해 느슨하고 긴밀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예에서와 같이 전체 프로젝터 유닛(10)을 이동시키는 대규모의 기구를 필요로 함 없이도, 회전 방향의 위치로부터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상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조정가능하고, 따라서 크기, 두께 및 비용면에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상 출사측 유닛(10B) 만이 조정을 위해 이동되므로, 종래 예에서와 같이 전체 프로젝터 유닛(10)을 이동시켜서 조정하는 것에 비해 이동을 위한 최소이 공간만이 필요하므로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크기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상 출사측 유닛(10B)이 전체 프로젝터 유닛(10)에 비해 경량이므로, 화상 회전 조정을 위한 힘이 또한 적어서 조작자의 덜 힘들게 하고 또한 선적 전 및 설치 후에 수행되는 화상 조정 조작의 효율이 증가되므로,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100)의 비용을 줄이는 현저한 이점이 있다.
화상 회전 조정 기구는 편심 핀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고, 링크 기구 및 기어 기구와 같은 어떤 알려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편심 핀(29)을 사용하는 것이 구성을 간단히 하고 비용을 줄이는데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광로(L1)가 제2 광로(L2)와 형성하는 각도는 90도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또 다른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지지 기구가 베이스 부재(28) 상에 샤프트(2810)와 지지 블록(24) 내에 베어링 구멍(2410)을 제공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당연히 지지 블록(24) 상에 샤프트와 베이스 부재(28) 내에 베어링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화상 출사측 유닛(10B)이 프레임(30)에 대해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구가 샤프트(2810)와 베어링 구멍(241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알려진 구성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출사측 유닛(10B)은 투사 렌즈(18)의 광축 주위로 형성된 폐쇄된 원통형면인 지지면을 가질 수 있고, 프레임(30)은 그 지지면으로 끼워맞춤되는 지지면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이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수단(14)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수단(14)으로서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도21은 제2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유닛(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다음의 부품 및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수단(12)은 광원(1202), 조명 광학계(1204) 및 컬러 분광학계(1206)를 포함한다.
컬러 분광학계(1206)는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30, 1232) 및 제1 내지 제3 미러(1234, 126, 1238)로 구성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는 레드(R) 및 그린(G) 광 비임을 투과하고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안내된 광 비임 중 블루(B) 광 비임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32)는 레드(R) 광 비임을 투과하고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를 통과한 광 비임 중 그린(G) 광 비임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명 광학계(1204)로부터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로 안내된 광 비임은 2개의 빔 그룹으로, 즉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에 의해 블루(B) 광 비임 및 레드(R) 및 그린(G) 광 비임으로 분리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에 의해 분리된 블루(B) 광 비임은 제1 미러(1234)에 의해 반사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에 의해 분리된 레드(R) 및 그린(G) 광 비임 중에, 그린(G) 광 비임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32)에 의해 반사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230)에 의해 분리된 레드(R) 및 그린(G) 광 비임 중에, 레드(R) 광 비임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232)을 통과하여 제3 미러(1238)에 의해 반사된 제2 미러(1236)를 통해 제3 미러(1238)에 도달한다.
이 방식으로, 컬러 분광학계(1206)에 의해 분리된 R, G, B 광 비임은 각각 조명 수단(12)에 의해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출사된다.
화상 형성 수단(14)은 3가지 컬러 R, G, B에 대한 화상 정보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3개의 투과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LC 패널)(1430)(1430R, 1430G, 1430B)과, 대응하는 3개의 컬러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대응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을 통과한 광 비임을 합성함으로써 단일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생성하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을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 1430G, 1430B)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은 일체로 결합된다.
화상 형성 수단(14)의 이러한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 1430G, 1430B)과 이러한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 1430G, 1430B)에 의해 대면하는 조명 수단의 부분들 사이에서 각각 간극(S1, S2, S3)이 있어서, 화상 형성 수단(14)은 플레이로 인해 조명 수단(12)과 간섭되지 않는다.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 1430G, 1430B) 각각은 그 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1412)을 구비하고, 또한 공급된 표시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구동 신호) 및 전력을 가진다.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출사된 블루(B) 광 비임은 블루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B)으로 들어가고, 입사 블루 광 비임은 통과되어 대응 화상 형성에 기초하여 변조된 후에 변조된 블루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로 안내된다.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출사된 그린(G) 광 비임은 그린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G)으로 들어가고, 여기서 입사 그린 광 비임이 투과되어 대응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후에 변조된 그린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으로 안내된다.
조명 수단(12)으로부터 화상 형성 수단(14)으로 출사된 레드(R) 광 비임은 레드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으로 들어가고, 여기서 입사 레드 광 비임이 투과되어 대응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된 후에 변조된 레드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으로 안내된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으로 안내된 3개의 컬러 광 비임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에 의해 단일 화상 투영 광 비임으로 합성된다.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의 광로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제1 광로(L1)는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고 제2 광로(L2)는 투사 렌즈(18)의 광축과 정렬되고 반사 미러(16)의 반사면(1602)은 이들 광로를 굴곡하기 위해 이들 광로가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으로부터 안내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은 반사 미러(16)의 반사면에 의해 90도로 굴곡되고 투사 렌즈(18)을 통해 반사 미러(40)(도1 참조)로 들어가서 그 후에 반사 미러(40)에 의해 스크린(50)의 반사면에 화상 형성을 위해 투사됨으로써 컬러 화상이 스크린(50)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된 부분은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프로젝터 유닛(10)의 나머지 부분인 광원측 유닛(10A)로부터 분리되고, 화상 형성 수단(14)으로부터 투사 렌즈(18)로 연장된 부분 내의 구성 성분들은 화상 출사측 유닛(10B)을 형성하도록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광원측 유닛(10A) 및 광 출사측 유닛(10B)은 베이스 부재(28)를 통해 프레임(30)에 부착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 기구, 화상 회전 조정 기구 및 체결 기구가 또한 제공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또한 회전 방향으로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상은 대규모의 기구를 필요로 함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조정될 수 있으므로 그 크기, 두께 및 비용을 줄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과 유사한 이점들이 제2 실시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수단(14)이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430R, 1430G, 1430B)과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432)으로 구성된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수단(14)은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물론 다양한 알려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 방향으로 스크린 상에서 위치를 벗어나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조정할 수 있고, 그 크기, 두께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이며,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 후방 투사형 스크린과,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스크린의 후면에 조사하는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수단과,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비임을 변조하여 출사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스크린으로 투영하기 위한 투사 렌즈를 포함하며,
    화상 투영 광 비임이 이동하는 광로의 광축은 투사 렌즈의 광축에 대해 굴곡되고,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은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프로젝터 유닛의 잔존 부분인 광원측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은 화상 출사측 유닛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화상 출사측 유닛을 프레임에 대해서,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제공되며,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로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화상 출사측 유닛의 화상 회전 조정 기구가 제공되고,
    화상 출사측 유닛을 프레임에 대해 느슨하게 하고 조이기 위한 체결 기구가 제공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기구는 투사 렌즈의 광축 상에 있고 프레임 상 또는 프레임 내에 제공된 샤프트 또는 베어링 구멍과, 프레임 상 또는 프레임 내에 제공된 샤프트 또는 베어링 구멍 주위로 또는 내로 끼워맞춤되도록 화상 출사측 유닛 내 또는 상에 제공된 베어링 구멍 또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기구는 투사 렌즈의 광축 상에 있고 프레임 상 또는 프레임 내에 제공된 샤프트 또는 베어링 구멍과, 프레임 상 또는 프레임 내에 제공된 샤프트 또는 베어링 구멍 주위로 또는 내로 끼워맞춤되도록 화상 출사측 유닛 내 또는 상에 제공된 베어링 구멍 또는 샤프트와,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투사 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된 지지면과, 화상 출사측 유닛 상에 제공되고 투사 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회전 조정 기구는 편심 핀을 포함하고,
    편심 핀은 투사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먼 프레임의 위치에서 투사 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샤프트부와, 화상 출사측 유닛의 일부분에 편심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샤프트부의 단부에 연결된 제2 샤프트부와, 제2 샤프트부의 단부에 제공된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체결 기구는 투사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먼 프레임의 위치에 제공된 스크류 구멍과, 스크류 구멍에 대응하고 화상 출사축 유닛 상에 투사 렌즈의 광축 주위로 원주상으로 연장된 긴 구멍과, 말단부에 형성된 수형 스크류 나사부와 스크류 구멍에 나사결합되도록 긴 구멍을 통과하는 스크류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출사측 유닛은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지지 기구, 화상 회전 조정 기구 및 체결 기구는 프레임으로부터 지지 블록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투사 렌즈로 연장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의 광로는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된 제1 광로와, 투사 렌즈의 광축과 동축인 제2 광로와, 광로들을 굴곡시키기 위해 제1 광로 및 제2 광로가 교 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사면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광로가 제2 광로와 형성하는 각도는 90도인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수단은 투과 또는 반사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투사 렌즈로부터 출사된 화상 투영 광 비임을 스크린의 후방면으로 조사되도록 반사하는 반사면이 프로젝터 유닛 및 스크린 사이에 제공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KR1020060053380A 2005-06-14 2006-06-14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KR20060130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4275 2005-06-14
JP2005174275A JP2006349866A (ja) 2005-06-14 2005-06-14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510A true KR20060130510A (ko) 2006-12-19

Family

ID=3699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380A KR20060130510A (ko) 2005-06-14 2006-06-14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8757B2 (ko)
EP (1) EP1734760A2 (ko)
JP (1) JP2006349866A (ko)
KR (1) KR20060130510A (ko)
CN (1) CN1882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5482A (zh) * 2022-04-29 2022-07-29 赣州轰天炮显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高清晰自动对焦微型dlp投影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184B1 (ko) * 2005-04-21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TWI282903B (en) * 2005-09-22 2007-06-21 Coretronic Corp Position-adjusting mechanism for an optical engine
TWI418917B (zh) * 2010-10-15 2013-12-11 Young Optics Inc 投影裝置
JP6450959B2 (ja) * 2014-03-18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CN106444254A (zh) * 2016-12-22 2017-02-22 鲜善洪 投影装置及系统
CN110824717B (zh) * 2018-08-10 2021-08-17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一种合光装置、激光光源及激光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188A (ja) 1998-06-25 200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25757B1 (ko) * 2000-02-03 2002-03-06 윤종용 프로젝션 모니터의 엔진위치 보정장치
TW572533U (en) * 2002-12-19 2004-01-11 Coretronic Corp Adjus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5482A (zh) * 2022-04-29 2022-07-29 赣州轰天炮显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高清晰自动对焦微型dlp投影仪
CN114815482B (zh) * 2022-04-29 2023-09-29 赣州轰天炮显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高清晰自动对焦微型dlp投影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2066A (zh) 2006-12-20
US20060290904A1 (en) 2006-12-28
JP2006349866A (ja) 2006-12-28
US7448757B2 (en) 2008-11-11
EP1734760A2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3650B2 (ja) 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US7066610B2 (en) Rear projector
KR100225445B1 (ko)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
KR20060130510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장치
US6247817B1 (en) Projector
JPH10115803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1042425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US7922336B2 (en) Light source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of display device
US20070035669A1 (en)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JP2006039087A (ja) 投写装置及び投写装置に用いる液晶パネルユニット
KR20060133906A (ko)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US7207676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7057598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7003633A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US6805451B1 (en) Horizontal/vertical dual-mode LCD projector
KR100661469B1 (ko) 화상표시장치의 광합성기
JP2007047477A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30078216A (ko)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JP2005017370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6189738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KR19980054462A (ko) Lcd 프로젝터의 lcd 편심 조정장치
JP2004004686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2277961A (ja) 投写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