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906A -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906A
KR20060133906A KR1020060055141A KR20060055141A KR20060133906A KR 20060133906 A KR20060133906 A KR 20060133906A KR 1020060055141 A KR1020060055141 A KR 1020060055141A KR 20060055141 A KR20060055141 A KR 20060055141A KR 20060133906 A KR20060133906 A KR 2006013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ousing
coupling
uni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무라스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교체 작업이 간단하며 화상의 질이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는 프로젝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로킹 기구는 결합 핀, 결합 폴 및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결합 핀은 본체부의 하우징 부분에 제공된다. 결합 폴은 피벗에 의해 광원부 하우징 상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 중간부의 베어링부에서 각각 지지된다. 결합 폴은 광원부 하우징과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상태에서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상부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는다. 스프링은 광원부 하우징의 중간 분할체의 배면과 결합 폴의 연결편 사이에서 연장된다.
프로젝터 유닛, 광원부, 본체부, 정합부, 로킹 기구, 언로킹 조작부

Description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PROJECTOR UNIT AND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도1a 및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프로젝터 유닛이 통합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2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3은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의 전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4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프로젝터 유닛의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프로젝터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6은 도5의 프로젝터 유닛의 평면도.
도7은 도5의 프로젝터 유닛의 정면도.
도8은 도5에 도시된 광원부의 사시도.
도9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8의 광원부의 사시도.
도10은 도8의 광원부의 정면도.
도11은 도8의 광원부의 전방 분할체의 사시도.
도12는 도8의 광원부의 중간 분할체의 사시도.
도13은 도8의 광원부의 후방 분할체의 사시도.
도14는 도5에 도시된 본체부의 하우징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5에 도시된 결합 폴의 사시도.
도16은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언로킹 조작부의 사시도.
도17 내지 도20은 도5에 도시된 광원부를 본체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젝터 유닛
12: 광원부
14: 본체부
30: 광원부 하우징
32: 하우징 부분
30A, 32A: 정합부
60: 로킹 기구
62: 언로킹 조작부
64: 결합 핀
66: 결합 폴
68: 스프링
90: 스크린
100: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본 출원은 2005년 6월 21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81081호에 대한 청구 요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이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광속이 배면 투영형 스크린의 배면에 투영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즉 리어 프로젝션 텔레비젼(rear projection television) 장치가 입수될 수 있다.
방금 기술된 바와 같은 이러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여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한다.
본체부는 예컨대, 조명 광학부, 분리부(demultiplexing section), 화상 형성부 및 투영부를 포함한다. 조명 광학부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평행 광으로 변환시킨다. 분리부는 조명 광학부로부터의 평행 광을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속으로 분리한다. 화상 형성부는 분리부로부터의 광속을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광속을 합성하여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한다. 투영부는 화상 투영 광속을 스크린에 투영한다.
또한, 예컨대 고압 램프와 같은 광원부의 광원은 수명이 있기 때문에, 광원부는 본체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자주 구성된다.
예컨대, 광원부가 고압 램프 및 고압 랩프를 유지하는 광원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경우, 광원부 하우징에 끼워 맞춰진 복수의 나사가 광원부를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본체부 측의 하우징 부분에 나사결합된다. 방금 기술한 형식의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0912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장치에 따르면, 광원부를 교체하려고 하는 경우, 본체부 측의 하우징 부분 내로 나사를 결합하거나 외부로 나사를 해제하는 작업이 프레임 내의 좁은 공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교체 작업이 번잡스럽고 많은 시간과 노고가 든다.
또한, 광원부가 본체부에 대해 위치가 조정된 후, 확실하게 나사를 조일 필요하다. 그러나, 나사가 다소 느슨한 경우, 광원부의 광축과 조명 광학부의 광축이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 이는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화상의 질을 열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의 교체 작업이 간단하며 화상의 질이 양호하게 보장될 수 있는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유닛이며, 광원부로서, 본체부를 형성하는 본체부 하우징과 별개로 제공되고, 본체부 하우징과는 그 정합부가 서로 정합된 상태로 서로 커플링되는 광원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와, 광원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를 향해 이동될 때, 광원부 하우징과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로크 상태를 달성하고 로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 기구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유닛과, 스크린과, 스크린의 배면을 향해 화상 투영 광속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프로젝터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여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광원부는 광원을 지지하는 광원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광원부 하우징은 본체부를 형성하는 본체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로젝터 유닛은, 로크 상태를 달성하는 로킹 기구로서, 광원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를 향해 이동되어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된 상태를 유지할 때 광원부 하우징과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로킹 기구를 더 포함하고, 프로젝터 유닛은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에서, 광원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로 가압되는 경우, 광원부 하우징의 정합부와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위치설정되어 서로 정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상태가 로킹 기 구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된다.
또한, 광원부는 언로킹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의 교체는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원부 하우징의 정합부와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가 위치설정되어 서로 정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상태가 로킹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화상의 질이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효과 및 다른 특징과 효과는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먼저,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의 구성이 기술된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도시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는 프로젝터 유닛(10), 반사 미러(80) 및 배면 투영식 스크린(90)을 포함하는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프로젝터 유닛(10)은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한다.
반사 미러(80)는 반사면(8002)을 가지며 반사면(8002)이 스크린(90)의 배면을 향해 프로젝터 유닛(10)으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투영 광속을 반사하도록 배면 투영형 스크린(90)의 후방에 프로젝터 유닛(10)의 위에 배치된다.
스크린(90)은 반사 미러(80)에 의해 반사된 화상 투영 광속이 스크린(90)의 배면에 투영될 때 스크린(90)의 전면에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한다.
예컨대, 스크린(90)은 투영 화상 소스 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 및 프레넬 렌즈의 후방에 배치된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크린(90)은 외부광에 의한 대비(contrast)의 열화를 감소시키고 렌티큘러 스크린을 보호하도록 추가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은 프로젝터 유닛(10)을 유지하는 바닥 캐비닛(202) 및 바닥 케비닛(202)에 제공된 직사각형 틀 형태의 스크린 장착부(204)를 포함한다. 프레임(200)은 스크린 장착부(204)의 후방에 바닥 캐비닛(202) 위에 제공된 역사다리꼴 형태의 반사 거울 장착부(206)를 더 포함한다.
스크린(90)은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장착 부재(9002)와 나사에 의해 스크린 장착부(204)에 부착된다. 또한, 틀 형태의 장식판(decorative laminate; 9004)이 장착 부재(9002) 및 스크린(90) 주위의 위치를 덮도록 스크린 장착부(204)에 장착된다.
바닥 캐비닛(202)의 전면부(202A)는 스크린 장착부(204) 아래에 프레임(200)의 전면부에 위치설정되고, 장식판(210)은 전면부(202A)를 덮도록 틀 형태의 장식판(9004)의 하부 부분에 부착된다.
반사 미러(80)는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장착 부재(8003)와 나사에 의해 반사 미러 장착부(206)에 부착되고, 후방 상부 덮개(8004)는 장착 부재(8003) 및 반사 미러(80)를 덮도록 프레임(200)에 부착된다.
프로젝터 유닛(10)은 바닥 캐비닛(202)의 전면부(202A)의 후방에 배치되고, 후방 하부 덮개(8006)는 프로젝터 유닛(10) 등을 덮도록 프레임(200)에 부착된다.
도1a에서, 한 쌍의 스피커(108)가 스크린(9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프로젝터 유닛(10)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12) 및 광원부(12)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여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14)를 포함한다. 프로젝터 유닛(10)은 본체부(14)를 냉각시키는 덕트(15)를 더 포함한다. 덕트(15)는 하부 덕트(15A) 및 상부 덕트(15B)를 포함하고 이후에 기술될 화상 형성부(20)에 냉각 바람을 순환시켜 화상 형성부(20)를 냉각시킨다.
특히 도4를 참조하면, 본체부(14)는 광원부(12)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평행 광으로 변환시키는 조명 광학부(16)를 포함한다. 본체부(14)는 조명 광학부(16)로부터의 평행 광을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속으로 분리하는 분리부(demultiplexing section; 18)를 더 포함한다. 본체부(14)는 분리부(18)에 의해 생성된 광속을 변조하고 변조된 광속을 합성하여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부(20)를 더 포함한다. 본체부(14)는 화상 투영 광속을 스크린(90)에 투영하는 투영부(22)를 더 포함한다.
광원부(12)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초고압 램프일 수 있는 광원(1202)을 포함한다.
조명 광학부(16)는 광원(1202) 앞의 직선을 따라 배치된 UV-IR 차단 필 터(1650), 제1 플라이아이 렌즈(fly-eye lens; 1652), 제2 플라이아이 렌즈(1654), PS 컨버터(1656) 및 집광 렌즈(1658)를 포함한다. 조명 광학부(16)는 광원으로부터의 백색광이 조명 광학부(16)의 구성요소를 관통하여 평행 광으로서 분리부(18)에 입사되도록 구성된다.
분리부(18)는 조명 광학부(16)로부터 유도되는 백색 광 형태의 광속을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서로 다른 색인 세 개의 광속으로 분리한다.
본 실시예의 실시에서, 분리부(18)는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802, 1084)와 제1 내지 제3 미러(1806, 1808, 1810)로 형성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는 조명 광학부(16)로부터 유도되는 광속들 중에서 레드(R) 및 그린(G)의 광속은 투과시키지만 블루(B)의 광속은 반사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1804)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를 투과한 레드(R)와 그린(G)의 광속 중에서 레드(R)의 광속은 투과시키지만 그린(G)의 광속은 반사한다.
따라서, 조명 광학부(16)로부터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에 유도되는 광속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에 의해 블루(B)의 광속 및 레드(R)와 그린(G)의 다른 광속을 포함하는 두 개의 광속으로 분리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에 분리된 블루(B)의 광속은 제1 미러(1806)에 의해 반사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에 분리된 레드(R)와 그린(G)의 광속 중에서, 그린(G)의 광속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804)에 의해 반사된다.
한편,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2)에 의해 분리된 레드(R)와 그린(G)의 광속 중에서, 레드(R)의 광속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804)를 관통하여 제2 미러(1808)를 통해 제3 미러(1810)에 도착하여, 제3 미러(1810)에 의해 반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부(18)에 의해 분리된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광속은 분리부(18)로부터 화상 형성부(20)를 향해 출사된다.
화상 형성부(20)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3색의 화상 정보를 포시하는 세 개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패널(2002: 2002R, 2002G, 2002B)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20)는 액정 표시 장치(2002)를 투과한, 3색의 화상 정보에 의해 변조된 광속을 합성하여 하나의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는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cross dichroic prism; 2004)을 더 포함한다.
세 개의 액정 표시 장치(2002R, 2002G, 2002B) 및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은 서로 일체형으로 커플링된다.
세 개의 액정 표시 장치(2002R, 2002G, 2002B)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각각 가지며, 표시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구동 신호) 및 전원은 세 개의 액정 표시 장치(2002R, 2002G, 2002B)에 공급된다.
화상 형성부(20)를 향해 분리부(18)로부터 출사되는 블루(B)의 광속은 블루의 액정 표시 장치(2002B)에 조사되어 액정 표시 장치(2002B)를 관통함으로써, 화상 정보에 의해 변조된다. 그 후, 변조된 블루(B)의 광속은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에 유도된다.
화상 형성부(20)를 향해 분리부(18)로부터 출사되는 그린(B)의 광속은 그린 의 액정 표시 장치(2002G)에 조사되어 액정 표시 장치(2002G)를 관통함으로써, 화상 정보에 의해 변조된다. 그 후, 변조된 그린(G)의 광속은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에 유도된다.
화상 형성부(20)를 향해 분리부(18)로부터 출사되는 레드(R)의 광속은 레드의 액정 표시 장치(2002R)에 조사되어 액정 표시 장치(2002R)를 관통함으로써, 화상 정보에 의해 변조된다. 그 후, 변조된 레드(R)의 광속은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에 유도된다.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에 유도된 3색의 광속은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에 의해 단일 화상 투영 광속으로 합성되어, 투영부(22)에 출사된다.
투영부(22)는 입사 렌즈(2202), 반사 미러(2204) 및 투영 렌즈(2206)를 포함한다.
입사 렌즈(2202)는 화상 형성부(20)의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으로부터 유도되는 화상 투영 광속을 수용한다.
반사 미러(2204)는 반사면이 입사 렌즈(2202)의 광축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투영 렌즈(2206)는 광축이 반사 미러(2204)의 반사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반사 미러(2204)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다이크로익 교차 프리즘(2004)으로부터 투영부(22)에 유도되는 화상 투영 광속은 입사 렌즈(2202)를 통해 반사 미러(2204)에 의해 상향으로 편향되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 렌즈(2206)를 통해 반사 미러(80)에 조사된다. 그 후, 화상 투영 광속은 반사 미러(80)에 의해 스크린(90)의 배면에 투영되어 스크린(90)의 배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 결과, 컬러 화상이 스크린(90)의 전면에 형성된다.
이제,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의 전장부(electric section)가 기술된다.
도3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는 수신 회로(102),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 스피커(108), 제어 회로(110) 및 조작 스위치부(112)를 포함한다.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는 이후에 기술될 액정 표시 장치(2002R, 2002G, 2002B)를 더 포함한다.
수신 회로(102)는 제어 회로(1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채널 선택을 수행하여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텔레비젼 신호를 복조하여 텔레비젼 신호를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수신 회로(102)는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는 화상 신호에 대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3색의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구동 신호)를 액정 표시 장치(2002R, 2002G, 2002B)에 각각 공급한다.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는 음성 신호에 대해 증폭 처리를 포함하는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108)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그 결과, 음성이 스피커(108)로부터 발생된다.
조작 스위치부(112)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에 의한 방송의 수신에 관한 다양한 조작 및 설정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조작 스위치부(112)는 예컨대, 채널 선택 스위치, 음량 조정 스위치 및 입력 전환 스위치(input changeover switch)와 같은 다양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110)는 조작 스위치부(112)의 조작에 따라 수신 회로(102),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및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를 제어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는 DVD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데크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는 외부 입력 단자에 공급된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및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에 각각 전환식으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전환 회로를 더 포함한다.
조작 스위치부(112)의 조작에 의해 외부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는 입력 전환 회로를 통해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4) 및 음성 신호 처리 회로(106)에 각각 공급된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광원부(12)는 광원(1202)을 지지하는 직사각형 틀 형태의 단면을 갖는 광원부 하우징(30)을 포함한다.
광원(1202)은 광속이 정합부(30A)를 향해 조사되도록 광원부 하우징(30)에 유지된다. 또한, 광속을 평행 광으로 변환시키는 오목 렌즈가 광원(1202)의 전방에 대향되도록 광원부 하우징(30)에 유지된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광원부 하우징(30)은 본체부(14)를 형성하는 본체부 하우징,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4)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분(3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광원부 하우징(30)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착탈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정합부(30A)를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광원부 하우징(30)은 도11에 도시된 전방 분할체(30X), 도12에 도시된 중간 분할체(30Y) 및 도13에 도시된 후방 분할체(30Z)를 포함하는 세 개의 부재로 형성된다.
전방 분할체(30X)는 폴(3002)과 홈(3004) 사이의 결합 등에 의해 중간 분할체(30Y)의 전방 부분에 커플링되고, 후방 분할체(30Z)는 폴(3006)과 홈(3008) 사이의 결합 등에 의해 중간 분할체(30Y)의 후방 부분에 커플링된다.
중간 분할체(30Y)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광원(1202)이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네 개의 측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직사각형 창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광원부 하우징(30)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착탈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정합부(30A)를 갖는다.
광원부 하우징(30)은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202)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세트의 측면(3012)을 갖는다. 또한, 배면(3014)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부(30A)에 대향하는 광원부 하우징(30)의 위치에 제공된다. 배면(3014)은 후방 분할체(30Z)로 덮인다.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는 전방 분할체(30X)의 전방 부분에 제공된다.
도8,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정합부(30A)는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길이 가 긴 틀 형태의 안내 벽(34)과, 안내 벽(34) 주위에 제공된 복수의 위치설정 핀(36) 및 복수의 위치설정 면(3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핀(36)은 안내 벽(34) 위에 좌측 및 우측 위치에 제공된다. 위치설정 면(38)은 안내 벽(34) 주위의 4군데에 제공된다. 특히, 두 개의 위치설정 면(38)은 위치설정 핀(36)의 기부의 외주연부에 각각 제공되고, 나머지 두 개의 위치설정 면(38)은 안내 벽(34)의 하부 부분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 제공된다.
도14를 참조하면, 안내 벽(34)이 삽입되는 안내 구멍(40) 및 안내 벽(34)과 결합되도록 안내 구멍(40)의 내주연부에 제공되는 복수의 안내 리브(42)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형성된다. 또한, 위치설정 핀(36)이 삽입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구멍(44) 및 위치설정 면(38)과 맞닿는 위치설정 면(46)이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형성된다.
광원(1202)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48)는 도8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부(30A)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며 커넥터(48)와 정합되는 커넥터(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제공된다. 커넥터(30)는 도시되지 않은 광원 전원부에 접속된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로킹 기구(60)는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를 향해 이동될 때, 정합부(30A, 32A)가 서로 정합되는 로크 상태를 달성하여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 조작부(62)가 제공된다.
로킹 기구(60)는 하우징 부분(32)에 제공되는 결합 핀(64) 및 광원부 하우징(30)에 요동 운동하도록 제공되어 결합 핀(64)과 결합되는 결합 폴(66)을 포함한다. 로킹 기구(60)는, 광원부 하우징(30)에 제공되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폴(66)이 결합 핀(64)과 결합되는 위치를 향해 요동 방향으로 결합 폴(66)을 편향시키는 스프링(68)을 더 포함한다.
도8 내지 도10 및 도15를 참조하면, 결합 폴(66)은 정합부(30A)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피벗(70)에 의해 연장 방향의 결합 폴(66)의 중간 위치에서 광원부 하우징(30)(전방 분할체(30X)) 상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베어링부(bearing portion; 6602)에서 지지된다.
결합 폴(66)은 서로 대향하는 광원부 하우징(30)의 두 개의 측면(3012) 각각에 제공되고, 두 개의 결합 핀(64)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폴(66)에 대응하는 관계로 하우징 부분(32)에 제공된다.
복수의 창은 광원(1202)이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중간 분할체(30Y)의 측방향에 결합 폴(66)의 부분에서 천공된다.
도9를 참조하면, 두 개의 결합 폴(66)은 단일 부재로서 형성되도록 배면(3014)을 따라 배면(3014) 상에서 연장하는 연결편(660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15를 참조하면, 결합 홈(74)은 결합 폴(66)의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한 각각의 결합 폴(66)의 위치에 제공된다. 결합 홈(74)은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과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0A)가 서로 정합될 때 결합 핀(64)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홈(74)은 스프링(68)에 의해 편향된 결합 폴(66)이 요동될 때, 결합 핀(64)이 광원부 하우징(30)을 향해 견인되는 방향으로 결합 핀(64)을 편향시켜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의 위치설정 면(38)과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의 위치설정 면(46)이 서로 정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경사 에지(7402)를 갖는다.
경사 안내부(6606)는 연장 방향의 결합 폴(66) 각각의 단부에 제공되어,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때, 대응하는 결합 핀(64)과 접촉하여 결합 핀(64)과 결합 홈(74)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결합 폴(66)을 요동시킨다.
결합 폴(66)은 기단부에 제공된 스토퍼(6608)(도15 참조)가 중간 분할체(30Y)의 배면(3014)의 벽 부분(3016)(도8 내지 도12 참조)과 맞닿을 때 초기 요동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도9를 참조하면, 스프링(68)은 중간 분할체(30Y)의 배면(3014)의 위치와 연결편(6604) 사이에서 연장하는 비틀림 스트링으로 형성된다.
스프링(68)은 결합 홈(74)이 결합 핀(64)과 결합되는 요동 방향으로 결합 폴(66)을 편향시키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결합 폴(66)의 초기 요동 위치는 스프링(68), 스토퍼(6608) 및 벽 부분(3016)에 의해 형성된다.
도16을 참조하면, 언로킹 조작부(62)는 연결편(6604)의 돌출부(6612)(도15 참조)에 연결되는 손잡이로 형성되고, 돌출부(6612)가 내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내부에 형성된 홈(6202)을 갖는다.
언로킹 조작부(62)는 로킹 기구(60)에 의한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로킹 조작부(62)는 결합 폴(66)을 조작하여 결합 홈(74)이 결합 핀(64)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언로킹 조작부(62)의 요동 조작을 허용하는 홈(3010)은 도9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분할체(30Z)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언로킹 조작부(62)는 로킹 기구(60)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된 후, 커넥터(48, 50) 및 위치설정 핀(36) 등을 해제하여 광원부(12)를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루프형 손잡이로서 형성된다. 다르게는, 언로킹 조작부(62)는 T자형 손잡이 등일 수 있다. 즉, 언로킹 조작부(62)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광원부(12)를 꺼내는 작업이 바람직하게 용이해진다.
이제, 프로젝터 유닛(10)의 작동이 기술된다.
먼저, 본체부(14)에 광원부(12)를 장착하는 단계가 도17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광원(1202) 교체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광원부(12)와 함께 교체된다.
먼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 하우징(30)은 정합부(30A)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에 접근하도록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를 향해 유도되는 정합부(30A)와 함께 이동된다.
정합부(30A, 32A)가 서로 접근함에 따라, 안내 벽(34)이 안내 구멍(40)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 벽(34)은 먼저 안내 리브(42)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안내 벽(34)이 안내 구멍(40)에 삽입됨에 따라, 위치설정 핀(36)이 위치설정 구멍(44)에 삽입된 후, 광원부 하우징(30)의 위치설정 면(38)이 하우징 부분(32)의 위치설정 면(46)에 정합된다. 그 결과, 광원부(12)의 광축과 조명 광학부(16)의 광축이 서로 정렬된다.
한편, 안내 리브(42)가 안내 벽(34)과 접촉된 후,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요동 위치에 위치설정된 결합 폴(66)의 경사 안내부(6606)가 결합 핀(64)과 결합된다. 그 후, 정합부(30A, 32A)가 서로 더 접근함에 따라, 결합 폴(66)은 결합 홈(74)이 스프링(68)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결합 핀(64)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요동된다.
그 후, 정합부(30A, 32A)가 위치설정 구멍(38, 46)이 서로 인접하게 될 때까지 서로 더 접근함에 따라, 결합 핀(64)은 결합 홈(74)과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위치설정 구멍(38, 46)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결합 홈(74)을 형성하는 경사 에지(7402)와 결합 핀(64)은 서로 결합된다. 결합 폴(66)은 스프링(68)에 의해 정상적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결합 핀(64)이 경사 에지(7402)에 의해 광원부 하우징(30)에 견인된다. 즉, 광원부 하우징(30)이 하우징 부분(32)을 향해 견인됨으로써, 광원부 하우징(30)이 편향되어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가 서로 정합되고 이렇게 정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가 상호 위치설정된 정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로크 상태가 달성된다. 위치설정 구 멍(44)에 의한 위치설정 핀(36)의 안내가 개시된 후 커넥터(48, 50)의 커플링이 개시되고, 로크 상태가 달성되는 시점에서 커플링이 완료되어 커넥터(48, 50) 사이의 전기 접속이 달성된다.
이제, 본체부(14)로부터 광원부(12)를 제거하는 단계가 기술된다.
언로킹 조작부(62)는 결합 홈(74)이 결합 핀(74)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결합 폴(66)을 요동시키도록 손가락에 의해 상향으로 조작되고, 하우징 부분(32)으로부터 광원부 하우징(30)을 제거하도록 인출된다. 이때, 커넥터(48, 50)도 서로 접속 해제된다.
그 후, 광원부(12)가 제거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 유닛(10)에 대해, 광원부(12)가 장착될 때,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는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로 유도되고,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는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2A)를 향해 압입된다. 그 결과, 광원부 하우징(30)의 정합부(30A)와 하우징 부분(32)의 정합부(32A)가 위치설정되어 서로 정합되는 로크 상태가 자동으로 달성된다.
한편, 광원부(12)가 제거될 때, 언로킹 조작부(62)는 위로 가압되고 광원부 하우징(30)은 하우징 부분(32)으로부터 떨어지면, 광원부(12)가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 유닛(10)에서, 언로킹 조작부(62)는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루프형 손잡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원부(12)는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와 같이 프레임(200) 내의 작은 공간에서 복수의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 등이 제거되어, 광원부(12)의 교체가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100)의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목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종래의 장치는 나사가 다소 느슨한 경우, 광원부(12)의 광축과 조명 광학부(16)의 광축은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로크 상태가 결합 핀(64)과 결합 홈(74) 사이의 결합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상술된 불리한 점이 제거된다. 이는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화상의 질을 유지하는 목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 유닛(10)은 화상 형성부(20)로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2002)를 사용하지만, 대안으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화상 형성부(20)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는 액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안으로 다양한 종래의 공지된 화상 형성부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유닛(10)은 프로젝터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용 프로젝터 및 홀/극장용 프로젝터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래의 공지된 구조가 로킹 기구 또는 언로킹부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 유닛(10)에서와 같이 결합 핀과 결합 폴을 사용하는 것은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변형예 및 변경예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부의 교체 작업이 간단하며 화상의 질이 양호하게 보장될 수 있는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프로젝터 유닛이며,
    광원부로서, 본체부를 형성하는 본체부 하우징과 별개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과는 그 정합부가 서로 정합된 상태로 서로 커플링되는 광원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로크 상태를 달성하고 로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 기구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1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핀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 요동 운동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결합 폴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 폴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위치를 향해 요동 방향으로 상기 결합 폴을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본체부 하우징에 제공되는 결합 핀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에 요동 운동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결합 폴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 폴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위치를 향해 요동 방향으로 상기 결합 폴을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결합 폴은 광원부 하우징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며, 두 개의 결합 핀이 결합 폴에 대응하는 관계로 상기 본체부 하우징에 제공되는 프로젝터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정합부에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설정되는 배면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상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고,
    각각의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대응하는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고,
    두 개의 결합 폴은 결합 폴이 상기 배면 상에 연장된 연결편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때까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배면 측 상에 연장되는 프로젝터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정합부에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설정되는 배면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상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고,
    각각의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대응하는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고,
    두 개의 결합 폴은 결합 폴이 상기 배면 상에 연장된 연결편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때까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배면 측 상에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배면과 상기 결합편 사이에서 연장되는 프로젝터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정합부에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설정되는 배면과,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 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상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제공되고,
    각각의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대응하는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고,
    두 개의 결합 폴은 결합 폴이 상기 배면 상에 연장된 연결편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때까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배면 측 상에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배면과 상기 결합편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언로킹 조작부는 상기 연결편에 연결된 손잡이로 형성되는 프로젝터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도록 루프로 형성되는 프로젝터 유닛.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폴은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결합 폴은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광원부 하우징 또는 상기 본체부 하우징과 맞닿는 초기 요동 위치에 위치설정되도록 상기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접근할 때, 상기 결합 핀과 접촉하여 상기 결합 핀과 상기 결합 홈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의 초기 요동 위치로부터 상기 결합 폴을 요동시키도록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경사 안내부를 갖는 프로젝터 유닛.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폴은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서 요동 운동하도록 연장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홈을 갖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결합 홈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위치를 향해 요동 방향으로 상기 결합 폴을 정상적으로 편향시키도록 제공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상기 결합 폴이 요동될 때, 상기 결합 핀이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제2 하나에 견인되도록 편향시켜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 에지를 갖는 프로젝터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 중 제1 하나는 상부에 제공되는 위치설정 핀 및 위치설정 면을 갖는 반면,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 중 제2 하나는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위치설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설정 구멍 및 상기 위치설정 면에 맞닿는 위치설정 면을 가져,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될 때 상기 위치설정 핀이 상기 위치설정 구멍에 삽입되어 두 개의 위치설정 면이 서로 접촉되는 프로젝터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1 하나에 제공되는 결합 핀과,
    상기 결합 핀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 요동 운동하도록 제공되는 결합 폴과,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 중 제2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 폴이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는 위치를 향해 요동 방향으로 상기 결합 폴을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 중 제1 하나는 상부에 제공되는 위치설정 핀 및 위치설정 면을 갖는 반면,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 중 제2 하나는 상부에 제공되는 상기 위치설정 핀이 삽입되는 위치설정 구멍 및 상기 위치설정 면에 맞닿는 위치설정 면을 가져,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될 때 상기 위치설정 핀이 상기 위치설정 구멍에 삽입되어 두 개의 위치설정 면은 서로 접촉되고,
    상기 결합 폴은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될 때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을 갖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위치설정 핀이 상기 위치설정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위치설정 면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위치설정 면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위치설정 핀이 상기 위치설정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위치설정 면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위치설정 면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상기 결합 폴이 요동될 때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 핀을 편향시켜 상기 위치설정 면들이 서로 정합되어 위치설정 면의 정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견인되는 상부에 형성된 경사 에지를 갖는 프로젝터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평행 광으로 변환시키는 조명 광학부와,
    상기 조명 광학부로부터의 평행 광을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속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의 광속을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광속을 합성하여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화상 투영 광속을 상기 스크린에 투영하는 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조명 광학부를 형성하는 조명 광학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젝터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투과형 또는 반사형의 액정 장치로 형성되는 프로젝터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 및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정합부는 상부에 제공되는 상보적 커넥터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정합부들이 로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전기 접속되지만, 로크 상태가 해제될 때 전기 접속이 해제되는 프로젝터 유닛.
  16.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유닛과,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배면을 향해 화상 투영 광속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으로부터 화상 투영 광속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투영 광속을 출사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을 지지하는 광원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는 본체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은, 로크 상태를 달성하는 로킹 기구로서, 상기 광원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정합부들이 서로 정합된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광원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정합부가 서로 정합되는 로킹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은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KR1020060055141A 2005-06-21 2006-06-20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KR20060133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1081A JP2007003627A (ja) 2005-06-21 2005-06-21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JPJP-P-2005-00181081 2005-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906A true KR20060133906A (ko) 2006-12-27

Family

ID=369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141A KR20060133906A (ko) 2005-06-21 2006-06-20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19211A1 (ko)
EP (1) EP1737223A2 (ko)
JP (1) JP2007003627A (ko)
KR (1) KR20060133906A (ko)
CN (1) CN18859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228A (ja) * 2007-09-26 2009-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ランプ交換用工具
JP5288999B2 (ja) * 2008-11-05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ランプユニット
CN101738836B (zh) * 2008-11-27 2011-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投影型显示装置和灯更换用工具
JP5945900B2 (ja) 2011-11-04 2016-07-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
JP6881460B2 (ja) * 2016-08-30 2021-06-0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5437A (en) * 1952-07-01 1955-04-05 Vry Corp De Magazine type slide projector
US3596954A (en) * 1969-09-26 1971-08-03 W & F Mfg Inc Universal sliding door handle and latch assembly
US5360307A (en) * 1992-12-07 1994-11-01 Windsor Industries Battery transfer technique for vehicle
TW484032B (en) * 2000-07-25 2002-04-21 Coretronic Corp Projector having easily assembled lamp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CN100589538C (zh) * 2002-06-12 2010-02-10 奥普提克斯晶硅有限公司 短投影距离的投影系统和方法
JP3791613B2 (ja) * 2003-05-21 2006-06-28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プロジェクタ
US6957893B2 (en) * 2003-06-02 2005-10-25 Infocus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a projector component
US7125125B2 (en) * 2004-09-15 2006-10-24 Coretronic Corporation Burner debris collection apparatus for proj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7223A2 (en) 2006-12-27
US20070019211A1 (en) 2007-01-25
CN1885933A (zh) 2006-12-27
JP2007003627A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2982B2 (ja) 投写型表示装置
CN103207506B (zh) 投影显示器
US7922336B2 (en) Light source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of display device
KR20060133906A (ko) 프로젝터 유닛 및 프로젝션 텔레비젼 장치
US7448757B2 (en)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US7119855B2 (en) Image display with display-switching function
US20120154758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2007003633A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US20070035669A1 (en)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JP2004207400A (ja) 電子機器筐体用カバ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5085831A (ja)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この電子機器用筐体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2021157078A (ja) プロジェクター
US6869186B2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3801074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5115365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973999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4205714A (ja) 電子機器用蓋材、電子機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085726A (ja) プロジェクタ
JP2012068648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4205713A (ja) プロジェクタ
KR100688641B1 (ko) 프로젝터의 렌즈 커버 어셈블리
KR100676977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엘코스 패널 어셈블리
JP2022078527A (ja) 取付部材及び投射光学装置
JP2006065090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用カバー部材
JP2007047477A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