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805A - 교량용 배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용 배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805A
KR20060129805A KR1020050050469A KR20050050469A KR20060129805A KR 20060129805 A KR20060129805 A KR 20060129805A KR 1020050050469 A KR1020050050469 A KR 1020050050469A KR 20050050469 A KR20050050469 A KR 20050050469A KR 20060129805 A KR20060129805 A KR 2006012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age structure
layer
drainag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186B1 (ko
Inventor
서정우
김종화
전성현
이현종
Original Assignee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이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이현종 filed Critical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10)과 그 상판(10)의 상측에 형성된 교면 포장체(20)를 포함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 상판(10)과 교면 포장체(20) 사이에 체류수의 배출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배수층(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교면 포장체(20) 내부의 체류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교면포장 및 교량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교량, 배수

Description

교량용 배수 구조물{STRUCTURE FOR DRAINAGE IN BRIDG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교량용 배수 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단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배수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횡단면도.
도 5는 분해사시도.
도 6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량 상판 20 : 교면 포장체
100 : 배수층 200 : 방수층
300 : 접착층 400 : 하부배출수단
401 : 배출공 410 : 유공관
420 : 배수관 430 : 내부집수정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우 등에 의해 교량 상면에 고이는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교량용 배수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량은 교각(60)의 상부에 교량 상판(10) 및 교면 포장체(20)가 설치되는데, 소정 위치에 집수정(50)이 설치되며, 집수정(50)의 하측으로 상부배수관(51)이 교량 상판(10) 및 교면 포장체(2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하부는 하부배수관(52)과 연결된다.
또한, 교면 포장체(20)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의 하향경사를 갖고 있으므로, 강우 등에 의해 교면 포장체(20)의 상면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고인 물은 상기 경사에 의해 집수정(50)을 향해 흐르게 되고, 집수정(50)에 집수된 물은 상부배수관(51) 및 하부배수관(52)을 통해 교량 하부로 배출된다.
한편, 강우 등에 의해 교량 상면에 고이는 물은 대부분 집수정(50)으로 유입되나, 일부는 포장체의 균열이나 작은 공극을 통해 교면 포장체(20) 내부로 침투하여 체류하게 되는데, 종래의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있어서는 이러한 체류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교면 포장체(20)에 잔존하면서 교면포장 및 교량상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는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일반 도로포장의 경우에는 포장체를 침투한 강우수가 자연히 기초지반으로 흡수되므로 별 문제가 없으나, 교량의 교면포장의 경우에는 포장체의 하층에 콘크리트, 강재 등에 의해 형성된 교량 상판(10)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30)과 접착층(40)이 위치하므로, 포장체를 침투한 강우수 등이 이러한 교량 상판(10) 및 방수층(30)을 투과하지 못함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교면 포장체(20)와 교량 상판(10) 사이에 잔존하는 체류수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재료분리 현상을 야기하고, 동절기에는 결빙으로 인한 체적팽창을 일으키므로, 포트홀 등의 포장파손, 교량 상판의 부식 등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면 포장체 내부의 체류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교면포장 및 교량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 상판과 그 상판의 상측에 형성된 교면 포장체를 포함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과 교면 포장체 사이에 체류수의 배출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배수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배수층은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의 최대입경이 10 mm 이하이고, 배수층의 공극율은 17% 이상, 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 상판과 배수층 사이에는 방수층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은 메칠메탈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청제, 충전제, 실리카, 안료, 분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은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류, 다가알콜, 아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층은 합성고무계 시트 또는 합성수지계 시트로 구성된 시트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고무아스팔트계, 우레탄고무계, 아크릴고무계, 아크릴수지계, 클로로프렌고무계, FRP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도막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교량 상판과 방수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접착층은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재, 역청고무계 접착재, 메칠메탈아크릴수지계 접착재, 에폭시수지계 접착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량 상판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의 하향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층 및 그 하부에는 체류수를 상기 교량 상판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배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배수층에 매설된 유공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공관은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유공관은 상기 교량 상판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배수층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배출공에 설치된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배수관은 상기 유공관의 하측에 상부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관의 상부개구에는 내부집수정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하다.
상기 교량 배수 구조물이 교량 상판 및 교면 포장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배수관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기 내부집수정의 상측에 상기 상부배수관의 하부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상판(10)과 그 상판(10)의 상측에 형성된 교면 포장체(20)를 포함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10)과 교면 포장체(20) 사이에 체류수의 배출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배수층(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는 교량 상판(10)과 교면 포장체(20) 사이에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집수정(50)에 유입되지 않고 교면 포장체(20)를 침투하여 잔존하던 체류수로 인하여 교량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나, 본 발명은 교량 상판(10)과 교면 포장체(20) 사이에 별도의 배수층(100)이 구비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배수층(100)은 체류수의 배출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지만, 교면 포장체(20)와 교량 상판(10)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한 배수층(100)의 공극율은 약 20% 정도(17% 이상, 21% 이하)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서는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을 구성하는 골재의 최대입경이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면 포장체(20)를 침투하여 배수층(100)으로 유입된 체류수가 교량 상판(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량 상판(10)과 배수층(100) 사이에 방수층(20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200)은 배수층(100)의 물이 교량 상판(10)과 접촉하지 않는 구성이면, 어떠한 재질이나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으며, 이하에서는 방수층(200)을 형성하는 공법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방수층(200)은 메칠메탈아크릴(MMA)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청제, 충전제, 실리카, 안료, 분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방수층(200)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량 강관(10) 표면의 이물질(녹, 기름 등)을 제거한 후, MMA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를 교량 상판(10)의 상면에 시공하는데, 교량 상판(10)이 콘크리트 재질인 경우에는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교량 상판(10)이 강재인 경우에는 방청제가 포함된 프라이머를 롤러, 붓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액상 MMA 수지 20%, 충진재 분말(칼슘카본에이트, 실리카, 안료, 분산제 등을 포함) 80%에 의해 구성되는 바인더를 혼합하여 표면에 도포하는데, 요철 밀대나 흙손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갇힌 공기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후, MMA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씰러를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골재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방수층(200)은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류, 다가알콜, 아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폭시수지계 방수재는 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류, 다가(多價)알콜 등의 주원료와 아민류의 경화재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치밀한 도막을 형성하므로 높은 방수성 및 방식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면처리가 완료된 교량상판이 완전 건조된 후, 저점도 액상 에폭시수지를 골고루 도포한다.
상기 액상 에폭시수지가 완전 건조된 후, 표면에 다시 에폭시수지를 도포하고 규사를 살포한다.
이후, 저점도 에폭시수지를 2차 마감도포하여 골재를 완전히 접착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200)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표적 인 실시예 2가지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 합성고무계 시트 또는 합성수지계 시트 등의 시트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고무아스팔트계, 우레탄고무계, 아크릴고무계, 아크릴수지계, 클로로프렌고무계, FRP계 등의 도막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교량 상판(10)과 방수층(200)의 완전한 접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접착층(30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층(300)은 방수층(200)의 시공전에 시공하는 것으로서,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재, 역청고무계 접착재, 메칠메탈아크릴수지계 접착재, 에폭시수지계 접착재 등을 1층 또는 2층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접착재의 도료는 롤러브러시, 흙손, 고무주걱, 산포기 등을 이용하여 얼룩없이 균열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접착재를 2층 이상 도포하는 경우에는 각층을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하며, 1층은 교축직각방향으로 도포하고, 2층은 교축방향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3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휘발성분이 충분히 없어질 때까지 양생한다.
양생시간은 기온 20℃에서 약 1시간 정도, 5℃에서 2시간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기온, 온도, 바람의 유무 등에 의해 양생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도포된 접착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교량 상판(10)의 접착층(300), 방수층(200) 위에 형성된 배수층(100) 의 물이 교량의 양측 단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면 포장체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10)의 상면도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의 하향경사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배수층(100) 및 그 하부의 체류수를 교량 상판(10)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배출수단(400)이 더 구비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배출수단(400)은 배수층(100)에 매설된 유공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공관(410)은 배수층(100)으로부터 유입된 체류수가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유공관(410)은 체류수의 원활한 배수를 돕는 구성이면, 어떤 식으로 설치되더라도 관계없으며, 도 5 및 도 6은 교량 상판(1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부배출수단(400)은 배수층(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01)에 설치된 배수관(420)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배수관(420)은 유공관(410)의 하측에 상부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공관(410)의 체류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수관(420)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수관(420)의 상부개구에 내부집수정(43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교량 상판(10) 및 교면 포장체(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배수관(51) 구조와 본 발명에 의한 구조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집수정(430)의 상측에 상부배수관(51)의 하부개 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교면 포장체 내부의 체류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교면포장 및 교량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22)

  1. 교량 상판(10)과 그 상판(10)의 상측에 형성된 교면 포장체(20)를 포함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10)과 교면 포장체(20) 사이에 체류수의 배출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배수층(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100)은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의 최대입경이 1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100)의 공극율은 17% 이상, 2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10)과 배수층(100) 사이에 방수층(2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메칠메탈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방청제, 충전제, 실리카, 안료, 분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류, 다가알콜, 아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합성고무계 시트 또는 합성수지계 시트로 구성된 시트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00)은 고무아스팔트계, 우레탄고무계, 아크릴고무계, 아크릴수지계, 클로로프렌고무계, FRP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도막계 방수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10)과 방수층(200) 사이에 접착층(3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300)은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재, 역청고무계 접착재, 메칠메탈아크릴수지계 접착재, 에폭시수지계 접착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10)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의 하향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100) 및 그 하부에는 체류수를 상기 교량 상판(10)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배출수단(4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400)은 상기 배수층(100)에 매설된 유공관(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410)은 상기 교량 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410)은 상기 교량 상판(1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400)은 상기 배수층(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01)에 설치된 배수관(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420)은 상기 유공관(410)의 하측에 상부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420)의 상부개구에는 내부집수정(4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10) 및 교면 포장체(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상부배수관(5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집수정(430)의 상측에 상기 상부배수관(51)의 하부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구조물.
KR1020050050469A 2005-06-13 2005-06-13 교량용 배수 구조물 KR10068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469A KR100686186B1 (ko) 2005-06-13 2005-06-13 교량용 배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469A KR100686186B1 (ko) 2005-06-13 2005-06-13 교량용 배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805A true KR20060129805A (ko) 2006-12-18
KR100686186B1 KR100686186B1 (ko) 2007-02-26

Family

ID=3781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469A KR100686186B1 (ko) 2005-06-13 2005-06-13 교량용 배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255A (zh) * 2017-07-20 2017-10-10 苏州信宏天科技有限公司 一种桥墩式道路施工用雨水集中排放结构
CN108951396A (zh) * 2018-07-31 2018-12-07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锈功能的人行天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451B1 (ko) * 2010-04-14 2010-08-26 (주)새론테크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방수 코팅제 조성물
KR101769143B1 (ko) * 2015-12-15 2017-08-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곡형 거더를 이용한 조립식 생태이동다리
KR101769142B1 (ko) * 2015-12-15 2017-08-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곡형 보강구조를 갖는 생태이동다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850B1 (ko) * 1997-03-24 2000-12-15 김종천 셀구조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CN1413190A (zh) * 1999-12-22 2003-04-23 辉瑞产品公司 治疗骨质疏松的ep4受体选择性激动剂
KR20030008450A (ko) * 2001-07-1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볼 그리드 어레이형 적층 패키지
KR100511533B1 (ko) * 2002-04-09 2005-08-31 임광민 키랄 중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HMG-CoA환원저해제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255A (zh) * 2017-07-20 2017-10-10 苏州信宏天科技有限公司 一种桥墩式道路施工用雨水集中排放结构
CN108951396A (zh) * 2018-07-31 2018-12-07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锈功能的人行天桥
CN108951396B (zh) * 2018-07-31 2021-07-27 深圳市荣成建筑劳务有限公司 一种具有防锈功能的人行天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186B1 (ko) 200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85B1 (ko)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설치 방법
US6039503A (en) Expansion joint system
KR100959407B1 (ko) 배수기능이 강화된 구조물 신축이음부 방수 및 배수로시공방법
JP5956442B2 (ja) 運動用地の基礎のための方法および混合物
KR100686186B1 (ko) 교량용 배수 구조물
JP5385171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防水舗装構造、その防水施工方法及びその防水舗装の施工方法
US7396185B2 (en) Method for repairing a crack in a recreational court or surface
KR101741798B1 (ko)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층 구조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00013614A (ko) 교면 포장용 고탄성 mma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박층저소음 교면 포장 구조물
EP1865109A2 (en) Method for improving a steel bridge, as well as a steel bridge improved in this manner
CN209024962U (zh) 桥面沥青铺装边缘排水结构及其施工辅助装置
KR200417944Y1 (ko) 교량 침투수 배수구조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CN208104944U (zh) 一种维修罩面用高性能排水沥青路面铺装结构
KR100831087B1 (ko) Mma 공중합수지를 혼합한 단면보수재와 이를 이용하는열화콘크리트 교량상판 단면보수방법
KR20100013722A (ko) 교량 표면 방수 공법
JPH06146207A (ja) 道路の融雪及び凍結防止舗装
JP2854342B2 (ja) 舗装方法
Ghafoori et al. Bridge deck asphalt plug joints: problems and solutions
CN111411557A (zh) 一种环氧防滑磨耗材料及其施工方法
JP7350599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の補修方法
KR100593189B1 (ko) 교량 보행자 통로 침투수 배수장치
CN2755167Y (zh) 一种水泥混凝土路面的防水结构
KR100449187B1 (ko)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