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124A -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 Google Patents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124A
KR20060129124A KR1020050049761A KR20050049761A KR20060129124A KR 20060129124 A KR20060129124 A KR 20060129124A KR 1020050049761 A KR1020050049761 A KR 1020050049761A KR 20050049761 A KR20050049761 A KR 20050049761A KR 20060129124 A KR20060129124 A KR 2006012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anel
layer
water stor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389B1 (ko
Inventor
권혁준
Original Assignee
권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준 filed Critical 권혁준
Priority to KR102005004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3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77Underroof drainag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가 용이하고 보수(保水)가 가능한 옥상녹화용 패널에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이 방향의 홈이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로; 상기 배수통로보다 깊은 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수(保水)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보수(保水)부; 및 상기 보수부와 상기 배수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상 바닥면 위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방수보호층; 상기 방수보호층 위에 설치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보수부에 수용되는 보수재;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위에 형성되는 투수층; 상기 투수층 위에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층 위에 식재되는 식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는 배수와 보수 및 방근기능을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에서 모두 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층, 보수층 및 방근층을 따로 따로 형성하는 것보다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의 두께가 훨씬 줄어들어 건물에 하중 부담을 줄여준다. 또한, 배수층, 보수층 및 방근층으로 나누어져 있는 층들을 하나의 패널에서 해결하므로 공기도 단축할 수 있다.
배수, 보수, 패널, 옥상녹화구조

Description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The Panel for both drainage and water storage, and green roof system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단면도(a) 및 패널 상호간의 결합상세도(b)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옥상 바닥면 200 : 방수층 300 : 방수보호층
400 :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410 : 배수통로 420 : 보수부
430 : 연결홈부 440 : 통공 450 : 결합단부
460 : 조인트 핀 500 : 보수재 600 : 투수층
700 : 토양층 800 : 식생층
본 발명은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형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수가 용이하고 보수(保水)부가 형성되어 보수가 가능하며 배수와 보수를 한 패널에서 모두 처리하므로 옥상녹화구조의 두께를 줄여 건물에 하중 부담을 줄여 주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옥상녹화는 도시화로 지상에서 확보하기 불가능한 녹지량을 보상할 수 있는 방편일 뿐 아니라, 단열로 인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효과, 도시의 열섬화현상 완화 효과, 공기 정화 효과, 소음 경감 효과 등을 발휘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 중요성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유럽 및 선진국의 경우 지구 온난화 현상의 해결방안으로 도심지 녹화사업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국내에서도 옥상녹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실제 적용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기존의 옥상녹화구조에서는 옥상녹화시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근층,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물이 옥상 바닥면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배수층,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층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자갈깔기층을 각각 구별하여 형성하였다. 따라서, 옥상녹화 구조의 두께가 두꺼워졌고 그로 인해 건물에 하중 부담을 많이 주었다. 또한, 방근층, 배수층, 자갈깔기층과 같이 여러 단계로 나누어져 있어서 시공 시간도 그 만큼 많이 늘어났고 옥상녹화 사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와 보수 및 방근기능을 한꺼번에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제공하며, 기존의 방근층, 보수층, 배수층으로 나누어져 층을 형성하였던 옥상녹화 구조를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층에서 배수와 보수 및 방근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옥상녹화구조의 두께를 줄여주어 옥상녹화시 큰 부담으로 작용되어 왔던 하중을 대폭 줄이며 시공 시간도 그 만큼 줄이도록 하는 옥상녹화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와 동시에 보수(保水)가 가능한 옥상녹화용 패널로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이 방향의 홈이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로; 상기 배수통로보다 깊은 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수(保水)부; 및 상기 보수부와 상기 배수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 바닥면 위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방수보호층; 상기 방수보호층 위에 설치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보수부에 수용되는 보수재;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위에 형성되는 투수층; 상기 투수층 위에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층 위에 식재되 는 식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수와 동시에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패널로서, 옥상녹화구조에서 통상의 배수판을 대신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와 같이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은 배수통로(410), 보수부(420), 연결홈부(430)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통공(440), 결합단부(450), 조인트 핀(4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수통로(4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홈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수통로(410)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격자형으로 형성시키면 한쪽방향으로만 배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원활한 배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통로(410)에는 통공(440)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통공(440)은 습기의 이동통로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아래에 잔존하는 물이 증발하게 되는 경우 증발된 습기가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패널 위로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습기는 식생층과 토양층에 공급되어 식생의 생장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보수부(420)는 상기 배수통로(410)보다 깊은 홈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보수부(420)는 물을 저장하여 필요시 토양층에 공급한다. 보수부(420)는 후술하는 연결홈부(430)에 의해 배수통로(410)와 연결되므로, 보수부(420)는 배수통로(410)보다 깊게 형성되어야 보수부(420)에 저장된 물이 전량 배수통로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막아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연결홈부(430)는 상기 배수통로(410)와 상기 보수부(420)를 연결하는 홈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배수통로(410)가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격자형의 배수통로(410) 사이에 보수부(42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홈부(430)에 의해 상기 보수부(420)와 보수부(420)도 상호 연결된다. 상기 연결홈부(430)는 상기 배수통로(410)보다 깊게 형성하고 상기 보수부(420)보다는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물이 적을 경우 상기 보수부(420)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물이 상기 연결홈부(430)의 하단부보다 높아지면 상기 보수부(420)에서 다른 보수부로 상기 연결홈부(430)를 통해 흘러가게 되며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에 골고루 물이 고이게 되어 토양층에도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이 일정 크기를 갖는 단위패널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단위패널의 양단부에 결합단부(450)를 형성시켜 상호 밀실한 결합을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단부(45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ㄴ형상 제1결합단부(450a)와 직각으로 절곡된 U형상의 제2결합단부(450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결합단부는 배수통로의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즉, 도 2a에서 같이 ㄴ형상의 제1결합단부(450a)를 직각으로 절곡된 U형상의 제2결합단부(450b)에 겹치도록 설치하면 각 패널들의 연결부분에도 직각으로 절곡된 U형상의 홈으로 배수통로(410)가 형성되어 배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패널의 결합부분에는 조인트 핀(460)으로 고정하면 더욱 더 견고하게 설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는 옥상 바닥면(100), 방수층(200), 방수보호층(300),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 보수재(500), 투수층(600), 토양층(700), 식생층(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 바닥면(100)은 건축 구조물의 구체(콘크리트) 공사 완료 후 완성되는 바탕면으로서, 그 위로 방수층(200)이 적층되므로 관련 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바탕면 처리를 하여 방수공사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다.
방수층(200)은 상기 옥상 바닥면(100) 위에 형성되어 수분이 건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옥상녹화를 전제로 한 방수 소재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방수의 성능 외에 수분에 의해 소재성분이 용해되지 않는 수밀성, 식물의 뿌리에 견디는 내근성,방제에 대비한 내약품성, 박테리아에 의한 부식에 견디는 성능, 상부의 자중 및 시공하중에 견디는 내압성이 요구된다. 상기 방수층(200)의 실시예로는 아스팔트방수가 될 수 있다.
방수보호층(300)은 상기 방수층(200) 위에 형성되어 시공시의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상기 방수층(200)을 보호하며, 상기 방수층(200)으로 흘러 들어가는 물을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 방수성을 가지는 재료를 채택함이 바람직하겠다.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로(410), 보수부(420) 및 연결홈부(430)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방수보호층(300) 위에 설치되어 배수 및 보수기능을 한다. 즉, 배수통로(410)에 의해 배수구까지 이어지는 수평방향 배수를 담당하게 될 것이고, 보수부(420)에 의해 물이 저장되는 보수를 담당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은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근기능을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은 배수와 보수는 물론 방근기능을 모두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한 옥상녹화구조는 그 적층두께가 줄어들어 건물의 하중 부담을 덜게 되며, 배수층, 보수층, 방근층으로 나누어져 있는 층들을 하나의 패널에서 모두 처리하므로 공기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수부(420)에는 보수(保水)재(500)를 채워 보수성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보수재(500)가 상기 보수부(420)에 꽉 채워져 있으면 상기 보수재(500)의 공극사이로 물이 저장되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저장된 물과 토양층을 더욱 근접시킬 수 있게 되어 용이하게 토양층에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수재(5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자갈을 들 수 있다.
보수(保水)재(500)는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의 보수부에 꽉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보수부(420)에 상기 보수재(500)를 꽉 채우면 상기 보수재(500)의 공극사이로 보수된 물이 토양층에 가까워지므로 물을 토양층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수재(500)로는 자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자갈은 자갈과 자갈사이에 공극이 생겨 물을 보수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투수층(600)은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 위에 형성되며 투수시트와 투수매트의 복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물이 투수시트를 통해 투수될 때 큰 입자의 토립자는 상기 투수시트에서 일차적으로 여과되지만 작은 입자의 토립자는 물과 함께 투수시트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이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투수매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투수시트를 통과한 작은 토립자를 여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투수층(600)은 역으로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40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토양층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토양층(700)은 상기 투수층(600) 위에 형성되며 식생생장을 원활하게 하는 유기물 토양이 유리하며, 그 외 인공경량토양 등도 적용 가능하다.
식생층(800)에 상기 토양층(700) 위에 형성되며 식재되는 식물은 내건성, 내한성, 내습성을 지녀야하며 강한 일사와 바람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옥상녹화용 식물로는 세덤류와 같은 저 관리형 식생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관상용 교목류의 식재는 지양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는 배수와 보수 및 방근기능을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에서 모두 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층, 보수층 및 방근층을 따로 따로 형성하는 것보다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의 두께가 훨씬 줄어들어 건물에 하중 부담을 줄여준다. 또한, 배수층, 보수층 및 방근층으로 나누어져 있는 층들을 하나의 패널에서 해결하므로 공기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배수와 동시에 보수(保水)가 가능한 옥상녹화용 패널로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이 방향의 홈이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통로;
    상기 배수통로보다 깊은 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수(保水)부; 및
    상기 보수부와 상기 배수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홈부는 상기 배수통로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보수부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3. 제1항에서, 상기 배수통로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4. 제1항에서,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일단부는 ㄴ형상의 제1결합단부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U형상의 제2결합단부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호패널들 상호간 상기 제1결합단부와 제2결합단부를 겹치도록 한 후 조인트 핀으로 고정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5. 옥상 바닥면 위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방수보호층;
    상기 방수보호층 위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의 보수부에 수용되는 보수재;
    상기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위에 형성되는 투수층;
    상기 투수층 위에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층 위에 식재되는 식생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투수층은 복층으로 형성되어 배수시 상기 토양층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을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20050049761A 2005-06-10 2005-06-10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072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761A KR100729389B1 (ko) 2005-06-10 2005-06-10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761A KR100729389B1 (ko) 2005-06-10 2005-06-10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124A true KR20060129124A (ko) 2006-12-15
KR100729389B1 KR100729389B1 (ko) 2007-06-15

Family

ID=3773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761A KR100729389B1 (ko) 2005-06-10 2005-06-10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3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6B1 (ko) * 2007-09-14 2010-03-18 영보화학 주식회사 배수용 매트
KR101065207B1 (ko) * 2010-06-04 2011-09-19 장은환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CN104009309A (zh) * 2014-05-26 2014-08-27 泰德兴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防漏水汽车接插件pin针
KR102537825B1 (ko) * 2022-03-21 2023-05-26 우현명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6B1 (ko)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6B1 (ko) * 2007-09-14 2010-03-18 영보화학 주식회사 배수용 매트
KR101065207B1 (ko) * 2010-06-04 2011-09-19 장은환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CN104009309A (zh) * 2014-05-26 2014-08-27 泰德兴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防漏水汽车接插件pin针
KR102537825B1 (ko) * 2022-03-21 2023-05-26 우현명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389B1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1113735B1 (ko) 건물지붕층 녹화시스템
KR101138018B1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CN101793079A (zh) 一种新型根系阻拦材料和绿色屋面种植技术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CN108678297A (zh) 一种智能排蓄水薄型屋顶花园
US20110308176A1 (en) Rooftop Cooling and Rainwater Retention Panel and System
KR101045807B1 (ko) 내광성,내열성,내수성,내하중성,방수성,방근성,저수성,배수성,여과필터,토양기반,식생 등 지붕 및 인공지반 옥상녹화를 구성하는 모든 기술성능요소가 통합된 이중바닥 방식의 경량박형 생태지붕방수 구조물
KR101030731B1 (ko) 건축 구조물의 벽면 녹화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1090665A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CN209457284U (zh) 一种轻质屋顶海绵绿化结构
JP3663383B2 (ja) 断熱材、屋根緑化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CN102787722A (zh) 绿色生态防水屋面的制作方法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101142352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15162625A (zh) 一种组装式种植草坪屋面施工方法
JP5841689B1 (ja) 温室
CN211313116U (zh) 一种用于住宅楼层的绿化屋面结构
CN210247687U (zh) 一种绿化屋顶的结构
JP2012241411A (ja) 屋根緑化システム
Wilkinson et al. Technical and engineering issues in green roof retrofit
JP4741259B2 (ja) 折板屋根の外断熱構造
JP3669946B2 (ja) 構造物の緑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