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207B1 -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 Google Patents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207B1
KR101065207B1 KR1020100052870A KR20100052870A KR101065207B1 KR 101065207 B1 KR101065207 B1 KR 101065207B1 KR 1020100052870 A KR1020100052870 A KR 1020100052870A KR 20100052870 A KR20100052870 A KR 20100052870A KR 101065207 B1 KR101065207 B1 KR 10106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weight
artificial garde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설
장은환
Original Assignee
장은환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환,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은환
Priority to KR102010005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의 성장이 어려운 불모 환경에서 식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유지가 가능한 인공적인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공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불모 지역의 바닥 표면을 고르고, 상기 바닥면에 방수막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제층 상에 해당 인공정원 구조층의 원형 유지 및 물빠짐이 가능하도록, 상호 통기되어 있는 상부 구멍 및 하부 구멍이 일정 간격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토하 배수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하 배수 모듈 상에 여과 모듈을 설치하여 여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과층 상에 일정 두께의 모래를 도포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래층 상에 식재의 성장을 위한 성장 매체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식재토층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토층 상에 식재를 심어서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Artificial Garden Manufacturing Method and for Water Drainage Module Manufacturing Artificial Garden}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등과 같은 불모 환경에 대해 식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유지가 가능한 인공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 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주택이나 건물 주변 부지 등의 거주지 주변에 정원을 조성하게 되면, 주변 공기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차열이나 단열 효과가 있으면서 반사열에 대한 공급 억제 효과가 있어서 쾌적한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고, 거주민의 정서적 안정을 꾀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휴식의 터전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잔디와 지피류, 수목과 화초류 등과 같은 식재류로서, 식재류의 지속적인 성장 및 유지를 도모하기 위해 배수가 원활하면서 비옥한 토질 성분을 함유한 흙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식재류가 일정 정도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토양의 지역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현재는 주택이나 건물 주변의 일정 토양이 형성된 지역에만 물빠짐과 식재의 성장 양분 공급을 고려하여 비옥한 토질 성분의 흙과 비료를 도포하고 수목, 화초 등을 심어서 정원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빠른 도시화에 따라 자연 환경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대신에 인공적인 고층 건물이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가 자연 토지를 잠식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종래의 정원 조성 방식에서는 주택이나 건물 주변에 식재류의 일정 정도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일정 토양이 형성되어 있는 일부 지역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정원 조성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영역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옥상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등과 같은 불모지 환경에는 정원의 조성이 어렵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식재의 성장이 어려운 불모 환경에서 식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유지가 가능한 인공적인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인공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불모 지역의 바닥 표면을 고르고, 상기 바닥면에 방수막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제층 상에 해당 인공정원 구조층의 원형 유지 및 물빠짐이 가능하도록, 상호 통기되어 있는 상부 구멍 및 하부 구멍이 일정 간격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토하 배수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하 배수 모듈 상에 여과 모듈을 설치하여 여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과층 상에 일정 두께의 모래를 도포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래층 상에 식재의 성장을 위한 성장 매체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식재토층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토층 상에 식재를 심어서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정원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토하 배수 모듈에 따르면, 인공정원의 구조층 지지 및 원활한 배수를 위해 인공정원에 설치되는 토하 배수 모듈에 있어서, 상부 구멍과 하부 구멍이 상호 관통된 형상이 일정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부 구멍과 하부 구멍의 사이는 연결 프레임에 의해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인공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불모 지역의 바닥 표면을 고르고, 상기 바닥면에 방수막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방수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방수제층 상에 해당 인공정원 구조층의 원형 유지 및 물 빠짐이 가능하도록 상호 통기되어 있는 상부 구멍 및 하부 구멍이 일정 간격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토하 배수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토하 배수 모듈 상에 여과 모듈을 설치하는 여과층 형성단계; (d) 상기 여과층 상에 일정 두께의 모래를 도포하는 모래층 형성단계; (e) 상기 모래층 상에 식재의 성장을 위한 성장 매체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식재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식재토층 상에 식재를 심어서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정원 조성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재토층은 기반층과 상기 기반층 위에 형성된 표면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반층은 쇄석골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토 골재 20-30 중량부, 무기계 바인더 20-3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5 중량부,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0-15 중량부, 석영 5-10 중량부 및 혼화제 1-2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은 쇄석골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토 골재 10-20 중량부, 무기계 바인더 10-15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15 중량부, 음이온석 5-10 중량부, 석영 5-10 중량부 및 혼화제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반층과 표면층은 10-30 ℃에서 1-2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전치하고 그 후 40-50 ℃의 방열로 9-10 시간 동안 양생하는 건식양생 후에 40-50 ℃에서 9-10 시간 증기양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옥상이나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등과 같은 불모지 환경에 대해 물빠짐이 양호하면서 식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유지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토양 구조층을 형성하고, 그 토양 구조층의 유지와 지지를 담당하는 토하 배수 모듈을 설치함에 의해 인공적인 정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어떠한 불모 지역에 관계없이 인공적인 정원을 요이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되고, 건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정원을 조성할 수 있게 되면서 도시 전체에 시각적인 조경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인공정원의 조성에 따른 차열이나 단열, 반사열 발생 억제 및 공급 억제가 가능하여 도시의 오존층 파괴 및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반층과 표면층을 사용하는 경우 전 공극률, 투수계수, 보습성 측면, 치수 변화율 측면에서 개선되는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정원 조성방법이 적용된 인공정원의 구조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정원 조성방법의 인공정원 조성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정원 조성방법이 적용된 인공정원의 구조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정원의 구조층은, 바닥면(10)과, 방수제층(20), 토하 배수 모듈(30), 여과층(40), 모래층(50), 식재토층(60), 식재층(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공정원의 구조층은, 바닥면(10)에 방수제층(20)이 형성되고, 그 방수제층(20) 상에 토하 배수 모듈(30)이 고르게 설치되며,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 상에 여과층(4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층(40) 상에 모래층(50)이 형성되며, 상기 모래층(50) 상에 식재토층(60)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식재토층(60)으로 수목이나 화초류, 잔디, 지피류 등과 같은 각종 식재를 심어서 식재층(7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인공정원의 구조층은 건물의 옥상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아스팔트,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등의 불모 지역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0)은 건물의 옥상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해당 바닥면(10)의 표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방수제층(20)은 상기 바닥면(10)에 전체적으로 방수막을 설치하고, 해당 바닥면(10)의 일측 부분에 배수 출구를 설치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해당 방수제층(20)에 방수막 및 배수 출구를 설치한 이후에는 방수 상태 점검 및 물고임 테스트를 실시하여 누수 지점이나 물고임 지점을 파악하고, 누수 지점 또는 물고임 지점에 대한 보수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상기 방수제층(20) 상에 설치되어 해당 인공정원의 구조층을 지지함과 더불어 물빠짐이 양호해 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화학 물질에 대한 저항력을 갖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층(40)은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 상에 설치되고서 모래나 흙을 거르고 물만이 여과되어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루어진 것으로서,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폴리 에스터나 각 재료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토목 여과 섬유 또는, 고밀도 폴리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토목 그물(Geomesh)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토목 여과 섬유는 하기한 표 1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특 성 수 치
최소 중량 = 120 g/
구멍 크기 = 190 microns40%
신장시 인장 강도 = 4 kN60%
신장시 그래브 인장 강도 = 440 N
내 타공서 = 800 N
사다리꼴 인열 강도 = 270 N
유 량 = 50 l/ms
또한, 상기 토목 그물은 하기한 표 2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특 성 수 치
재 료 고밀도 폴리에틸렌
삼 실 300 데니어
그물 크기 1.5
치 수 1.8 m 10.2 m
안정제 자외선 억제제
중 량 105 g/
상기 모래층(50)은 상기 여과층(40) 상에 모래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식재토층(60)은 상기 모래층(50) 상에 식재의 성장을 위한 성장 매체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성장 매체로는 토탄, 벽토, 팽창된 점토 골재/질석, 세척된 굵은 강모래, 롬질의 흙, 톱밥, 나무껍질 및 나무껍질 미립자, 습윤제 및 보수제(수분 유지제), 질소/인산/칼륨(NPK) 혼합 비료 등과 같이 수소이온 지수가 안정돤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층(70)은 잔디와 지피류, 수목과 화초류 등의 식재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구멍(80)과 하부 구멍(82)이 상호 관통된 형상이 일정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상부 구멍(80)과 하부 구멍(82)의 사이는 연결 프레임(84)에 의해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여과층(40)을 통과한 물은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의 상부 구멍(80) 및 하부 구멍(82)을 통해 흘러내려 와서 방수층(20)의 배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의 측면에는 다른 토하 배수 모듈(30)과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8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86)를 갖춘 토하 배수 모듈(30)에 대응하는 다른 토하 배수 모듈(30)에는 상기 결합부(86)를 수용하여 끼워 맞춤 방식으로 고정하는 수용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86)와 수용부(88)는 해당 토하 배수 모듈(30)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적용되는 것으로서, 해당 결합부(86)와 수용부(88)가 각각의 토하 배수 모듈(30)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각 토하 배수 모듈 간이 측면을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인공정원이 조성되는 지역의 기후 특성에 따른 최대 강우량 등을 고려하여 복수개의 계층으로 쌓아서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의 재료는 생물학적, 화학적 토양의 공격에 대한 내화학성을 갖춤과 더불어 경량이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하기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특 성 수 치
치 수 길이 500 넓이 250
길이 500 넓이 500
높 이 30
중 량 c.a._3kg/
구멍 영역 = 350
빈 수평 영역 = 65%
빈 내부 부피 = 95%
압축력 = 100 tonne/
1% 수력 증감에 대한 배수 용량 = 16.5 l/m.s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그 설치중이나 설치 이후에 가해지는 정적 부하 및 동적 부하에 적응하기 위해 최소 100 tonne/의 압축력을 가져야 하며, 상기 상부 구멍(80) 및 하부 구멍(82)의 구멍 크기는 일정 크기의 충전 골재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250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각 구멍은 최적의 물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토하 배수 모듈(30)의 전체 표면 면적에서 최소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인공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건물의 옥상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10)에 대한 표면을 고르는 작업을 수행하고(단계 S10), 상기 바닥면(10)에 전체적으로 방수막을 설치하고(단계 S11), 배수 출구를 만들어서 방수제층(20)을 형성한다(단계 S12).
그 상태에서, 상기 방수제층(20)에 대한 방수 점검 및 물고임 상태의 테스트를 수행하게 되는데(단계 S13), 방수가 불량으로 나타나는 지점이 발견되면(단계 S14에서 YES), 해당 불량 부위에 대한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5).
하지만, 상기 방수제층(20)에 대한 방수 및 물고임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수제층(20) 상에 토하 배수 모듈(30)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인공정원의 조성 지역 전체에 걸쳐서 토하 배수 모듈(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각 토하 배수 모듈(30)을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한다(단계 S16).
또한, 상기 인공정원이 조성되는 지역의 기후 상태에 따른 최대 강우량을 고려하여 토하 배수 모듈(30)을 복수개의 계층으로 겹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에,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이 설치된 부위 상에 토목 여과 섬유 또는 토목 그물 형태로 이루어진 여과 모듈을 고르게 설치하여 여과층(40)을 형성하게 되고(단계 S17), 그 여과층(40) 상에 모래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모래층(50)을 형성한다(단계 S18).
상기 모래층(50) 상에는 토탄, 벽토, 팽창된 점토 골재/질석, 강모래, 흙, 톱밥, 나무껍질 및 나무껍질 미립자, 습윤제 및 보수제, 질소/인산/칼륨 혼합 비료가 혼합된 성장 매체를 재료로 하는 식재토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식재토층(60)을 형성하게 되고(단계 S19), 상기 식재토층(60) 상에 잔디, 지피류, 수목, 화초류 등의 식재를 심어서 식재층(70)을 형성한다.
실시예 1
혼합설비에 쇄석골재(1-2.5 mm) 100 g, 점토 골재 25 g, 무기계 바인더 25 g, 고로슬래그 미분말 3 g,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2 g, 석영 8 g 및 혼화제 1.5 g를 투입하였다. 그런 후 물 3.5 g을 넣고 2-3분간 혼합하여 몰드로 성형한 후 20 ℃에서 1.5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전치하고 그 후 45 ℃의 방열로 9.5 시간 동안 양생하는 건식양생을 수행하고 나서, 45 ℃에서 9.5 시간 증기양생과정을 거쳐 기반층을 제조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혼합설비에 쇄석골재 100 g, 점토 골재 15 g, 무기계 바인더 12 g, 고로슬래그 미분말 12 g, 음이온석 7 g, 석영 7 g 및 혼화제 1.5 g를 투입하고, 물 3.5 g을 넣고 나서 위와 같이 건식양생과 증기양생과정을 거쳐 표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반층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건식양생만을 수행한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하는 방법으로 기반층 및 표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표면층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증기양생만을 수행한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하는 방법으로 기반층 및 표면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표면층과 기반층을 제조함에 있어 점토골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준하는 방법으로 기반층 및 표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반층과 표면층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기반층과 표면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 공극률, 투수계수, 보습성 측면에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반층과 표면층을 포함하는 토하 배수 모듈은 치수 변화율 측면에서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바닥면, 20:방수제층,
30:토하 배수 모듈, 40:여과층,
50:모래층, 60:식재토층,
70:식재층, 80:상부 구멍,
82:하부 구멍, 84:연결 프레임,
86:결합부, 88:수용부.

Claims (8)

  1. 삭제
  2. (a) 인공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불모 지역의 바닥 표면을 고르고, 바닥면(10)에 방수막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여 방수제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방수제층(20) 상에 해당 인공정원 구조층의 원형 유지 및 물 빠짐이 가능하도록 상호 통기되어 있는 상부 구멍(80) 및 하부 구멍(82)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 토하 배수 모듈(3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 상에 여과 모듈을 설치하는 여과층(40) 형성단계;
    (d) 상기 여과층(40) 상에 모래를 도포하는 모래층(50) 형성단계;
    (e) 상기 모래층(50) 상에 식재의 성장을 위한 성장 매체를 도포하여 식재토층(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식재토층(60) 상에 식재를 심어서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정원 조성방법으로서,
    상기 식재토층(60)은 기반층과 상기 기반층 위에 형성된 표면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반층은 쇄석골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토 골재 20-30 중량부, 무기계 바인더 20-3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5 중량부,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0-15 중량부, 석영 5-10 중량부 및 혼화제 1-2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은 쇄석골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토 골재 10-20 중량부, 무기계 바인더 10-15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15 중량부, 음이온석 5-10 중량부, 석영 5-10 중량부 및 혼화제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정원 조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층과 표면층은 10-30 ℃에서 1-2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전치하고 그 후 40-50 ℃의 방열로 9-10 시간 동안 양생하는 건식양생 후에 40-50 ℃에서 9-10 시간 증기양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정원 조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토하 배수 모듈(30)은 측면의 설치된 연결 부재를 통해 각 토하 배수 부재 간을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고정 연결할 수 있도록 하거나, 토하 배수 부재를 복수개의 계층으로 쌓아서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4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여과 모듈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폴리 에스터 또는 해당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포리 에스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토목 여과 섬유와, 폴리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토목 그물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토층(6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성장 매체는 토탄, 벽토, 팽창된 점토 골재/질석, 세척된 굵은 강모래, 롬질의 흙, 톱밥, 나무껍질 및 나무껍질 미립자, 습윤제, 보수제, 질소/인산/칼륨 비료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00052870A 2010-06-04 2010-06-04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KR10106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70A KR101065207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70A KR101065207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207B1 true KR101065207B1 (ko) 2011-09-19

Family

ID=4495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870A KR101065207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551A (zh) * 2015-11-25 2016-04-2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对风力电场临时施工道路的改造方法及植草路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866A (ko) * 2004-01-07 2005-07-12 (주)지앤지컨설턴트 암면 식생 매트를 이용한 옥상정원 조성시스템
KR100553005B1 (ko) 2005-12-12 2006-0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60036176A (ko) * 2004-10-25 2006-04-28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역지붕 외단열 옥상녹화구조
KR20060129124A (ko) * 2005-06-10 2006-12-15 권혁준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866A (ko) * 2004-01-07 2005-07-12 (주)지앤지컨설턴트 암면 식생 매트를 이용한 옥상정원 조성시스템
KR20060036176A (ko) * 2004-10-25 2006-04-28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역지붕 외단열 옥상녹화구조
KR20060129124A (ko) * 2005-06-10 2006-12-15 권혁준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0553005B1 (ko) 2005-12-12 2006-0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551A (zh) * 2015-11-25 2016-04-2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对风力电场临时施工道路的改造方法及植草路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4275B (zh) 一种山区风电场高陡弃渣边坡加筋锚固生态修复系统
CN108911672B (zh) 一种磷石膏基植被混凝土及其施工方法
CN100564759C (zh) 种植屋面及其施工方法
CN201730256U (zh) 一种轻型绿化屋顶
CN103866776B (zh) 一种建筑垃圾石笼墙生态护坡方法
CN107963838B (zh) 一种生态喷锚护坡结构及方法
CN109566290A (zh) 一种矿山排土场边坡植被修复方法
CN101608491A (zh) 屋顶绿化系统及绿化方法
CN105201025B (zh) 地下室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CN206815693U (zh) 一种绿色种植屋面结构
CN111593748A (zh) 一种破碎岩石陡坡的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3123691A (ja) 焼却灰を主原料とした発泡水熱固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896172U (zh) 一种用于黑臭河道生态化改造的河道护坡和渠底结构
US8844194B1 (en) Vegetative roofing systems
KR101065207B1 (ko) 친환경 자연형 인공정원 조성방법 및 인공정원 조성을 위한 토하 배수 모듈
CN219671424U (zh) 绿色建筑地下室顶板景观绿化结构
CN117044592A (zh) 基于地质聚合物的隧道弃渣改良成喷播种植基质的方法
CN105239532A (zh) 类海绵体生态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N113853862B (zh) 一种用绵土基质进行易滑岩坡的梯形喷播方法
KR20120129228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유기물 식생자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JPH08280246A (ja) 注入可能な植生表面用植生土壌基質及びその製法
CN204418192U (zh) 锁扣式植草网格
KR100476122B1 (ko)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JP5902337B2 (ja) 焼却灰を主原料とした発泡水熱固化体の製造方法
JP5843329B2 (ja) 焼却灰を主原料とした発泡水熱固化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