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623A -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623A
KR20060128623A KR1020060023641A KR20060023641A KR20060128623A KR 20060128623 A KR20060128623 A KR 20060128623A KR 1020060023641 A KR1020060023641 A KR 1020060023641A KR 20060023641 A KR20060023641 A KR 20060023641A KR 20060128623 A KR20060128623 A KR 20060128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age
damper
damping force
adjus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235B1 (ko
Inventor
김완일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ublication of KR20060128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감쇠력을 조정하여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댐퍼와, 차체와 휠 액슬 사이에서 압축 에어가 공급 또는 배기되어 차고 높이를 제어하는 에어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으로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 회로와, 차량내 설치된 차속 또는 차고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에어 회로에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댐퍼에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ECU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차고 높이 제어에 따라 에어 스프링을 제어함과 동시에 댐퍼의 감쇠력을 함께 제어함으로써 차량 진동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승차감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댐퍼 감쇠력, 에어 스프링, 승차감

Description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ELECTRONICALLY CONTROLED AIR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IGHT THEREI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코일 스프링 및 에어 스프링에서 각각 하중에 따른 고유 진동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하향 및 차고 상승의 제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제어를 수행할 때 본 발명과 같이 댐퍼의 감쇠력을 부분 조정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그래프,
도 7a 및 도 7b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제어를 수행할 때 댐퍼의 감쇠력을 일관되게 조정한 경우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입력부 20 : ECU
30 : 가변 댐퍼 40 : 에어 회로
50 : 에어 스프링
본 발명은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에서 차고 높이 제어에 따른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고 제어 정밀도를 높이는데 적합한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면서 주행 안정성과 선회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 현가시스템이 있다.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체(또는 프레임)과 휠 액슬 사이에서 압축 에어의 탄성을 이용하는 에어 스프링(air spring)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세 진동까지 흡수하면서 유연한 탄성을 얻을 수 있어 승차감이 뛰어나고, 압축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하중에 관계없이 차고(car height)까지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차량의 고급화에 대응되므로 최근에는 레저용 차량에도 적용되는 등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다수개의 센서 및 스위치들로 구성된 센서/입력부(100), ECU(Electrical Circuit Unit)(110), 가변 댐퍼(120), 에어 회로(130), 에어 스프링(14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스프링(140)은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며 차체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가변 댐퍼(120)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륜의 경우 에어 스프링(140)과 가변 댐퍼(1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륜의 경우 에어 스프링(130)과 가변 댐퍼(120)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
센서/입력부(100)는 차고 센서(height), 수직 가속도 센서, 스티어링 센서, 속도 센서, 트로틀 센서, 브레이크 감지 센서, 수동/자동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각 센서 및 스위치에서 검출된 신호를 ECU(110)에 전달한다.
ECU(110)는 센서/입력부(100)로부터 검출된 센서 또는 스위치 신호(수직 가속도, 브레이크 등)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ride), 롤(roll), 다이브(dive), 스쿼트(squat)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가변 댐퍼(120)의 감쇠력을 소프트(soft) 또는 하드(hard)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댐퍼의 감쇠력이 소프트한 상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쇠력을 나타내며, 하드한 상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감쇠력을 나타낸다.
그리고 ECU(110)는 센서/입력부(100)로부터 측정된 차고 높이와 타겟 높이를 비교하여 전륜, 후륜, 좌측 또는 우측 바퀴에 장착된 에어 스프링(140)의 에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가변 댐퍼(120)는 차량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차량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적절한 접지력을 확보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장치로서, ECU(11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들을 받아서 4륜에 적용되는 댐퍼 감쇠력값에 따라 각 차륜의 액튜에이터(스텝핑 모터 등) 구동을 제어한다.
에어 회로(130)는 압축 에어를 대기중으로부터 흡입하며 대기중으로 작동 에어를 배기하는 컴프레서와, 고압의 압축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와, 에어 탱크에서 에어 스프링(140)으로의 압축 에어를 공급 및 대기로 배기하는 개폐 기능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는 센서/입력부(100)에서 검출된 신호를 ECU(110)에서 연산하여 에어 스프링의 에어를 공급 또는 에어를 배기함으로써 차체 높이를 제어한다. 그리고 센서/입력부(100)에서 검출된 신호를 ECU(110)에서 차량의 승차감, 롤, 다이브, 스쿼트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가변 댐퍼(120)의 감쇠력을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과 진동을 빠른 시간내에 흡수, 완충한다.
도 2a 및 도 2b는 코일 스프링 및 에어 스프링에서 각각 하중에 따른 고유 진동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의 그래프를 대비하면,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일반 전자제어 현가시스템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에 비해 낮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며 하중 적재시나 다수의 승객이 탑승시에도 늘어난 질량에 비해 가라앉은 차량의 차고를 일정하게 맞추어 주면서 차고 조정을 위해 에어 스프링 상수를 높여주어 일정한 고유 진동수를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하향 및 차고 상승의 제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고 조절을 하는데, 승객 탑승이나 화물 적재로 인하여 차량이 수평을 이루지 못할 경우, 차고 센서로부터 검출된 현재의 차고를 목표 차고로 차륜 에어 스프링의 에어 공급 또는 배기 제어를 하여 수평을 이루게 한다. 이때 목표 차고는 운전자가 차량의 수동/자동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하며 차량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바뀔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 시간동안 V0의 차속 이하로 차량이 주행할 경우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고를 낮은 높이에서 타겟(Low→Nor)까지 높인다. 그리고 T1 시간동안 V1 차속이상으로 차량이 주행할 경우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고를 높은 높이에서 타겟(Nor→Low)으로 낮춘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속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노면 상태가 험로로 판정(On)되면 차고의 높이를 정상에서 높게(Normal→High) 일정 시간(T1)까지 유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고 높이를 제어할 때 단순히 에어 스프링의 에어 공급 또는 배기만을 제어하기 때문에 차량 높이 제어에 따라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 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고 제어 과정동안 댐퍼의 감쇠력을 소프트 또는 하드한 상태로 일관되게 유지하기 때문에 정밀한 차고 제어 기능은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그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서 차고 높이 제어에 따라 에어 스프링을 제어함과 동시에 댐퍼의 감쇠력을 함께 제어함으로써 차량 진동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승차감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차고 제어 시간 중에서 일부분인 제어 시작 시점과 제어 종료 시점에 일시적으로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 있어서, 감쇠력을 조정하여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댐퍼와, 차체와 휠 액슬 사이에서 압축 에어가 공급 또는 배기되어 차고 높이를 제어하는 에어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으로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 회로와, 차량내 설치된 차속 또는 차고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에어 회로에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ECU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된 차속 신호가 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 검출된 차고가 타겟 차고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차고가 타겟 차고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 스프링에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고, 이와 동시에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댐퍼의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다수개의 센서 및 스위치들로 구성된 센서/입력부(10), ECU(20), 가변 댐퍼(30), 에어 회로(40), 에어 스프링(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스프링(50)은 가변 댐퍼(30)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륜의 경우 에어 스프링(50)과 가변 댐퍼(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륜의 경우 에어 스프링(40)과 가변 댐퍼(30)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
센서/입력부(10)는 수직 가속도 센서, 스티어링 센서, 트로틀 센서, 브레이크 감지 센서 등의 기타 센서(11)와, 차속 센서(13)와, 차고 센서(15)와, 수동/자동 스위치(17) 등을 포함하여 각 센서 및 스위치에서 검출된 신호를 ECU(20)에 전 달한다.
ECU(20)는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를 포함하여 센서/입력부(10)로부터 검출된 센서 또는 스위치 신호(수직 가속도, 브레이크 등)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ride), 롤(roll), 다이브(dive), 스쿼트(squat)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ECU(20)는 타겟 산출부(23), 차고 레벨 조정부(25), 자세 조정부(27), 에어 제어부(29) 등을 포함하여 센서/입력부(10)로부터 측정된 차속이 설정된 차속이상일 경우 차고 센서로부터 검출된 차고 높이와 타겟 높이를 비교하여 에어 스프링(50)의 에어 공급 또는 배기로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ECU(20)는 센서/입력부(10)의 차속 또는 차고 센서(13, 15)들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에어 회로(40)에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가변 댐퍼(30)에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만약 차고 센서(15)로부터 검출된 차고가 타겟 차고와 동일하면 에어 회로(40)의 제어를 정지하는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ECU(20)는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제공하는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가변 댐퍼(30)는 차량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과 차량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적절한 접지 력을 확보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장치로서, ECU(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들을 받아서 댐퍼 감쇠력값에 따라 각 차륜의 액튜에이터(스텝핑 모터 등) 구동을 제어한다.
에어 회로(40)는 에어 스프링(50)으로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회로로서, 압축 에어를 대기중으로부터 흡입하며 대기중으로 작동 에어를 배기하는 컴프레서(41)와, 고압의 압축 에어가 저장된 에어 탱크(45)와, 에어 탱크(45)에서 에어 스프링(50)으로의 압축 에어를 공급 및 대기로 배기하는 개폐 기능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3) 등을 포함한다.
에어 스프링(50)은 차체와 휠 액슬(미도시됨) 사이에서 압축 에어가 공급 또는 배기됨에 따라 차고 높이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ECU(20)는 센서/입력부(10)의 차속 센서(13)에서 검출된 차속이 설정된 차속이상일 경우 주행 상태로 판단하여 본 발명의 제어를 수행한다.(S10)
S10 판단 결과, 주행 상태일 경우 ECU(20)는 타겟 산출부(23)를 통해 기설정된 타겟 차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ECU(20)의 차고 레벨 조정부(25)는 센서/입력부(10)의 차고 센서(15)에서 검출된 차고값과 타겟 산출부(23)에서 산출된 타겟 차고값이 서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S12)
S12 비교 결과, 차고 센서(15)에서 검출된 현재 차량의 차고값과 기설정된 타겟 차고값이 서로 동일하지 않을 경우 ECU(20)의 차고 레벨 조정부(25)는 상기 차고값이 타겟 차고값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14)
S14 판단 결과, 상기 차고값이 타겟 차고값보다 높지 않을 경우 ECU(20)의 차고 레벨 조정부(25)는 상기 타겟 차고까지 차고값을 높이기 위한 차고 레벨값을 에어 제어부(29)에 보낸다. 에어 제어부(29)는 상기 차고 레벨값에 따라 에어 스프링(5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에어 회로(40)에 제공하고, 에어 회로(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를 온(on)하여 에어 탱크(45)의 고압 압축 에어를 에어 스프링(50)으로 공급함으로써 차량 차고를 타겟 차고까지 높인다.(S16)
이와 동시에, ECU(20)의 에어 제어부(29)는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에 에어 스프링 작동용 제어 신호를 보내고, 이 제어부(21)에서는 댐퍼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값을 가변 댐퍼(30)에 보낸다.(S20)
ECU(20)에서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2),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에어 제어부(29)에서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에 해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21)에서는 상기 해제 신호에 따라 댐퍼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값을 가변 댐퍼(30)에 보낸다.(S24)
만약 S14 판단 결과, 상기 차고값이 타겟 차고값보다 높을 경우 ECU(20)의 차고 레벨 조정부(25)는 상기 타겟 차고까지 차고값을 내리기 위한 차고 레벨값을 에어 제어부(29)에 보낸다. 에어 제어부(29)는 상기 차고 레벨값에 따라 에어 스 프링(50)의 에어를 대기로 배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에어 회로(40)에 제공하고, 에어 회로(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를 온(on)하여 컴프레서(41)를 통해 에어 스프링(50)의 압축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기하도록 한다.(S18)
S16 단계를 진행하면서, ECU(20)의 에어 제어부(29)는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에 에어 스프링 작동용 제어 신호를 보내고, 이 제어부(21)에서는 댐퍼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값을 가변 댐퍼(30)에 보내고, ECU(20)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S20∼S24)
한편, S12 단계에서 차고 센서(15)에서 검출된 현재 차량의 차고값과 기설정된 타겟 차고값이 서로 동일할 경우 ECU(20)는 차고 레벨 조정부(25)에서 에어 제어부(29)에 차고 레벨값을 0으로 하여 보낸다. 이에 에어 제어부(29)는 에어 회로(40)로 에어 스프링(50)의 에어 공급 또는 배기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단한다.(S26)
S26 단계를 진행하면서, ECU(20)의 에어 제어부(29)는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에 에어 스프링 미작동용 제어 신호를 보내고, 이 제어부(21)에서는 댐퍼 감쇠력을 설정된 시간동안 하드하게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값을 가변 댐퍼(30)에 보낸다.(S20)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S24 단계와 같이 승차감/롤/다이브/스쿼트 제어부(21)에서는 댐퍼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값을 가변 댐퍼(30)에 보낸다.(S24)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은 차량 차고가 타겟 차고까지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에어 스프링(50)의 압축 에어 공급, 배기하여 차고 를 제어할 경우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일시적으로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차량 차고가 타겟 차고에 맞추어질 경우에도 가변 댐퍼(30)의 감쇠력을 일시적으로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면에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센서/입력부(10)의 수동/자동 스위치(17)에 의해 수동 스위치(17)가 온(on)으로 될 경우에 본 발명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이 수동 모드로 전환되어 수동 스위치(17)가 온(on)으로 된 상태에서만 상술한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반면에, 자동 스위치(17)가 온(on)으로 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차량이 설정된 차속이상의 주행중인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도 6a 및 도 6b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제어를 할 때 본 발명과 같이 댐퍼의 감쇠력 조정을 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는 측정 차고를 타겟 차고로 높일 때 댐퍼의 감쇠력을 소프트한 상태로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오버 슈트(overshoot)가 발생(c)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고 제어 완료 후 목표 차고와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는 측정 차고에서 타겟 차고로 높일 때 댐퍼의 감쇠력을 차고 제어 시작 시점과 차고 제어 종료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소프트한 상태에서 하드한 상태로 변경 함으로써, 차고 제어 종료 시점에서는 차고 제어 정밀도를 높이며 차고 제어 시작 시점에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제어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차고 제어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일시적으로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차고 제어 시간에 걸쳐 일관되게 소프트 또는 하드하게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차고 제어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 차고 제어를 수행할 때, 감쇠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 예컨대 도 7a와 같이 감쇠력 조정을 하지 않은 경우(소프트)와 도 7b와 같이 전체 차고 제어 시간에 걸쳐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한 경우(하드)를 예시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서는 도 6a와 마찬가지로 측정 차고를 타겟 차고로 높일 때 오버 슈트가 발생하더라도 댐퍼의 감쇠력을 소프트한 상태로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차고 조정에 의한 충격,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어 승차감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차고 제어 시간에 걸쳐 댐퍼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게 되면, 전체 차고 제어 속도를 줄임으로써 차고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감쇠력에 의해 필요한 수준보다 더 높은 압력이 공기 스프링 내부에 충전되어 공압 공급 밸브 차단 후 압축되었던 공기가 다시 팽창하여 목표 차고보다 훨씬 높은 수준(d)에서 차고 제어를 중단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차고 제어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전체 차고 제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 6a, 도 7a 및 도 7b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차고 제어 시간 중에서 일부분인 차고 제어 시작 시점과 차고 제어 종료 시점에 일시적으로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차고 제어 정밀도를 높이고 차고 제어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서 차고 높이 제어에 따라 에어 스프링을 제어함과 동시에 댐퍼의 감쇠력을 함께 제어함으로써 차량 진동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승차감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차고 제어 시간 중에서 일부분인 제어 시작 시점과 제어 종료 시점에 일시적으로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함으로써 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8)

  1.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에 있어서,
    감쇠력을 조정하여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오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댐퍼와,
    상기 차체와 휠 액슬 사이에서 압축 에어가 공급 또는 배기되어 차고 높이를 제어하는 에어 스프링과,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 상기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 회로와,
    차량내 설치된 차속 또는 차고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 회로에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ECU
    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차고 센서로부터 검출된 차고가 타겟 차고와 동일하면 상기 에어 회로의 제어를 정지하는 신호와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제공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제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4.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된 차속 신호가 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 검출된 차고가 타겟 차고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고의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현가시스템의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고가 상기 타겟 차고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 스프링에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고가 상기 타겟 차고와 동일할 경우 상기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정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을 경우 상기 에어 스프링에 상기 압축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차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정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하드하게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의 차고 제어 방법.
KR1020060023641A 2005-06-08 2006-03-14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 KR100926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885 2005-06-08
KR20050048885 2005-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623A true KR20060128623A (ko) 2006-12-14
KR100926235B1 KR100926235B1 (ko) 2009-11-09

Family

ID=3773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641A KR100926235B1 (ko) 2005-06-08 2006-03-14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63B1 (ko) * 2019-08-22 2020-1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2549893A (zh) * 2020-12-11 2021-03-26 浙江戈尔德智能悬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电控悬架减振系统
KR102313497B1 (ko) * 2021-04-27 2021-10-19 현대강전(주) 유체를 이용한 차량용 높이조절식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5416A (ja) * 1988-03-23 1988-11-1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653453B2 (ja) * 1988-06-16 1994-07-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63B1 (ko) * 2019-08-22 2020-1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2406447A (zh) * 2019-08-22 2021-02-2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调节车辆高度的装置和方法
US11554626B2 (en) 2019-08-22 2023-01-17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CN112406447B (zh) * 2019-08-22 2024-05-17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调节车辆高度的装置和方法
CN112549893A (zh) * 2020-12-11 2021-03-26 浙江戈尔德智能悬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电控悬架减振系统
CN112549893B (zh) * 2020-12-11 2022-01-25 浙江戈尔德智能悬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电控悬架减振系统
KR102313497B1 (ko) * 2021-04-27 2021-10-19 현대강전(주) 유체를 이용한 차량용 높이조절식 현가장치
WO2022231078A1 (ko) * 2021-04-27 2022-11-03 현대강전(주) 유체를 이용한 차량용 높이조절식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235B1 (ko) 200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88B1 (ko) 전자제어 서스펜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안티 스쿼트 제어방법
CN107651026B (zh) 用于控制或调节驾驶室安装座的方法和装置
US20070044881A1 (en) Dynamic tire-pressure control system
JPH10217732A (ja) セミ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17776A (ko) 차량의 앤티-롤 및 앤티-요 제어 방법
KR20060133025A (ko)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서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방법
KR100926235B1 (ko) 전자제어 에어 현가시스템 및 이의 차고 제어 방법
CN117048272A (zh) 具有动态重量平衡控制功能的悬架系统
KR100770308B1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의 모드 제어 방법
KR100556030B1 (ko) 반능동 현가장치의 댐퍼 감쇠력 선택 방법
JP2934371B2 (ja) 車体角度の制御装置
KR20030050010A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시스템
JP2906210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23034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自動車、及び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
KR101997323B1 (ko)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KR102238048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JPS5918671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JP2906213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949398B2 (ja) 電子制御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用制御装置
JPH0553646B2 (ko)
KR100229527B1 (ko) 차량의 자동 차고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9817A (ko) 차량 현가장치
KR19980010408U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틸팅 현가장치
KR20070076263A (ko) 전자제어 현가장치 제어 방법
JP2906212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