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850A -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 - Google Patents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850A
KR20060127850A KR1020067007413A KR20067007413A KR20060127850A KR 20060127850 A KR20060127850 A KR 20060127850A KR 1020067007413 A KR1020067007413 A KR 1020067007413A KR 20067007413 A KR20067007413 A KR 20067007413A KR 20060127850 A KR20060127850 A KR 2006012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tion
electronic
data
authority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932B1 (ko
Inventor
로게르 라가데크
레나토 칸티니
브루노 메스메르
Original Assignee
스위스콤 모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스콤 모빌 아게 filed Critical 스위스콤 모빌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12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2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taking of data from a data transmission channel without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aper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해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권한 인증 방법 및 이에 적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제1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해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 재생 속성이 수정된다. 제1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기준 데이터의 재생과 비교된다. 제1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이 제2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통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 일치하는 경우에 권한이 허락되며, 재생 속성의 수정은 반드시 시간적으로 동기된다. 권한 데이터의 재생 및 기준 데이터의 재생 동안의 재생 속성의 동적인 수정은 권한을 위조하기 위한 이미지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의 허가되지 않은 복제를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가 동시에 재생되므로 권한 센터(3)에 대한 질의가 불필요하게 된다.
권한 센터, 권한 데이터, 기준 데이터, 재생 속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Authoriz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s suited therefor}
본 발명은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가 재생되는 권한 인증 방법,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자 재생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상기 재생 기기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전자 재생 기기를 사용하면, 1회성 종이 티켓을 제작하고 배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재생 기기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획득하거나 여러 가지 시스템이나 빌딩에 액세스하기 위해 여러 번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자 재생 기기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권한 데이터가 원거리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재생 기기에 동적으로 로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독일 특허 출원 제100 34 275호는, 액세스 권한이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 해 이동 기기에 전송되어, 바코드 리더에 의해 판독(기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그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권한 인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54801호는, 액세스 권한이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기기에 전송되어 사용자-독립형 기능(user-independent function)에 의해 그래픽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됨으로써 인증자가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권한 인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54801호에서는, 그 인증자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권한 센터로 질의(query)를 전송함으로써 그래픽으로 표시된 권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관련 사용자 또는 관련 이동 기기와 연관된 권한 데이터가 권한 센터로부터 인증자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54801호는, 그래픽으로 표시된 권한 데이터의 허가되지 않은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로 판독 가능한 시각적 형상을 추가적으로 요구한다.
국제 공개 공보 제WO02/48926호는, 권한 인증이 제어 센터로부터 요구되는 사용자-특정 트랜잭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권한 인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트랜잭션 파라미터 또는 그것에 의존하는 상태 코드는 제어 센서로부터 인증자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국제 공개 공보 WO02/48926호에서는, 이 상태 코드는 그 사용자 소유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인증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이 상태 코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제어 센터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인증자의 단말기는 동일한 알고리즘에 따라 이 상태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양자 코드는 동기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지만, 동일한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 신규한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된 권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권한 센터에 질의를 하거나 허가되지 않은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로 판독 가능한 형태로 권한 데이터를 재생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신규한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구성요소의 수단에 의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권한 데이터는 제1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생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 재생 속성을 변경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구체적으로, 재생 속성은 인간의 감각 기관에 따라 채택될 수 있는 속성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색상, 방향, 화상부의 효과, 위치, 또는 폰트(font)와 같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객체(object)의 시각적 속성이나, 볼륨, 피치, 또는 톤 길이와 같은 음향적으로 재생가능한 객체의 음향적 속성이 그것이다. 제1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 결과는 제2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 결과와 비교된다. 제1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2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이 일치하면 권한이 인정된다. 그리고, 재생 속성의 변경은 필수적으로 시간적으로 동기화된다. 권한 데이터의 재생 결과와 기준 데이터의 재생 결과 간의 일치는 재생 속성에서 적어도 하나가 일치할 것을 요구한다. 제1 재생 기기에 의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 결과와 제2 재생 기기에 의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 결과는, 예컨대 인증자의 감각 기관에 의해 획득되고, 그 인증자는, 양자 재생 기기가 일치하는 재생 속성을 이용하고 그 일치하는 재생 속성에서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변경을 이용하여 일치하지 않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는지 여부, 또는 양자 재생 기기가 동기화된 변경을 이용하여 동시에 일치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권한을 인정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두 재생 기기가 그들의 디스플레이 상에 동일한 시각적 속성을 이용하여 일치하는 시각적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그들의 전기음향 변환기(electroacoustic transducer) 상에 동일한 음향적 속성을 이용하여 일치하는 음향적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경우에, 권한이 인정될 수 있다. 일례에 의하면,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기술된 형태(in written form)의 서비스 디스크립터(service descriptor)를 포함한다. 그 서비스 디스크립터가 동일한 폰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 재생 기기에서 재생될 때만 그 관련 서비스에 대한 권한이 인정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그 서비스가 기차 여행에 관한 것이면,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위해 시간 동기로 변하는 재생 속성 간의 일치가 전형적으로 충분하다. 예컨대, 승객이 소유한 제1 재생 기기 상의 서비스 디스크립터는 정확한 경로, 클래스, 및 날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인증자의 재생 기기 상의 서비스 디스크립터는 단지 기차 또는 경로 번호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에 의하면, 권한 데이터는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기준 데이터와 관련 시간에 재생되는 재생 속성과 일치하는 재생 속성을 이용하여 재생될 때에만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진이 기준 데이터로 디스플레이 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내에 디스플레이된다면, 그 사용자의 사진이 사용자 식별로서 인정될 수 있다. 마지막 예에서, 또한,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변하는 재생 속성 간의 일치, 즉 사용자 식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로도 충분하고, 다른 컨텐츠 일치는 요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예컨대, 시스템은 인증자의 재생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권한 데이터의 재생이 재생 속성의 동적 변경의 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권한을 사칭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림 데이터 또는 음향 컨텐츠를 허가없이 복제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가 두 재생 기기에 의해 동시에 재생되기 때문에 권한 센터에 질의를 보낼 필요가 없다. 만일 권한 데이터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되는 서비스, 시스템 또는 빌딩에 관한 것이면, 권한 데이터는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의 전자 재생 기기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기하여 재생될 수 있다. 이것은 인증자가 별도의 제2 전자 재생 기기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고 사용자들의 전자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서로 권한 데이터의 재생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에 의하면, 이것은 인증자가 승객들의 재생 기기들이 동기화된 변경을 이용하여 동시에 서로 일치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지 여부를 인증함으로써 기차 승객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양호하게, 권한 데이터는 제1 재생 기기의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고, 기준 데이터는 제2 재생 기기의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며, 상기 제1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1 동기 신호에 근거하고, 상기 제2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제2 동기 신호에 근거한다.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재생 기기에 기억하면 권한 데이터와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권한 센터에서 기억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재생 기기에 권한을 개별적으로 보낼 수 있다. 권한 데이터를 재생 기기에 기억하면 권한 및 입장 티켓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1회 이상 및/또는 더 장시간 동안 유효하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제1 재생 기기에서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재생 기기에서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재생 기기들의 독립성이 최대로 보장된다.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재생 기기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시그널링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된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제2 재생 기기로부터 제1 재생 기기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재생 기기에서 제1 동기 신호가 생성되거나, 또는 제1 재생 기기로부터 제2 재생 기기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재생 기기에서 제2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는 양호하게 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기기들의 결합이 더욱 밀접하게 된다. 두 번째로,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상기 재생 기기들 중 하나의 재생 기기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에 근거하기 때문에, 재생 기기들 사이의 동기화가 더욱 정교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동기화 센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재생 기기와 제2 재생 기기에서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가 각각 생성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결정 수단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동기 신호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기기 인터페이스도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권한 센터에서는 재생 기기들에 대한 재생 속성의 변화에 관계없이, 동기 신호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와 함께, 재생 속성 및/또는 상세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의 데이터 기억부에 이증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권한 센터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제1 재생 기기 및 제2 재생 기기로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가 각각 전송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는 권한 데이터를 "푸시 모드"에서 재생 기기들로 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권한 데이터를 허가없이 복사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게 된다.
양호하게,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기준 데이터의 재생의 재생 속성이 각각 변형된다. 환언하면,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의 재생 동안 규칙 데이터, 명령 데이터,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알고리즘 및/또는 속성 변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속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한 센터와는 관계없이 재생 속성의 동적 변경이 허용된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권한 센터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재생 기기 및 제2 재생 기기로 전송된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기준 데이터의 재생의 재생 속성이 각각 변형된다. 권한 센터로부터 상기 재생 기기들로의 재생 속성의 변경하는 상세를 동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재생 기기들에서의 변경을 예상할 수 있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권한 센터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재생 기기로 권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재생 제어 센터로부터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재생 기기로 전송되는 재생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에서의 재생 속성이 변경된다. 상기 재생 제어 센터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재생 기기로 기준 데이터가 전송되고, 재생 제어 센터로부터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재생 기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서의 재생 속성이 변경된다. 첫째로, 인증이 필요한 정보를 위해, 특히 권한 데이터를 위해, 둘째로 재생 제어 데이터를 위해, 개별적인 소스와 통신 경로를 사용함으로써, 인증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인증이 필요한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여러 오퍼레이터 및 서비스 제공자를 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정보를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특히 권한 인증을 위한 권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인증이 필요한 정보(권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인증이 필요한 정보를 통찰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인증이 필요한 정보(권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검증이 필요한 정보의 재생의 제어를 통찰할 필요도 없다.
하나의 변형예에서는, 제1 재생 기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형태이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권한 센터로부터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권한 데이터, 재생 속성에 관한 상세 및/또는 동기 신호들을 동적으로 수신하는데 특히 적절하다. 제1 재생 기기는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칩 카드의 형태도 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재생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권한 센터에 접속되는 재생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재생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재생 기기 중 하나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신호를 다른 재생 기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재생 기기에 대해 권한 데이터의 동기 전송을 위해 설정되는 권한 센터에 접속되는 재생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시간 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시간 축을 따라 재생 기기의 사 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기준 데이터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시간 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시간 축을 따라 재생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권한 데이터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화소를 가진 화상과, 화상 객체 식별자 및 일련의 화소 식별자를 갖는 데이터 레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권한 센터와 재생 제어 센터에 모두 접속되어 있는 재생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하의 첨부 도면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1~4 및 7에서, 참조부호 3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권한 센터이며, 이 권한 센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구비하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기기(1, 2)에 접속될 수 있다.
원격통신 네트워크(8)는 이동 무선망,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망,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격통신 네트워크(8)는 지상 회선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재생 기기(1, 2)는, 이동 통신 단말기, 예컨대 이동 무선 전화, PDA(Personal Data Assistant) 컴퓨터, 랩탑 컴퓨터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 기기(1, 2)는, 고정된 통신 단말 또는 칩 카드의 형태도 가능하며, 칩 카드는 통신 단말,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에 접속되어 권한 센터(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기기(1)는 권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13)를 구비하며, 재생 기기(2)는 기준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23)를 구비한다. 도 1~3에 점선 화살표(31)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권한 데이터는 권한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거쳐 재생 기기(1)로 전송되어, 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점선 화살표(3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데이터는 권한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거쳐 재생 기기(2)로 전송되어, 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된다.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는, 판매 시점이나 이동 데이터 기억 매체의 제조업자가, 데이터 기억부(13, 23)에 직접 프로그래밍해 넣음으로써,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이용하지 않고 기억될 수 있다.
도 4는, 점선의 화살표(35)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권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가, 권한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한 푸시 모드(push mode)로 동기하여, 재생 기기(1, 2)에 각각 전송된다.
도 7은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참조부호 3'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재생 제어 센터이며, 참조부호 3"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각각 구비하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기기(1, 2)에 접속될 수 있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동기 센터이다.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권한 데이터(검증되는 정보)와 기준 데이터, 및 선택적으로 동기 신호는 개별의 서비스 제공자 및 개별의 컴퓨터 기반의 유닛에 의해 각각 수행된다. 도 7에 점선의 화살 표(37)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권한 데이터는, 권한 센터(3)로부터, 인증 식별자와 함께,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거쳐 재생 기기(1)에 전송되어, 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된다. 이에 대하여, 재생 제어 센서(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거쳐 재생 기기(2)에 전송되어 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되는 기준 데이터는, 점선의 화살표(38)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재생 기기(1,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를 각각 구비하여,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각각 재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는 화상, 그래픽, 영상 및 텍스트 등의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a, 2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는 음성, 사운드 패턴, 노이즈 또는 음악과 같은 오디오 객체를 재생하기 위한 전기음향 변환기(11b, 21b)(확성기, 헤드폰)를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는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의 감각 기관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예는, 브라유 점자(braille)와 같이 사용자가 촉감으로 수집할 수 있는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진동 모듈 또는 액추에이터 모듈이 있다.
재생 기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되는 권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재생 모듈(12), 또는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푸시 모드에서 권한 센터(3)로부터 수신된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12)을 추가로 구비한다. 재생 기기(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여 푸시 모드에서 권한 센터(3)로부터 수신한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적절한 재생 모듈(22)을 구비한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이하 더 상세히 개시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 모듈(12, 22)에 의해 각각 재생된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디지털화된 화상, 영상, 텍스트, 숫자,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정보와 같은 데이터 객체를 포함한다. 또한,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는, 권한 센터(3)로부터, 예컨대, 권한 신호와 함께, 도 2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서의 재생 기기(1, 2)로 전송될 수 있다. 재생 속성은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의 재생을 각각 결정한다. 재생 속성은, 특히 컬러, 방향, 화상부 식별, 위치 또는 폰트와 같은 표시 가능한 객체의 시각적 속성, 또는 볼륨, 피치 또는 음장과 같은 청취 가능하게 재생 가능한 객체의 오디오 속성을 포함한다. 재생 속성의 변경과 관련된 세부요소는, 속성 변경 지시, 속성 변경 규칙 및/또는 속성 변경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는, 그 형태에 따라, 재생 속성의 값 및/또는 객체 식별자와 같은 속성 변경 파라미터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에서, 권한 데이터는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검증해야 하는 정보, 예컨대 서비스 디스크립터(service descriptor)와 같은 서비스의 판정과 관련된 세부요소, 또는 사용자의 지불 능력과 같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와 관련된 세부요소를 포함한다. 화살표(36)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권한 센터(3)는 상기 언급한 인 증 식별자와, 원하는 보안 레벨에 관한 세부요소가 기록된 데이터 레코드를, 예컨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제어 센터(3')에 전송한다. 재생 제어 센터(3')에서는, 디지털화된 화상, 영상, 텍스트, 숫자,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정보와 같은 기억된 데이터 객체와, 재생 속성의 교체와 같은 재생 속성의 변경과 관련된 세부요소가, 수신된 보안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결정된 데이터 객체, 재생 속성의 변경과 관련된 세부요소, 및 검증 식별자는, 점선 화살표(39)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제어 데이터로서 재생 기기(1)로 전송된다. 기준 데이터에 의하면, 결정된 데이터 객체와 재생 속성의 변경과 관련된 세부요소도, 점선 화살표(38)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거쳐 재생 기기(2)로 전송된다. 기준 데이터는, 예컨대 재생 제어 센터(3')의 오퍼레이터 및 재생 제어 센터(3')의 식별과 관련된 세부요소를 포함하는 기준 텍스트를 포함한다. 재생 기기(1, 2)는 검증 식별자에 기초하여 재생 제어 센터(3')에 의해 어드레싱된다. 재생 기기(1, 2)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는 인증 식별자 내에 유지되거나, 예컨대 등록 데이터베이스 내의 인증 식별자를 이용하여 요청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이용 또는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의 푸시 모드에서의 전송에 의해, 재생 모듈(12)에 의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의 동기화 및 재생 모듈(22)에 의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의 동기화가 달성된다. 동기 신호에 의한 동기화 동안,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재생 속성에서의 변경에 관련된 세부요소에 기초하여, 재생 모듈(12, 22)에 의해 재생된다. 동기 신호는, 그 형태에 따라, 속성 변 경 알고리즘의 구동을 자동으로 개시하거나, 이하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생 속성의 관련 값을 이용하여 속성 변경 지시 또는 속성 변경 규칙의 실행을 개시한다. 속성 변경 알고리즘의 실행이나, 복수 개의 속성 변경 지시 또는 속성 변경 규칙의 실행은,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의 재생을 동적으로 변경시킨다.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는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는 기준 데이터의 재생이 일치되고, 재생 속성에서의 변경이 필수적으로 시간 동기화된다면, 재생 기기(1)의 사용자에게는, 재생 기기(2)를 이용하는 인증자에 의해 권한이 허가된다.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는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는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재생 속성에서 적어도 한번은 일치하여야 한다.
동기 신호는 주기적 또는 불규칙할 수 있다. 동기 신호는, 예컨대 속성 데이터 또는 기준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재생 기기(1, 2) 각각은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근거(basis)로 사용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14, 24)을 각각 포함한다. 동기화 모듈(14, 24)은 예를 들어 클록 발생기 및/또는 수신한 시각에 관한 세부요소에 기초하여 현재 시각 또는 특정 시간 주기를 결정하는 시각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재생 기기(1, 2) 중 하나만이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14)을 포함한다. 또, 도 3에 도시된 재생 기기(1, 2)는 기 기 인터페이스(15, 25)를 각각 포함하지만, 예를 들어, 적외선 인터페이스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등의 관련된 다른 재생 기기(화살표 26)에 대해 생성된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권한 센터(3)는 동기 신호(화살표 33)를 생성하여 재생 기기(1, 2)로 전송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3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동기화 모듈(30)은 동기화 센터(3")에 배치되며, 동기 신호는 동기화 센터(3")로부터 화살표 33'과 일치하는 재생 기기(1, 2)로 전송된다.
예로서,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 세그먼트(S1 내지 S6)를 포함하는 각각 화상 객체(6)를 포함한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각각은 또한 재생 속성의 변경과 관련한 세부요소와 함께 도 6에 도시된 데이터 레코드(7)를 포함한다. 데이터 레코드(7)는 화상 객체(6)를 식별하기 위한 화상 객체 식별자(71)를 포함하고, 화상 세그먼트(S1 내지 S6)의 화상 세그먼트 식별자로 이루어지는 무작위로 생성된 시퀀스(randomly-generated sequence)(72)를 포함한다.
화상 세그먼트 식별자의 시퀀스는 또한 속성 변경 알고리즘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에 있어서, 화상 객체(6) 및 데이터 레코더(7)는 재생 제어 데이터의 형태로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재생 기기(1)로 전송된다.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화된, 재생 모듈(12, 22)은 화상 객체 식별자(71)에 기초하여 화상 객체(6)를 결정하고, 화상 세그먼트(S1 내지 S16)로부터 재생을 위한 시퀀스(72)의 제1 화상 세그먼트 식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선택한다. 화상 세그먼트는 재생 모듈(12, 22)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일부이거나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해 세부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적절한 속성 변경 알고리즘, 속성 변경 명령 또는 속성 변경 규칙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모듈(12, 22)에 의해 결정된다. 관련 속성 변경 알고리즘 또는 관련 속성 변경 규칙과 함께, 재생 모듈(12, 22)은 재생을 위한 다음 화상 세그먼트를 선택하는데, 이것은 다음 시그널링 신호일 때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세그먼트(72) 내의 다음 화상 세그먼트 식별자에 의해 결정된다. 화상 세그먼트 식별자는 또한 시퀀스(72)의 시간 세부요소와 관련이 있지만, 화상 세그먼트(S1 내지 S16) 중 어느 것을, 재생을 위해 재생 모듈(12, 22)에 의해 특정한 시각 또는 특정한 시간 후에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서비스 디스크립터, 예컨대 빌딩의 이름, 시스템의 이름 또는 서비스의 이름을 텍스트 데이터의 형태로 구비한다. 서비스 디스크립터는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관련 세부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재생 속성은,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간에 재생에 대한 서비스 디스크립터의 위치 및 폰트를 각각 결정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에 있어서, 기준 데이터는 서비스 디스크립터 또는 검증해야 하는 정보 대신에, 상기 언급한 기준 텍스트를 포함한다.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식별란, 즉 사용자 식별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판정에 관한 세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란은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관련 세부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재생 속성은,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간에 사용자 식별자의 재생에 대한 사용자 식별란의 위치를 각각 결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권한 인증에 대한 흐름을 설명한다. 권한 인증 동안, 재생 모듈(12, 22)은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도록 구동된다. 관련 시스템이나 빌딩에 대한 액세스 또는 관련 서비스를 위한 관련 권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의 선택은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예컨대, 멀티트립 티켓의 경우와 같이, 권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취소하는 옵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더 이상 하지 않는다. 도 5a는 재생 기기(2)의 디스플레이(21a) 상의 시간 T1, T2 및 T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컨텐츠를 나타낸다. 도 5b는 재생 기기(1)의 디스플레이(11a) 상의 동일한 시간 T1, T2 및 T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컨텐츠를 나타낸다.
도 5a에서, 참조부호 4는 재생 기기(2)의 디스플레이(21a) 상에서의 시간 T1에 표시되는 화상 컨텐츠를 나타낸다. 재생된 화상 컨텐츠(4)는,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푸시 모드에서 재생 기기(2)에 수신된 또는 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된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한다. 재생된 화상 컨텐츠(4)는, 먼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기기(2)에 수신된 또는 기준 데이터에 유지되는,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련된 세부요소에 의해 결정되고, 다음에 원격통신 네트워크(8) 또는 기기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재생 기기(2)에 수신된 또는 재생 기기(2)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화상 컨텐츠(4)는,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되는, 화상 객체, 예컨대 꽃을 구비한다. 이러한 꽃의 화상 객체 외에, 화상 컨텐츠(4)는 사용자 식별자의 재생을 위한 사용자 식별란(41)을 구비하며, 이러한 사용자 식별란의 기하학적 위치는 시간 T1에서 구동되는 적절한 재생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화상 컨텐츠(4)는, 시간 T1에서 구동되는 적절한 재생 속성에 의해 기하학적 위치와 폰트가 결정되는 서비스 디스크립터(42)를 포함한다.
도 5b에서, 참조부호 5는 재생 기기(1)의 디스플레이(11a) 상의 시간 T1에 표시되는 화상 컨텐츠를 나타낸다. 재생된 화상 컨텐츠(5)는, 푸시 모드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기기(1)에 수신된 또는 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된 권한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한다. 재생된 화상 컨텐츠(5)는, 먼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기기(1)에 수신된 또는 권한 데이터에 유지되는,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련된 세부요소에 의해 결정되고, 다음에 원격통신 네트워크(8) 또는 기기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재생 기기(1)에 수신된 또는 재생 기기(1)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에서, 인증 센터(3)로부터의 권한 데이터와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의 재생 제어 데이터는, 인증 식별자에 기초하여, 재생 기기(1)에서 서로 관련된다. 재생된 권한 데이터가 허가 가능한 권한인 것으로 판명되면, 화상 컨텐츠(5)는, 화상 컨텐츠(4)와 동일한 화상 객체, 즉 동일한 꽃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컨텐츠(5)는, 기하학적 위치가 사용자 식별란(41)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란(51)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화상 컨텐츠(5)는, 그 적용에 따라, 서비스 디스크립터(42)와 동일한 서비스 디스크립 터(52) 또는 컨텐츠가 일치하지 않는 서비스 디스크립터(52), 및 상기 언급한 기준 텍스트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 디스크립터(52)의 재생 속성, 즉 기하학적 위치와 폰트는, 서비스 디스크립터(42) 및 기준 텍스트의 재생 속성에 각각 대응할 필요가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란(51)은 사용자 식별자, 예컨대 사용자나 그의 이름의 화상을 나타낸다. 사용자 식별자는, 예컨대 재생 기기(1)에 영구적으로 기억되거나, SIM 카드(가입자 식별 모듈)에 기억된 가입자 식별자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러나, 권한을 허가하기 위해서는, 인증자가 그의 재생 기기(2)의 디스플레이(21a) 상의 기준 데이터의 재생을, 사용자에 속하는 재생 기기(1)의 디스플레이(11a) 상의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추가의 시간 T2 및 T3 동안,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추가의 시간 T2 및 T3은, 예컨대 개별적으로 나누어진 초 단위의 시간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재생 속성은 시간 T2에서의 화상 컨텐츠(4', 5') 및 시간 T3에서의 화상 컨텐츠(4", 5")에서 각각 변경된다. 화상 객체(6)의 서로 상이한 화상 세그먼트가 재생되며, 서비스 디스크립터(42), 서비스 디스크립터(52) 및 기준 텍스트의 위치 및 폰트가 각각 변경되고, 사용자 식별란(41, 51)의 위치가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변형 실시예로서, 인증자에 속하는 재생 기기(2)의 디스플레이(21a)에서의 기준 데이터의 재생과 사용자에 속하는 재생 기기(1)의 디스플레이(11a)에서의 권한 데이터가 약간의 시간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 예를 들어 재생된 화상 시퀀스가 정확하게 동기되지 않으면, 권한이 허가될 수 있다. 따라 서, 예컨대 화상 컨텐츠가 부분적으로만 변경된 경우에 유용하기 때문에, 불완전한 동기화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시퀀스 전이 동안 변경이 일어나지 않은 화상 컨텐츠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개시된 방법은, 서비스 사용자 및 인증자의 재생 기기(1, 2)가, 서비스의 위치, 예컨대 공공 운송 수단에서 또는 스포츠 이벤트, 극장 등에서의 액세스 인증 동안 비교될 수 있는 경우에, 정보의 범용적인 인증 또는 권한 인증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 및 인증자의 재생 기기(1, 2)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택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사용자는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인증자에 대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을 서술(describe)하고, 인증자가 이 서술을 기준 데이터의 재생과 비교하게 된다. 재생 기기(1, 2)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음성으로 재생되며, 전화선 등의 통신 링크를 통해, 기준 데이터의 음성 재생과의 비교를 위해 인증자에게 전송되는 권한 데이터가 특히 필요하다.

Claims (33)

  1.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재생된 권한 데이터를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여 재생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권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이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의 재생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이 일치할 때에 권한을 허락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과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 간의 일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 속성에 있어서의 일치를 나타내며, 상기 재생 속성에 있어서의 변경은 시간적으로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데이터 기억부(13)에 기 억되며,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데이터 기억부(23)에 기억되며,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은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1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동기 신호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서 생성되고,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1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동기 신호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한 권한 데이터의 재생은 제1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은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동기 신호 및 상기 제2 동기 신호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의 데이터 기억부(34)에 기억되며, 상기 기준 데이터는 컴퓨터 기반의 상기 권한 센터(3)로부터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각각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속성의 변경은 각각 상기 권한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 내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속성의 변경은 권한 센터(3)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각각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는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권한 센터(3)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 전송되고,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속성의 변경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로 전송되는 재생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상기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 전송되며,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속성의 변경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상기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가 나타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11a, 21a)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로서 사용되며, 상기 재생 속성은 컬러 세부요소, 방향 세부요소, 화상부의 결정에 관한 세부요소, 또는 위치 세부요소 등의 시각적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는 서비스 디스크립터(service descriptor)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속성은 폰트에 대한 세부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식별 데이터의 재생은 상기 재생 속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기음향 변환기(11b, 21b)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로서 사용되며, 상기 재생 속성은 볼륨, 피치 또는 톤 길이에 대한 세부요소 등의 오디오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방법.
  14. 권한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갖는 제1 전자 재생 기기(1);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갖는 제2 전자 재생 기기(2); 및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과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재생 속성을 변경하며, 또한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 동안 상기 재생 속성을 변경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이 동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상기 권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는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억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속성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재생 속성에 있어서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11)를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여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여 제2 동기 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11)를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하여 제2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 및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 및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는 각각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34)를 갖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한 센터(3)는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각각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에 상기 재생 속성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권한 데이터에 있어서의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 및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속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에 상기 재생 속성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권한 센터(3)로부터 수신되는 관련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2.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34)를 갖고,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상기 권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 및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재생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기반의 재생 제어 센터(3')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에 상기 재생 속성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재생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3. 제14항 내지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 21)는 각각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나타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11a, 21a)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속성은 색상 세부요소, 방향 세부요소, 화상부의 결정에 관한 세부요소, 위치 세부요소, 또는 폰트에 대한 세부요소 등의 시각적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기 권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전기음향 변환기(11b, 21b)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재생 속성은 볼륨, 피치 및 길이에 대한 세부요소 등의 오디오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6.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는 칩 카드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인증 시스템.
  27.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권한 인증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제1 전자 재생 기기(1)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 재생 속성을 변경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이 동적으로 변화하며, 상기 권한 데이터가 재생되고, 제2 전자 재생 기기(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한 기준 데이터의 재생과 시간적으로 동기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 상기 재생 속성이 변경되며, 상기 기준 데이터의 재생 동안에는 상기 재생 속성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데이터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의 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되고, 상기 재생 속성이 상기 재생 속성의 변경에 관한 세부요소에 기초하여 변경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동기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서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상기 제2 전자 재생 기기(2)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권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로부터 권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권한 센터(3)로부터 상기 권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8)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재생 제어 센터(3')로부터 재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가 상기 재생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권한 데이터의 재생 동안 재생 속성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재생 기기(1)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07413A 2003-10-17 2006-04-17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 KR101092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405752A EP1524629A1 (de) 2003-10-17 2003-10-17 Berechtigungskontrollverfahren sowi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en
EP03405752.1 2003-10-17
PCT/CH2004/000625 WO2005036472A1 (de) 2003-10-17 2004-10-15 Berechtigungskontrollverfahren sowi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850A true KR20060127850A (ko) 2006-12-13
KR101092932B1 KR101092932B1 (ko) 2011-12-12

Family

ID=3435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13A KR101092932B1 (ko) 2003-10-17 2006-04-17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7658328B2 (ko)
EP (3) EP1524629A1 (ko)
JP (1) JP4795960B2 (ko)
KR (1) KR101092932B1 (ko)
CN (1) CN100507952C (ko)
AT (2) ATE399352T1 (ko)
AU (1) AU2004280660B2 (ko)
CA (1) CA2542628C (ko)
DE (2) DE502004002711D1 (ko)
DK (2) DK1752927T3 (ko)
ES (2) ES2309891T3 (ko)
IL (1) IL174300A0 (ko)
PT (2) PT1673734E (ko)
WO (1) WO20050364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11B1 (ko) * 2007-02-21 2008-03-10 비둡 엘엘씨 그래픽 이미지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47374B1 (ko) 2007-06-20 2008-07-21 박승현 태양전지를 이용한 야외 공공장소용 인체감지형 음향송출장치
US8621578B1 (en) 2008-12-10 2013-12-31 Confid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ng website forms from automated access
US8812861B2 (en) 2006-05-24 2014-08-19 Confident Technologies, Inc.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ystem
US9189603B2 (en) 2006-05-24 2015-11-17 Confident Technologies, Inc. Kill switch security method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4629A1 (de) * 2003-10-17 2005-04-20 Swisscom Mobile AG Berechtigungskontrollverfahren sowi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en
US8732477B2 (en) * 2006-05-24 2014-05-20 Confident Technologies, Inc.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ystem
US8117458B2 (en) * 2006-05-24 2012-02-14 Vidoop Llc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US8243923B2 (en) * 2006-12-13 2012-08-14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redeactivation warning in a system having a conditional access authorization expiration in a mobile receiving device
KR20090120475A (ko) * 2007-02-05 2009-11-24 비둡 엘엘씨 스폰서드 대역외 패스워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098029A1 (en) * 2007-02-06 2008-08-14 Vidoop,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 computer system
US20100250937A1 (en) * 2007-03-05 2010-09-30 Vidoop, Ll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Caching Authentication Elements
WO2009039223A1 (en) * 2007-09-17 2009-03-26 Vidoop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image-based password accounts
US20090240578A1 (en) * 2008-03-18 2009-09-24 Christopher James Lee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security authentication and advertising
US9706508B2 (en) * 2013-04-05 2017-07-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avionics systems and methods
US9015062B2 (en) * 2013-06-20 2015-04-21 Aol Adverti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browser advertising ID synchronization
CN104574541B (zh) * 2014-12-26 2017-01-18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rsu和多天线时序同步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244B2 (ja) * 1990-12-04 2000-05-08 富士通株式会社 イメージ情報処理システムの同期装置
JPH0787082A (ja) * 1993-09-14 1995-03-31 N T T Data Tsushin Kk 情報再生方式
US6053405A (en) * 1995-06-07 2000-04-25 Panda Eng., Inc. Electronic verification machine for documents
CN101303717B (zh) * 1995-02-13 2015-04-29 英特特拉斯特技术公司 用于安全交易管理和电子权利保护的系统和方法
US5729594A (en) * 1996-06-07 1998-03-17 Klingman; Edwin E. On-line secured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through electronic media
JP3491505B2 (ja) * 1997-10-09 2004-01-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管理・提示方法及び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管理・提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6068183A (en) * 1998-04-17 2000-05-30 Viztec Inc. Chip card system
US6101483A (en) * 1998-05-29 2000-08-08 Symbol Technologies, Inc. Personal shopping system portable terminal
JP2001025024A (ja) * 1999-07-12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変換方法、及び装置
FI108490B (fi) * 2000-05-02 2002-01-31 Sonera Oyj Valtuutusinformaation võlittõminen
DE10034275A1 (de) 2000-07-14 2002-01-31 Chris Holland Betriebsverfahren eines Mobilfunk-Endgerätes, Mobilfunk-Endgerät sowi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teilung und Kontrolle einer Zugangsberechtigung
JP2002055181A (ja) * 2000-08-09 2002-02-20 Nissin Electric Co Ltd 時計同期回路
JP2002149889A (ja) * 2000-08-30 2002-05-24 Brother Ind Ltd チケット流通通信システム
NL1016853C2 (nl) * 2000-12-12 2002-06-13 Koninkl Kpn Nv Methode voor de afname van diensten en de controle daarop, gebruikmakend van een mobiele terminal.
JP3573203B2 (ja) * 2001-01-22 2004-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システム。
KR20010035419A (ko) * 2001-02-13 2001-05-07 이종호 집적회로 카드를 이용한 티켓 자가 발권 시스템
JP4530583B2 (ja) * 2001-06-22 2010-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クーポン管理装置、電子クーポン管理方法、電子クーポン管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および電子クーポン表示プログラム
US6724435B2 (en) * 2001-08-06 2004-04-20 Oplus Technologies Ltd. Method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hue or saturation of individual colors in a real time digital video image
JP2003187272A (ja) * 2001-12-20 2003-07-04 Mediaseek Inc 電子チケット、電子チケット販売システム及び電子チケット販売方法
EP1345180B1 (de) * 2002-03-11 2005-05-11 Swisscom Mobile AG System und Verfahren zum Zuweisen und Kontrollieren von Dienstleistungsberechtigungen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en
EP1524629A1 (de) * 2003-10-17 2005-04-20 Swisscom Mobile AG Berechtigungskontrollverfahren sowi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2861B2 (en) 2006-05-24 2014-08-19 Confident Technologies, Inc.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ystem
US8850519B2 (en) 2006-05-24 2014-09-30 Confid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US9189603B2 (en) 2006-05-24 2015-11-17 Confident Technologies, Inc. Kill switch security method and system
KR100812411B1 (ko) * 2007-02-21 2008-03-10 비둡 엘엘씨 그래픽 이미지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47374B1 (ko) 2007-06-20 2008-07-21 박승현 태양전지를 이용한 야외 공공장소용 인체감지형 음향송출장치
US8621578B1 (en) 2008-12-10 2013-12-31 Confid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ng website forms from automated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73734T3 (da) 2007-05-21
EP1524629A1 (de) 2005-04-20
US20100059588A1 (en) 2010-03-11
KR101092932B1 (ko) 2011-12-12
DE502004007458D1 (de) 2008-08-07
CN1867944A (zh) 2006-11-22
WO2005036472A1 (de) 2005-04-21
ES2309891T3 (es) 2008-12-16
AU2004280660A1 (en) 2005-04-21
JP2007508625A (ja) 2007-04-05
CA2542628A1 (en) 2005-04-21
PT1752927E (pt) 2008-09-09
EP1752927B1 (de) 2008-06-25
CN100507952C (zh) 2009-07-01
CA2542628C (en) 2012-04-10
DE502004002711D1 (de) 2007-03-08
EP1673734B1 (de) 2007-01-17
PT1673734E (pt) 2007-04-30
EP1752927A3 (de) 2007-02-28
EP1752927A2 (de) 2007-02-14
ATE399352T1 (de) 2008-07-15
US20070023506A1 (en) 2007-02-01
US7967200B2 (en) 2011-06-28
AU2004280660B2 (en) 2008-12-18
ES2281818T3 (es) 2007-10-01
EP1673734A1 (de) 2006-06-28
JP4795960B2 (ja) 2011-10-19
ATE352076T1 (de) 2007-02-15
IL174300A0 (en) 2006-08-01
US7658328B2 (en) 2010-02-09
DK1752927T3 (da) 200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932B1 (ko) 권한 인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기
JP438369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026424A1 (en) License issuing device/method and contents reproducing device/method
RU2000104519A (ru) Портатив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влечени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е работой
WO2004021285A1 (ja) 最適な再生モードでコンテンツを再生できる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8225415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nd server
KR102042159B1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281476B2 (ja) 電子チケット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電子チケット販売装置及び携帯電話機
CN110383327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2005128960A (ja) 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及び方法
JPH1023289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子看板システム
KR20200093855A (ko) 스마트 동화책 구연 시스템 및 이의 스마트 동화책 구연 서비스 제공방법
JPH08126079A (ja) 情報発信装置および情報収集装置
KR20100069364A (ko)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과 방법 및 컨텐츠 재생 시스템과 방법
JP2008003744A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JP2000321079A (ja) 航法支援装置
KR20040082848A (ko) 생체정보 인식 이동통신단말기 및 생체정보인식 인증방법
KR20230012696A (ko) 비콘 시스템
KR20020035382A (ko) 음성인증을 이용한 온라인 종합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7961A (ko) 신분증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069979A (ja) 同期再生コンテンツの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04557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記録媒体
JP200425209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端末及び配信装置
KR20000030682A (ko)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영화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및 그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