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364A -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364A
KR20060127364A KR1020050048376A KR20050048376A KR20060127364A KR 20060127364 A KR20060127364 A KR 20060127364A KR 1020050048376 A KR1020050048376 A KR 1020050048376A KR 20050048376 A KR20050048376 A KR 20050048376A KR 20060127364 A KR20060127364 A KR 20060127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ode
reception notification
location
switching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7364A/ko
Publication of KR2006012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부; 및 상기 GPS 모듈부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바일 기기의 위치 및 스케줄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사용자가 수신 알림 모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 알림 모드,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GPS

Description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e alarm mode changing}
도 1은 종래의 이동단말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소에 따라 자동으로 수신 알림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티폰, 휴대 위성 전화 및 무선 호출기와 같은 개인 휴대 모바일 기기가 보급되어 가면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교회, 음악회, 극장, 법원, 교육 장소 등과 같이 정숙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도 벨을 울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장소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여 수신 알림 모드를 진동모드 또는 무음 모드 등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단말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인 이동단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이동을 하여 장소가 변경되면(S101), 사용자는 현재 장소의 특성을 판단한다(S102).
그리고 극장과 같이 정숙을 필요로 하는 장소라는 판단이 되면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S103), 진동 모드나 무음 모드 등으로 모드를 변경한다(S104).
상기한 모드 변경을 통해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장소에 따라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정숙을 요하는 곳에서는 벨소리가 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장소마다 신경을 써서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시간을 체크하고 수신 알림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사용자가 역시 스케줄 시간과, 장소에 대해 확신이 있 는 경우에 미리 모바일 기기에 설정을 해 놓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진동모드나 무음 모드로 변경된 것을 미쳐 벨소리 모드 등으로 변경해 놓지 못한 상태에서 중요한 전화를 놓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이용한 위치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위치에서는 항상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하고, 해당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수신 알림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부; 및 상기 GPS 모듈부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를 설정 저장하는 단계; (b)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 기 판단된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시간에 따른 위치 및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b) 상기 저장된 시간 또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이동 위치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공지가 되어 알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이동 장소에 따라 자동으로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부(210)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저장부(220)와, 자동으로 수신 알림 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230)와, 상기 GPS 모듈부(210)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신 알림 모드로 모드 변환부(230)가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및 사용자 입력과 화면표시를 위한 키조작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
GPS 모듈부(210)는 가까운 기지국 또는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곳으로, 위치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정 저장부(220)는 키조작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의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는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정보가 저장되고, 모드 변환부(230)는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한다.
제어부(240)는 GPS 모듈부(210)로부터 제공받는 위치정보와,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된 해당 위치에서의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모드 변환부(230)로 수신 알림 모드를 변환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쉽게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저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키조작 및 디스플레이부(260)는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와 LCD 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정보 입력하고, 볼 수 있도록 하는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이다.
상기한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포함되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위치를 GPS 모듈부(210)가 확인하고, 확인한 위치정보를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제어부(240)는 GPS 모듈부(210)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저장부(220)에 해당 위치에 대한 수신 알림 모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 한 후, 현재 수신 알림 모드와 비교한다.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된 해당 위치에서의 수신 알림 모드가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와 다르다면, 제어부(24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드 변환부(230)가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을 위해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를 설정 저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하여(S301), 모바일 기기(200)의 수신 알림 모드를 현재 수신 알림 모드에서 변경을 하면(S302),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가 키조작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저장하겠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에서 항상 수신 알림 모드를 동일하게 할 것으로 판단되면, 키조작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저장을 선택하고, 현재 위치 범위를 지정하고(S304), 설정된 위치 및 범위,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이때, 위치는 GPS 모듈부(210)의 오차,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의 지점을 세팅하고, 그 지점으로부터의 일정 범위를 사용자가 고급메뉴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특별히 범위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범위를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를 저장하는 방법 이외에 사용자가 위치를 지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하고, 수신 알림 모드를 지정하는 방법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부(250)가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S401), 모바일 기기(200)에서 제공되는 지도 정보 또는 주소에 따른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원하는 위치를 선택한다(S402).
이때, 상기 지도정보 또는 주소에 따른 위치 정보 등은 모바일 기기(200)의 별도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위치를 선택하고, 해당 위치에서 동작할 수신 알림 모드를 선택한 후(S403), 고급 모드를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404).
고급 모드는 단계 S402에서 선택한 위치의 범위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로서,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지 않는 경우는 정해진 범위를 적용하여 (S407),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고급모드를 선택하면, 범위를 정하고(S405),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정보로 저장한다.
이밖에도, 상기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정보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러 기능과 연동하여, 스케줄에 따라 위치를 예상하여 수신 알림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에 따라, 미리 사용자에게 스케줄 내용을 알리고 수신 알림 모드 설정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잊지 않고 수신 알림 모드를 장소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되는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하면(S501), GPS 모듈부(210)는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현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정보가 저장되어있는지 여부를 설정 저장부(220)를 검색하여 모드 변경 장소로 지정되어있는지를 확인하고(S502), 현재 위치에 대해 수신 알림 모드 설정이 되어 있다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수신 알림 모드와,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신 알림 모드 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현재 수신 알림 모드가 설정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알림 모드와 같지 않다면, 모드를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부(2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저장된 위치별 수신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S503).
상기의 변경된 수신 알림 모드는, 사용자가 이동하여 해당 위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래의 수신 알림 모드로 다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치에 따른 자동 수신 전환이 아닌, 해당 위치에 가까워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사용자가 직접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200)의 스케줄과 연동하여 지정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고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취사선택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 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위치 확인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위치에서는 지정된 수신 알림 모드가 전환되어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장소에 맞게 적절히 수신 알림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부; 및
    상기 GPS 모듈부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수신 알림 모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3.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를 설정 저장하는 단계;
    (b)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 변경을 선택하는 단계; 및
    위치에 따른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
  6. 모바일 기기의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시간에 따른 위치 및 수신 알림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b) 상기 저장된 시간 또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 수신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시간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시간 또는 임계 위치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단 계; 및
    상기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요구 신호에 따라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 알림 모드가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
KR1020050048376A 2005-06-07 2005-06-07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60127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376A KR20060127364A (ko) 2005-06-07 2005-06-07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376A KR20060127364A (ko) 2005-06-07 2005-06-07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364A true KR20060127364A (ko) 2006-12-12

Family

ID=377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376A KR20060127364A (ko) 2005-06-07 2005-06-07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73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55B1 (ko) * 2011-06-10 2013-01-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신 알림 자동변환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알림 자동 변환 방법
KR101508777B1 (ko) * 2008-08-12 2015-04-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77B1 (ko) * 2008-08-12 2015-04-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223255B1 (ko) * 2011-06-10 2013-01-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신 알림 자동변환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알림 자동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1673B2 (ja) 移動端末グループの追跡
EP2324397B1 (en)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commute time func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1401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2136A (ko) 위치에 따라 설정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10112074A (ko) 자기 검출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기능을 변화하는 이동전화, 전화 시스템, 이동 전화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동전화에 전화를 거는 방법
JP2007135009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限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限方法
KR20060127364A (ko)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JP4418735B2 (ja) 設定内容制御方法及び設定内容制御システム
JP2003204384A (ja) 携帯通信端末
JP2002330470A (ja) 携帯端末およびこれを用いた動作モード切替システム
KR1014558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JP2005175901A (ja) 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管理サーバ
KR20050028991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시간 표시 방법 및 알람설정 방법
JP2002152828A (ja) 携帯電話装置
KR10042068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동응답 모드로의 자동 전환방법
KR20000039127A (ko)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JP4984979B2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102543A (ko) 환경 인식에 따른 휴대폰 모드 자동 설정 방법
JP2002281548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マナー支援方法
JP2003111141A (ja) 携帯通信端末
JP200621728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1010756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모드 전환 방법
KR100474183B1 (ko)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27967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2165267A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とその移動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