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287A - 광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287A
KR20060127287A KR1020050048257A KR20050048257A KR20060127287A KR 20060127287 A KR20060127287 A KR 20060127287A KR 1020050048257 A KR1020050048257 A KR 1020050048257A KR 20050048257 A KR20050048257 A KR 20050048257A KR 20060127287 A KR20060127287 A KR 2006012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bjective lens
wavelength
lens
optic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859B1 (ko
Inventor
유장훈
장학현
박수한
정수진
허태연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59B1/ko
Priority to CN2006100747119A priority patent/CN100407308C/zh
Priority to US11/430,847 priority patent/US7606135B2/en
Priority to EP06114950A priority patent/EP1732073A3/en
Publication of KR2006012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안정적인 정보 신호의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광 기록/재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는, 각각이 기록밀도가 서로 다른 광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며,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두 개의 광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성분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광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 중 파장 및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는 홀로그램소자;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광 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광 픽업, 호환, CD, DVD, HD-DVD, 대물렌즈, 홀로그램소자, 회절, 굴절

Description

광 기록/재생장치{OPTICAL RECORDING AND REA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λ/4 파장판과 홀로그램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홀로그램소자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10c; 제1, 2, 3광원 20a, 20b, 20c;제1, 2, 3광로변환기
30; 콜리메이팅 렌즈 40;반사거울
50; 홀로그램소자 51; 회절격자
60; λ/4 파장판 70; 대물렌즈
80; 렌즈하우징 90;광검출기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밀도 및 두께가 서로 다른 사양의 광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 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물렌즈에 의해 집속된 광을 이용하여 광 기록매체인 광디스크에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용량은 광스폿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광스폿(S)의 크기는 사용하는 광의 파장(λ)과 대물렌즈의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에 의해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S ∝ λ/NA
따라서, 광디스크의 고밀도화를 위해 광디스크에 맺히는 광스폿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파장 광원과 개구수 0.6 이상의 대물렌즈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디지털 다기능디스크(이하, DVD:Digital Versatile Disk)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장 650nm(또는 635nm)인 광 및 개구수 0.6(기록가능형인 경우 0.65)인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된다. 이 DVD는 직경 120mm, 트랙피치 0.74㎛로 하면, 단면에 대해 4.7GB 이상의 기록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DVD는 고선명(HD:High Definition)급의 동영상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로는 불충분하다. 이는 135분 분량의 동영상정보를 고선명급으로 기록하려면, 단면에 대해 예컨대, 23GB 이상의 기록용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밀도 기록용량 요구에 부응하도록, 적색보다 짧은 파장(405 내지 408nm)의 광 즉, 청색광 및 0.6보다 큰 개구수의 대물렌즈를 사용하며, 보다 협 트랙을 갖는 고밀도 광디스크 즉, 차세대 DVD(이하, HD-DVD(High Definition-DVD))에 대한 개발 및 규격의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한편, 광디스크의 틸트에 의한 공차를 확보하려면, 고밀도화를 위해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높임에 따라 광디스크의 두께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의 틸트에 의한 허용 공차를 고려할 때, CD의 경우 1.2mm에서 DVD의 경우 0.6mm로 두께를 줄였으며, HD-DVD는 0.6mm 두께로 될 가능성이 높다. 대물렌즈의 개구수는, CD의 경우 0.45에서 DVD 및 HD-DVD의 경우 0.65으로 높아진다. 그리고, HD-DVD의 경우에는, 광원으로서 기록용량을 고려할 때, 청색 광원이 채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새로운 규격의 광디스크를 개발함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기존 광디스크와의 호환성이다.
도 1은 하나의 대물렌즈로 CD, DVD 및 HD-DVD에 호환이 가능한 종래의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 기록/재생장치는, 기록밀도 및 디스크의 두께가 다른 광 기록매체 각각에 사용되는 제1 내지 제3광원(1a)(1b)(1c)과, 상기 각 광원(1a)(1b)(1c)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광로변환기(2a)(2b)(2c)와, 상기 각 광로변환기(2a)(2b)(2c)를 통과한 광을 시준하는 콜리메이팅 렌즈(3)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를 통과한 광을 광 기록매체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거울(4)과, 입사되는 광의 편광성분을 바꾸는 λ/4 파장판(5)과, 상기 λ/4 파장판(5)을 통과한 광을 광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6) 및 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으로부터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광검출기(7a)(7b)를 포함한다. 상기 제1광원(1a)은 CD(D1)용이고, 상기 제2광원(1b)은 DVD(D2)용이며, 상기 제3광원(1c)은 HD-DVD(D3)용이다. 미설명된 부호 8은 광을 회절 및 굴절 시키는 홀로그램소자이며, 미설명된 부호 9는 광검출기(7b)에 수광되는 광의 스폿을 확대하기 위한 센서렌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제2 및 제3광원(1b)(1c)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동일한 개구수가 요구되는 DVD(D2) 및 HD-DVD(D3)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광을 출사한다. 그러나, 제1광원(1a)은 상기 DVD(D2) 및 HD-DVD(D3)와 두께 및 요구되는 개구수가 다른 CD(D1)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광을 출사해야 한다. 따라서, 대물렌즈(6)가 가지는 개구수와는 다른 개구수의 렌즈 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원(1a)을 상기 제2 및 제3광원(1b)(1c)보다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에 보다 가깝게 배치하여 제1광원(1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대물렌즈(6)에 비평행하게 입사되는 유한 광학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유한 광학계로 구성됨에 따라 대물렌즈(6)의 코마수차등의 수차가 증가하게 되고, 서보 제어에 의한 대물렌즈(6)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대물렌즈(6)의 수차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차의 증가는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광원(1b)(1c)과 광 기록매체(D1,D2,D3) 사이의 거리와 제1광원(1a)과 광 기록매체(D1,D2,D3)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으로써, 2개의 광검출기(7a)(7b)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안정적인 정보신호의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호환형 광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는, 각각이 기록밀도가 서로 다른 광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며,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두 개의 광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성분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광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 중 파장 및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는 홀로그램소자;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광 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홀로그램소자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굴절시킨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파장을 가지는 P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 상기 제1파장보다 작은 제2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제2파장보다 작은 제3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3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소자는 상기 제1파장 및 P편광된 광을 회절시킨다.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홀로그램소자 사이에는 P편광된 광에는 작동하지 않는 λ/4 파장판이 배치되며, 상기 홀로그램소자의 상기 λ/4 파장판과 마주하는 면에는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기 위한 회절격자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광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각각의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1및 제2광로변환기; 및 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기 위한 제3광로변환기; 상기 홀로그램소자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의 사이에 마련되는 반사거울; 및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λ/4 파장판 및 상기 홀로그램소자가 설치되는 렌즈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의 서보 제어는 상기 렌즈하우징의 이동을 제어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는, 복수의 광원(10a)(10b)(10c), 복수의 광로변환기(20a)(20b)(20c), 콜리메이팅 렌즈(30), 반사거울(40), 홀로그램소자(50), λ/4 파장판(60), 대물렌즈(70), 렌즈하우징(80) 및 광검출기(9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10a) (10b)(10c)은, CD(D1)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CD용 제1광원(10a)과, DVD(D2)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DVD용 제2광원(10a) 및 HD-DVD(D3)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HD-DVD용 제3광원(10a)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원(10a)은 레이저 다이오드등을 구비하여 제1파장 즉,대략 785nm의 파장을 가지는 P편광된 광을 출사한다. 상기 제2광원(10a)은 제2파장 즉, 대략 655nm의 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한다. 상기 제3광원(10a)은 제3파장 즉, 대략 405nm의 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광원(10a)(10b)(10c) 각각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30)까지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광로변환기(20a)(20b)(20c)는, 상기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콜리메이팅 렌즈(30)로 반사하기 위한 제1광로변환기(20a)와, 상기 제2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콜리메이팅 렌즈(30)로 반사하기 위한 제2광로변환기(20b)와, 광 기록매체(D1)(D2)(D3)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검출기(90)로 반사하기 위한 제3광로변환기(20c)를 포함한다.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0)는 각 광원(10a)(10b)(1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한다.
상기 반사거울(40)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0)를 통과한 광을 대물렌즈(70)로 반사하고, 광 기록매체(D1)(D2)(D3)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0)로 반사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는,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회절시켜 굴절시키기 위한 소자로서, 상기 λ/4 파장판(60)과 상기 반사거울(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의 상기 λ/4 파장판(60)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회절시키기 위한 회절격자(51)가 마련된다. 상기 회절격자(51)는 상기 홀로그램소자(50)의 중심부에 형성된 돔형 돌출부(52)와, 상기 돔형 돌출부(52)를 중심으로 환형의 형상 으로 형성된 2개의 환형 돌출부(53)(54)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돌출부(53)(54)는 회절 및 굴절되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단면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홀로그램소자(50)는 파장 및 편광성분에 의존한다. 즉, 선택된 영역대의 파장을 가지는 광과, 선택된 편광성분을 가지는 광의 경우에만 회절 효율이 높고, 그 외에 선택되지 않은 파장 및 편광성분을 가지는 광은 그 회절 효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외관적으로 상기 홀로그램소자(50)는 선택된 영역의 파장 및 선택된 평광성분에만 작용하는 것처럼 인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로그램소자(50)는 제1파장 및 P편광된 광에만 작동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는 CD용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되는 약 785nm 영역의 파장을 가지며 P편광된 광만 회절시켜 굴절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출사된 각각 제2 및 제3파장을 가지며 S편광된 광은 상기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회절되지 않는다. 그리고, 광 기록매체(D2)(D3)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λ/4 파장판(60)을 통과한 제2파장 및 제3파장을 가지는 P편광된 광은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회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절격자(51)가 돔형 돌출부(52)와 2개의 환형 돌출부(53)(54)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광학계의 구조등의 설계변경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처럼,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대물렌즈(70)에 입사되기 전에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소정각도 굴절됨으로써, CD의 두께 및 CD에 요구되는 개구수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광원(10a)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30)까지의 거리와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30)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여 CD의 두께와 CD에 요구되는 개구수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λ/4 파장판(60)은, 상기 대물렌즈(70)와 상기 홀로그램소자(50) 사이에 배치되며,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λ/4 파장판(60)은 제1파장을 가지는 광에 작동되지 않으나, 제2 및 제3파장을 가지는 광에는 작동된다. 즉,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λ/4 파장판(60)에 의해 원형편광으로 변화되지 않고, P편광 형태로 광 기록매체에 조사된다. 그러나,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출사된 S편광된 광은 상기 λ/4 파장판(60)으로 입사되면서 우 원편광으로 변환되고, 우 원편광된 광은 광 기록매체(D2)(D3)로부터 반사되어 좌 원편광된 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광 기록매체(D2)(D3)로부터 반사된 상기 좌 원편광된 광은 상기 λ/4 파장판(60)을 통과하면서 P편광된 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렌즈하우징(80)은 상기 대물렌즈(70), λ/4 파장판(60) 및 홀로그램소자(50)가 지지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대물렌즈(70)의 서보 제어시 상기 렌즈하우징(8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대물렌즈(70)와, λ/4 파장판(60) 및 홀로그램소자(50)는 상기 렌즈하우징(80)에 의해 하나의 유닛으로 묶여서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광검출기(90)는, 광 기록매체(D1)(D2)(D3)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광하여 정보신호와 오차신호등을 검출해낼 수 있는 PDIC(Photo Diode Integrated Circuit)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오차신호는 대물렌즈(70)의 포커싱 제어, 틸팅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광원(10a)(10b)(10c) 각각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30)까지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광원(10a)(10b)(10c)으로부터 광 기록매체(D1)(D2)(D3)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각 광원(10a)(10b)(1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하나의 광검출기(90)에 의해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된 부호 91은 센서렌즈를 나타내며, 상기 센서렌즈(91)는, 광검출기(90)로 수광되는 광의 스폿을 확대하거나 차동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포커싱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제3광로변환기(20c)로부터 반사된 광에 비점수차를 발생시킨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광원(10a)(10b)(10c) 중 어느 하나의 광원은 소정 파장을 가지며, 적어도 두개는 상호 직교하는 선편광된 광을 출사한다.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P편광된 광은 제1광로변환기(20a)에 의해, 제2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S편광된 각각의 광은 제2 광로변환기(20b)에 의해 콜리메이팅 렌즈(30)에 입사되도록 광로가 변환된다. 그리고, 제3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1 내지 제3광로변환기(20a)(20b)(20c)를 거쳐 콜리메이팅 렌즈(30)로 입사된다. 콜리메이팅 렌즈(30)로 입사된 광은, 콜리메이팅 렌즈(30)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경되어 반사거울(40)에 의해 홀로그램소자(50)에 입사되도록 안내된다.
홀로그램소자(50)에 입사된 광은 그 파장 및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 절된다.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제1파장을 가지며 P편광된 광은,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회절되어 발산하게 된다. 이 때,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내의 광만, 유효광으로 광 기록매체(D1)에 스폿을 형성하게 되며, 광검출기(90)에 의해 검출된다. 즉,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 도 4의 점선 영역의 외부로 입사된 광은 광 기록매체(D1)에 스폿을 형성하지 못하고, 또한 광검출기(90)에도 스폿을 형성하지 못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유효광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출사된 제2파장 및 제3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은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회절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에 의해 회절되어 굴절된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λ/4 파장판(60)에 입사되나 편광성분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어 대물렌즈(70)로 입사된다. 대물렌즈(70)로 입사된 제1파장을 가지는 광은 비평행광으로 입사되어 CD(D1)에 요구되는 개구수에 따라 광 기록매체(D1)에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에 작동되지 않은 채 그대로 통과된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출사된 S편광된 광은, 상기 λ/4 파장판(60)에 의해 우 원편광으로 변화되며, 광 기록매체(D1)(D2)(D3)로부터 반사되어 좌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좌 원편광으로 변환된 광은 다시 λ/4 파장판(60)을 통과하면서 P편광으로 변환된다.
광 기록매체(D1)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λ/4 파장판(60)을 통과한 상기 제1광원(10a)으로부터 출사되어 광은 상기 홀로그램소자(50)의 작용에 의해 회절되기 전 상태의 광으로 출사된다. 그러나, 광 기록매체(D1)로부터 반사된 제2 및 제3광원(10b)(1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홀로그램소자(50)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통과한다.
상기 홀로그램소자(50)를 통과한 광은 반사거울(40) 및 콜리메이팅 렌즈(30)를 거쳐 제1광로변환기(20a)에 입사된다. 상기 제1광로변환기(20a)에 입사된 광은 그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광로변환기(20a)를 통과하여 제2광로변환기(20b)로 입사한다. 제2광로변환기(20b)로 입사된 광도 그 일부는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2광로변환기(20b)를 통과하여 제3광로변환기(20c)로 입사된다. 제3광로변환기(20c)로 입사된 광도 그 일부는 광검출기(90)로 반사되고 일부는 제3광로변환기(20c)를 통과하여 비유효광이 된다. 광검출기(90)로 입사된 광은, 광검출기(90)에 의해 광의 세기등이 검출되며, 이 처럼 검출된 신호로부터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오차신호에 따라 대물렌즈(70)를 서보 제어하기 위해, 렌즈하우징(8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에 따르면, 각 광원으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광학계가 배열됨으로써, 기존의 유한 광학계에 의해 발생된 대물렌즈의 수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물렌즈의 수차를 줄임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광원으로부터 대물렌즈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여 광 기록매체로 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한 광검출기를 하나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각각이 기록밀도가 서로 다른 광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며,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두 개의 광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성분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광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각각의 광을 평행광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 중 파장 및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는 홀로그램소자;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광 기록매체에 집속된 뒤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소자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파장을 가지는 P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
    상기 제1파장보다 작은 제2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제2파장보다 작은 제3파장을 가지는 S편광된 광을 출사하는 제3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소자는 상기 제1파장 및 P편광된 광을 회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홀로그램소자 사이에는 P편광된 광에는 작동하지 않는 λ/4 파장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소자의 상기 λ/4 파장판과 마주하는 면에는 회절격자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각각의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1및 제2광로변환기; 및
    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안내하기 위한 제3광로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소자와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의 사이에 마련되는 반사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λ/4 파장판 및 상기 홀로그램소자가 설치되는 렌즈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의 서보 제어는 상기 렌즈하우징의 이동을 제어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KR1020050048257A 2005-06-07 2005-06-07 광 기록/재생장치 KR10073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257A KR100737859B1 (ko) 2005-06-07 2005-06-07 광 기록/재생장치
CN2006100747119A CN100407308C (zh) 2005-06-07 2006-04-11 光学记录/再现装置
US11/430,847 US7606135B2 (en) 2005-06-07 2006-05-10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onto/from various types of optical recording media of different recording densities and different thicknesses
EP06114950A EP1732073A3 (en) 2005-06-07 2006-06-02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257A KR100737859B1 (ko) 2005-06-07 2005-06-07 광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287A true KR20060127287A (ko) 2006-12-12
KR100737859B1 KR100737859B1 (ko) 2007-07-12

Family

ID=3699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257A KR100737859B1 (ko) 2005-06-07 2005-06-07 광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6135B2 (ko)
EP (1) EP1732073A3 (ko)
KR (1) KR100737859B1 (ko)
CN (1) CN1004073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4070A (ja) * 2006-07-31 2008-02-14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130129A (ja) * 2006-11-17 2008-06-05 Funai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888599B1 (ko) 2007-03-08 2009-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디스크 재생 장치
US8085645B2 (en) * 2009-03-13 2011-12-27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apparatus
KR102042992B1 (ko) * 2017-11-24 2019-11-11 주식회사 리텍 레이저 광학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5247B2 (ja) 1995-09-06 2004-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CN1104002C (zh) * 1996-07-30 2003-03-26 三星电子株式会社 光学头
EP0932145A4 (en) 1996-09-27 1999-11-03 Sanyo Electric Co OPTICAL SCANNER AND WAVELENGTH SELECTIVE GRID
KR100209918B1 (ko) * 1997-03-28 1999-07-15 윤종용 홀로그램형링렌즈를 사용하여 cd-r과 호환하는 dvd용 광픽업
US6195315B1 (en) * 1997-07-11 2001-02-27 Ricoh Company, Ltd. Optical disk apparatus compatible with different types of mediums
JP2005004964A (ja) * 1999-01-19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多波長半導体レーザユニット及び光情報記録再生方法
US6819646B1 (en) * 1999-01-19 2004-1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pickup,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hase variable wave plate used in the pickup and the apparatus
JP2000353337A (ja) * 1999-04-07 2000-12-19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015448A (ja) 2000-06-29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光源装置、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情報処理装置
JP4131366B2 (ja) * 2000-10-30 2008-08-1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834810B2 (ja) * 2001-09-19 2006-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
KR100828246B1 (ko) * 2001-09-20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로그램 소자 및 그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CN100474417C (zh) * 2001-11-15 2009-04-01 三星电子株式会社 可兼容的光拾取器
KR20030064062A (ko)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광픽업 장치
JP2003294926A (ja) 2002-03-26 2003-10-15 Samsung Electro Mech Co Ltd 波長結合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3296959A (ja) 2002-03-26 2003-10-17 Samsung Electro Mech Co Ltd 波長選択性開口制限素子と波長選択性ビームスプリ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341332B2 (ja) * 2002-07-31 2009-10-07 旭硝子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
JP2004171644A (ja) * 2002-11-19 2004-06-17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
KR100499007B1 (ko) * 2002-12-30 2005-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홀로그램 광학소자를 이용한 광 픽업장치 및 홀로그램패턴형성방법
US7443778B2 (en) * 2003-02-27 2008-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device using the same, computer, optical disk player, car navigation system, optical disk recorder, and optical disk server
US7193954B2 (en) * 2003-03-31 2007-03-20 Konica Minolta Holding, Inc. Optical pickup device and objective lens for the optical pickup device
CN100565676C (zh) * 2003-04-15 2009-12-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衍射元件及相应的装置、设备、系统和光栅设计方法
JP2004326858A (ja) * 2003-04-22 2004-11-18 Konica Minolta Opto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用光学系
WO2005064607A1 (ja) * 2003-12-25 2005-07-14 Konica Minolta Opto, Inc.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859B1 (ko) 2007-07-12
CN100407308C (zh) 2008-07-30
EP1732073A2 (en) 2006-12-13
US20060274631A1 (en) 2006-12-07
US7606135B2 (en) 2009-10-20
EP1732073A3 (en) 2009-02-25
CN1877714A (zh)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8937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WO2000055849A1 (en) Convergent device, optical hea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737859B1 (ko) 광 기록/재생장치
US5784354A (en) Optical pickup device
US7505390B2 (en) Compatible optical pickup
EP1760705B1 (en) Compatible optical pickup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898404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683888B1 (ko) 광픽업 장치
US7881168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multi recording/reproducing
US9147426B2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289719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100281880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20060085721A (ko) 호환형 광픽업
KR100682689B1 (ko)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픽업
KR100215455B1 (ko) 포커스에러를 검출하는 dvd/cd겸용 광픽업시스템
KR10023828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678409B1 (ko) 광학식 기록 또는 재생 장치
KR100656158B1 (ko) 광픽업장치
JP4012926B2 (ja) 対物レンズ
JP4474454B2 (ja) 対物レンズ
JP4178175B2 (ja) 対物レンズ
KR19990056370A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20000056434A (ko) 빔 스플리터의 구조를 변형한 광 디스크 광학계
KR20080111741A (ko) 광분리기 및 이를 사용한 광픽업장치
KR20070116482A (ko)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