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054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054A
KR20060127054A KR1020067014354A KR20067014354A KR20060127054A KR 20060127054 A KR20060127054 A KR 20060127054A KR 1020067014354 A KR1020067014354 A KR 1020067014354A KR 20067014354 A KR20067014354 A KR 20067014354A KR 20060127054 A KR20060127054 A KR 2006012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istribution pipe
rinsing
water distribution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713B1 (ko
Inventor
요시마사 타메이시
토미오 스야마
코우지 스야마
마스미 노츠
케이치 토가
타다하루 호소기
Original Assignee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7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irculation arrangements, e.g. with separated washing liquid and rinsing liquid recirculation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1)에서는 세척 노즐(12, 14)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21)은 세척실(3)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세척 펌프(19)의 토출측과 연이어 통하는 제 1 접속관(3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헹굼 노즐(13, 15)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27)은 세척실(3)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헹굼 펌프(24)의 토출측과 연이어 통하는 제 2 접속관(3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이들 각각의 연결은 세척실(3) 저부의 세척수 탱크(17)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을 세척실(3)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은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세척 노즐, 세척실, 행굼 펌프, 행굼 노즐,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접시나 그릇 등 식기류의 세척 및 헹굼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노즐을 세척실 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고, 또한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 노즐을 세척실 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272665호 공보).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척실 하측에 기계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기계실 내에는 세척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 펌프나, 헹굼 노즐에 헹굼수를 공급하기 위한 헹굼 펌프 등이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이나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이 세척실의 벽부를 관통하여 기계실 내로 연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272665호 공보의 도 4 참조),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탈착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세척 펌프와 세척 노즐을 연결하는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 펌프와 헹굼 노즐을 연결하는 헹굼수 유통관이 따로따로 배관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세척실 내에서의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그 결과 세척실 내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각 유통관의 유지 관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 1 발명은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 발명은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 내부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식기 세척기 주요부의 확대도.
도 4는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의 사시도.
도 5는 세척 펌프의 제 1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세척 펌프의 제 2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이중 구조의 유통관의 사시도.
도 8은 이중 구조의 유통관에 적합한 세척 펌프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세척 펌프의 측면도.
도 10은 제 2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식기 세척기 내부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식기 세척기 주요부의 확대도.
도 13은 세척 펌프의 사시도.
도 14는 이중 구조의 유통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3 : 세척실
12 : 상측 세척 노즐(세척 노즐) 13 : 상측 헹굼 노즐(헹굼 노즐)
14 : 하측 세척 노즐(세척 노즐) 15 : 하측 헹굼 노즐(헹굼 노즐)
17 : 세척수 탱크 19 : 세척수 공급 펌프
21 : 세척수 유통관 24 : 헹굼수 공급 펌프
28 : 인펠라 29 : 케이싱
31 : 제 1 접속관 33 : 제 2 접속관
101 : 식기 세척기 103 : 세척실
112 : 상측 세척 노즐(세척 노즐) 113 : 상측 헹굼 노즐(헹굼 노즐)
114 : 하측 세척 노즐(세척 노즐) 115 : 하측 헹굼 노즐(헹굼 노즐)
119 : 세척수 공급 펌프 124 : 헹굼수 공급 펌프
132 : 세척수 토출구 133 : 케이싱
136 : 헹굼수 토출구 160 : 세척수 유통관
161 :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 162 :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
170 : 헹굼수 유통관 171 :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
172 :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제 1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류가 수용된 세척실 내에 세척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시켜 식기류의 세척을 수행하고, 세척실 내에 헹굼 노즐로부터 헹굼수를 분사시켜 식기류의 헹굼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척실 내에 배치되고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세척실 내에 배치되고 세척수 유통관에 일체적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구비하며, 세척수 유통관은 세척실 저부의 세척수 탱크 내에서 제 1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세척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고, 헹굼수 유통관은 세척수 탱크 내에서 제 2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헹굼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은 세척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세척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이어 통하는 제 1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은 세척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헹굼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이어 통하는 제 2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세척수 유통관과 제 1 접속관의 연결, 및 헹굼수 유통관과 제 2 접속관의 연결은 세척실 저부의 세척수 탱크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제조시의 조립 작업성이나 배관, 세척수 탱크 내의 유지 관리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헹굼수 유통관은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되고, 제 2 접속관은 제 1 접속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이 세척실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접속관은 세척수 공급 펌프의 인펠라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설치되고, 제 2 접속관은 제 1 접속관 내로부터 케이싱 내를 지나 외부로 연장되어 헹굼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세척수 공급 펌프의 채용에 의해 헹굼수 유통관이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간편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척수 탱크 내에는 세척수 공급 펌프의 인펠라를 수용하는 탈착 가능한 케이싱이 배치되고, 세척수 유통관은 케이싱에 설치된 제 1 접속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 공급 펌프의 케이싱을 세척수 탱크 내에 배치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감소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척실측으로부터 케이싱을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 내의 인펠라의 유지 관 리성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제 2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류가 수용된 세척실 내에 세척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시켜 식기류의 세척을 수행하고, 세척실 내에 헹굼 노즐로부터 헹굼수를 분사시켜 식기류의 헹굼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척 노즐에 일단이 접속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되고 헹굼 노즐에 일단이 접속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구비하며, 세척수 유통관의 타단은 세척수 공급 펌프의 케이싱에 설치된 세척수 토출구에 접속되고, 헹굼수 유통관은 세척수 토출구를 통하여 케이싱을 관통하고, 헹굼수 유통관의 타단은 헹굼수 공급 펌프의 헹굼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헹굼수 공급 펌프와 헹굼 노즐을 연결하는 헹굼수 유통관이 세척수 공급 펌프와 세척 노즐을 연결하는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되고, 또한 이 헹굼수 유통관이 세척수 토출구를 통하여 세척수 공급 펌프의 케이싱을 관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척수 공급 펌프로부터 각 노즐까지는 세척수 유통관과 헹굼수 유통관에 의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이 배관되게 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은 세척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과 세척 노즐에 접속되는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을 가지고,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은 세척실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헹굼수 유통관은 헹굼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과 헹굼 노즐에 접속되는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을 가지고,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과 하류측 헹굼수 유 통관은 세척실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의 연결 및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과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의 연결이 세척실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은 이중 구조의 유통관으로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을 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의 배관 작업성이나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이하 제 1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스테인레스제 세척기 본체(2)를 가지고 있다. 이 세척기 본체(2)는 세척실(3)이 형성된 상측 부분(2a)과 기계실(4)이 형성된 하측 부분(2b)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세척기 본체(2)의 배면측 모서리부에는 상측 부분(2a)과 하측부(2b)에 걸쳐 한 쌍의 지주(6)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세척기 본체(2)의 상측 부분(2a)에는 세척실(3)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상자형 도어(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7)는 한 쌍의 지주(6)에 의해 상하 동작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으며,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8)에 의해 상하 동작되어 세척실(3)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세척기 본체(2) 저면의 네 귀퉁이 에는 다리부(9)가 장착되어 있어 식기 세척기(1)의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세척실(3) 내에는 랙레일(11)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랙레일(11) 상에 식사 후의 식기류가 배열된 격자 형상의 식기 랙(도시하지 않음)이 재치된다. 또한, 세척실(3) 내의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아암을 갖는 상측 세척 노즐(12)과,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을 갖는 상측 헹굼 노즐(13)이 동일축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척실(3) 내의 하부에는 하측 세척 노즐(14)과 하측 헹굼 노즐(15)이 동일축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척실(3)의 저부에는 기계실(4) 내로 돌출하도록 세척수 탱크(17)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세척실(3)과 세척수 탱크(17) 사이에는 필터(18)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세척수 탱크(17)의 전면에는 세척수 탱크(17) 내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위치하도록 세척수 공급 펌프(이하 '세척 펌프'라 한다)(19)가 바로 장착되어 있어 부품 개수의 감소화와 공간 절약화가 달성되고 있다. 이 세척 펌프(19)의 토출구에는 세척수 유통관(21)이 접속되고, 이 세척수 유통관(21)은 세척수 탱크(17) 내 및 세척실(3) 내를 지나 상측 세척 노즐(12)과 하측 세척 노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4) 내에는 외부의 급탕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헹굼수가 공급되는 헹굼수 탱크(22)가 수용되어 있고, 이 헹굼수 탱크(22)에는 흡입관(23)을 통하여 헹굼수 공급 펌프(이하, '헹굼 펌프'라 한다)(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헹굼 펌프(24)는 인펠라를 하측으로 한 상태(즉, 모터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세로로 배치되어 있어 기계실(4) 내 공간의 유효한 이용이 도모되고 있다. 이 헹굼 펌프(24)의 토출구에는 토출관(26)이 접속되고, 이 토출관(26)의 단부(26a)는 세척수 탱크(17) 내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관(26)의 단부(26a)에는 헹굼수 유통관(27)이 접속되고, 이 헹굼수 유통관(27)은 세척수 탱크(17) 내 및 세척실(3) 내를 지나 상측 헹굼 노즐(13)과 하측 헹굼 노즐(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4) 내에는 식기 세척기(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 내장된 전장 박스(도시하지 않음) 등도 수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개시 버튼이 ON으로 되면 세척 펌프(19)가 시동한다. 이로 인해 세척수 탱크(17) 내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수는 세척수 유통관(21)을 지나 상하의 세척 노즐(12, 14)에 압송되고, 각 세척 노즐(12, 14)로부터 식기류를 향해 분사된다. 이 때, 각 세척 노즐(12, 14)은 세척수의 분사 반력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세척수가 식기류에 골고루 미쳐 식기류의 오물이 효율적으로 씻겨 나간다. 이 식기류에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류로부터 씻겨 나간 찌꺼기 등의 오물이 필터(18)에 의해 제거되면서 세척수 탱크(17) 내로 회수되어 세척 펌프(19)에 의해 순환 공급된다.
이러한 식기류의 세척이 소정 시간 수행되면 세척 펌프(19)가 정지되고, 그 후 헹굼 펌프(24)가 시동한다. 이로 인해 세척수 탱크(22) 내에 저장되어 있던 헹굼수는 헹굼수 유통관(27)을 지나 상하의 헹굼 노즐(13, 15)에 압송되고, 각 헹굼 노즐(13, 15)로부터 식기류를 향해 분사된다. 이 때, 각 헹굼 노즐(13, 15)도 또한 헹굼수의 분사 반력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헹굼수가 식기류에 골고루 미쳐 식기류의 헹굼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이 식기류에 분사된 헹굼수는 필터(18)를 지나 세척수 탱크(17) 내로 회수되고, 다음 번 식기류의 세척에서 세척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식기류의 헹굼이 소정 시간 수행되면 헹굼 펌프(24)가 정지하고 식기 세척기(1)의 1사이클의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수 유통관(21)의 상류측 단부(21a)에는 세척 펌프(19)의 인펠라(28)를 수용하는 케이싱(29)의 토출구에 형성된 제 1 접속관(31)이 끼워진다. 이 상류측 단부(21a)의 내벽면에는 O링(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 단부(21a)와 제 1 접속관(31)은 액밀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1 접속관(31)과 세척수 유통관(21)의 연결은 비틀어 넣기에 의한 압착 등 다른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세척수 유통관(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단부(21a)로부터 세척실(3) 내의 배면측을 지나 세척실(3) 내의 상부에 이르는 본선부(21b)와, 이 상부의 중앙에서 바로 밑을 향해 기립한 상측 기립부(21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21)은 상측 기립부(21c)의 하방에서 본선부(21b)로부터 분기하여 바로 위를 향해 기립한 하측 기립부(21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측 기립부(21c)에는 상측 세척 노즐(12) 및 상측 헹굼 노즐(1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 기립부(21c)는 상측 세척 노즐(12)에 연통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기립부(21d)에는 하측 세척 노즐(14) 및 하측 헹굼 노즐(1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측 기립 부(21d)는 하측 세척 노즐(14)에 연통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17) 내에는 헹굼 펌프(24)의 토출측에 접속된 토출관(26)의 하류측 단부인 제 2 접속관(33)이 돌출해 있고, 이 제 2 접속관(33)에는 헹굼수 유통관(27)의 상류측 단부(27a)가 원통 형상의 연결 부재(34)에 의해 연결된다. 이 연결 부재(34)에는 양측으로부터 상류측 단부(27a)와 제 2 접속관(33)이 끼워지는데, 연결 부재(34)의 내벽면에는 O링(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 단부(27a)와 제 2 접속관(33)은 액밀하게, 그리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 접속관(33)과 헹굼수 유통관(27)의 연결은 비틀어 넣기에 의한 압착 등 다른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헹굼수 유통관(27)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실(3) 내에서 세척수 유통관(21)의 본선부(21b)를 따르도록 연장되는 본선부(27b)를 가지며, 이 본선부(27b)의 하류측 단부(27c)는 세척수 유통관(21)의 상측 기립부(21c) 내에 진입하여 상측 헹굼 노즐(13)에 연통한다. 또한, 헹굼수 유통관(27)은 하류측 단부(27c)의 아래쪽에서 본선부(27b)로부터 분기한 분기부(27d)를 가지며, 이 분기부(27d)는 세척수 유통관(21)의 하측 기립부(21d) 내에 진입하여 하측 헹굼 노즐(15)에 연통한다.
이와 같이 헹굼수 유통관(27)의 하류측 단부(27c)가 세척수 유통관(21)의 상측 기립부(21c) 내로 진입하고, 동시에 헹굼수 유통관(27)의 분기부(27d)가 세척수 유통관(21)의 하측 기립부(21d) 내로 진입함으로써 헹굼수 유통관(27)은 세척수 유통관(21)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즉, 헹굼수 유통관(27)과 세척수 유통관(21) 은 유닛화되어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21)의 본선부(21b)와 헹굼수 유통관(27)의 본선부(27b)는 판 형상의 브라켓(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브라켓(36)은 세척실(3)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세척실(3) 내에서 세척수 유통관(21) 및 세척수 유통관(27)은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식기 세척기(1)에서는 상하의 세척 노즐(12, 14)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21)은 세척실(3)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세척 펌프(19)의 토출측과 연통하는 제 1 접속관(3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하의 헹굼 노즐(13, 15)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27)은 세척실(3)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헹굼 펌프(24)의 토출측과 연통하는 제 2 접속관(3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세척수 유통관(21)과 제 1 접속관(31)의 연결 및 헹굼수 유통관(27)과 제 2 접속관(33)의 연결은 세척실(3) 저부의 세척수 탱크(17)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을 세척실(3)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은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한편,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의 분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먼저 브라켓(36)을 세척실(3) 배면으로부터 떼어낸다. 이어서, 연결 부재(34)를 헹굼수 유통관(27)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제 2 접속관(33)과 헹굼수 유통관(27)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 후, 세척수 유통관(21)의 상류측 단부(21a) 내에 끼워져 있는 제 1 접속관(31)을 당겨 빼듯이 하여 제 1 접속관(31)과 세척수 유통관(21)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의 분리가 완료된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21) 및 헹굼수 유통관(27)의 장착은 상술한 분리와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17) 내에는 세척 펌프(19)의 인펠라(28)를 수용하는 케이싱(2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케이싱(29)은 케이싱 받침부(37)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38)를 이용하여 케이싱(29)을 케이싱 받침부(37)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9)의 외주면과 케이싱 받침부(37)의 내주면에 서로 끼워 결합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케이싱(29)을 케이싱 받침부(37)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세척실(3)측으로부터 케이싱(29)을 떼어낼 수 있어 케이싱(29) 내의 인펠라(28)의 유지 관리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29)의 중앙부에는 흡입구(39)가 개구되어 있다.
한편, 본 제 1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수 유통관(21) 내에 헹굼수 유통관(27)을 배치시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채용하면 세척수 유통관(21) 및 세척수 유통관(27)이 세척실(3)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제 1 접속관(31) 내에 제 2 접속관(33)을 배치시키면 되지만, 세척 펌프(19)의 케이싱(29)의 토출구에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직접 연결해야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세척 펌프(19)를 구성하면 좋다. 즉,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 펌프(19)의 케이싱(29)에 제 1 접속관(31)을 설치하고, 제 2 접속관(33)을 제 1 접속관(31) 내로부터 케이싱(29) 내를 통과시켜 외부로 연장시켜 헹굼 펌프(24)의 토출측에 접속시키면 된다. 이러한 세척 펌프(19)의 채용에 의해 헹굼수 유통관(27)이 세척수 유통관(21) 내에 배치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세척 펌프(19)는 인펠라를 하측으로 한 상태(즉, 모터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세로 배치되는 것으로, 세척수 탱크(17)의 측벽에 브라켓(41)을 통하여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접속관(31)을 세척수 탱크(17)의 측벽측에 설치하고 제 2 접속관(33)을 세척수 탱크(17)의 저벽측에 설치했지만, 각 접속관(31, 33)의 배치 위치는 세척수 탱크(17) 내에서 세척수 유통관(21) 또는 헹굼수 유통관(27)과 접속 가능하다면, 세척수 탱크(17)의 측벽측이나 저벽측과 같은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이하, 본 제 2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01)는 스테인레스제 세척기 본체(102)를 가지고 있다. 이 세척기 본체(102)는 세척실(103)이 형성된 상측 부분(102a)과 기계실(104)이 형성된 하측 부분(102b)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세척기 본체(102) 배면측의 모서리부에는 상측 부분(102a)과 하측 부분(102b)에 걸쳐 한 쌍의 지주(106)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세척기 본체(102)의 상측 부분(102a)에는 세척실(103)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상자형의 도어(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107)는 한 쌍의 지주(106)에 의해 상하 동작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으며,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108)에 의해 상하 동작되어 세척실(103)의 개폐가 수행된다. 또한, 세척기 본체(102) 저면의 네 귀퉁이에는 다리부(109)가 장착되어 있어 식기 세처척기(101)의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세척실(103) 내에는 랙 레일(111)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랙 레일(111) 상에 식사 후의 식기류가 배열된 격자 형상의 식기 랙(도시하지 않음)이 재치된다. 또한, 세척실(103) 내의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3개의 아암을 갖는 상측 세척 노즐(112)과,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을 갖는 상측 헹굼 노즐(113)이 동일축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척실(103) 내의 하부에는 하측 세척 노즐(114)과 하측 헹굼 노즐(115)이 동일축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척실(103)의 저부에는 기계실(104) 내로 돌출하도록 세척수 탱크(117)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실(103)과 세척수 탱크(117) 사이에는 필터(118)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세척수 탱크(117)의 전면에는 세척수 탱크(117) 내에 세척수 흡입구(131) 및 세척수 토출구(132)가 개구하도록 세척수 공급 펌프(이하 '세척 펌프'라 한다)(119)가 브라켓(120)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세척 펌프(119)의 세척수 토출구(132)와 각 세척 노즐(112, 114)은 세척수 탱크(117) 내 및 세척실(103) 내를 지나는 세척수 유통관(1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세척수 유통관(160)은 세척수 토출구(132)에 접속되는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과 각 세척 노즐(112, 114)에 접속되는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척 펌프(119)는 인펠라 수용용 케이싱(133)을 하측으로 한 상태(즉, 모터(134)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세로 배치됨과 동시에 세척수 탱크(117) 내에 세척수 흡입구(131) 및 세척수 토출구(132)가 개구하도록 세척 탱크(117)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실(104) 내 공간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104) 내에는 외부의 급탕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헹굼수가 공급되는 헹굼수 탱크(122)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헹굼수 탱크(122)는 접속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헹굼수 공급 펌프(이하, '헹굼 펌프'라 한다)(124)의 헹굼수 흡입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 헹굼 펌프(124)도 또한 인펠라 수용용 케이싱을 하측으로 한 상태(즉, 모터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세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실(104) 내 공간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헹굼 펌프(124)의 헹굼수 토출구(136)와 각 헹굼 노즐(113, 115)은 적어도 일부가 세척수 유통관(160) 내를 지나는 헹굼수 유통관(17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헹굼수 유통관(170)은 세척수 유통관(160) 내로부터 세척수 토출구(132)를 지나 세척 펌프(119)의 케이싱(133)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헹굼수 유통관(170)도 또한 헹굼수 토출구(136)에 접속되는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과 각 헹굼 노즐(113, 115)에 접속되는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104) 내에는 식기 세척기(10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 내장된 전장 박스(도시하지 않음) 등도 수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0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개시 버튼이 ON으로 되면 세척 펌프(119)가 시동한다. 이로 인해 세척수 탱크(117) 내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수는 세척수 유통관(160)을 지나 상하의 세척 노즐(112, 114)에 압송되고, 각 세척 노즐(112, 114)로부터 식기류를 향해 분사된다. 이 때 각 세척 노즐(112, 114)은 세척수의 분사 반력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세척수가 식기류에 골고루 미쳐 식기류의 오물이 효율적으로 씻겨 나간다. 이 식기류에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류로부터 씻겨 나간 찌꺼기 등의 오물이 필터(118)에 의해 제거되면서 세척수 탱크(117) 내로 회수되어 세척 펌프(119)에 의해 순환 공급된다.
이러한 식기류의 세척이 소정 시간 수행되면 세척 펌프(119)가 정지하고, 그 후 헹굼 펌프(124)가 시동한다. 이로 인해 헹굼수 탱크(122) 내에 저장되어 있던 헹굼수는 헹굼수 유통관(170)을 지나 상하의 헹굼 노즐(113, 115)에 압송되고, 각 헹굼 노즐(113, 115)로부터 식기류를 향해 분사된다. 이 때, 각 헹굼 노즐(113, 115)도 또한 헹굼수의 분사 반력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헹굼수가 식기류에 골고루 미쳐 식기류의 헹굼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이 식기류에 분사된 헹굼수는 필터(118)를 통하여 세척수 탱크(117) 내로 회수되어 다음 번 식기류의 세척에 있어서 세척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식기류의 헹굼이 소정 시간 수행되면 헹굼 펌프(124)가 정지하고 식기 세척기(101)의 1사이클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이러한 식기 세척기(101)의 동작에서는 식기류의 세척 중에 분사된 세척수가 특히 하측 헹굼 노즐(115)의 헹굼수 분사공으로부터 헹굼수 유통관(170) 내로 침입하여, 최악의 경우, 세제 성분이나 오물을 포함한 세척수가 헹굼수 탱 크(122) 내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식기 세척기(10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 펌프(119)와 헹굼 펌프(124) 사이에 있어서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이 루프 형상의 트랩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제 성분이나 오물을 포함한 세척수가 헹굼수 탱크(122)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세척 펌프(119), 세척수 유통관(160) 및 헹굼수 유통관(17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척 펌프(119)는 세척수 토출구(132)로부터 케이싱(133) 내로 진입하여 그 벽부를 아래쪽을 향해 관통하는 관체(137)를 가지고 있다. 이들 케이싱(133) 및 관체(137)는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137)를 포함하는 케이싱(133)의 제작을 용이화할 수 있고,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관체(137)의 단부(137a)에는 헹굼수 펌프(124)의 헹굼수 토출구(136)에 접속되는 관체(138)의 단부(138a)가 O링(139)을 통하여 끼워지고, 이로 인해 관체(137)와 관체(138)가 접속되어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이 구성된다. 또한, 세척 펌프(119)의 케이싱(133)에 있어서 세척수 토출구(132)가 형성된 단부(133a)에는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의 단부(161a)가 O링(139)을 통하여 끼워져 있다. 이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은 금속제이고, 금속제의 세척수 탱크(117)의 벽부를 관통한 상태로 이 벽부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용접 고정에 의해 세척수 탱크(117)와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의 접속부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접속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단부(137a, 138a)에 형성된 프랜지에는 탈착 가능한 이음매(141)가 끼워져 있으며, 각 단부(133a, 161a)에 형성된 프랜지에는 탈착 가능한 이음매(142)가 끼워져 있다. 이로 인해, 이음매(141)를 떼어 내면 단부(137a)와 단부(138a)의 연결이 해제되고, 이음매(142)를 떼어내면 단부(133a)와 단부(161a)의 연결이 해제되게 되기 때문에 브라켓(120)을 세척수 탱크(117)의 벽부에 체결시키고 있는 볼트(143)를 떼어내면 세척 펌프(119)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 펌프(119)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펌프(119)의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에 있어서 세척수 탱크(117) 내로 돌출하는 단부(161b)에는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의 단부(162a)가 O링(139)을 통하여 끼워지고,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의 관체(137)의 단부(137b)에는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의 단부(172a)가 O링(139)을 통하여 끼워져 있다. 여기에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중 구조의 유통관으로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부(162a, 172a)를 세척실(103) 내로부터 세척수 탱크(117) 내로 진입시켜 각 단부(161b, 137b)에 끼움으로써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의 연결, 및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72)의 연결을 세척실(103) 내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의 연결 해제 및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과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의 연결 해제도 당연히 세척실(103)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중 구조의 유통관으로서 일체화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을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척실(103)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세척실(103) 내에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101)에서는 헹굼수 펌프(124)와 각 헹굼 노즐(113, 115)을 연결하는 헹굼수 유통관(170)이 세척 펌프(119)와 각 세척 노즐(112, 114)을 연결하는 세척수 유통관(160) 내에 배치되고, 또한 헹굼수 유통관(170)이 세척수 토출구(132)를 통하여 세척 펌프(119)의 케이싱(133)을 관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척 펌프(119)로부터 각 노즐(112~115)까지는 세척수 유통관(160)과 헹굼수 유통관(170)에 의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이 배관되게 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160) 및 헹굼수 유통관(170)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실(103) 내의 공간이 넓어짐과 동시에 배관 비용이 낮아지고, 위생면, 청소면, 유지 관리면 등에서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통관(160)과 헹굼수 유통관(170)에 의한 이중 구조의 유통관을 배관하기 때문에, 세척수 유통관(160)과 헹굼수 유통관(170)을 따로따로 배관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척수 탱크(117)에 형성해야 할 유통관 삽입공의 수를 1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과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의 연결 및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171)과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의 연결이 세척실(103)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을 세척실(103)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 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은 이중 구조의 유통관으로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을 극히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162) 및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172)의 배관 작업성이나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제 2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척 펌프(119)가 세로 배치되 경우였지만, 본 제 2 발명에서는 세척 펌프는 가로 배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세척 펌프(119)는 세척수 탱크(117)의 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을 연장시켜 기계실(104)의 저면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은 세척수 탱크(117)에 용접 고정되는 관체 및 또 다른 관체라고 하는 식으로, 복수의 관체를 접속함으로써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관체(137)의 단부(137a)는 케이싱(133)의 아래쪽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케이싱(133)의 측방 등, 다른 부분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은 유지 관리성을 고려하여 케이싱(133)과 별체로 하였지만, 케이싱(133) 및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을 금속에 의해 일체물로 하여 용접 고정 등에 의해 세척수 탱크(117)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척수 탱크(117) 내로 돌출하는 부분이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161)이 된다.
본 제 1 발명에 따르면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세척실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2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 유통관 및 헹굼수 유통관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식기류가 수용된 세척실 내에 세척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시켜 상기 식기류의 세척을 수행하고, 상기 세척실 내에 헹굼 노즐로부터 헹굼수를 분사시켜 상기 식기류의 헹굼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 노즐이 장착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상기 세척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 유통관에 일체적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헹굼 노즐이 장착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실 저부의 세척수 탱크 내에서 제 1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세척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고,
    상기 헹굼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수 탱크 내에서 제 2 접속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헹굼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접속관은 상기 제 1 접속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관은 상기 세척수 공급 펌프의 인펠라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접속관은 상기 제 1 접속관 내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를 지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헹굼수 공급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 내에는 상기 세척수 공급 펌프의 인펠라를 수용하는 탈착 가능한 케이싱이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 유통관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상기 제 1 접속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식기류가 수용된 세척실 내에 세척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시켜 상기 식기류의 세척을 수행하고, 상기 세척실 내에 헹굼 노즐로부터 헹굼수를 분사시켜 상기 식기류의 헹굼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 노즐에 일단이 접속되는 세척수 유통관과,
    상기 세척수 유통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헹굼 노즐에 일단이 접속되는 헹굼수 유통관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수 유통관의 타단은 세척수 공급 펌프의 케이싱에 설치된 세척수 토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헹굼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수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고, 상기 헹굼수 유통관의 타단은 헹굼수 공급 펌프의 헹굼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과 상기 세척 노즐에 접속되는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을 가지고, 상기 상류측 세척수 유통관과 상기 하류측 세척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실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헹굼수 유통관은 상기 헹굼수 토출구에 접속되는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과 상기 헹굼 노즐에 접속되는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을 가지고, 상기 상류측 헹굼수 유통관과 상기 하류측 헹굼수 유통관은 상기 세척실 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67014354A 2004-02-18 2005-01-14 식기 세척기 KR101226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1952A JP2005230192A (ja) 2004-02-18 2004-02-18 食器洗浄機
JPJP-P-2004-00041952 2004-02-18
PCT/JP2005/000391 WO2005077245A1 (ja) 2004-02-18 2005-01-14 食器洗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054A true KR20060127054A (ko) 2006-12-11
KR101226713B1 KR101226713B1 (ko) 2013-01-28

Family

ID=3485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354A KR101226713B1 (ko) 2004-02-18 2005-01-1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32418B2 (ko)
EP (1) EP1719444B1 (ko)
JP (1) JP2005230192A (ko)
KR (1) KR101226713B1 (ko)
CN (1) CN100579440C (ko)
WO (1) WO200507724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04B1 (ko) * 2006-12-29 2007-11-23 송영일 세척기세정제자동공급장치
KR101515969B1 (ko) * 2013-08-29 2015-05-04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용 흡입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2053013B1 (ko) * 2019-06-28 2019-12-06 정기홍 열풍건조와 3방밸브 조작에 의해 배수 재활용 및 폐열 회수기능이 구비된 식기 헹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3289B2 (en) * 2008-02-19 2013-12-24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Dishwasher with a reinforcement member
CN103349537A (zh) * 2013-06-26 2013-10-16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洗碗机
CN107518846B (zh) * 2016-06-20 2019-12-1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喷淋装置及安装有该喷淋装置的洗碗机
CN106880329B (zh) * 2017-04-26 2018-12-14 绍兴艾富尔绣品有限公司 一种餐饮用盘子清洗装置
KR102474190B1 (ko) * 2018-01-04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8714015B (zh) * 2018-06-11 2021-01-12 广州普华灵动机器人技术有限公司 洗碗机及其喷淋装置
CN113729589B (zh) * 2021-09-06 2022-08-23 北京红岸水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分水器组件及清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1574A (en) * 1953-05-01 1955-02-08 Apex Electrical Mfg Co Dishwasher or the like
JPS5411751Y2 (ko) * 1976-05-13 1979-05-25
JPS52151683A (en) 1976-06-14 1977-12-16 Toyo Soda Mfg Co Ltd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production thereof
JPS5411751A (en) 1977-06-28 1979-01-29 Ricoh Co Ltd Polishing method of focusing optical transmitting bodies
JPS5916328B2 (ja) 1978-08-14 1984-04-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プレコ−ダのバイアス調整装置
JPS597892Y2 (ja) * 1980-02-14 1984-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S56120148A (en) 1980-02-26 1981-09-21 Sony Corp Semiconductor element
JPH0440931A (ja) 1990-06-06 199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3049509B2 (ja) 1990-07-19 2000-06-05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収納装置
CA2047928A1 (en) * 1990-07-27 1992-01-28 Munehiro Nogi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dishes, sticking inhibitor and rinsing assistant
JP2506160Y2 (ja) * 1990-11-28 1996-08-0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用洗浄ノズル
JPH04279136A (ja) 1991-03-06 1992-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3028441B2 (ja) 1992-08-24 2000-04-04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用ディスク駆動装置
JPH11276408A (ja) * 1998-03-31 1999-10-1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4204164B2 (ja) 2000-02-29 2009-01-07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4504587B2 (ja) 2001-03-19 2010-07-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3180597A (ja) 2001-12-20 2003-07-02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の洗浄配管取付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04B1 (ko) * 2006-12-29 2007-11-23 송영일 세척기세정제자동공급장치
KR101515969B1 (ko) * 2013-08-29 2015-05-04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용 흡입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2053013B1 (ko) * 2019-06-28 2019-12-06 정기홍 열풍건조와 3방밸브 조작에 의해 배수 재활용 및 폐열 회수기능이 구비된 식기 헹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9440C (zh) 2010-01-13
CN1921794A (zh) 2007-02-28
EP1719444A4 (en) 2011-08-31
JP2005230192A (ja) 2005-09-02
US7832418B2 (en) 2010-11-16
KR101226713B1 (ko) 2013-01-28
WO2005077245A1 (ja) 2005-08-25
US20080202565A1 (en) 2008-08-28
EP1719444B1 (en) 2013-08-14
EP1719444A1 (en)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713B1 (ko) 식기 세척기
US9277848B2 (en) Dishwasher
KR20100110548A (ko) 식기세척기
CN101677742A (zh) 餐具清洗机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KR101328956B1 (ko) 식기세척기
EP1511413B1 (en) Dishwasher with 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dish liquid and rinse liquid
EP0930044A1 (en) Dishwashing machine with selectively actuatable spraying means
KR20070074274A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100020789A (ko) 식기 세척기
KR101203844B1 (ko) 식기세척기의 과일세척용 랙
CN209932644U (zh) 清洗机的喷淋系统及具有该喷淋系统的清洗机
JP4445724B2 (ja) 食器洗浄機
KR20120022430A (ko) 식기 세척기
JP4326284B2 (ja) 食器洗浄機
KR100698308B1 (ko) 식기세척기
JP6312429B2 (ja) 洗浄機
JP4161447B2 (ja) 食器洗い機
KR20100104561A (ko) 식기세척기
US20220125273A1 (en) Dishwashing appliance cable motor mount
KR100217457B1 (ko) 식기세척기의 병 세척장치
JPH10225417A (ja) 食器洗浄機
JP2004105399A (ja) 食器洗浄機
KR101104542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0165043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