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045A -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플레이트의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플레이트의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045A
KR20060127045A KR1020067014131A KR20067014131A KR20060127045A KR 20060127045 A KR20060127045 A KR 20060127045A KR 1020067014131 A KR1020067014131 A KR 1020067014131A KR 20067014131 A KR20067014131 A KR 20067014131A KR 20060127045 A KR20060127045 A KR 2006012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squeeze
sand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356B1 (ko
Inventor
미노루 히라타
타카유키 코미야마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1/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1/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 B22C11/1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with one or more flasks forming part of the machine, from which only the sand moulds made by compacting are rem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효율적으로 조형할 수 있는 방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측벽에 모래 분사구를 각각 갖는 수평상태의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挾持)한다.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직상태로 하는 동시에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한다.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면서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한다.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매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한 후, 매치 플레이트를 한 쌍의 상·하 주형틀 사이에서 반출한다.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앞서 조형한 주형에 필요시에 코어를 세팅한 다음,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겹친다. 겹쳐진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주형을 빼낸다.

Description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 플레이트의 교환방법{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FLASKLESS COPE AND DRAG, AND METHOD OF REPLACING MATCHPLATE}
본 발명은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기에 적합한 방법, 그 장치 및 매치 플레이트의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주형조형장치의 하나로서, 베이스의 상방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스퀴즈하는 주물사 압축 스테이션과, 베이스의 바닥면 부근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 맞춤(matching) 및 주형틀 취출(removing)을 수행하는 틀 취출 스테이션의 사이를, 상·하 2쌍의 주형틀을 교대로 간헐적으로 왕복운동시켜,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서는, 주형조형의 효율이 불충분하거나 조형된 주형의 품질에 개선의 여지가 있거나 매치 플레이트를 쉽게 교환할 수 없거나, 혹은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고공보 S62-16736호
본 발명은 주형조형의 효율이 불충분하거나 조형된 주형의 품질에 개선의 여지가 있거나 매치 플레이트를 쉽게 교환할 수 없거나 혹은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기에 적합한 방법, 그 장치 및 매치 플레이트의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제 1 발명에서는,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으로서, 측벽에 모래 분사구(sand blowing nozzle)를 각각 갖는 수평상태의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하는 공정과, 이들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공정과,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하고,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이들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고,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공정과,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매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한 후, 매치 플레이트를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의 사이에서 반출하는 공정과,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앞서 조형했던 주형에 필요시 코어를 세팅한 후,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겹치는 공정과, 겹쳐진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주형을 빼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주형틀 내에 주형을 조형하는 공정과, 이미 조형된 주형이 내장되어 있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주형을 빼내는 공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주형조형방법보다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보다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조형할 수 있다는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본 출원의 제 2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공정과,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하고,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형의 생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출원의 제 3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고,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공정을, 스퀴즈하면서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출원의 제 4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를 사용한 더욱 심플한 조형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5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 상·하 스퀴즈 풋(squeeze feet)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출원의 제 6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4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 후에,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는 공정과, 이들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을 더 추가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더욱 균일하며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7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6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는 공정과, 상·하 2개의 조형공간에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출원의 제 8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5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공정에,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각 간격을, 주물사의 스퀴즈 이전과 스퀴즈 이후의 각 비율이 서로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9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5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공정에,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사이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0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9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사이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하는 공정에, 에어레이션 탱크(aeration tank)의 노즐부(특히 노즐 스로틀부)나 모래의 유동성이 불량한 부분에 에어를 분출하여 모래와 측벽간의 마찰저항을 줄이는 공정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1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5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는 공정의 부분에, 수직상태의 매치 플레이트와 상·하 주형틀과 상·하 스퀴즈 수단에 의해 구획된 상·하 조형공간으로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제 1 모래분사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각각 진행시켜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스퀴즈하는 제 1 스퀴즈 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후퇴시킨 후, 상·하 조형공간으로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제 2 모래분사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의 스퀴즈면을 정렬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일체로 진행시켜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스퀴즈하는 제 2 스퀴즈 공정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제 12 발명에서는,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로서, 측벽에 모래 분사구를 각각 갖는 2쌍의 상·하 주형틀과, 이들 2쌍의 상·하 주형틀 중 한 쌍의 상·하 주형틀 사이에 반입반출기구에 의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매치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하고,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또한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이 수직상태가 되는 위치와 수평상태가 되는 위치의 사이를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정역(正逆)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한 주물사 스퀴즈 기구와,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회전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수직상태에 있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대하여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모래분사기구와, 겹쳐져 수평상태에 있는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주형 취출 기구와,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이 수평상태에 있는 주물사 스퀴즈 기구와 주형 취출 기구의 사이를, 한 쌍씩 상·하로 연이어 수평하게 배열된 수평상태의 2쌍의 상·하 주형틀이 교대로 간헐적으로 선회하도록 하며, 또한 상부 주형틀을 승강시킬 수 있는 주형틀 선회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한편으로는 한 쌍의 주형틀 내에 주형을 조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조형된 주형이 내장되어 있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주형을 빼낼 수 있는 장치로 함으로써,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주형조형방법보다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보다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조형할 수 있다는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3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2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더욱 심플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4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2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 상·하 스퀴즈 풋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균일하고 모래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상·하 주형을 조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5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2 내지 제 14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서의 주형 취출 기구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하부 주형틀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받이부재와, 상기 주형받이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유체 실린더와, 상기 하부 유체 실린더가 그 하면에 장착되며 승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하부 승강 테이블과, 상기 하부 승강 테이블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접철식 신축(folding and retractable) 기구와, 주형받이부재의 바로 위에 소요 간격을 두고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부 주형틀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 압출(押出)부재와, 상기 주형 압출부재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유체 실린더와, 상기 상부 유체 실린더가 그 상면에 장착되며 승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 승강 테이블과, 상기 상부 승강 테이블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 주형을 상·하 주형틀로부터 빼내기 위한 주형 취출 기구 부분의 장치높이를 가급적 낮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6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5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주형 취출 기구에 있어서, 하부 접철식 신축기구 및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가 토글(toggle) 기구 또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기구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 주형을 상·하 주형틀로부터 빼내기 위한 주형 취출 기구 부분의 장치높이를 가급적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7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5 발명 또는 제 16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주형 취출 기구에 있어서, 하부 유체 실린더는 공압(空壓) 실린더이고, 상부 유체 실린더는 유압(油壓) 실린더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 주형을 상·하 주형틀로부터 빼내기 위한 주형 취출 기구부분의 장치높이를 가급적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8 발명에서는 본 출원의 제 12 내지 제 14 발명에 관계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주형틀 선회기구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2쌍의 상·하 주형틀 중 2개의 상부 주형틀을 상승시키는 공정과,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에 위치하는 상부 주형틀에 캐리지를 통해 매치 플레이트를 반입하는 공정과, 주형 취출 기구에 위치하는 상부 주형틀에 캐리지를 통해 매치 플레이트를 반입하는 공정과, 주형틀 선회기구의 구동에 의해,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에 위치하는 매치 플레이트를 주형 취출 기구의 위치로, 또한 주형 취출 기구에 위치하는 매치 플레이트를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의 위치로 각각 선회이동시키는 공정과, 선회이동된 2개의 매치 플레이트를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의 위치 및 주형 취출 기구의 위치로부터 각각 반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매치 플레이트 교환방법보다 매치 플레이트를 더욱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주형조형장치로서, 스퀴즈 수단으로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장치의 최선의 형태의 정면도로서, 일부 절결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 부분의 도면으로서, 상·하 주형틀(2·3)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끼워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주형을 조형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로서, 상·하 주형틀에 주물사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상부의 평면도와 하부의 정면도를 세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주형조형장치로서, 스퀴즈수단으로 스퀴즈 풋을 사용한 장치의 최선의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 선 단면 부분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일부 절결 단면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 의해 주형을 조형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 의해 주형을 조형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 의해 주형을 조형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주형 취출 기구(12)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기구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주형 취출 기구(12)의 제 2 실시예를 적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도 18-a는 도 15에 도시된 주형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우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18-b는 도 15에 도시된 주형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9에 있어서 도 19-a는 도 15에 도시된 주형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 상· 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우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19-b는 도 15에 도시된 주형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주형 취출 기구를 사용하여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작동 설명도로서, 우측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적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기대(機台)(1)와, 측벽에 모래 분사구를 각각 갖는 2쌍의 상·하 주형틀(2·3·2·3)과, 이들 2쌍의 상·하 주형틀(2·3·2·3) 중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사이에 반입반출기구(4)에 의해 출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 매치 플레이트(5)와,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에 의해 상기 매치 플레이트(5)를 끼워 유지하며, 상기 상·하 주형틀(2·3)에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5)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각각 출입 가능하 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매치 플레이트(5)를 끼워 유지한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이 수직상태가 되는 위치와 수평상태가 되는 위치의 사이를 상기 기대(1)에 설치된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된 주물사 스퀴즈 기구(9)와,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로서의 횡방향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신장(伸長)작동에 의해 수직상태에 있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에 대하여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모래분사기구(11)와, 겹쳐져 수평상태에 있는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로부터 상기 상·하 주형을 빼내는 주형 취출 기구(12)와,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이 수평상태에 있는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와 상기 주형 취출 기구(12)의 사이를, 한 쌍씩 상·하로 연이어 수평하게 배열된 수평상태의 2쌍의 상기 상·하 주형틀(2·3)이 교대로 간헐적으로 선회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상부 주형틀(2)을 걸어 고정하여 승강할 수 있는 주형틀 선회기구(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쌍의 상·하 주형틀(2·3·2·3) 각각의 상·하 주형틀(2·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주형틀(2)의 전후 외측면에 매달려 설치된 한 쌍의 연결 봉(rod)(14·14) 사이에 상기 하부 주형틀(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걸쳐 장착하고, 더욱이 하부 주형틀(3)을 상기 한 쌍의 연결 봉(14·14)의 하단위치에서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상부 주형틀(2)의 전후 외면의 중앙부 및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측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하부 주형틀(3)의 전후 외면의 우측에 가까운 위치에 돌기부(2a·2a·3a·3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치 플레이트(5)의 반입반출기구(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의 상기 지지축(8)에 둘러 장착된 링부재(15)와, 상기 모래분사기구(11)에 피봇지지되며 또한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기 링부재(15)의 일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이어 접해 있는 실린더(16)와, 기단(基端)이 상기 링부재(15)에 고정부착된 캔틸레버 구조의 한 쌍의 아암(17·17)과, 상기 매치 플레이트(5)를 올려놓고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펜던트(pendant) 타입의 캐리지(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6)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아암(17·17)이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캐리지(45)는 후술하는 레일(46·47·47)을 통해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에서의 수평상태의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사이에 상기 매치 플레이트(5)를 반입반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또한, 상기 상부 주형틀(2)을 통해 캐리지(45)를 짧은 소요길이만큼 하강시키면서 상기 실린더(16)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아암(17·17)이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아암(17·17)을 캐리지(45)에 연결하거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9)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대(1)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상기 지지축(8)에 상기 회전 프레임(18)이 중심부근에서 수직면 내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피봇지지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프레임(18)의 우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가이드 로드(19·19)가 전 후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로드(19·19) 간의 상부에는 역 L자 형상의 상부 승강 프레임(20)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로드(19·19) 간의 하부에는 L자 형상의 하부 승강 프레임(21)이, 일체적으로 설치된 홀더부를 통해 각각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걸쳐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은 상기 회전 프레임(18)에 장착된 상향 실린더(22) 및 하향 실린더(23)의 신축작동에 의해 서로 접근·이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18)에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이 수평상태에 있을 때 상기 캐리지(45)를 유도하는 레일(46)이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주형틀(2·2)의 각각에는 이들이 상승하였을 때 반송레벨이 상기 레일(46)의 반송레벨과 동일해지는 상기 캐리지(45)의 유도용 레일(47)이 장착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또, 상기 상부 승강 프레임(20)에는 상기 상부 스퀴즈 플레이트(6)를 진퇴시키는 복수의 실린더(24·24)가, 그리고 상기 하부 승강 프레임(21)에는 상기 하부 스퀴즈 플레이트(7)를 진퇴시키는 복수의 실린더(25·2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상·하 승강 프레임(20·21) 각각의 수평상태의 상면은 상기 상·하 주형틀(2·3)을 각각 누를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또, 상기 모래충전기구(11)는 상기 기대(1)의 천정부의 좌측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더욱이 2개의 에어레이션 탱크(aeration tanks)(27·27)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상기 상·하 주형틀(2·3)에 각각 독립적으로 주물사를 저압압축 공기압에 의해 충전(에어레이션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저압압축공기의 압력의 크기는 0.05MPa 내지 0.18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시되지 않은 감압원과 접속하여 대기압보다 낮은 공기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에어레이션 탱크(27·27)는 각각 독자적으로 작동시키지 않고 동시에 혹은 동일 제어에 의해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형 취출 기구(12)에서는, 상하로 겹쳐진 수평상태의 상기 상·하 주형틀(2·3) 내에 진입할 수 있는 취출 패널(28)이 상기 기대(1)의 천정부에 장착된 하향 실린더(29)의 피스톤로드 하단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취출 패널(28)은 상기 실린더(29)의 신축작동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취출 패널(28)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상·하 주형틀(2·3)로부터 빼낸(拔出) 상·하 주형을 받는 주형 받이 테이블(30)이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주형 받이 테이블(30)은 실린더(31)의 신축작동에 의해 신축하는 팬터그래프(32)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팬터그래프(32)를 이용함으로써 피트(pit)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주형틀 선회기구(13)에서는 상하방향을 지향하는 회전축(33)이 상기 기대(1)에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3)의 상단에는 상기 기대(1)의 천정에 장착된 모터(34)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3)은 상기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180도 정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3)의 상부에는 지지부재(35)가 장착되어 있으며, 지지부재(35)에는 하방으로 뻗으며 전후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는 2쌍의 가이드 로 드(36·36)가 매달려 설치되어 있고, 이들 2쌍의 가이드 로드(36·36)는 상기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마주보고 있다.
또, 상기 2쌍의 가이드 로드(36·36)의 각각의 쌍에는, 상기 상부 주형틀(2)의 돌기부(2a·2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상부 후크부재(37)가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걸쳐 장착되어 있으며, 각 상부 후크부재(37)에는 상기 회전축(33)에 장착된 상향 실린더(38)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각 상부 후크부재(37)는 실린더(38)의 신축작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2쌍의 가이드 로드(36·36)의 하단에는 상기 2개의 하부 주형틀(3·3)의 돌기부(3a·3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하부 후크부재(39)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40은 상기 상·하 주형틀(2·3) 내에서 빼낸 상·하 주형을 주형 받이 테이블(30) 위에서 빼내는 주형배출장치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풋을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풋을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가,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와 다른 점은, 상·하 주형틀(2·3)의 매치 플레이트(5)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 대신에,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각각 구비하여 이들을 각각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한 점이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승강 프레임(20)에는 상부 스퀴즈 플레이트(6')를 진퇴시키는 복수의 실린더(24'·24')가, 그리고 하부 승강 프레임(21)에는 하부 스퀴즈 플레이트(7')를 진퇴시키는 복수의 실린더(25'·2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상부 스퀴즈 풋(6a·6a)은 복수의 실린더(6b·6b)의 신축작동에 의해,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하부 스퀴즈 풋(7a·7a)은 복수의 실린더(7b·7b)의 신축작동에 의해 각각 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상기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의 각각의 수평형상의 상면은,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 주형틀(2·3)을 각각 누를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상,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풋을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가, 상·하 스퀴즈 수단으로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여기서 설명한 것 이외에는 이들 두 가지 타입의 조형장치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두 가지 타입의 조형장치에 조립될 수 있는 주형 취출 기구(12)의 제 2 실시예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5,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부 주형틀(3)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받이부재(119)와, 상기 주형받이부재(119)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유체 실린더로서의 공압 실린더(120)와, 상기 공압 실린더(120)가 그 하면에 장착되며 승강할 수 있도 록 배치된 하부 승강 테이블(121)과, 상기 하부 승강 테이블(121)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접철식 신축기구로서의 하부 토글기구(122)와, 상기 주형받이부재(119)의 바로 위에 소요 간격을 두고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주형틀(2)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압출부재(123)와, 상기 주형압출부재(123)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유체 실린더로서의 유압 실린더(124)와, 상기 유압 실린더(124)가 그 상면에 장착되며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부 승강 테이블(125)과, 상기 상부 승강 테이블(125)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로서의 상부 토글기구(12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토글기구(122)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定盤)형상의 하부 베이스(127)와, 상기 하부 베이스(127)의 상면과 상기 하부 승강 테이블(121)의 하면의 사이에 나란히 설치된 2쌍의 토글기구본체(128·128)와, 2쌍의 토글기구본체(128·128)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횡방향의 실린더(129)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29)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하부 승강 테이블(121)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토글기구(126)도 상기 하부 토글기구(122)와 마찬가지로, 정반 형상의 상부 베이스(130)와, 상기 상부 베이스(130)의 하면과 상기 상부 승강 테이블(125)의 상면과의 사이에 나란히 설치된 2쌍의 토글기구 본체(131·131)와, 2쌍의 토글기구 본체(131·131)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횡방향의 실린더(1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32)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승강 테이블(125)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부 접철식 신축기구로서 하부 토글기구(122)를,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로서 상부 토글기구(126)를 각각 이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팬터그래프 기구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스퀴즈 수단으로서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구성의 주형틀없는 주형의 조형장치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를 신장작동시켜 한 쌍의 아암(17·17)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수평상태의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사이로 반입하고, 이어서, 실린더(38)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부 주형틀(2)을 짧은 길이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의 수축작동에 의해 한 쌍의 아암(17·17)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한 쌍의 아암(17·17)의 캐리지(45)에 대한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아암(17·17)을 원래로 되돌린다.
이어서, 주물사 스퀴즈 기구(9)의 상향 실린더(22) 및 하향 실린더(23)가 수축작동하여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을 통해 상·하 주형틀(2·3)을 서로 접근시키고, 상·하 주형틀(2·3)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끼워 유지하면서, 주물사 스퀴즈 기구(10)의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소요 길이만큼 신장작동시켜 상부 스퀴즈 플레이트(6) 및 하부 스퀴즈 플레이트(7)를 상·하 주형틀(2·3) 내에 소요 길이만큼 삽입해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고, 실린더(10)를 신장작동시켜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및 매치 플레이트(5)를 수직상태로 하는 동시에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더욱이, 모래분사기구(11)의 2개의 에어레이션 탱크(27·27) 하단에 그 모래 분사구를 각각 맞닿게 한다(도 4 참조).
이때,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면서, 동시에 실린더(10)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되고,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한 다음에 실린더(10)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모래분사기구(11)에 의해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고, 계속해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더욱 진입하여 상기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며,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린다. 이 경우, 스퀴즈하는 공정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공정은 어느 것이 먼저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이들 공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래를 충전하여 스퀴즈하는 공정을 이하에 기술하는 것과 같이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모래분사기구(11)에 의해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고, 계속해서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소정 길이 수축작동하여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의 개구부 부근까지 각각 후퇴시킨다.
이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모래분사기구(11)에 의해 주물사를 다시 분사하여 충전하고, 계속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및 매치 플레이트(5)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면서,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신장작동하여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한다.
또한, 여기서 기술한 모래를 충전하고 스퀴즈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에 각각 삽입하여 구획한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한 다음, 상기 모래 분사구쪽의 상기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도록 하였으나, 상기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에 각각 삽입하여 구획한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면서, 상기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6·7)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물사를 상·하 2개의 조형공간에 2단계로 나누어 분사하여 충전함으로써, 특히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내의 개구부 부근의 주형 경도(硬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모래를 충전하여 스퀴즈하는 공정 후, 상향 실린더(22) 및 하향 실린더(23)를 신장작동하여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어서, 주형틀 선회기구(13)의 실린더(38)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를 스퀴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부 후크부재(37)에 의해 매달아 올리는 동시에 매치 플레이트(5)로부터 분리하고, 하부 주형틀(3)을 주형틀 선회기구(13)의 하부 후크부재(39) 위에 각각 올려놓으며, 계속해서 실린더(16)를 수축작동하여 한 쌍의 아암(17·17)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상·하 주형틀(2·3) 사이에서 반출시킨다. 이어서, 주형틀 선회기구(13)의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3)을 소요 각도 회전시켜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시키고, 계속해서 필요시에 주형에 코어를 세팅한 후, 실린더(38)의 수축작동에 의해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부 후크부재(37)를 통해 하강시켜 하부 주형틀(3)에 겹친다.
이어서, 주형 취출 기구(12)의 실린더(31)의 신장작동에 의해 주형 받이 테이블(30)을 상승시켜 주형 받이 테이블(30) 위에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올려놓고, 계속해서 주형 취출 기구(12)의 실린더(29)를 신장작동시켜 취출 패널(28)을 상부 주형틀(2)의 주형 위에 맞닿게 한 후, 실린더(31)를 수축작동하여 취출 패널(28) 및 주형 받이 테이블(30)을 서로 연동시키면서 하강시켜 상·하 주형틀(2·3)로부터 주형을 빼내며, 계속해서 주형배출장치(40)에 의해 주형 받이 테이블(30) 위의 상·하 주형을 밀어낸다.
또한, 상술한 공정 중에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시킬 때까지, 앞서 조형한 주형에 필요시에 코어를 세팅한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을 겹쳐 주형을 빼내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주형틀없는 주형의 조형장치에서 매치 플레이트(5)를 교환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틀 선회기구(13)의 실린더(38·38)를 신장작동하여 상부 주형틀(2·2)을 상부 후크부재(37· 37)에 의해 각각 매달아 올린 후,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의 신장작동에 의해 한 쌍의 아암(17·1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A))를 올려놓은 캐리지(45)를 레일(46)로부터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 위로 이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A))를 좌측의 상부 주형틀(2)에 반입하고, 계속해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38)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부 주형틀(2)을 짧은 길이만큼 상하로 움직이면서,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의 수축작동에 의해 한 쌍의 아암(17·17)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한 쌍의 아암(17·17)의 캐리지(45)에 대한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아암(17·17)을 원래로 되돌리며, 더욱이 적당한 반송장치에 장착된 레일 위에 아래로 매달려 주형 취출 기구(12) 쪽에서 대기하며 또한 교환해야 할 매치 플레이트(5(B))를 탑재한 캐리지(45)를, 주형 취출 기구(12)에 위치하는 우측의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 취출 기구(12)에 위치하는 우측의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캐리지(45)를, 상기 우측의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 위로 사람의 손으로 이동시켜, 우측의 매치 플레이트(5(B))를 우측의 상부 주형틀(2)에 반입하고, 이어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틀 선회기구(13)의 모터(34)를 구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 쪽에 위치하는 좌측의 매치 플레이트(5(A))를 주형 취출 기구(12)의 위치로, 또 주형 취출 기구(12)에 위치하는 우측의 매치 플레이트(5(B))를 주물사 스퀴즈 기구(6) 쪽의 위치로 각각 선회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38)의 신축작동에 의해 좌측 의 상부 주형틀(2)을 짧은 길이만큼 상하로 움직이면서,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의 신장작동에 의해 한 쌍의 아암(17·1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B))를 탑재한 캐리지(45)에 한 쌍의 아암(17·17)을 연결하고, 또한 매치 플레이트(5(A))를 탑재한 캐리지(45)를 우측의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 위에서 오른쪽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계속해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의 수축작동에 의해 한 쌍의 아암(17·17)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B))를 탑재한 캐리지(45)를 좌측의 상부 주형틀(2)의 레일(47) 위에서 레일(46) 위로 이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B))를 상부 주형틀(2)로부터 반출하며, 또 오른쪽 외측으로 이동한 매치 플레이트(5(A))를 탑재한 캐리지(45)를 적당한 반송장치에 의해 적당한 장소로 이동시켜, 매치 플레이트(5)의 교환작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스퀴즈 수단으로서 스퀴즈 풋을 사용한 구성의 주형틀없는 주형의 조형장치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순서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반입반출기구(4)의 실린더(16)를 신장작동하여 한 쌍의 아암(17·17)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수평상태의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사이로 반입한다(도 9 참조).
이어서, 주물사 스퀴즈 기구(9)의 상향 실린더(22) 및 하향 실린더(23)의 수축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을 서로 접근시키는 동시에 실린더(38)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부 후크부재(37)를 하강시켜 상·하 주형틀(2·3)을 서로 접 근시키는 동시에, 상·하 주형틀(2·3)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끼워 유지하면서, 주물사 스퀴즈 기구(9)의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소요 길이만큼 신장작동하여 상·하 스퀴즈 수단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각각 상·하 주형틀(2·3) 내에 소요 길이만큼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면서, 실린더(10)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및 매치 플레이트(5)를 수직상태로 하는 동시에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더욱이 모래분사기구(11)의 하단에 그 모래 분사구를 각각 맞닿게 한다(도 12-a 참조).
이때,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면서, 동시에 실린더(10)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되고,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한 후에, 실린더(10)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 스퀴즈 기구(9)를 지지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의 복수의 실린더(6b·6b·7b·7b)를 각각 소요 길이만큼 신장작동하여 매치 플레이트(5)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b·7b)과의 간격에 대해, 주물사의 스퀴즈 전과 스퀴즈 후의 비율이 한없이 근접해지는 위치로 한다.
즉,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물사 스퀴즈 전의 매치 플레이트(5)의 모형부와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b·7b)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간격을 A, B로 하고, 또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퀴즈 후의 이들을 a, b로 하였을 때, 이들의 비율(a/A 및 b/B)이 a/A = b/B의 관계로 한없이 가까워 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모형부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서는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이 뻗어나와 압축되는 주물사의 양을 적게 하고, 모형부의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는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은 그대로, 압축되는 주물사의 양이 많아지도록 이동한다.
이어서, 상·하 주형틀(2·3)의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모래분사기구(11)에 의해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고, 계속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 및 매치 플레이트(5)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면서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신장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더욱 진행시켜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한다. 이어서, 복수의 실린더(6b·6b·7b·7b)를 각각 수축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후퇴시킨 후, 복수의 실린더(24·24·25·25)를 각각 더욱 신장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진행시킨다. 이로써, 조형된 상·하 주형의 밀도를 거의 균일하게 하며 또한 상기 상·하 주형에서의 상·하 스퀴즈 수단쪽인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쪽의 면을 거의 평탄하게 한다(도 12-c 참조).
이어서, 상향 실린더(22) 및 하향 실린더(23)가 신장작동하여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을 서로 이격시키고, 계속해서 주형틀 선회기구(13)의 실린더(38)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를 스퀴즈하여 이루어지는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부 후크부재(37)에 의해 매달아 올리는 동시에 매치 플레이트(5)로부터 분리하고, 하부 주형틀(3)을 주형틀 선회기구(13)의 하부 후크부재(39) 위에 각각 올려놓는다. 이어서, 실린더(16)를 수축작동하여 한 쌍의 아암(17·17)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5)를 상·하 주형틀(2·3) 사이에서 반출하며, 계속해서 주형틀 선회기구(13)의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3)을 소요 각도 회전시켜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시킨다. 이어서, 필요한 경우, 주형에 코어를 세팅한 후, 실린더(38)의 수축작동에 의해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부 후크부재(37)를 통해 하강시켜 하부 주형틀(3)에 겹친다(도 10 참조).
이어서, 주형받이장치(30)의 실린더(43)의 신장작동에 의해 주형 받이 테이블(44)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실린더(31)의 신장작동에 의해 승강 테이블(42)을 통해 주형 받이 테이블(44)을 더욱 상승시켜, 주형 받이 테이블(44) 위에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올려놓고, 계속해서 주형 취출 기구(12)의 실린더(29)를 신장작동하여 취출 패널(28)을 상부 주형틀(2)의 주형 위에 맞닿게 한 후, 실린더(43)를 수축작동하여 취출 패널(28) 및 주형 받이 테이블(44)을 서로 연동시키면서 하강시켜 상·하 주형틀(2·3)로부터 상·하 주형을 빼내며, 계속해서 실린더(31)의 수축작동에 의해 승강 테이블(42) 및 주형 받이 테이블(44)을 통해 상·하 주형을 더욱 하강시키고, 그 후에 주형배출장치(40)에 의해 주형 받이 테이블(44) 위의 상·하 주형을 밀어낸다.
또한, 상술한 공정 중,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할 때까지, 앞서 조형한 주형에 필요시 코어를 세팅한 후에,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을 겹쳐 주형을 빼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최선의 형태에서는, 스퀴즈 전의 매치 플레이트(5)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스퀴즈 수단(6·7)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을 A, B로 하고, 스퀴즈 후의 이들을 각각 a, b로 하였을 때, 이들의 비율(a/A 및 b/B)이 a/A = b/B의 관계에 한없이 가까워지도록 하며, 이로써, 조형된 상·하 주형의 밀도를 거의 균일하게 하면서 이들 상·하 주형에서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측의 면을 거의 평탄해지도록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도 13-a 내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치 플레이트(5)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하 스퀴즈 수단(6·7)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과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한 후, 상·하 조형공간에 상·하 주형틀(2·3)의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여 조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과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할 때, 에어레이션 탱크의 노즐부(특히 노즐 스로틀부)나 모래의 유동성이 불량한 부분에 에어를 분출하여 모래와 측벽간의 마찰저항을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14-a 내지 도 1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치 플레이트(5)와, 상·하 주형틀(2·3)과, 상·하 스퀴즈 수단(6·7)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에 의해 수직상태의 상·하 조형공간을 구획한 후, 상·하 조형공간으로 상·하 주형틀(2·3)의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고, 계속해서 복수의 실린더(6b·6b·7b·7b)를 각각 신장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각각 진행시켜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스퀴즈한다. 이어서, 복수의 실린더(6b·6b·7b·7b)를 각각 수축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일단 후퇴시킨 다음, 상·하 조형공간으로 다시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며, 계속해서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의 스퀴즈 면을 정렬한 상태에서, 복수의 실린더(19·19·20·20)를 각각 다시 신장작동하여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일체적으로 진행시켜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더욱 스퀴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은, 이들 중 복수 개의 상·하 스퀴즈 풋(6a·6a·7a·7a)을 결합하여 일체화한 것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 스퀴즈 수단으로서 스퀴즈 풋을 사용한 구성의 조형장치를 이용하여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할 때의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순서는, 스퀴즈 수단으로서 스퀴즈 플레이트를 사용한 구성의 조형장치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주형 취출 기구(12)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기구를 사용했을 경우의 주형 취출 공정의 순서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하 2개의 조형공간에 모래를 충전하여 스퀴즈한 후, 상·하 승강 프레임(20·21)을 서로 이격시킨 다음, 주형틀 선회기구(13)의 실린더(38)를 신장작동하여, 주물사를 스퀴즈하여 이루어지는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 부 후크부재(37)에 의해 매달아 올리는 동시에 매치 플레이트(5)로부터 분리하고, 하부 주형틀(3)을 주형틀 선회기구(13)의 하부 후크부재(39) 위에 각각 올려놓으며, 계속해서 매치 플레이트(5)를 상·하 주형틀(2·3) 사이에서 반출한다.
이어서, 주형틀 선회기구(13)의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3)을 소요 각도 회전시켜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시키고, 계속해서 필요시에 주형에 코어를 세팅한 후,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부 주형틀(2)을 상부 후크부재(37)를 통해 하강시켜 하부 주형틀(3) 위에 겹친다.
이어서,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토글기구(126·122)의 실린더(132·129)를 각각 수축작동하여 상·하 승강 테이블(125·121)을 서로 접근시키고, 상·하 승강 테이블(125·121)에 의해 상·하 주형틀(2·3)을 끼워 유지한 후,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압 실린더(120)의 신장작동에 의해 주형받이부재(119)를 하부 주형틀의 하면에 맞닿게 하고, 계속해서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24)의 신장작동에 의해 주형압출부재(123)를 상부 주형의 상면에 맞닿게 한 후,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24)의 신장작동에 연동시켜 공압 실린더(120)를 수축작동하면서 주형압출부재(123) 및 주형받이부재(119)를 하강시키며, 그 후,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토글기구(126·122)의 실린더(132·129)를 각각 신장작동하여 상·하 승강 테이블(125·121)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로써, 상·하 주형(A·B)을 상·하 주형틀(2·3)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정 중,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하 주형틀(2·3)을 주형 취출 기구(12)까지 선회이동시킬 때까지, 앞서 조형한 주형에 필요시에 코어를 세팅한 다음,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2·3)을 겹쳐 주형을 빼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형조형의 효율이 불충분하거나 조형된 주형의 품질에 개선의 여지가 있거나 매치 플레이트를 쉽게 교환할 수 없거나 혹은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기에 적합한 방법, 그 장치 및 매치 플레이트의 교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방법으로서,
    (1)측벽에 모래 분사구를 각각 갖는 수평상태의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의해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하는 공정과,
    (2)이들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공정과,
    (3)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하고, 상기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4)이들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과,
    (5)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기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고,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공정과,
    (6)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상기 매치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한 후, 매치 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의 사이에서 반출하는 공정과,
    (7)이상의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앞서 조형했던 주형에 필요시에 코어를 세팅한 후,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을 겹치는 공정과,
    (8)겹쳐진 상기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기 주형을 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이들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공정(2)과,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하고, 상기 모래 분사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공정(3)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공정이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기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고, 그 스퀴징중에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 및 매치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이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이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상기 (4)공정 후에,
    a)상기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는 공정과,
    b)이들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공정
    을 더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원하는 스트로크만큼 후퇴시키는 상기 a)공정과,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상기 b)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2)공정이, 상기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각 간격을, 주물사의 스퀴즈 이전과 스퀴즈 이후의 각 비율이 서로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서의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하 2개의 조형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2)공정이, 상기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사이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치 플레이트의 모형부와 이것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과의 사이의 공간을 주물사의 유동이 용이해지도록 형성하는 상기 공정이, 에어레이션 탱크의 노즐부나 모래의 유동성이 불량한 부분에 에어를 분출하여 모래와 측벽간의 마찰저항을 줄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모래 분사구로부터 상·하 2개의 조형공간으로 주물사를 분사하여 충전하는 상기 (4)공정과, 상·하 스퀴즈 수단을 더욱 진입시켜 상·하 2개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각각 스퀴즈하는 상기 (5)공정의 부분이,
    a)수직상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와 상기 상·하 주형틀과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 의해 구획된 상·하 조형공간으로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제 1 모래분사공정과,
    b)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각각 진행시켜 상기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스퀴즈하는 제 1 스퀴즈 공정과,
    c)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후퇴시킨 후에, 상기 상·하 조형공간으로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제 2 모래분사공정과,
    d)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에서의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의 스퀴즈면을 정렬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일체적으로 진행시켜 상기 상·하 조형공간 내의 주물사를 스퀴즈하는 제 2 스퀴즈 공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12. 겹쳐진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로서;
    (1)측벽에 모래 분사구를 각각 갖는 2쌍의 상·하 주형틀과,
    (2)이들 2쌍의 상·하 주형틀 중 한 쌍의 상·하 주형틀 사이에 반입반출기구에 의해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매치 플레이트와,
    (3)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의해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하고, 상기 상·하 주형틀에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가 없는 각각의 개구부에 상·하 스퀴즈 수단을 각각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또한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끼워 유지한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이 수직상태가 되는 위치와 수평상태가 되는 위치의 사이를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한 주물사 스퀴즈 기구와,
    (4)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와,
    (5)상기 회전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수직상태에 있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에 대하여 상기 모래 분사구로부터 주물사를 분사하는 모래분사기구와,
    (6)겹쳐져 수평상태에 있는 상·하 주형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로부터 상기 상·하 주형을 빼내는 주형 취출 기구와,
    (7)상기 한 쌍의 상·하 주형틀이 수평상태에 있는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와 상기 주형 취출 기구의 사이를, 한 쌍씩 상·하로 연이어 수평하게 배열된 수평상태의 2쌍의 상기 상·하 주형틀이 교대로 간헐적으로 선회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상부 주형틀을 승강시킬 수 있는 주형틀 선회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스퀴즈 수단이 상·하 스퀴즈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하 스퀴즈 수단이 복수의 상·하 스퀴즈 풋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취출 기구가,
    a)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주형틀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받이부재와,
    b)상기 주형받이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유체 실린더와,
    c)상기 하부 유체 실린더가 그 하면에 장착되며 승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하부 승강 테이블과,
    d)상기 하부 승강 테이블의 하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하부 접철식 신축기구와,
    e)상기 주형받이부재의 바로 위에 소요 간격을 두고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 되며 상기 상부 주형틀 내에 느슨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형압출부재와,
    f)상기 주형압출부재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유체 실린더와,
    g)상기 상부 유체 실린더가 그 상면에 장착되며 승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 승강 테이블과,
    h)상기 상부 승강 테이블의 상면에 장착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는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철식 신축기구 및 상기 상부 접철식 신축기구가 토글기구 또는 팬터그래프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체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이고, 상기 상부 유체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
  18.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서의 상기 2쌍의 상·하 주형틀이 탑재된 주형틀 선회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2쌍의 상·하 주형틀 중 2개의 상부 주형틀을 상승시키는 공정과,
    b)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주형틀에 캐리지를 통해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반입하는 공정과,
    c)상기 주형 취출 기구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주형틀에 캐리지를 통해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반입하는 공정과,
    d)상기 주형틀 선회기구의 구동에 의해,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에 위치하는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상기 주형 취출 기구의 위치로, 또한 주형 취출 기구에 위치하는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의 위치로 각각 선회이동시키는 공정과,
    e)선회이동된 2개의 상기 매치 플레이트를 상기 주물사 스퀴즈 기구측의 위치 및 상기 주형 취출 기구의 위치로부터 각각 반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치 플레이트의 교환방법.
KR1020067014131A 2003-12-18 2004-12-17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플레이트의 교환방법 KR100895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0266 2003-12-18
JP2003420273 2003-12-18
JP2003420266 2003-12-18
JPJP-P-2003-00420273 2003-12-18
JP2004132346 2004-04-28
JPJP-P-2004-00132346 2004-04-28
JP2004332788 2004-11-17
JPJP-P-2004-00332788 2004-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045A true KR20060127045A (ko) 2006-12-11
KR100895356B1 KR100895356B1 (ko) 2009-04-29

Family

ID=3470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131A KR100895356B1 (ko) 2003-12-18 2004-12-17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플레이트의 교환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54302B2 (ko)
EP (1) EP1695776B1 (ko)
JP (1) JP4281742B2 (ko)
KR (1) KR100895356B1 (ko)
AT (1) ATE490828T1 (ko)
BR (1) BRPI0417620B1 (ko)
DE (1) DE602004030478D1 (ko)
DK (1) DK1695776T3 (ko)
PL (1) PL1695776T3 (ko)
TW (1) TW200536634A (ko)
WO (1) WO2005058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170A (ja) * 2005-05-06 2006-11-16 Sintokogio Ltd 鋳枠無し上・下鋳型の造型装置におけるマッチプレートの交換方法
JP4374619B2 (ja) * 2005-05-10 2009-12-02 新東工業株式会社 鋳枠無し上・下鋳型の造型方法
JP2006326590A (ja) * 2005-05-23 2006-12-07 Sintokogio Ltd 鋳型造型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PL1897635T3 (pl) * 2005-06-13 2015-08-31 Sintokogio Ltd Sposób oraz urządzenie do wytwarzania górnych oraz dolnych form bezskrzynkowych, oraz sposób umieszczania rdzenia
CN100589898C (zh) 2005-06-13 2010-02-17 新东工业株式会社 无砂箱的上下铸型的造型装置
JP4221731B2 (ja) * 2006-12-06 2009-02-12 新東工業株式会社 上下鋳型造型装置
PL1930101T3 (pl) 2006-12-06 2017-09-29 Sintokogio, Ltd. Maszyna formierska
EP1837099A3 (en) 2006-12-06 2008-01-02 Sintokogio, Ltd. Moulding machine for making an upper and a lower mould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machine
ATE469712T1 (de) 2006-12-18 2010-06-15 Sintokogio Ltd Formmaschine
EP1952912B1 (en) * 2007-01-15 2019-03-06 Sintokogio, Ltd.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US7762307B2 (en) 2007-01-16 2010-07-27 Sintokogio Ltd. Sand-introducing device using ai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old
US7681624B2 (en) 2007-05-25 2010-03-23 Sintokogio, Ltd. Flaskless molding machine
US20080185117A1 (en) * 2007-10-11 2008-08-07 Sintokogio, Ltd. A core-setting apparatus used for a mol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tting a core
WO2009069652A1 (ja) * 2007-11-28 2009-06-04 Sintokogio, Ltd. 鋳枠無し上下鋳型造型装置における中子セット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64625B1 (ko) 2010-07-23 2017-08-14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냅틀 주형 조형방법 및 스냅틀 주형 조형장치
EP2777844B1 (en) * 2012-01-20 2017-06-14 Sintokogio, Ltd. Flaskless mold making device, flaskless mold making method, and sand receiving device
CN103817294B (zh) * 2014-03-07 2016-03-30 南京亚力电气有限公司 喷砂方便,取放模具省力的水平分型脱箱造型机
CN109108236A (zh) * 2018-11-08 2019-01-01 安徽新宁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造型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9432A (en) * 1967-10-02 1971-06-29 Sherwin Williams Co Match plate foundry molding machine
JPS5645252A (en) * 1979-09-17 1981-04-24 Toyoda Autom Loom Works Ltd Pattern exchanging method in flaskless mold molding machine and its device
JPS56119645A (en) 1980-02-23 1981-09-19 Sintokogio Ltd Molding method for flaskless type horizontal split molds and its device
DK159600C (da) * 1981-02-20 1991-04-29 Dansk Ind Syndikat Anlaeg til fremstilling af lodret delte stoebeforme bestaaende af kasseloese formparter og med udstyr til modelpladeskift.
JPS5973148A (ja) 1982-10-19 1984-04-25 Toyoda Autom Loom Works Ltd 無枠式鋳型造型装置
JPH0673514B2 (ja) 1985-07-16 1994-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方法
US4791974A (en) * 1987-05-18 1988-12-20 Dansk Industri Syndikat A/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bodies from particulate material
JPH03243243A (ja) * 1990-02-17 1991-10-30 Sintokogio Ltd 無枠鋳型造型設備
JP2772859B2 (ja) 1990-07-27 1998-07-09 新東工業株式会社 無枠鋳型造型機
WO2000050187A1 (en) 1999-02-23 2000-08-31 Disa Industries A/S Machine for producing flaskless moulds
JP3413798B2 (ja) * 2000-01-14 2003-06-09 新東工業株式会社 枠付造型装置の造型方法及び造型システム
WO2001081025A1 (fr) * 2000-04-21 2001-11-01 Sintokogio, Ltd. Machine a mouler en matrice et support de mode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4302B2 (en) 2010-02-02
JPWO2005058528A1 (ja) 2007-12-13
BRPI0417620B1 (pt) 2015-06-16
KR100895356B1 (ko) 2009-04-29
EP1695776A4 (en) 2007-06-06
US20070151694A1 (en) 2007-07-05
PL1695776T3 (pl) 2011-05-31
JP4281742B2 (ja) 2009-06-17
TW200536634A (en) 2005-11-16
EP1695776A1 (en) 2006-08-30
WO2005058528A1 (ja) 2005-06-30
ATE490828T1 (de) 2010-12-15
DE602004030478D1 (de) 2011-01-20
DK1695776T3 (da) 2011-03-14
EP1695776B1 (en) 2010-12-08
BRPI0417620A (pt)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356B1 (ko)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매치플레이트의 교환방법
US8056605B2 (en) Flaskless molding method
KR101086998B1 (ko) 주형틀 유닛, 상·하 주형조형장치, 및 주조라인
KR100866694B1 (ko) 사형 조형법
KR100949621B1 (ko) 주형틀없는 상부 주형 및 하부 주형의 조형장치
KR100949622B1 (ko)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그 장치 및 코어 배치방법
CN105414491A (zh) 一种无填砂死角的造型机及其使用方法
KR100898196B1 (ko) 무틀식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및 그 장치
KR101110929B1 (ko) 주형틀없는 상?하 주형의 조형장치에서의 매치 플레이트의교환방법
US3878881A (en) Method for producing and assembling cope and drag mold parts
WO2001078921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mpression pour sable de fonderie
CN210676844U (zh) 注塑机类铸件铸造用的冒口圈制造装置
CN100534666C (zh) 无砂箱的上下铸模的制造方法及装置,以及双面模板的交换方法
EP3488945B1 (en) Mold forming method
CN100402189C (zh) 无砂箱的上下铸模的造型方法及其造型装置
CN210045965U (zh) 顶部射砂上箱凹模成型装置
RU23245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верхней и нижней частей безопочной литейной формы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используемой для этого двухсторонней модельной плиты
RU2354491C2 (ru) Опока для формовочной машины и способ формов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оки
JP2002001490A (ja) 枠付砂鋳型の造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