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542A -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542A
KR20060124542A KR1020050112983A KR20050112983A KR20060124542A KR 20060124542 A KR20060124542 A KR 20060124542A KR 1020050112983 A KR1020050112983 A KR 1020050112983A KR 20050112983 A KR20050112983 A KR 20050112983A KR 20060124542 A KR20060124542 A KR 2006012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hyperlink
hyperlink messag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093B1 (ko
Inventor
김낙구
Original Assignee
김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구 filed Critical 김낙구
Priority to KR102005011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093B1/ko
Priority to JP2008514540A priority patent/JP2008546299A/ja
Priority to US11/570,121 priority patent/US7680483B2/en
Priority to PCT/KR2006/001854 priority patent/WO2006129923A1/en
Publication of KR2006012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1Determined tari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접속요청이 발생하고, 상기 접속요청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과금수단을 통하여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 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하여, 이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이퍼링크, 콜백메시지, 모바일 컨텐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Description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Mobile contents connection and data transfer method using hyperlink message, and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erver and contents provider server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무료콜백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사 서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조건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표시수단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수익을 발생시킬 조건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나타날 예약시각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삭제될 삭제시각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이용되는 컨텐츠가,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인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무료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유료통신을 가능하게 전환하도록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컨텐츠 프로바이더 시스템
11 : 메인서버 12 : WAP 다운로드 서버 13 : 폰 서버
20 : 이동통신망
21 : WIG(Wireless Interface Gateway; 무선 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
22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
23 : IWF(Inter-Working Function) 장치
24 : SMS(Short Message Service) 게이트웨이
25 : SMSS(서버)
26 : SMSC(센터)
27 : 무선교환기
28 : 기지국
29 : PPG(Push Proxy Gateway; 푸시 프록시 게이트웨이)
30 : 단말기
40 :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1 : 제어수단 42 : 통신수단 43 : 접속지점
50 : 이동통신사 서버
51 : 제어수단 52 : 통신수단 53 : 과금수단
60 : 단말기
61 : 제어수단 62 : 통신수단 63 : 입력수단
64 : 저장수단 65 : 표시수단
C :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M : 이동통신사 서버
T : 단말기
S : 접속지점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모바일 단말기 측의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Callback) URL 등이 구비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무료콜백메시지)를 이용하여 모바일 컨텐츠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 컨텐츠 제공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단말기의 이동 통신비용을 없애주거나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폰의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용에 따른 비용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컨텐츠 이용료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통신비용이다. 전자는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지급하는 비용이고, 후자는 이동통신사에 지급하는 비용이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이용료는, 매우 명확히 제시되고 있다. 즉, 이용료 유료 얼마, 또는 무료라고 명시적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비용은, 사안에 따라서 다르게 된다. 즉, 컨텐츠의 파일 사이즈에 따라서, 큰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소액의 컨텐츠 이용료를 인식하고, 선뜻 그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는, 그 컨텐츠의 큰 사이즈에 의하여 많은 액수의 데이터 통신비용이 청구되어, 불만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현재 이용자의 큰 클레임 사항이다.
이와 같이, 무료 모바일 컨텐츠라 하더라도, 상기 컨텐츠 이용료가 무료라는 것이지, 상기 컨텐츠 접속 후 데이터 다운로드, 업로드에 필요한 통신비용까지 무료라는 의미가 아니며, 상기 통신비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을 매우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 패킷(Packet)단위로 데이터가 송수신 된 후, 단말기 측에 과금된다. 즉, 접속과 그 이후에 송수신된 총 패킷량에 따라 단말기 측이 이동통신사에 그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무선 컨텐츠의 이용자는, 데이터 통신비용을 파악하기 극히 곤란하다는 점에 있어서, 무선 컨텐츠의 이용을 꺼리고 있으며, 이는 무선 인터넷 시장의 활성화에 지대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향후 모바일 단말기를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무료로 서 비스될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할인쿠폰, 모바일 광고, 모바일 설문조사 등의 컨텐츠를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에서 단말기 측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측에서 지불하게 될 순수 통신 비용을 없애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광고, 홍보나 설문조사(리서치) 등의 분야에 있어서,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높은 효율로 좋은 반응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로서, 많은 도구들이 등장한 바 있다.
종래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서비스, 이하 'SMS')는, 모든 사람이 쉽고 저렴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에 이용되는 문자메시지는, 오직 텍스트만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이 단순하고, 게다가 길이가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보 전달의 높은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의 컨텐츠 푸쉬방식은, 푸쉬(Push)방식으로 컨텐츠 프로바이더가 단말기에 컨텐츠를 보내는 것으로서, 대용량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므로 내용은 풍부하고, 저렴한 할인요금 시간대를 이용하면 데이터량에 비하여 통신비용 저렴하기는 하지만, 큰 메모리를 요구하고, 그 대상이 많은 경우에는 통신비가 과다하며,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되어 있는 내용과 현재 컨텐츠 프로바이더가 가지고 있는 내용 사이에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는, 실제의 현재의 내용과의 비교, 수정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항상 최신의 내용을 이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중에서, 단말기 측에서 직접 접속지점, 즉 URL을 입력하여 컨 텐츠를 다운로드받게 구성된 경우가 있다. 이는 마치 컴퓨터 환경에서 인터넷에 직접 억세스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과 같으며, 이 기술은, 접속지점의 컨텐츠가 단말기에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그 내용이 풍부하고 길며, 최신 정보라는 장점이 있지만, 모바일 단말기 측에서 접속지점의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매우 번거로우며, 역시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에 소요되는 통신비용이 유료이기 때문에, 단말기 측에서는 사용을 꺼리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 중에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에서 단말기 측에 어떤 컨텐츠를 서비스하고자 하는 경우에, 하이퍼링크(Hyperlink)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Callback URL SMS)를 먼저 단말기에 보내고, 그 후 단말기 측에서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통해서 상기 컨텐츠로 접속한 후, 다운로드 받게 구성된 경우가 있다. 이를 콜백서비스(Call-Back Service)라 하며, 그 메시지를 유료콜백메시지라 한다.
상기 콜백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에 지정된 접속지점의 컨텐츠가 단말기에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그 내용이 풍부하고 길며 항상 최신 정보이고, 또한 접속지점을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역시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에 소요되는 통신비용이 유료이기 때문에, 단말기 측에서는 사용을 꺼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에서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 측에 보내려면, 경우에 따라서 이동통신사 측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기 측의 허락을 얻어야 한다. 이는, 단말기에 무분별하게 뿌려지는 스팸 메시지를 막으려는 이유도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상기와 같은 유료콜백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가 해당 URL 주소로 접속하게 되면, 단말기 측이 컨텐츠 이용료와 더불어 순수 통신비용까지 지불해야 되기 때문에, 사전 동의를 받기 위한 것이다.
현재 무료 모바일 광고, 설문 사업자의 가장 큰 애로점 중 하나가, 바로 단말기 측의 통신비용 처리 주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의 단말기 측의 통신 비용을 적절히 해결하는 방법이 마련되지 못한다면, 이동통신사도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콜백메시지, 즉 문자만으로 구성된 단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가 포함된 메시지를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에서 단말기 측에 자유롭게 전송하도록 허용할 수가 없게 된다. 이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의 사업 전개에 크나큰 장애가 되어, 산업발전에 저해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 사업자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간에 설정된, 소정의 무료콜백 하이퍼링크를 가지는 메시지(무료콜백메시지)에 의하여 컨텐츠의 이용하는 경우에, 컨텐츠 송수신 통신비용을 단말기 측에 부담시키지 않고,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측에서 부담시키는 비용부담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통상의 무료 SMS처럼 부담없는 접속을 가능케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비용부담의 전환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미리 정한 소정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광고주로부터의 수익을 기반으로, 무료 모바일 광고쿠폰을 단말기에 송출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경우, 단말기 측 통신비용 부담이라는 과제를 해결해 주는 본 발명을 통해, 통신비용 부담이 없는 광고쿠폰 컨텐츠를 단말기 측에서 적극적 이용하도록 유인할 수 있고, 동시에,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경우에는, 본 발명을 통해, 단말기 측의 컨텐츠 접속 및 다운로드, 업로드 등의 송수신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총 통신비용을, 사전에 설정된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이러한 통신비용 제한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하나의 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반복 이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이 지불해야 될 순수 통신비용이, 당초 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예정한 수준을 초과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한은, 적정한 필요범위 내의 통신을 부담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단말기 측의 이용과, 광고주 측의 광고효과 증대와,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의 수익 증대와, 이동통신사 측의 통신비용 확보의 효과를 창출하며, 나아가서 모바일 인터넷 관련 산업의 진흥을 가져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특정 모바일 컨텐츠 접속 사용시, 미리 설정된 소정 패킷 총량, 접속 횟수, 접속 유효기간에 대한 한계 범위 내에서, 단말기 측이 통신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하면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이 상기 설정한 범위 내에서 이를 대신하여 이동통신사 측에 통신비용을 지급하도록 제한하는 구체적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이용에 따라서 단말기 측에 소정 수익이 발생되도록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소정 표시를 통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통신비용이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메시지 또는 이와 더불어 수익이 발생되도록 하는 메시지임을 명확히 알 수 있게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측에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에 나타나는 시각 또는 삭제되는 시각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리서치와 같이, 다수의 소정 질문항목에 응답하는 컨텐츠의 경우에는, 상기 응답 즉시 집계되도록 하고, 응답 도중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도, 재접속에 의하여 연속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무료로 처리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도, 단말기 측에서 유료로 전환하여 접속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 속 및 송수신 방법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사 서 버에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접속요청이 발생하고, 상기 접속요청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과금수단을 통하여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하여, 이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수익발생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및 활성화 동안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소정 조건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수익은, 유형 또는 무형의 선물,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 나 이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수익발생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표시수단에 나타나도록 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예약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예약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비로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저장수단에서 삭제될 시각을 지정하는 삭제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삭제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저장수단에서 삭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결정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함께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저장한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내용 중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이 불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가능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속지점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는,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통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표시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저장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료통신표시가 부여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으로부터 과금되지 않은 채 상기 접속지점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송수신하면서, 이를 상기 표시수단에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이 바람직하고,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수익발생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수익발생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 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표시수단에 나타나도록 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예약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예약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비로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이 바람직하고,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저장수단에서 삭제될 시각을 지정하는 삭제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삭제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저장수단에서 삭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이 불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가능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전송받아서,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 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통신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및 상기 접속지점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접속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위한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이루며, 상기 과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용의 산정과 과금정보의 저장을 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을,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전송받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내용 중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 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지점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는,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통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지점에 접속되어,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에,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속에 대한 과금을 받으면서,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접 속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및 활성화 동안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소정 조건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를 행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수익은, 유형 또는 무형의 선물,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결정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함께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지점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 구조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이 다르더라도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정의되어 이용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콜백을 위한 하이퍼링크와 단말기 통신비용 무료처리를 위한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무료콜백메시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이다. 상기 예는, WML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여 단말기(30)에 컨텐츠를 제공함에 적합하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10)는, 메인서버(11)와, 이에 연결된 WAP 다운로드 서버(12) 및 폰 서버(13)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서버(11)는, 상기 WAP 다운로드 서버(12) 및 폰 서버(13)에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제공하고, 관리, 수정하며,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제작하는 기능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컨텐츠는 복수일 수도 있다.
상기 WAP 다운로드 서버(12)는, 주로 컴퓨터 인터넷의 web 서버와 유사 기능 을 하는 것으로서, WAP 프로토콜을 따르는 각종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보유하며, 단말기 ID별로 식별하여 요구에 응하여 WAP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WML 스크립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폰 서버(13)는, SMS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컨텐츠 이용자별 데이터의 관리나, 광고 타깃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더욱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이동통신망(20)에 있어서, 상기 WAP 다운로드 서버(12)에는 WIG(Wireless Interface Gateway; 무선 인터페이스 게이트웨이, 이하 'WIG')(21)가 연결되고, 이에는 WAP G/W(WAP Gateway)(22)와, IWF(Inter-working Function)(23)가 순차 연결된다. 상기 폰 서버(13)에는 SMS G/W(SMS Gateway)(24)가 연결되고, 이에는 SMSS(25)와 SMSC(26)가 순차 연결된다. 상기 IWF(23)와 SMSC(26)에는 무선교환기(27)와 기지국(28)이 순차 연결된다.
상기 WAP G/W(22)는, HTTP 프로토콜 스택과 WAP 프로토콜 스택 상호간의 변환 기능을 하는 게이트웨이이다. 상기 IWF(23)는, 무선망과 유선망을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주지의 장치이다.
상기 SMSS(25)는, 외부망과의 연동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SMSC(26)는, 무선망의 교환기(27)와 공통선(SS NO. 7) 신호방식으로 연결되어, 각 단말기와의 송수신 단문메시지를 보관,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8)은 복수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30)는, 상기 기지국(28)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WAP 다운로드 서버(12)에서 제공되는 WML 스크립트에 의하여, 컨텐츠가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다른 일례이다.
상기 도 1 (a)의 예와 다른 점은, WAP 다운로드 서버(12)가 메인서버(11)에서 독립(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이외의 주체에 의하여 운영될 수도 있음을 의미)되어 있고, 폰 서버(13)가 WIG(21)에도 연결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WML 스크립트 대신에, 단말기에 탑재된 가상머신(VM)이, 컨텐츠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c)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또다른 일례이다.
상기 도 1 (b)의 예와 다른 점은, WAP 다운로드 서버(12)가 생략되어 있고, 폰 서버가 WIG(21) 및 PPG(Push Proxy Gateway; 이하 PPG)(2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PPG(29)는 WAP G/W(22)에 연결되고, 상기 PPG(29)에 SMSS(25)가 연결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폰 서버(13)가 PPG(29)에, 타깃 단말기 정보와 컨텐츠를 전송하여, 푸시를 요청함으로써, 이 PPG(29)가 PAP(Push Access Protocol)에 의하여 무선망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Push OTA(Over the Air)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WAP 푸시에 의하여, 컨텐츠를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의 (a) 내지 (c)는, 그 기능상 WAP 데이터와 SMS 데이터의 흐름을 가능케 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일례들일 뿐이다. 실제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시스템(10)은, 실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한 그 하부구성의 서버들(11, 12, 13)을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로 구성된다고 상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20)도, 실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한 그 하부의 구성요소들(21 내지 29)을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로 구성된다고 상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30)는, 반대로, 그 구성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다수의 구성요소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이와 같은 시각에서 3 주체로 통합하여 기술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이하에서는 설계상의 자유로운 변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d)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상기와 같은 다른 시각에서 표현한 일례이다.
여기서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시스템(10)의 모든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로 상정하여, 이를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20)의 모든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로 상정하고, 이를 이동통신사 서버(50)라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30)는, 적어도 특정 구성요소를 가지는 단말기로 상정하고, 이를 단말기(60)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와, 이동통신사 서버(50)와, 단말기(6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적어도 제어수단(41)과, 통신수단(42)을 가지며, 그 제어 하에, 또는 별도의 주체, 예컨대 하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의한 제어 하에, 접속지점(43)을 가진다. 상기 접속지점(43)이란, 후술할 하이퍼링크에 지정된 URL에 해당되는 인터넷 상의 위치 또는 이 위치에 구비된 WAP 페이지를 의미하며, 컨텐츠가 실제로 억세스되는 페이지를 말한다. 상기 접속지점(43)에 구비되는 WAP 페이지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로부터 업로드되고 관리됨이 통상이지만, 다른 주체에 의한 업로드 또는 관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WAP 페이지에 대한 접속 및 컨텐츠 송수신으로 인한 통신비용은, 소정 범위 내에서, 소정 주체, 예컨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측의 부담으로 할당된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각 기능 중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기 이동통신사 서버(50)의 제어하에 있거나, 이동통신사 서버(50)에서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적어도 제어수단(51), 통신수단(52), 및 과금수단(53)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과금수단(53)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또는 접속지점(43)과, 상기 단말기(60) 사이의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에 따르는 통신비용을 결정하고, 비용을 부과, 청구하는 수단이다. 통상,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이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이용자에 대한 레코드에 통신비용의 과금을 할당함으 로써 과금을 행한다. 과금의 후에는, 실제로 신용카드 결제, 현금결제 등의 과정을 통하여 집금이 이루어지며, 과금과 집금은 별개의 문제이다.
상기 단말기(60)는, 적어도 제어수단(61), 통신수단(62), 입력수단(63), 저장수단(64), 및 표시수단(6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입력수단(63)은, 이용자가 단말기에 명령을 하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 키(key)나 보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수단(64)은,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구성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저장, 소정 아이콘의 저장, 무료범위 파라미터의 저장 등에 이용된다. 상기 표시수단(65)은, 이용자에게 시각, 청각, 촉각적 출력을 행하는 것으로서, 화면 스크린(통상 LCD 화면)과, 기타의 스피커, 발광수단, 진동수단 등이 포함된다.
상기 각 제어수단(41, 51, 61)은, 기타 다른 수단들을 제어하는 수단이며, 통상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무형의 수단일 수 있다.
상기 각 통신수단(42, 52, 62)은, 물리적 통신의 형성, 연결과, 이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상기 도 1의 (a) 내지 (c)의 구체적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다른 구성에 의한 형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60)에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단말기에 도착하는 즉시,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후에, 단말기의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헤더, 제어정보, 하이퍼링크, 텍스트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하이퍼링크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ID, 메시지 전체의 사이즈, 그 하부에 가지는 구성요소들의 정보를 가지는 영역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갯수, 제어정보의 사이즈, 시간 스팬 시작점, 시간 스팬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도 좋다. 통상의 파일의 헤더와 거의 유사하다.
상기 제어정보는, 다시 일반 제어정보와 특수 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제어정보는, 예컨대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지거나 하는 경우에, 이들의 압축 해제 후의 메모리에 대한 매핑 규칙 등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상기 특수 제어정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유하게 마련된 것으로서, 무료통신의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 무료통신을 제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지정하는 무료범위 식별정보, 수익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 하이퍼링크 메시지 자체의 활성화 시각, 소멸 시각 등을 나타내는 활성화 식별정보, 하이퍼링크의 도착시 또는 표시시의 각종 세팅을 지정하는 도착 알림정보 등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는 후술한다.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표시수단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선택되었을 경우 에 점프하게 될 접속지점의 URL을 지정하는 요소이다. 복수의 하이퍼링크가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텍스트는, 상기 하이퍼링크의 전후에 표시되는 문구를 말한다. 접속을 유인하는 다양한 문구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먼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60)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43)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50)로부터 단말기(60)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이동통신사 서버(50), 단말기(60), 및 경우에 따라서는 접속지점(43)의 제어수단들에 있어서, 동일한 통일적 의미로 해석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이동통신사 서버(50)로 전송되고, 다시 이동통신사 서버(50)에서 단말기(60)로 전송되어, 상기 단말기(60)에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60) 측의 비용부담 없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 신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사 서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먼저,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동통신사 서버(50)에 보내고(110, 210, 310),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단말기(60)에 보낸다(120, 340, 410). 이때,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320),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관련된 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330)한다.
상기 단말기(6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도착 즉시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420)한다. 상기 판단은, 제어수단(61)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판단에서,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없다고 판단하면, 통상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로 간주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컨텐츠용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이 고스란히 단말기(60) 측의 부담으로 할당, 저장된다. 이 경우의 이하의 절차는 생략한다.
하지만 만일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특유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로 간주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종래와는 달리, 컨텐츠용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이, 소정 범위 내에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측의 부담으로 할당, 저장될 것으로 상정하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60)는, 먼저 상기 표시수단(65)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표시한다(130, 430). 다른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상기 판단 후 즉시 표시행위가 이루어진다. 다른 정함이라 함은, 후술하는 예약시각이 지정된 것과 같은 경우를 의미한다.
그 후, 대기하고 있다가, 이용자에 의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140, 440), 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6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상기 접속지점(43)에 대한 접속요청이 발생(150, 350, 450)한다.
상기 접속지점(43)은, 통상은 WAP 페이지로 상정되지만, 기타의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접속지점, 예컨대 파일의 다운로드만 가능한 FTP 유사 페이지이더라도 좋다. 또한 생성, 삭제, 수정, 제어 등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점(43)은, 도 1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 의하여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상정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의하여 관리되는 경우나, 기타 제3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이를 겸하는 경우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하이퍼링크의 선택은 입력수단(63)에 의하여, 선택 여부의 판단은 제어수단(61)에 의하여, 접속요청은 제어수단(61)의 통제하에 통신수단(6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요청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160, 360). 이때, 무료접속을 허용할지의 여부는, 상기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의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요청인지를 확인하고(350), 맞는 경우에만 허용(360)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60)는 접속지점(43)의 URL을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제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식의 접속은 공지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의 조치에 의한 상기 단말기(60)와 상기 접속지점(43) 간의 접속(230)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된다(160, 460). 여기서, 단말기(60)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송수신은 통신수단(62)에 의하여, 컨텐츠 활성화는 표시수단(65)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60)와 상기 접속지점(43) 간의 접속발생 여부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접속지점(43)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측으로 보고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상기 접속지점(43)의 접속 현황을 상시 감시하여도 좋으며, 또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상기 접속지점(43)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상기 접속지점(43)과 상기 단말기(60) 간의 접속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접속에 필요한 조치를 행하여야 함(240)은 당연하다. 상기 과정도 공지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여러가지가 될 수 있다. 예로서, 광고 등의 동영상, 설문조 사 등의 서베이, 리서치 내용, 할인쿠폰의 제공영상, 게임 시험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MPEG, AVI 등의 동영상은 물론이고, 플래시에 의한 동영상도 포함되며, 정지화상도 포함된다. 또한, 소리, 진동, 발광의 유무를 불문한다.
상기 컨텐츠의 활성화에 의하여 이용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이용자 측의 단말기(60)에 대한 명령에 의하여, 또는 후술하는 무료로 처리할 범위의 제한 등 각종 원인에 의하여 상기 접속이 종료(470)되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상기 과금수단(53)을 통하여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사이의 데이터 이용량(총 패킷량)의 결정과, 이를 토대로 하는 통신비용의 산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과금수단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의하여 접속이 이루어졌던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소정 범위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소정 범위 내에서, 그 금액을 상기 단말기(60)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40)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170, 370)하도록, 상기 과금수단(53)을 제어수단(51)이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금정보에 의하여, 추후에 과금 및 집금이 수행됨은 물론이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 및 단말기(60)에 있어서의 동작은, 주지의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되는 제어수단(41, 51, 6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기능을 가지도록 펌웨어를 구성하여, 이 펌웨어가 내장된 기능 블럭으로서의 제어수단(41)이, 물리적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과금수단(53)에 있어서도, 종래의 단순한 과금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내용에 따른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51)의 제어에 의하여 본 발명이 구현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본 발명의 내용에 따른 제어에 적합하게 과금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특유의 과금수단(53)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51)은 이 과금수단(53)에 기초정보만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작성하는 주체이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어느 단말기(60)에 전송되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주체이다. 이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직접, 또는 이에 주문을 하는 의뢰인(광고회사, 리서치회사 등)의 주문에 따라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전달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60)를 선별하는 조건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결정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전송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가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까지 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단말기(60) 선별주체와, 하이퍼링크 메시지 전달주체를 분리하면, 상기 단말기 선별주체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로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나 접속지점(43)에서 무료통신 처리의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설정된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매번 검사하는 것은,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나 접속지점(43)에 있어서 매우 로드가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따라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또는 접속지점(43)에, 미리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가지게 되는 단말기(60)의 리스트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로서 만들어두고, 이와 실제 접속된 단말기(60)를 비교하도록 함이 효율적이 된다. 상기 리스트는, 의뢰인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의하여 선별된 타깃 단말기(60)의 리스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제어수단(41) 및 상기 접속지점(43)의 제어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60)에 대한 소정 정보, 예컨대 단말기 ID, 전화번호 등을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110, 210)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함께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전송(110, 220)하며, 추후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결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60)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한다. 상기 확인은, 단말기 ID, 전화번호 등과 리스트 상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통신사 서버(50)에서 무료통신 처리의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하 이퍼링크 메시지에 설정된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매번 검사하는 것은,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있어서 매우 로드가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동통신사 서버(50)에, 미리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가지게 되는 단말기(60)의 리스트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로서 만들어두고, 이와 실제 접속된 단말기(60)를 비교하도록 함이 효율적이 된다. 상기 리스트는, 의뢰인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의하여 선별된 타깃 단말기(60)의 리스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의 제어수단(51)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60)에 대한 소정 정보를 저장한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내용 중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120, 330)하고,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결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60)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한다. 상기 확인은, 단말기 ID, 전화번호 등과 리스트 상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조건"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상기 조건은,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측에서 단말기(60) 측을 대신하여 이동통신사 서버(50) 측에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조건이며, 이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측은,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목적에 맞춰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비용부담을 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설정을 위해서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종래에 이동통신사 서버(50)로부터 단말기(60)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대신 지불함으로써 단말기(60)에 대해서는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여야 한다. 즉, 하이퍼링크 메시지에는, 접속지점(43)을 나타내는 하이퍼링크와, 무료통신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무료범위 식별정보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 대한 검사 및 이를 이용한 제어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또는 이동통신사 서버(50), 또는 단말기(60)에서 행할 수가 있다. 이하 각 경우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무료범위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510)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160, 460)하고,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즉 무료범위를 벗어난 경우(520)에는 접속을 종료(530)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의 제어수단(51)은,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 가 포함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단말기(60)에 전송하기 전에, 그 ID, 전화번호 등의 단말기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무료범위의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차후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요청이 발생된 경우에, 그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510)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즉 무료범위를 벗어난 경우(520)에는 접속을 종료(530)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제어수단(41) 및 상기 접속지점(43)의 제어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단말기(60)에 전송하기 전에, 그 ID, 전화번호 등의 단말기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무료범위의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차후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요청이 발생된 경우에, 그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510)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즉 무료범위를 벗어난 경우(520)에는 접속을 종료(530)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어느 쪽에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이더라도, 그 제어를 행하는 쪽에서, 상기 관련 파라미터를 누적하여, 그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 만 접속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60)의 무료접속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작성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정한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60)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43)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설정될 수 있고, 또한 이들은 각각의 개별 단말기마다의 제한으로 작용하도록 설정하거나, 하나의 접속지점 전체에 대한 억세스의 제한으로 작용하도록 설정하거나, 한 종류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억세스 전체에 대한 제한으로 작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총 패킷량이란,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사이의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에 의하여 발생하는 패킷의 누적 총량을 말하며, 상기 접속 유효기간이란, 상기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접속을 허용하는 기한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접속 횟수란, 상기 히이퍼링크를 이용한 접속을 몇 번까지 허용할 것인지의 횟수를 말하며, 상기 접속지점 최상위폴더란, 상기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접속에 의하여 억세스 가능한 폴더 중의 최상위에 해당되는 폴더를 제한하여, 그 이하의 폴더만을 억세스 가능하게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정보들은 본 발명에서만 사용되는 특수 제어정보이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기존 필드의 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메시지 프로토콜의 유보영역 또는 유보값에 메타정보 필드값으로 신규 할당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와 무료범위 식별정보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URL, 77=Free, 200Kb, 3times, 6hrs
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URL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 부분을 선택할 경우에 점프하게 되는 접속지점(43)의 URL을 의미하고, 77은 무료콜백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이며, 200Kb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이용시의 패킷 송수신의 제한량인 총 패킷량, 3 times는, 접속의 횟수를 제한하는 접속 횟수, 6hrs는 메시지 수신 후 6시간 이내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로서 숫자 77을 사용하는 것은, 서비스타입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는 Teleservice ID, 즉 TID라 하며, 현재 이동통신사에서는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의 서비스 타입을 service_type or TID = 5로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TID = 5로 설정되면,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이 단말기(60)에 부과된다. 본 발 명에서는, 이와는 다른 서비스, 즉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이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 부과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구별을 위하여, TID = 77로 정하고 있다. 물론 이 77이라는 숫자는, 프로토콜에서 허용하는 한 다른 숫자나 문자이어도 좋다.
단말기(60)에서는, 상기 서비스 타입 코드를 조사하여, 이것이 무료로 처리하는 코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60)의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해 주는 무료콜백메시지, 즉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라고 판단하게 된다.
무료콜백메시지라고 판단되면, 단말기(60)는, 소정의 무료통신표시, 즉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무료콜백메시지라는 것을 표시장치에 명확히 표시하게 된다.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의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는, 그 파라미터를 모두 단말기에서, 또는 모두 이동통신사 서버에서, 또는 모두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체크하고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들 파라미터들을 적절히 조합하고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각 단말기(60)에 대한 총 패킷량을 제한하는 내용을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특수 제어정보인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정보"에 설정하고, 이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접속을 행하는 단말기(60)에서 체크하여 제어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발송한 단말기(60)의 수를 알고 있기 때문 에,
메시지 발송량 * 단말기별 총 패킷량 = 최대 지불비용
이 되므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통하여 접속될 총 통신비용의 상한선을 명백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상기 접속지점(43)에 대한 URL을 지정하되, 특정 폴더 이하에만 억세스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내용을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특수 제어정보인 "접속지점 최상위폴더"에 설정하고, 이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기 접속지점(43)에서 체크하여 제어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통하여 접속될 때, 상기 단말기(60)가 상기 제한범위의 폴더보다 상위 폴더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통신비용을 지불하게 될 유효범위로서의 폴더의 범위를 명백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각 단말기에 대한 접속 유효기간과 접속 횟수를 제한하는 내용을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특수 제어정보인 "접속 유효기간"과 "접속 횟수"에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60)에서 체크하여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접속 유효기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접속 횟수가 초과하면, 상기 접속지점(43)에 대한 접속이 불능으로 처리되므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통하여 접속될 때의 통신비용을 지불하게 될 유효범위를 명백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 신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표시수단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송되자마자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에 의하여 분석된다. 상기 분석 결과,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65)에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도착한 사실을 알리기 위하여 그 제목을 표시하면서, 이와 동시에 무료통신표시를 행한다.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a)는,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의 아이콘의 예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의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다. 종래의 아이콘은, 편지봉투 모양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콜백메시지에 이러한 아이콘을 공통으로 사용하기로 한다면,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와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를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예컨대 도 8의 (b)와 같이, FREE라는 글씨가 무료임을 나타내는 편지봉투 모양의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에 적용될 아이콘은, 상기 편지봉투 모양이나, FREE라는 글자 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용 아이콘과 구분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아이콘이라도 본원의 무료콜백메시지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상기 전용 아이콘에 국한되지 않는다. 시각적 표시로서는, 상기 아이콘 이외에도 특정 패턴을 가지는 램프의 발광 또는 점멸이 무료통신표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청각적 표시로서는, 전용 멜로디(차임 포함), 음성 멘트(예컨대, "무료콜백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가 무료통신표시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촉각적 표시로서는, 특정 패턴을 가지는 진동이 무료통신표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요컨대, 단말기(60) 사용자가, 통신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 메시지, 즉 무료콜백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표시이면 어떠한 표시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의 (d)는, 단말기(60)의 표시수단(65)에 나타나는 메시지함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메시지함은, "SMS 메시지함"과 "무료접속 메시지함"으로 메뉴가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무료접속 메시지함을 별도로 상위 메뉴에 나타나도록 설정하여도 좋고, 별도의 버튼에 할당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8의 (e)는, 상기 무료접속 메시지함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는 "무료 접속 페이지"와 "수익 발생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익 발생 페이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의 (f)는, 상기 무료 접속 페이지를 선택한 경우의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는 상기 도 8의 (b)의 전용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는 다수의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제목을 볼 수 있다. 물론 이와 함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가 출력되거나,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이 행하여지거나, 전용 패턴의 진동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8의 (f)의 1번 "푸른 하늘...여행을 떠나자!"를 선택하면, 그 내용을 볼 수 있다. 예컨대
"푸른 하늘의 가을... 어디론가 여행을...지금출발
여기를 선택 국제사이버여행"
과 같은 문구가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국제사이버여행"은 하이퍼링크이고, 이를 클릭하면 미리 설정된 URL의 접속지점(43)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에 의한 통신비용은, 소정 범위 내에서, 단말기(60)에는 부과되지 않도록 처리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수익을 발생시킬 조건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단말기(60) 측의 접속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그 접속 및 컨텐츠 이용에 의한 소정의 기여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말기(60) 측에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설문조사에 응한 경우에, 소정의 설문조사 수고비를 지급한다든지, 광고를 시청한 경우에, 소정의 광고 시청비를 지급하는 등의 경우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작성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단말기(60)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속지점(43)에 대한 URL과, 무료통신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수익발생 식별정보도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60)에 도착하면, 상기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610)한다. 만일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있는지에 따라서 이는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 또는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로서 취급하며, 만일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65)에 소정의 수익발생표시를 부여하여 표시(620)한다.
여기서, 상기 수익발생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c)는, 상기 수익발생표시의 일례인 아이콘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이콘은 복주머니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8의 (a) 등과 같은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의 아이콘과도, 도 8의 (b)와 같은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의 아이콘과도 구별되는,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면, 어떠한 모양이더라도 좋다.
도 8의 (e)는, 무료접속 메시지함이 표시수단(65)에 나타난 예이고, 여기서 "수익 발생 페이지"가 메뉴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익 발생 페이지가 상위 메뉴에 나타나도록 설정되어도 좋고, 아예 수익발생 메시지함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도 8의 (g)는, 상기 수익 발생 페이지가 선택된 경우의 화면의 일례이다. 상기 수익 발생 페이지에는 다수의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용 아이콘이 부여된 상태로 그 제목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상기 1번 제목 "훼밀리 레스토랑 통합 쿠폰"을 선택하면, 예컨대
"모든 훼밀리 레스토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드려요.
여기를 선택 마구마구통합쿠폰"
이라고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마구마구통합쿠폰"은 하이퍼링크이고, 이는 소정 URL의 접속지점(43)으로 연결시켜준다.
상기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말기 측 통신비용 무료처리를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동시에,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제어수단(41) 및 상기 접속지점(43)의 제어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및 활성화 동안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소정 조건에 관련된 파라미터, 예컨대 최소 광고시청시간, 최소 설문응답항목수 등의 정보를 누적(640)한다. 그리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 동안에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소정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650)를 행한다.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이용한 송금, 선물발송, 경품, 쿠폰, 사이버머니의 지급, 포인트의 누적 등을 말하며, 이를 구현하는 것은 공지기술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익은, 유형 또는 무형의 선물,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선물은, 무형의 서비스 형태의 선물이나 현금을 포함한다. 상기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등에 대해서는, 그 명칭의 다소의 차이를 불문하고, 소정의 경제적, 또는 심리적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머니, 전자머니, 전자화폐 등도 모두 사이버머니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쿠폰, 포인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넓게 해석하여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나타날 예약시각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60)에 도착한 직후에 곧바로 표시수단(65)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예컨대, 심야, 새벽시간대와 같이 통신할인비용이 적용되는 시간대에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단말기(60)에 침묵적(silent)으로 보낸 후에, 단말기(60)가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시간대인 점심시간대 등에 표시수단(65)에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절감할 수 있는 통신비용은 실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작성하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표시수단(65)에 나타나도록 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예약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여야 한다. 즉, 하이퍼링크와, 무료통신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예약시각 식별정보도 가져야 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60)에 도착하면, 상기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710)한다. 만일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의 유무에 따라서,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나,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와 같이 취급하게 된다. 만일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즉시 표시수단(65)에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무료통신표시 등을 행하지 않는다. 즉, 단말기(60)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받기는 하였으나, 이를 침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1)은, 상기 예약시각이 도래하였는지를 체크(720)한다. 만일 도래하였다면, 이제야 비로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65)에 표시(730)하는 것이다. 상기 예약시각의 도래 여부의 판단은, 미리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에 타이머 또는 이벤트의 체크를 설정하는 주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삭제될 삭제시각이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삭제시켜야 할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너무 많이 저장되어 있어서, 신규 메시지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미리 이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로서의 컨텐츠의 접속 유효 기한에 대한 설정을 하였는지 여부에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 자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작성할 때, 이를 특수 제어정보로서 입력해 둘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삭제시각이란,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입장에서 보면, 프로그램된 자살시각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서 작성되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저장수단에서 삭제될 시각을 지정하는 삭제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속지점의 URL, 무료통신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삭제시각 식별정보도 가져야 한다.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상기 단말기(60)에 도착하면, 상기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810)한다. 만일,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의 유무에 따라 종래의 유료콜백메시지나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로서 취급된다. 만일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삭제시각이 도래하는지를 체크(820)하여, 삭제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저장수단에서 삭제(830)한다. 상기 삭제시각의 도래 여부의 판단은, 미리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에 타이머 또는 이벤트의 체크를 설정하는 주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이용되는 컨텐츠가,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인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일반적으로, 리서치에 필요한 설문조사와 같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내용이 질문과 응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다량의 정보가 일목요연하게 통계처리될 필요가 있으며, 컨텐츠의 이용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종래에는 접속이 중간에 끊어진 경우에, 새로 처음부터 질문이 재시작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중복 응답에 의한 불편이 컸었다. 이러한 형식의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경우에, 단말기 측의 통신비용이 무료로 처리되는 본 발명을 이용하면, 컨텐츠의 이용이 더욱 원활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상기 컨텐츠는, 설문조사 등과 같이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가져서, 단말기(60)의 표시수단(65)에 무료통신표시(아이콘)이 표시되고, 이의 선택에 의하여 접속지점(43)에 통신비용 무료로 접속된 경우에, 그 컨텐츠가 도 12의 (a)와 같은 설문내용이고, 이와 1대1 대응되는 WAP 데이터베이스가 도 12의 (b)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면, 이 단말기(60)의 표시수단(65)에 도 12 (a)와 같이 1번 색깔에 대한 질문, 2번 음악장르에 대한 질문 등이 행하여지고, 이에 대한 응답을 2, 노랑, 2, 트롯 등으로 행하여 갈 때에, 상기 응답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각 대응되는 필드에 순차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즉, 예컨대 상기 응답의 입력을 받은 접속지점(43)은, 그 응답을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필드에 해당되는 변수에 저장하고, 상기 변수를 필드값으로 치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단말기(60)에서도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역시 응답을 순차 행하게 되는데, 이때, 1번 질문에는 1번 빨강으로, 2번 질문에는 3번 발라드로... 등의 응답을 행하였다면, 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다음 레코드(레코드 번호 2)의 대응 필드에 순차 입력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또다른 단말기(60)에서도 역시 상기 컨텐츠에 접속한 경우, 1번 질문에는 3번 파랑으로, 2번 질문에는 1번 POP로... 등의 응답을 행하였다면, 이도 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다음 레코드(레코드 번호 3)의 대응 필드에 순차 입력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요령으로, 리서치 등의 설문조사와 같은 컨텐츠 접속자가 응답을 행하면, 그 응답을 순차적으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입력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즉시 집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응답 도중에 접속이 종료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역이 간혹 존재한다. 이런 장소를 지나게 되면 접속이 무단 종료될 수 있다. 이런 때에, 차후 다시 재접속한 경우에, 지금까지 응답을 완료한 질문은 건너뛰고, 그 다음의 질문부터 활성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기(60) 또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또는 접속지점(43)의 어느 일부에, 상기 단말기의 ID, 상기 컨텐츠의 ID, 상기 질문항목의 ID를 기억시켜 두고(예컨대 커런트 필드 등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음), 매 질문항목의 응답시마다 이를 갱신하다가, 접속 종료 후 재접속시에는 상기 최근 질문항목의 ID를 참조하여 활성화될 질문의 시작 번호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2의 (c)와 같이 2번 음악 장르에 대한 질문에 응답을 완료한 후, 접속 종료가 이루어진 경우, 단말기(60)로부터 재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최근 응답 번호를 참조하여, 그 다음인 3번 음식 질문부터 활성화시키도록 제어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무료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유료통신을 가능하게 전환하도록 설정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가 단말기(60)의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하는 무료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60)에서 통신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계속 이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가 신작 영화의 예고편 동영상이고, 그 통신비용 무료처리 범위가 앞의 20분에 해당되는 분량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그 20분 분량이 송수신된 후에는 접속이 종료되므로, 단말기(60) 측에서 이를 유료로라도 연속하여 계속 시청하고자 하 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 지정된 파라미터, 예컨대 총 패킷량에 있어서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기(60)와 접속지점(43) 간의 접속이 불능으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유료로 전환할 것인지를 확인(910)하고, 유료로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60)의 제어수단(61)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수단(62)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60)와 상기 접속지점(43) 간의 접속을 가능으로 설정(920)하게 된다. 물론, 상기 단말기(60)는, 그 후에 상기 하이퍼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대하여, 상기 접속지점(43)에 접속하고자 하는 접속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이를 수락하되,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통신비용을 단말기(60)의 과금정보로서 저장(930)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또는 접속지점(43)에 있어서도,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없기 때문에, 비용부담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 처리하여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속지점(43)이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통제하에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사 서버(50)에서 직접 접속지점(43)을 구축하거나, 관리, 제어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접속지점(43)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지만, 상기 접속지점(43)에 대한 단말기(60)의 접속과 관련된 비용이 상기 본원의 방법에 의하여 통제되고 과금되는 경우에는, 이는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소정의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이 구현되는데 있어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60), 이동통신사 서버(50)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는, 통신수단(42)과 접속지점(43)을 제어하고,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한 후,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을 허용하고, 접속관련 소정 정보를 누적하는 제어수단(41)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41)은, 그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프로그램이 펌웨어로 내장된 장치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50)는, 통신수단(52)과 과금수단(53)을 제어하고,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단말기의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한 후, 상기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의 단말기(60)로부터의 접속을 허용하고, 접속관련 소정 정보를 누적하며, 차후 그 통신비용을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1)과, 상기 제어수단(51)의 명령에 의하여 통신비용을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의 과금정보로서 저장하는 과 금수단(53)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51) 및 과금수단(53)은, 그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프로그램이 펌웨어로 내장된 장치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60)는, 통신수단(62), 입력수단(62), 저장수단(64), 표시수단(65)을 제어하고,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이를 무료통신표시와 함께 표시수단(65)에 표시하며, 그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접속지점에 접속하고, 컨텐츠 송수신 및 활성화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61)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은, 그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프로그램이 펌웨어로 내장된 장치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60), 이동통신사 서버(50)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일대일 대응된다. 그리고, 그 하위 개념인, 무료범위 식별정보의 설정, 수익발생 식별정보의 설정, 예약시각 식별정보의 설정, 삭제시각 식별정보의 설정 등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60), 이동통신사 서버(50)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시스템에 있어서의 그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60), 이동통신사 서버(50)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40) 시스템은, 상기 방법이 구현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적절한 하드웨어에 펌웨어 형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를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 사업자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간에 설정된, 소정의 무료콜백 하이퍼링크를 가지는 메시지에 의하여 컨텐츠의 이용하여, 컨텐츠 송수신 통신비용을 단말기 측에 부담시키지 않고,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측에서 부담시키는 비용부담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통상의 무료 SMS처럼 부담없는 접속을 가능케 하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용부담의 전환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미리 정한 소정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측의 비용의 예측이 가능하고, 적정한 비용 범위 내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기획된 컨텐츠의 제공 및 이용이 가능하므로, 건전한 모바일 인터넷 산업 및 이용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적정한 필요범위 내의 통신을 부담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단말기 측의 이용과, 광고주 측의 광고효과 증대와,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의 수익 증대와, 이동통신사 측의 통신비용 확보의 효과를 창출하며, 나아가서 모바일 인터넷 관련 산업의 진흥을 가져오게 된다.
즉, 특정 모바일 컨텐츠 접속 사용시, 미리 설정된 소정 패킷 총량, 접속 횟 수, 접속 유효기간에 대한 한계 범위 내에서, 단말기 측이 통신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하면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측이 상기 설정한 범위 내에서 이를 대신하여 이동통신사 측에 통신비용을 지급하도록 제한하는 구체적 기술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이용에 따라서 단말기 측에 소정 수익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단말기 측의 수익이 초래되어, 컨텐츠에 대한 보다 활발한 무료이용이 도모된다.
여기서,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소정 표시를 통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통신비용이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메시지 또는 이와 더불어 수익이 발생되도록 하는 메시지임을 명확히 알 수 있게 하는 표시방법이 제공되어, 유료콜백메시지와 본 발명의 무료콜백메시지를 명확히 구별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측에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에 나타나는 시각과,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측에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단말기에서 삭제되는 시각을 제어할 수 있어서, 저렴한 통신비용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보내고, 이용이 많은 시간에 활성화하는 기능과, 단말기에 메시지가 과다하게 쌓이지 않고,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리서치와 같이, 다수의 소정 질문항목에 응답하는 컨텐츠의 경우에는, 상기 응답 즉시 집계되도록 하고, 응답 도중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도, 재접속에 의하여 연속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하여, 집계의 편의성, 신속성, 정확성의 증대와, 재접속시의 응답의 간편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무료로 처리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도, 단말기 측에서 유료로 전환하여 접속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일단 무료처리가 종료하여 접속이 종료하게 되더라도, 맘에 드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이를 유료로 전환하여, 계속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이 제공되므로, 상기 단말기의 보급,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보급에 의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무료콜백메시지의 이용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9)

  1.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접속요청이 발생하고, 상기 접속요청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과금수단을 통하여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하여, 이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 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기 전에, 그 단말기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무료범위의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차후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요청이 발생된 경우에, 그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기 전에, 그 단말기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무료범위의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차후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요청이 발생된 경우에, 그 단말기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수익발생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및 활성화 동안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소정 조건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익은, 유형 또는 무형의 선물,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익발생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표시수단에 나타나도록 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예약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예약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비로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 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저장수단에서 삭제될 시각을 지정하는 삭제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삭제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저장수단에서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결정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함께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저장한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내용 중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1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이 불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가능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점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 방법.
  21.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통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표시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저장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무료통신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료통신표시가 부여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으로부터 과금되지 않은 채 상기 접속지점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송수신하면서, 이를 상기 표시수단에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무료통신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소정의 수익발생표시를 부여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익발생표시는, 전용 아이콘, 전용 멜로디, 전용 음성멘트, 전용 패턴의 램프의 발광, 점멸, 전용 패턴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전용 메시지함에 할당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29.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표시수단에 나타나도록 하는 시각을 지정하는 예약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예약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예약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비로소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30.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저장수단에서 삭제될 시각을 지정하는 삭제시각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상기 삭제시각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삭제시각이 도래하고 나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상기 저장수단에서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31.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이 불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가능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단말기.
  32.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전송받아서,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 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통신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및 상기 접속지점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접속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위한 접속에 대하여 부과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대한 과금정보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을 이루며, 상기 과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용의 산정과 과금정보의 저장을 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 통신사 서버.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 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5.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을,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전송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6.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8.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의 내용 중 소정 정보를 무료처리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39.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점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이동통신사 서버.
  40. 적어도 통신수단, 과금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적어도 통신수단과 표시수단, 입력수단, 저장수단, 제어수단을 가지는 단말기에 전송되어 저장 및 표시된 하이퍼링크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소정의 컨텐츠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 또는 활성화되도록 하는, 적어도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말기에 활성화될 컨텐츠의 접속지점을 지정하는 하이퍼링크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함을 나타내는 무료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통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지점에 접속되어,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은, 상기 단말기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무료통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접속지점 간의 접속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에,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의 과금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속에 대한 과금을 받으면서,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에 의하여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부과될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제한범위인 무료범위를 나타내는 무료범위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에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무료범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은,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무료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무료범위 식별정보는,
    (1) 상기 단말기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2) 상기 접속지점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3)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에 대한 총 패킷량, 접속 유효기간, 접속 횟수, 접속지점 최상위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3.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 접속을 통하여 소정 조건 충족시에 상기 단말기에 소정 수익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수익발생 식별정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의 송수신시 및 활성화 동안에 상기 수익발생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소정 조건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파라미터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익발생을 위한 처리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수익은, 유형 또는 무형의 선물, 경품, 쿠폰, 포인트, 사이버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5.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대상 단말기를 선별하는 조건은,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에서 결정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6.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1 이상의 소정 질문항목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각 항목에 응답하면, 응답이 그 항목에 대응되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모든 항목의 응답 완료 전에 접속이 종료되고, 그 후에 다시 재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항목 중 응답이 완료된 항목의 다음 항목부터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4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의 제어수단 및 상기 접속지점의 제어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가 데이터 송수신 통신비용을 무료로 처리할 대상 단말기에 대한 소정 정보를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하이퍼링크 메시지와 함께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와 접속지점 간의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용부담대상 리스트에 기재된 단말기인지의 확인 후에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 더 서버.
  49.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점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용 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KR1020050112983A 2005-05-30 2005-11-24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KR10081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983A KR100811093B1 (ko) 2005-05-30 2005-11-24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JP2008514540A JP2008546299A (ja) 2005-05-30 2006-05-18 ハイパーリンクメッセージを利用したモバイルコンテンツの接続及び送受信方法、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プロバイダーサーバー、及びコンテンツプロバイダーサーバーシステム
US11/570,121 US7680483B2 (en) 2005-05-30 2006-05-18 Mobile content access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hyperlink message, and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erver and content provider server for the same
PCT/KR2006/001854 WO2006129923A1 (en) 2005-05-30 2006-05-18 Mobile content access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hyperlink message, and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erver and content provider server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337 2005-05-30
KR20050045337 2005-05-30
KR20050055442 2005-06-27
KR1020050055442 2005-06-27
KR1020050112983A KR100811093B1 (ko) 2005-05-30 2005-11-24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542A true KR20060124542A (ko) 2006-12-05
KR100811093B1 KR100811093B1 (ko) 2008-03-06

Family

ID=3748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983A KR100811093B1 (ko) 2005-05-30 2005-11-24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0483B2 (ko)
JP (1) JP2008546299A (ko)
KR (1) KR100811093B1 (ko)
WO (1) WO200612992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84B1 (ko) * 2007-04-24 2008-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더블유씨디엠에이 망에서의 무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845313B1 (ko) * 2007-01-17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의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96939B2 (en) 2007-02-14 2013-03-12 Ntt Docomo, Inc.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device, terminal,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8744424B2 (en) 2002-05-20 2014-06-03 Ntt Docomo, Inc. Portable termina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for program startup management
KR20160043682A (ko) * 2014-10-14 2016-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존 기반 컨텐츠 제공을 위한 중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4639A1 (en) * 2007-01-30 2008-08-07 Bubble Motion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messages to mobile devices
JP4865581B2 (ja) * 2007-02-08 2012-0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ンテンツ流通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
US9009309B2 (en) * 2007-07-11 2015-04-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oken-based crediting of network usage
US7975003B1 (en) 2008-02-05 2011-07-05 Sprint Spectrum L.P. Method for tracking payable media content transactions
US8977717B2 (en) * 2009-06-17 2015-03-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s with shared scalable caching
US8693358B2 (en) 2010-12-16 2014-04-08 Syniverse Technologies, Inc. Providing toll free data in a wireless system
KR101941634B1 (ko) * 2011-01-28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금 제어장치 및 방법
US10110389B2 (en) * 2011-02-10 2018-10-23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toll free data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974B1 (en) * 1998-12-30 2003-04-29 D'alessandro Alex F. Method for evaluating current business performance
JP2001036664A (ja) * 1999-07-21 2001-02-09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Web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ネット商取引システム
JP2001326756A (ja) * 2000-03-10 2001-11-22 Takeo Koike インターネット接続システム
KR20010000124A (ko) * 2000-05-20 2001-01-05 박석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인터넷 마케팅 및 광고 방법
JP2002007283A (ja) * 2000-06-22 2002-01-11 Nec Commun Syst Ltd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JP2002064637A (ja) * 2000-08-17 2002-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声応答方法および音声応答装置
JP2002135427A (ja) * 2000-10-26 2002-05-10 Ricoh Co Ltd 携帯電話広告システム
JP2002170046A (ja) * 2000-12-01 2002-06-14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0416342B1 (ko) 2001-02-06 2004-01-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ms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방법 및시스템
US20030032409A1 (en) * 2001-03-16 2003-02-13 Hutcheson Stewart Dougla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78060A1 (en) * 2001-05-25 2002-11-28 Sheehan Patrick M.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redeeming electronic paperless coupons
US20020184319A1 (en) * 2001-05-31 2002-12-05 Willner Barry E.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n information address
FI20011342A0 (fi) * 2001-06-25 2001-06-2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tiedon hankkimiseksi
US20030105659A1 (en) * 2001-12-03 2003-06-05 Jonathan Eisenstein Transaction-based survey system
JP2004038691A (ja) * 2002-07-04 2004-02-05 Ntt Docomo Inc 課金処理システム、課金処理方法
KR20040029594A (ko) * 2002-10-01 2004-04-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url 메시지 수신방법
KR20040044804A (ko) * 2002-11-22 2004-05-31 허창영 발신자 정보와 이동통신 에스엠에스(단문메세지전송서비스) 푸쉬(왑/미)서비스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컨텐츠 원클릭 접속방법
KR20040063425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멀티미디어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0817561B1 (ko) * 2003-02-12 2008-03-27 강지훈 Sms를 이용한 정보 검색·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2273A (ko) 2003-05-27 2004-12-04 (주) 예스컴 무선인터넷기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및 조회 서비스
KR20040102773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사라토가 에이치앤비 차가버섯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료
KR100706966B1 (ko) * 2003-09-08 2007-04-11 박종도 무료정보이용권 서비스 시스템
KR20050048986A (ko) * 2003-11-20 2005-05-25 (주)큐브테크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3904B1 (ko) * 2004-03-29 2006-09-18 김선호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정보 제공 방법
KR20040077638A (ko) * 2004-08-18 2004-09-04 이현주 모바일광고가 첨가된 메시지서비스를 위한 모바일광고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424B2 (en) 2002-05-20 2014-06-03 Ntt Docomo, Inc. Portable termina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for program startup management
KR100845313B1 (ko) * 2007-01-17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의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96939B2 (en) 2007-02-14 2013-03-12 Ntt Docomo, Inc.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device, terminal,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1296562B1 (ko) * 2007-02-14 2013-08-13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컨텐츠 유통 관리 장치, 단말 장치, 프로그램 및 컨텐츠 유통 시스템
KR100812484B1 (ko) * 2007-04-24 2008-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더블유씨디엠에이 망에서의 무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60043682A (ko) * 2014-10-14 2016-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존 기반 컨텐츠 제공을 위한 중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7098A1 (en) 2008-11-20
JP2008546299A (ja) 2008-12-18
KR100811093B1 (ko) 2008-03-06
WO2006129923A1 (en) 2006-12-07
US7680483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093B1 (ko) 하이퍼링크 메시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접속 및 송수신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사 서버 및컨텐츠 프로바이더 서버 시스템
US7881976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discounted referral and recommendation of electronic content
CN101218806B (zh) 用于通信系统的订户的信息服务和管理服务门户
RU2467394C2 (ru) Множество действий и значков для рекламы в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RU24825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сылки информации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20070282959A1 (en) Message push with pull of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s computing device
US20060217135A1 (en) Multimedia products and services marketing and sales method and methods of conducting business
WO2001093138A1 (fr) Procede et systeme de distribution de publicites sur un reseau
JP2002140611A (ja) 広告配信中継システム
CN103368826A (zh) 用于提供广告消息的系统和方法
JP2005524912A (ja) 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980245A (zh) Wap网关服务器的业务处理方法
JP2002170027A (ja) 広告配信事業およびシステム
WO2008091179A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ых сообщений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P21683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of communications
KR20100071214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35066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 전광판 시스템의 메시지 서비스방법
KR20010107406A (ko) 유무선 전광판 광고시스템
JP3900858B2 (ja) 施設案内システム
KR20060070284A (ko) 멀티메시지를 이용한 간접 푸시방식의 모바일 광고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997032B (zh) 一种基于wap浏览请求的首页定制系统及其方法
KR20080104394A (ko) 모바일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정보 제공 장치
EP20460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of communications
KR101092950B1 (ko) 디지털 명함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08130270A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ых сообщений рекламодателей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с учетом параметров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