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676A -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676A
KR20060123676A KR1020060100136A KR20060100136A KR20060123676A KR 20060123676 A KR20060123676 A KR 20060123676A KR 1020060100136 A KR1020060100136 A KR 1020060100136A KR 20060100136 A KR20060100136 A KR 20060100136A KR 20060123676 A KR20060123676 A KR 2006012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tary
bottle
transf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628B1 (ko
Inventor
공후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피스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6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3Grippers, e.g. suction or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용기 이송장치로 공급 및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 이송장치(300)에 맞물려 연동되어, 용기 공급장치(43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로터리 승강장치(410)와 ;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430) 및;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배출장치(430)로 이루어져서, 용기 공급장치(43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로터리 승강장치(41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구조가 대폭 단순화되고,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며, 보다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Loading and unloading rotary equipment for bott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가 페트병의 목부분 결정화장치에 적용되어진 일예를 도시한 평면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구성하는 로터리 승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3에 도시된 로터리 승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구성하는 로터리 승강장치의 캠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구성하는 용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구성하는 용기 배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70 ; 용기 가이드판, 80 ; 외부 용기 공급장치,
90 ; 외부 용기 배출장치, 100 ; 구동장치,
200,200' ;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 300 ; 용기 이송장치,
310 ; 홀더 이송용 체인, 330 ; 홀더,
400 ; 용기 공급·배출장치, 410 ; 로터리 승강장치,
411 ; 회전드럼, 412 ; 체인기어,
413 ; 출력기어, 414 ; 용기 이송기구,
414a ; 이동블록, 414b ; 그립퍼,
415 ; 제1캠, 416 ; 제2캠,
420 ; 용기 공급장치, 421 ; 회전축,
422 ; 입력기어, 423 ; 용기 이송판,
424 ; 완충기구, 430 ; 용기 배출용 로터리장치,
431 ; 회전축, 432 ; 입력기어,
433 ; 용기 이송판, 500 ; 가열장치,
600 ; 장력조절장치,
E ;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승강장치의 제1캠 이동경로,
P ; 용기, R1 ; 가열실,
R2 ; 냉각실.
본 발명은 용기(Bottle)를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용기 이송장치로 공급 및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기는 재질에 따라서 유리제, 플라스틱제, 도자제(陶瓷製)등로 구분되며, 그 형상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된다.
한편,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서, 용기를 성형하거나, 용기에 내용물을 채워넣는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고, 이로 인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처럼 용기를 성형하거나, 용기에 내용물을 채워넣는 등의 작업을 자동화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용기 이송장치에 용기를 안착시켜서 용기가 용기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어 별도의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처리되도록 한 후, 가공처리가 완료되면 용기 이송장치로부터 용기를 끄집어내서 다음 공정으로 배출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 공급·배출장치로는 통상 로터리타입의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가 매우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자동화 장비의 제품 가격 상승요인이 되고, 유지 및 보수가 불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한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 이송장치(300)에 맞물려 연동되어,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로터리 승강장치(410)와 ;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420) 및;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배출장치(430)로 이루어져서, 용기 공급장치(42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로터리 승강장치(41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장치가 페트병의 목부분 결정화장치에 적용되어진 일예를 도시한 평면 배치도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결정화장치는, 구동장치(100)와 ; 구동장치(100)에 의해 맞물려 회동되어서, 가열장치(500)에 의해 가열된 용기의 목부분을 냉각하는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200) ;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200)에 맞물려 연동되어서, 용기를 공정진행방향으로 순환 이송하는 용기 이송장치(300) ;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200)에 맞물려 연동되어서,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공급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의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400) ; 용기 이송장치(300)에 의해 용기 공급·배출장치(400)로부터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200)로 이송되는 용기의 목부분을 가열하는 가열장치(500) ; 용기 이송장치(3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600)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결정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장치(100)가 가동되면, 이에 맞물린 프리폼 냉각용 로터리장치(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드럼(2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 냉각용 로터리장치(200)에 맞물린 프리폼 이송장치(300)의 홀더 이송용 체인(310 ; 도 3 참조)이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강제 순환되고, 프리폼 이송장치(300)에 맞물린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가 이에 상응하게 연동된다.
이처럼 결정화장치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프리폼이 외부로부터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의 프리폼이 프리폼 이송장치(300)의 홀더(330 ; 도 3 참조)로 전달되고, 상기 프리폼 이송장치(300)의 홀더(330)에 안착된 프리폼은, 이후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되고, 가열장치(600)는 이러한 프리폼의 목부분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가열장치(600)에 의해 목부분이 가열된 프리폼은 이후 프리폼 냉각용 로터리장치(200)로 이송되어 냉각처리된 후,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에 의해서 프리폼 이송장치(3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이송장치(300)에 맞물려 연동되어,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로터리 승강장치(410)와 ;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420) 및;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배출장치(430)로 이루어져서, 용기 공급장치(42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로터리 승강장치(41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리 승강장치(410)가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들거나 내리면서, 일시적으로 쥐거나 놓아서, 용기를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거나, 용기 이송장치(300)로부터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고, 용기 공급장치(4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단지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이송만 하며, 용기 배출장치(430)는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단지 외부로 배출만 하므로,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의 구조가 대폭 단순화된다.
또한, 작동 구조 역시도 매우 단순하여,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상기 로터리 승강장치(41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411)과 ; 회전드럼(411)에 고정되어, 용기 이송장치(300)를 구성하는 홀더 이송용 체인(310)에 맞물리는 체인기어(412) ; 회전드럼(411)에 고정되는 출력기어(413) ; 회전드럼(411)에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414a), 이동블록(414a)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에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그립퍼(414b)를 구비한 용기 이송기구(414), 지지체에 고정되어, 용기 이송기구(414)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캠(415) 및; 지지체에 고정되어, 그립퍼(414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캠(416)을 갖춘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7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공급장치(420) →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안내하고,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를 통해서 외부로 안내하는 용기 가이드판을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부호 "80"은 용기 공급장치(420)로 용기를 공급하는 외부 용기 공급장치를, 미설명부호 "90"은 용기 배출장치(430)로부터 배출되는 용기를 다음 공정으로 안내하는 외부 용기 배출장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그립퍼(414b)는 제2캠(416)과 연동되어 개폐되어서 용기를 쥐거나, 쥐고 있던 용기를 놓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그립퍼(414b)는 이미 널리 공지 공용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6에 의하면, 상기 용기 공급장치(42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21)과 ; 회전축(42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출력기어(413)에 맞물리는 입력기어(422) 및; 회전축(421)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그립퍼(414b)로 이송하는 용기 이송판(4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 및 도 7에 의하면, 상기 용기 배출장치(43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1)과 ; 회전축(43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출력기어(413)에 맞물리는 입력기어(432) 및; 회전축(43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그립퍼(414b)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이송판(43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로터리 승강장치(410)는 용기 공급장치(42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어떠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가에 따라서 이에 상응하게 적절히 변형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 공급장치(420)와 용기 배출장치(430)는 로터리 승강장치(410)가 어떠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가에 따라서 이에 상응하게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의 작동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a" 구간에서 용기 공급장치(420)의 용기 이송판(423)으로부터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용기가 공급되면, 그립퍼(414b)가 제2캠(416)에 의해 일시적으로 개폐되어 용기를 집어서 고정한다. 한편, 상기 그립퍼(414b)는 회전드럼(411)을 따라 회전하면서 용기 이송장치(300)의 홀더(330)와 동일하게 이동된다.
이후, 용기를 집어든 그립퍼(414b)는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처럼 그립퍼(414b)가 하강하게 되면 그립퍼(414b)의 하부에 위치된 홀더(330)에 해당 용기가 삽입되게 된다.
이후, "b" 구간에서 그립퍼(414b)가 제2캠(416)에 의해 일시적으로 개폐되어 용기를 놓게 되면, 용기가 그립퍼(414b)로부터 떨어져 나와서 홀더(330)에 안착된 상태로 용기 이송장치(300)를 따라 공정진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c" 구간에서 그립퍼(414b)가 제2캠(416)에 의해 일시적으로 개폐되어, 용기 냉각용 로터리장치(200)로부터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이동한 용기 이송장치(300)의 홀더(330)에 안착되어진 용기를 집어서 고정한다.
이후, 용기를 집어든 그립퍼(414b)는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처럼 그립퍼(414b)가 상승하게 되면 용기가 홀더(330)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d" 구간에서 그립퍼(414b)가 제2캠(416)에 의해 일시적으로 개폐되어 용기를 놓게 되면, 용기가 그립퍼(414b)로부터 떨어져 나와서 용기 배출장치(530)의 용기 이송판(433)으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트병의 목부분 결정화장치에 그 용도가 한정되지 않고, 용기를 성형하거나, 용기에 내용물을 채워넣는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는 장치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이송장치(300)에 맞물려 연동되어, 용기 공급장치(43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로터리 승강장치(410)와 ;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430) 및;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배출장치(430)로 이루어져서, 용기 공급장치(43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로터리 승강장치(41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구조가 대폭 단순화되고,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며, 보다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용기 이송장치(300)에 맞물려 연동되어,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로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로터리 승강장치(410)와 ; 외부로부터의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로 공급하는 용기 공급장치(420) 및; 로터리 승강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배출장치(430)로 이루어져서, 용기 공급장치(420)와 용기 배출장치(430)가 로터리 승강장치(41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승강장치(41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411)과 ; 회전드럼(411)에 고정되어, 용기 이송장치(300)를 구성하는 홀더 이송용 체인(310)에 맞물리는 체인기어(412) ; 회전드럼(411)에 고정되는 출력기어(413) ; 회전드럼(411)에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414a), 이동블록(414a)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용기 이송장치(300)에 전달하고 용기 이송장치(300)에 탑재된 용기를 용기 배출장치(430)로 전달하는 그립퍼(414b)를 구비한 용기 이송기구(414), 지지체에 고정되어, 용기 이송기구(414)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캠(415) 및; 결정화장치 지지체에 고정되어, 그립퍼(414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캠(416)을 갖춘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장치(42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21)과 ; 회전축(42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출력기어(413)에 맞물리는 입력기어(422) 및; 회전축(421)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그립퍼(414b)로 이송하는 용기 이송판(4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장치(430)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1)과 ; 회전축(43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출력기어(413)에 맞물리는 입력기어(432) 및; 회전축(431)에 고정되어, 로터리 승강장치(410)의 그립퍼(414b)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 이송판(4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공급·배출장치.
KR1020060100136A 2006-10-16 2006-10-16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KR10068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36A KR100689628B1 (ko) 2006-10-16 2006-10-16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36A KR100689628B1 (ko) 2006-10-16 2006-10-16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676A true KR20060123676A (ko) 2006-12-04
KR100689628B1 KR100689628B1 (ko) 2007-03-08

Family

ID=3772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136A KR100689628B1 (ko) 2006-10-16 2006-10-16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51Y1 (ko) * 2008-01-15 2009-12-04 박근성 용기성형기의 정량공급장치와 용기배출장치
CN110127342A (zh) * 2019-06-04 2019-08-16 上海亚力机械科技有限公司 预充式导管冲洗器针筒进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230A (en) 1978-05-24 1981-02-24 Eriksson Karl Erik Ingemar Container-advancing apparatus
US4475645A (en) 1979-12-14 1984-10-09 William P. Young Co. Machine for applying base cups to bottles
JPH0637248B2 (ja) * 1988-05-11 1994-05-18 東洋製罐株式会社 物品のサンプリング装置
FR2648119B1 (fr) * 1989-06-09 1991-09-27 Girondine Sa Dispositif de transport de recipients, tels que des bouteil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51Y1 (ko) * 2008-01-15 2009-12-04 박근성 용기성형기의 정량공급장치와 용기배출장치
CN110127342A (zh) * 2019-06-04 2019-08-16 上海亚力机械科技有限公司 预充式导管冲洗器针筒进料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628B1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056B1 (ko) 프레임체 지그, 수지 공급 지그 및 그 계량 방법, 몰드 수지의 계량 장치 및 방법, 수지 공급 장치, 수지 공급 계량 장치 및 방법과, 수지 몰드 장치 및 방법
IT202000008479A1 (it) Dispositivo di trasporto per il trasporto di contenitori
CN110035982A (zh) 对玻璃制品进行离子交换的系统和方法
JP2006231459A (ja) バイアル瓶搬送装置およびそのアーム
KR100689628B1 (ko) 용기 공급·배출용 로터리장치
KR102384135B1 (ko) 필름 반송 장치 및 필름 반송 방법 및 수지 몰드 장치
CN107210258A (zh) 基板处理装置以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101962009B1 (ko) 기판 반송 장치,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1691141A (zh) 铝盒包装机
CN109585339A (zh) 基板处理装置及基板处理方法
JP2002019710A (ja) 蓋の供給装置
KR20080005447A (ko) 전자 부품을 갖는 캐리어를 공급 및 취출하는 방법 및 장치
JP5683030B2 (ja) プリフォームの搬送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製造設備
KR101942613B1 (ko)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JPWO2017073791A1 (ja) ブロー成形装置
CN102271838A (zh) 熔融金属处理设备与熔融金属处理方法以及使用该设备的熔融金属输送线
KR100674220B1 (ko) 페트병의 목부분 결정화장치
CN206277410U (zh) 一种可移动吸嘴的fpc板机械手
CN107695331B (zh) 一种用于塞棒生产的自动装料系统
JPH09118435A (ja) コンテナ用積込み装置
EP1295841B1 (en) Screw capper
JP4587881B2 (ja) 樹脂封止装置
JP2016030643A (ja) 樹脂ボトルの搬送処理システム
JP2000168941A (ja) 自動物品反転装置
EP3578336A1 (en) Plant for processing preforms/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