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187A - 엘리베이터 로프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187A
KR20060123187A KR1020067010014A KR20067010014A KR20060123187A KR 20060123187 A KR20060123187 A KR 20060123187A KR 1020067010014 A KR1020067010014 A KR 1020067010014A KR 20067010014 A KR20067010014 A KR 20067010014A KR 20060123187 A KR20060123187 A KR 2006012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hoisting
elevator car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817B1 (ko
Inventor
조르마 무스탈라흐티
에스코 얼란코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2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바람직하게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와 이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의 로프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한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서스펜드된다.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며, 이 트랙션 시브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킨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여 로프 텐션 및/또는 로프 신장을 일정하게 하거나 및/또는 보정시킨다.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35949112-PCT00001
엘리베이터 카, 로프, 호이스팅 로프 장치, 엘리베이터, 트랙션 시브, 보정 장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 보정 장치{ELEVATOR ROPE COMPENSATION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및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엘리베이터에서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개량 작업의 하나의 목적은 빌딩 공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사용을 달성하는 것이다. 근래, 이러한 개량 작업은 여러 다른 것들 중에서 기계실이 없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솔루션을 만들어냈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실시예의 장점은 EP 0 631 967 (A1) 및 EP 0 631 968의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명세서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공간 이용에 대해 매우 효율적이며 이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확장할 필요 없이 빌딩에서 기계실에 필요한 공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이들 명세서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사용된 기기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컴팩트하나, 다른 방향으로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기보다 매우 대형이다.
기본적으로 유리한 이들 엘리베이터 솔루션에 있어서, 호이스팅 기의 공간 및 배치는 엘리베이터 레이아웃 해결책에 있어서 선택의 자유를 제한한다. 호이스팅 로프 통로용 배치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엘리베이터 카 자체로써 그 트랙상에 서 필요한 공간과, 평형추에 필요한 공간은 적어도 상당한 비용에서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작동 성능과 우수성에 타협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감소되지 않는다.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특히 상기 기기를 갖는 솔루션의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호이스팅 기를 설치하는 것은 종종 어려운데 이는 호이스팅 기가 매우 무겁고 대형의 물체이기 때문이다. 특히 보다 큰 하중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속도 및/또는 호이스팅 높이, 기기의 크기 및 무게가 설치시 문제점을 갖으며, 필요한 기기의 크기 및 무게는 실제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념의 적용 범위에 제한을 많이 가하거나, 또는 적어도 대형 엘리베이터의 상기 개념의 도입을 매우 많이 늦추게 한다. 엘리베이터 현대화 프로젝트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념의 적용가능한 범위를 종종 제한한다. 종종, 특히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현대화시키거나 또는 교체시킬 경우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특히 평형추가 유압식 엘리베이터 솔루션에 사용됨이 없이 현대화되고/교체되는 경우에 불충분한 공간 때문에, 기계실이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 솔루션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평형추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단점은 평형추의 비용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있는 평형추에 필요한 공간을 포함한다. 현재 매우 드물지만 드럼 구동식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기가 무겁고 복잡하고, 상기 기기의 전력 및/또는 토오크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솔루션은 실험적이고 적합한 솔루션이 알려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기술적 또는 경제적으로 신뢰할만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만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하나의 솔루션이 WO9806655의 명세서에 개시되었 다. 최근 국제특허출원은 실행가능한 솔루션을 개시하고 있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솔루션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의 텐션은 무게나 스프링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호이스팅 로프의 텐션을 실행하는데 흥미있는 해결책은 아니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가 갖는 또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면 큰 호이스팅 높이 또는 큰 서스펜션 비 때문에 긴 로프가 사용될 때, 로프 신장을 보정하고 이와 동시에 로프의 신장 때문에,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은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는데 불충분하다. 또 다른 문제점은 로프 신장의 보정과 보정 장치의 신뢰할만한 작동을 어떻게 보장하는 것이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문제점은 샤프트에서의 충분히 안전한 공간을 보장하는 것이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호이스팅 로프의 느슨함이 제어되지 않고 특히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 상에서 구동되는 상황에서 로프가 엉키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음 것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량시켜 빌딩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이전보다 더 효율적인 공간 사용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엘리베이터가 필요하다면 상대적으로 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의 위험한 큰 신장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 상에서 구동되는 상황에서, 호이스팅 로프 세트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호이스팅 로프 상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된 바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개시된 바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본 출원의 설명부에서 설명하였다. 본 출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내용은 또한 아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내용은 또한 여러 별개의 발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이 명백하거나 또는 함축적인 서브태스크(subtask)의 견지에서, 또는 장점이나 달성된 세트의 장점에 대해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아래의 청구범위에 함축된 여러 특성은 여러 본 발명의 개념의 견지에서는 충분히 기재되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장점중 하나 이상의 다음과 장점이 달성될 수 있는데 그 장점은:
- 보정 장치의 운동은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고 신뢰할 수 있게 실행될 수 있다는 점,
-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 상에서 구동될 때나,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기어가 작동될 때처럼,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샤프트에 있는 다른 장치와 엉키게 되는 호이스팅 로프의 위험성을 줄인다는 점,
-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보정 장치의 운동은 제어되고 그 작동은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이 발생하는 상기 언급된 상황에서 방지된다는 점,
- 호이스팅 로프의 내용연한은 증가되고 고장 위험성은 감소됨으로서 호이스팅 로프의 운동이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보다 양호하게 제어된다는 점,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작동이 보다 신뢰성이 있고 소정의 방식으로 보정 장치의 작동은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보장된다는 점, 및
- 호이스팅 로프의 필요한 텐션은 호이스팅 로프의 느슨함이 특히 엘리베이터 카 위 호이스팅 로프부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조차도 유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 1 적용 분야는 승객 및/또는 화물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엘리베이터이다. 본 발명의 통상적인 적용 분야는 엘리베이터로서, 그 속도 범위는 대략 1.0 m/s 아래이나 그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예를 들면, 0.6 m/s의 속도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철 와이어 로프와 같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로프가 적용가능하다. 엘리베이터는 합성재의 로프를 사용하고 소위 "아라미드(aramid)" 로프와 같은 합성섬유 하중지탱부를 갖춘 로프 구조부는 최근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도록 제안된다. 적용가능한 솔루션은 또한 강철보강된 평평한 벨트로서, 특히 작은 휨 반경 때문에 이들이 허용된다. 예를 들면 라운드 및 튼튼한 와이어로부터 트위스트된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 특히 장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라운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로프는 두께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와이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써 적합하게 적용가능한 로프에 있어서, 와이어 두께는 평균 0.4mm 이하이다. 튼튼한 와이어로부터 만들어진 잘만들어진 로프는 평균 와이어 두께가 0.3 mm 이하 또는 0.2 mm 이하인 것들이다. 예를 들면, 얇게 와이어되고 튼튼한 4mm의 로프는 와이어로부터 트위스트되어 상대적으로 장점이 되어 마무리된 로프에서 평균 와이어 두께는 0.15 - 0.25 mm 사이이고, 여기서 가장 얇은 와이어는 두께가 단지 대략 0.1 mm 이다. 얇은 로프 와이어는 용이하게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프 와이어는 대략 2000 N/㎟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다. 적당한 로프 와이어 강도는 2300 - 2700 N/㎟이다. 실제로, 대략 3000 N/㎟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갖는 로프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고, 이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의 로프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한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에 서스펜드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여 로프 텐션 및/또는 로프 신장을 일정하게 하거나(equalize) 및/또는 보정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엘리베이터의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는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여 로프 텐션 및/또는 로프 신장을 일정하게 하거나 및/또는 보정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초기 로프 느슨함은 보정 장치와 결합해 구비된 장치에 의해 탐지되고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보정 장치로부터 로프의 이동을 방지한다.
전환 풀리로서 작동하는 로프 풀리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증가시킴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파지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사이즈 뿐만 아니라 보다 적은 무게의 카가 사용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잠재적인 공간 절약도를 증가시킨다.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180°가 넘는 접촉각은 전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전에 충분한,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의 파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마찰 요구조건으로부터 로프 신장을 보장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다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전에 대하여,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는 충분한 텐션하에서 유지되는게 필수적이다. 이것은 스프링 또는 간단한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필수적으로 달성될 수 없다.
이후,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제 2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제 3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보정 장치의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보정 장치와 결합되어 설치된 본 발명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 구동기(4)를 구비한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상기 기계를 구비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고, 이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1)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서 운동한다. 큰 호이스팅 높이용으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가 신장하면 로프 신장을 보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것은 임의의 허용된 한계값내에서 신뢰할 수 있게 행해져야한다. 이와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부가 충분한 인장력 하에서 유지되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전에 필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브 조립체(24)를 평형화시키는 로프력에 있어서, 로프 신장 보정을 위한 매우 긴 운동이 달성된다. 이것은 매우 큰 신장 조차도 보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간단한 레버나 스프링 솔루션이 사용되면 종종 가능하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보정 시브 장치는 트랙션 시브 위에서 작동하는 로프력(T1)과 로프력(T2) 사이의 일정비(T1/T2)를 유지시킨다. 도 1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T1/T2비는 2/1이다.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서스펜션 비로써, 보정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거나,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대응하는 적합한 곳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홀수의 서스펜션 비로써 보정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카(1)와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1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는 다음과 같이 이동한다: 호이스팅 로프(3)의 일단부가 전환 풀리(25)에 설치되어 전환 풀리(14)로부터 아래로 가는 로프부를 매달도록 설치된다. 호이스팅 로프의 제 2 단부의 고정점(26)과 함께 전환 풀리(14, 25)는 로프력 평형 시스템(24)을 구성하고,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은 보정 시브 조립체이다. 이러한 보정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제위치에 설치된다. 전환 풀리(25)로부터, 호이스팅 로프(3)는 위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내,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엘리베이터 카 위에 배치된 전환 풀리(14)와 만나서, 전환 풀리(14)상에 구비된 로프 홈을 따라서 그 주위를 통과한다. 이들 로프 홈은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코팅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여러 다른 적합한 재료와 같은 마찰-증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전환 풀리(14)로부터,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 리(13)로 더욱 아래로 내려가고, 이 풀리 주위를 통과하여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제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2)로 더욱 상향으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12) 주위를 통과하면, 로프는 다시 엘리베이터 카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1)로 아래로 내려가고, 그 주위를 통과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0)로 상향으로 더욱 이동하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면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9)로 더욱 아래로 이동한다. 이 풀리(9) 주위를 통과하면, 로프(3)는 전환 풀리(7)와 접선 접촉하여 트랙션 시브(5)로 상향으로 더욱 이동한다. 전환 풀리(7)는 호이스팅기(4)와 결합하고 및/또는 그 근처에 설치되는게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7)와 트랙션 시브(5) 사이에서, 도면은 이중 랩(Double Wrap:DW) 로핑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로핑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3)는 전환 풀리(7)와 접선 접촉하여 전환 풀리(5)로 상향으로 이동하고, 트랙션 시브 주위를 통과하여, 호이스팅 로프는 전환 풀리(7)로 복귀하고, 그 주위를 통과하고 트랙션 시브(5)로 뒤로 간다. 이중 랩 로핑에 있어서, 전환 풀리(7)가 실질적으로 트랙션 시브(5)와 동일 사이즈일 경우, 전환 풀리(7)는 또한 댐핑 풀리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로프는 트랙션 시브(5)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로 이동하는 로프는 전환 풀리(7)의 로프 홈을 통과하고, 전환 풀리에 의해 야기된 로프의 편향은 매우 작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로 이동하는 로프와 거기로 가는 로프는 전환 풀리(7)와 "접선 접촉"으로만 이동한다. 이러한 "접선 접촉"은 진출 로프의 솔루션 댐핑 진동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른 로핑 솔루션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로핑 솔루션의 실시예는 단일 랩(SW) 로핑이며, 여기서 전환 풀리는 트랙션 시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이고 전환 풀리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접선 접촉 시브"로써 사용된다. 실시예에 따른 SW 로핑에 있어서, 로프는 일단 트랙션 시브 주위만을 통과하여, 트랙션 시브에서의 로프의 접촉각은 대략 180°이고 전환 풀리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로프의 "접선 접촉"을 위한 보조 휠로써 사용되고 여기서 전환 풀리는 로프 가이드 및 댐핑 풀리 저지 진동으로 기능한다. 호이스팅 기(4)의 트랙션 시브(5)와 함께 전환 풀리(14, 13, 12, 11, 10, 9, 7)는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 장치를 형성하고, 이것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 장치처럼 동일한 서스펜션 비를 갖으며, 도 1에서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로프는 전환 풀리(7)와 접선 접촉하여 전환 풀리(8)로 더욱 나아가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제위치에 설치되는게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8) 주위를 통과하면,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8)로 상향으로 더 이동하고, 상기 전환 풀리(18) 주위를 통과하면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전환 풀리(19)로 더 내려가고, 이 풀리 주위를 통과하면, 엘리베이터 카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0)로 복귀한다. 전환 풀리(20) 주위를 통과하면,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로 더욱 내려가고, 그 주위를 통과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22)로 더욱 위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22) 주위를 통과하면,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제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3)로 더욱 아래로 이동하고, 그 주위를 통과해 더욱 위로 이동하여, 보정 장치의 전환 풀리(25)로 복귀하고, 그 주위를 통과하면 호이스팅 로프는 제 2 단부의 고정점(26)으로 더욱 이동하며, 상기 제 2 단부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제 위치에 위치된다. 전환 풀리(8, 18, 19, 20, 21, 22, 23)는 서스펜션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를 형성한다. 호이스팅 기(4)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있는 엘리베이터의 트랙션 시브(5) 및/또는 전환 풀리(7, 10, 12, 14)는 가이드 레일(2)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구조물상에서,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의 또는 별개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빔 구조물이나 또는 여러 다른 적합한 장착 장치에서 제위치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의 전환 풀리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구조물 상에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단부나 또는 별개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위치된 빔 구조물에 또는 여러 다른 적합한 장착 장치에서 제위치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카에서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의 프레임 구조물이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있거나 또는 별개의 엘리베이터 카의 빔 구조물 또는 여러 다른 적합한 장착 장치에서 제위치에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력 평형 시브 조립체(24)는 전환 풀리(25)의 운동에 의해 로프 신장을 보정한다. 전환 풀리(25)는 제한된 거리(l)를 통해 운동하여, 호이스팅 로프(3)의 신장을 보정한다. 보정 거리(l)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신장의 절반이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는 일정 레벨에서 트랙션 시브(5)상에서의 로프 인장력을 유지시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로프력 사이의 T1/T2 비가 2/1이다. 또한 로프력 보정 시브 조립체(24)는 로프력 보정 시브 조립 체에서의 보다 복잡한 서스펜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보정 시브 조립체에 있는 전환 풀리 사이의 상이한 서스펜션 비와 같이 실시예에서 나타낸 방식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하고 있고, 엘리베이터는 또한 호이스팅 로프(203)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도록 보정 장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227)를 특징으로 한다.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으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된 구동기(204)를 갖춘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으며 상기 기계를 구비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고,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201)는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서 운동한다. 또한 도 2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안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매우 멀리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형성된 버퍼(229)를 도시하고 있다. 버퍼와 마주치도록 설계된 카운터피스(230, counterpiece)가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되고, 이것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에서 제위치에 설치된다. 도 2에서 호이스팅 로프(203)의 통로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통로와 대응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 비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서의 비, 즉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의 로프부에서 6:1로 유사하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203)가 얽히게 되는 위험성은 매우 높은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버퍼상에서 구동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기어가 파지될 때 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호이스팅 로프 세트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할 장치가 요구된다. '로프 세트'는 호이스팅 로핑시 하나 이상의 평행한 로프를 의미한다. 도 2는 호이스팅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느슨함 로프 방지 장치(227)를 도시하고 있다.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의 기능은 호이스팅 로프의 느슨함이 발생하는 상황, 즉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229)에서 구동될 때, 호이스팅 로프(203)의 로프 세트에 축적된 로프 신장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호이스팅 로프가 적당한 위치에 유지되고 호이스팅 로프가 샤프트 구조물과 엉키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리베이터에서 도 2에 도시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가 갖는 또 다른 기능은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기어가 파지하는 상황에서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의 처음 느슨함은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227)에 의해 도 2의 경우에서 보정 장치(224)와 결합해 배치된 장치에 의해 탐지되고, 이와 동시에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보정 장치로부터의 로프의 해방을 방지한다. 도 2에 있어서, 카가 유지보수 작동과 관련해 버퍼(229) 상에서 구동될 때 또는 여러 다른 이유로,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호이스팅 로프부에서 작용하는 로프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그 위에서 작용하는 로프력(T1)은 또한 감소된다. 현재 발생하는 로프 신장은 호이스팅 로프 및 전환 풀리(225)로 행해지고, 보정 장치에서 아래로 이동을 즉시 시작한다. 만일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229)에 대하여 더욱 아래로 구 동되면,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이 더이상 충분하지 않고 트랙션 시브가 결국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레벨로 트랙션 시브(205)의 다른측의 로프력(T1)이 감소될 때까지, 호이스팅 기(204)는 이때 엘리베이터 카(201)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부로부터 로프를 더 잡아당길 것이다. 보정 장치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써 사용된 버퍼(227)를 포함하며, 총 로프 신장이 로핑, 특히 엘리베이터 카 상에서의 로핑부로 행해지기 전에 보정 시브(225)가 버퍼 상에서 지지되는 높이에서 상기 장치가 위치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가 제위치에 장착되고 엘리베이터 카(201)가 전부 완료될 때의 단계에서 버퍼(277)는 보정 시브(225)의 경로에 대해 수정된 거리로 설치된다. 호이스팅 로프(203)에 서스펜드된 모든 구성요소가 제위치에 있고 카가 가장 낮은 레벨에 있을 때, 호이스팅 로프에서 발생된 로프 신장은 하중을 제외하곤 최대이므로, 호이스팅 로프의 길이는 또한 하중을 제외한 상태에서는 최대이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L1)가 측정되고 버퍼(277)와 보정 시브(225)와 그 서스펜션 사이에 설치되어, 버퍼는 그 최종 위치중 제위치에 설치된다. 거리(L1)는 예를 들면 200 mm 가 바람직하다. 버퍼가 제위치에 설치된 이후에, 보정 장치는 작동준비된다. 보정 장치로 커버되는 최대 한계 보정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L0)이며, 이 거리는 버퍼(227)에 의해 소정의 거리로 일단부에서 제한된다. 보정 장치는 예를 들면 보정 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한계 보정 거리를 가지며 이들 단부 사이의 보정 범위는 보정 장치의 이론 한계 작동 범위를 형성하는 범위이며, 이 범위는 도 2에서 L0이다. 이러한 범위내에서, 보정 장치는 소정의 방식으로 작동되나, 보정 장치의 선단이 예를 들면 호이스팅 로프의 고정점(226)에 도달할 때, 보정 장치는 소정의 방식으로 작동할 필요가 없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사항, 즉 보정 장치의 평균 보정 범위를 초과할 때, 보정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보정 장치로부터의 로프 이동을 방지하고, 호이스팅 로프에서 임의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정 시브로서 사용되는 전환 풀리(225)는 가이드 레일로 가이드되어 그 트랙, 특히 엘리베이터 안전 기어가 파지하는 상황과 같은 보정 시브 조립체(224)가 큰 충격을 받는 상황에서 유지된다. 보정 시브(225)의 가이드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와 보정 장치 사이의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유지되고 보정 장치의 운동이 제어된다. 보정 장치의 가이드 레일은 거의 금속제 또는 여러 다른 적합한 재료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딩 로프와 같은 여러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가이드 레일이다. 보정 장치에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써 사용된 버퍼(227)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댐핑부(228)를 또한 구비하여, 보정 시브(225)와 버퍼(227) 사이에서 특히 비제어되고 및/또는 보정 장치의 운동이 급속히 발생한 상황, 즉 엘리베이터의 안전 기어가 파지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 상황에서 T1은 급격하게 감소되어 결국 보정 장치(224)가 고속으로 아래로 즉시 이동하기 시작한다. 버퍼(227)와 보정 시브(225) 사이에 초래된 충격은 감소되어 보정 장치 또는 호이스팅 로프의 손상을 피하게 된다. 버퍼(227)에서의 댐핑부(228)로 서, 예를 들면 상기 목적에 적합한 고무 패드, 가스 스프링 또는 여러 다른 댐핑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또한 엘리베이터 카 상하에서 다른 적용가능한 서스펜션 비, 예를 들면 8:1, 10:1 또는 여러 다른 적합한 서스펜션 비를 사용하여 서스펜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도시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는 보정 장치에 제공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327)를 구비하여 호이스팅 로프(303)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또는 보정 장치(324)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한다.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고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에 배치된 구동기(304)를 갖춘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로서, 위에 기기를 갖추고 있고, 엘리베이터 카(301)는 가이드 레일(302)을 따라서 운동한다. 또한 도 3은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설치된 버퍼(329)를 도시하며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안전 공간을 형성하고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매우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버퍼(329)와 만나도록 설계된 카운터피스(330)가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고, 상기 버퍼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제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호이스팅 로프(303)의 통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통로와 대응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 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서의 서스펜션 비, 즉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부에서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에서 6:1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다른 적용가능한 서스펜션 비, 예를 들면 7:1, 8:1, 9:1, 10:1 또는 여러 다른 적 용가능한 서스펜션 비를 사용하여 서스펜드된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호이스팅 로프(303)가 엉키게 될 위험성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버퍼상에서 구동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기어가 파지될 때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이스팅 로프 세트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할 장치가 필요하다. '로프 세트'는 호이스팅 로핑에서 하나 이상의 평행한 로프를 의미한다. 도 3은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327)를 도시하고, 그 기능은 다음과 같은 것,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329)상에서 구동될 때처럼 호이스팅 로프의 느슨함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호이스팅 로프(303)의 로프 세트에 축적된 로프 신장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아서, 호이스팅 로프가 적당한 위치를 유지하고 호이스팅 로프가 샤프트 구조물과 엉키지 않게 된다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3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크가 바람직하다. 보정 시스템에 설치된 도 3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의 작동은 도 4와 관련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보정 장치의 상세도를 도시하며, 전환 풀리(325) 및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327)로서 거기에 사용된 브레이크의 구역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크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며, 이것은 엘리베이터가 버퍼상에서 구동되는 상황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세트에 축적된 로프 신장이 호이스팅 로프로 완전히 행해지지 않아서, 호이스팅 로프가 자기의 적당한 위치를 유지하고 예를 들면 샤프트 구조물과 엉키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도 3 및 4에 도시된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301)가 예를 들면 유지보수 작동과 관련하여 버퍼(329) 상에서 구동될 때, 엘리베이터 위 호이스팅 로프부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는 감소되어, 이 결과 로프힘(T1)이 감소되고 로프 신장이 호이스팅 로프로 행해지므로, 이에 따라 보정 장치(324, 424)의 전환 풀리(325, 425)가 도 3 및 4의 경우에 아래로 즉시 이동하기 시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엘리베이터 카 위 호이스팅 로프부(Yk)에 작용하는 로프력(T1)은 스프링(403)의 스프링력보다 낮은 레벨로 감소될 때, 스프링(403)이 전환 풀리(425)에 대하여 브레이크 패드(402)를 가압하여 브레이크(427)는 로프 텐션의 해방에 반하는 힘을 나타내고 나머지 텐션은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세트에 남아 있게 된다. 남아있는 텐션 때문에, 로프 세트는 타이트하게 되고 호이스팅 로프는 샤프트 구조물과 엉키지 않게 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329)에 대하여 더욱 아래로 구동되면,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이 더이상 충분하지 않고 트랙션 시브가 결국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레벨로 트랙션 시브(305)의 다른 측에서의 로프력(T1)이 감소될 때까지 호이스팅기(304)는 엘리베이터 카(301)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부로부터 로프를 계속하여 더욱 잡아당길 것이다. 사용된 보정 장치(424)가 수개의 보정 시브(425)를 포함하면, 이때 예를 들면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의 보정 시브에 작용하는 브레이크(427)와 같은 하나 또는 여러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써 사용된 브레이크(427)는 브레이킹 요소(402)를 통해 보정 시브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또는 대응하는 시스템(403)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요소 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람직하다. 보정 시브(425)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로써 사용된 브레이크(427) 또는 대응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지점(401)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의 호이스팅 로프부(Yk)로부터 서스펜드된다. 도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위의 호이스팅 로프부는 지점(404)에서 브레이크(427)에 부착된다.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부(Ak)의 일단부는 보정 장치(424)에 설치되고 고정점(426)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브레이크처럼 도 4에 도시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와, 버퍼처럼 도 2에 도시된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 모두와 같이 하나이상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보정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실이 없고 위쪽에 기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이고, 여기서 구동기는 코팅된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라운드인 얇고 경질의 호이스팅 로프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에서의 호이스팅 로프의 접촉각은 180°보다 크고 호이스팅기에서 DW 로핑을 사용하여 실시되는게 바람직하다. 호이스팅기는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를 구비하며, 이 호이스팅 기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는 서로와 관련해 수정각도로 설치준비된다. 호이스팅기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된다.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핑의 서스펜션비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핑의 서스펜션비 양자는 8:1이고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엘리베이터 카의 한 벽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한 벽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는 8:1의 서스 펜션비로써 평형추가 없이 실시된다. 엘리베이터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며, 이 장치는 2:1과 같은 장력(T1/T2) 사이의 일정한 비를 유지한다. 보정 장치가 사용됨과 동시에, 필요한 보정 거리는 로프 신장 크기의 절반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보정 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게다가, 초기 로프 느슨함이 보정 장치와 결합되어 제공된 장치에 의해 탐지되고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보정 장치로부터 호이스팅 로프의 이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서스펜션 비는 10:1이다. 상기 실시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를 사용하며, 여기서 로프의 직경은 8mm가 바람직하고, 트랙션 시브는 적어도 로프 홈 구역에서 주철로 만들어진다. 트랙션 시브는 언더컷 로프 홈을 갖추고 있고 트랙션 시브 상의 접촉각은 180° 또는 그 이상으로 전환 풀리로써 설치된다. 종래의 8mm의 로프가 사용될 때, 트랙션 시브의 직경은 340mm가 바람직하다. 사용된 전환 풀리는 종래의 8mm의 호이스팅 로프가 사용될 때, 직경이 320, 330, 340, 또는 그 이상인 대형의 로프 시브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상기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아래에 설명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다중 로프부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부가적인 장점을 달성할 수 있 을 지라도, 호이스팅 로프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카 사이를 그리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있는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 사이를 통과하는 수가 몇 배인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장점과 관련해 매우 결정적인 문제는 아니다.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의 서스펜션에서의 서스펜션 비는 동일하도록 로프가 여러번 하부로부터 뿐만 아니라 상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로 통과하여 실시예가 전반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금속 코팅된 풀리 대신에 트랙션 시브와 로프 풀리가 또한 금속으로 코팅되지 않은 풀리이거나 또는 상기 목적에 부합된 여러 다른 재료로 코팅되지 않은 풀리일 수 있는 것처럼,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경시킬 수 있다.
금속 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여러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트랙션 시브 및 로프 풀리가 본 발명에서 전환 풀리로서 사용되며, 이들의 홈의 면적에서 적어도 비금속 재료로 코팅되고, 예를 들면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발명의 목적에 부합된 여러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 재료를 사용하여 실행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더욱 자명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의 가요성 로프, 플랫 벨트, 코그식 벨트, 사다리꼴 벨트 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여러 다른 타입의 벨트와 같은 임의의 가요성 호이스팅 장치 호이스팅 로프로써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필러를 갖춘 로프를 사용하는 대신에, 본 발명은 윤활되거나 또는 윤활되지 않은, 필러가 없는 로프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게다가, 여러 다른 방법으로 로프가 트위스트될 수 있음이 당업자 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 사이에서 다른 타입의 로핑을 사용하여 실시되어 상기 실시예로써 설명된 로핑 장치보다 접촉각(α)을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설명된 로핑 실시예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환 풀리,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팅 로프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또한 평형추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평형추는 카의 무게보다 무게가 적고 별개의 로프에 서스펜드 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더욱 자명하다.
전환 풀리로써 사용된 로프 시브의 베어링 저항과, 로프와 로프 시브 사이의 마찰 때문에, 그리고 보정 장치에서 손실 발생 때문에, 로프 텐션 비는 보정 장치의 아주 적은 비로부터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여러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고유의 어려움(robustness)을 반드시 갖기 때문에 평균 5%의 편차는 상당한 손실은 아니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의 로프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한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 장치에 의해 서스펜드되고,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로프 텐션 및/또는 로프 신장을 일정하게 하거나 및/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호이스팅 로프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바람직하게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에서 작용하는 보정 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에 있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는 보정 시브 및/또는 그 서스펜션 근처에 설치된 버퍼(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의 버퍼는 보정 시브와 버퍼 사이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부분(228)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바람직하게 가스 스프링, 고무 패드 또는 그 상당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에 있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는 보정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에 작용하는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의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는 브레이크(427)이며, 보정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에 작용하는 이 브레이크(427)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나 대응 시스템(403) 및,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킹 요소(402)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에 스프링(403)이 보정 장치의 전환 풀리를 브레이크 작동하도록 그리고 호이스팅 로프에서 로프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에 있는 로프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장치는 보정 장치에 있는 하나의 전환 풀리에 작용하는 브레이크와, 보정 시브 및/또는 그 서스펜션 근처에 설치된 버퍼 모두로 적어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는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는 가이드 레일, 바람직하게는 금속제 가이드 레일, 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가이드 로프나 다른 가이드 장치로써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는 전환 풀리를 구비하며, 이 전환 풀리로부터 호이스팅 로프가 상향 이동하고 이 전환 풀리로부터 호이스팅 로프가 하향 이동하고, 각각의 타입의 풀리의 갯수는 1, 2, 3, 4, 5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엘리베이터 카가 적어도 하나의 로프 또는 복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한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스펜드되고, 엘리베이터가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구비하여 로프 텐션을 일정하게 하거나 및/또는 보정하는,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초기 로프 느슨함은 보정 장치와 결합되어 구비된 장치에 의해 탐지되고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보정 장치로부터 호이스팅 로프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않은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및/또는 보정 장치의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10014A 2003-11-24 2004-11-22 엘리베이터 로프 보정 장치 KR101148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709 2003-11-24
FI20031709A FI119020B (fi) 2003-11-24 2003-11-24 Hissi ja menetelmä nostoköysistön hallitsemattoman löystymisen ja/tai tasauslaittee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PCT/FI2004/000706 WO2005049470A2 (en) 2003-11-24 2004-11-22 Elevator rope compens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187A true KR20060123187A (ko) 2006-12-01
KR101148817B1 KR101148817B1 (ko) 2012-05-25

Family

ID=2955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014A KR101148817B1 (ko) 2003-11-24 2004-11-22 엘리베이터 로프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81299B2 (ko)
EP (1) EP1701906B1 (ko)
JP (1) JP4847336B2 (ko)
KR (1) KR101148817B1 (ko)
CN (1) CN1902120B (ko)
AT (1) ATE466804T1 (ko)
AU (1) AU2004291362B2 (ko)
BR (1) BRPI0416886A (ko)
CA (1) CA2545985C (ko)
DE (1) DE602004027084D1 (ko)
EA (1) EA009763B1 (ko)
ES (1) ES2342293T3 (ko)
FI (1) FI119020B (ko)
HK (1) HK1099648A1 (ko)
WO (1) WO200504947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45B1 (ko) * 2011-11-30 2012-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수직 정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9236B (fi) * 2002-06-07 2008-09-15 Kone Corp Päällystetyllä nostoköydellä varustettu hissi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9769B (fi) *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9056B (fi) * 2004-03-22 2008-07-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hissin tasauslaitteessa aikaansaadun lisävoiman käyttö
FI118335B (fi) 2004-07-30 2007-10-15 Kone Corp Hissi
ITMI20062233A1 (it) * 2006-11-22 2008-05-23 Fata Fab App Sollevamento Impianto di magazzino multipiano con celle elevatrici
FI119147B (fi) * 2007-05-25 2008-08-15 Kone Corp Järjestely vetopyörähissin köysivoimien tasaamiseksi
ATE549285T1 (de) * 2007-09-14 2012-03-15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 Verfahren zur nivellierung für auzüge
BRPI0821212A2 (pt) * 2007-12-21 2015-06-16 Inventio Ag Elevador com duas cabines e um contrapeso conjunto
US8162110B2 (en) * 2008-06-19 2012-04-24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Rope tension equalizer and load monitor
BRPI1009909B1 (pt) * 2009-04-20 2019-10-29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no mínimo uma cabine de elevador e com no mínimo um contrapeso
CZ22746U1 (cs) 2010-07-02 2011-10-03 VVS - Ceské výtahy s. r. o. Výtah pro dopravu osob a nákladu
JP5791645B2 (ja) * 2013-02-14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ロープ揺れ抑制方法
EP2842902B1 (en) 2013-08-26 2016-02-0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2868613B1 (en) * 2013-11-05 2019-05-15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2933217B1 (en) * 2014-04-16 2017-03-15 KONE Corporation Hoisting rope weight compensation device of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380A (en) * 1898-02-04 1900-09-04 Otis Elevator Co Elevator.
US718762A (en) * 1902-03-08 1903-01-20 Nelson Hiss Traction apparatus.
US912256A (en) * 1905-11-22 1909-02-09 Michael E Neenan Elevator.
US1944722A (en) * 1932-04-11 1934-01-23 Soderberg Karl Novelty lock box
US1944772A (en) * 1932-09-10 1934-01-2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compensating rope sheave
US3174585A (en) * 1962-08-13 1965-03-23 Otis Elevator Co Elevator hoisting mechanism
DE1251926B (de) * 1965-04-28 1967-10-12 Haushahn Fa C Aufzug fuer hohe, seitlichen Ausbiegungen unterliegende Tuerme
JPS5048646A (ko) * 1973-09-07 1975-04-30
GB1442584A (en) * 1974-04-05 1976-07-14 Johns & Waygood Ltd Drive systems for lifts and hoists
FI119237B (fi) * 2003-01-31 2008-09-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JPH04129988A (ja) * 1990-09-19 1992-04-3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FI101373B1 (fi) * 1993-04-05 1998-06-15 Kone Oy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ES2189986T3 (es) * 1996-12-30 2003-07-16 Kone Corp Disposicion de cable de ascensor.
US5788018A (en) * 1997-02-07 1998-08-04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elevators with adjustable traction sheave loading, with or without counterweights
US6401871B2 (en) * 1998-02-26 2002-06-11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US6138799A (en) * 1998-09-30 2000-10-31 Otis Elevator Company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DE69936206T2 (de) * 1998-02-26 2008-01-31 Otis Elevator Co., Farmington Aufzugssystemmit am untererem teil des schachtes angeordnetem antrieb
JP2000038274A (ja) * 1998-07-23 2000-02-08 Otis Elevator Co かご自走型エレベーター
US20030155185A1 (en) * 2001-03-08 2003-08-21 Masami Nomura Elevator
JPWO2002072461A1 (ja) * 2001-03-08 200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R2823734B1 (fr) * 2001-04-19 2007-04-20 Serge Arnoult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ATE382577T1 (de) * 2001-11-23 2008-01-15 Inventio Ag Aufzug mit riemenartigem übertragungsmittel, insbesondere mit keilrippen-riemen, als tragmittel und/oder treibmitt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45B1 (ko) * 2011-11-30 2012-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수직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99648A1 (en) 2007-08-17
WO2005049470A3 (en) 2005-09-09
US7481299B2 (en) 2009-01-27
DE602004027084D1 (de) 2010-06-17
FI20031709A (fi) 2005-05-25
EA200600797A1 (ru) 2006-10-27
JP2007512204A (ja) 2007-05-17
CA2545985A1 (en) 2005-06-02
AU2004291362A1 (en) 2005-06-02
EP1701906B1 (en) 2010-05-05
EP1701906A2 (en) 2006-09-20
FI20031709A0 (fi) 2003-11-24
ES2342293T3 (es) 2010-07-05
JP4847336B2 (ja) 2011-12-28
KR101148817B1 (ko) 2012-05-25
US20060243541A1 (en) 2006-11-02
WO2005049470A2 (en) 2005-06-02
CA2545985C (en) 2012-03-20
CN1902120A (zh) 2007-01-24
FI119020B (fi) 2008-06-30
ATE466804T1 (de) 2010-05-15
CN1902120B (zh) 2012-03-14
EA009763B1 (ru) 2008-04-28
AU2004291362B2 (en) 2009-09-03
BRPI0416886A (pt)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299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ng device
EP1558513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KR101051638B1 (ko) 엘리베이터
US8235179B2 (en) Elevator without a counterweight
EP1727760B1 (en) Elevator
WO2006010784A2 (en) Elevator with rope tension compensating system
US20060243540A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