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398A -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398A
KR20060122398A KR1020050044837A KR20050044837A KR20060122398A KR 20060122398 A KR20060122398 A KR 20060122398A KR 1020050044837 A KR1020050044837 A KR 1020050044837A KR 20050044837 A KR20050044837 A KR 20050044837A KR 20060122398 A KR20060122398 A KR 2006012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photoluminescent
glass plate
mixture
phosph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빌테크
Priority to KR102005004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398A/ko
Publication of KR2006012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대피 또는 피난 방향 등을 지시하거나 계단과 같은 단턱부분을 표시하여 줄 수 있는 유도표시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도표시판의 내부에 축광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방향 또는 단턱 표시무늬가 쉽게 마모됨을 방지하고, 고휘도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 사이의 접촉하는 부분에 축광표시부가 개재되고, 축광표시부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표시판, 표시무늬, 전사무늬, 고휘도, 축광안료

Description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Guide indicating plate using luminescent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afacturing ther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표시판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표시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도시 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도표시판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도표시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유도표시판 11, 12 : 강화유리판
15 : 음각홈 17 : 전사무늬
본 발명은 정전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대피 또는 피난 방향 등을 지시하거나 계단과 같은 단턱부분을 표시하는 유도표시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시판의 내부에 각종 표시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방향 또는 단턱 표시무늬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나 정전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고휘도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역, 터미널, 백화점, 상가건물, 관공서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각종 대형 건축물은 그 특성상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바, 정전이나 화재 등에 의해 실내공간의 조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계단, 비상통로 등을 찾기가 매우 곤란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실제로 과거의 각종 대형화재 또는 건물 붕괴사고시에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인해 조명이 차단되어 비상계단, 통로 등을 제대로 찾지 못함으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게 되는 사례가 많이 있었다. 특히, 각종 시설물에 있어 층간의 통로가 되는 비상계단은 그 비상사태시에 병목현상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그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대피의 지연은 물론이고, 통행의 적체 등으로 인해 압사 등과 같은 또 다른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대한 대안으로, 시설물의 내부통로를 따라 바닥면에 소정의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긴급 피난을 유도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 경우에도 야광도료의 얇은 도포층을 고려하여 볼 때 그 발광효율이 극히 낮은 취약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타일의 상부면에 축광 안료를 함유한 도포제를 소성함으로써 소정의 축광부를 구비한 축광 타일이 개시된 바, 이러한 축광 타일은 그 축광부가 조명으로부터 조사된 광에너지를 축광한 후에 야간에 어두운 상황에서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그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축광 타일에 따르면, 타일의 상부면에 형성된 축광부 는 그 표면이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이 까칠까칠해지기 쉽다.
이에 따라, 종래의 축광타일은 그 축광부의 표면이 까칠까칠해져서 각종 오염물질의 부착이 쉽게 되고, 이로 인해 그 미관이 저하되며, 또한 발광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축광타일은 타일의 상부면에 축광부가 형성됨에 따라 보행시의 마찰 또는 접촉으로 인해 그 축광부 또는 축광도료가 쉽게 벗겨지는 단점이 있어 긴급 피난의 용도로 적극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축광 타일은 그 재질이 타일 또는 유리 등과 같은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강도가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도표시판의 내부에 축광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발광효율을 극대화 함과 더불어 축광표시부의 내오염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긁힘 등과 같은 외부 손상에 대한 강도가 매우 강화된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을 적층함에 있어서, 강화유리판과 강화유리판이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축광혼입물을 충전하는 축광혼입물 충전단계와, 음각홈에 축광혼입물이 충전된 강화유리판을 80~120℃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시켜 양생하는 건조단계와, 축광혼입물이 양생된 강화유리판 위에 다른 강화유리판을 적층하는 적층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을 적층함에 있어서, 강화유리판과 강화유리판이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대응하는 표시무늬 형태의 축광체로 고형화하여 가공하는 축광체 가공단계와, 축광체를 음각홈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축광체가 접착된 강화유리판 위에 다른 강화유리판을 적층하여 접착하는 적층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음각홈 형성단계에서, 상호 접착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 사이에서 어느 일측 강화유리판의 접착면 또는 상호 접착되는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의 접착면 양측 모두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 사이의 접촉하는 부분에 축광표시부가 개 재되고, 축광표시부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는, 강화유리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축광혼입물을 충전하는 축광혼입물 충전단계와, 음각홈에 축광혼입물이 충전된 강화유리판을 80~120℃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시켜 양생하는 건조단계와, 축광혼입물이 양생된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 반사시트를 적층하여 접착하는 반사시트 접착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5양태는, 강화유리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대응하는 표시무늬 형태의 축광체로 고형화하여 가공하는 축광체 가공단계와, 축광체를 음각홈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축광체가 접착된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 반사시트를 접착하는 반사시트 접착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에서, 축광혼입물의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6양태는, 강화유리판의 상단면 및 하단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축광표시부가 구비되고,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 반사시트가 접착되며, 축광표시부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 제조방법은 음각홈 형성단계(S1)와, 전사단계(S2)와,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3)와, 축광혼입물 충전단계(S4)와, 건조단계(S5)와, 적층단계(S6)로 이루어진다.
음각홈 형성단계(S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11, 12)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11, 12)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15) 형태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강화유리판은 600~700℃의 온도조건에서 소성가공되어 난연성 및 내충격성이 높게 제작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a에서는 하측의 강화유리판(12)의 접착면(즉 상부면에 해당됨)에 음각홈(15)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음각홈(15)은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접착면(즉 상부면에 해당됨) 또는 상하측 강화유리판(11, 12)의 접 착면 모두(즉, 상측 강화유리판(11)의 하부면 및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각홈 형성단계(S1)는 적층되는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11, 12)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음각홈(15)이 개재된 형태로 이루어기만 하면, 상측의 강화유리판 또는 하측의 강화유리판 또는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11, 12)의 양 접촉면 어느 곳에 형성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음각홈(15)은 금형제조방식, 불산 등과 같은 부식액을 이용한 부식 방식 또는 샌드블라스팅 공법 등에 의해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사단계(S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 주변면에 특정색상 및 형상을 가진 전사무늬(17)를 전사방식에 의해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전사단계(S2)에서 전사된 전사무늬(17)는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 도 5 및 도 6 참조)이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계단면 등의 형태와 유사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3)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균일하게 혼입시켜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축광안료는 미세한 분말입자로서 어떠한 방사성 물질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 며, 빛을 흡수-저장-방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시광선(밝음상태)을 흡수하고 어두운 곳에서 저장된 빛 에너지를 스스로 발광하는 안료로서, 사용용도 및 보관에 따라 틀리지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발광성을 가진다.
글라스 비드(glass bead)는 유리재질로서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 및 내열성이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이 그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반사되는 재귀반사 특성을 가지고, 둥근 구술형태로 이루어져 전방향에 대한 응력이 동일하고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합성수지는 축광안료의 잔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 백색, 황색, 녹색 등의 색상을 이용함이 안정적일 것이다.
축광혼입물 충전단계(S4)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혼입물(24)을 강화유리판(11, 12)의 음각홈(15)에 충전하는 단계이다.
건조단계(S5)는 강화유리판(11, 12)의 음각홈(15)에 충전된 축광혼입물(24)을 건조로 상에서 80~120℃의 건조온도로 건조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11, 12)의 음각홈(15)에 고착시킨다.
이렇게 음각홈(15)에 축광혼입물이 고착됨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표시부(30)가 형성된다.
적층단계(S6)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축광혼입물(24)이 고착된 음각홈(15) 위로 상측 강화유리판(11)을 적층하여 접착하는 단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 제조방법은 음각홈 형성단계(S11)와, 전사단계(S12)와,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13)와, 축광체 가공단계(S14)와, 축광체 접착단계(S15)와, 적층단계(S16)로 이루어진다.
음각홈 형성단계(S1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11, 12)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11, 12)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15) 형태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4a에서는 하측의 강화유리판(12)의 접착면(즉 상부면에 해당됨)에 음각홈(15)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음각홈(15)은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접착면(즉 상부면에 해당됨) 또는 상ㆍ하측 강화유리판(11, 12)의 접착면 모두(즉, 상측 강화유리판(11)의 하부면 및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각홈 형성단계(S11)는 적층되는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11, 12)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음각홈(15)이 개재된 형태로 이루어기만 하면, 상측의 강화유리판 또는 하측의 강화유리판 또는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11, 12)의 양 접촉면 어느 곳에 형성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음각홈(15)은 금형제조방식, 불산 등과 같은 부식액을 이용한 부식방식 또는 샌드블라스팅 공법 등에 의해 그 형태가 가공될 수 있다.
전사단계(S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 주변면에 특정색상 및 형상을 가진 전사무늬(17)를 전사방식에 의해 형성시키는 단 계이다.
이러한 전사단계(S12)에서 전사된 전사무늬(17)는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 도 5 및 도 6 참조)이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계단면 등의 형태와 유사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13)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균일하게 혼입시켜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축광안료는 미세한 분말입자로서 어떠한 방사성 물질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빛을 흡수-저장-방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시광선(밝음상태)을 흡수하고 어두운 곳에서 저장된 빛 에너지를 스스로 발광하는 안료로서, 사용용도 및 보관에 따라 틀리지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발광성을 가진다.
글라스 비드(glass bead)는 유리재지로서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 및 내열성이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이 그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반사되는 재귀반사 특성을 가지고, 둥근 구술형태로 이루어져 전방향에 대한 응력이 동일하고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합성수지는 축광안료의 잔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 백색, 황색, 녹색 등의 색상을 이용함이 안정적일 것이다.
축광체 가공단계(S14)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축광혼입물을 건 조로 상에서 80~120℃의 건조온도로 건조시켜 고형의 축광체(25)로 고형화하는 단계이다.
축광체 접착단계(S15)는 강화유리판(11, 12)의 음각홈(15)에 고형화된 축광체(25)를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렇게 축광체(25)가 음각홈(15)에 접착됨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표시부(30)가 형성된다.
적층단계(S16)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강화유리판(12)의 축광체(25)가 접착된 음각홈(15) 위로 상측 강화유리판(11)을 적층시켜 접착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11, 12)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11, 12) 사이의 접촉하는 부분에 축광표시부(30)가 개재되고, 축광표시부(30)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 및 도 4는 2개의 강화유리판(11, 12) 사이에 축광표시부(30)를 개재시킨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 갯수의 강화유리판(11, 12, 13)이 적층되고, 각 강화유리판(11, 12, 13) 사이에 축광표시부(30)를 개재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 제조방법은 음각홈 형성단계(S21)와, 전사단계(S22)와,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23)와, 축광혼입물 충전단계(S24)와, 건조단계(S25)와, 반사시트 접착단계(S26)로 이루어진다.
음각홈 형성단계(S21)는 단일의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피난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계단과 같은 단턱부분을 나타내는 직선표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표시무늬를 음각홈(15) 형태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이러한 음각홈(15)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제조방식, 불산 등과 같은 부식액을 이용한 부식 방식 또는 샌드블라스팅 공법 등에 의해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사단계(S2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 주변면에 특정색상 및 형상을 가진 전사무늬(17)를 전사방식에 의해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전사단계(S22)에서 전사된 전사무늬(17)는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계단면 등의 형태와 유사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23)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균일하게 혼입시켜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축광안료는 미세한 분말입자로서 어떠한 방사성 물질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빛을 흡수-저장-방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시광선(밝음상태)을 흡수하고 어두운 곳에서 저장된 빛 에너지를 스스로 발광하는 안료로서, 사용용도 및 보관에 따라 틀리지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발광성을 가진다.
글라스 비드(glass bead)는 유리재질로서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 및 내열성이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이 그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반사되는 재귀반사 특성을 가지고, 둥근 구술형태로 이루어져 전방향에 대한 응력이 동일하고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합성수지는 축광안료의 잔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 백색, 황색, 녹색 등의 색상을 이용함이 안정적일 것이다.
축광혼입물 충전단계(S24)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에 충전하는 단계이다.
건조단계(S25)는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에 충전된 축광혼입물을 건조로 상에서 80~120℃의 건조온도로 건조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에 고착시킨다.
이렇게 음각홈(15)에 축광혼입물이 고착되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표시부(30)가 형성된다.
반사시트 접착단계(S26)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하 단면에 반사시트(22)를 접착하는 단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 제조방법은 음각홈 형성단계(S31)와, 전사단계(S32)와,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33)와, 축광체 가공단계(S34)와, 축광체 접착단계(S35)와, 반사시트 접착단계(S36)로 이루어진다.
음각홈 형성단계(S31)는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피난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계단과 같은 단턱부분을 나타내는 직선표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표시무늬를 음각홈(15) 형태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음각홈(15)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제조방식, 불산 등과 같은 부식액을 이용한 부식방식 또는 샌드블라스팅 공법 등에 의해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사단계(S32)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 주변면에 특정색상 및 형상을 가진 전사무늬(17)를 전사방식에 의해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전사단계(S32)에서 전사된 전사무늬(17)는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계단면 등의 형태와 유사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표시판(10)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축광혼입물 조성단계(S33)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균일하게 혼입시켜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축광안료는 미세한 분말입자로서 어떠한 방사성 물질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빛을 흡수-저장-방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시광선(밝음상태)을 흡수하고 어두운 곳에서 저장된 빛 에너지를 스스로 발광하는 안료로서, 사용용도 및 보관에 따라 틀리지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발광성을 가진다.
글라스 비드(glass bead)는 유리재질로서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 및 내열성이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이 그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반사되는 재귀반사 특성을 가지고, 둥근 구술형태로 이루어져 전방향에 대한 응력이 동일하고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합성수지는 축광안료의 잔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명, 백색, 황색, 녹색 등의 색상을 이용함이 안정적일 것이다.
축광체 가공단계(S34)는 상술한 단계에서 조성된 축광혼입물을 고화시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에 대응하는 형태의 축광체(25)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축광체 접착단계(S35)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음각홈(15)에 고형화된 축광체(25)를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렇게 축광체(25)가 음각홈(15)에 접착됨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축광표시부(30)가 형성된다.
반사시트 접착단계(S36)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하단면에 반사시트(22)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제3 및 제4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본 발명의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하부면에 축광표시부(30)가 구비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에 축광표시부(30)가 구비되며, 강화유리판(12)의 하단면에 반사시트(22)가 접착되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적층된 강화유리판(11, 12, 13) 또는 단일의 강화유리판(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축광물질이 함유된 축광표시부(30)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발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축광표시부(30) 측으로 유입될 위험이 거의 없고, 또한 축광표시부(30)의 내마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표시판(10)을 강화유리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긁힘 등과 같은 외상에 대해 강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도표시판의 내부에 축광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발광효율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축광표시부의 내오염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긁힘 등과 같은 외부 손상에 대한 강도가 매우 강화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판과 강화유리판이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상기 축광혼입물을 충전하는 축광혼입물 충전단계와,
    상기 음각홈에 축광혼입물이 충전된 강화유리판을 80~120℃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시켜 양생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축광혼입물이 양생된 강화유리판 위에 다른 강화유리판을 적층하는 적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2.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판과 강화유리판이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 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상기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대응하는 표시무늬 형태의 축광체로 고형화하여 가공하는 축광체 가공단계와,
    상기 축광체를 음각홈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상기 축광체가 접착된 강화유리판 위에 다른 강화유리판을 적층하여 접착하는 적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 형성단계에서, 상호 접착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 사이에서 어느 일측 강화유리판의 접착면 또는 상호 접착되는 상ㆍ하측의 강화유리판의 접착면 양측 모두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4. 적어도 2개 이상의 강화유리판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측 및 하측의 강화유리판 사이의 접촉하는 부분에 축광표시부가 개재되고, 상기 축광표시부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5. 강화유리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상기 축광혼입물을 충전하는 축광혼입물 충전단계와,
    음각홈에 상기 축광혼입물이 충전된 강화유리판을 80~120℃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시켜 양생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축광혼입물이 양생된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 반사시트를 접착하는 반사시트 접착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6. 강화유리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표시무늬를 음각홈 형태로 형성하는 음각홈 형성단계와,
    상기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이 형성된 주변면에 특정 색상 및 형상의 전사무늬를 전사처리하는 전사단계와,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를 균일하게 혼입하여 축광혼입물을 조성 하는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와,
    상기 축광혼입물을 강화유리판의 음각홈에 대응하는 표시무늬 형태의 축광체로 고형화하여 가공하는 축광체 가공단계와,
    상기 축광체를 음각홈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상기 축광체가 접착된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 반사시트를 접착하는 반사시트 접착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혼입물 조성단계에서,
    축광혼입물의 합성수지는 액상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의 제조방법.
  8. 강화유리판의 상단면 및 하단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축광표시부가 구비되고, 강화유리판의 하단면에는 반사시트가 접착되며, 상기 축광표시부는 합성수지에 축광안료 및 글라스비드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KR1020050044837A 2005-05-27 2005-05-27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2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37A KR20060122398A (ko) 2005-05-27 2005-05-27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37A KR20060122398A (ko) 2005-05-27 2005-05-27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98A true KR20060122398A (ko) 2006-11-30

Family

ID=3770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37A KR20060122398A (ko) 2005-05-27 2005-05-27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23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44B1 (ko) * 2006-12-18 2007-08-27 디에스엔터프라이즈(주) 축광법랑 표지판의 제조방법
KR101365749B1 (ko) * 2012-12-13 2014-02-20 (주)한미텍스타일 형광 포일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060B1 (ko) * 2019-02-21 2019-12-04 (주) 디에이치 라이프 라인 씨앤지 강화유리 야광 유도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412B1 (ko) * 2020-11-30 2022-03-07 원하윤 비상구 표지판
KR20230032614A (ko)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44B1 (ko) * 2006-12-18 2007-08-27 디에스엔터프라이즈(주) 축광법랑 표지판의 제조방법
KR101365749B1 (ko) * 2012-12-13 2014-02-20 (주)한미텍스타일 형광 포일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060B1 (ko) * 2019-02-21 2019-12-04 (주) 디에이치 라이프 라인 씨앤지 강화유리 야광 유도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412B1 (ko) * 2020-11-30 2022-03-07 원하윤 비상구 표지판
KR20230032614A (ko)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8043B2 (en) Luminous panel
US8192829B2 (en) Cast photoluminescent devices and photoluminescent inserts for substrates
US7166369B2 (en) Luminous panel
KR20060122398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EP0522785A2 (en) Phosphorescent panel
US7993722B2 (en) Substrate such as paving brick with non-powered photoluminescent portion
KR101676291B1 (ko) 광전환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228618A (zh) 全彩色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KR20190039882A (ko)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
JP2012088361A (ja) 標識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20960A1 (ja) 標示板
RU162929U1 (ru) Светящаяся плитка
JP6306982B2 (ja) 蓄光シリコーンゲルシート
KR101445710B1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5749097B2 (ja) 蓄光式標識とその製造法
JP4587771B2 (ja) 蓄光性蛍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746078A1 (en) Fired product having luminous function and evacuation route guiding sign device using fired product
KR200426648Y1 (ko) 축광성 타일
KR102151114B1 (ko) 인조대리석 야광 유도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4643B1 (ko) 축광표시체
US200700369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red product having luminous function, fired product manufactured thereby, and evacuation route guiding sign device using fired product
JP5771989B2 (ja) El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00036A (ja) 蓄光式誘導表示体
JP2010205506A (ja) El素子
KR100860298B1 (ko) 축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