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412B1 - 비상구 표지판 - Google Patents

비상구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12B1
KR102372412B1 KR1020200164736A KR20200164736A KR102372412B1 KR 102372412 B1 KR102372412 B1 KR 102372412B1 KR 1020200164736 A KR1020200164736 A KR 1020200164736A KR 20200164736 A KR20200164736 A KR 20200164736A KR 102372412 B1 KR102372412 B1 KR 10237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tempered glass
occupants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하윤
Original Assignee
원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하윤 filed Critical 원하윤
Priority to KR102020016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구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에 화재발생시 안내유도를 표시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강화유리와, 싱기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에 축광안료가 충진 또는 도포되어 발광하는 축광표시부와, 상기 강화유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전력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종래의 비상구 표지판과 달리 축광안료가 강화유리에 도포되어 자체 발광하므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실내 재실인원에게 안내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알림부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알림을 울려서 화재생황을 전파하여 화재발생시 빠른 경보전파를 통해 화재발생조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상구 표지판{Emergency exit signs}
본 발명은 비상구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안내유도를 표시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 강화유리에 축광안료가 충진 또는 도포되어 자체발광하는 비상구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는 초기 5분만에 화재로 인한 연기가 확산된다. 때문에 시야가 흐릿해지게 되며, 실내 재실인원들이 대피하기 위해 외부로 탈출을 안내하는 표지안내가 도시된 표지판을 의지하여 외부로 탈출하게 된다.
그러나, 화재현장에서는 비상구 표지판 대다수가 전력이 공급되어 비상구 표지판이 내부의 엘이디를 통해 발광하는 기술들이다. 따라서, 야간에는 화재로 인한 비상 표지판이 손상되어 전기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엘이디가 발광하지 못하므로 실내 재실인원들이 안내표지를 식별하지 못해 표지의 안내에 따라 탈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없이 실내 재실인원을 안내할 수 있는 표지판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8495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일면에 소방안전유도를 표시하는 문양, 도안, 도형, 문자 형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음각 또는 양각된 표시홈이 형성된 세라믹타일, 선택되는 표시홈의 형상에 따라 발광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홈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의 표면에 피막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진재는 축광안료와 무기질수지를 6:4 내지 5:5로 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축광안료가 표면의 홈에 충진되어 발광하므로 야간에도 완전유도를 위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외부로 탈출을 위한 안내표지의 기능만 제공할 뿐,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재난센터나 구급센터와 같은 외부기관에 전송하여 화재발생을 인식시키고, 동시에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알림을 울려서 화재생황을 전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8495호: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화유리에 축광안료가 충진 또는 도포되는 충진되는 비상구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동시에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을 전파할 수 있는 비상구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은 일면에 화재발생시 안내유도를 표시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강화유리와, 싱기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에 축광안료가 충진 또는 도포되어 발광하는 축광표시부와, 상기 강화유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실내 재실인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여부를 전달하는 화재전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열화상카메라로 실내를 촬영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실내의 공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전달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알림을 울리는 화재알림부와, 상기 화재발생시 엘이디가 점멸되는 점멸신호표시부를 포함한다.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추가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표시유닛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표시유닛은 제1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발광촉진용액이 수용되는 발광촉진액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마련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소정온도 이상일 때 용해되는 용해되는 가로막과, 제2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강화유리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와 인접한 외면에 안내표지가 표시되며,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발광액이 수용되어 상기 기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기 가로막이 용해되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에 수용된 발광촉진용액과 상기 발광액이 혼합하여 발광하는 발광액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종래의 비상구 표지판과 달리 축광안료가 강화유리에 충진 또는 도포되어 자체 발광하므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야간에 실내 재실인원에게 안내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화재전달부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엘이디를 점멸시켜 화재생황을 전파하므로 화재발생시 빠른 경보전파를 통해 화재발생조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유닛을 도시한 측면도-2이다.
도 5는 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시유닛에 의해 안내표지형성된 비상구 표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10)은 강화유리(100), 축광표시부(200), 테두리부(300), 센서부(400), 전송모듈(500), 화재전달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강화유리(100)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화재발생시 안내유도를 표시하는 문양, 도안, 도형, 문자 형상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된다. 상기 강화유리(10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유리(100)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불연소재 또는 초고온의 1200℃에서 견딜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해 외면에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100)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질 경우 열처리과정과 냉각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세라믹코팅이 이루어지며 이는 종래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축광표시부(200)는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100)의 양각 또는 음각이 형성된 일면에 축광안료가 도포되어 문양, 도안, 도형, 문자, 지시선과 같은 안내표지가 형성되어 발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광안료는 축광안료만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도록 형광색소와 혼합한 혼합물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00)는 실내 내벽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화유리(10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300)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테두리부(300)은 스테인레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종류의 불연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레이저컷팅하여 제작된다.
상기 테두리부(30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후술되는 발광액(744)수용부(740)가 바닥으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테두리부(300) 외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온도감지부(410)와 연기감지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부(410)는 열화상카메라로 실내를 촬영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열화상카메라부(412)와 온도산출부(414)를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부(412)는 실내를 촬영하여 열화상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촬영부(미도시)와 이미지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부(412)는 적외선을 통해 실내 공간을 촬영한다. 상기 이미지생성부는 상기 열화상카메라부(412)에서 촬영된 정보를 토대로 열 분포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온도산출부(414)는 상기 열화상카메라부(412)에서 획득한 열 분포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토대로 실내온도를 산출한다.
상기 연기감지부(420)는 실내의 공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실내공기수집부(422), 유독성물질검출부(424)와, 화재판별부(426)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공기수집부(422)는 실내의 공기의 성분을 파악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수집한다.
상기 유독성물질검출부(424)는 상기 실내공기수집부(422)에서 수집된 공기에서 유독성물질을 검출한다. 상기 유독성물질은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알데히드류등 화재시 발생하는 독성이 강한 물질들을 검출한다.
상기 화재판별부(426)는 상기 유독성물질검출부(424)에서 검출된 유독성물질의 성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연기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독성물질의 성질은 주로 상기 유독성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러나 상기 화재판별부(426)는 상기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독성물질의 양, 유독성물질 독성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송모듈(500)은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RF(Radio Frequency)방식의 무선주파수를 방사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전송모듈(500)은 재난센터(510)나 구급센터에 상기 감지정보를 전송하여 외부기관에 화재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재전달부(600)는 상기 테두리부(300) 외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여부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화재알림부(610)와, 점멸신호표시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알림부(610)는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알림을 발생시킨다. 상기 화재발생알림은 일 예로서 "화재발생, 화재발생" "비상, 비상" 또는 '삐삐삐"와 같은 단음을 반복하여 실내의 재실인원에게 화재상황이 전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멸신호표시부(620)는 화재발생시 실내인원이 화재여부를 점멸신호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엘이디가 점멸된다. 상기 엘이디는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붉은색상이 점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10)은 상기 센서부(400)의 온도감지부(410)가 열화상카메라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연기감지부(420)가 실내의 공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를 판별한다.
이어서, 전송모듈(500)이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재난센터(510)나 구급센서에 전송하여 외부기관에 화재발생을 인식시키고, 동시에 화재알림부(610)가 상기 센서부(40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알림을 발생시켜 화재상황을 전파하므로 화재발생시 빠른 경보전파를 통해 화재발생조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구 표지판(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비상구 표지판(10)은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보조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표시유닛(700)를 더 포함하며, 발광촉진액수용부(710), 연통부재(720), 가로막(730) 및 발광액수용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710)는 제1 내부공간(712)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712)에 소정의 발광촉진용액이 수용된다.
상기 연통부재(720)는 일단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710)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연통공간(722)이 마련된다.
상기 가로막(730)은 상기 연통부재(7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광촉진용액이 상기 발광액수용부(740)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로막(730)은 화재발생시 소정의 온도 이상일 때 스스로 발광촉진액(714)에 자체용해된다.
상기 발광액수용부(740)는 제3 내부공간(742)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부재(7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테두리부(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화유리(100)에 인접되게 상기 이격부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액수용부(740)는 상기 강화유리(100)와 인접한 외면에 안내표지가 표시되며, 상기 제3 내부공간(742)에 발광액(744)이 수용된다.
상기 발광액수용부(740)은 재질이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액수용부(740)은 화재가 발생하여 열이 전달되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가로막(730)이 상기 발광촉진액(714)에 자체용해되고, 이때, 상기 발광촉진액(714)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710)에 수용된 제2 내부공간(742)으로 인입되어 상기 발광액(744)이 혼합하므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표시유닛(700)은 인근에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가로막(730)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740)에 수용된 발광촉진액(714)에 자체용해되고, 상기 발광촉진액(714)이 상기 연통부재(720)의 연통공간(722)를 통과하여 상기 발광액수용부(740)의 제2 내부공간(742)으로 인입된다.
이어서, 상기 발광촉진액(714)이 상기 발광액(744)과 혼합하여 발광하게 되므로 발광액수용부(740)의 외면에 표시된 발광한 안내표지가 형성된다. 때문에 실내 재실인원들에게 실내에서 대피하거나 탈출할 때 보조안내를 위한 보조안내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상구 표지판 100: 강화유리
200: 축광표시부 300: 테두리부
400: 센서부 410: 온도감지부
412: 열화상카메라부 414: 온도산출부
420: 연기감지부 422: 실내공기수집부
424: 유독성물질검출부 426: 화재판별부
500: 전송모듈 510: 재난센터
600: 화재전달부 610: 화재알림부
620: 점멸신호표시부 700: 보조표시유닛
710: 발광촉진액수용부 712: 제1 내부공간
714: 발광촉진액 720: 연통부재
722: 연통공간 730: 가로막
740: 발광액수용부 742: 제2 내부공간
744: 발광액

Claims (3)

  1. 일면에 화재발생시 안내유도를 표시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에 축광안료가 충진 또는 도포되어 발광하는 축광표시부와;
    상기 강화유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기 화재발생시 실내 재실인원에게 대피장소를 보조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표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표시유닛은
    제1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발광촉진용액이 수용되는 발광촉진액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마련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소정온도 이상일 때 용해되는 가로막과;
    제2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강화유리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유리와 인접한 외면에 안내표지가 표시되며,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발광액이 수용되어 상기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기 가로막이 용해되면, 상기 발광촉진액수용부에 수용된 발광촉진용액과 상기 발광액이 혼합하여 발광하는 발광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지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 재실인원에게 화재발생여부를 전달하는 화재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열화상카메라로 실내를 촬영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실내의 공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전달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알림을 울리는 화재알림부와;
    상기 화재발생시 엘이디가 점멸되는 점멸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지판.
  3. 삭제
KR1020200164736A 2020-11-30 2020-11-30 비상구 표지판 KR10237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36A KR102372412B1 (ko) 2020-11-30 2020-11-30 비상구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36A KR102372412B1 (ko) 2020-11-30 2020-11-30 비상구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412B1 true KR102372412B1 (ko) 2022-03-07

Family

ID=8081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736A KR102372412B1 (ko) 2020-11-30 2020-11-30 비상구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05081A1 (en) * 2022-09-26 2024-03-28 Audible Braille Technologies, Llc 1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sign location assistance utility by audible signa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91Y1 (ko) * 2003-03-06 2003-06-02 박현병 복합 경보기능이 탑재된 비상유도장치
KR20060122398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오빌테크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8495A (ko) 2006-06-12 2007-12-17 유창현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6816B1 (ko) * 2018-02-20 2018-09-10 조남준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91Y1 (ko) * 2003-03-06 2003-06-02 박현병 복합 경보기능이 탑재된 비상유도장치
KR20060122398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오빌테크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8495A (ko) 2006-06-12 2007-12-17 유창현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6816B1 (ko) * 2018-02-20 2018-09-10 조남준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05081A1 (en) * 2022-09-26 2024-03-28 Audible Braille Technologies, Llc 1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sign location assistance utility by audible signa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5934B (zh) 撤离系统及其逃生线路指示器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US8896427B1 (en) Portable thermal image emergency exit marking device for firefighters
KR102372412B1 (ko) 비상구 표지판
KR101656538B1 (ko) 데이터 처리 장치를 위한 조종면
KR101874310B1 (ko) 화재 감지기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201684316U (zh) 智能型led应急疏散指示灯系统
US8026825B2 (en) Light sensing pull station
KR101059612B1 (ko) 저전력 무선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led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한 화재 비상표시 유도 시스템
KR101195171B1 (ko) 비상정보 조명 시스템
CN109541543A (zh) 一种消防现场人员定位系统、定位方法及检测定位设备
KR20090101034A (ko) 비상구 안내장치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100564344B1 (ko) 피난로 유도 시스템
KR20170079122A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JP2008292559A (ja) 表示装置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102090872B1 (ko) 기능성 소방안전관리 알림표지판
KR20210082580A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KR20180104245A (ko) 화학물질 누출 감지장치
KR20220080457A (ko) 지능형 대피방향표시판넬 관리시스템
JP3152808U (ja) 水素漏洩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