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806A - 개량된 교합용 부목 - Google Patents
개량된 교합용 부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1806A KR20060121806A KR1020067001781A KR20067001781A KR20060121806A KR 20060121806 A KR20060121806 A KR 20060121806A KR 1020067001781 A KR1020067001781 A KR 1020067001781A KR 20067001781 A KR20067001781 A KR 20067001781A KR 20060121806 A KR20060121806 A KR 20060121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lint
- teeth
- contact
- tooth
- j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형태의 부목(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목은 이를 착용한 환자의 구강 내의 마주보는 후방 치아(44)의 수직 분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촉부(8)를 갖는다. 상기 부목(2)은 마주보는 전방 치아(42)를 상기 부목(2)이 부착된 전방 치아(40)와 접촉시켜 상기 마주보는 전방 치아(40, 42)의 접촉부(8)에 대한 이동에 따라 후방 치아(42)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8)는 전방부(20)가 각을 이루어 경사지는 중앙(10) 또는 중간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부목은 선택적으로 제 3 부분(30)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중앙 또는 중간 부분(10)과 각을 이루어 경사져서 턱 또는 치아의 위치를 안정화시켜 턱 위치의 영구적 또는 장기간의 변화를 예방한다.
부목, 치아, 간격, 수직 분리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 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량되거나 새로운 형태의 구강 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이를 가는 것과 같은 수면 중의 불규칙한 상태와 관련되어 발생되는 특정 조건에 의해 고통받는 환자에 의해 착용 되는 형태의 구강 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들은 마주보는 치아들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어금니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변형된 접촉부를 갖는 교합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갈기의 힘을 억제하여 치아 손상의 잠재적 위험을 제거한다. 상기 치아는 복구 및 치료된 치아 또는 유사 물체를 포함하며, 잠재적 위험은 사람이 잠을 자는 동안 통상 발생하는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턱 악물기, 갈기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하루 중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형된 접촉부를 갖는 교합용 부목 및 이러한 교합용 부목을 사용하는 방법의 특정 적용예들을 설명하는바, 변형된 접촉부는 상기 부목, 특히, 부목의 접촉부와 마주보는 앞니 사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여 어금니가 사용중에 접촉하지 않도록, 특히, 갈기 동작 중에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교합 용 부목의 바람직한 형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명료하게 규정되는 접촉 표면들, 구역들,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개량된 또는 변형된 접촉부를 가지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어 경사져서, 턱이 어금니들을 사용중에 서로 이격 상태로 유지하도록 움직이는 경우 치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며, 어떤 경우에는, 치아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특히, 치아의 수직 간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부목은 앞니 위의 제 위치에 머무르도록 설계되어 어금니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이 마주보는 어금니가 사용중에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각진 부분, 또는 표면들을 포함하는 경사면 또는 유사 형태의 복합 접촉부를 갖는 교합용 부목의 일 형태에 대해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 및 배열의 구강 내 장치, 다른 형태 및 배열의 접촉부를 포함하도록 더욱 넓게 확장될 것이며, 상기 접촉부는 각기 다른 배열 및 배향의 각 부분 또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입 모양, 입 구조 등을 갖는 많은 환자들의 수많은 조건 및 불규칙성에 대해 넓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턱 및 턱 근육을 악무는 습관은 상하 치아가 서로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많은 사람이 이로 인해 고통받게 된다. 턱의 이러한 운동을 일반적으로 이갈기라고 한다. 통상, 이갈기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바, i) 턱을 악물어서 치아가 정지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힘을 가하는 상태와, ii) 치아를 갈아서 치아가 서로를 횡 방향으로 미는 상태이다. 이갈기는 이러한 운동을 모두 포함하며, 환자는 다양한 형태의 이갈기로 인해 고통받게 된다.
치아의 악물기 및/또는 갈기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이갈기는 심각한 치아 건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건강 문제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갈기"라는 용어는 "치아의 불규칙한 악물기 및 갈기"로서 보다 정확히 규정될 수 있다. 이를 치료하지 않을 경우, 이갈기는 치아 표면의 마모 및 손상, 교합의 수직 치수 감소, 증가된 근육 톤(tone), 긴장 또는 변형, 치아의 파손, 치아의 부서짐, 및 악관절(TMJs) 내의 병리학적 변화 등을 유발한다. 이는 또한 근육, 통상적으로는 씹기 근육의 병리학적 변화와 같은 근육 내의 질병 또는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씹기 근육 또는 구조의 손상은 불규칙한 행위 도중 가해지는 힘의 기간 및 크기와 관련된다. 힘이 셀수록 손상도 심하다.
치아의 이러한 갈기 및 악물기는 종종 스트레스와 관련되며, 이갈기는 환자가 자는 동안 밤이나 낮이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지만, 이갈기의 힘은 밤에 더 크며, 따라서, 손상도 밤이 더 심하다. 환자는 이러한 손상이 명백 및/또는 관측 가능할 때까지 이러한 상태 및 해로움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해로움 및 손상이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상태는 너무 늦게 발견되어 완전한 치료 또는 회복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상태의 개선에는 종종 비용의 증가 및 치료기간의 연장을 필요로 한다. 치아의 갈기는 환자가 그의 턱을 악물음으로써 유발되어, 마주보는 상하 치아의 교합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힘을, 때로는 상당한 힘을 가하도록 한다. 마주보는 치아가 서로 접촉하는 실제의 악물기 행동 자체뿐만 아니라, 턱 근육들은 상하 치아가 서로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이들이 서로 접촉하는 동안 치아의 갈기 동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것들이 체크되지 않으면, 이러한 갈기 동작은 환자의 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게 되며, 악물기 동작에 의해 유발되는 해로움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또한 충전,크라운 등과 같은 전술된 복구 및 치료된 부분을 갖는 치아에 대한 손상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짧은 기간 동안의 일정한 갈기 동작은 치아 표면들로부터, 특히, 치아의 크라운 또는 끝 부분으로부터 에나멜을 마모시킬 수 있다. 오랜 기간 동안의 갈기 동작은 결과적으로 치아의 에나멜을 마모시켜 치수 자체 및/또는 그 안까지 마모시켜, 전술한 복구 및 치료 부분까지 마모함으로써, 치아 및 신경에 대해 치료 불가능한 손상 및 해로움, 예들 들면, 치아의 부서짐 등과 같은 추가의 값비싼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악물기 근육의 기능 이상은 만성적인 경우 악관절 장애, 긴장으로 인한 두통, 편두통 등과 같은 증상을 더욱 촉진하며, 환자에게 영구적 및/또는 임시적 해로움 및/또는 부상을 유발한다.
교합 장치로서 공지된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이갈기 치료를 위한 복수의 각기 다른 기기 및 장치들이 있지만, 전술한 장치들의 부목 또는 다른 것들은 이갈기의 효과를 개선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함 또는 단점을 갖는다. "평평한 풀 마우스 부목"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부목들 중 하나의 형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서, 잠잘 때와 같이 오랫동안 착용하기에는 불편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부목들은 너무 불편하여 많은 환자들이 이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서 결국 착용하지 않게 되어, 이의 사용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없어지게 된다. 두 개의 앞니와 접촉하는 다른 형태의 부목들은 크기가 작 아서 착용하기에는 편하지만, 두 개의 치아, 통상, 위쪽의 가운데 앞니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므로 치아로부터 쉽게 빠지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작은 크기로 인해, 부목과 치아 사이의 접촉 면적이 불충분하여 사용중에 부목을 견고히 고정하기 어렵다. 또한, 그들의 작은 크기로 인해, 상기 장치가 치아와의 접촉으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이러한 장치들이 삼켜지거나 흡입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장치와 치아 사이의 접합부가 장시간 사용 및 착용 후 헐거워 질 경우 그럴 가능성이 크다.
다른 장치들은 접촉부를 구비하여 어금니들이 서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접촉부는 돔 또는 램프, 또는 유사 형상의 돌기 또는 돌출부 형태로서, 상기 부목의 전방 표면들 또는 앞면을 넘어 연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접촉부를 갖는 부목들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돌출부의 크기 또는 면적은 어금니를 이격 상태로 유지시키기에는 불충분하며, 마주보는 앞니들이 접촉부로부터 미끄러져 뒤쪽의 치아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치아를 이격시키는 접촉부는 더 이상 제자리에 위치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접촉 표면의 형상은 평평하여 상하 치아를 수용하는 상하 아치형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여, 앞니들이 상기 부목과 접촉하고 있어도 어금니들이 서로 접촉하여 서로 이를 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부목들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접촉부의 크기 및 형상으로 인해 상기 장치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어금니들이 서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이갈기의 효과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문제점 및 단점들이 남아 있다. 접촉부들의 문제점 중 하나는 앞니를 악무는 것에 의한 반사작용으로 턱이 개방되며, 접촉부는 어느 정도만 입안으로 들어갈 정도로 커서 어금니가 서로 접촉하기 전에 앞니들이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부목은 착용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접촉부가 작으면, 마주보는 어금니는 최소한으로만 분리될 뿐이다.
따라서, 착용하기 편리하며 마주보는 어금니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제공하여 이갈기를 방지하며 그로 인한 역효과를 제거 및 감소시키는 교합용 부목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턱, 특히 아래턱, 즉, 하악골을 더 크게 벌려 어금니 사이의 접촉을 예방 또는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의 목적은 평평한 풀 마우스 부목보다 작은 크기의 착용감이 편안한 교합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이갈기의 힘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교합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치아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동안 마주보는 치아 사이의 수직 분리 치수를 감소시키는 교합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관절(TMJ)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교합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마주보는 어금니를 충분히 분리시키고, 마주보는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주보는 앞니의 운동을 제어하는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각기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표면을 갖는 복합 접촉부를 구비하는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이갈기로 고통받는 사람의 치아의 갈기 및/또는 악물기로 인한 이갈기의 힘의 강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합용 부목을 제공하는바, 상기 부목은,
이갈기로 고통받는 사람의 하나의 아치형 치아 중 적어도 몇몇의 앞니에 상기 부목을 고정하여 상기 부목을 사람의 입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고정 수단을 갖는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부분은 사람의 다른 아치형 치아의 앞니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대면하도록 정렬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아치의 앞니는 상기 부목이 입 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앞니와 마주보되.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부목의 사용중에 치아가 정상적인 치아의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마주보는 앞니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 또는 섹션과 상기 턱이 악물리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마주보는 앞니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 1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섹션을 가짐으로써 상기 치아가 정상적인 치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마주보는 앞니는 접촉부와 접촉하여 적어도 제 1 아치의 어금니들이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와 이격되는 관계를 적어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턱이 악물리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마주보는 앞니는 정상적인 치아 위치로부터 제 2 섹션에 대해 안내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아치의 어금니들이 적어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이갈기의 힘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교합용 부목의 일단부에 위치하거나 그를 향하는 공동, 챔버, 포켓, 홈, 슬롯, 개방공 또는 기타 유사 구조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부목의 사용시 상기 상면을 따라 위치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앞니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부목을 착용하는 사람의 치아의 상부 아치의 앞니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앞니,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상부 앞니,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개의 상부 앞니, 가장 바람직하게는 여섯 개의 상부 앞니를 수용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목의 상기 고정 수단은 여섯 개의 중앙 또는 앞니 또는 상부 앞니에 의해 제자리에 수용 또는 위치되도록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부목은 마주보는 어금니를 서로로부터 최소 분리 상태를 유지시킨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마주보는 어금니 사이의 분리는 상기 마주보는 앞니가 서로에 대해 전방 이동함에 따라 더 커진다.
일반적으로, 이갈기는 낮이나 밤에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부목을 사용하여 감소된 이갈기의 효과는 상기 장치가 착용되어 있는 동안, 일반적으로 밤에, 발생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가 착용되는 경우 이갈기의 힘의 강도가 대략 70%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정상적인 치아 위치는 상기 입에 장치들이 없는 경우 상기 중앙 교합 위치에 대응하는 치아 접촉 위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목에 대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목의 접촉 위치에 대한 앞니의 이동은 전방 방향이며, 선택적으로 측 방향 또는 양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목은 적어도 넷 또는 그 이상의 전방 치아와 협동적으로 결합하며, 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다섯 또는 그 이상의 전방 치아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여섯 개의 전방 치아와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부목은 8 또는 12개까지의 상부 치아와 접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목은 앞니와 같은 중앙 상부 치아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방 치아는 앞니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앞니는 두 쌍의 앞니이며, 상기 제 1 쌍의 중앙 치아는 상기 앞니의 어느 일 측에 위치된다. 상기 부목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치아와 접합할 수 있지만, 상기 부목은 상기 상부 치아와 접합하여 상기 하부 치아가 마주보는 치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치아와 접합하는 경우, 상기 접촉 표면들은 상기 하부 전방 치아와 대면하며 상기 하부 전방 치아 및/또는 아래 턱(하악골)의 이동을 어느 정도 제어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후방 치아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후방 치아는 제 1, 제 2 및 제 3의 으깨기 치아를 포함하는 으깨기 치아 및/또는 제 1 및 제 2 작은 어금니 등을 포함하는 작은 어금니와 같은 어금니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파트, 섹션, 부분 등을 가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접촉부는 평평한, 선형의, 평면의, 매끄러운, 연속적인, 경사진 등의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 표면 또는 표면들은 곡면을 이루며, 오목, 볼록 등과 같은 표면들을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촉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선 평면, 경사면, 또는 테이퍼 면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개의 접촉 표면 중 하나는 평평하거나 그와 유사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목의 두 개의 접촉 표면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며,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개의 평면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며,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평면들은 서로에 대해 상당한 각을 이루어 경사진다. 일반적으로 경사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도 내지 145도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접촉부의 길이에 걸쳐 변화하여 상기 접촉부는 거의 곡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는 평평할 수도 있고 곡면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곡면부는 볼록할 수도 있고 오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것이 상기 후방 치아들이 이격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상기 곡면부는 약간 곡면을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곡면은 포물선, 원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곡면 형상,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을 이룬다. 게다가, 상기 곡면부는 어떤 직경, 곡률, 크기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는 제 3 섹션, 표면, 또는 부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의 다른 쪽 또는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단부는 상기 제 2 섹션을 갖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부분은 나머지 두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섹션은 중앙 또는 중간 부분이며,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중앙 섹션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섹션은 보다 후방에, 또는 선형적으로, 쪼는 뒤에 위치하여 상기 장치의 후방으로 연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부분은 가장자리, 선반, 가로대, 또는 그와 유사한 부분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또는 중간 부분과 각을 이루어 경사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부분은 테이퍼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섹션의 테이퍼의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상기 전방부는 상기 후방 치아의 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방 경사부이며,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아래턱의 후방 이동을 거의 예방한다. 따라서, 상기 두 섹션의 조합은 치아의 이동을 제어하여 후방 치아의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섹션은 치아의 위치를 통상의 습관적인 폐쇄 위치에서 안정화하거나 안정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또는 후방부는 턱의 이격을 적어도 유지하도록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턱의 이격을 증가시키도록 적용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후방부는 부정 교합을 형성하는 후방 전환을 수행하는 턱의 위치를 교정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부분은 후방 전환을 방지하며, 턱이 정상 위치, 특히, 정상의 습관적인 치아 위치로 복귀하도록 도와준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는 중앙 교합을 촉진하여 가장 후방의 아래 치아의 상부와 턱이 거의 전방 이동,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목의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입의 상부 아치의 전방 치아에 대해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가 입의 상부 전방 치아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정상적인 치아 위치에서 잠을 자는 경우 상기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과 장치의 하나의 형태가 분리된 상태의 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로서 접촉부를 형성하는 각진 경사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7은 접촉부의 접촉 표면을 도시하는 도 4의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실시예의 일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사람이 잠잘 때 정상적인 치아 결합 위치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장치의 측면도로서, 사람이 그의 턱을 움직임에 따라 아래턱이 상태적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 후방 치아의 간격이 증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합용 부목의 하나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 2로 일관 도시되는 이러한 형태의 교합용 부목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며, 환자의 전방 치아의 형상에 맞게 성형하여 환자의 입의 상부 아치의 여섯 개의 중앙 전방 치아(40), 예를 들면, 두 쌍의 상부 앞니 및 상부 쌍의 송곳니와 같은 치아를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상기 부목은 상부(4)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4)는 그 안에 중앙 전방 치아(40)를 수용하는 복수의, 일반적으로 여섯 개의 포켓, 함몰, 홈(6) 등을 갖는다. 각각의 포켓은 하나의 치아를 수용하여 상기 여섯 개의 치아가 상기 여섯 개의 포켓에 집합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포켓들(6)은 본 발명의 고정 수단의 일 형태로서, 이는 상기 부목을 입안에 고정하도록 상기 부목을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안, 상기 부목을 입 안의 제자리에 고정시켜 상기 부목을 입 안에 정확히 위치시킨다. 사용 중에, 여섯 개의 상부 전방 치아(40) 각각은 성형된 포켓들(6) 안에 각각 편안히 수용된다. 이는 상기 부목이 상기 치아에 안정되게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부목이 치아 상의 올바른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중에, 환자가 잠을 자는 동안, 구강 안으로 잘못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부목을 삼키거나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목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플라스틱 물질 또는 적절한 플라스틱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외부 물질보다 성형이 용이한 열 연화성 물질층이 안에 위치하는 트레이 또는 유사 형태의 상대적으로 단단한 외부 덮개가 있다. 상기 부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목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덮개 및 내부 층이 뜨거운 물에 위치되어 내부층을 연화하여 성형 가능하게 하여, 상기 부목이 상기 중앙의 여섯 개의 상부 치아(4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부목의 내부 층이 상기 여섯 개의 중앙 상부 치아(40)의 외형에 순응하여 상기 함몰부들(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부목을 냉각하는 경우, 상기 부드러운 내부 층은 여섯 개의 상부 중앙 치아의 형상대로 성형되어 상기 치아(6)의 정확한 굴곡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부목은 상부 전방 치아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환자가 잠을 자거나 하는 경우와 같이, 부목을 사용하는 동안 치아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목이 원하지 않는 이동에 대하여 안정화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의 굴곡은 상기 부목의 상부(4)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목은 상기 치아(40)의 정확한 형상대로 성형되는 상기 상부(4)와 같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다.
하부 치아 또는 아래턱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부목의 일부인, 상기 부목의 아래쪽은 공동, 홈, 리베이트(rebate), 중공부, 또는 유사 함몰부 등을 구비하며, 이는 도면 부호 8로 일괄 도시된다. 상기 접촉부(8)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 개의 섹션 또는 부분(10, 20, 30)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한다. 제 1 섹션으로 지칭되는, 상기 섹션들 중 하나는 상기 부목의 측면 또는 단부들(1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거의 평평한 부분이다. 섹션(10)은 환자가 중앙 교합 위치에서 사용중이거나 그들이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경우 정상 치아 위치에서 상기 하부 전방 치아(42)와 접촉하기 위한 거의 평평한 접촉 표면이다. 상기 하부 치아(42)가 평면(10) 상에 놓이는 경우, 상기 부목은 편안하게 착용되어,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치아(44) 사이에 충분한 간격 "S"를 유지하는바, 상기 부목은 정상 치아 위치에서 착용된 것이며, 이갈기의 효과를 무효화하도록 하는 시도로서 환자에 의해 착용하는 경우 다른 부목의 간격보다 상기 간격 "S"가 적어서 편안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접촉부(8)의 제 2 섹션(20)은 중앙 섹션(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진, 또는 기울어진 스커트(22) 형상을 가지며, 중앙 하부 치아(42)의 상부 에지들의 접촉 표면인 일반적으로 테이퍼지거나 경사진 내면을 규정한다. 상기 접촉 표면(20)은 상기 평평한 중앙 또는 중간 표면(10)에 대해 각을 이루어 경사진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 상기 전방 또는 전방 접촉부(20)의 테이퍼는 상기 아래턱이 더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 전방 치아(42)가 접촉부(20)와 접촉하여 상기 하부 전방 치아가 전방 경사의 테이퍼 면을 따라 이동하여 후방 위치 치아(44)의 간격을 간격 "t"까지 증가시키도록 적용되는바, 이는 도 12 및 13에 도시된 간격 "S"보다 크다. 따라서, 아래턱의 전방 이동은 비자발적 또는 자발적으로 후방 치아의 간격을 적어도 간격 "S"로 또는 일반적으로 간격"t"까지 증가된 상 태로 유지하여 이갈기의 가능성을 낮춘다.
후방 접촉 표면(30) 또한 가장자리, 가로대 또는 유사 형상의 경사진, 테이퍼진, 또는 사선 접촉 표면이다. 후방 접촉 표면(30)의 경사각은 접촉부(20)의 경사각보다 크지만, 접촉부(30)의 길이는 섹션(20)의 길이보다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접촉 섹션(30)은 접촉부(20)보다 뾰족하다. 상기 가장자리(30)는 중앙 위치 평판 접촉 표면(20)에 대해 각을 이루어 경사진다. 상기 가장자리의 의도 또는 목적은 교합에 있어서의 변화를 유발할 수도 있는 턱의 영구 후방 이동 또는 전환을 예방, 다시 말해서, 턱 위치의 영구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접촉부(8)의 범위는 상기 부목의 한계 내에서 규정되어 상기 전방 스커트(22), 특히, 전방 접촉 표면(20)이 상기 부목의 전면을 넘어 연장하지 않고 상기 후방 접촉 표면(30)이 상기 부목의 후면을 넘어 연장하지 않도록 한다. 전체 접촉 표면(8)이 부목의 경계선 내에 완전히 포함되고 상기 부목으로부터 외향 연장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부목은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면중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부목(2)은 입 둘레에서 정확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입 안의 상부 또는 하부 아치, 바람직하게는 하부 아치의 곡률에 순응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는 사용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환자가 잠을 자는 경우와 같은 사용중에 상기 부목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보조 작용하여 안락함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상기 부목(2)의 측면들(12)은 테이퍼져서 이를 악무는 경우 턱의 원치않는 측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부목은 후방의 마주보는 치아(44)가 서로에 대해 보다 가깝게 이격되도록 하여, 그들의 중앙 교합의 습관적인 씹는 위치에 있는 경우, 간격 "S"에서 착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되며, 특히, 오랜 기간의 수면을 취할 경우 더욱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턱의 전방, 또는 측 방향 이동(즉각적인 교합 이상)은 일반적으로 상기 경사면들(20, 30) 및 측면들(12)뿐만 아니라 상기 공동의 외형 및/또는 형상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부목은 아래턱의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턱과 교합은 최적 위치에서 안정화된다. 결국, 턱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으로 인해, 하부 치아는 전방 접촉부(20) 또는 후방 접촉부(30) 각각의 테이퍼진 접촉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후방 치아의 간격을 예를 들면 간격 "S"에서 "t"까지 증가시켜 후방 치아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후방 치아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치아가 서로 접촉하여 갈기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치아와 턱의 교합 안정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점들은 교합용 부목이 착용이 편안하고, 각각의 접촉 표면의 경사각으로 인해 턱이 편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한다. 턱의 모든 운동, 특히, 아래턱의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은 후방 치아의 간격을 증가시켜 턱이 정상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며 상기 부목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오랫동안 안정된 교합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초기에 상부 및 하부 후방 치아(44) 사이의 명료한 간격 "g"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환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끼고, 근육과 악관절의 손상을 줄이도록 수직 치수 및 입의 최소 수직 개방이 감소되도록 한다. 턱, 근육 등의 변형 및 결합 근육의 문제도 감소된다. 상기 장치는 입술이 수면중에 다물어 지도록 하여 건조한 입 상태로 인한 잇몸의 염증, 잇몸 질환, 치주질환을 예방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큰 장치를 착용하는 겨우 입술이 다물어지지 않도록 하여 입술과 입 등이 건조하거나 트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장치의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연장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장치는 악관절의 영구 또는 장기간의 후방 전환 및 근육의 재교육의 결과로서의 교합의 변화를 감소, 방지 또는 예방한다.
전술한 장치들은 예시적 의미로 설명되었으며, 많은 변형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새로운 특징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실시 가능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된 내용 이상의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변형 및 개량된 것들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 이갈기로 고통받는 사람의 치아의 갈기 및/또는 악물기로 인한 이갈기의 힘의 강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합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부목은이갈기로 고통받는 사람의 하나의 아치형 치아 중 적어도 몇몇의 앞니에 상기 부목을 고정하여 상기 부목을 사람의 입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고정 수단을 갖는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상기 바디 부분은 사람의 다른 아치형 치아의 앞니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대면하도록 정렬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상기 제 1 아치의 앞니는 상기 제 2 아치의 앞니와 마주보되,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부목의 사용중에 치아가 정상적인 치아의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마주보는 앞니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 또는 섹션과 상기 턱이 악물리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마주보는 앞니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 1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섹션을 가짐으로써 상기 치아가 정상적인 치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마주보는 앞니는 접촉부와 접촉하여 적어도 제 1 아치의 어금니들이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와 이격되는 관계를 적어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턱이 악물리는 경우 상기 제 2 아치의 적어도 하나의 마주보는 앞니는 정상적인 치아 위치로부터 제 2 섹션에 대해 안내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아치의 어금니들이 적어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이갈기의 힘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교합용 부목의 일측 또는 일단부에 위치하거나 그를 향하는 공동, 챔버, 포켓, 홈, 슬롯, 개방공 또는 기타 유사 구조로서, 상기 부목을 입 안에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상기 앞니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치아의 형상에 맞도록 성형되어 그 안에 치아를 수용하는 적어도 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넷,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여섯 또는 그 이상의 함몰부인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마주보는 후방 치아 사이의 간격이 마주보는 전방 치아 중 하나가 다른 마주보는 전방 치아에 대해 전방 이동함에 따라 적어도 유지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도록 하는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합의 치아는 상기 상부 아치 또는 치아인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치의 치아는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중앙 앞니, 바람직하게는 중앙 상부의 네 개 치아,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 상부의 여섯 개의 치아인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은 중앙 또는 중간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중앙 부분에 인접 또는 연속하여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또는 중간 부분보다 앞에 위치하는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접촉부는 평평하거나 곡면이며 각기 다른 형상의 조합인 장치.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표면은 상기 중앙 또는 중간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어 경사지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사이의 경사각은 대략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10도 내지 160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도 내지 145도인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기 접촉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는 곡면, 포물선, 원형 또는 기타 기하학적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제 3 섹션, 표면 또는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섹션을 갖는 측면 또는 단부보다 상기 제 1 섹션의 다른 측면 또 는 단부에 또는 그를 향해 위치하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섹션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보다 뒤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중앙 또는 중간 부분이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전방 부분이며, 상기 제 3 부분이 후방, 또는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가장자리, 선반, 가로대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 또는 중간 부분과 각을 이루어 경사지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또는 전방 부분은 전방 경사부로서 후방 치아의 간격을 증가시키며, 상기 후방 또는 제 3 부분은 상기 턱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여 거의 영구 위치로 적용하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정상적인 폐쇄 위치에 대해 턱의 위치를 안정화 또는 안정화 되도록 하는 부목.
-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또는 후방 부분은 상기 턱의 후방 전환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고 정상 위치로의 턱의 이동을 보조하며 상기 장치 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 이 위치를 유지하는 부목.
- 구강과 관련된 문제로 고통받는 사람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 내의 전방 치아 중 적어도 몇 개에 거의 순응하도록 적용되는 부목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강 내에 상기 부목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부목이 접촉부를 구비하여 마주보는 전방 치아와 부목의 접촉이 마주보는 후방 치아를 이격 상태로 위치시켜 이갈기의 효과를 완화시키는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은 청구항 1 내지 16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03903900A AU2003903900A0 (en) | 2003-07-25 | 2003-07-25 | Improved occlusal splint |
AU2003903900 | 2003-07-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1806A true KR20060121806A (ko) | 2006-11-29 |
Family
ID=3198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1781A KR20060121806A (ko) | 2003-07-25 | 2004-06-09 | 개량된 교합용 부목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US (2) | US7234467B2 (ko) |
EP (1) | EP1663049B1 (ko) |
JP (1) | JP2006528495A (ko) |
KR (1) | KR20060121806A (ko) |
CN (1) | CN1856279A (ko) |
AT (1) | ATE489913T1 (ko) |
AU (1) | AU2003903900A0 (ko) |
BR (1) | BRPI0412167A (ko) |
CA (1) | CA2533461C (ko) |
DE (1) | DE602004030352D1 (ko) |
EA (1) | EA200600307A1 (ko) |
ES (1) | ES2359703T3 (ko) |
NO (1) | NO20060863L (ko) |
TW (1) | TW200507806A (ko) |
WO (1) | WO2005011516A1 (ko) |
ZA (1) | ZA20040872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6089A (ko) * | 2017-04-14 | 2018-10-24 | 조용문 | 이갈이 방지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82839B2 (en) * | 2004-06-25 | 2011-02-08 | Ambis Jr Edward J | Custom mouthguard |
US7377782B1 (en) * | 2005-04-21 | 2008-05-27 | James Brosnihan | System and method for reimplanting avulsed teeth |
US7730891B2 (en) * | 2005-10-07 | 2010-06-08 | Lamberg Steven B |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
US8186356B2 (en) * | 2006-01-25 | 2012-05-29 | Dr. Joseph Pelerin | Mouth guard |
US7607438B2 (en) * | 2006-01-25 | 2009-10-27 | Pelerin Joseph J | Mouth guard |
EP2182880B1 (en) * | 2007-08-29 | 2017-10-11 | Christopher John Farrell | An orthodontic appliance |
US8656926B2 (en) * | 2008-02-13 | 2014-02-25 | Marc Doctors |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relieving head, neck, facial, joint and tooth pain |
US8082923B2 (en) * | 2008-02-13 | 2011-12-27 | Randmark Dental Products, LLC | Intra-oral device |
US20110094522A1 (en) * | 2009-10-28 | 2011-04-28 | Wendy Weisflog | Dental applian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TWI386876B (zh) * | 2009-11-04 | 2013-02-21 | Metal Ind Res & Dev Ct | Oral medical device and device for simulating temporal jaw joint movement |
US20110174319A1 (en) * | 2010-01-15 | 2011-07-21 | Busciglio David J | Apparatus for the suppression of grinding and/or clenching of teeth |
US8752554B2 (en) * | 2010-06-01 | 2014-06-17 | David L. Spainhower | Mouth guards for treating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associated methods |
WO2012082090A1 (en) * | 2010-12-15 | 2012-06-21 | Randmark Dental Products, LLC |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relieving head, neck,facial,joint and tooth pain |
US20120325225A1 (en) * | 2011-06-24 | 2012-12-27 | Trevor Scott Small | Swing bite mini mouthpiece |
US8826913B2 (en) | 2011-08-12 | 2014-09-09 | John C. Kline | Dental appliance |
US10610403B2 (en) | 2011-08-12 | 2020-04-07 | John C. Kline | Dental appliance |
US9314320B2 (en) | 2011-10-19 | 2016-04-19 | Tmj Services Llc | Device for mitig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CN102670340B (zh) * | 2012-05-25 | 2013-10-30 | 周小陆 | 稳定咬合板一次压膜同步咬合面成形的方法 |
US20140238414A1 (en) | 2013-02-22 | 2014-08-28 | Kelly Lucas | AGP night guard - 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
US20140060549A1 (en) * | 2012-09-06 | 2014-03-06 | Kelly Lucas |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 |
EP2730258B1 (en) * | 2012-11-09 | 2016-05-11 | Orthotixx Dental AG | Bite splint |
CA2899055C (en) * | 2013-01-23 | 2019-12-10 | Choi, Hyun-Jin | Oral appliance |
US9526590B2 (en) | 2013-02-22 | 2016-12-27 | Kelly Lucas | AGP night guard—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
US9730768B2 (en) | 2013-02-22 | 2017-08-15 | Kelly Lucas | CAD-CAM AGP splint—a method of automatically producing or reproducing a customized AGP (anterior guidance package) equipped splint for a patient with/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via one time dentist visit |
CN105451681B (zh) * | 2013-08-09 | 2018-09-18 |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 可拆卸地安装于牙齿的牙科用具 |
US9655692B2 (en) | 2013-11-19 | 2017-05-23 | Kelly Wade Lucas |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II |
US10299894B2 (en) * | 2014-02-21 | 2019-05-28 | Align Technology, Inc. | Treatment plan specific bite adjustment structures |
US20180014962A1 (en) * | 2015-01-27 | 2018-01-18 | Seyeonbiotech |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0610404B2 (en) | 2015-06-24 | 2020-04-07 | Kelly Lucas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terior guidance package (AGP) equipped splint |
US10322027B2 (en) * | 2016-06-01 | 2019-06-18 | Dana Colson | Dental bite plate |
US10945818B1 (en) | 2016-10-03 | 2021-03-16 | Myohealth Technologies LLC |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
BR102016025357A2 (pt) * | 2016-10-28 | 2018-05-15 | Haggiag Alain | Dispositivo intrabucal de vigília para tratamento de disfunções temporomandibulares - dtm - e método de aplicação |
JP2018079065A (ja) * | 2016-11-16 | 2018-05-24 | 学校法人神奈川歯科大学 | マウスピース |
DE102017217558A1 (de) * | 2017-10-02 | 2019-04-04 | Sirona Dental Systems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führten Aufbissschiene und eine geführte Aufbissschiene |
CA3092316A1 (en) * | 2018-03-23 | 2019-09-26 | Andrew COSENTINO | Customizable thermoplastic hemi bite block |
US20200113653A1 (en) * | 2018-10-13 | 2020-04-16 | Haitham Alrawi | Mouth Guard |
CN111658257B (zh) * | 2020-05-28 | 2022-11-01 | 北京为开数字科技有限公司 | 一种数字化引导性稳定咬合垫的制作方法及稳定咬合垫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13781A (en) * | 1973-09-04 | 1974-06-04 | A Forgione | Bruxism monitoring device |
JPS5358191A (en) * | 1976-11-05 | 1978-05-25 | Osamu Yoshii | Method of producing dental correction treating instrument using silicon resin material |
US4169473A (en) * | 1978-03-03 | 1979-10-02 | Samelson Charles F | Anti-snoring and anti-bruxism device |
USD300059S (en) * | 1986-02-18 | 1989-02-28 | Pier Florine L | Mouthpiece for use as a geriatric pacifier or for the treatment of bruxism |
US5513656A (en) | 1995-03-27 | 1996-05-07 | Boyd, Sr.; James P. | Intraoral semi-custom discluder device |
US5921240A (en) * | 1996-11-13 | 1999-07-13 | Gall; Robert A. | Snore and teeth grinding prevention device |
US5795150A (en) | 1997-03-03 | 1998-08-18 | Boyd; James P. | Intraoral semi-custom discluder device and method |
US5876199A (en) * | 1997-08-28 | 1999-03-02 | Ortho-Tain, Inc. | Appliance adapted to fit many mouth and tooth sizes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other uses |
US6071121A (en) | 1998-12-23 | 2000-06-06 | Simon; Jerome Michael | Intraoral semi-custom bite forming and discluder device |
US6231337B1 (en) | 2000-01-24 | 2001-05-15 | James P. Boyd | Dental mouthpiece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20030116164A1 (en) | 2001-12-14 | 2003-06-26 | Boyd James P. | Intraoral discluder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migraine, tension headache,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
2003
- 2003-07-25 AU AU2003903900A patent/AU2003903900A0/en not_active Abandoned
-
2004
- 2004-04-30 US US10/835,649 patent/US723446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09 DE DE602004030352T patent/DE602004030352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09 ES ES04737425T patent/ES2359703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09 JP JP2006520629A patent/JP2006528495A/ja active Pending
- 2004-06-09 CA CA2533461A patent/CA2533461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09 CN CNA2004800277080A patent/CN1856279A/zh active Pending
- 2004-06-09 WO PCT/AU2004/000761 patent/WO200501151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6-09 KR KR1020067001781A patent/KR200601218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6-09 EA EA200600307A patent/EA200600307A1/ru unknown
- 2004-06-09 AT AT04737425T patent/ATE48991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6-09 BR BRPI0412167-8A patent/BRPI0412167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6-09 EP EP04737425A patent/EP166304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26 TW TW093122316A patent/TW200507806A/zh unknown
- 2004-10-28 ZA ZA200408729A patent/ZA200408729B/en unknown
-
2006
- 2006-02-22 NO NO20060863A patent/NO20060863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11-03 US US11/592,534 patent/US755604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6089A (ko) * | 2017-04-14 | 2018-10-24 | 조용문 | 이갈이 방지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234467B2 (en) | 2007-06-26 |
EP1663049B1 (en) | 2010-12-01 |
CA2533461C (en) | 2011-11-29 |
TW200507806A (en) | 2005-03-01 |
US7556044B2 (en) | 2009-07-07 |
NO20060863L (no) | 2006-04-10 |
CA2533461A1 (en) | 2005-02-10 |
US20050022824A1 (en) | 2005-02-03 |
BRPI0412167A (pt) | 2006-10-03 |
EP1663049A4 (en) | 2008-07-30 |
EP1663049A1 (en) | 2006-06-07 |
AU2003903900A0 (en) | 2003-08-07 |
WO2005011516A1 (en) | 2005-02-10 |
EA200600307A1 (ru) | 2006-08-25 |
ES2359703T3 (es) | 2011-05-26 |
ATE489913T1 (de) | 2010-12-15 |
US20070051374A1 (en) | 2007-03-08 |
ZA200408729B (en) | 2005-06-23 |
CN1856279A (zh) | 2006-11-01 |
JP2006528495A (ja) | 2006-12-21 |
DE602004030352D1 (de) | 201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121806A (ko) | 개량된 교합용 부목 | |
US10980615B2 (en) | Oral appliance for advancing the maxilla and opening the nasopharyngeal airway | |
Ramfjord et al. | Reflections on the Michigan occlusal splint | |
US11504213B2 (en) |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AU617694B2 (en) | Silencer | |
US5415542A (en) |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 |
US4568280A (en) | Craniomandibular appliance | |
US8439044B2 (en) |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 |
KR20170030015A (ko) |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 |
US7404404B2 (en) |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 |
US7490609B2 (en) |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 |
EP3923876B1 (en) | Dental appliance | |
US6581603B1 (en) | Oral appliance | |
KR101874692B1 (ko) |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 |
JPH0342902Y2 (ko) | ||
KR102285057B1 (ko)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 |
US20160331575A1 (en) | Device for facilitating nasal breathing for snorers | |
AU2005100272B4 (en) | Improved occlusal splint | |
JP7064045B1 (ja) | マウスピース | |
CN219048904U (zh) | 一种前伸再定位咬合板 | |
KR102597507B1 (ko) |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 |
KR102432950B1 (ko) |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 |
AU2003227280A1 (en) | Clenching inhibitor mini-splint | |
JPH09192157A (ja) | 鼾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