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652A -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652A
KR20060121652A KR1020057007199A KR20057007199A KR20060121652A KR 20060121652 A KR20060121652 A KR 20060121652A KR 1020057007199 A KR1020057007199 A KR 1020057007199A KR 20057007199 A KR20057007199 A KR 20057007199A KR 20060121652 A KR20060121652 A KR 2006012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offset
signal
recording
ch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221B1 (ko
Inventor
켄이치로 아리도메
히로노부 미야자키
유키오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과,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판별 수단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갱신하는 오프셋 갱신 수단과,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고,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부호화 제어 장치, 부호화 시스템

Description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CONTROL APPARATUS FOR ENCODING AND ENCODING SYSTEM}
본 발명은,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동기시켜서 부호화의 제어를 행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부호화 시스템 및 이들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동화상(비디오) 데이터나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가 주목되고 있다. 이 광디스크는 영화 등의 컨텐츠 상품의 미디어로서만이 아니라, 유저측에서 기록을 행하기 위한 기록형 미디어로서도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기록형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면, 동일 영역에 관해 한번만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DVD-R 규격이나, 반복 재기록 가능한 DVD-RW 규격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광미디어의 파일 포맷으로서는, 재생 전용 디스크를 위한 DVD-Video 규격이 알려져 있지만, 기록형 미디어에 대해서도 이 DVD-Video 규격에 준거한 기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VD-Video 규격에서는, 하나의 디스크당 최대 99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각 타이틀은 최대 99의 챕터(PTT : Part of TiTle)를 포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DVD-R이나 DVD-RW에 대해 캠코더(camcorder : camera and recorder)에 의해 기록을 행하는 경우, 기록 시작부터 기록 종료까지의 1회의 기록 단위가 챕터로서 기록되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킬 때까지 동일한 타이틀로서 기록된다. 타이틀을 닫는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디스크가 이젝트(배출)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챕터에 달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셀에 달한 경우, 동화 기록으로부터 정지화 기록으로 이행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챕터 단위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면, 챕터 사이에 미묘한 간극이 생겨 버리고, 한순간 도중 절단되는 표시가 행하여져 버린다. 캠코더에 있어서의 기록 단위는 십수초로부터 수십초 정도가 표준적이고, 그때마다 재생이 도중절단되어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비디오 스트림 사이를 외곤상 도중절단되지 않도록 접속하는 심레스 접속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2001-352521호 공보(도 2)참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에 상당하는 시간분 포함하여 다중화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주파수는 약 29.97Hz이고, 1VOBU=1GOP=15프레임으로 하면, 64VOBU에서 1/29.97×15×64=32.032032…[초]에 상당한다. AC-3(Audio Code number 3 ; Dolby Digital)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는 32[밀리초]를 처리 단위(AAU)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64VOBU에 대해 1AAU를 늘리고, 또한 64000VOBU에 대해 1AAU를 늘림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을 완전하게는 흡수할 수 없어, 어긋남이 집적해 가게 된다. 또한, 이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상당한 시간이 평균적으로 동등하게 되도록 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심레스 접속의 접속점에서 어긋남이 생길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과,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판별 수단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갱신하는 오프셋 갱신 수단과,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이, 기록 시작일 때에는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동화상 신호보다도 빨리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고, 기록 정지할 때에는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후속 챕터의 부호화 시작할 때에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을 오프셋에 의해 흡수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판별 수단이,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함에 의해,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후속 챕터의 부호화 시작할 때, 선행 챕터의 부호화에 의해 생긴 오프셋을 계승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의 기록 시작 또는 기록 정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페이드 제어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로써, 심레스 접속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음량을 제어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제 4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드 제어 수단이, 기록 시작시에는 소음(消音)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고, 기록 정지시에는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로써, 심레스 접속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잡음의 발생을 회피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항에 기재된 부호화 시스템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과,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판별 수단과, 상기 동화상 부호화 수단 및 음성 부호화 수단에서의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갱신하는 오프셋 갱신 수단과,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동화상 부호화 수단 및 음성 부호화 수단에 의한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 출력을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여 부호화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방법은,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항에 기재된 부호화 제어 방법은,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시작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초의 기록 단위에 관해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정지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후의 기록 단위에 관해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잡음의 발생을 회피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시작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초의 기록 단위에 관해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정지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후의 기록 단위에 관해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동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 사이의 오프셋에 따라 부호화를 제어하여,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의 접속점에서의 잡음의 발생을 회피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디오 인코더(2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AC-3 방식에 의한 음성 신호의 동기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DVD-Video 규격에 의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심레스 접속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호화 제어부(500)의 프로세서(51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타이밍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디오 오프셋의 갱신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제어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 한 도면이다. 이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비디오 인코더(100)와,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오디오 인코더(200)와,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의 출력을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300)와, 멀티플렉서(300)에 의해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 매체(490)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400)와,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 있어서의 부호화를 제어하는 부호화 제어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화 제어부(500)는, 프로세서(510)와, ROM(520)과, RAM(530)과, 입출력 인터페이스(540)와,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버스(550)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서(510)는,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 있어서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을 참조하면서,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 있어서의 부호화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한다. ROM(520)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파라미터 등을 보존하는 메모리이고,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EPROM에 의해 실현된다. RAM은, 프로세서(510)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작업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메모리이고, 예를 들면 SRAM이나 DRAM 등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40)는, 외부와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기록 매체(490)에의 기록의 시작 및 정지의 지시나 ROM(520) 내의 프로그램의 갱신 등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디오 인코더(2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오디오 인코더(200)에서는, 샘플링 회로(210)와, 페이드 회로(220)와, 부호화기(230)가 파이프라인 접속되어 있고, 샘플링 회로(210)와 페이드 회로(220) 사이에는 샘플링 버퍼(240)가, 페이드 회로(220)와 부호화기(230) 사이에는 부호화전 버퍼(250)가 각각 타이밍의 완충을 위해 접속되어 있다.
샘플링 회로(210)는, 신호선(201)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샘플링(표본화)하여 샘플링 버퍼(240)에 격납한다. 이 샘플링 회로(210)에 있어서의 샘플링 주파수로서는, 예를 들면, DVD-Video 규격에서 이용되는 AC-3의 경우, 48kHz가 사용된다. 이 경우, 샘플링 회로(210)는 도 3에 도시한 AC-3 방식의 동기 프레임의 처리 시작 또는 처리 종료할 때, 신호선(219)에 의해 부호화 제어부(500)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한다.
페이드 회로(220)는, 신호선(249)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 음량의 조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어떤 챕터를 기록할 때, 챕터의 선두 부분에서는 소음(消音)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고, 챕터 최후에서는 재차 페이드 아웃 하도록 음량을 조정한다. 이 음량 조정의 타이밍은 신호선(221)을 통하여 부호화 제어부(500)에 의해 지시된다.
부호화기(230)는, 신호선(259)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신호선(299)에 출력한다. 이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는, 신호선(231)을 통하여 부호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AC-3 방식에 의한 음성 신호의 동기(同期)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동기 프레임은, AC-3 방식에 있어서의 비트 스트림 처리 단위이고, AAU(Audio Access Unit)라고 불린다. 이 동기 프레임은 동기 정보(710)와, 비트 스트림 정보(711)와, 6개의 오디오 블록(712 내지 717)과, 보조 데이터(718)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719)를 구비한다.
동기 정보(710)는, 동기 프레임의 제 1의 헤더 정보이고, 샘플링 주파수 등을 보존한다. 비트 스트림 정보(711)는 동기 프레임의 제 2의 헤더 정보이고,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 등을 보존한다.
오디오 블록(712 내지 717)의 각각은 256개의 오디오 샘플을 보존한다. 따라서, 하나의 AAU에 있어서의 6개의 오디오 블록으로, 1536개의 오디오 샘플을 보존하는 것이 된다. 1536개의 오디오 샘플은, 샘플링 주파수 48kHz로, 1536/48=32ms[밀리초]의 오디오 데이터에 상당한다.
보조 데이터(718)는, 비트 길이의 조정을 위해 이용된다. CRC(719)는 동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버스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순회(巡廻) 용장 검사 부호이다.
도 4는, DVD-Video 규격에 의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 매체(490)의 기록 에어리어는,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서 보아 최내주측으로부터 차례로, 리드 인 에어리어(801), 파일 관리 에어리어(802), 데이터 기록 에어리어(803), 리드 아웃 에어리어(804)의 순서로 구분된다.
파일 관리 에어리어(802)는, 리드 인 에어리어측으로부터, UDF(Universal Disc Format) 에어리어 및 VMG(Video ManaGer) 에어리어를 포함한다. 이들 UDF 에어리어 및 VMG 에어리어는, DVD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등의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용 정보의 기록 에어리어이다. UDF 에어리어는, UDF 규격과 ISO9660 규격을 서포트함에 의해 컴퓨터로 DVD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VMG 에어리어는, DVD 관리용 정보의 기록 에어리어이다.
데이터 기록 에어리어(803)는, 동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을 기록하는 이어리어이고,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 : Video Title Set)(811)라고 불리는 데이터군을 단위로 하여,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820)의 각각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 : Video Title Set Information)(821)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VTSM_VOBS : Video Object Set for the VTSM)(822)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 : Video Object Set for Titles in a VTSI)(823)과, 백업(VTSI(BUP) : Back-UP of VTSI)(824)으로서 이루어진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821)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대한 제어 정보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VTSM_VOBS)(822)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의 각종 메뉴를 위한 컨텐츠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823)은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이다. 백업(VTSI(BUP))(824)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821)의 백업 카피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823)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디오 오브젝트(VOB)(831)라고 불리는 오브젝트 집합이 보존된다. 이 VOB(831)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셀(Cell)(841)이 포함되고, 이 셀(841)에는 또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디오 오브젝트 단위(VOBU)(851)가 포함된다. 이 VOBU(851)에는, 1GOP(Group Of Picture)에 상당하는 동화상 신호나 그것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등이 포함된다.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에는, MEPG-2 방식 또는 MPEG-1 방식이 이용된다. 음성 신호의 부호화에는, AC-3 방식, 리니어 PCM 방식, MPEG Audio 방식 등이 이용된다.
동화 오브젝트 단위(VOBU)(851)는, 복수개의 팩(861)으로 구성된다. 팩(861) 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예에서는, 하나의 팩은 하나의 패킷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1팩은, 패킷의 앞에 팩 헤더(871)를 부가한 것이고, 또한 패킷은 패킷 헤더(872)와 데이터 본체인 패킷 데이터(873)를 구비한다. 또한, DVD-Video 규격에서는, 1팩은 2048바이트(1섹터에 대응)로 정해져 있다.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은 각 팩에 분할되어 보존된다.
팩 헤더(871)는, 팩의 시작을 나타내는 팩 시작 코드(881) 외에, 시스템 시각 기준 참조치(SCR)(882)를 포함하다. 또한, MPEG-2 PS에서는 27MHz로 시각을 나타내기 위해 이 시스템 시각 기준 참조치(SCR)(882)는, 팩 헤더(851)에서는 42비트로 표현된다.
패킷 헤더(872)는, 프라이빗 1 패킷에 따른 것이고, 패킷 시작 코드(891)와, 플래그(893)와, PTS(895)와, DTS(896)와, 그 밖의 필드(897)를 구비한다. 패킷 시작 코드(891)는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고, 스트림을 식별하는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한다. 플래그(893)는 PTS(895) 및 DTS(896)의 존재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즉, 「10」으로 PTS(895)만, 「11」로 PTS(895) 및 DTS(896)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PTS(895) 및 DTS(896)는, 각각 재생 출력의 타이밍 및 복호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이다. 디코더측에서는 이들 PTS(895) 및 DTS(896)를 참조함에 의해 복호 및 재생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이들 PTS(895) 및 DTS(896)는, 패킷 헤더(872)에서는 각각 33비트로 표현된다. 상술한 AC-3 방식에서의 비트 스트림 정보(711)에서의 타임 스탬프는 PTS(895)에 반영된다. 또한, 음성 신호에 관해서는 PTS 와 DTS가 같은 값으로 되기 때문에, PTS(895)만이 존재하는 것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심레스 접속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연속하여 있을 필요가 있지만, 양자의 길이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고, 접속점에서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에 관해 NTSC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하면, 프레임 주파수가 1000/1001×30(≒29.97)Hz이기 때문에, 그 주기는 약 33.367ms로 된다. 한편, 음성 신호에 관해 AC-3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단위로서의 AAU는 샘플링 주파수 48kHz에서 32ms로 된다. 따라서 최대 32ms 정도의 어긋남이 양자 사이에서 생길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행 챕터의 기록 정지시점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어긋남을 오디오 오프셋으로서 기억하여 두고,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후속(後續) 챕터의 기록 시작일 때에 그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빨리 시작함에 의해, 양자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선행 챕터의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의 부분에서는 페이드 아웃 하도록 페이드 회로(220)에 의해 음량이 조정된다. 그리고, 후속 챕터의 선두 부분에서는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동안은 무음(無音) 상태를 계속하고, 그 후 페이드 인 하도록 페이드 회로(220)에 의해 음량이 조정된다. 이 페이드 인 및 페이드 아웃의 천이 시간은 부자연스러움을 주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하고, 예를 들면, 샘플링 주파수 48kHz에서 64샘플로서 1.33ms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무음 상태의 기간을 마련하지 않고 신속하게 페이드 인 하는 제어로 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 우, 재생시에 음성 출력의 쪽이 동화상 출력보다도 다소 미리 시작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호화 제어부(500)의 프로세서(51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능 구성예는, 기록 모드 판별부(511)와, 오프셋 갱신부(512)와, 오프셋 보존부(513)와, 기록 제어부(514)와, 페이드 제어부(5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ROM(520)에서 보존된 프로그램에 따라 프로세서(510)가 각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이들의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오프셋 보존부(513)는, 오디오 오프셋을 보존한다. 이 오디오 오프셋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오프셋 보존부(513)는, 오프셋 갱신부(512)에 의해 갱신된다. 우선, 오프셋 갱신부(512)는 기록 모드 판별부(5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오프셋 보존부(513)에 초기치를 설정한다. 또한, 오프셋 갱신부(512)는 비디오 인코더(100) 또는 오디오 인코더(200)로부터 처리 단위의 처리 시작 내지 처리 종료의 통지를 받아서, 오프셋 보존부(513)에 보존되는 값을 갱신한다.
예를 들면, 동화상 신호에 NTSC 방식을 채용한 경우, 상술한 29.97Hz에 있어서의 주기 33.367ms를 상술한 SCR(882)(도 4)의 주파수인 90kHz로 정돈하면,
(1001/(1000×30))×90000=1001×3=3003
이 된다. 또한, 음성 신호에 AC-3 방식을 채용한 경우, 상술한 48kHz에서의 주기 32ms를 마찬가지로 90kHz로 정돈하면,
0.032×90000=2880
이 된다.
이들의 값을 처리 단위로 하여, 오프셋 갱신부(512)는 비디오 인코더(100)로부터 신호선(119)에 의해 처리 단위마다의 통지를 받으면 값「3003」을 오프셋 보존부(513)의 값에 더하고, 오디오 인코더(200)로부터 신호선(219)에 의해 처리 단위마다의 통지를 받으면 값「2880」을 오프셋 보존부(513)의 값으로부터 공제한다. 이로써, 오프셋 보존부(513)에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디오 오프셋이 보존되게 된다. 또한, 처리 단위마다의 통지의 타이밍은, 비디오 인코더(100)와 오디오 인코더(200) 사이에서 정합성이 보존되어 있으면 좋고, 각 처리 단위의 처리 시작시라도 좋고, 또한, 처리 종료시라도 좋다.
기록 모드 판별부(511)는, 신호선(549)으로부터 챕터의 기록 시작의 지시를 받으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심레스 접속의 조건으로서는, 심레스 접속을 하려고 하는 후속 챕터가 그 속하는 타이틀의 선두 챕터가 아닌 것, 선행 챕터의 최종 VOB의 재생시간이 1.5초 미만이 아닌 것, 미디어상의 배치에 기인하는 시크 시간이 허용 범위 내인 것 등이 있다. 기록 모드 판별부(511)에 의해 판별된 심레스 접속의 유무는, DVD의 데이터 기억 영역에서의 VTSI(Video Title Set Information)의 PGCI(ProGram Chain Information)에 있어서의 C_PBIT(Cell PlayBack Information Table) 내의 심레스 플레이백 플래그 (seamless playback flag)에 반영된다. 즉, 심레스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후속 챕터의 심레스 플레이백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고, 심레스 접속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속 챕터의 심레스 플레이백 플래그가 오프로 설정된다.
또한, 기록 모드 판별부(511)는, 심레스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RAM(530)(또는 ROM(520))에 보존되어 있던 직전의 오디오 오프셋을 오프셋 보존부(513)의 초기치로서 설정한다. 한편, 심레스 접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오프셋 보존부(513)의 초기치로서 제로를 설정한다.
기록 제어부(514)는, 신호선(549)에 의해 챕터의 기록 시작의 지시를 받으면,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 대해 각각 신호선(131 및 231)에 의해 부호화의 시작을 지시한다. 이때, 기록 제어부(514)는 오프셋 보존부(513)에 보존된 오디오 오프셋을 참조하고, 도 5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보다도 오디오 데이터의 쪽이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빨리 기록되도록 부호화 시작의 지시를 행한다. 또한, 기록 제어부(514)는 신호선(549)에 의해 기록 정지의 지시를 받으면,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 대해 각각 신호선(131 및 231)에 의해 부호화의 정지를 지시한다. 이때,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서 처리중인 처리 단위에 관해서는 최후까지 처리를 완수시키고 나서 처리를 정지시킨다. 또한, 기록 제어부(514)는 이들 부호화의 시작 및 정지의 타이밍을 페이드 제어부(515)에 알린다.
페이드 제어부(515)는, 기록 제어부(514)로부터 부호화의 시작 및 정지의 타이밍이 알려지되면, 신호선(221)을 통하여 페이드 회로(220)에 의한 음량의 조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어떤 챕터를 기록할 때, 챕터의 선두 부분에서는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고, 챕터 최후에서는 재차 페이드 아웃 하도록 음량의 조정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타이밍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어떤 챕터의 기록중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의 제 120번째의 사이클의 도중에서 기록 정지가 지시되고, 그 제 120번째의 사이클의 종료 후에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정지하고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에서 보면, 제 125번째의 AAU의 도중에서 기록 정지가 지시되고, 그 제 125번째의 AAU의 종료 후에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정지하고 있다. 이 오디오 데이터의 AAU의 수는 이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다만, 비디오 데이터의 사이클 수를 NV, 오디오 데이터의 AAU의 수를 NA, 기록 시작 전의 오디오 오프셋을 OS라고 한다. 또한, INT(x)는 x의 정수(整數) 부분을 나타낸다.
NA=INT((NV×3003+OS)/2880)
오디오 인코더(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 구조를 상정하고 있고, 도 7과 같이 신호선(201)으로부터 샘플링 회로(210)에 음성 신호가 입력된 후에, 순차적으로 샘플링 버퍼(240)로부터 신호선(249)을 통하여 페이드 회로(220)에 샘플링된 오디오 데이터가 공급되고, 다음의 사이클에 부호화 전 버퍼(250)로부터 신호선(259)을 통하여 부호화기(230)에 오디오 데이터가 공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챕터의 기록 시작의 지시가 신호선(549)으로부터 이루어지면, 기록 모드 판별부(511)는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 한다(스텝 S901). 그리고, 심레스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902), RAM(530)(또는 ROM(520))에 보존되어 있던 직전의 오디오 오프셋이 오프셋 보존부(513)의 초기치로서 설정된다(스텝 S903). 한편, 심레스 접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902), 오프셋 보존부(513)의 초기치로서 제로가 설정된다(스텝 S904).
그리고, 기록 제어부(514)의 지시에 의해 오디오 인코더(200)에서의 부호화가 시작되고(스텝 S905), 오프셋 보존부(513)에 보존된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한 때에(스텝 S906), 재차 기록 제어부(514)의 지시에 의해 비디오 인코더(100)에서의 부호화가 시작된다(스텝 S907). 이로써, 비디오 데이터보다도 오디오 데이터의 쪽이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빨리 기록되도록 부호화가 시작한다.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챕터의 기록 정지의 지시가 신호선(549)으로부터 이루어지면(스텝 S908), 기록 제어부(514)의 지시에 의해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서의 부호화가 정지하고, 기록이 정지한다(스텝 S909). 이때, 각 처리 단위의 처리 도중이면, 각각 처리 단위의 최후까지 처리가 완료한 단계에서 기록이 정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오프셋의 갱신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챕터의 기록 시작이 지시되면, 도 8의 스텝 S901 내지 S90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보존부(513)에 오디오 오프셋의 초기치가 설정된다(스텝 S911).
이에 계속해서, 도 8의 스텝 S905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가 시작되면,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 단위인 AAU의 처리가 시작 내지 종료할 때마다(스텝 S912), 오프셋 보존부(513)의 값으로부터 소정의 값(상술한 예에서는 「2880」)이 공제된다(스텝 S913). 또한, 도 8의 스텝 S907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가 시작되면,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 단위인 각 사이클의 처리가 시작 내지 종료할 때마다(스텝 S914), 오프셋 보존부(513)의 값에 소정의 값(상술한 예에서는 「3003」)이 추가된다(스텝 S915). 이들의 처리는 기록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된다(스텝 S916).
그리고, 도 8의 스텝 S909에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가 종료하면, 오프셋 보존부(513)에서 보존되어 있던 오디오 오프셋의 값은 RAM(530)(또는 ROM(520))에서 보존된다(스텝 S917). 이로써, 후속의 챕터를 기록할 때, 직전의 오디오 오프셋의 값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제어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페이드 제어부(515)는 각 챕터의 선두의 AAU에 관해서는(스텝 S921), 소음(뮤트) 상태부터 시작하고(스텝 S922), 페이드 인 처리를 행한다(스텝 S923). 다만, 이 스텝 S922의 소음을 하는 일 없이 신속하게 스텝 S923의 페이드 인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한편, 페이드 제어부(515)는, 각 챕터의 최후의 AAU에 관해서는(스텝 S924), 그 AAU의 최종 부분에서 페이드 아웃 처리를 행한다(스텝 S925). 이로써, 심레스 접속에 의해 무음 상태끼리가 접속되게 되고, 필요없는 잡음을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할 때, 오프셋 보존부(513)에 보존된 오디오 오프셋을 참조하여, 비디오 데이터보다도 오디오 데이터의 쪽이 오디오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빨리 기록되도록 기록 제어부(514)가 부호화 시작의 지시를 행한다. 이로써,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챕터 사이의 심레스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화상의 재생 방식으로서 NTSC 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프레임 주파수 25Hz의 PAL 방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주기는 40ms로 되기 때문에, 90kHz를 단위로 하면, 40ms×90kHz=3600으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3003」 대신에 「3600」을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AC-3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MPEG Audio 방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트 레이트를 384kbps, 샘플링 주파수를 48kHz, 압축 모드를 Layer2로 하면, AAU의 재생시간은 24ms로 되기 때문에, 90kHz를 단위로 하면, 24ms×90kHz=2160으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2880」 대신에 「2160」을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갖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 오프셋 보존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보존부(513)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모드 판별 수단은 예를 들면 기록 모드 판별부(511)에 대응한다. 또한, 오프셋 갱신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갱신부(512)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기록 제어부(514)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4에 있어서, 페이드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페이드 제어부(515)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6에 있어서, 동화상 부호화 수단은 예를 들면 비디오 인코더(100)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부호화 수단은 예를 들면 오디오 인코더(200)에 대응한다. 또한, 오프셋 보존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보존부(513)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모드 판별 수단은 예를 들면 기록 모드 판별부(511)에 대응한다. 또한, 오프셋 갱신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갱신부(512)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기록 제어부(514)에 대응한다. 또한, 다중화 수단은 예를 들면 멀티플렉서(30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7 및 청구항 9에 있어서, 오프셋 보존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보존부(513)에 대응한다. 또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예를 들면 부호화 제어부(500)에 대응한다. 또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1에 대응한다. 또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오프셋을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2 내지 S904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5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6 내지 S907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음성 신호 및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8 내지 S909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8 및 청구항 10에 있어서, 오프셋 보존 수단은 예를 들면 오프셋 보존부(513)에 대응한다. 또한, 부호화 제어 장치는 예를 들면 부호화 제어부(500)에 대응한다. 또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1에 대응한다. 또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오프셋을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2 내지 S904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5에 대응한다. 또한, 부호화 시작된 음성 신호의 최초의 기록 단위에 관해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1 내지 S923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6 내지 S907에 대응한다. 또한,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음성 신호 및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08 내지 S909에 대응한다. 또한, 부호화 정지된 음성 신호의 최후의 기록 단위에 관해 페이드 아웃 하도록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4 내지 S925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 순서는, 이들 일련의 순서를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하여도 좋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활용 예로서, 예를 들면 동화상 신호를 MPEG-2 형식으로 부호화함과 함께 음성 신호를 AC-3 형식으로 부호화하여 DVD에 기록을 행할 때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과,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판별 수단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갱신하는 오프셋 갱신 수단과,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기록 시작일 때에는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동화상 신호보다도 빨리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고, 기록 정지할 때에는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모드 판별 수단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의 기록 시작 또는 기록 정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페이드 제어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드 제어 수단은, 기록 시작시에는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고, 기록 정지시에는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
  6.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과,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 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기록 모드 판별 수단과,
    상기 동화상 부호화 수단 및 음성 부호화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갱신하는 오프셋 갱신 수단과,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동화상 부호화 수단 및 음성 부호화 수단에 의한 상기 동화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 출력을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시스템.
  7.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방법.
  8.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시작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초의 기록 단위에 관해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 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정지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후의 기록 단위에 관해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제어 방법.
  9.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0. 챕터 기록할 때에 상기 동화상 신호보다도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빨리 시작하여야 할 시간에 상당하는 오프셋을 보존하는 오프셋 보존 수단을 구비하는 부호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선행 챕터와 후속 챕터 사이에서 심레스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와,
    상기 심레스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선행 챕터에서 갱신된 상기 오프셋을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고, 상기 심레스 접속이 불가능하면 제로를 상기 오프셋의 초기치로 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음성 신호의 부호화가 시작되고 나서 상기 오프셋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시에 상기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를 시작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시작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초의 기록 단위에 관해 소음 상태로부터 페이드 인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와,
    기록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동화상 신호의 각 기록 단위의 부호화가 각각 종료한 후에 부호화를 정지하는 순서와,
    상기 부호화 정지된 상기 음성 신호의 최후의 기록 단위에 관해 페이드 아웃 하도록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로그램.
KR1020057007199A 2003-10-29 2004-10-29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 KR101082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9389A JP3675465B2 (ja) 2003-10-29 2003-10-29 符号化制御装置および符号化システム
JPJP-P-2003-00369389 2003-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52A true KR20060121652A (ko) 2006-11-29
KR101082221B1 KR101082221B1 (ko) 2011-11-09

Family

ID=3451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199A KR101082221B1 (ko) 2003-10-29 2004-10-29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5621B2 (ko)
EP (1) EP1583366A4 (ko)
JP (1) JP3675465B2 (ko)
KR (1) KR101082221B1 (ko)
CN (1) CN100438627C (ko)
TW (1) TWI280750B (ko)
WO (1) WO2005041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887B2 (en) * 2000-05-17 2010-02-02 Interwoven, Inc. System for transactionally deploying content across multiple machines
JP4591405B2 (ja) * 2006-05-10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79797B2 (ja) 2006-05-10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57895B2 (ja) 2006-05-10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8522B2 (ja) * 2006-08-10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56849B2 (en) * 2006-09-06 2011-06-07 Apple Inc. Video manager for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JP4900945B2 (ja) 2007-01-18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563418B2 (ja) * 2007-03-27 2010-10-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2256083A (zh) * 2011-07-01 2011-11-23 南京熊猫信息产业有限公司 加快有线电视机顶盒信道解调速度的方法
JP5775006B2 (ja) * 2012-01-23 2015-09-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20130123713A (ko) * 2012-05-03 2013-1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팝 노이즈 제거 방법
JP6066712B2 (ja) * 2012-12-19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2852B2 (ja) * 2012-12-19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5431B (en) 1995-09-29 2000-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 a bitstream with plural possible searching reproduction paths information useful in multimedia optical disk
JPH11110915A (ja) * 1997-09-30 1999-04-23 Sony Corp 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6453459B1 (en) * 1998-01-21 2002-09-17 Apple Computer, Inc. Menu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low-level DVD configuration functions and thereby ease an author's job
JP4369604B2 (ja) 1999-09-20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ームレス再生に適した光ディスク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US6782193B1 (en) * 1999-09-20 2004-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that are all suitable for seamless reproduction
GB0007868D0 (en) * 2000-03-31 2000-05-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editing digital video recordings and recordings made by such methods
JP2001352521A (ja) * 2000-06-08 2001-12-21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JP2003046949A (ja) 2001-07-30 2003-02-14 Hitachi Ltd データ多重化方法、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1066A1 (en) 2006-03-09
WO2005041583A1 (ja) 2005-05-06
TW200524294A (en) 2005-07-16
CN100438627C (zh) 2008-11-26
JP3675465B2 (ja) 2005-07-27
EP1583366A4 (en) 2005-12-21
KR101082221B1 (ko) 2011-11-09
JP2005136634A (ja) 2005-05-26
US7835621B2 (en) 2010-11-16
TWI280750B (en) 2007-05-01
EP1583366A1 (en) 2005-10-05
CN1706196A (zh)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1515B1 (ja) 再生装置
KR101082221B1 (ko) 부호화 제어 장치 및 부호화 시스템
JP4369604B2 (ja) シームレス再生に適した光ディスク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WO2005015907A1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3338039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US20030175011A1 (en) Reproduction apparatus
JP3920921B2 (ja) テレシネ変換されたビデオデータのシームレス接続エン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US7493013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rogram chain command table structure
JP2006217280A (ja) 符号化制御装置および符号化システム
JP3814929B2 (ja) 符号化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3727913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4303353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7235185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に適した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3338037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3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6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1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5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4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8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0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2004127381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2300527A (ja) 多重化ストリームの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編集方法、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