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604A -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604A
KR20060117604A KR1020050039993A KR20050039993A KR20060117604A KR 20060117604 A KR20060117604 A KR 20060117604A KR 1020050039993 A KR1020050039993 A KR 1020050039993A KR 20050039993 A KR20050039993 A KR 20050039993A KR 20060117604 A KR20060117604 A KR 20060117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ircuit
supply
product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오 토쿠노
히로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니혼 쿠레센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쿠레센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쿠레센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3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604A/ko
Publication of KR2006011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공급 컨베이어로의 상품접시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점포에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순회로(1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음식대에 있어서, 순회로(18)에 내주측으로부터 직결되며, 순회로(18)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를, 순회로(18)에서 먼 측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를 각각 배치시키고, 각 컨베이어체(26, 28)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한 공급 컨베이어(24)상에 대기시킨 상품접시(16)를, 순회로(18)에 대한 공급 컨베이어(24)의 직결위치에 배치시킨 센서(30)가,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24)로부터의 상품접시(16)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함에 따라, 순회로(18)상에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 컨베이어(24)상의 후속되는 상품접시(16)를 순회로(18)측으로 반송하여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PROVIDING FOODS ON ROTARY FOOD TABL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베이스 14:상품
16:상품접시 18:순회로
24:공급 컨베이어 26 : 컨베이어체(길이가 짧은 것)
28:컨베이어체(길이가 긴 것) 30:센서
42:스토퍼
본 발명은, 회전음식대상에 상품접시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러한 예로서 본원의 특허출원인에 의해 일본에 선출원된 일본실용신안 공고공보 H5(1993)-3097호 및 H5(1993)-3098호가 있다.
전자는, 회전음식대의 외주측으로부터 크레센트 체인(Crescent Chain)에 직결시켜 빈 접시 반송장치가 주방내에 설치되고, 빈 접시 반송장치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초밥기계가 설치되고, 양자 사이에 초밥 이동장치가 설치되는 한편, 빈 접시 반송장치의 직결위치로부터 크레센트 체인의 순회방향에 대해 약간 후방의 크레센트 체인상에, 초밥접시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센서와 빈 접시 반송장치 및 초밥 이동장치를 연동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회전음식대의 외주측으로부터 크레센트 체인에 직결시켜 빈 접시 반송장치가 주방내에 설치되는 한편, 빈 접시 반송장치의 직결위치로부터 크레센트 체인의 순회방향에 대해 약간 후방의 크레센트 체인상에, 초밥접시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센서와 빈 접시 반송장치를 연동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이들 종래기술에서는 모두, 초밥접시가 일체로 형성된 컨베이어 등의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데, 초밥접시를 한 개씩 크레센트 체인상에 공급할 때는 지장이 없으나, 복수의 초밥접시를 한 번에 공급할 경우에는, 종업원이나 조리자가 미리 반송기구상에 빈틈없이 정렬시켜 둘 필요가 있으며,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레센트 체인상에 초밥접시가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크레센트 체인 상에 구비시키는 관계상, 센서의 배선 및 동작 확인이나 기타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부착작업이 대단히 번잡할 뿐만아니라, 기존의 점포에서는 도입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공급 컨베이어에 대한 상품접시의 공급이 용이하고, 기존의 점포에서도 도입이 용이한 상품공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방에 상품을 순회반송시키는 순회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음식대에 있어서, 순회로에 내주측으로부터 직결되며, 또한 순회로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를, 순회로에서 먼 측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를 각각 배치시키고, 각 컨베이어체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한 공급 컨베이어상에 대기시킨 상품접시를, 순회로에 대한 공급 컨베이어의 직결위치에 배치시킨 센서가, 순회로상의 초밥접시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함에 따라 순회로상에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 컨베이어상의 후속되는 상품접시를 순회로측으로 반송하여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센서의 설치위치로부터 순회로의 순회방향의 후방에, 순회로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 공급시에 후속되는 상품접시를 일시적으로 순회로상에 정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자의 상품접시 공급 작업에 대한 부담을 격감시키고, 기존의 점포에도 용이하게 도입한다는 목적을, 순회로에 내주측으로부터 직결되며, 순회로 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를, 순회로에서 먼 측에는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를 각각 배치시키고, 각 컨베이어체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한 공급 컨베이어와, 순회로상의 초밥접시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해, 순회로와 공급 컨베이어와의 직결위치에 배치시킨 센서에 의해 실현시켰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회전음식대는, 베이스(12)의 상측에 상품(14), 본 발명에서는 '초밥'이 놓여진 상품접시(16)를 순회반송시키는 순회로(18)가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순회로(18)는, 엔드리스 체인(20)상에 다수의 크레센트형 플레이트(22)를 축지지시켜 이루어지는 반송로(일반적으로는, '크레센트 컨베이어' 혹은 '크레센트 체인'이라 불리운다)로서, 본 실시예의 크레센트 컨베이어는, 선단(도 1의 상하 우측단)에서 반대방향으로 되돌아 순회하도록 L자형의 복선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공급 컨베이어(24)는, 회전음식대의 내주측으로부터 순회로(18)에, 2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직렬로 직결시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 컨베이어(24)의 순회로(18)에 대한 직결위치는, 도 1의 상측 순회로(18)의 한 군데이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는, 순회로(18)의 직결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 (26)를, 순회로(18)의 직결측으로부터 먼 측에는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를 각각 배치시키며, 각 컨베이어체(26, 28)는 각각 독립적인 구동원(도시 생략)을 가진다.
이는, 종래예에 따른 상품 공급 컨베이어는 일체형이므로, 순회로(18)에 한 번에 복수의 상품접시(16)를 공급할 때에는 상품 공급 컨베이어상에 상품접시(16)를 미리 빈틈없이 정렬시켜 둘 필요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24)를 복수로 분할시킬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의 순회로(18)에 대한 상품접시(16)의 공급에 따라,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는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로 상품접시(16)를 이송시킨 다음, 후속되는 상품접시(16a)를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측까지 반송하여 대기시킴으로써, 순회로(18)측에 대해 상품접시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순회로(18)와 공급 컨베이어(24)가 직결되는 위치에는,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24)로부터의 상품접시(16)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하는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30)는 공급 컨베이어(24)의 선단 양측 상면에 한 개씩 설치되며, 순회로의 상류측이 예고 센서, 순회로의 하류측이 타이밍 센서인데, 모두 광전센서라 불리우는 것이다.
따라서, 순회로(18)에 센서(3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에도, 공급 컨베이어(24)의 직결부분만을 컷트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부착이 매우 용이하다.
각 컨베이어체(26, 28)의 측부 상면에, 컨베이어체(26, 28)상의 상품접시 (16)의 유무 및 상품접시(16)의 대기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센서(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서(32)는,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에 2개,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에 6개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의 2개 및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의 선단측의 2개가 위치 결정 센서이고,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의 나머지 4개가 접시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이다.
센서(30), 제 2 센서(32), 및 공급 컨베이어(24)인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와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는,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연동제어되고 있다.
또한, 순회로(18)의 구동기구는, 엔드리스 체인(20)의 한 구석에 구동 스프로켓이 설치되고, 이 구동 스프로켓의 구동축이 전동 체인을 통해 모터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구동작용은, 모터를 구동시키면 전동 체인을 거쳐 구동축이 구동되고, 이어서 엔드리스 체인(20)이 구동되어 순회되는 주지의 기구이다.
또한, 도 1 중 34는 카운터, 36은 테이블, 38은 냉장 쇼 케이스, 40은 컵이나 작은 접시 등의 식기 반송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음식대의 순회로(18)상에 상품(16)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 컨베이어(24)의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에 1개의 상품접시(16)를 올려놓고 대기시킴과 동시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에는 조리자가 빈틈없이 상품접시(16)를 올려 놓을 필요없이, 적당히 상품접시(16)를 올려놓고 대기시 켜 둔다.
이 때, 순회로(18)상에는, 충분한 상품접시(16)를 공급하여, 순회시킨다.
다음으로, 손님이 상품접시(16)를 가져가 먹음으로써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가 감소하면, 상기 상품접시(16)가 없는 부분을 센서(30)가 검출하고, 이러한 검출에 따라 공급 컨베이어(24)로부터 상품접시(16)가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가 없는 부분에 소정의 개수만큼 공급된다.
이 때, 공급 컨베이어(24)가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와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에 대기시켜 놓은 상품접시(16)가 순회로(18)상에 공급되면,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28)는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에 상품접시(16)를 이송하고, 놓여 있던 후속의 상품접시(16a)가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26)측까지 반송되어 대기함으로써, 순회로(18)측으로의 다음 번 상품접시의 공급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자동적으로 순회로(18)에 대한 상품접시(16)의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조리자는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이, 공급 컨베이어(24)상에 상품접시(16)가 없는 것만을 확인하여, 상품(14)을 조리하여 상품접시(16)에 담은 후, 이 상품접시(16)를 공급 컨베이어(24)상에 공급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에 대한 부담이 격감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에, 순회로(18)상의 상품접시(16)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24)로부터의 상품접시(16)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하는 센서(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순회로(18)에 센서(3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기존의 컨 베이어장치의 공급 컨베이어 직결부위를 컷트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점포에도 본 발명의 장치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순회로(18)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경로는 복선형상이기 때문에, 카운터(34)측에 앉은 손님은, 순회로(18)의 양 반송경로상의 상품접시(16)를 선정하여 먹을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식사를 즐길 수가 있다.
(실시예 2)
또한, 본 장치의 다른 예가, 도 4에 가상의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공급 컨베이어(24)의 순회로(18)에 대한 직결위치로부터, 순회로의 상류측에 상품접시(16)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체시키는 스토퍼(4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42)는 순회로(18)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로서, 구동 모터, 기어(도시생략)를 통해 축부착되어 있다.
그 사용에 대해 설명하면, 순회로(18)의 상품접시(16)가 없는 스페이스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스토퍼(42)가 순회로(18)측으로 이동하여, 후속되는 상품접시(16b)를 일시적으로 정체시키고, 공급 컨베이어(24)로부터 소정의 개수, 예컨대 2개의 상품접시(16)의 공급을 완료한 다음, 스토퍼(42)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순회로(18)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경로는 L자형의 복선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단선형상으로 하거나, 직사각형이나 그 밖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는 2분할되어 있으나, 3개 이상으로 분할가능한 것 도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인 컨베이어체(26, 28)를, 미리 연동제어시킴으로써, 제 2 센서(32)를 생략할 수 있음도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스토퍼(42)는 순회로(18)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바인데, 순회로(18)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핀이어도 좋으며, 순회로(18)상을 순회반송되는 상품접시(16)의 반송을 일시적으로 정체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은 자유이다.
또한, 순회로(18)의 상품접시(16)가 없는 스페이스에 대응한 개수의 상품접시(16)를 공급하는 경우(예컨대, 1.5개분의 스페이스인 경우에는 1개의 상품접시(16)만을 공급)나, 혹은 사람의 손에 의해 순회로(18)상의 후속되는 상품접시(16b)를 정체시키는 경우에는, 스토퍼(42)를 생략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의 각 컨베이어체(26, 28)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나, 구동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롤러 컨베이어 구조로 하고, 사람의 손에 의해 반송기구상의 상품접시(16)를 순회로(18)상으로 밀어내어 상품을 공급함으로써 구동기구를 생략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24)는 순회로(18)의 한 군데에 배치되어 있으나, 2군데 이상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며, 조리자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제 2 센서(32)는 짧은 컨베이어체(26)에 2개, 긴 컨베이어체(28)에 6개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 컨베 이어체(26, 28)의 전체 길이에 따라 그 개수를 가감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순회로(18)는 크레센트 컨베이어나 크레센트 체인에 한정되지 않고, 엔드리스 체인, 엔드리스 벨트, 및 기타 반송기구를 채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상품은 초밥에 한정되지 않고, 덮밥류나 면류, 그리고 기타 음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음식대에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장치의 상품공급기구는, 각종 제조업에 있어서의 제품 공급 공정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순회로에 직결시킨 공급 컨베이어의 순회로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를, 순회로에서 먼 측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를 각각 배치하고, 각 컨베이어체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조리자는 상품접시를 공급 컨베이어상에 빈틈없이 정렬시켜 올려놓을 필요없이, 적당히 상품접시를 공급 컨베이어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공급 컨베이어에 대한 상품접시의 공급이 매우 용이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를 제어하기 위해 센서가 순회로와의 직결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 및 제어가 매우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컨베이어장치에도 부착이 용이하여, 기존의 점포에서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의 직결위치로부터 순회로의 순회방향의 후방에 스토퍼 를 설치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상품접시를 공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베이스의 상방에 상품을 순회반송시키는 순회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음식대로서,
    순회로에 내주측으로부터 직결되며, 순회로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를, 순회로에서 먼 측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를 설치시키고, 각 컨베이어체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한 공급 컨베이어상에 대기시킨 상품접시를,
    순회로에 대한 공급 컨베이어의 직결위치에 배치시킨 센서가, 순회로상의 상품접시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함에 따라 순회로상에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 컨베이어상의 후속되는 상품접시를 순회로측으로 반송하여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의 설치위치로부터 순회로의 순회방향의 후방에, 순회로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 공급시에, 후속되는 상품접시를 일시적으로 순회로상에 정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3. 베이스의 상방에 상품을 순회반송시키는 순회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음식대로서,
    회전음식대의 내주측으로부터 순회로에 직결되며, 순회로측에 길이가 짧은 컨베이어체를, 순회로에서 먼 측에 길이가 긴 컨베이어체를 각각 설치하고, 각 컨베이어체를 각각 구동가능하도록 한 공급 컨베이어와,
    순회로에 대한 공급 컨베이어의 직결위치에 설치되며, 순회로상의 상품접시의 부재 및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의 공급 타이밍을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센서의 설치위치로부터 순회로의 순회방향의 후방에, 순회로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공급 컨베이어로부터의 상품접시 공급시에, 후속되는 상품접시를 일시적으로 순회로상에 정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장치.
KR1020050039993A 2005-05-13 2005-05-13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17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93A KR20060117604A (ko) 2005-05-13 2005-05-13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93A KR20060117604A (ko) 2005-05-13 2005-05-13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604A true KR20060117604A (ko) 2006-11-17

Family

ID=3770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93A KR20060117604A (ko) 2005-05-13 2005-05-13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42A1 (ko) 2013-02-28 2014-09-04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242A1 (ko) 2013-02-28 2014-09-04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8454B (zh) 饮料和食物输送装置
JP5711915B2 (ja) 食品整列供給システム
CA3026930C (en) Ordered food and drink conveying apparatus and food and drink conveying apparatus
US5101716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biscuit sandwiches
KR20060117604A (ko) 회전음식대에 있어서의 상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76484A (ko) 식판용 식기 세척기
JP2008079624A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商品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88014B2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ネタ皿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79943B2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商品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46467B2 (ja) 飲食物容器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3349692B2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商品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840401B2 (ja) 食材用切断機
KR20130109465A (ko) 스프 분배 공급장치
JP2009028130A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商品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21656Y2 (ko)
JPH053098Y2 (ko)
JP2007097863A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巡回路短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12829B2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ネタ皿供給方法およびネタ皿供給装置
JP7216993B2 (ja) 飲食物搬送装置
KR19980067590A (ko) 자동 식기세척장치용 식기 공급장치
JP4360775B2 (ja) 飲食物供給用循環搬送路における進路変更機構
JPH1146956A (ja) 飲食カウンタ
JPH053097Y2 (ko)
JP2005287651A (ja) 循環型飲食物搬送装置における下げ搬送装置
JP3032865B1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商品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