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401A -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401A
KR20060117401A KR1020050038792A KR20050038792A KR20060117401A KR 20060117401 A KR20060117401 A KR 20060117401A KR 1020050038792 A KR1020050038792 A KR 1020050038792A KR 20050038792 A KR20050038792 A KR 20050038792A KR 20060117401 A KR20060117401 A KR 2006011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yl alcohol
hot water
ginseng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869B1 (ko
Inventor
신중엽
Original Assignee
신중엽
(주) 건우에프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엽, (주) 건우에프피 filed Critical 신중엽
Priority to KR102005003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8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6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lyophil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Ginsenoside Rg3 및 Rg5가 많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호성 및 분산성을 갖는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황버섯분말을 열수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상황버섯열수추출물과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건미삼분말과 복분자분말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가공인삼열수추출물과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1:1로 혼합한 후 Brix 65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이를 진공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10 ~ 20중량%와, 산딸기추출물20 ~ 30중량%와, 포도당7중량%와, 말토덱스트린25중량%와, 감초추출물1 ~ 3중량%와, 정제수25 ~ 27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Brix 50으로 한 후 분무건조한다.

Description

상황버섯과 가공인삼 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Functional composition which is containing the antitumor effects from the extracts of Phellinus linteus and processed ginseng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functional tea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에 Ginsenoside Rg3 및 Rg5가 생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TLC패턴이다.
본 발명은 항암효과가 뛰어난 Ginsenoside Rg3 및 Rg5가 많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호성 및 분산성을 갖는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황버섯은 소나무비닐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진흙버섯속(Phellinus)의 균류를 지칭하는 버섯으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삿갓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므로 한명으로는 간황이라고 한다. 중약대사전에는 상목, 양, 유, 백화, 락, 두견 등 광엽수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 상 신 등의 이명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상황버섯중 항암 활성이 높은 것으로는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1968년 Ikegawa 등이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이 sarcoma 180 암세포에 대한 항종양 활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가 있은 이후 목질진흙버섯의 자실체 열수추출물은 소화기 계통의 암과 간암 환자 수술후 면역기능 항진에 효과가 있으며, 균사체 배양 추출물로부터 면역활성 및 항암활성도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대부분의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은 40%내외의 당과 10 ~ 20%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당류의 경우는 80 ~ 90%의 당과 5 ~ 10%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분자 다당류인 β-glucan성 다당류가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 등의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β-glucan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몸안에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격퇴하고, 감염되어도 발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대학병원에서도 항암투여로 심한 면역기능 저하 현상이 일어날 때 보조요법으로 상황버섯 균사체를 사용하고 있다. 암세포를 죽이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암을 이겨낼 수 있도록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독성이 없고 탈모, 구토, 기력감퇴 등의 부작용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인삼에 대한 약리학적 및 생화학적인 효능이 사포닌 배당체로 밝혀졌다. 인삼을 추출하여 분석할 때 상당한 양이 검출되는 인삼사포닌은 Ginsenoside Rb1, Rb2, Rc, Rd, Re, Rg1의 6종으로, 전체 dammarane 사포닌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중 Ginsenoside Rb1, Rb2, Rc, Rd 등은 protopanaxadiol(PPD)계열 사 포닌이라 하며, Ginsenoside Re, Rg1 등은 protopanaxatriol(PPt)계열 사포닌이라 한다. 가공인삼제품(홍삼, 건강식품등)의 제조과정에서 수증기처리, 고온처리, 산처리 등을 하면 다마렌(dammarane)계 사포닌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C-20의 제3차 알코올의 배당체 결합이 쉽게 가수분해되어 prosapogenine이 된다. 이때 수산기는 반전평형반응을 일으켜 C-20(R), C-20(S)의 혼합물이 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Rg2, Rg3, Rh1 그리고 Rg5는 백삼보다 홍삼에 2 ~ 30배 많은 양이 존재하며, 홍삼에는 수삼, 백삼에는 함유되지 않는 Ginsenoside Rg3, Rg5, Rk1, Rh1, 말톨 등 미량성분이 존재하여 약효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인삼을 가공하면 Ginsenoside Rg3, Rg5가 증가되어 항암 활성이 강화된 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상황버섯과 가공인삼 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 조성물을 함유하고 기호성이 개선된 기능성 다류를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황버섯분말을 열수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상황버섯열수추출물과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건미삼분말과 복분자분말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가공인삼열수추출물과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1:1로 혼합한 후 Brix 65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황버섯열수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황버섯을 20 ~ 40mesh로 분쇄한 후, 15배의 중조용액에 12시간 침지 및 세척한 후, 15배의 물을 첨가하여 100 ~ 120℃에서 3시간동안 3회에 걸쳐 열수로 추출한다.
그리고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잔여물에 15배의 70%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100 ~ 120℃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다.
또한, 가공인삼열수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건미삼 및 복분자를 20 ~ 40mesh로 분쇄한 후, 80 ~ 100℃에서 3시간 증자하고, 10배의 정제수를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한다.
그리고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잔여물에 15배의 80%에틸알코올을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하고, 다시 15배의 50%에틸알코올을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한다.
또한,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1:1로 혼합한 후 Brix 65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 단계에서 감압농축된 농축액을 -40 ℃에서 급속냉동시킨 후, 진공동결농축기에서 건조시켜 분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10 ~ 20중량%와, 산딸기추출물20 ~ 30중량%와, 포도당7중량%와, 말토덱스트린25중량%와, 감초추출물1 ~ 3중량%와, 정제수25 ~ 27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Brix 50으로 한 후 분무건조하여 기능성 다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산딸기추출물은 착즙기로 착즙하여 착즙액을 얻은 후, 착즙액의 잔사를 10배의 정제수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산딸기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다시 잔여물을 10배의 40%에틸알코올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산딸기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착즙액과 산딸기열수추출물과 산딸기에틸알코올추출물을 합한 후 여과하고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과 가공인삼 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재료로 상황버섯, 건미삼, 및 복분자 등을 준비한다.
이러한 상황버섯은 가공하여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고, 가공인삼은 가공인삼추출농축액으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가공인삼추출농축 액을 1:1로 혼합하여 분말상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상황버섯은 자연에서 채취한 중국산 상황버섯과, 국내에서 원목인공재배한 상황버섯과, 액체배양한 상황버섯 배양액중에서 β-glucan의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황버섯 50g을 분쇄기로 분쇄한 20 ~ 40mesh의 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또는 중조용액에 상온에서 12시간 침지한 후, 여과하여 정제수로 3회 세정한 후 1ℓ의 정제수로 100 ~ 120℃에서 7시간 열수로 추출한 후, 열수추출물의 β-glucan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때 중조용액은 중조(탄산수소나트륨)20g을 1ℓ가 되게 녹인 용액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β-glucan의 분석은 Yeast β-Glucan Assay Kit(Megazyme Cat No : K-YBG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β-glucan의 함량은 총글루칸함량에서 α-glucan함량을 뺀 값이 된다.
그러면 총글루칸함량의 측정은, 분말시료 약 100㎎을 80%에틸알콜 8㎖로 80℃에서 15분간 3 ~ 5회 반응 세척 후, 1,5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에틸알코올을 제거한 다음, 60% 황산 2㎖를 첨가하여 1시간 방치한다. 증류수 12㎖를 첨가하여 100℃로 5분간 가열하여 2시간 방치한 후 100㎖로 정용한다. 이중 1㎖를 취하여 1,500×g에서 원심분리한다. 시험관에 상등액 100㎕, GOPOD 3㎖, 인삼완충용액 100㎕를 함께 넣은 다음 40℃에서 20분간 반응한 후 5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공시험은 초산완충용액 200㎕와 GOPOD 3㎖를 넣고 동일조건에서 반응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며, 표준포도당용액 흡광도는 표준포도당용액 100㎕, GOPOD 3㎖, 초산완충용 액 100㎕를 함께 넣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한다.
총글루칸 함량은, (시료흡광도-공시헙흡광도)×[100(㎍ glucose)/표준포도당용액 흡광도/시료의 무게(100㎎)]×90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α-glucan의 함량은 분말시료 약 100㎎을 80%에틸알콜 8㎖로 80℃에서 15분간 3 ~ 5회 반응 세척후 1,5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에틸알코올을 제거한 다음, 2M KOH 2㎖를 첨가하여 20분간 방치한다. 초산완충용액 8㎖와 AMG 0.1㎖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00㎖로 정용한다. 이중 1㎖를 취하여 1,500×g에서 원심분리한다. 이후의 실험방법은 총글루칸함량 분석방법과 동일하다.
α-glucan 함량은, (시료흡광도-공시험흡광도)×[100(㎍ glucose)/표준포도당용액 흡광도/시료의 무게(100㎎)]×90으로 계산한다.
표 -1은 상기한 상황버섯들의 β-glucan함량을 비교한 실험결과이다.
<표-1>
중국산(자연산) 국내산(원목재배) 균사체(액체배양)
100g 중 고형분 89.03% 59.70% 0.50%
총 글루칸 함량 3.22% 3.45% 1.15%
β-글루칸 함량 1.99% 2.24% 0.52%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β-glucan 함량이 가장 많은 국내산 원목재배 상황버섯을 원료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국내산 원목재배 상황버섯을 이용하여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황버섯 1kg을 20 ~ 40mesh의 분말로 분쇄한 후, 추출기에 넣고 15ℓ의 중조용액에 12시간 침지 후, 세척한 다음, 15ℓ의 물을 첨가하여 100 ~ 120℃에 서 3시간동안 열수로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열수추출물만을 모은다. 여과하고 남은 잔여물을 다시 15ℓ의 70%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100 ~ 120℃에서 3시간 추출하여 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었다. 열수추출물과 에틸알코올추출물을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3ℓ의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준비된 가공인삼으로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가공인삼은 그 제조과정에서 수증기처리, 고온처리, 산처리 등을 하면 다마렌(dammarane)계 사포닌의 일부 성분의 수산기는 반전평형반응을 일으켜 Ginsenoside Rg3 및 Rg5가 증가되어 항암 활성이 강화된 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종래의 연구개발에서 알게 되었다.
즉,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4242호에서는 오미자, 산사자, 산수유, 모과, 매실, 유자, 탱자, 사과, 석류 및 오렌지 등을 이용하여 Ginsenoside Rg3 및 Rg5를 증가시킨 가공인삼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 개시된바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2742호에서는 인삼에 pH 2 ~ 4의 식초를 가한 후 0.5 ~ 24시간 가열 추출하여 Ginsenoside Rg3 및 Rg5를 높은 농도로 함유한 인삼제제를 얻는 식초를 이용한 인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 다른 방법으로 Ginsenoside Rg3 및 Rg5가 높은 농도로 함유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삼을 산처리 반응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용액 등의 pH를 측정하였다. 이때, 산수육과 복분자는 원료에 10배의 물을 가한 후 80 ~ 100℃에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고,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고, 산딸기는 녹즙기로 짠 것을 사용하였 고, 0.1M 구연산용액은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마늘식초, 양파식초, 레몬쥬스는 시판제품을 사용하였다.
먼저, 인삼추출물의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건미삼 1Kg을 분쇄기로 분쇄한 20 ~ 40mesh의 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15ℓ의 물을 첨가한 후 80 ~ 100℃에서 6시간 열수로 추출한 후, 열수추출물을 모은 다음, 80%의 에틸알코올 15ℓ를 첨가한 후 80 ~ 100℃에서 6시간 추출하고, 다시 50%의 에틸알코올 15ℓ로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열수추출물과 에틸알코올추출물을 합하여 감압농축하여 3ℓ의 인삼추출농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가공인삼의 제조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삼추출농액과 반응용액(산수육추출액, 복분자추출액, 산딸기즙, 0.1M구연산용액, 마늘식초, 양파식초, 레몬쥬스)을 1:1로 섞어 90℃에서 3시간 반응 후 농축하여 TLC로 Ginsenoside Rg3 및 Rg5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TLC에 의한 Ginsenoside의 정성분석방법은, Ginsenoside의 정성분석은 조사포닌 5㎕를 실리카겔 TLC Plate(Kieselgel 60 F254, Merck)에 점적한 후, 전개용매 Chlorofrom : Methanol : Water(65 : 35 : 10, v/v)로 전개시킨 후, 30%황산을 분무하여 110℃에서 약 10분간 발색하였다.
위의 실험에 따라 먼저, 미삼을 산처리 반응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pH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2와 같다.
<표-2>
원액 pH
산수육추출액 2.60
복분자추출액 3.40
산딸기즙 3.23
마늘식초 2.64
양파식초 3.38
푸룬쥬스 3.80
레몬쥬스 3.50
0.1M 구연산용액 2.50
그리고 인삼추출액과 여러종류의 용액으로 산처리한 TLC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3과 같다.
<표-3>
원료 TLC 측정결과
Rg3 Rg5
인삼추출액+산수육추출액 +++ +++
인삼추출액+복분자추출액 +++ +++
인삼추출액+산딸기즙 + +
인삼추출액+마늘식초 ++ ++
인삼추출액+양파식초 + +
인삼추출액+푸른쥬스 - -
인삼추출액+레몬쥬스 + +
인삼추출액+0.1M구연산욕액 + +
※ 생성정도 : 많음 +++ 보통 ++ 적음 + 반응없음 -
표-2 및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수육추출액과 복분자추출액을 처리한 경우 Ginsenoside Rg3 및 Rg5가 많이 생성되었으나 산수육추출액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를 배제하기로 하였다. 한편, 복분자는 최근의 연구에서 인간면역체계에서 항체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세포와 R세포주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음파와 병행한 열수추출물이 면역활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초음파와 병행한 복분자 열수추출물이 항암활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고 있는바, 이를 본 발명에 사용하기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복분자를 이용한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 다.
건미삼1Kg과 복분자1Kg을 20 ~ 40mesh의 분말로 분쇄한 후 추출기에 넣고, 80 ~ 100℃에서 3시간 증자한 후 20ℓ의 정제수를 넣어 80 ~ 100℃에서 6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열수추출물만을 모은다. 여과후 남은 잔여물을 다시 15ℓ의 80%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80 ~ 100℃에서 6시간 추출하고, 다시 15ℓ의 50%에틸알코올로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었다. 열수추출물과 에틸알코올추출물을 합하여 감압농축하여 3ℓ의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3ℓ의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1:1로 혼합한 후, Brix 65가 되도록 감압농축한 후, 이 농축액을 -40℃에서 급속냉동시킨다. 다음 진공동결농축기에 건조시켜 분말상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Brix의 측정방법은 Refractometer(MODEL NAR-1T, ATAGO, Japan)로 측정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을 MeOH에 용해하여 TLC로 Ginsenoside Rg3 및 Rg5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에 Rg3 및 Rg5가 다량으로 함유된 것을 나타낸 TLC패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에는 Ginsenoside Rg3 및 Rg5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원료 인삼추출물에는 존재하던 Ginsenoside Rb1, Rb2, Rc, Rd가 Ginsenoside Rg3 및 Rg5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조성물의 조사포닌양과 Ginsenoside 그리고 β-glucan의 함량 을 측정하기 위해 HPLC에 의한 Ginsenoside의 정량분석을 하였다.
<실험방법>
1. 조사포닌의 분석
조사포닌의 분석방법은 기능성식품공전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즉, 검체 1 ~ 2g을 정밀히 달아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물 60㎖에 녹여 분액깔때기에 옮기고 에테르 60㎖로 씻은 다음 물층을 물포화 부탄올 60㎖로 3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모두 합쳐서 물 50㎖로 씻는다. 물포화 부탄올층을 미리 항량으로 한 농축플라스크에 옮겨 감압 농축한 후 105℃에서 20분간 건조하고, 다시 데시케이타에서 30분간 식혀 무게를 달아 다음식에 따라 조사포닌의 양을 구한다.
조사포닌함량(㎎/) = (A-B)/S
A : 물포화 부탄올층을 농축 건조한 후의 플라스크의 무게(㎎)
B : 항량으로 한 빈 플라스크의 무게(㎎)
C : 검체의 채취량(g)
2. HPLC에 의한 Ginsenoside의 정량분석
(1) 표준용액의 조제
Ginsenoside 각각의 표준품 1㎎을 MeOH(HPLC Grade, J. T. Baker, USA)1㎖에 녹여, 1㎎/1㎖(1000ppm)의 용액을 조제한 후, 이를 다시 농도별로 희석한 후, HPLC용 membrane filter(0.45㎛)로 여과한 액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2) 검액의 조제
검체를 정밀히 달아 에틸에테르로 3회 처리하여 지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다 시 물층을 물포화 부탄올 60㎖로 3회 처리하여 얻은 물포화부탄올층을 합하여 감압농축하여 물포화부탄올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에 MeOH 2㎖를 가하여 완전히 녹이고 HPLC용 membrane filter(0.45㎛)로 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3) HPLC/ELSD에 의한 Ginsenoside의 정량분석
Ginsenoside의 정량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HPLC기종 : HP1100series
컬럼 : Prevail Carbohydrate ED column(250×4.6, 5㎛)
검출기 : Alltech Model ELSD MKⅢ
- Tube Temp. : 90℃
- N2 gas flow : 2.2SLPM
용매 : 아세토나이트릴/물/프로판올
A용액 : 80/5/15
B용액 : 80/20/15
- 0 min-A(%):B(%)=70:30
- 5 min-A(%):B(%)=70:30
- 25 min-A(%):B(%)=10:90
- 50 min-A(%):B(%)=10:90
- 55 min-A(%):B(%)=70:30
- 65 min-A(%):B(%)=70:30
유속 : 0.8㎕/min
상기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기능성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표-4와 같다.
<표-4>
기능성 조성물
pH 4.5
조사포닌(g당) 140mg/g
Ginsenoside Rb1 2.95mg/g
Ginsenoside Rb2 1.35mg/g
Ginsenoside Rc 2.25mg/g
Ginsenoside Rd 0.82mg/g
Ginsenoside Rg3 32.25mg/g
Ginsenoside Rg5 8.95mg/g
β-glucan 0.60%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황버섯과 가공인삼 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호성과 분산성을 지닌 기능성 다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능성 다류를 제조하기에 앞서 기호성을 조사하여 적정한 배합비를 얻기 위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에 적용된 기능성 다류는 기능성 조성물 10 ~ 30중량%와, 산딸기추출물10 ~ 30중량%와, 포도당7중량%와, 말토덱스트린25중량%와, 감초추출물1 ~ 5중량%와 정제수23 ~ 27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Brix 50으로 한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관능검사는 충청대학 식품생명공업전공 학생중 기초 4가지 맛(짠맛, 신맛, 단맛, 떫은 맛)테스트를 거쳐 그 능력을 검증 받은 학생 10명을 관능검사 요원으로 선발하여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검사시료는 차 5g을 물 100㎖에 용해한 후 오전10시와 오후3시에 5명씩 각각 실시하였다.
아래의 표-5는 상기와 같은 관능검사를 한 결과이다.
<표-5>
A1 A2 A3 A4 A5
기능성조성물 10 15 20 25 30
산딸기추출물 30 25 20 15 10
포도당 7 7 7 7 7
말토덱스트린 25 25 25 25 25
감초추출물 1 2 3 4 5
정제수 27 26 25 24 23
3.2 3.5 3.2 2.8 2.5
4.3 4.6 4.3 3.5 2.6
2.4 4.4 2.2 2.2 2.0
기호도 3.8 3.6 2.9 2.1 1.9
총평 13.7 16.1 12.6 10.6 9.0
※ 5(대단히 좋다), 4(좋다), 3(그저 그렇다), 2(싫다), 1(대단히 싫다)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은 값을 얻은 배합 A1에서 A3로 기능성 다류의 배합비를 결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관능검사의 결과를 참고한 기능성 다류는 상기 기능성 조성물 10 ~ 20중량%와, 산딸기추출물20 ~ 30중량%와, 포도당7중량%와, 말토덱스트린25중량%와, 감초추출물1 ~ 3중량%와, 정제수25 ~ 27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Brix 50으로 한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산딸기추출물은 냉동된 산딸기를 해동시킨 후, 착즙기로 착즙하여 착즙액으로 얻었으며, 착즙액의 잔사는 10배의 정제수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한 후, 다시 10배의 40%에틸알코올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얻은 열수추출물과 에틸알코올추출물과 앞서 얻은 산딸기착즙액을 합한 후 여과하고,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얻은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은 가공인삼의 Ginsenoside Rg3 및 Rg5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버섯과 복분자의 항암효과가 있는 성분도 함께 함유되어 있어 항암효과에 탁월한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다류는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항암작용 및 그 기호성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건강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상황버섯분말을 열수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상황버섯열수추출물과 상기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상황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건미삼분말과 복분자분말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나머지 잔여물을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가공인삼열수추출물과 상기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버섯추출농축액과 상기 가공인삼추출농축액을 1:1로 혼합한 후 Brix 65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열수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상황버섯을 20 ~ 40mesh로 분쇄한 후, 15배의 중조용액에 12시간 침지 및 세척한 후, 15배의 물을 첨가하여 100 ~ 120℃에서 3시간동안 3회에 걸쳐 열수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잔여물에 15배의 70%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100 ~ 120℃에서 3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인삼열수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건미삼 및 상기 복분자를 20 ~ 40mesh로 분쇄한 후, 80 ~ 100℃에서 3시간 증자하고, 10배의 정제수를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인삼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잔여물에 15배의 80%에틸알코올을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하고, 다시 15배의 50%에틸알코올을 넣어 80 ~ 100℃에서 6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 단계에서 감압농축된 상기 농축액을 -40℃에서 급속냉동시킨 후, 진공동결농축기에서 건조시켜 분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과 가공인삼추출액으로부터 항암효과를 함유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10 ~ 20중량%와, 산딸기추출물20 ~ 30중량%와, 포도당7중량%와, 말토덱스트린25중량%와, 감초추출물1 ~ 3중량%와, 정제수25 ~ 27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Brix 50으로 한 후 분무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딸기추출물은 착즙기로 착즙하여 착즙액을 얻은 후, 상기 착즙액의 잔사를 10배의 정제수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산딸기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다시 잔여물을 10배의 40%에틸알코올로 60 ~ 80℃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산딸기에틸알코올추출물을 얻은 후, 상기 착즙액과 상기 산딸기열수추출물과 상기 산딸기에틸알코올추출물을 합한 후 여과하고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KR1020050038792A 2005-05-10 2005-05-10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KR10067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92A KR100676869B1 (ko) 2005-05-10 2005-05-10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92A KR100676869B1 (ko) 2005-05-10 2005-05-10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401A true KR20060117401A (ko) 2006-11-17
KR100676869B1 KR100676869B1 (ko) 2007-02-02

Family

ID=3770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792A KR100676869B1 (ko) 2005-05-10 2005-05-10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34B1 (ko) * 2007-06-18 2009-07-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청 및 고추장
KR101068692B1 (ko) * 2009-01-07 2011-09-29 박준선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베타글루칸 성분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50113724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물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홍삼 추출물 분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5915A1 (ko) * 2014-09-05 2016-03-10 박명희 상황버섯차 제조방법
KR101950341B1 (ko) * 2016-08-31 2019-02-21 영동건강 주식회사 표고버섯으로 제조한 흡착제 및 상기 흡착제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
KR101884274B1 (ko) 2017-03-20 2018-08-01 주식회사 비엔지삶 수삼과 끄라차이담을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86B1 (ko) 1994-11-19 2001-11-22 임곤혁 상황버섯으로부터항암성분을추출하는방법
KR0183448B1 (ko) * 1996-05-31 1999-05-01 손경식 진세노사이드 Rg5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010000326A (ko) * 2000-09-15 2001-01-05 박순영 금사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20040020693A (ko) * 2002-08-31 2004-03-09 박명환 효능이 증강된 인삼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40064801A (ko) * 2003-01-10 2004-07-21 배조정 생식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0522096B1 (ko) * 2003-05-02 2005-10-18 박준덕 진흙버섯속 상황버섯을 이용한 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34B1 (ko) * 2007-06-18 2009-07-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청 및 고추장
KR101068692B1 (ko) * 2009-01-07 2011-09-29 박준선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베타글루칸 성분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50113724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물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홍삼 추출물 분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869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e et al. Optimization of the ultrafiltration-assisted extraction of Chinese yam polysaccharid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its biological activity
CN103230473B (zh) 黑枸杞有效提取物、提取方法以及提取物应用
KR100881634B1 (ko) 압출성형, 초음파 및 발효에 의한 우수한 사포닌 함량이증가된 홍삼액과 산삼배양근액 및 장뇌산삼액의 제조방법
CN109247561A (zh) 一种从罗汉果中制备罗汉果甜味组合物的方法及其应用
CN102459623B (zh) 制备发酵人参浓缩物或粉末的方法
KR20060117401A (ko)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CN108047343A (zh) 伊贝母总多糖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904563B (zh) 一种全株人参原浆加工方法及用途
CN105535112A (zh) 桑叶、桑椹降糖药用活性物质提取工艺及其配方
Liu et al. Selenium-contain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Rosa laevigata Michx fruits exhibit excellent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activity in vitro
CN106726889A (zh) 金花茶有效成分的提取方法及制备保健品的用途
KR100872158B1 (ko) 볶음 및 발효에 의한 유효성분이 증가된 홍삼액과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CN103113489B (zh) 一种新疆骏枣多糖提纯的方法
KR20160019190A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113181231B (zh) 具有增强巨噬细胞吞噬活性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和免疫药物
KR101409168B1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366845B1 (ko) 효모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특이성분 함량이 증가된 흑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9549036A (zh) 一种协同枸杞作用的复合汁及其制备方法
KR102386574B1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음료
Xing et al. Optimization of steaming process for polysaccharides from Panax notoginseng by box-behnke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omparison of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aw and steamed Panax notoginseng polysaccharides
KR101960037B1 (ko) 홍삼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스틱 형태의 홍삼 제품의 제조방법
CN113080268A (zh) 一种具有抗氧化和/或降血糖活性的紫茶、紫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095075A (ko) 항염증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9664B1 (ko) 진세노사이드 Rd, Rg3 및 Rg5 함량이 강화된 효소처리 백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