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783A - 지폐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지폐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783A
KR20060116783A KR1020060104459A KR20060104459A KR20060116783A KR 20060116783 A KR20060116783 A KR 20060116783A KR 1020060104459 A KR1020060104459 A KR 1020060104459A KR 20060104459 A KR20060104459 A KR 20060104459A KR 20060116783 A KR20060116783 A KR 2006011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nknote
banknotes
storing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202B1 (ko
Inventor
토시노리 요코이
아츠코 우오즈미
리이치 카토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금종 대용량의 지폐를 취급하는 운용이나 작은매수의 지폐를 분별하여 취급하는 운용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리한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사용 용도가 다른 입금고(60) ; 제 1의 분별수납고(61) ; 제 2의 분별수납고(70) ; 리사이클고(80) ; 장진·회수고(81) 등의 수납고의 외형; 출입구 ; 구동부를 공통으로 구성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된 수납고를 지폐입출금기에 장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입출금기{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도 1은 지폐 입출금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지폐입출금기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입금고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리사이클고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의 분별수납고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각 수납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의 분별수납고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운용 내용의 설정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운용별 각 수납고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 2의 분별수납고의 반송 경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별수납고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폐 입출금 기구의 수납고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별수납고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별수납고의 후면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기에 관하여 특히 일반 이용자가 카드나 통장등을 사용해 현금을 직접 입출금 하는 지폐입출금기가 적용된 예를 들면 금융기관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금융기관등에서 사용되는 지폐입출금기는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를 반복하여 반출하고 또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와 지폐판별부를 통과해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를 구비하고 또 입금 지폐를 일단 수용하는 일시보관고와 입금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와 출금용의 지폐를 반복하여 반출하는 출금고와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해 반복하여 반출하는 리사이클고와 입금고나 리사이클고에 수납하지 않는 입금 지폐나 출금고로부터 반복하여 반출된 지폐중 출금 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와 리사이클고에 대해서 보충하는 지폐를 반복하여 반출하고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장진·회수고등의 각 유니트를 조합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각 유니트의 배치나 전체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한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금종 수도 많기 때문에 다금종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구성의 지폐입출금기가 요구되고 있다. 다금종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기재의 예가 있다. 이 공지예에서는 입금구와 출금구와 지폐판별부(지폐 식별 장치)와 금종 마다 리사이클고를 복수개 가지고 지폐반송로로 접속되고 리사이클고는 취급하는 금종 수에 따라 증설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도 동일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00-172946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2000-20783호 공보
구미 동남아시아 제국에서는 5금종 이상의 지폐의 취급에도 대응할 수 있는 대용량의 지폐입출금기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으로 엄격한 현금 관리를 위해서 입금시와 출금시의 리젝트 지폐를 나누어 관리하고 싶은 요망이나 리사이클에 적합하지 않는 더러워진 지폐나 파손된 지폐(손상권) 및 위조권이나 위조권의 혐의가 있는 지폐를 리사이클하기에 적절한 지폐와 나누어 관리가능한 요구도 나오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의 지폐입출금기의 경우 그러한 요구에 응하기에는 그러한 지폐의 수납처를 각 수납고에 할당하면 좋지만 그에 따라 리사이클할 수 있는 금종 수가 감소하거나 소수매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서도 대용량의 수납고를 1개 사용하기 위해 효율이 나쁘다는 폐해가 나온다.
또 이용자가 지폐를 수취 잊어버림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지만 수취를 잊고 지폐를 장치내의 현금과 혼재시키지 않고 취급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수납고를 1개 사용하는 것은 효율이 나쁘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이용자의 수취를 잊은 지폐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수납고는 설치하지 않고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입출금구에 보류하고 거래를 정지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많은 금종; 대용량의 지폐를 취급하는 운용이나 소 매수의 지폐를 분별해 취급하는 운용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리한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기에서는 지폐를 수납하는 착탈 가능한 수납고를 복수개 장착 가능한 지폐입출금기로서 상기 지폐입출금기는 입금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출금고 ;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 및 지폐를 분별해 수납할 수 있는 분별수납고의 적어도 1 종류의 수납고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이고 ; 상기 각 수납고는 공통된 외형 치수와 공통된 위치의 지폐의 출입구와 공통의 반송 구동부를 가지며 서로 교환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고 상기 분별수납고는 1개의 수납고내에 상기 공통된 출입구로부터 지폐를 반입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입금 지폐를 수납하는 대용량의 입금고;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 ;상기 리사이클고에 대해서 지폐를 보충 회수하는 장진·회수고에 부가하고 지폐를 분별해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복수 가지는 분별수납고를 준비한다. 그리고 그러한 수납고를 탈착가능하게 하고 또 각 수납고의 출입구 ; 외 형 ; 구동부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호환 장착이 가능해지고 수납고를 플렉시블하게 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분별수납고가 1개의 수납고내에 지폐를 분별해 수납할 수 있는 3~5의 독립된 수납부를 하는 지폐입출금기에 있다.
분별수납고가 분별하여 수납할 수 있는 3~5의 독립한 수납부를 가지기 때문에 이용자의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장치내의 현금과 혼재하지 않고 취급할 수 있는 공간절약의 수납부를 임의로 확보할 수 있고 수취 잊어버린 지폐의 발생시에도 거래를 계속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가 지폐의 반입측에서 볼때 10도~30도 위를 향해 경사진 지폐를 아래 쪽으로부터 수납하도록 구성한 제 1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수납부를 비스듬하게 하는 것으로 지폐의 전도를 방지 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수납고에 복수의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가 지폐를 아래로부터 수납하도록구성한 지폐 투입식의 제 1의 수납부와 상기 제 1의 수납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반송로와 상기 분별수납고의 가장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수납부보다 스페이스가 크고 지폐를 위쪽으로부터 수납하는 제 2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이것에 의해 3~5의 독립한 수납부를 가지며 지폐의 취급량에 따라 각종의 지폐를 효율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컴팩트한 지폐입출금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를 장착하는 지폐입출 금기에 있어서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와 지폐를 분별해 수납하는 분별수납고를 가지며 ; 분별수납고는 공통된 입구로부터 지폐를 반입해 수납하는 제 1의 수납부와 제 2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 제 2의 수납부는 지폐면을 지지하는 압판(押板)을 가지며 지폐를 집적 할 경우에 소정의 수납 공간을 유지해 압판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상기 분별수납고의 제 2의 수납부에는 리사이클고에 수납하지 않는 비환류 지폐를 수납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분별수납고의 제 2의 수납부는 지폐면을 지지하는 압판을 가지며 지폐를 집적 할 경우에 소정의 수납 공간을 유지하도록 압판을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판의 상대면에 스택가이드를 가지며 지폐의 집적이 종료했을 때에 압판을 스택가이드 측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입출금고를 채용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지폐의 수납고로서 리사이클고 및 분별수납고를 포함해 분별수납고가 리사이클고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이들의 수납고는 공통의 반송로에 연결해 장착되는 하부지폐기구와 ; 하부지폐기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 이용자에 대한 지폐의 입출금구와 ; 입출금구에 대해서 지폐를 반송하고 또한 하부지폐기구의 반송로와 연결된 반송로와 ; 반송로에 배치된 지폐판별부를 포함한 상부지폐기구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본체 프레임(101)의 상부에는 이 프레임(101)의 상부 정면판(101b)에 설치된 카드 슬롯(102a)과 연통;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표를 인자해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와 통장 슬롯(103a)과 연통하고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프레임(101)의 하부에는 입출금구(20)로부터 투입 혹은 배출되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입출금 기구(1)를 구비하고 있고 중간부에는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105)가 설치되고 있다. (106)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전체의 제어를 맡는 본체 제어부이다. 또한 107은 입금 출금이 가능한 거래 종별을 이용자에게 나타내는 거래 표시기이다.
도 3은 본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제어 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해 구성되고 있어 본체프레임(101)에 수납된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지폐 입출금 기구(1) 및 고객 조작부(105)가 버스(106a)를 개재하여 본체제어부(106)와 접속되어 있고 본체제어부(106)의 제어하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한다. 본체제어부(106)는 상기외에 인터페이스부(106b); 계원조작부(106c) ; 외부기억장치(106d)도 버스(106a)에서 접속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의 취급을 실행한다. 장착되는 수납고의 종류나 장착위치 각 수납고에 수납되는 금종등의 정보가 게원조작부(106c)를 개재하여 계원에 의해 본체제어부(106)에 입력된다. 또한 101e는 본체프레임(101)의 각 기구 구성성분에 전 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지폐입출금기(1)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ㆍ취출을 행하는 입출금구(20)와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지폐판별부(30)와 ; 지폐를 수납하는 탈착가능한 복수 종류의 수납고와 ; 지폐반송로(50)와; 이들의 기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5)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고의 종류로서는 입금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 동안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40)와 ; 리사이클에 사용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60)와 ; 리젝트 지폐를 구별해 관리할 수가 있는 제 1의 분별수납고(61)와; 다종류의 입금 지폐를 분별해 수납 가능한 제 2의 분별수납고(70)와; 입출금 겸용의 리사이클고(80)와; 리사이클고(80)에 보충하는 지폐나 리사이클고(80)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진·회수고(81)를 가지며 구성된다.
제어부(35)는 버스(106a)를 개재하여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본체 제어부 (106)와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검출에 따라 지폐입출금기(1)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 제어부(106)에 보낸다. 또 제어부(35)는 지폐입출금기(1) 안에는 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 지폐반송로(50); 입금고(60); 제 1의 분별수납고(61); 제 2의 분별수납고(7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등의 각 유니트의 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나 센서와 접속되고 거래에 따라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각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한다.
도 1은 도 2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입출금기(1)의 부분을 확대해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폐입출금기(1)는 상부지폐기구(1a) ; 하부지폐기구(1b)로 구성된다. 상부지폐기구(1a)는 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와 지폐반송로(50)로 구성된다. 지폐반송로(50)는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하고 입출금구(20)와 각 수납고(60,61~80)의 사이에 지폐를 반송한다. 입금고(60); 제 1의 분별수납고(61) ;제 2의 분별수납고(7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의 각 수납고는 각각 공통의 프레임외형 ; 공통의 위치에 설치된 지폐의 출입구 및 공통의 구동부를 갖고 지폐입출금기(1)의 수용 장착부에 대해서 서로 교환하여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하부지폐기구(1b)는 입금고(60); 제 2의 분별수납고(7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 및 각 수납고의 전면에 배치하는 개폐 가능한 반송로(90)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지폐기구(1b)는 약 50 mm정도의 두꺼운 철판으로 구성되는 금고프레임(104)안에 실장되고 있고 상부반송기구(1a)의 반송로(501g)와 하부지폐기구(1b)의 반송로(901a)는 연결 반송로(501h)로 접속되고 있다.
연결 반송로(501h)는 하부지폐기구(1b)를 둘러싸는 금고프레임(104)의 상면 철판 부분에서 또한 상부반송기구(1a)의 반송로(501g)와 하부지폐기구(1b)의 반송로(901a)가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된 슬릿내에 배치된다. 상면 철판 부분에 열려진 슬릿은 지폐가 통과하기 위한 길이와 이 슬릿에 반송되어 온 지폐를 끼워서 반복하여 내보내도록 장착된 반송롤러의 폭의 크기를 가진다. 하부지폐기구(1b)를 금고단체로 둘러싸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 하부지폐기구(1b)상에 직접 상부반송기 구(1a)가 재치될 때는 반드시 슬릿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반송로(50)의 구동원이 되는 예를 들면 모터는 상부반송기구의 반송로와 하부지폐기구의 반송로로 따로 따로 설치해도 좋지만 단일의 구동원을 이용해 구동력을 반송로(501g-501h-901a) 사이에 설치된 기어로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지폐반송로(50)는 지폐판별부(30)를 쌍방향으로 통과하고 화살표(501 a~501h 및 901a~901e)로 나타나는 반송로를 경유해 입출금구(20) ; 보관고(40); 입금고(60) ;제 1의 분별수납고(61) ;리사이클고(80); 제 2의 분별수납고(70) ;장진·회수고(81)를 접속한다.
지폐반송로(50) 가운데 하부지폐기구(1b)에 있어 입금고(60) 및 제 1의 분별수납고(61) ;리사이클고(80); 제 2의 분별수납고(70) 및 장진·회수고(81)의 앞부분에 있는 5곳의 지폐반송로(901a~e)는 일체가 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개폐 반송로(90)를 구성하고 있고 계원은 개폐 반송로(90)를 열어 입금고(60) ; 제 1의 분별수납고(61) ; 리사이클고(80); 제 2의 분별수납고(70); 장진·회수고(81)의 조작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지폐반송로(901a~e)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도 9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입금고(60)는 본 실시예에서는 1개만 실장되고 있다. 입금고(60)는 상세 구성을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입금고외의 구동원으로부터 기어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스택롤러(601)에 대향하는 백업롤러(602;603)와 백업롤러(603)과 동일축상에 있어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백업롤러와는 독립하여 회전하고 탄성 부재가 도시와 같이 방사형상으로 배치한 브러시롤러(604) 및 하 부 스택가이드(605); 상부 스택가이드(606)에 의해 스택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 지폐수납공간은 상부 칸막이판((611)과 하부 칸막이판(613) 및 압판(615)으로 형성되는 스택완료 지폐수납공간(617)과 상부 칸막이판((611)과 하부 칸막이판(613) 및 상부 스택가이드(606) ; 하부 스택가이드(605)로 형성되는 스택안 지폐수납공간(616)들로 이루어진다. 또 스택롤러(601)에 접하는 위치에 출입구(632)를 가지고 있다.
입금고(60)에 수납하는 지폐는 지폐반송로(화살표 901a)로부터 전환게이트 (903)가 도시(903b)의 상태로 전환되고 화살표 902a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출입구(632)를 경과해 회전하는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2,603) 사이에 이송된다. 스택롤러(601)와 백업 롤러(603)의 사이에 이송된 지폐는 정지한 브러시롤러(604)의 탄성부재(604a)에 접촉해 탄성 부재(604a)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하부 스택가이드 (605)와의 사이로 마찰 저항력을 받으면서 통과하고 스택롤러(601)와 백업롤러(603)에 의한 협지 반송력이 없어지는 위치에서 일단 정지하고 그 직후에 브러시롤러(60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스택중 지폐수납공간(616)에 연속하여 반송되는 지폐 끼리는 간섭하는 경우 없이 집적한다.
다음으로 구동원에 의해 구동 벨트(618)를 구동하고 구동 벨트(618)에 연결한 밀어내기 플레이트(608) ; 밀어내기 보조 가이드(609); 밀어내기 지점 샤프트(610); 상부 스택가이드(606)가 화살표(621, 622)의 방향으로 도시 점선(608a; 609a ; 610a ; 606a)의 위치까지 이동함과 함께 상기 구동 벨트(618)에 연결한 상부 칸막이판(611) ; 상부 칸막이판 지점 샤프트(612)가 화살표(625)의 방향으로 도 시 점선(611a;612a)~(611b;612b)~(611c~612b)의 순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택중 지폐수납공간(61)에 집적된 지폐는 스택이 끝난 지폐수납공간(617)의 지폐와 일체가 되어 압판(615)을 화살표(624)의 방향으로 하부 스택가이드(613)를 화살표 623의 방향으로 밀어넣게 된다.
다음에 구동 벨트(618)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고 밀어내기 플레이트(608); 밀어내기 보조 가이드(609) ; 밀어내기 지점 샤프트(610) ;상부 스택가이드(606) 상부 칸막이판((611) ; 상부 칸막이판 지점 샤프트(612)를 초기의 위치까지 되돌려 스택중 지폐수납공간(61)을 빈 상태로 하고 다음의 집적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 리사이클고(80)는 본 실시예에서는 3개 실장되고 있다. 도 6에 구성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사이클고(80)는 수납과 분리 반복 반출 할 수 있는 수납고이고 스택·피드롤러(801) ; 픽업롤러(811)와 회전하는 백업롤러(802)와 스택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복 반출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 ; 게이트롤러(803)와 동일축상에 있어 탄성 부재가 방사형상으로 배치한 브러시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택시에 가동하는 분리·스택가이드(805)에 의해 스택·분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808) ; 압판(806)과 바닥판(808)보다 상면에서 지폐 하면을 지지하도록 걸쳐진 바닥면 평벨트(807)와 분리·스택가이드(805)로 둘러싸인 수납 공간에 지폐는 수납된다. 또한 수납부의 상부의 분리·스택가이드(805)의 근방에 톱니 형상의 외주 형상을 가지는 회전하는 상부 빗살롤러(812)와 수납부의 하부의 게이트롤러(803)의 근방에 톱니형상의 외주 형상을 가지는 회전하는 하부 빗살롤러(809)를 갖고 스택이 끝난 지폐의 상하 단부를 톱니형상의 외주부가 지지하고 압판(806) 측에 긁어내면서 지폐의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또 스택·피드롤러(801)에 접하는 위치에 출입구(822)를 가지고 있다.
지폐의 분리 동작시에는 분리ㆍ스택가이드(805)는 파선(805a)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고 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가 되고 수납 공간내를 가동하고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반복반출 지폐가 픽업롤러(811)에 소정의 누름으로 걸리도록 수납 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 롤러(811)에 눌려진 지폐는 회전하는 스택·피드롤러(801)로 송출되고 반복반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으로 2매 이송을 방지하면서 출입구(822)를 경유하여 화살표(902b)의 방향으로 한 장씩 반송되어 지폐반송로의 전환게이트(903)는 도시(903b)의 방향으로 전환하고 화살표(901b)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지폐의 스택 동작시에는 분리·스택가이드(805)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로 이동하고 압판(806)과 바닥면 벨트(807)는 일체가 되고 도시하지 않는 금고외의 구동원에 의해 수납 공간내를 가동하고 수납 지폐의 증가에 수반해 화살표(902b)의 방향으로 반송된 진입 지폐와 수납 지폐가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 지폐를 분리·스택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제어된다. 이 때 상부 빗살 반출 롤러(812)는 왼쪽 주위로; 하부 빗살 반출 롤러(809)는 우회전으로 회전해 스택이 끝난 지폐의 상하 단부를 톱니형상의 외주부가 지지하고 압판(806)측으로 긁어내면서 지폐의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장진·회수고(81)는 리사이클고(80)과 동일한 구성이고 후술과 같이 입출금 거래에는 이용하지 않지만 리사이클고로서 운용해도 괜찮다.
도 7에 제 1의 분별수납고(6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 1의 분별수납고(61)는 전술의 입금고(60)의 구성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납부(700a)와 투입식의 단순 스택 기구로 구성되는 수납부(700b)의 합계 2지점의 독립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고이다. 2개의 수납부(700a 및 700b)는 서로 칸막이판(701)으로 수납고의 전후 2 룸으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이 칸막이(701)는 생략 해도 좋다. 출입구(702)로부터 반입된 지폐는 전환게이트가 704a의 방향으로 전환될 때에 수납부(700a)로 반송되고 704b의 방향으로 전환될 때에 수납부(700b)에 반송된다. 수납부(700a, 제 2의 수납부)는 입구부에 스택롤러(714)나 백업 롤러(715)를 구비하고 입금고(60)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동 벨(718)을 구동하는 것으로 스택 중 지폐수납공간(716)에 집적된 지폐가 스택이 끝난 지폐수납공간(716)의 지폐와 일체가 되어 압판(615)이도 좌측으로 밀어넣어진다. 수납부(700b, 제 1의 수납부)는 투입식의 단순 스택 기구이고 아래로부터 지폐를 투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수납부의 지폐의 취득이나 유지보수등을 위해서 제 1의 분별수납고(61)는 상부덮개(650)가 설치되고 있다.
제 1의 분별수납고(61)의 스택롤러(732)에 접하여 설치된 출입구(702)는 2개의 수납부(700a 및 700b)에 공통의 출입구이다. 또 수납부(700a 와 700b)의 구동부는 벨트(703)으로 연결되고 있고 기어(730)을 구동원으로 하여 함께 구동된다. 입구에 가까운 수납부(700b)는 안쪽의 수납부(700a)에 비해 높이가 높아지고 있다.
2개의 수납부를 설치하는 경우 각 수납부로의 반송로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편의상 안쪽에 위치 하는 수납부(700a)의 쪽이 앞의 수납부(700b)보다 수납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측의 제 2의 수납부(700a)는 취급 양이 많은 지폐의 수납용으로서; 제 1의 수납부(700b)는 취급 양이 적은 지폐의 수납용으로서 이용된다.
안쪽에 위치 하는 수납부(700a)는 수평인 바닥면(719a)를 가지는 수평 수납 방식이고 수납부(700a)의 상하에 벨트가 있고 상하의 롤러를 구동시켜 지폐를 밀어넣는다. 한편 스페이스가 작은 수납부(700b)는 수직선보다 θ만큼 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719b)을 가지는 대략 コ 자형의 단면 형상을 하고 있고 지폐를 아래쪽 방향에서 투입하여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수납한다. 이러한 수납부(700b)의 구성에 의하면 사이즈가 다른 지폐를 스택 하는 경우에서도 중력에 의해 지폐의 하단이 갖추어지기 때문에 시트 롤러로 지폐 하단을 잡아 확실히 스택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부(700b)는 반입측에서 볼때 약간 위를 향하여 경사지고 있다. 즉 수납부(700b)의 바닥면(719b)은 뒤로 기울여 배치되고 있다. 이것은 지폐를 투입할뿐의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면서 투입된 지폐의 전도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수직선에 대한 바닥면(719b)의 경사각(θ)이 작으면 지폐가 전도되기 쉬워지고 경사각이 크면 수납부(700b)를 위한 스페이스가 커져 수납 효율이 저하한다. 경사각(θ)은 10도 ~ 30도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외관 사시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분별수납고(61) ; 입금고(60) ; 제 2의 분별수납고(70) ; 리사이클고(80) 및 장진·회수고(81)의 각 수납고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고 공통된 외형 치수와; 공통된 위치의 지폐의 출입구(702외)와 ;공통의 반송 구동부(730)를 갖고 서로 교환하여 장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즉 어느 수납고도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1개의 출 입구를 가지고 있다. 또 어느 수납고의 반송 구동부도 외부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되는 기어(730)를 개재하여 공통의 출입구에 접해 배치된 스택롤러(601)나 스택·피드롤러(801)가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수납부의 지폐를 위로부터 취출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서 덮개(650)가 설치된다.
도 9에 제 2의 분별수납고(7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 2의 분별수납고(70)는 투입식의 단순 스택 기구로 구성되는 3 지점의 독립한 수납부(710a; 710b; 710c)를 가지는 수납고이다. 수납고의 가장 안쪽에 위치 하는 수납부 (710a, 제 2의 수납부)는 바닥면(719a)이나 중간 덮개(719d)를 가지는 박스형이고 우측상부 각부의 개구부(761)로부터 지폐를 무정렬 삽입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수납부(710 a)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약간 전방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한편 제 1의 수납부 즉 수납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수납부(710b) 및 출입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수납부(710c)는 모두 수직선 보다 θ만큼 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719b;719c)을 가지는 대략 コ 자형의 단면 형상을 하고 있고 하측방향에서 지폐를 투입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또 수납고의 가장 안쪽에 위치 하는 수납부(710a)는 수납부 아래에 반주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납부로서의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안측의 제 2의 수납부(710a)는 취급 양이 많은 지폐의 수납용으로 하고 앞의 제 1의 수납부(710b 나 710c)는 취급 양이 적은 지폐의 수납용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수납부(710a)에는 예를 들면 5 유로(EURO) 나 500 유로등의 비교적 양이 많고 또한 환류로는 적합하지 않는 비환류금종의 지폐나 리젝트 지폐를 수 납한다. 한편 수취 잊어버린 회수 지폐나 출금리젝트 지폐는 양이 적기 때문에 수납부(710b 나 710c)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제 1의 수납부와 제 2의 수납부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종의 지폐를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분별할 수 있다.
스택·피드롤러(723)에 접하여 설치된 출입구(722)는 3 지점의 독립한 수납부에 대해서 공통되는 출입구이다. 출입구(722)로부터 반입된 지폐는 제 1의 전환게이트가 711b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수납부 710c로 반송되고 711a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제 2의 전환게이트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 2의 전환게이트가 712b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지폐는 수납부(710b)에 반송되고 또한 게이트가 712a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지폐는 수납부(710a)로 반송된다.
수납부(710c)로 반송된 지폐는 입구부의 스택롤러(724)나 백업 롤러(725)에 의해 수납부(710c) 내에 투입된다. 제 2의 전환게이트가 712b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납부(710b)에 반송된 지폐는 입구부의 스택롤러(727)나 백업 롤러(728)에 의해 수납부(710b)내에 투입된다. 게이트가 712a의 방향으로 전환되고 벨트(730)를 개재하여 반송된 지폐는 입구부의 스택롤러(731,732)나 백업롤러(733)에 의해 수납부(710a)내로 투입된다.
수납부(710b,710c)의 바닥면(719b,719c)은 반입측에서 볼때 약간 위를 향해 기울고 있다. 즉 수직선에 대해서 θ=10도 ~30도 후방으로 기울여서 설치되고 있다. 제 1의 수납부를 반입측에서 볼때 기울기 뒤로 기울여 배치하는 것으로 지폐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환류고와 같은 수평 수납 방식의 경우 수납고의 상하에 벨트를 설치해 상하의 롤러를 구동시켜 지폐를 밀어넣었지만 수납부를 비스듬 하게 하는 것으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710b 나 710c)는 상부의 벨트를 없애고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수납고에 복수의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기술한 입금고(60); 제 1의 분별수납고(61); 제 2의 분별수납고(7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의 각 수납고의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입금고(60)는 다금종의 지폐를 수납 가능해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금종이나 입출금시에 발생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리사이클고(80)는 입금고와 달리 취급 금종은 1금종뿐이지만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다.
장진·회수고(81)는 상기 리사이클고에 지폐를 장진 하는 경우 및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회수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제 1의 분별수납고(61)는 2개의 입금고(60)와 동일하게 다금종의 지폐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금종이나 입출금시에 발생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또 입금고(60)와 달리 2개의 독립한 수납부를 갖고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금종과 입출금시에 발생 한 리젝트 지폐등을 나누어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입금 지폐의 선별의 수고를 줄일 수 있어 관계자의 업무 효율향상으로 연결된다.
제 2의 분별수납고(70)는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통되는 출입구(722)로부터 유입한 지폐를 전환게이트(711a; 711b; 712a; 712b)의 제어로 3개의 독립한 수납부(701a ;701b ;701c)중 어느 하나에 개별적으로 반입 할 수 있는 3개의 반송 경로(A; B; C)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제 1의 분별수납고(61)와 동일하게 다금종의 지폐를 취급할 수가 있고 분별하고 싶은 지폐를 3지점으로 나누어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생 빈도가 적은 수취 잊어버린 회수 지폐와 같이 매수는 많지 않지만 구별하여 수납하고 싶은 것이 있는 경우 등에 이들의 수납부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용도에 따라서는 독립한 수납부를 4개 혹은 5개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금종의 지폐를 취급하는 분별수납고에 설치하는 수납부의 수는 3~5개로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현상황 구분하여 수납하고 싶은 지폐는 입금 수취 잊어버린 지폐; 입금 리젝트 지폐 ;출금리젝트 지폐 ; 손상권 ;위조권 ; 불명권등 다수 있다. 이들의 모두를 하나의 분별수납고로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수를 많이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투입식의 단순 스택 기구를 채용한 수납부는 10도 ~ 30도 비스듬하게 해 전도를 막을 필요가 있고 수납부의 수가 너무 많으면 이 구조상의 특징을 해쳐 버린다. 또 수납부의 수가 너무 많으면 반송 경로가 복잡화 하거나 혹은 설치 면적이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하는 디메리트가 생겨 버린다. 반대로 수납부의 수가 적으면 취급량이 적은 금종의 지폐에 관해서는 스페이스 효율이 나빠지고 구분하여 수납하고 싶은 지폐의 종류수가 많을 때 모든 종류의 지폐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납고의 수가 많아져 버린다. 이들의 점을 고려하면 수납부의 수는 3 ~ 5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입금고(60) ; 제 1의 분별수납고(61); 제 2의 분별수납고(70);리사 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의 각 수납고는 사용 목적은 각각 다르지만 외형 출입구 구동부가 동일하고 그러한 조합에 의해 목적에 맞은 여러가지 운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수납고를 조합한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기의 구성예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진동작:
우선 지폐의 장진동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장진동작에 있어서는 관계자가 리사이클고(80)에 금종별로 세트 하고 싶은 지폐를 개별적으로 세트 하는 것이 아니라 지폐를 장진·회수고(81)에 일괄 세트 하여 지폐입출금기(1)의 최하단에 장진한다.
이것에 수반해 지폐는 지폐입출금기내에서 지폐반송로(5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송되고 리사이클고(80)에 수납된다. 우선 장진계수 동작으로 장진·회수고(81)로부터 반복 반출된 지폐는 지폐반송로(50; 901d~a; 501h ; 501g ; 501b)를 경유하여 지폐판별부(30)로 금종을 판별시켜 전환게이트(503)를 전환하여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시킨다.
장진수납 동작:
다음에 장진수납 동작으로 일시보관고(40)로부터 차례로 방출되고 동일한 지폐반송로(50)를 역으로 경유하여 금종 마다 지정 리사이클고(80)에 수납된다. 장진·회수고(81)에 일괄하여 세트 한 지폐의 매수가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할 수 있는 매수보다 많은 경우는 장진계수 장진수납 동작을 반복한다. 또 장진계수시에 금종 이 판정이 불가능하였던 장진리젝트 지폐는 전환게이트(503)를 도시하는 503b방향으로 전환해 501f를 경유해 입출금구(20)에 수납한다. 모든 장진 지폐의 수납 동작이 끝난 후에 입출금구(20)에 수납된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입금고(60)에 수납한다. 다만 실제의 운용용으로 하나 더 빈 입금고(60) 혹은 분별수납고(61)를 준비해 리젝트 지폐가 수납된 입금고(60)와 교환한다. 여기서 장진 종료후는 장진·회수고(81)가 불필요하므로 이것을 분리하고 제 2의 분별수납고(70)와 교체한다.
회수동작:
회수동작은 리사이클고(80)가 다찼을 때 등에 관계자가 개별적으로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빼낼수 없고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로부터 소정 매수 장진·회수고(81)에 회수해 수납하는 동작이다. 회수동작은 장진동작과 역의 루트로 지폐가 이동하는 동작이다.
회수시는 장진·회수고(81)를 제 2의 분별수납고(70)와 교체하여 지폐입출금기에 장착하고 리사이클고(80)로부터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하고 다음에 일시보관고(40)로부터 장진·회수고(81)에 회수한다. 회수계수 동작 혹은 회수수납 동작으로 금종이 판정 할 수 없는 등의 리젝트 지폐는 회수수납 동작으로 전환게이트(903)를 903b방향으로 전환하고 입금고(60)에 수납한다. 그 상세 설명은 생략 한다. 회수 종료후는 장진·회수고(81)는 불필요하므로 제 2의 분별수납고(70)와 교체한다.
입금계수 동작:
이용자가 지폐를 입금하고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할 때까지의 입금계수 동작 시 입출금구(20)에 투입된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고 화살표(501a; 501b)를 통하여 지폐판별부(30)에 반송되고 여기서 지폐의 금종 진위가 판정된다. 판별을 가능한 지폐는 전환게이트(503)를 503a로 전환하고 화살표 501c에서 501d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일시보관고(40)에 일단 수납된다. 지폐판별부(30)로 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나 지폐 끼리의 간격이 잘못 된 입금 리젝트 지폐는 일시보관고(40)에는 취입되지 않고 전환게이트 503을 503b로 전환하여 반송되고 화살표 501f를 통과하고 입출금구(20)에 수납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입금 수납 동작:
일시보관고에 수납한 지폐를 입금고 ; 리사이클고 ; 제 1의 분별수납고 및 제 2의 분별수납고에 수납하는 입금 수납시에는 일시보관고(40)의 회전 드럼(401)을 수납시와는 반대로 회전하고 감겨져 있는 지폐는 수납시와는 역의 순서로 역방향으로 화살표 501d로 송출되고 501c; 501b로 반송되고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해 전환게이트(502)를 도시 502b방향으로 전환하고 501g ; 501h ; 901a를 경유해 입금고(60); 리사이클고(80)의 몇개의 전환게이트(903)를 도시 903b방향으로 전환하여 지정 수납고에 수납한다. 이 때 지폐판별부(30)에서 다시 금종 진위등을 판정 해 수납고를 지정해도 괜찮지만 입금계수시에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할 때의 전지폐의 판별 결과를 기억하는 수단을 갖고 그 기억 내용에 근거해 수납고를 지정해도 괜찮다.
여기서 입금고(60) 대신에 제 1의 분별수납고(61)를 이용하면 리사이클에 적합하지 않는 상태의 나쁜 리젝트 지폐를 수납부(700b)에 수납하고 상태가 좋은 비 환류금종을 수납부(700a)에 분별해 수납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지폐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출금 거래 동작:
출금 거래시는 리사이클고(80)의 각 금졸별 금고에서 소정의 매수씩 반복반출하고 화살표 901e ; 901d ; 901c ; 901b; 901a ; 501h ; 501g로 경유하여 지폐판별부(30)로 금종을 판별하고 전환게이트(503)로 분기시켜 입출금구(20)에 수납하고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지폐판별부(30)로 판별할 수 없는 출금리젝트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전환게이트(503)를 도시 503b로 전환하고 일시보관고(40)에 입금계수시와 동일하게 일단 수납한다. 부족 분의 지폐는 리사이클고(80)로부터 추가해 반복 반출된다.
출금리젝트 수납 동작:
출금 거래시에 리젝트가 발생하고 일시보관고(40)에 수납했을 경우에는 출금리젝트 수납 동작을 실시한다. 출금리젝트 지폐는 일시보관고(40)로부터 입금고(60)에 수납한다. 혹은 입금시의 리젝트 지폐와 출금시의 리젝트 지폐를 분별하고 싶을 때에는 출금시에 발생한 리젝트 지폐를 제 2의 분별수납고(710a)에 수납하는 것으로 입출금시의 리젝트 지폐를 나누어 관리할 수가 있다.
지폐를 수취 잊어버린 처리 동작:
출금 후에 이용자가 입출금구(20)의 지폐를 받는 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그대로 입출금구(20)에 남겨 장치 이상으로서 거래를 중지할 수도 있지만 후속의 거래를 속행하기 위해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입출금구에 일시 보류한 후 입출금구(20) 로부터 분리해 입금 거래와 동일하게 판별하여 제 2의 분별수납고(710b)에 출금리젝트 지폐와 구별해 수납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2 번째의 수취 잊어버린 회수로는 710c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입출금구에 일시 보류한 후 이 지폐를 제 2의 분별수납고에 수납하는 것으로 다른 거래를 속행가능하게 된다.
분별 수납 동작 1 ;
장진시에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서 필요한 빈 입금고(60)를 운반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하기 위해서는 제 1의 분별수납고(61)과 제 2의 분별수납고(70)을 사용해 장진시의 리젝트 지폐를 제 1의 분별수납고(61)의 700b에 입금 리젝트 지폐 및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지폐를 700a에 수납하면 좋다.
분별 수납 동작 2:
또 입금시에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금종이 2금종 있고 그들을 나누어 수납하고 싶은 경우는 제 1의 분별수납고(61)의 700a 와 700b를 리사이클에 이용하지 않는 금종의 수납고로 해 입금 리젝트 지폐와 출금리젝트 지폐를 710a에 수납; 수취 잊어버린 회수 지폐를 제 2의 분별수납고(710b ; 710c)에 수납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 기구를 이용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운용 내용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운용 내용의 설정의 플로차트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의 운용 내용의 설정은 도 1에서는 계원 조작부(106c)로 계원 입력에 의해 실시한다. 운용설정을 스타트 하면 최초로 가이던스 표시(스텝 S1)가 출력된다.
계원은 장착된 각 수납고에 대해서 키에 의한 선택 입력등에 의해 예를 들면 입금고 제 1의 분별수납고 ; 리사이클고 제 2의 분별수납고; 장진·회수고등의 종류 및 금종을 입력한다(스텝 S2).
다음에 상기 입력 결과를 근거로 미리 설정되고 제어부(35) 또는 본체 제어부(106)에 기억 되어 있는 제약 조건 예를 들면 리사이클고가 규정 위치(예를 들면 선두의 수납고 1)로 설정되어 있거나 필요한 수납고의 수가 설정되었는지 운용상 충분한 금종인지 등을 판정 한다(스텝 S3). 다음에 수납고의 유무 센서나 수납고의 종류 판별 센서나 수납고의 잔량 검지 센서의 정보를 기본으로 본설정 조건과 실제로 세트된 수납고의 유무 일치 잔량을 판정 한다(스텝 S4).
이상의 판정의 결과 운용 가능한 경우는 그 운용 조건을 결정하고(스텝 S5) ; 운용 불가능의 경우는 다시 계원 입력을 다시 한다(스텝 S2). 수납고의 종류 판별 센서는 각 수납고에 수납고의 종별 및 금종을 설정 또는 기억부를 장착하고 그것을 검출 또는 독출하도록 구성한다. 또 수납고의 종류 판별 센서에 의한 검출 또는 독출하여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계원 입력을 생략 시킬 수도 있다.
운용 조건이 결정되면 거래 표시기(107)에 예를 들면 ¥입금; ¥출금; $입금; $출금·‥등의 표시란이 있어 결정한 운용 조건에 의해 가능한 거래를 표시하도록 테이블 설정한다(스텝 S6). 또한 지폐 입출금 기구(1)의 제어부(35)에 결정한 설정 조건을 테이블 정보로서 보고하고(스텝 S7) 운용설정을 종료한다.
또한 통상 관계자에 의한 설정의 변경에 있어서 설정 조건의 종류는 여러종류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리 운용 모드 1; 2 ;3 ;4와 같이 테이블화하 고 계원은 그 테이블안에서 선택하도록 하면 조작성이 좋아진다. 일례로서 운용 모드(1 ; 2)는 일본내의 금융기관에서 일본엔과 미 달러 지폐를 취급하는 장치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하고 운용 모드(3 ; 4)는 금종 수가 많은 싱가폴 지폐를 취급하는 장치에서 선택 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상 기술한 구성에 의해 입금고 ; 제 1의 분별수납고 ; 제 2의 분별수납고 ; 리사이클고 ; 장진·회수고의 각 수납고를 이용 환경에 따라 임의로 선택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금종 수의 선택 ; 입금 기능만 ; 출금 기능만 ; 입출금 기능 등의 거래 선택 리사이클 기능이나 장진·회수 기능등의 고기능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의 설정을 운용중에 관계자에 의해 변경하는 경우에는 각 수납고간에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조작 미스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것은 각 수납고 및 이들 수납고가 장착되는 수용 장착부에 식별 검지 기구(식별부와 검지부)를 설치해 금고의 구별 ; 금종의 구별 ; 수납 매수등을 표시 기억하고 제어부(35)에서 각 수납고의 이들 정보를 검출 혹은 독출하여 관리함으로써 취급성의 향상 ; 오탈착의 방지 ; 현금 관리의 엄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식별 검지 기구의 일례로서는 각 수납고의 소정 부위에 금고의 구별 ; 금종의 구별 ; 수납 매수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및 근거리 통신용의 안테나를 매입한 IC칩(식별부)을 장착하고 한편 수용 장착부측에는 그 IC칩과의 사이에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송수신용의 IC칩(검지부)을 장착해두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 분별수납고가 분별하여 수납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독립된 수납부를 가지고 있고 이용자의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장치내의 현금과 혼재하지 않고 취급할 수 있는 공간절약의 수납부를 임의로 확보할 수 있고 수취 잊어버린 지폐의 발생시에도 거래를 속행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수납고가 호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순히 수납고를 교환하고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운용 형태를 바꿀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유로를 취급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현재의 금종만으로도 7개나 있다. 도 11은 유로의 운용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출금 거래가 많은 경우에 리사이클 지폐를 많이 장진해 두고 싶은 경우에는 도 11a와 같이 리사이클고를 4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 최대로 4금종의 대용량의 지폐를 리사이클할 수 있다. 또한 입금 리젝트 지폐나 출금리젝트 지폐를 분별하고 싶은 경우에는 입금고(60) 대신에 제 1의 분별수납고(61) 또는 제 2의 분별수납고(70)를 장착해도 좋다.
입금 거래가 많은 경우에는 도 11b와 같이 입금고의 단수를 증가시키면 좋다. 이 구성도 도 11a에서 나타난 구성 가운데 2개의 리사이클고를 입금고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이 경우도 입금 리젝트 지폐나 출금리젝트 지폐를 분별하고 싶은 경우에는 입금고(60) 대신에 제 1의 분별수납고(61) 또는 제 2의 분별수납고(70)를 장착해도 좋다.
입출금되는 지폐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로 입출금의 리젝트 지폐를 분별해 관리하고 싶은 경우나 리사이클에 적합하지 않는 손상권; 위조권 ; 위조권의 혐의가 있는 지폐를 분별해 관리하고 싶은 경우 ; 또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분별해 관리하고 싶은 경우 ; 도 11c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 제 1의 분별수납 고(61) 혹은 제 2의 분별수납고(70)를 입금고나 리사이클고와 교환하면 좋다. 도 11c의 구성예에서는 상기의 2개의 단으로 4~6개의 독립한 수납부가 확보되므로 각 수납부를 다양한 용도로 용이하게 대처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지폐입출금기가 된다.
도 13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별수납고(75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분별수납고(750)는 제 2의 분별수납고(70)의 변형예이고 가장 안쪽에 위치 하는 수직수납 방식의 수납부(750a, 제 2의 수납부)와 투입식의 단순 스택 기구로 구성되는 2지점의 독립한 수납부(750b ; 750c, 제 1의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고이다. 바닥면(759a)이나 중간 덮개(759d)를 가지는 박스형의 수납부(750a)는 수직수납 방식이고 우측상부 각부의 개구부(761)로부터 지폐를 밀어넣어 누름판(753a)과 그 구동부(754)로 지폐를 압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납부(750a)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약간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한편 제 1의 수납부 즉 수납고 중앙부에 위치 하는 수납부(750b) 및 출입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수납부(750c)는 모두 수직선보다 θ만 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759b ; 759c)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의 단면 형상을 하고 있고 하측 방향에서 지폐를 투입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수납부에 대응하는 덮개(650)가 설치되고 있다.
수납고의 가장 안쪽에 위치 하는 수납부(750a)는 수납부 아래에 반주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납부를 크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안측의 수납부(750a)는 취급 양이 많은 지폐의 수납용으로서 전방의 수납부(750b 나 750c)는 취급 양이 적은 지폐의 수납용으로서 이용된다.
스택·피드롤러(723)에 접해 설치된 출입구(722)는 3 지점의 독립한 수납부 에 대해서 공통되는 출입구이다. 출입구(722)로부터 반입된 지폐는 제 1의 전환게이트가 751b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수납부(750c)에 반송되고 751a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제 2의 전환게이트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 2의 전환게이트가 752b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지폐는 수납부(750b)에 반송되고 또한 게이트가 752a의 방향으로 전환될때에 지폐는 벨트(730)를 개재하여 반송되고 입구부의 스택롤러(731; 732)나 백업 롤러(733)에 의해 수납부(750a)내에 투입된다. 수납부(750a)는 구동 가능한 누름판(753a)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시 구동 가능한 누름판(753a)을 일단 지폐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지폐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안쪽에 밀어넣는다. 즉 지폐(758a)의 뒤에 있는 누름판(753a)을 구동부(754)에 의해 화살표 755a의 방향으로 구동하여 누름판(753b)의 위치까지 움직여 안쪽 덮개(759d)를 향해 지폐(758b)를 압축한다. 그리고 압축된 지폐와 함께 누름판(753a)을 원래의 위치(753a)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의 간격을 조밀하게 함으로써 수납부(750a)내의 지폐의 수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수납부(710b ; 710c)의 바닥면(759b ; 759c)은 반입측에서 볼때 약간 위로 향해 기울고 있다. 즉 수직선에 대해서 θ=10도~30도 정도 후방에 기울여 설치되고 있다. 제 1의 수납부를 비스듬하게 하는 것으로 지폐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분별수납고에 3~5개의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분별수납고를 취급 양이 많은 지폐 ; 수납하기 위한 1개의 수직수납 방식 혹은 수평 수납 방식의 수납부(제 2의 수납부)와 취급하는 양이 적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구조의 간단한 복수의 수납부(제 1의 수납부)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3~5개의 수납부로 구성할 수가 있다. 혹은 또 모든 수납부를 취급하는 양이 적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구조의 간단한 제 1의 수납부로 이루어지는3~5개의 수납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것처럼 사용 용도가 다른 입금고(60) ; 제 1의 분별수납고 (61); 제 2의 분별수납고(70) ; 리사이클고(80) 및 장진·회수고(81)의 각 수납고의 외형 출입구 구동부에 호환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운용 용도에 따라 하드를 재제작(재구매)하는 경우 없고 목적에 따라 수납고를 임의로 선택 조합하는 것만으로 여러가지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해 수납고의 배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지폐입출금기(1)의 하부지폐기구(1b)를 나타내는 도이고 상부지폐기구(1a)의 도시는 생략되고 있다. 이 예에 의하면 3개의 리사이클고(80) 위에 분별수납고(780)를 설치하는 것으로 지폐의 잼의 발생율을 줄일 수가 있다. 즉 상부지폐기구(1a)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지폐에는 구겨진 자국이 있는 지폐 ; 접혀진 지폐 등 리젝트 지폐와 같은 나쁜 상태의 지폐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지폐를 반송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그 반송중에 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 예에 의하면 상부지폐기구(1a)에 가장 가까운 위치 즉 분별수납고 (780)를 수용 장착부의 맨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지폐의 반송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잼 발생율을 감소 할 수가 있다. 또한 각 리사이클고(80) 및 분별수납고(780)의 외형 치수등은 같은 구성이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입금 처리 출금 처리등을 실시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수납 배치예에 있어서의 분별수납고(780)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한 반송로(901)등(예를 들면 도 13에 있어서의)의 도시는 생략 하고 있지만 지폐는 도의 우측 아래로 반송된다. 분별수납고(780)는 상술한 예에 있어서의 분별수납고와 동일하게 3개의 수납부를 가지고 있지만 수직선에 대해서 3개의 수납부 모두 같은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 따라서 도 12, 13의 예와 비교해 수납 공간을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3개의 수납부로의 지폐의 할당에 대해서 표준적으로는 분별수납고(780)의 지폐의 입구(794)에 제일 가까운 수납부 (780a)를 출금리젝트 지폐용으로서 사용하고 중앙의 수납부(780b)를 위조권의 혐의가 있는 지폐용으로서 사용하고 가장 안쪽의 수납부(780c)를 입금 리젝트 및 비환류금종용으로서 사용한다. 또 중앙의 수납부(780b)에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수납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중앙의 수납부(780b)에는 위조권의 혐의가 있는 지폐와 수취 잊어버린 지폐를 수납 가능한 이유는 양지폐 모두 금융기관의 지폐로서 유통시킬수 있는지 아닌지 아직 확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있다.
이 분별수납고(780)를 가지고 있는 지폐입출금기는 유로 지폐도 취급할 수가 있다. 상술한 것처럼 유로 지폐는 금종 수가 많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예 에 있어서의 3개의 환류고(80)에서는 모든 금종의 유로 지폐를 모두 수납 할 수 있지 않고 환류고(80)에 들어가지 않는 비환류의 입금용 지폐가 많아진다. 그 때문에 이 입금용의 수납부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서 도 15에 나타내는 수납고(780)의 가장 안쪽의 수납부(780c)를 다른 수납부(780a ; 780b) 보다 넓은 지폐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이 수납부(780c)에 비환류금종 및 입금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각 수납부(780a ; 780b ; 780c) 아래에는 센서(787a; 787b; 787c)를 배치하고 이들 센서의 명암에 의해 지폐의 통과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들 지폐는 스택 성능을 안정시키는 스택가이드(785a ; 785b ; 785c)를 따라 각 수납부에 스택된다. 또 각 스택가이드(785a ; 785b ; 785c)는 각각(785d; 785e; 785f)의 위치(도의 점선)까지 이동할 수 있다. 가장 내측의 수납부(780c)에는 누름판(781a)이 붙어 있고 이것은 스택된 지폐의 틈새를 압축하기 위해서 스택가이드(785c)에 가까워지도록이동한다. 스택가이드(785c)가 점선(785f)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센서(786)에 의해 밀린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스택가이드(785a ; 785b)도 각각 점선(785d; 785e)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지폐의 수납 공간을 조금이라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지폐를 꺼내기 쉽게 할 수가 있다. 지폐의 스택은 각 수납부의 입구에 있는 스택롤러에 의해 반송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의 단면을 기준으로 바닥판을 따라 정연하게 갖추어진다.
각 수납부(780a ; 780b ; 780c)의 지폐의 유무는 센서(784a ; 784b ; 784c)의 명암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각 수납부의 지폐 수납 스페이스를 넓게 활용하면각 수납부 아래는 좁은 공간이 된다. 특히 수납부(780a ; 780b)의 하부에는 지폐의 반송로도 실장되고 있다. 거기서 수납부(780a ;780b)의 지폐의 겉 또는 이면을 지지하는 측의 판 근방에 거울(793a ;793b)을 배치하고 수납부(780c)에서는 지폐의 단면을 지지하는 바닥판 근방에 거울(793c)을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스택가이 드 근방에 배치된 1쌍의 센서 센서(784a ; 784b ; 784c)로 2점을 감시할 수 있다.
지폐는 입구(794)를 지나 분별수납고에 들어간다. 지폐의 매수는 입구 센서 (789)로 카운트된다. 788a ; 788b는 수납부(780a ; 780b ; 780c)로의 행선지를 바꾸기 위한 솔레노이드이고 솔레노이드(788a ; 788b)를 OFF/ON으로 바꾸는 것으로 지폐를 목적의 수납부에 배분할 수가 있다. 솔레노이드(788a ;788b)가 양쪽 모두 OFF의 경우 지폐는 가장 안쪽의 수납부(780c)로 반송되고 솔레노이드 788a만이 ON의 경우 지폐는 수납부 780a로 반송되고 ; 솔레노이드 788b 만이 ON의 경우는 780b로 반송된다. 782a는 반송로를 움직이는 모터로 반송로 감시 센서(790)에 의해 반송로가 올바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분별수납고(780)의 수납부(780c)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이다. 수납부(780c)는 수납부(780a ; 780b)와 비교해 넓은 수납 공간을 가지고 있다. 그 넓은 공간에 지폐를 정연하게 수납하도록 다른 수납부에는 이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납부는 전면판(스택가이드); 후면판 ; 1쌍의 측면판 ; 바닥판의 각 인쇄판에 의해 둘러싸이고 거기에 지폐가 수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수납부와 같지만 특히 수납부(780c)에서는 후면판에 상당하는 이동 가능한 압판(781a)을 가지고 있다. 수납부(780c)에 지폐를 수납하는 경우 입금 준비로서 미리 압판(781a)을 구동 모터(782b)에 의해 움직여 지폐를 20매 정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둔다. 즉 압판(781a)과 스택가이드(783)의 간격(범위)에 20매 정도의 지폐가 도의 세로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다. 너무 좁게 하면 지폐의 스택은 불가능하게 되고 반대 로 너무 넓게 하면 먼저 수납된 지폐가 도산해 다음에 수납되어 오는 지폐의 스택에 영향을 미친다. 거기서 지폐 20매 정도의 수납 공간을 유지하는 것으로 지폐의 스택을 안정시켜 잼의 발생율을 저감 시키도록 고려하고 있다.
수납부(780c)에는 비환류의 지폐등이 스택롤러에 의해 차례차례로 수납된다. 따라서 지폐가 일정 매수 수납되면 압판(781a)을 구동 모터(782b)에 의해 뒤(부호 781b방향)로 내리고 수납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후속의 지폐를 연속해 수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압판을 너무 내리면 지폐 도산을 일으켜 잼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20매 정도의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압판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폐판별부(30)에 의해 지폐를 계수 할 때 수납부(780c)에 수납되는 지폐의 매수는 사전에 알수 있다. 거기서 그 매수에 따라 압판(781a)를 미리 내려 두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 하다.
그러나 수납되는 지폐의 매수가 50매~100매 등으로 많아지면 거기에 응해 그 만큼 스택가이드와 압판간의 수납 스페이스를 너무 넓게 취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지폐가 압판에도 걸쳐지지 않고 넘어져버려 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예를들어 지폐의 수납 매수가 50~100매등으로 많아져도 상술한 것처럼 20매 정도씩 압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780c)에 수납하는 지폐의 매수를 늘리기 위해서 지폐의 스택이 종료하면 일단 누름판(781a)을 구동 모터(782b)에 의해 전방(스택가이드 783측)으로 작동시키고 수납이 끝난 지폐를 압축하여 지폐의 틈새를 채운 후 누름판(781a)을 후방에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납부(780c)의 마지막부에는 지 폐가 가득찬 것을 검지하는 센서(792)가 설치되어 있고 누름판(781a)이 781b의 위치까지 오면 지폐가 가득찬 것을 검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운용에 따라 수납고를 플렉시블하게 구성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용자의 다양한 필요함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지폐입출금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가 장착 가능한 지폐입출금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입출금기는 입금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와, 출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출금고와,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와, 지폐를 분별하여 수납하는 분별수납고의 안에 복수의 수납고를 장착해서 구성되고,
    상기 분별수납고는 상기 입금고와 상기 출금고와, 상기 리사이클고가 갖는 구멍 중 적어도 하나와 동형상의 구멍을 상기 입금고와, 상기 출금고와, 상기 리사이클고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위치에 갖고, 상기 동형상의 구멍으로부터 들어온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갖고, 상기 입금고, 상기 출금고, 상기 리사이클고 중 적어도 하나와 공통의 장착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2.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를 장착하는 지폐입출금기에 있어서,
    공통의 장착기구를 구비하고, 지폐의 취급목적이 다른 복수의 수납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공통의 제1 반송로에 대해서 상기 장착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복수의 수납고를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복수의 수납장착부를 갖는 하부지폐기구와;
    상기 하부지폐기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지폐입출금구와, 상기 입출금구에 대해서 지폐를 반송하고 상기 하부지폐기구의 상기 제1 반송로와 연결된 제2 반송로와, 상기 제2 반송로에 배치된 지폐판별부를 포함하는 상부지폐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수납고는 입출금 겸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상기 리사이클고 와, 지폐를 분별해서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분별수납고를 포함하고, 상기 분별수납고는 상기 리사이클고의 상측에 배치되어, 리사이클고에 적합하지 않은 이상지폐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입출금기.
KR1020060104459A 2004-06-01 2006-10-26 지폐입출금기 KR100746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2944 2004-06-01
JP2004162944 2004-06-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1587A Division KR100693116B1 (ko) 2004-06-01 2005-05-18 지폐입출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83A true KR20060116783A (ko) 2006-11-15
KR100746202B1 KR100746202B1 (ko) 2007-08-06

Family

ID=354240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1587A KR100693116B1 (ko) 2004-06-01 2005-05-18 지폐입출금기
KR1020060104459A KR100746202B1 (ko) 2004-06-01 2006-10-26 지폐입출금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1587A KR100693116B1 (ko) 2004-06-01 2005-05-18 지폐입출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0693116B1 (ko)
CN (2) CN100520837C (ko)
TW (1) TWI290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251B2 (ja) * 2006-02-27 2012-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4368888B2 (ja) * 2006-12-15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WO2008096429A1 (ja) * 2007-02-08 2008-08-14 Glory Ltd. 分類パターン作成装置、分類パターン作成方法、及び分類パターン作成システム
CN101320498B (zh) * 2007-06-04 2013-06-12 北京银融科技有限责任公司 一信用存款的方法及装置
WO2008149433A1 (ja) * 2007-06-06 2008-12-11 Glory Ltd.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処理機
JP4654268B2 (ja) * 2008-05-28 2011-03-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5430082B2 (ja) * 2008-06-09 2014-02-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5267072B2 (ja) * 2008-11-25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集積機構
JP5230502B2 (ja) * 2009-03-27 2013-07-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引装置、紙幣取引方法及び紙幣取引プログラム
DE102009017220A1 (de) * 2009-04-09 2010-10-1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Wertscheinkassette
CN102044110B (zh) * 2009-10-13 2013-09-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传输和存储装置
KR101080147B1 (ko) * 2009-12-17 2011-11-07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WO2012066730A1 (ja) * 2010-11-19 2012-05-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9346639B2 (en) * 2011-12-02 2016-05-24 Lg Cns Co., Ltd.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9027918B2 (en) 2012-05-28 2015-05-1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edium processor having medium storing boxes flexibly loadable in a slot of a medium storage
JP6248405B2 (ja) * 2012-05-28 2017-12-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CN103456079B (zh) * 2012-05-28 2016-08-31 冲电气工业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及介质收纳盒
JP2014021741A (ja) * 2012-07-19 2014-02-0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取引装置
CN103310535B (zh) * 2013-05-31 2017-04-1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存取款机暂存部纸币传送系统
CN103927826A (zh) * 2014-04-21 2014-07-16 李伟伟 一种基于p2p模式的互助存取款设备及自助存取款方法
TWI618034B (zh) * 2016-10-21 2018-03-11 International Currency Tech Corporation Banknote receiver with dual channel automatic banknote determination
CN106773999B (zh) * 2017-01-16 2019-01-25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存取款机循环系统的分布式控制系统及控制方法
TWI638327B (zh) * 2017-01-18 2018-10-11 新誼整合科技股份有限公司 提款機異常管理方法與系統
CN107393133B (zh) * 2017-08-03 2023-09-12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金融服务终端的存取款纸币处理装置
CN107424296A (zh) * 2017-08-22 2017-12-01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CN112802278B (zh) * 2020-12-31 2022-07-05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的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706765B (zh) * 2021-10-27 2022-03-0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转弯通道结构动力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457A (ja) * 1992-06-09 1993-12-24 Kofu Nippon Denki Kk 紙幣処理装置
JP3557030B2 (ja) * 1996-02-26 2004-08-25 株式会社東芝 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US6241244B1 (en) * 1997-11-28 2001-06-05 Diebold, Incorporated Document sensor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EP1028399A1 (en) * 1999-01-15 2000-08-16 NCR International, Inc. Replenishment arrangement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s
JP3902402B2 (ja) * 2000-12-25 2007-04-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US6814265B2 (en) * 2003-03-06 2004-11-09 Alcon, Inc. Device for dispensing fluid medi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7532A (zh) 2005-12-14
KR100693116B1 (ko) 2007-03-12
KR100746202B1 (ko) 2007-08-06
CN100520837C (zh) 2009-07-29
CN101452590B (zh) 2012-10-03
TW200540735A (en) 2005-12-16
KR20060046084A (ko) 2006-05-17
CN101452590A (zh) 2009-06-10
TWI290307B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202B1 (ko) 지폐입출금기
JP4704777B2 (ja) 紙幣入出金機
KR100323490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수납고
KR100380648B1 (ko) 지폐입출금기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KR100636046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WO2016038963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010106267A (ko) 지폐수납방출고
JP200431065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3791189B2 (ja) 紙幣入出金機
US20090260948A1 (en) Money handling machine
JP3518280B2 (ja) 紙幣入出金機
JP4051388B2 (ja) 紙幣入出金機
JP4932298B2 (ja) 紙幣入出金機
JP4845905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2236961A (ja) 紙幣入出金機
JPH11175801A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9199619A (ja) 自動取引装置
JP2006085736A (ja) 自動取引装置
KR101932192B1 (ko)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2006190333A (ja) 紙幣入出金機
JP3120397B2 (ja) 自動取引装置
JPH0387989A (ja) 現金入出金装置
JPS62211794A (ja) 紙葉類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