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577A -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577A
KR20060110577A KR1020050032929A KR20050032929A KR20060110577A KR 20060110577 A KR20060110577 A KR 20060110577A KR 1020050032929 A KR1020050032929 A KR 1020050032929A KR 20050032929 A KR20050032929 A KR 20050032929A KR 20060110577 A KR20060110577 A KR 2006011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mposition
skin
kit
chry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818B1 (ko
Inventor
진무현
김호정
강상진
김병준
조완구
공재양
조희영
송경섭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3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81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c-Kit 활성 저해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이다. 크리신은 멜라닌 생성 및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 등에 관여하는 c-Kit의 활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피부미백제로서 유용하며,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의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1
크리신, c-Kit, 피부미백

Description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c-Kit activation inhibitor, skin whitening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및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 등에 관여하는 c-Kit 활성 저해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의 피부미백에 유용한 피부미백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Kit는 receptor tyrosine kinase (RTK)의 class III에 속하는 수용체로서, 멜라닌 세포의 생존, 증식 및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V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멜라닌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c-Ki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K14 (keratin promoter)-steel factor의 형질전환 쥐의 경우, 모낭의 멜라닌 세포를 생성, 분화시키는 'niche'에서 증가된 SCF는 멜라닌 세포를 증식, 분화시켜 niche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태아일 때 c-Kit의 항체인 ACK2를 처리한 쥐는 하얀 털과 하얀 피부를 나타내었다(Nature 416, 854-860, 2002).
원래 c-Kit는 미백제의 표적으로 보다는 항암제 개발의 표적으로 더 많이 연구되어져 왔다. Imatinib (Gleevec, STI-571, Novatis, East Hanover, NJ, USA)는 Bcr-Abl kinase를 표적으로 하는 백혈병 등의 항암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imatinib를 처방받은 6명의 환자들에게서 피부의 색소 감소현상이 나타났고, 이는 imatinib가 Bcr-Abl 외에도 c-Kit의 활성을 억제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따라서, SCF/c-Kit가 사람의 멜라닌 세포의 성장, 유지에 필수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Cancer 98, 2483-7, 2003).
c-Kit는 활성화되면 MAP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다시 helix-loop-helix, leucine zipper 단백질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를 인산화시켜 활성인 상태로 만든다. 활성화된 Mitf는 tyrosinase, Tyrp-2 등의 멜라닌생성 효소의 전사를 활성화시켜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게 한다. 자외선을 받으면 keratinocyte에서 분비되는 SCF가 c-Kit가 존재하고 있는 전구체 멜라닌 세포를 성숙한 멜라닌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며, 더불어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전사를 촉진함으로서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촉진하게 한다.
이와 같이, c-Kit는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도록 하는 신호전달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c-Kit에 대한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면, 항암 효과 외에도,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을 저해할 수 있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인데, 멜라닌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 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고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같은 티로시나제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와 같은 피부 적용 조성물에 배합하여, 기미, 주근깨의 개선 등 피부미백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사용량이 극히 제한된다. 또한,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와 같은 조성물은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며 경피흡수에도 문제가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멜라닌 합성이나 항암작용 등에 관여하는 c-Kit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c-Kit 활성 저해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색소 침착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으로 된 c-Kit 활성 저해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2
크리신은 촉규자(Althaea rosea , 접시꽃 씨)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으로 된 피부미백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크리신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크리신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연고 등의 다양한 제형에 첨가되어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크리신(5,7-dihydroxy-2-phenyl-4H-1-benzopyran-4-one, C15H10O4)으로 된 c-Kit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c-Kit 저해제인 크리신(Chrysin)은 촉규자(Althaea rosea , 접시꽃 씨) 및 Oroxylum indicum 식물에 포함된 성분으로 보고되어 있는 물질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크리신의 유도체는 혈당강하효과(KP-1999-0027846), 육모효과(KP-1996-0027845) 등이 알려져 있으나, c-Kit 저해 효과에 대한 보고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생성 및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 등에 관여하는 c-Kit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스크리닝(screening)하기 위하여 천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크리신이 매우 강력한 c-Kit의 활성 저해능을 나타냄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크리신은 c-Kit에 대한 활성을 저해하므로, 항암 효과 외에도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 및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합성도 저해하는 다기능 피부미백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크리신과 같은 c-Kit 활성 저해제는 멜라닌 합성의 신호전달 초기에 작용함으로서 소량으로도 효과적인 피부미백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크리신을 촉규자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으며, 추출 대상이나 추출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약재로 시판되는 촉규자(Althaea rosea , 접시꽃 씨)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20부피의 메탄올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로 1-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이 결과물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이상씩 더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제조된 촉규자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메탄올 추출물을 10배의 물에 현탁시킨후 에칠아세테이트로 용매 분획 후 건조하여 촉규자 비극성 분획을 얻는다. 얻어진 비극성 분획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용리액으로서 에칠아세테이트, 메탄올 혼합용매로 수행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고, 얻은 유효성분은 분취용 HPLC사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수행하여 순수하게 정제한다. 정제된 유효성분은 핵자기공명스펙트럼(NMR) 및 질량분석(Mas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크리신은 조추출물의 형태로 또는 정제한 순수 화합물의 형태로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등의 화장료나 연고와 같은 다양한 조성물에 유효량 첨가되어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피부미백 효과와 경제성을 고려할 때, 크리신의 첨가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생약재로 시판되는 건조된 촉규자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10kg에 대하여 100L 메탄올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70℃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하므로서 건조 추출물 1.1kg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촉규자 메탄올 추출물 1kg을 10L의 물에 현탁시킨 후, 에칠아세테이트 10L씩을 가해 3회 용매분획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을 얻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건조물 60g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촉규자 에칠아세테이트 가용분획 5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용리액으로서 에칠아세테이트, 메탄올 혼합용매로 수행하여 유효분획을 얻고, 이 분획을 분취용 HPLC를 수행하여 유효성분 60mg을 얻었다. 분리한 유효성분은 핵자기공명스펙트럼(NMR) 및 질량분석(Mass)을 통하여 아래 구조의 크리신으로 확인하였다.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3
분자식) C15H10O4
분자량) 254.2446
융점) 290 ~ 292℃
UV(λmax, nm)(MeOH) 250, 269, 314
1H-NMR(300MHz, acetone-d6) σ 6.49(d,1H,J=2.1Hz), 6.58(s,1H), 6.65(d,1H,J=2.1Hz), 7.58(m,3H), 8.02(m,2H), 9.63(brs.2H)
상기 실시예 1-3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를 실시예 1(메탄올 추출물) 및 실시예 2(에칠아세테이트 가용분획)의 농도는 100ug/ml, 실시예 3(Chrysin)은 최종농 도가 14.8uM가 되도록 하여 c-Kit RTK을 ATP와 384-well plate의 각 웰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차 반응시킨 후, 기질로서 비오티닐화된 폴리[글루타민:티로신](4:1){(biotinylated-poly[Glu:Tyr] (4:1))을 첨가하여 2차 효소 반응을 진행시켰다.
기질들과 결합하도록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이 피복된 증여체 비드(donor bead)와 항체(P-Tyr-100)가 결합된 수용체 비드(acceptor bead)가 포함된 캡쳐 완충액(capture buffer)을 첨가하여 3차 반응시켰다. 기질의 인산화 정도는 퓨전 마이크로플레이트(FusionTM microplate)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알파스크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또한 기존에 c-Kit의 저해제로 알려진 Tyrphostin A51 를 이용하여 저해효과를 비교하였다.
알파스크린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3회 실시하였으며 c-Kit에 대한 저해율을 구하기 위해서 양성 대조군에는 시료대신 DMSO를 가하였고, 음성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DMSO를 가하고 효소대신 완충액을 가하였다.
감지된 signal로부터 c-Kit에 대한 활성 저해율(%inhibition)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고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저해율(%) = (시료의 평균값 음성대조군의 평균값)/(양성대조군의 평균값 음성대조군의 평균값) X 100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4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크리신을 함유하는 조추출물인 실시예 1-2의 시료는 상당한 c-Kit에 대한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정제한 크리신인 실시예 3의 시료는 c-Kit의 활성 저해제로 알려진 Tyrphostin A51과 비교할 때 동등 수준의 c-Kit 활성의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크리신을 화장료에 첨가시 미백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5
전술한 조성으로 제조한 크림에 대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강한 남여 20명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15mm크기의 구멍이 2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cm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cm2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 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하기 3일전부터 조사 후 3주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제조예와 비교예의 색소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효과있음, 차이없음의 2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6
위의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크리신 함유 크림은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11명에 대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크리신은 효과적인 c-Kit 활성 저해제이다. 특히, 크리신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멜라닌 생성 및 멜라닌 세포의 분화와 성숙을 저해하므 로, 크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의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으로 된 c-Kit 활성 저해제.
    <화학식 1>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7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으로 된 피부미백제.
    <화학식 1>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8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신은 촉규자(Althaea rosea , 접시꽃 씨)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제.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리신(Chrys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20623563-PAT00009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신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및 연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050032929A 2005-04-20 2005-04-20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2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29A KR101126818B1 (ko) 2005-04-20 2005-04-20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29A KR101126818B1 (ko) 2005-04-20 2005-04-20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577A true KR20060110577A (ko) 2006-10-25
KR101126818B1 KR101126818B1 (ko) 2012-03-23

Family

ID=376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29A KR101126818B1 (ko) 2005-04-20 2005-04-20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0B1 (ko) * 2006-12-18 2009-04-17 (주)아모레퍼시픽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KR100901661B1 (ko) * 2007-07-13 2009-06-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63597B1 (ko) * 2018-07-19 2019-04-0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37359A (en) * 2002-06-25 2006-10-27 Cosmeceutic Solutions Pty Ltd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20B1 (ko) * 2006-12-18 2009-04-17 (주)아모레퍼시픽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KR100901661B1 (ko) * 2007-07-13 2009-06-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63597B1 (ko) * 2018-07-19 2019-04-0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818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3346B2 (ja) c−Kit活性阻害剤、及び、肌美白剤
JP4233734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4654060B2 (ja) ネオヘスペリジンの抗酸化作用に基づく美白剤または色素沈着症改善剤
KR101126818B1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JPH01311011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JP2007063191A (ja) 新規美白剤
KR100798252B1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10097576A (ko) 벤즈알데하이드 티오세미카바존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
KR20060110578A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57130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베라진 및 에피-베라진을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843688B1 (ko) 타이로시나아제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갖는 칼콘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TWI465272B (zh) 用於美白皮膚的組合物、植物萃取美白組合物與具有美白功能之組合物
KR101107311B1 (ko) 퓨라노디에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4319417B2 (ja) メラニン産生不全症治療剤
KR100867202B1 (ko) 결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모딘을 포함하는미백용 피부 외용 조성물
KR100456974B1 (ko) 신규한 크로만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14379B1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90063600A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4223723B2 (ja) メラニン産生不全症予防治療剤
KR100817662B1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023696B1 (ko) 신규 사이클릭 티오 유레아 유도체, 그의 제법 및 이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
KR101048477B1 (ko) 인돌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00016815A (ko) 돌나물 추출물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P1890672B1 (de) Verwendung von chromonderiva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