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20B1 -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 Google Patents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20B1
KR100893720B1 KR1020060129483A KR20060129483A KR100893720B1 KR 100893720 B1 KR100893720 B1 KR 100893720B1 KR 1020060129483 A KR1020060129483 A KR 1020060129483A KR 20060129483 A KR20060129483 A KR 20060129483A KR 100893720 B1 KR100893720 B1 KR 10089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extract
kit receptor
melanocytes
sc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501A (ko
Inventor
이정오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2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kit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C-kit 수용체를 저해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가 증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C-kit 수용체와 관련된 각종 질병의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는 C-kit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단삼 추출물, C-kit 수용체, 길항제, 멜라닌, 미백, 화장품, 항암제

Description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C-kit receptor antagonist containing the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도 1은 기니아 피그에서 C-kit 항체(ACK2)를 이용하여 C-kit를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자외선 조사 후 기니아 피그의 C-kit 항체(ACK2)를 피하로 투여하여 밝아진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C-kit 수용체와 그 리간드인 줄기 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SCF)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C-kit 수용체 길항제 스크리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단삼추출물의 C-kit 수용체 길항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C-kit와 SCF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단삼 추출물의 멜라노사이트 증식 저해 효과를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단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C-kit 수용체 길항제(C-kit receptor antagonis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C-kit 수용체를 저해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가 증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C-kit 수용체와 관련된 각종 질병의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는 C-kit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소기관에서 만들어져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은 타이로신을 기질로 하여 타이로신을 산화시키는 타이로시나제에 의해 산화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반응에는 TRP1과 TRP2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멜라닌이 합성되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바로 타이로시나제에 의해 타이로신에 하이드록시기가 붙는 단계이다. 따라서, 타이로신의 활성을 저해하면 멜라닌의 생성속도를 줄여서 피부를 밝게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은 말처럼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 멜라노사이트의 증식 및 분화, 타이로시나제의 정확한 3차구조 형성 및 당과의 결합, 타이로시나제의 ER에서 골지(Golgi)로의 이동, 멜라노좀의 멜라노사이트 내에서의 이동 및 케라티노사이트로의 전달, 합성되는 멜라닌의 종류, 피부의 산화-환원상태 및 미백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과 호르몬의 생성 조절 등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위와 같이 피부색이 결정되는 것은 실로 다양한 요인의 복합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C-kit는 멜라노사이트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 중 하나로서 멜라노사 이트의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고 있다. C-kit 수용체의 리간드는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이하 'SCF'라 한다)이며 리간드가 수용체에 작용하면 멜라노사이트가 증식하게 된다. 멜라노사이트의 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멜라닌을 생성하는 장소가 많아짐으로써 피부를 검게 만드는 멜라닌이 많이 만들어진다. 즉, 멜라노사이트가 많아지면 위에 언급한 멜라닌 생합성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자외선과 같은 자극에 의해서 보다 쉽게 피부가 검게 된다. C-kit는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고 C-kit가 줄기 세포 인자에 의해 활성화되면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가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MITF가 인산화되고 MITF의 전사능력이 좋아져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C-kit를 저해하는 것은 멜라노사이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생성속도 또한 줄일 수 있어서 미백의 좋은 타겟이 된다.
또한 C-kit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폐의 선암종(adenocarcinomas of the lung) 및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에서 발현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C-kit를 저해하는 약물인 Gleevec은 백혈병 치료에 특효가 있음이 이미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C-kit 저해 및 이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를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C-kit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를 개발하는 방향으로만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아직까지 C-kit 수용체 길항제와 관련하여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백혈병과 같은 암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C-kit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천연물인 단삼 추출물이 C-kit 수용체를 저해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인 단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C-kit가 관여하는 인체의 기작을 조절하는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암 또는 종양 치료제 조성물 등을 포함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C-kit 수용체 길항제를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하는 경우, 단삼 추출물이 1ppm의 매우 작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제형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그 첨가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0001~50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C-kit 수용체 길항제를 항암용 또는 종양 치료용 조성물로 제형화하는 경우, 단삼 추출물이 1 ppm의 매우 작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제형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단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0001~100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삼 추출물은 C-kit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는 모든 질병,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폐의 선암종(adenocarcinomas of the lung),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신경내분비 종양(neuroendocrine tumors, 갑상선암(Anaplastic Thyroid Carcinoma),췌장암(pancreatic cancer) 및 유방암(breast cancer) 등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한 단삼 추출물을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C-kit 수용체 길항제는 C-kit에 SCF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뛰어난 미백효과를 갖는다. 또한 C-kit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암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에 C-kit의 수용체 저해 추출물은 항암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kit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Gleevec은 C-kit의 세포안 신호전달 매체인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를 저해하는 반면, 본 발명은 세포막 외부에 존재하는 C-kit 수용체에 리간드인 줄기 세포 인자가 결합하는 것을 막아서 C-kit의 활성화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세포 투과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세포를 투과해야 하는 Gleevec 보다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단삼 추출물은 C-kit와 그 리간드인 SCF의 결합을 막는 작용을 하는 C-kit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C-kit 수용체에 그 리간드인 SCF가 대신 결합하여 C-kit 수용체와 리간드의 결합으로 인한 C-kit 의 시그널링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서는 단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kit에 붙어 있는 SCF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뒤에 나오는 세포 증식 억제 실험과 멜라닌 합성 저해 실험에서 C-kit 의 활성화를 통한 멜라노사이트의 증식과 멜라닌합성증가 현상이 모두 억제되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단삼 추출물이 C-kit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기니아 피그를 이용한 C-kit 저해를 통한 미백효과 검증
500g의 기니아 피그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로 마취하였다. 피부에 1㎠ 의 원형 창문이 뚫린 플라스틱판을 올리고 Waldman UV 800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다음날에도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태닝(tanning)한 다음날 주사기로 C-kit에 대한 항체인 시료를 피하에 50ul 주입하고 그 다음날에도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주사하였다. 그 리고 일주일 뒤에 기니아 피그의 자외선 조사부위의 태닝(tanning)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L값을 측정하여 밝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를 통하여 기니아 피그에 C-kit의 항체인 ACK2를 피하에 투여했을 때 C-kit의 기능이 차단되면서 피부가 검어지는 것이 억제되었고 심지어는 제모 후 자라나는 털의 색깔조차도 ACK2를 투여한 부위에서만 하얗게 탈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낭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의 생성이 억제되어 모발에 멜라닌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 2의 결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면 SCF의 발현도 증가하고 C-kit 신호체계가 활성화되어 멜라노사이트의 숫자가 증가하고 멜라닌의 합성도 증가하므로 ACK를 투여하여 그 신호를 억제했을 때 기니아 피그의 피부가 대조군에 비해 3배 이상 밝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C-kit 수용체 길항제 스크리닝 시스템 배치
C-kit 수용체 길항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C-kit의 수용체와 그 기질인 줄기 세포 인자를 준비하였다. C-kit 수용체 도메인은 일정량 96공 평판기에 고정화한 후 2% BSA를 사용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막은 후 기질인 SCF를 일정량 첨가하였다. 결합하지 않은 SCF를 제거한 다음 결합되어 있는 SCF를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검출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퍼옥시다아제(peroxidase)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도 3은 C-kit 수용체와 그 리간드인 줄기 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SCF)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것이다. C-kit 수용체 20ng을 사용하고 SCF 4ng을 사용해도 충분히 그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C-kit 수용체 또는 SCF를 넣지 않았을 때 신호가 나오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상호작용이 선택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마련한 시스템은 신호 대비 비신호의 크기가 우수하여 상호작용 저해물질을 스크리닝하는데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C-kit 길항제 스크리닝위에서 셋업한 스크리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C-kit 수용체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물질을 선별하였다. 천연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한 300여종의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천연추출물은 위에서 셋업한 스크리닝 시스템에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여 C-kit 수용체와 결합하는 SCF의 양을 감소시키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C-kit 수용체에 대한 저해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저해도 = (SCF처리군 450nm-시료처리군 450nm)/(SCF 처리군 450nm-scf 비처리군 450nm) x 100
도 4는 도 3에서 개발한 C-kit 수용체 길항제 스크리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천연물 300여종을 스크리닝한 결과로서 단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SCF가 C-kit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시험예 3] 선별된 천연물의 멜라노사이트의 증식 저해효과
SCF의 리간드 작용을 저해하는 선별된 천연물이 C-kit의 길항작용을 실제 세포에서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SCF와 함께 또는 SCF만 멜라노사이트의 일종인 HM3KO 세포에 처리하여 SCF가 C-kit에 작용했을 때 나타나는 세포증식 현상이 얼마나 억제되고 있는지 시험하였다.96공 평판기에 0.5x104의 HM3KO를 10% FBS, MEM 배지에 섞어 넣은 후 37℃, 10% 이산화탄소 배양기에 넣고 세포를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고 다음날 SCF와 천연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하고 3일 후 멜라노사이트의 수를 MT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시 말해 배지 100ul에 10ul의 0.5%를 1시간 처리한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DMSO를 넣어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하여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운 배지와 시료를 다시 처리하여 계속 배양하고 처음 시료 처리 후 6일 째 같은 방법으로 멜라노사이트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에 의한 단삼 추출물은 C-kit와 SCF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삼 추출물 3ppm을 사용하였을 때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을 70% 정도 억제하는 뛰어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선별된 천연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SCF의 리간드 작용을 저해하는 선별된 천연물이 C-kit의 길항작용을 실제 세포에서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CF와 함께 또는 SCF만 멜라노사이트의 일종인 HM3KO 세포에 처리하여 SCF가 C-kit에 작용했을 때 나타나는 멜라닌합성 과정이 얼마나 억제되고 있는지 시험하였다. 사람 멜라노마 세포주 HM3KO 5x104의 개수로 10% FBS, MEM 배지에 고루 분산하여 6공 평판기에 넣고 37℃ 10% 이산화탄소 배양기내에서 배양하였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에 단삼 추출물 1ppm을 넣고 계속 배양하였다. 단삼 추출물 처리 후 2일 뒤에 단삼 추출물을 다시 한번 처리하고 그로부터 2일 뒤에 세포를 추출용액으로 깨어 단백질과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결과, 단삼 추출물 1ppm을 사용하여 HM3KO를 처리했을 때 최종 멜라닌 생성량이 대조군 대비 80% 가까이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알부틴과 비교했을 때도 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이고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SCF의 C-kit에 대한 작용을 억제하여 C-kit의 활성화와 관련된 피부 흑화와 각종 암 등등과 같은 모든 현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줄기 세포 인자와 세포막 외부에 존재하는 C-kit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2. 삭제
KR1020060129483A 2006-12-18 2006-12-18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KR10089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83A KR100893720B1 (ko) 2006-12-18 2006-12-18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83A KR100893720B1 (ko) 2006-12-18 2006-12-18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574A Division KR20090037415A (ko) 2009-03-02 2009-03-02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및 C-kit 수용체 길항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01A KR20080056501A (ko) 2008-06-23
KR100893720B1 true KR100893720B1 (ko) 2009-04-17

Family

ID=3980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83A KR100893720B1 (ko) 2006-12-18 2006-12-18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080A (ko) * 2003-05-21 2004-12-02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단삼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50059069A (ko) * 2002-08-14 2005-06-17 아투겐 아게 단백질 키나아제 n 베타의 용도
KR20060110577A (ko) * 2005-04-20 2006-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069A (ko) * 2002-08-14 2005-06-17 아투겐 아게 단백질 키나아제 n 베타의 용도
KR20040100080A (ko) * 2003-05-21 2004-12-02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단삼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60110577A (ko) * 2005-04-20 2006-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01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Ganoderma lucidum polysaccharide inhibits UVB‐induced melanogenesis by antagonizing cAMP/PKA and ROS/MAPK signaling pathways
Radinsky et al. Level and func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predict the metastatic potential of human colon carcinoma cells.
CN102655863B (zh) 乙酰肝素酶活性抑制剂
CN106604719B (zh) 用放射、氧化铈纳米颗粒、和化疗剂的组合治疗癌症
Bae et al. Chaetocin inhibits IBMX-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through activation of ERK
Martarelli et al. Hypericum perforatum methanolic extract inhibits growth of human prostatic carcinoma cell line orthotopically implanted in nude mice
Jang et al. Aqueous fraction from Cuscuta japonica seed suppresses melanin synthesis through inhibition of th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 in B16F10 cells
CN1994272A (zh) 薄荷提取物的化妆品应用
Son et al. The evaluation of depigmenting efficacy in the skin for the development of new whitening agents in K orea
CN107595756A (zh) 一种美白祛黑复合物
Kuang et al. Propranolol enhanced the anti-tumor effect of sunitinib by inhibiting proliferation and inducing G0/G1/S phase arrest in malignant melanoma
Kang et al. p44/42 MAPK signaling is a prime target activated by phenylethyl resorcinol in its anti-melanogenic action
Zhou et al. α-Mangostin suppressed melanogenesis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through GSK3β and ERK signaling pathway
CN109069511A (zh) Braf抑制剂用于治疗皮肤反应的用途
Han et al. The Ginsenoside Derivative 20 (S)‐Protopanaxadiol Inhibits Solar Ultraviolet Light‐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Lee et al. PPAR‐gamma agonist, ciglitazone, increases pigmentation and migration of human melanocytes
Gordon‐Thomson et al. Regu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xpression in human melanocytes
KR100893720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
US20190053994A1 (en) Melanin Decomposition Inhibitor
Son et al. Prunus mume Seed Exhibits Inhibitory Effect on Skin Senescence via SIRT1 and MMP‐1 Regulation
KR20090037415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kit 수용체 길항제및 C-kit 수용체 길항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Ju et al.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umour associated macrophages is a potential anti-cancer mechanism of carboxyamidotriazole
Sun et al. (+)-Panduratin A induces PANC-1 human pancreatic cancer cell death preferentially under nutrient starvation by inhibiting PI3K/Akt/mTOR/autophagy signaling pathway
US10786572B2 (en) Oncogenic Ras-induced malignant cancerization inhibition using low-dose radiation
CN103889413A (zh) 用于改善皮肤的包含丁香树脂醇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