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491A -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491A
KR20060110491A KR1020050032772A KR20050032772A KR20060110491A KR 20060110491 A KR20060110491 A KR 20060110491A KR 1020050032772 A KR1020050032772 A KR 1020050032772A KR 20050032772 A KR20050032772 A KR 20050032772A KR 20060110491 A KR20060110491 A KR 20060110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odium alginate
skin
massag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856B1 (ko
Inventor
노석
Original Assignee
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석 filed Critical 노석
Priority to KR102005003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5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1 내지 6%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 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분말 형태의 마시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사용성이 개선되었으며, 피부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수축과 같은 기능성까지 제공한다.
마사지, 팩,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Gel-Typed Cosmetic Composition for Massage Pac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축소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사용성을 개선시킨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피부관리, 특히 안면 피부관리에 있어, 크게 클린징 단계; 기능성 성분 도포 단계; 및 마사지 팩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첫 번째, 클린징 단계라는 것은 기능성 성분을 도포하기 전에 기능성 성분들이 잘 흡수되도록 피부의 노폐물을 없애는 것이다. 두 번째, 기능성 성분 도포 단계는 피부관리의 목적, 예를 들면, 미백, 재생, 또는 탄력 등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앰플 또는 엣센스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다. 세 번째, 마사지 팩 부착 단계는 두 번째 단계에서 도포된 기능성 성분들이 피부에 잘 흡수되도록 하고, 또한 계속적인 손놀림에 의해 피부를 문지르게 됨으로써 일어나는 피부의 열감, 붉음증 및 통증의 완화를 목적으로 석고 또는 고무 마사지 팩을 부착하고 경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부관리의 마무리 단계에서 시행되는 석고 또는 고무 마사지 팩은 분말 형태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물과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말 형태이기 때문에 분진이 심하고, 분말과 물의 혼합과정에서 분말이 수분을 급속히 흡수하여 기포 또는 알갱이가 생성됨에 따라 균질한 혼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이 잘 되지 않은 마사지 팩을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기포와 알갱이로 인하여 팩과 피부 표면과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며, 결국 기능성 성분의 피부속 침투를 저해하게 된다. 또한, 경화된 팩을 제거한 후에는 피부에 잔여 분말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또한 제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피부에 남아있는 기능성 성분들까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경제성에 있어서 손실이 있다. 또한 석고 또는 고무 팩 분말은 일회용이 아니라 대량포장이기 때문에 매회 사용시 공기중의 수분과 이물질이 흡수 또는 흡착되어 경화시간이 불안정하고 덩어리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마사지 팩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사용성이 편리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알지네이트 칼륨, 황산칼슘, 규조토, 탈크 등이 혼합된 분말 형태의 혼합물에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적정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성분들이 피부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수축과 같은 기능성까지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축소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축소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1 내지 6%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
물중에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하여 1 내지 6%의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형태의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1 내지 6%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사지팩의 제 1 구성분인 분말 형태의 혼합물에는 알지네이트 칼륨, 황산칼슘, 인산나트륨, 규조토, 징크 디옥사이드, 무기분체, 글루코스 및 기타 첨가제가 사용되며, 이들의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알지네이트 칼륨 및 황산칼슘은 반응제로서 알지네이트 칼륨 및 황산칼슘은 물과 배합되는 경우 알지네이트 칼슘과 황산 칼륨으로 되면서 젤화된다. 알지네이트 칼륨 및 황산칼슘은 대략 1 : 1로 배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지네이트 칼슘은 7 내지 10중량% 및 황산칼슘은 7 내지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 칼륨 또는 황산칼슘을 10중량%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급속한 젤화로 피부에 도포 되기도 전에 젤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7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젤화가 느리게 일어날 수 있다.
알지네이트 칼륨 및 황산칼슘이 물과 배합되어 젤을 형성하는 경우, 젤화를 지연시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인산나트륨이 포함된다. 상기 인산나트륨은 황산칼슘이 알지네이트 칼륨과 반응하기 전에 황산칼슘과 먼저 반응하여 인산칼슘과 황산나트륨을 형성하면서 젤화를 지연시킨다. 상기 인산나트륨은 1 내지 2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젤화 반응 지연이 너무 길어질 수 있으며, 또한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빠른 젤화로 피부에 도포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충전제로서 규조토가 포함된다. 규조토는 입자들의 높은 공극 부피 때문에 자신의 무게의 2 내지 3배나 되는 액체를 흡수한다. 기본적으로 규조토는 액체를 고화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다시 누출되는 것을 방치한다. 이와 같이 흡착, 흡수력이 강한 규조토는 팩에 물이 흐르지 않고 머무르게 함으로써 쉽게 마르는 것을 막아주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한다. 또한, 규조토는 많은 미네랄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의 규조토는 35 내지 4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사지 팩을 피부에 도포하여 경화되는 과정에서 마사지 팩의 강도를 증가시켜 피부표면으로부터 마사지 팩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화충전제로서 징크 디옥사이드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징크 디옥사이드는 대략 1 내지 2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징크 디옥사이드의 양이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너무 커져 오히려 피부와의 밀착력을 나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1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 표면으로부터 마사지 팩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혼합된 재료의 입자들이 뭉치치 않고 분산되게 하여 팩 도포시 퍼짐성을 좋게할 목적으로 무기분체가 포함된다. 무기분체로는 탈크, 이산화티탄, 실리카, 마이카 등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크이다. 특히, 탈크는 피부에 남아있는 유분을 흡착하여 피부를 세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화학적 자극없이 가벼운 소염진정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무기분체의 함량은 10 내지 20중량%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무기분체의 양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마사지 팩의 경화를 더디게 할 수 있으며 팩의 점성이 떨어져 부스러진다. 10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성이 떨어져 혼합시 입자들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성분인 글루코스는 팩의 도포후 탄력을 부여하여 밀착력과 유연성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글루코스는 5 내지 15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첨가제로는 경화촉진제, 글리콜, 및 멘톨 등이 있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불화칼륨 티타니움이 소량 사용될 수 있으며, 글리콜은 분진을 방지하기 위해 소량 포함될 수 있으며, 멘톨은 마사지 후 자극에 의해 발생된 피부상의 열을 진정시키고 수렴 작용과 청량감 부여의 목적으로 소량 포함될 수 있다.
마사지 팩의 제 2 구성분인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은 1 내지 6%의 농도로 알긴산 나트륨이 물중에 용해된 형태이다.
알긴산 나트륨은 흡착, 흡수력이 강하고 점도가 있는 갈조류 추출물로서 유 해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있으며 피부에 많은 수분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마사지 팩을 젤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은 상기 분말 형태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젤 형태의 마사지 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물중에 1 내지 6중량%의 농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긴산 나트륨이 1중량% 미만의 농도로 첨가되는 경우 물의 양이 많고 점성이 약해 젤 형태의 마사지 팩이 흘러내리고 굳지 않으며, 6중량%를 초과하는 농도로 첨가되는 경우 물의 양이 적고 점도가 너무 높아 끈적임이 많고 뭉침 현상으로 팩의 도포가 어렵고 경화 또한 빠르게 진행되어 팩 도포시간을 확보 할 수 없다.
상기 제 1 구성분인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제 2 구성분인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으로 젤 타입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이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경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1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급속한 경화로 피부에 도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 형태의 혼합물은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중에 5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젤 타입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 예를 들면 활성탄, 클로렐라, 녹차 추출물, 또는 클레이류가 1 내지 8%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 성분은 마시지 후 피부에 남아 있는 유분을 흡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살균 및 항염 효과로 모공을 수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활성탄은 흡착력이 크기 때문에 분말에 혼합되는 경우 덩어리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팩 도포시 피부와의 밀착력을 감소시키고, 기포를 생성시키고, 도포된 팩의 퍼짐이 균일하지 않는 다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활성탄 성분은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중에 미리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로렐라는 세포활성 물질로서 분말에 첨가된 멜톨 및 팩 전 도포된 기능성 앰플과 엣센스, 피부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붉음증과 열감의 해소, 기능성제품들의 침투를 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한다. 클로렐라는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중에 미리 첨가될 수 있으며, 또한 흡습성이 강하기 때문에 덩어리지거나 굳기 쉬운 원료 입자들을 고루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말에 첨가시키는 것도 좋다.
클레이(clay)는 SiO3 45 내지 65중량%, Al2O3 15 내지 35중량%, 소량의 MgO, K2O, Na2O, CaO, Fe2O3, TiO2와 같은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성분비, 입자크기, 색깔에 따라 베이지 클레이, 베이지 클레이, 핑크 클레이, 아이보리 클레이 등이 있다.
베이지 클레이는 모든 피부타입에 사용될 수 있으며, 모공을 세정하면서 축소시킨다. 그린 클레이는 지성 피부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분을 제거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모공을 축소한다. 핑크 클레이는 건성 피부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분을 제공하여 피부 조직을 부드럽게 한다. 아이보리 클레이는 피부에 자극없이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활성탄, 클로렐라 또는 클레이류를 피부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레이는 단독 또는 병행 혼합 가능하며, 기타의 기능성 재료와도 병행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타입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0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1);
물중에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하여 1 내지 6%의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및
상기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와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90 내지 1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13).
상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1)는 분말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분말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는 물과의 접촉으로 젤화를 일으키는 알지네이트 칼륨과 황산칼슘이 있으며, 완전히 피부에 도포되기 전까지 젤화를 지연시키는 인산나트륨이 포함되고, 그외에도 규조토, 징크 디옥사이드, 무기 분체, 글루코스 및 기타 첨가제, 예를 들면, 경화촉진제, 글리콜, 멘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어서, 물중에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하여 1 내지 6%의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가 진행된다. 이 단계(S12)는 상기 단계(S11)에서 얻은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젤 성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1 내지 6%의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알긴산 나트륨이 첨가되는 물의 온도는 중요하다. 물의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으면 쉽게 용해되지 않거나 팽창되지 않으며 지나치게 고온의 물에 첨가하는 경우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젤 형태의 성상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시키기 위한 물의 온도로는 35 내지 45℃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의 물중 농도는 1 내지 6중량%의 범위 내인 것이 마사지 팩을 젤 타입으로 하는데 적합하다.
이어서, 단계(S11)에서 얻은 분말 형태의 혼합물과 단계(S12)에서 얻은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S13)가 진행된다.
이 경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은 5 내지 1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은 90 내지 1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말 형태의 혼합물과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의 혼합으로 젤 타입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진다.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중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기능성 성분인 활성탄, 클로렐라, 클레이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에 혼합되거나 또는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중에 혼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탄은 흡착성 때문에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중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클로렐라 또는 클레이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 또는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중 어느 쪽에 포함시켜도 좋다.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중에 혼합시키는 경우, 알긴산 나트륨을 첨가시키기 전에 미리 활성탄, 클로레랄 또는 클레이류 등을 물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로 분말 형태의 혼합물(A)를 제조한 후,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B)을 제조하고, 이어서 분말 형태의 혼합물과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하여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제 1 성분 (A) 알지네이트 칼륨 (wt%) 8.00 9.00 10.00 9.00
황산 칼슘 (wt%) 7.00 8.00 9.00 8.00
인산 나트륨 (wt%) 1.38 1.38 1.38 1.38
규조토 (wt%) 40.00 40.00 40.00 40.00
탈크 (wt%) 17.24 17.24 17.24 17.24
글루코스 (wt%) 13.79 13.79 13.79 13.76
징크 디옥사이드 (wt%) 2.76 2.76 2.76 2.76
불화칼륨 티타니움 (wt%) 2.00 2.00 2.00 2.00
멘톨 (wt%) 2.00 2.00 2.00 2.00
글리콜 (wt%)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합 (wt%) 100 100 100 100
제 2 성분 (B) 알긴산 나트륨 5g 6g 5g 6g
100㎖ 100㎖ 100㎖ 100㎖
활성탄 3g - 2g -
클로렐라 - 3g 2g -
베이지 클레이* - - - 3g
(A) + (B) 9g + 100㎖ 10g + 100㎖ 11g +100㎖ 10g+100㎖
* 상기 베이지 클레이는 “Superfine Australian Clay-Beige"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였음.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20 내지 30세 여성 피검자 40명을 10명씩 4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첫 번째 그룹에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두 번째 그룹에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 세 번째 그룹에는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 네 번째 그룹에는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일주일에 2번씩 6개월간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의 개선정도, 예를 들면 보습 효과, 피부 세정 및 모공수축의 3가지 항목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6개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피검자들에 의해 느껴지는 보습 효과, 피부 세정 및 모공수축에 대한 관능검사를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5점 척도로 평가시 만족도가 높은 경우 5점, 만족도가 낮은 경우를 1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보습 효과 4.0 4.9 4.6 4.5
피부 세정 4.8 4.5 4.7 4.5
모공 수축 4.5 4.5 4.5 4.8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 피부 세정 및 모공 수축이라는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활성탄이 첨가된 실시예 1의 경우 피부 세정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클로렐라가 첨가된 실시예 2의 경우 열감완화와 보습 피부활력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베이지 클레이가 첨가된 실시예 4의 경우 모공 수축 효과가 더 우수하며 미백의 기능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타입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정, 보습효과 및 모공축소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젤 타입이기 때문에 사용시 분진이 발생하고, 공기중에 노출시 수분을 흡수하여 덩어리가 생기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1 내지 6%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로는 탈크가 사용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로는 경화촉진제, 글리콜 및 멘톨이 사용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형태의 혼합물 또는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중에 활성탄, 클로렐라 또는 클레이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5. 알지네이트 칼륨 7 내지 10중량%, 황산칼슘 7 내지 10중량%, 인산나트륨 1 내지 2중량%, 규조토 35 내지 40중량%, 징크 디옥사이드 1 내지 2중량%, 무기분체 10 내지 20중량%, 글루코스 5 내지 15중량%, 및 잔량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중에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하여 1 내지 6%의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분체로는 탈크가 사용되고, 기타 첨가제로는 경화촉진제, 글리콜 및 멘톨이 사용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알긴산 나트륨이 첨가되는 물의 온도는 35 내지 45℃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물중에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시키기 전에 활성탄, 클로렐라 또는 클레이를 물중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32772A 2005-04-20 2005-04-20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72A KR100751856B1 (ko) 2005-04-20 2005-04-20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72A KR100751856B1 (ko) 2005-04-20 2005-04-20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491A true KR20060110491A (ko) 2006-10-25
KR100751856B1 KR100751856B1 (ko) 2007-08-23

Family

ID=376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772A KR100751856B1 (ko) 2005-04-20 2005-04-20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04B1 (ko) * 2007-03-22 2008-08-20 굿모닝황토 주식회사 황토와 해초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팩 조성물
KR20180082734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케미랜드 엽록소 유도체가 함유된 크림 모델링 피부보습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7083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레이 및 포스페이트염을 포함하는 워시오프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556B1 (ko) 2009-12-31 2012-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580809B1 (ko) 2014-01-28 2015-12-29 코스맥스 주식회사 겔시트 형성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976B1 (ko) * 2018-01-26 2018-06-22 김종우 흔들어서 사용되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506A (ja) 1983-11-25 1985-06-22 Tanpei Seiyaku Kk パック剤
JPS6354308A (ja) 1986-08-22 1988-03-08 Shiseido Co Ltd パツク化粧料
KR100506968B1 (ko) * 2003-06-11 2005-08-09 조옥현 미용맛사지팩 조성물
KR100655112B1 (ko) * 2004-11-30 2006-12-08 방계룡 젤라틴과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부직포형 팩(pack)의제조방법
KR100633705B1 (ko) * 2004-11-30 2006-10-16 방계룡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부직포형 팩(pack)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04B1 (ko) * 2007-03-22 2008-08-20 굿모닝황토 주식회사 황토와 해초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팩 조성물
KR20180082734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케미랜드 엽록소 유도체가 함유된 크림 모델링 피부보습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7083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레이 및 포스페이트염을 포함하는 워시오프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56B1 (ko)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856B1 (ko) 젤 형태의 마사지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38763B2 (ko)
KR102274597B1 (ko) 분말타입 계면활성제 및 천연분말을 함유하는 온열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1841987B1 (ko) 젤 형태의 모델링 마스크 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8307A (ko) 숯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421620A (ja) 2剤型パック化粧料
CN102293829A (zh) 止痛外敷药及其制备方法
JP3403956B2 (ja) 歯磨き剤
KR102181770B1 (ko)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S62238211A (ja) 皮膚手入れ用化粧料
JP2814230B2 (ja) 化粧品組成物
JP2001031520A (ja) 顆粒状クール化粧料
JPS6141892B2 (ko)
KR20180024852A (ko) 화산석송이를 함유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JP4090629B2 (ja) ゴマージュ化粧料
KR101922471B1 (ko) 백탁 현상이 개선된 드라이 샴푸 조성물
WO2013157034A1 (ja) 皮膚外用剤調製用組成物
KR102584719B1 (ko) 2액형 모델링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JPS63119419A (ja) 酒粕入浴剤
US8486424B1 (en) Method of preparing a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3476620B2 (ja) 浴用剤組成物
KR102584720B1 (ko) 모델링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3637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2814229B2 (ja) 化粧品組成物
KR20190037382A (ko) 피부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및 보습작용 유지시간이 우수한 모델링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