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075A -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075A
KR20060108075A KR1020050030189A KR20050030189A KR20060108075A KR 20060108075 A KR20060108075 A KR 20060108075A KR 1020050030189 A KR1020050030189 A KR 1020050030189A KR 20050030189 A KR20050030189 A KR 20050030189A KR 20060108075 A KR20060108075 A KR 2006010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mulsifier
weight
acrylic emulsion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원하
이상진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지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원하 filed Critical 지원하
Priority to KR102005003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075A/ko
Publication of KR2006010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80내지 82℃의 중합 온도에서 BA(butylacrylate)의 중량에 대하여 33 ~ 67 중량% 범위로 조절된 2-EHA(2-ethylhexylacrylate)/BA, 및 전체 모노머 중량에 대하여 0.9 내지 1.1 중량% 범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혼합 모노머를 물 및 유화제와 함께 적가하여 유화중합하는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은 용액중합에서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톨루엔이나 크실렌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공해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를 없애고 대신에 물을 분산매로 사용함으로서 환경 친화적이며, 종래의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에 비하여 내수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서 경제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중합 반응이 거의 100% 전환율로 진행되어 합성 후 미반응 잔류 단량체에 의한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합성, EHA, B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혼합 유화제

Description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Method for synthesizing acryl emulsion glues from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butyl acrylate monomers}
본 발명은 점착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 유화제의 합성 방법, 구체적으로는, 용액중합에서 사용되는 톨루엔이나 자일렌과 같은 유기 용제 대신 물을 사용함으로서 공해 및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를 없애고 환경 친화적인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데 있어서, 종래의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보다 내수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이란 점착의 일종으로 영구 점착에 대한 일시적 점착을 말한다. 즉, 물, 용제, 열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단시간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도 점착이 가능한 것을 점착이라 말한다. 점착 형성에 웨팅(wetting)이 가능하여 분자 간 상호작 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점착과 유사하지만 고화의 현상이 수반되지는 않는다. 점착제의 본질은 변형에 대한 저항으로서 상온에서도 녹는 점성 폴리머(viscous polymer)이다.
최근의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과 규제는 기존의 고분자과학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 중 거의 모든 산업과 가정에서 이용되고 있는 점착제는 많은 이용가치가 있는 한편 환경과 건강에 유해함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존의 용제형 점착제에서 야기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은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세계 각국의 규제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용제형 점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분산성 유화 중합이 많은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수분산성 점착제(Water-Borne Adhesives)의 사용량 또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수분산성 점착제는 점착제 점도와 분산체 폴리머의 분자량이 무관하여 용제계 폴리머에 비해 고분자량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고형분의 농도 범위를 광범위하게 얻을 수 있으며 내노화성이 작고 저점도, 저고형분 영역에서의 점착성이 양호하며 다른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물을 용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 속도가 느리고 소수성의 점착면, 비다공질의 피착제에 대한 점착성이 낮으며 경화제의 선택 범위가 협소하고 초기점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화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수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용액형 점착제는 중합의 반응조건을 조절하기가 쉽고 균일한 중합체를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매에 의한 연쇄이동이 불가피하며 가능한 한 연쇄이동을 적게 일으키는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합이 끝난 후 용액상태로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면 중합체내에서 용매를 제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또한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합체의 분자량은 다른 중합법에 비해서 낮고 또한 중합속도도 느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크릴 점착제는 용액형 대신 유화 중합법으로 많이 제조되어지고 있다.
유화 중합법은 물에 대한 친화력이 커서 경제적이며 용액 중합법에 비해서 분자량이 크고 유성에 비해 기계적 강도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또한 이와 같은 유화중합은 수 시간 내에 반응이 종결되고 전환율도 거의 100%에 가까우며 다른 중합방법에서는 반응후 미 반응물 단량체의 처리가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유화중합에서는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점도가 낮아 혼합이 쉬우며 또한 반응물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일정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해주고 또한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응열의 제거도 용이하다. 그리고 제품의 질적 균일성도 양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고 미 반응물 단량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공해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가 거의 없으며 제품의 대부분이 점도가 매우 낮은 액체 상태여서 취급이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에멀젼 상태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분산이나 유화 등의 공정이 필요 없다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는 50년대 초반 이 래로 계속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점착제는 높은 내노화성이 요구되거나 연질 PYV 필름과 같이 피착제의 물성이 점착제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특수한 경우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70년대 이래로는 유럽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는 우선 분자내 이중결합이 없는 포화된 폴리머로서 고유한 성질면에서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며 내후성이 우수하고 또한 요구되는 필요 물성에 따라 폴리머 조성의 변경이나 작용기의 도입 등으로 인해 개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온, 상압에서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아크릴 에멀젼 점착법은 물에 대한 친화력이 커서 경제적이며 톨루엔이나 크실렌과 같은 용액 중합법에 비해 분자량이 크며 용액중합에 비해 기계적 강도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는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아크릴 에멀젼 점착은 반응 후 수 시간 내에 반응의 종결이 일어나고 전환율도 거의 100%에 가까움으로서 유화중합에서는 후처리 작업이 필요 없는 장점을 또한 가지고 있다. 또한 물을 용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점도가 낮아 다른 점착제와의 블렌딩(blending)이 쉬우며 또한 반응물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일정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해주는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제품의 균일성도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미 반응물 단량체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용제에 의한 공해나 우리 사람의 인체에 대한 유해작용요소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이 점도가 매우 낮은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 취급이 매우 안전하다는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상태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산이나 유화 등에 대한 공정이 필요 없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위의 유화 중합법에 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에는 현재까지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되고 있지만 사용 용도와 여러 가지 모노머의 사용에 따른 새로운 유화 중합법에 의한 아크릴 에멀젼이 합성되어야 한다.
용액중합에서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톨루엔이나 크실렌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공해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를 없애고 대신에 물을 분산매로 사용함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아크릴 에멀젼을 합성하는 데 있어서, 종래의 아크릴 에멀젼에 비해 내수성이 높은 우수한 물성의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경제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합성 후의 문제가 될 수 있는 미반응 잔류 단량체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은, 분산매로서의 물, 유화제 및 모노머를 적가하면서 유화중합시켜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80내지 82℃의 중합 온도에서 BA(butylacrylate)의 중량에 대하여 33 ~ 67 중량% 범위로 조절된 2-EHA(2-ethylhexylacrylate)/BA, 및 전체 모노머 중량에 대하여 0.9 내지 1.1 중량% 범위 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혼합 모노머를 물 및 유화제와 함께 적가하여 유화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전체 반응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8 내지 4.0중량% 범위의 비이온계/디올리에이트계 혼합유화제이거나, 전체 반응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7 내지 3.4중량% 범위의 비이온계/음이온계 혼합유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유화 중합을 진행시키는 데 필요한 교반 장치, 중합 온도 조절 수단, 예를 들어, 중합 반응기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에 따라 중합 반응기를 가열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 장치가 구비된 스팀 자켓(steam jacket), 온수 자켓(hot water jacket), 전열장치(electric heating device), 기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가열 수단, 응축기(condenser)가 구비되고, 중합 반응기 내의 산소 분위기를 불활성 질소 분위기로 만들고 유지하기 위한 질소 퍼지(purge) 수단이 구비된 중합 반응기에서 중합 온도를 약 70 내지 75℃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모노머, 물 및 유화제 혼합물과 개시제 수용액을 각각 적가하면서 약 3시간동안 중합한 후 동일조건에서 약 3시간 동안 숙성함으로서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에는 숙성 단계에서 알콜성 용매로 희석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모노머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1
부틸 아크릴레이트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2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3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다른 모노머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비닐 아세테이트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4
아크릴산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Figure 112005018904540-PAT00006
본 발명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는 통상의 에멀젼 중합에 사용되는 임의의 개시제, 예를 들어, 칼륨 퍼설페이트(KPS:potassium persulfate),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SBS:sodium metabisulfite)가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제일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은 유리전이온도의 최적화이며 지나치게 Tg가 높을 경우에는 점착제 폴리머의 유동성이 불량하여 충분한 유효점착 면적의 확보가 어려워져 점착력이 저하되며 Tg가 낮을 경우에는 폴리머의 응집력이 저하된다.
두 번째로 폴리머의 극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아크릴 폴리머의 극성은 그 모노머의 측쇄 길이에 의해 변화된다. 아크릴 폴리머에 산성 모노머(acidic monomer)와 같은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은 소량의 도입에도 점착성능을 크게 변화시키며 점착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아크릴 에멀젼의 가교는 고온 하에서의 탄성률을 저하시키고 내열 점착력을 향상시키며 내수성, 내용제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양한 모노머 혼합비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 측정
아래 표 1에 나타낸 모노머 혼합비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을 합성하고 다음과 같은 분석 장비로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입자 직경 : 입자크기분석기(Zetasizer)
분자량 :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
점착력 : 인장강도시험기(INSTRON)
열분해온도 : 열중량분석기(TGA)
유리전이온도 : 시차주사열분석기(DSC)
실시예 번호 모노머 사용량(g) 입자 직경 (㎛) 분자량(kg/mol) 점착력 (kgf/ 25mm) TGA(% 중량 손실), (℃) DSC
BA 2-EHA Mn Mw 10% 50% 90%
1-1 98 32.5 203.9 45 149 1.9 378±1 440.4 468±1 14
1-2 42.5 200.3 44 140 1.9 392±1 459.6 480±1 -39
1-3 52.5 201.1 45 121 1.3 382±1 447.0 177±1 8
1-4 62.5 219.4 47 121 1.4 384±1 404.8 452±1 -43
1-5 72.5 281.9 51 134 1.2 383±1 446.1 469±1 -44
1-6 78 52.5 227.4 40 113 1.1 386±1 446.2 473±1 -11
1-7 88 222.5 40 119 1.0 387±1 446.1 473±1 12
1-8 98 200.0 44 121 1.2 382±1 447.0 177±1 8
1-9 108 193.1 45 125 1.3 403±1 468.7 490±1 -1
1-10 118 211.5 46 146 1.4 402±1 452.0 480±1 14
* 개시제 : KPS 0.3g+ SBS 0.1g
* 유화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P-1050)+음이온성 계면활성제(600-DO) 7중량%
*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7.5g, 아크릴산 3.5g, 메틸메타크릴산 1.75g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75g 첨가
위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EHA의 사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입자크기는 일정부분까지는 일정하지만 그 사용량이 72.5g이 첨가될 때에는 입자의 크기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수평균 분자량은 서서히 증가한 반면 평균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서 점착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EHA의 무게 증가에 의한 열분해온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유리전이온도는 2가지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두 가지의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서 Tg 온도는 ± 두가지의 경향을 보이는데 합성하는 프리폴리머(prepolymer)가 연질형태이기 때문에 높을 때와 낮을 때의 두 가지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Tg온도를 DSC 기기 상에서 포인트를 잡기 어려울 때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우가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한편, BA의 무게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수평균 분자량과 평균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점착력은 증가하였다. 입자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점착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분자량이 증가함으로서 점착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부틸아크릴레이트의 무게비가 증가할수록 열분해온도는 일정한 부분까지는 일정함을 보여주다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무게비가 많이 증가하면 열분해온도도 따라서 증가한다. 유리전이온도는 @-EHA의 무게비를 증가시키는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다양한 비이온계 및 디올리에이트 계 혼합 유화제량에서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 측정
아래 표 2에 나타낸 유화제 투입비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을 합성하고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번호 모노머 사용량 유화제량 (g) 입자 직경 (㎛) 분자량 (kg/mol) 점착력 (kgf/ 25mm) 열분해온도 (% 중량 손실), (℃) 유리전이온도(℃)
Mn Mw 10% 50% 90%
2-1 2-EHA 52.5g+BA 98g 7 185.6 38 108 2.8 402±1 450.7 478±1 -12
2-2 6 193.1 50 281 2.0 400±1 447.0 477±1 8
2-3 5 223.5 65 396 1.6 406±1 449.4 478±1 15
2-4 4 - - - - - - -
* 개시제 : KPS 0.3g + SBS 0.1g
* 유화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P-1050) 1중량부 : 디올리에이트계 계면활성제(600-DO) 1.6중량부
*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7.5g, 아크릴산 3.5g, 메틸메타크릴산 1.75g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75g 첨가
위 표 2에서와 같이 모노머들에 대한 유화제의 양이 감소하면 할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여 유화제가 4%로 감소하면 겔화가 일어났으며 분자량도 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화제가 감소할수록 상대적으로 점착력은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유화제의 감소에 의하여 분산의 정도가 떨어짐으로서 분자량은 증가하고 점착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분자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점도도 같이 증가함으로서 현장이나 실험실에서의 종정도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유화제의 양이 감소함으로서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화제의 양이 감소함으로서 10% 무게 감소 때의 온도도 약간 증가하였으며 특히 유리전이온도는 유화제의 양이 감소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화제의 양이 감소함으로서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온도는 나은 결과를 보이지만 점착력은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다양한 비이온계 및 음이온계 혼합 유화제량에서의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 측정
아래 표 3에 나타낸 유화제 투입비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을 합성하고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번호 모노머 사용량 유화제량(g) 입자 직경 (㎛) 분자량 (kg/mol) 점착력 (kgf/ 25mm) 열분해온도 (% 중량 손실), (℃) 유리전이온도(℃)
Mn Mw 10% 50% 90%
3-1 2-EHA 52.5g+BA 98g 2 - - - - - - -
3-2 3 156.3 35 91 1.2 407±1 448.5 480±1 -14
3-3 4 152.6 36 99 2.6 390±1 444.1 473±1 -17
3-4 5 139.5 36 89 2.5 390±1 450.3 475±1 -14
3-5 6 134.3 33 71 2.7 385±1 443.2 467±1 -14
* 개시제 : KPS 0.3g + SBS 0.1g
* 유화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P-1050) 1중량부 : 디올리에이트계 계면활성제(600-DO) 1.6중량부
*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7.5g, 아크릴산 3.5g, 메틸메타크릴산 1.75g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75g 첨가
위 표 3을 살펴 보면, 유화제의 양이 증가함으로서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수평균 분자량과 평균 분자량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점착력은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앞의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유화제가 많아질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 수평균 분자량과 평균 분자량이 증가하고 점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화제가 비이온계와 디올리에이트 계가 부가된 실시예 2와 비이온계 및 음이온계 유화제가 부가된 경우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화제의 종류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유화제의 양이 증가함으로서 열분해온도는 약간씩 감소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는 거의 일정한 규칙성을 보여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합성 방법에 의하여 용액중합에서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톨루엔이나 크실렌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공해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를 없애고 대신에 물을 분산매로 사용함으로서 환경 친화적이며, 종래의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에 비하여 내수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서 경제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중합 반응이 거의 100% 전환율로 진행되어 합성 후 미반응 잔류 단량체에 의한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

  1. 분산매로서의 물, 유화제 및 모노머를 적가하면서 유화중합시켜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80내지 82℃의 중합 온도에서 BA(butylacrylate)의 중량에 대하여 33 ~ 67 중량% 범위로 조절된 2-EHA(2-ethylhexylacrylate)/BA, 및 전체 모노머 중량에 대하여 0.9 내지 1.1 중량% 범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혼합 모노머를 물 및 유화제와 함께 적가하여 유화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2.8 내지 4.0중량% 범위의 비이온계/디올리에이트계 혼합유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1.7 내지 3.4중량% 범위의 비이온계/음이온계 혼합유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제조 방법.
KR1020050030189A 2005-04-12 2005-04-12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KR20060108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189A KR20060108075A (ko) 2005-04-12 2005-04-12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189A KR20060108075A (ko) 2005-04-12 2005-04-12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075A true KR20060108075A (ko) 2006-10-17

Family

ID=376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189A KR20060108075A (ko) 2005-04-12 2005-04-12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8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34B1 (ko) * 2009-06-12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마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34B1 (ko) * 2009-06-12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4458C (en) High performanc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s
CN109337591B (zh) 一种低挥发性紫外光固化光学结构胶及其制备方法
CN109054570B (zh) 一种环保型高强度弹性涂料及其制备方法
EP3289037B1 (en) Acrylic emulsion adhesives
WO2018181251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065685B (zh) 大分子单体共聚物、环氧树脂组合物、粘接剂、成型材料和固化物
CN114316854A (zh) 一种高固含量低粘度的丙烯酸胶黏剂及其制备方法
JPS5837348B2 (ja) 水分散型感圧接着剤組成物
JP2013503954A (ja) ポリマーの使用
US20200248049A1 (en) Additive for epoxy adhesive and epoxy adhesive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including same
CN108912288A (zh) 一种高熔融指数的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2029448B (zh) 水性丙烯酸酯系胶粘剂组合物
KR101799618B1 (ko) 옥사졸리닐-함유 중합체 및 옥사졸리닐-함유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그래프팅된 화합물
KR20060108075A (ko)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TW201536889A (zh) 光學膜
KR20210024031A (ko)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도공액용 조성물
JP2019203086A (ja) ブロックポリマー
Fotoohi et al.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reactive AAEM-co-MMA adhesive
JP2003336025A (ja) アクリル系の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粘着シート
KR102139334B1 (ko) 실란 개질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KR20060108074A (ko)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부터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를 합성하는 방법
JP4146556B2 (ja) 水分散型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接着シ―ト類
KR101350515B1 (ko) 아크릴계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JP2017508823A (ja) 高い粘着性を有する耐せん断性の感圧接着料
CN112673069A (zh) 用于粘接硅树脂和聚烯烃类树脂的底漆组合物、以及硅树脂和聚烯烃类树脂的粘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