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801A -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 Google Patents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801A
KR20060107801A KR1020067010719A KR20067010719A KR20060107801A KR 20060107801 A KR20060107801 A KR 20060107801A KR 1020067010719 A KR1020067010719 A KR 1020067010719A KR 20067010719 A KR20067010719 A KR 20067010719A KR 20060107801 A KR20060107801 A KR 2006010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ulating
elements
corner
log
fac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밀러
안드레아스 랑글리츠
Original Assignee
안드레아스 랑글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레아스 랑글리츠 filed Critical 안드레아스 랑글리츠
Publication of KR2006010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longitudinal elements with a convex extern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및 외부 영역들내에서 벽들을 클래딩(cladding)시키기 위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파사드는, 내부 및 외부 영역들에 대한 내부 코너 및 외부 코너를 생성시키도록 설계된 기다란 기복있는 요소들(contoured elements)(12) 및 코너 요소들(corner elements)(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사드, 기복 있는 요소, 코너-형성 요소, 통나무-오두막집

Description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LOG-CABIN TYPE FACADE}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전제 부분에 따른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5,638,649호(US-PS 5,638,649)로부터, 외부 벽들을 클래딩(cladding)시키기 위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log-cabin type facade)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파사드는, 서로에 대해 배열될 수 있는 벽의 표면을 클래딩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elongated contoured element)들로 이루어지고, 측면 윤곽(side contour)들에 할당(assign)되고, 외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십자-쌓기(cross-bond)로 서로에 대해 스태킹(stacking)된 트렁크(trunk)들로서 배열될 수 있는 코너-형성 요소(corner-forming element)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 및 코너-형성 요소들은 커다란 통나무방책형 빌딩 모드(massive blockhouse-type building mode)의 외형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만약 외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한 벽 섹션(wall section)들을 클래딩시키는데 동일한 기복 있는 요소들이 사용된다면, 상기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를 직립(erect)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디자인을 갖는 코너-형성 요소들이 준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 방(imitation)으로서 실제의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매우 근접하게 되고, 관찰자에게 어떠한 경계면(interface)도 보이지 않도록 하는 쌓기(bond)를 생성하기 위하여 우측 및 좌측 코너 형성 요소들이 필요하다. 상이한 코너 형성 요소의 디자인 때문에, 이러한 타입의 파사드의 직립은 자원-소모적이다. 게다가,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은 연장되도록 사용된 후에는 서로에 대해 접해 있게(flush) 되는 성질을 가지지 않고 오히려 접촉점들에서 벌어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통나무방책형 외부 파사드의 형성을 위한 파사드 클래딩은 또한 미합중국 특허 US 6,199,332 B1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 문헌에는 동일하게 디자인된 기복 있는 요소들이 벽면들에 제공되고, 상이한 코너-형성 요소들이 좌측 및 우측 부착을 위해 미리 밀링된 목재 스텀프(pre-milled wood stump)들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 구현예는 상술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와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각 요소들의 단순한 디자인으로 인해 파사드의 신속한 제작 및 직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요소들의 배열 및 배향(orientation)에 독립적으로 상기 요소들을 조립하여 파사드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내부 및 외부 영역들 내의 벽들을 위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 1 및 2의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파사드의 디자인은,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들이 동일하게 디자인되어 내부벽 및 외부벽 상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고 그들의 우측 및 좌측 단부 상에 동일한 부착부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들은 내부 및 외부 영역에서 외부 코너 뿐만 아니라 내부 코너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사드는, 코너-형성 요소들도 역시 동일하게 디자인되고, 그들의 배열에 독립적으로 모방해야 할 나무 트렁크(tree trunk)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상에 열십자 쌓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파사드의 제작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파사드가 직립되도록 하는 두 개의 요소들로 구성된 간단한 키트(kit)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식의 기복 있는 요소들 및 코너-형성 요소들은, 전문가나 일반인 모두에 의해 간단히 직립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더구나, 기복 있는 요소들 및 코너-형성 요소들의 이러한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들은 디자인에 있어서 많은 자유를 제공한다.
반대편 윤곽(contour)의 열십자 쌓기를 위하여 기복 있는 요소들의 전방측들 가까이에 횡단 리세스(transverse recess)를 배열하는 것은 또한, 하나의 기복 있는 요소를 수단으로 하여 외부 코너 및 내부 코너가 제작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특징에 따른 상기 파사드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청구항 1에 따른 파사드와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청구항 1에 따른 파사드의 디자인과는 달리, 전방측들 가까이의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는 횡단 리세스를 가지지 않도록 디자인된다. 이 횡단 리세스 대신에, 외부 코너를 제작하기 위해 기복 있는 요소 및 코너 연결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매개부(intermittent part)가 제공된다. 이 매개 요소는 내부 코너를 제작하는 데에는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간단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매개부가 코너-형성 요소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게 되어 일단 파사드가 직립되면 더 이상 매개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매개부는 또한 거울-대칭적이 되도록 디자인되어 상기 매개부가 하나의 기복 있는 요소에의 좌측 및 우측 부착 모두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복 있는 요소들 또는 코너-형성 요소들 및 매개부들은, 특히 목재나 목재 은못(wooden dowel)들로 이루어진 플러그인 연결 요소들, 바람직하게는 볼트들을 수단으로 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는 간단한 플러그인 또는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되는 높은 안정성의 간단한 조립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의 각 사이트(site)에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과 상기 코너-형성 요소들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플러그인 연결 요소들을 제공한다. 이 수단에 의해, 안정된 배열 및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적어도 2개의 연결 요소들의 존재는 토션(torsion)의 우려가 없도록 해준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기복 있는 요소와 상기 매개부의 연결의 각 사이트에 상기 플러그인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보어 구멍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파사드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요소들이 미리 준비되어 추가 프로세싱 없이도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착면의 좌측 및 우측 섹션에 상기 플러그인 연결 요소들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보어 구멍들을 포함하는 코너 연결 요소들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코너 연결 요소들로 하여금 자유자재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열될 수 있게 하거나 열십자 쌓기의 X 또는 Y 방향으로의 종단(termination)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러그인 연결 요소들은 상기 부착면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좌측 또는 우측 보어 구멍들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은, 인접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리세스(recess)들을 갖는 내부면 및 나무 트렁크를 모방하는 원형의 외부면을 포함하는 반원 단면을 갖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내부면 상에 제공된 리세스들은, 예를 들면 W-모양 또는 V-모양, 삼각형 모양 또는 유사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만약 원목(natural wood)이 기복 있는 요소로 사용된다면, 건조 공정 시 목재의 균열(splitting)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동시에, 예를 들면 파사드에 부착될 벽 램프(wall lamp)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비 라인(utility line)들이 이들 리세스 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임의의 다른 응용도 실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복 있는 요소는 그 상부 섹션에 있고 길이축 연장선을 따르는 은촉(tongue)을 포함하고, 반대쪽 바닥측 상에 형태상으로 상보적이 되도록 디자인된 그루브(groove)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기복 있는 요소들이 벽면의 클래딩을 위해 서로에 대해 튼튼하게 체결(engagement)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그루브 및 은촉의 디자인은 또한, 연장되어 사용되는 경우 기복 있는 요소의 각각의 섹션들의 파열(bursting) 또는 요동(waviness)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는 실링된 배열(sealed arrangement)을 생성시킬 수 있다.
외부 측면과 그루브 사이에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의 바닥측에 핀 표면(fin surface)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 핀 표면은 다른 기복 있는 요소가 그 위에 놓일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이 핀 표면은, 한편으로는 그 밑에 배열되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의 상기 은촉의 디자인을 완전히 감싸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동시에, 커다란 통나무 오두막집 빌딩 모드 특성이 향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핀 표면은 비나 강풍이 휘몰아치더라도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기복 있는 요소는 각각의 전방측에 1/4의 원 모양의 밀링된 리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리세스는 하부 엣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 면까지 연장되고 제 2 부착면으로서 역할을 하며, 상부 단부로 연장하는 평면의 제 1 부착면으로 향한다(verge). 전방측의 이러한 기하학적 디자인은, 조립체의 한 방향 및 다른 방향 모두에 존재하는 연결점들의 사이트들에 대해 동일한 조건을 용이하게 갖도록 한다. 게다가, 이 디자인은, 서로에 대해 닿는 트렁크들의 열십자 쌓기로의 컴팩트하고 실링된 배열이 용이하게 모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복 있는 요소는 상기 매개부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또한 매개부들 없는 활용을 위한 기초(basis)를 형성한다.
매개부 없는 활용을 위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는, 열십자 쌓기로 배열되고 그 밑에 존재하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의 은촉에 의해 체결되고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윤곽(contour)을 상기 제 1 부착면 가까이에 그리고 제 2 부착면 내에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의 부착면이 상기 기복 있는 요소의 상기 제 1 부착면을 직접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동시에, 이는 내부 코너 형성시 상기 기복 있는 요소 자신에 의해 부가적인 고정(fixation)이 제공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형성 요소들은 둥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형성 요소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곡률 반지름을 갖는 오목면을 바닥측에 포함한다. 이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들이 서로의 위에 스태킹(stacking)되어 접하게 되고 그 시각적 인상이 커다란 통나무 오두막집 빌딩 모드의 시각적 인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코너-형성 요소들은 유리하게는, 트렁크의 단부면에 대응하는 평면의 단면을 전방측에 포함하고, 이와 반대편에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의 연결의 사이트들과 닮도록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부착면을 포함한다. 이는 간단하고 구조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며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과 코너-형성 요소들로 하여금 쉽게 직립되고 결합되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매개부는 거울-대칭적으로 디자인되어 그의 자유자재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그 윤곽형성(contouring)과 관련하여, 상기 매개부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와 접하는 부착 영역을 매칭시킨다.
유리하게는, 플러그인 연결 요소들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보어 구멍들이 상기 매개부의 각 부착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어 구멍들을 통하여, 예를 들면, 상기 매개부를 완전히 통과하여 직접 상기 기복 있는 요소를 상기 코너-형성 요소에 연결시키는 긴 소켓 핀(socket pin)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 상기 코너-형성 요소들, 및 상기 매개부들은 목재로 이루어진다. 외부 영역들에 대해서는, 낙엽송(larch tree), 미국산 큰 소나무(Douglas fir)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영역들 또는 사우나 건물에 대해서는, 삼나무(cedar), 북부 삼나무(northern fir), 북아메리카산 솔송 나무(hemlock fir), 소나무(pine tree), 오크(oak tree) 또는 이와 유사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목재 대용품(wood imitation)이 사용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재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 또는 시각적 구조물이 스프레이되거나 접착제로 접합되거나 유사한 수단으로 부착된 라미네이트된 목재 또는 다른 기본적 구조들을 갖는 플라스틱의 기복 있는 요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 다른 유리한 응용예들 및 실시예들이 가능함은 다른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응용예들 및 실시예들이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며,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들을 수단으로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몇몇이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조합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외부 코너를 클래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파사드에 대한 기복 있는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기복 있는 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에 따른 기복 있는 요소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파사드에 대한 코너 형성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파사드에 대한 매개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파사드에 대한 기복 있는 요소의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따른 파사드에 대한 코너-형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11)의 사시도이다. 이 부분적인 분해 조립도는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12)와 이에 대해 배열된 매개부(14)의 결합 동작을 도시하는데, 이들은 외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코너-형성 요소(16)와 결합하여 조립된다. 상기 파사드(11)는,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은 벽을 클래딩하기 위하여 내부 영역들 및 외부 영역들 모두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매개부(14)들, 그리고 코너-형성 요소(16)들의 조립은 개별적인 요소들의 기술에 뒤이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는 파사드(11)의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12)는 도 2b에 따른 단면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윤곽의 형태로 디자인된다.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중앙 축(19)에 대하여 거울 대칭적이 되도록 디자인되며, 1/4의 원 형태의 밀링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제 2 부착면(22)으로 향하는 제 1 평면 부착면(21)을 전방의 양쪽에 포함한다. 은 촉(tongue; 24)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부 섹션(23)에 존재하도록 디자인된다. 이 은촉(24)은 후방측 부착면(26)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도록 위치된다. 상기 은촉(24)에 형태상 상보적인 그루브(28)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바닥측에 존재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그루브(28)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이 서로에 대해 스태킹(stacking)될 때 상기 은촉(24)에 의한 상기 그루브(28)의 튼튼한 체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부착면(26)에 대하여 상기 은촉(24)과 동일한 거리만큼 스태거링(staggering)된다.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상기 부착면(26) 상에서 시작되는 리세스(29)들을 포함한다. 도 2b에 따르면, 예를 들면 3개의 리세스들이 제공되나, 이들 리세스의 갯수와 크기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부착면(26)의 반대편에, 거의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디자인되고 하부 엣지(32)에서 하부 섹션으로 끝나는 외부측면(31)이 존재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엣지(32)로부터, 상기 그루브(28) 쪽으로 그리고 상기 그루브(28)까지 기울어진 핀 표면(fin surface; 33)이 연장된다. 이 핀 표면은 곡률 반지름이 상기 외부측면(31)의 곡률 반지름에 대응되는 오목한 표면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핀 표면(33)은, 조립된 상태에서 그 밑에 배열되는 기복 있는 요소(12)에 접하도록 인접하며, 전이 영역(36) 내의 보어 구멍(도 2c 참조)에 도입될 수 있는, 보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은, 예를 들면 못(nail)들과 같은 부착 요소들 뿐만 아니라 그루브(28)를 감싼다. 이들 보어 구멍(37)들은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상기 부착면(26)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가 벽에 부착될 수 있고 부착면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전이 영역(36)에서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위에 존재하는 기복 있는 요소(12)는 상기 그루브(28)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은촉(24)을 둘러싸고, 이에 의해 홀딩 섹션(holding section; 38)은 상기 은촉(24) 뒤쪽에 닿게 되어, 하부에 존재하는 기복 있는 요소(12)의 위쪽에 존재하는 기복 있는 요소(12)의 하부 섹션의 견고한 접합(abutment)이 이 영역에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 수단에 의한 벽에의 고정(fixation)이 상기 은촉(24) 근방의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부 섹션에 제공된다. 따라서, 바람의 압력에 기인하는 부하(load)의 필요성을 또한 충족시키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튼튼한 부착이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보어 구멍(41)들은 상기 제 1 부착면(21)에 마련된다. 이 보어 구멍들은 플러스인 연결 요소(43)(도 1 참조)들을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만약 원목(natural wood)이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사용된다면, 이들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은, 플러그인될 수 있고, 적절하다면 가압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또한 접착제로 붙일 수 있는 이른바 목재 은못(wooden dowel)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3은 코너-형성 요소(16)를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는 원형의 몸체, 바람직하게는 둥근 목재 스텀프(round wood stump)로 이루어지며, 트렁크의 단부면과 유사하게 디자인된 평면의 절단면(46)을 후방측에 포함한다. 제 1 부착면(47)은 이와 반대편에 존재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제 1 부착면(47)은 평면이고 반원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인접하게,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측면에서 볼 때 1/4의 원 형태의 밀링된 리세스가 되도록 디자인된 제 2 부착면(48)이 존재한다. 상기 제 2 부착면(48)은, 열십자 쌓기로 90°만큼 스태거링된, 그 밑에 위치하는 모방되는 트렁크와의 접합부(abutment)의 역할을 한다.
오목면(49)이 상기 코너-형성 요소의 바닥측에 제공되는데, 상기 오목면은 형성된 코너의 스탬프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곡률 반지름을 갖는다.
좌측 및 우측 쌍의 보어 구멍(51)들이 상기 제 1 부착면(47)상에 제공된다. 이는, 좌측 그리고 또한 우측 종단 요소로서의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역할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매개부(1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매개부(1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기 제 1 부착면(21)과 일치하도록 디자인된 부착면(56)을 포함한다. 상기 매개부(14)의 하부 단부에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곡률 반지름을 갖는 오목면(57)이 제공된다. 상기 오목면(57)은, 상기 매개부(14)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한 전방측에 대하여 위치하여 외곽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복 있는 요소의 제 2 부착면(22)을 직접 향하게 된다.
상기 매개부(14)는, 상기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이 상기 매개부(14)를 통과하여 완전히 닿고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 및 상기 코너 형성 요소(16)을 수용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 상에 존재하는 보어 구멍(58)들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에 따른 파사드(11)는 베이스(61) 상에 세워진다. 하나의 기복 있는 요 소(12), 이에 부착된 하나의 매개부(14), 및 하나의 코너-형성 요소(16)가 하나의 공간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어서, 하나의 기복 있는 요소(12'), 매개부(14'), 및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하나의 코어 형성 요소가 제 2 공간 방향으로 조립되고 또다른 공간 방향으로 베이스(61)상에 놓여진다. 상기 제 2 공간 방향의 코너-형성 요소는 상기 매개부(14)를 완전히 감싸서 상기 파사드가 완성되었을 때 상기 매개부(14)는 보이지 않게 된다. 열십자 쌓기로 상기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를 세우는 것은, 각 개별 요소들이 서로 체결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이후에 공간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진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복 있는 요소들(12 및 12')이 먼저 배열되고 나서 매개부들(14 및 14')이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를 수단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16 및 16')와 결합하여 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11)의 또다른 대안적인 디자인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파사드(11)는,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을 수단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위치된 기복 있는 요소(12)들 및 코너-형성 요소(16)들이 파사드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파사드와 다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기복 있는 요소(12)와 비교하여 도 6에 사시도로 도시된 기복 있는 요소(12)는 변경되어 횡단 리세스(66)를 제 1 부착면(21) 근방의 제 2 부착면(22)에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는,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부 영역에 존재하도록 디자인된 쇼울더(shoulder; 67) 및 그루브(24)에 대응한다. 상기 횡단 리세스(66)는 내부 코너(69)의 디자인을 위한 기복 있는 요소(12)들의 서로에 대한 간 단한 배열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그루브(24)는 그 위에 위치된 기복 있는 요소의 리세스(66)를 체결하여 고정(fixation)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도 5에 따른 파사드(11)에 대한 도 7에 따른 코너-형성 요소(16)는, 리세스(66)가 제 2 부착면(48) 내에 제공된 도 6에 따른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리세스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도 3에 따른 코너-형성 요소(16)와 다르다. 이는, 코너-형성 요소(16)의 제 1 부착면(47)이 기복 있는 요소(12)의 평면의 제 1 부착면(21)과 인접하여 접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기복 있는 요소(12)의 쌓기 영역(crossing area) 및/또는 기복 있는 요소(12)의 외부 단부 영역에서 너트(nut; 24)를 밀링(milling)할 필요가 없다.
도 5에 따른 파사드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조립을 위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코너-형성 요소(16)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에 부착되고 그 전체 구조가 그 밑에 존재하는 기복 있는 요소(12) 위에 놓인다. 다음에 밀링된 리세스(66)가, 그 밑에 횡방향으로 위치하고 90°만큼 스태거링된 기복 있는 요소(12)의 은촉(24)을 체결시키는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길이의 절반에 걸치게 된다. 이는 코너의 브레이싱(bracing)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평면도에서 볼 때의 코너의 디자인들은 90° 각도만큼 벗어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횡단하는 밀링된 리세스(66)가 이에 따라 주어진 각도로 조정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파사드(11)는, 좌측 및 우측 배향 또는 측면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요소들을 갖는 빌딩 키트(building kit)가 디자인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assembly)을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의 외형에 대응하는 파사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19)

  1. 서로에 대해 배열되고, 벽면을 클래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12)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에 할당되고 열십자 쌓기로 서로에 대해 닿는 스텀프의 형태로 배열되는 코너-형성 요소(16)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및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이 결합하여 커다란 통나무방책형 빌딩 모드의 외형을 띠게 되는, 내부 및 외부 영역내에서 벽들을 클래딩하기 위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있어서,
    -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디자인되고, 상기 열십자 쌓기로 반대편에 위치된 기복 있는 요소(12) 각각에 대한 횡단 리세스(66)를 전방측들 가까이에 포함하고;
    -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은 단부면을 형성하는 절단면(46)을 갖는 둥근 목재 스텀프의 형태로 디자인되고, 반대측에 평면의 제 1 부착면(47)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면(47) 가까이에서 상기 쌓기된 기복 있는 요소(12) 및 코너-형성 요소(16)의 외부측에 적응하는 제 2 부착면(48)을 포함하며; 및
    -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및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은 외부 코너 및 내부 코너에 대하여 파사드(11)를 디자인하기 위한 빌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2. 서로에 대해 배열되고, 벽면을 클래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기복 있는 요소(12)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에 할당되고 열십자 쌓기로 서로에 대해 닿는 스텀프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 코너-형성 요소(16)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및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이 결합하여 커다란 통나무방책형 빌딩 모드의 외형을 띠게 되는, 내부 및 외부 영역내에서 벽들을 클래딩하기 위한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에 있어서,
    -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디자인되고;
    - 기복 있는 요소(12) 및 코너-형성 요소(16) 사이에 위치되는 매개부(14)가 제공되고;
    - 상기 코너 형성 요소(16)들은 단부면을 형성하는 절단면(46)을 갖는 둥근 목재 스텀프의 형태로 디자인되고, 반대측에 평면의 제 1 부착면(47)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면(47) 가까이에서 상기 쌓기된 기복 있는 요소(12) 및 코너-형성 요소(16)의 외부측에 적응하는 제 2 부착면(48)을 포함하며; 및
    -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상기 매개부(14)들, 및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은 외부 코너 및 내부 코너에 대하여 파사드(11)를 디자인하기 위한 빌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상기 매개부(14)들, 및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은, 특히 목재나 목재 은목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 바람 직하게는 볼트들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 및 상기 매개부(14)들 사이의 각 연결 사이트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보어 구멍(42, 58)들이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들 및 상기 매개부(14)들 사이의 각 연결 사이트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들은 각각, 상기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보어 구멍(51)들을 상기 제 1 부착면(47)의 좌측 및 우측 섹션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나무 트렁크를 모방하는 원형의 외부측면(31)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이고 바람직하게는 리세스(29)들을 포함하는 부착면(26)을 반원의 윤곽을 가지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그 상부 섹션(23)에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은촉(24) 및 반대편 바닥측에 형태상 상보적이도록 디자인된 그루브(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 표면(33)이 외부측면(31)과 그루브(28) 사이에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바닥측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핀 표면(33) 및 상기 핀 표면(33)에 할당되고 인접하여 위치된 기복 있는 요소(12)가 오버래핑 영역(overlapping are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 엣지(32)에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 평면까지 연장하고 제 2 부착면(22)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부 단부까지 연장하는 평면의 제 1 부착면(21)으로 향하는 원형의 세그먼트형의 밀링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구멍(41, 58)들은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상기 평면의 부착면(2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의 길이방향의 연장에 대하여 횡단하여 연장되는 리세스(66)를 상기 제 1 부착면(21) 근처의 상기 제 2 부착면(22)에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횡단 리세스(66)는 상기 열십자 쌓기로 배열된 다른 기복 있는 요소(12)의 은촉(24)을 적어도 수용하기 위한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곡률 반지름을 갖는 오목면(49)을 그 바닥측에 포함하는 둥근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의 절단면이 상기 코너-형성 요소(16)의 전방측에 트렁크의 단부면으로서 디자인되고, 반대편 전방측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형 성 요소(16)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곡률 반지름을 갖는 원형의 세그먼트형의 밀링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제 2 부착면으로 향하는 평면의 부착면(47)을 그 상부 절반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성 요소(16)는 제 1 부착면(47)과 제 2 부착면(48) 사이에 리세스(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14)는 거울 대칭이 되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1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부(14)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유리한 플러그인 연결 요소(43)들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 구멍을 통과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보어 구멍(5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는 상기 외부측면(31)과 상기 은촉(24) 사이의 전이 영역(36)에 보어 구멍(37)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어 구멍(37)들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볼 때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있는 요소(12), 상기 코너-형성 요소(16), 및 상기 매개부(14)는, 외부 영역들에 대해서는 낙엽송 또는 미국산 큰 소나무(Douglas fir)의 목재로 만들어지고, 내부 영역들에 대해서는 소나무(pine tree), 오크(oak tree), 북부 삼나무(northern fir), 삼나무(cedar), 북아메리카산 솔송 나무(hemlock fir) 목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대용 목재로서 만들어지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으로 하는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KR1020067010719A 2003-11-11 2004-10-28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KR20060107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2902A DE10352902A1 (de) 2003-11-11 2003-11-11 Blockhausartige Fassade
DE10352902.0 2003-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01A true KR20060107801A (ko) 2006-10-16

Family

ID=3455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719A KR20060107801A (ko) 2003-11-11 2004-10-28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97896B2 (ko)
EP (1) EP1697598B1 (ko)
JP (1) JP2007510834A (ko)
KR (1) KR20060107801A (ko)
CN (1) CN1878920A (ko)
AT (1) ATE435343T1 (ko)
CA (1) CA2542843C (ko)
DE (2) DE10352902A1 (ko)
RU (1) RU2378460C2 (ko)
UA (1) UA86785C2 (ko)
WO (1) WO2005047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0956B1 (no) * 2004-03-26 2006-02-20 Isolaft As Endestykke for bruk ved lafting.
DE102005053563A1 (de) * 2005-11-08 2007-05-16 Thorsten Leffeck Gmbh Bauelement für einen Schneefänger oder dergleichen
CA2713917C (en) * 2008-02-01 2016-10-11 Loggo Ip Pty Ltd Timber structural member
EP2350408A4 (en) * 2008-11-18 2014-09-17 Loggo Ip Pty Ltd In Its Capacity As Trustee For Thornton Ip Trust WOOD FRAME ELEMENT
US20110078966A1 (en) * 2009-10-06 2011-04-07 Dina Pauline Herman Log look log
US8387338B1 (en) 2011-05-18 2013-03-05 Walter Smith Method of making concrete facade logs and siding for a building
US9284736B1 (en) * 2011-09-30 2016-03-15 Gunter Preuss Composite siding with improved interlaced end-grain corner configuration and false chinking joint
US9045909B1 (en) 2011-10-11 2015-06-02 Gunter Preuss Systems and methods for wide engineered siding
CA2838061C (en) * 2012-12-19 2016-03-29 Novik Inc. Corner assembly for siding and roofing coverings and method for covering a corner using same
CN103628598B (zh) * 2013-10-24 2016-06-29 大连方园木制别墅制造有限公司 装配式木屋凸面墙体
FI126281B (fi) * 2014-04-23 2016-09-15 Ikican Oy Nurkkaliito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0326A (en) * 1922-05-08 1924-09-30 Locke James Albert Knockdown playhouse structure
US1655701A (en) * 1927-03-14 1928-01-10 Kenneth M Hyland Split-log cabin
US1758046A (en) * 1929-03-26 1930-05-13 Edward L Ilson Ornamental metallic log combination for building construction
US2021341A (en) * 1933-08-15 1935-11-19 Bruce R Ward Joint connection for log cabin logs
US2130231A (en) * 1935-05-09 1938-09-13 Ernest A Forciea Log cabin structure
US2403934A (en) * 1942-08-24 1946-07-16 Thor G Lindstrom Building construction
US2525659A (en) * 1948-10-12 1950-10-10 Building Logs Inc Building log
US3189950A (en) * 1961-11-29 1965-06-22 Bertil L Johnson Connecting structure for timbers
US3381428A (en) * 1967-08-22 1968-05-07 Unitized Mfg Ltd Exposed lock log joining system
US3800494A (en) * 1972-03-20 1974-04-02 G Hall Connecting structure for timbers
SE391214B (sv) * 1974-08-13 1977-02-07 Fjellsjostugan Ab Huskonstruktion jemte forfarande och medel for framstellning av densamma
US4096674A (en) * 1977-08-26 1978-06-27 Ernest Paul Kollar False tenon structure
US4230163A (en) * 1978-02-27 1980-10-28 Vermont Log Building, Inc. Log-planing machine
US4219977A (en) * 1978-06-23 1980-09-02 Country Log Homes, Inc. Log building construction
AU526070B2 (en) * 1978-12-08 1982-12-16 Fletcher Timber Ltd. Building system
US4287694A (en) * 1979-07-17 1981-09-08 Cornell G Howard Corner joint formation for building log
US4279108A (en) * 1979-07-25 1981-07-21 Collister Richard L Jun Joint construction for log buildings
SE443599B (sv) * 1979-08-24 1986-03-03 Larsson Hakan Olof J Stockelement av tre samt knutkonstruktion uppbyggd av sadana stockelement
US4337941A (en) * 1980-05-22 1982-07-06 Interplay Design Limited Building structure
US4320610A (en) * 1980-07-10 1982-03-23 Rupp Kenneth R Simulated log corner units for erecting log cabin type structures
US4429500A (en) * 1980-10-10 1984-02-07 Farmont Johann H Building logs with weathertight joints
US4592182A (en) * 1981-03-13 1986-06-03 Felser Forest Products, Inc. Cornering system for buildings
US4742657A (en) * 1984-10-26 1988-05-10 Veech Robert D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4649683A (en) * 1985-09-23 1987-03-17 Gerald Dolata Energy saving and endurance log for a log building
US4901489A (en) * 1987-04-23 1990-02-20 Heritage Log Homes, Inc. Log for constructing log structures and associated log fabricating process
US4834585A (en) * 1987-10-29 1989-05-30 Weyerhaeuser Company Landscape timber building module
CA1242558A (en) * 1987-11-23 1988-10-04 Ronald A. Wrightman Log joint and machine for forming log joint
US4878328A (en) * 1988-05-27 1989-11-07 Berge Ronald J Log-cornered siding for buildings
US4909012A (en) * 1988-09-28 1990-03-20 Thompson Jr Ransom S Method of using compression fastener for joining structural members
US5010701A (en) * 1989-12-05 1991-04-30 Diamond Occidental Forest, Inc. Corner system for log cabin siding
US4967526A (en) * 1990-01-22 1990-11-06 Timothy Yost Building structures with preassembled, simulated, external log cabin, corner joint units fitting with horizontally extending vertically juxtaposed siding members
IL95411A (en) * 1990-08-17 1993-01-31 Stein Alejandro Building structures, elem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US5586422A (en) * 1995-06-16 1996-12-24 Hoffner; Terrell W. Log illusion vinyl log siding
US5881515A (en) * 1995-10-23 1999-03-16 George; Mark D. Concatenated structures of modular members
US5638649A (en) * 1996-01-16 1997-06-17 Hovland; Keith Full corner log siding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787661A (en) * 1997-04-14 1998-08-04 Sharp; Robert Y. Building siding system
US6122877A (en) * 1997-05-30 2000-09-26 Andersen Corporation Fiber-polymeric composite sid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99452A (en) * 1997-06-11 1998-09-01 Moore; Kenneth G. Log construction
US6199332B1 (en) * 1998-08-20 2001-03-13 Randall W. Ellson Log facade
US6363672B1 (en) * 2000-02-14 2002-04-02 Daniel A. Baker Log home construction, and methods
US6408580B1 (en) * 2000-07-24 2002-06-2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iding system
US6427414B1 (en) * 2000-09-15 2002-08-06 Jerold R Wing Dovetail siding and corner block attachment method
US6526712B2 (en) * 2001-05-21 2003-03-04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Extruded composite interlocking corner assembly
US20040211136A1 (en) * 2003-04-24 2004-10-28 Sandra Stanton Simulated log siding system and method
US20040211135A1 (en) * 2003-04-24 2004-10-28 Sandra Stanton Simulated log siding system and method
NO320956B1 (no) * 2004-03-26 2006-02-20 Isolaft As Endestykke for bruk ved laf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78460C2 (ru) 2010-01-10
DE502004009699D1 (de) 2009-08-13
US7797896B2 (en) 2010-09-21
EP1697598B1 (de) 2009-07-01
EP1697598A1 (de) 2006-09-06
DE10352902A1 (de) 2005-06-09
CN1878920A (zh) 2006-12-13
UA86785C2 (ru) 2009-05-25
RU2006119981A (ru) 2007-12-20
CA2542843A1 (en) 2005-05-26
ATE435343T1 (de) 2009-07-15
CA2542843C (en) 2009-12-15
JP2007510834A (ja) 2007-04-26
WO2005047611A1 (de) 2005-05-26
US20070204538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7801A (ko) 통나무-오두막집형 파사드
JP3404039B2 (ja) パネル及びこのパネルの製造方法
JPH06197634A (ja) モジュール式造園施設及び構造物
US20040194406A1 (en) Wooden brick and wall body using the same
KR20220161863A (ko) 조립키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모형
CN205823077U (zh) 门窗转角连接机构
CN208415504U (zh) 一种连接组件、一种木屋框架和一种金字塔形多功能木屋
CN205025030U (zh) 仿木混凝土构件的榫接结构
JP3011879B2 (ja) 耐力壁構造
CN103486121A (zh) 实木拼接结构
CN103485513B (zh) 重组竹拼接地板
JPS61266756A (ja) 壁部材
CN215397966U (zh) 一种3d雕刻木艺结构
CN213654052U (zh) 结构稳定的木饰面的连接结构
CN211172914U (zh) 一种独幅实木拼花地板
JPH025862B2 (ko)
CN211114062U (zh) 一种耐腐蚀可快速拼接的仿古建筑结构
CN201879167U (zh) 包镶式空芯木家具构件
KR100346086B1 (ko) 지관
RU2308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й брус
KR0172640B1 (ko) 조립식 통나무 주택
EP1282748B8 (en) Cogging structure
JP2744919B2 (ja) 間伐丸太を使用する壁等に適した建築材
JPH0520486Y2 (ko)
KR200432795Y1 (ko) 나무 무늬결 엠보싱 조립식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